KR20220016581A -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581A
KR20220016581A KR1020200096645A KR20200096645A KR20220016581A KR 20220016581 A KR20220016581 A KR 20220016581A KR 1020200096645 A KR1020200096645 A KR 1020200096645A KR 20200096645 A KR20200096645 A KR 20200096645A KR 20220016581 A KR20220016581 A KR 2022001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latform
door device
screen door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환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래픽 (주) filed Critical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to KR102020009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581A/ko
Publication of KR2022001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 E06B2009/1566Rigid elements, e.g. hinges, hooks or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는, 승강장의 지면 하부에 매설되거나 지면 하부의 곤간에 설치되는 권취부, 권취부에 권취되어 승강장의 지면 상부로 권출되는 스크린, 권취부의 권취 및 권출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및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될 때 스크린의 판면이 지면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치로 구성된다. 종래의 좌우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 장치와 같이 열차가 스크린의 위치에 정확하게 정차하지 못한 경우 전후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종래의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장치를 채용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즉 승강장의 상부에 스크린도어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없다.

Description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Screen Door disposed under Platform}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의 승차를 대기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대기 승객이 열차의 진출입 공간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설치하는 스크린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이나 고속열차 등과 같은 열차의 지상 및 지하 역사에는 승강장에서 승차를 대기하는 승객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장과 열차 이동 공간 사이를 구획하는 스크린도어 장치(PSD : Platform Screen Door)가 설치된다.
통상적인 스크린도어 장치는 스크린 동작을 하는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다수의 스크린도어가 승강장에 정차한 열차의 출입문들의 위치와 개수에 부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열차의 운전자는 열차의 출입문이 각각의 스크린도어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정렬하기 위하여 열차를 정확한 위치에 정차시켜야 한다. 따라서 만약 열차가 정확한 위치에 정차되지 않은 경우 열차를 전후진시켜 정차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강장의 상부에 스크린도어 장치를 설치하여 스크린도어가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개폐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이 방식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스크린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승강장을 폐쇄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승강장을 개방시킨다. 이러한 스크린도어 장치는 스크린도어의 위치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좌우 이동 개폐 방식의 스크린도어 장치에 비해 열차 정차 위치의 정확성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린도어 장치는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예컨대 지상 역사의 경우 만약 승강장의 상부에 스크린도어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고, 지하 역사의 경우에도 천정까지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면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도어 장치로부터 스크린이 하강할 때, 승강장에서 대기하던 승객이 스크린의 하강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스크린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2015-0000138호 : 프레임과의 연결부에 가동연결부가 구비된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http://vpsd.co.kr/file/index.php : 수직 개폐형 스크린도어가 개시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개폐 방식의 스크린도어와 같이 열차를 정확한 위치에 정차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또한 수직 하강 방식의 스크린도어와 같이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과 승객의 사고 위험이 없는 스크린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는, 열차에 승차하기 위해 승객이 대기하는 승강장의 지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열차가 상기 승강장에 진입출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장의 지면 하부에서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상기 승강장의 지면 상부로 권출되는 스크린; 상기 권취부의 권취 및 권출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장의 지면 상부에 기립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될 때 상기 스크린의 판면이 상기 지면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측면이 수용되는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양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스크린이 그 판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승강장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 레일은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크린의 각 측면을 수용하는 쌍의 상기 가이드 그루브를 양 측면에 구비한다.
상기 스크린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을 갖는 복수의 스크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스크린부재 상호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크린부재들 사이에 상기 스크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핀; 및 각각의 상기 스크린부재의 측면 에지에 고정되며, 상기 핀의 일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에 대해 상기 스크린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는, 상기 승강장에 상기 열차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는 상기 승강장의 지중에 매설되거나, 상기 열차의 진출입 공간을 향해 연장 돌출된 상기 승강장의 하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좌우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 장치와 같이 열차가 스크린의 위치에 정확하게 정차하지 못한 경우 전후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종래의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장치를 채용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즉 승강장의 상부에 스크린도어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없고, 또한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이 하강함에 따른 승객의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없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1 의 스크린도어 장치가 승강장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가 실제로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가 실제로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의 스크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7 에서 스크린을 구성하는 각 스크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도 7 의 측면도.
도 10 은 도 7 의 스크린이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PSD 가 승강장의 바닥에서 상승하여 문이 닫히고, 플랫폼 하부로 말려 감춰지면서 문이 열리게 되는 구조로써, 이를 통해 소형의 구조물로 설치 가능하게 하는 수직 상승형 롤러블 PSD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도 1 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도 1 의 스크린도어 장치가 승강장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권취부(10), 스크린(20), 모터(30), 및 가이드 장치(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권취부(10)는 열차에 승차하기 위해 승객이 대기하는 승강장(P)의 지면 하부에 설치된다. 권취부(10)는 스크린(20)이 권취되기 용이하도록 예컨대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열차가 승강장(P)에 진입출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스크린(20)은 승강장(P)의 지면 하부에서 권취부(10)상에 권취되며, 스크린(20)의 하단부는 권취부(10)의 외측에 고정된다. 스크린(20)은 권취부(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권취부(10)에 권취되거나 권취부(10)로부터 승강장(P)의 지면 상부로 권출된다. 스크린(20)이 권취부(10)에 완전히 권취된 상태에서는 승강장(P)의 공간과 승강장(P) 바깥쪽의 열차 진출입 및 정차 공간이 구획되지 않으며, 스크린(20)이 권취부(10)로부터 완전히 권출된 상태에서는 승강장(P)의 공간과 승강장(P) 바깥쪽의 공간이 구획된다. 스크린(20)은 이와 같이 권취된 상태와 권출된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스크린도어의 기능을 하게 된다.
