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562A -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 Google Patents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562A
KR20220016562A KR1020200096615A KR20200096615A KR20220016562A KR 20220016562 A KR20220016562 A KR 20220016562A KR 1020200096615 A KR1020200096615 A KR 1020200096615A KR 20200096615 A KR20200096615 A KR 20200096615A KR 20220016562 A KR20220016562 A KR 20220016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ekwondo
user
virtual
virtual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743B1 (ko
Inventor
김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앤피
Priority to KR102020009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7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3Hand-to-hand fighting, e.g. martial arts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이동가능한 소정 면적을 가지고, 현실 세계의 실제 공간 내에 정의된 플레이 그라운드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시선 방향과 신체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하여 3차원 정보를 생성하며,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와,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3차원 정보를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와 비교하여,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정 단련 정보를 가상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상 물체의 움직임 및, 교정 단련정보를 진동 또는 소리로 출력하되,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메인 제어부는,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저장한 컨텐츠 DB와, 각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의 고유 ID정보와, 3차원 정보와, 교정 단련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를 포함하되, 가상물체의 정보는 가상물체의 움직임, 이미지를 포함하여 겨루기 동작 또는 태권도 품새 동작을 훈련할 수 있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Taekwondo training system using AR and VR equipment}
본 발명은 상대방이 없이도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장비를 이용하여 정확한 자세로 태권도 품새 동작 및 겨루기를 단련할 수 있는 훈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시간의 증가 및 국민 건강 복지 증진에 대한 관심과 함께,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출원특허 제 10-2011-0100662호에 의하면, 사용자를 스캔하여 사용자와 대응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출력토록 하며, 사용자가 가상 이미지상의 가상 대련자를 가격하거나 가상대련자에 의한 사용자의 가상 타격시 그 가격부위 또는 타격부위를 진동및 스피커와 램프 등을 통한 시청각 및 촉각의 입체효과로서 느낄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센서모듈(100')이 제1사용자(H1')가 제N사용자(미도시)가 착용하는 대련복의 착용시 전자채점이 이루어지는 주요가격부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격부위는, 신체의 일부를 지정하여 설치되어도 되며 다양한 곳에 임의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모듈(100')은, 가상대련자의 이미지가 미리 프로그램된 동작에 따라 출력되어 모션되도록 설치되는 사용자단말기(410')에는 가상의 이미지가 태권도의 겨루기와 같은 모션을 구현토록 디스플레이(400')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400')를 통하여 출력되는 가상대련자와 사용자가 겨루기를 수행할 때 가상대련자에 의한 사용자의 가격 및 사용자에 의한 가상대련자의 가격시 사용자의 가격부위에 장착되는 센서모듈(100')이 반응토록 설치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10')는, 사용자의 스캔을 위하여 복수의 센서모듈(100')이 구비되는 타격백 형상으로이루어진 측정유니트(430')가 더 구비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겨루기 등에 사용시 상대방에 의한 가격을 시,청각 또는 촉각 등을 통하여 확인 가능 하고, 가상의 대련자와 현실감 있게 겨루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은, 완전한 가상세계에서만 이루어지고, 겨루기 이외에, 태권도 품새 동작을 단련할 수 없음에 따라, 태권도 기본 동작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초보자의 경우 겨루기 과정을 통해 태권도 동작을 정확한 자세로 학습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숙련자를 위한 겨루기 동작의 훈련 이외에도, 초보자를 위한 태권도 품새 동작을 단련할 수 있는 훈련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겨루기 동작 또는 태권도 품새 동작을 훈련할 수 있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훈련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이동가능한 소정 면적을 가지고, 현실 세계의 실제 공간 내에 정의된 플레이 그라운드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시선 방향과 신체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하여 3차원 정보를 생성하며,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와,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3차원 정보를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와 비교하여,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교정 단련 정보를 가상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상 물체의 움직임 및, 교정 단련정보를 진동 또는 소리로 출력하되,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메인 제어부는,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저장한 컨텐츠 DB와, 상기 각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의 고유 ID정보와, 3차원 정보와, 교정 단련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물체의 정보는 가상물체의 움직임, 이미지를 포함하여 겨루기 동작 또는 태권도 품새 동작을 훈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 또는 불일치 비교 결과값을 생성하는 비교 판단부와, 상기 비교 판단부로부터 생성한 비교 결과값이 불일치일 경우, 3차원 정보를 상기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 대하여 보정한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손 동작 및 발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제1인식 센서와, 사용자의 몸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인식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장치는, 제1 인식센서와 제2 인식센서로부터 인식된 손동작 및 발동작, 몸 동작을 기반으로 신체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는 태권도 겨루기 동작정보가 포함되고, 가상 물체는 태권도 겨루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를 포함하여 겨루기 동작의 훈련이 가능하다. 상기 가상 물체인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는 3차원 정보중,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는 태권도 품새 동작정보가 포함되고, 가상 물체는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를 기초로 가상 영상 바닥면에 구비된 품새선과, 품새선 방향으로 사용자의 발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지시선을 포함하여 태권도 품새 동작의 훈련이 가능하다. 상기 가상 물체인 지시선은,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한다.
상기 출력장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구비되어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출력부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가상 물체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영상은 촬영된 현실 세계의 플레이그라운드 내에 가상 물체의 정보를 오버랩 방식으로 추가하여 생성된 것이되, 현실세계의 플레이 그라운드를 촬영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영상은 가상 배경에 가상 물체의 정보를 오버랩방식으로 추가하여 생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 혼자서도 정확한 자세로 태권도 품새 동작을 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 선택적으로 가상 대련자 캐릭터와 대련을 수행함으로써 겨루기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고, 겨루기를 수행하는 중 발생하는 부상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겨루기 방법의 사용자 스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AR,VR 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실제로 이동가능한 소정 면적을 가지고, 현실 세계의 실제 공간 내에 정의된 플레이 그라운드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시선 방향과 신체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하여 3차원 정보를 생성하며,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100)와,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사용자의 3차원 정보를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와 비교하