모터(30)는 권취부(1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수단의 기능을 한다. 즉, 모터(30)는 권취부(10)를 수평 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20)을 권취부(10)에 권취시키거나 스크린(20)을 권취부(10)로부터 권출시킨다. 한편, 모터(30)와 권취부(10) 사이에는 감속기(35)가 설치되어 있다. 감속기(35)는 모터(3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권취부(10)에 전달한다. 감속기(35)는 여러 개의 기어들이 조합된 기어 조립체로 구성되며, 통상적으로 매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3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권취부(10)에 전달함으로써, 적은 구동력의 모터(30)로도 권취부(10)의 권취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크린(20)의 권취 및 권출의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스크린(20)의 권취/권출에 의한 돌발적인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 장치(40)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다.(이하, 가이드 장치와 가이드 레일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한다.) 가이드 레일(40)은 승강장(P)의 지면 상부에 기립 상태로 설치된다. 가이드 장치(4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0)을 구비하고, 각 가이드 레일(40)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도 10 의 도면부호 42)를 구비한다. 스크린(20)은 양 측면이 가이드 그루브(42)에 인입되어 수용됨으로써 가이드 레일(4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20)은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20)이 권취 또는 권출될 때 스크린(20)의 판면이 지면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40)에 의해 가이드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스크린도어 장치에서는 복수의 스크린(20)이 그 판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됨으로써 승강장(P)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의 가이드 레일(40)은 인접하는 한 쌍의 스크린(20)의 각 측면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두 스크린(20) 사이에 가이드 레일(40)이 존재하고, 두 가이드 레일(40) 사이에 스크린(20)이 존재하는 형태로 연속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승강장(P)의 전체 구간에 걸쳐 열차가 진출입 및 정차하는 철로의 공간과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권취부(10)와 모터(30)는 각 스크린(20)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권취부(10) 및/또는 모터(30)에 복수의 스크린(20) 또는 모든 스크린(20)이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가 실제로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가 실제로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승강장(P)의 바닥면으로부터 스크린(20)이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상승하여 승강장(P)을 폐쇄하고 하강하여 승강장(P)을 개방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20)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요소가 승강장(P) 바닥면 하부에 배치된다.
도 4 는 승강장(P) 바닥면의 지중에 권취부(10)가 매설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권취부(10)에 권취된 상태의 스크린(20), 모터(30), 감속부(35) 등도 지중에 매설된다.
도 5 는 승강장(P)의 하부 공간에 권취부(1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권취부(10)에 권취된 상태의 스크린(20), 모터(30), 감속부(35) 등도 지중에 매설된다. 승강장(P)은 열차의 진출입 공간을 향해 선반 형태로 연장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선반 형태의 돌출된 승강장(P)의 하부 공간은 비어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 공간에 스크린도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지중 매설 방식보다 설치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모터(30)의 동작에 따라 스크린(20)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승강장(P)에 열차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성하는 센서(70), 모터(30)의 구동을 수작업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60), 및 센서(70)의 감지 결과 및 조작부(60)의 조작 결과에 따라 모터(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의 스크린(20) 개폐 동작은 두 가지 모드, 즉 Normal Open 모드와 Normal Close 모드로 설정이 가능하다. Normal Open 모드는 스크린(20)이 상시 하강한 상태로 있고 열차가 진입 및 진출하는 동안만 스크린(20)을 상승시키는 모드이고, Normal Close 모드는 이와 반대로 스크린(20)이 상시 상승한 상태로 있고 열차가 진입을 완료하여 승객이 열차에 승하차하는 동안만 스크린(20)을 하강시킨 후 승하차 완료 후 열차가 진출하기 전에 다시 스크린(20)을 상승시키는 모드이다. 이하에서는 Normal Close 모드를 전제로 제어부(50)의 제어 동작을 기술한다.
센서(70)는 열차가 승강장(P)에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한다. 열차가 진입하는 경로 상의 승강장(P) 인근 위치에 센서(70)를 설치함으로써 열차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열차가 승강장(P)에 정차하면 센서(70)가 정차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0)에 전송한다. 제어부(50)는 모터(30)를 구동하여 스크린(20)을 하강시킴으로써 열차에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시킨다. 승하차를 위해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50)는 모터(30)를 구동하여 스크린(20)을 상승시킴으로써 열차와 승강장(P) 사이가 구획되도록 폐쇄한다. 스크린(20)이 폐쇄된 후 열차는 출발하여 승강장(P)으로부터 진출한다.
조작부(60)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크린(20)을 구동할 필요가 있어가 승객이 비상 시 등의 상황에 스크린(20)을 필요한 방식으로 구동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조작부(60)는 승객이 원할 때 조작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장치(40)의 일 부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60)를 조작하여 스크린(20)에 대한 폐쇄/개방을 선택하면, 제어부(50)는 이 조작 상태에 따라 모터(30)를 구동하여 스크린(20)을 개폐한다.
도 7 내지 도 10 은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의 스크린의 구체적인 구성과 스크린이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크린(20)은, 복수의 스크린부재(22) 및 각각의 스크린부재 상호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24, 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24, 26)는 복수의 스크린부재(22)를 수직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한 상태에서 상호 연결한다. 연결부(24, 26)는 스크린부재(22)들에 부착되어 있는 회동결합부(24), 및 회동결합부(24)에 삽입되는 핀(26)으로 구성된다.
스크린부재(2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을 가지며, 각 스크린부재(22)가 그 판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됨으로써 스크린(20)의 기본 틀을 구성한다.
회동결합부(24)는 각 스크린부재(22)의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에 복수 개 형성되며, 각 스크린부재(22)에는 복수의 회동결합부(24)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있다. 회동결합부(24)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스크린부재(22)에 부착되거나 스크린부재(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회동결합부(24)는 핀(26)의 일 부위를 감싸도록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핀(26)이 회동결합부(24)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핀(26)에 대해 스크린부재(22)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핀(26)은 인접하는 한 쌍의 스크린부재(22)들 사이에 스크린부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이때 핀(26)은 각 스크린부재들(22)의 회동결합부(2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스크린부재들(22)이 상호 인접 배치되면 이웃하는 스크린부재들(22)의 회동결합부(24)들이 상호 교호적으로 사이사이에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핀(26)이 일렬 배치된 회동결합부(24)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스크린부재들(22)이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9 와 같은 상태가 되어, 판상의 각 스크린부재(22)가 핀(2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다수의 스크린부재(22)가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부(10)에 권취될 수 있게 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의 스크린(20)의 양 측면이 가이드 레일(40)에 마련된 가이드 그루브(42)에 인입됨으로써, 스크린(20)이 가이드 레일(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좌우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 장치와 같이 열차가 스크린의 위치에 정확하게 정차하지 못한 경우 전후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종래의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장치를 채용할 경우 발생하는 단점, 즉 승강장의 상부에 스크린도어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없고, 또한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이 하강함에 따른 승객의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열차에 승차하기 위해 승객이 대기하는 승강장의 지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열차가 상기 승강장에 진입출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장의 지면 하부에서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상기 승강장의 지면 상부로 권출되는 스크린;
    상기 권취부의 권취 및 권출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장의 지면 상부에 기립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될 때 상기 스크린의 판면이 상기 지면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측면이 수용되는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양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크린이 그 판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승강장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 레일은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크린의 각 측면을 수용하는 쌍의 상기 가이드 그루브를 양 측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을 갖는 복수의 스크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스크린부재 상호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크린부재들 사이에 상기 스크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핀; 및
    각각의 상기 스크린부재의 측면 에지에 고정되며, 상기 핀의 일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에 대해 상기 스크린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에 상기 열차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 부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승강장의 지중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열차의 진출입 공간을 향해 연장 돌출된 상기 승강장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KR1020200096645A 2020-08-03 2020-08-03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KR20220016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45A KR20220016581A (ko) 2020-08-03 2020-08-03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45A KR20220016581A (ko) 2020-08-03 2020-08-03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81A true KR20220016581A (ko) 2022-02-10

Family

ID=8025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45A KR20220016581A (ko) 2020-08-03 2020-08-03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65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138A (ko) 2013-06-24 2015-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138A (ko) 2013-06-24 2015-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vpsd.co.kr/file/index.php : 수직 개폐형 스크린도어가 개시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541B2 (en) Platform gate for train stations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US10053114B2 (en) Protective wall for the protection of people from moving rail vehicles
KR10041574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EP3560878B1 (en) Elevator display systems
CN110914183A (zh) 电梯系统
KR101693619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
KR20150013410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70136562A (ko) 승강기 통로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승강기 승강칸 벽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EP3862309A1 (en) Elevator car with moving emergency stop device
EP2474458A1 (en) Automatic platform gates
GB2261866A (en) Lift for multi-storey parking system
KR20220016581A (ko)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JP5616199B2 (ja) ゲート装置
JP2014004962A (ja) ホーム扉装置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2313613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JP43038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128844B1 (ko) 골조공사용 자동 인양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5876323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9234674A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
AU2021255670B2 (en) Safety device for a lifting gate, and lifting gate having such a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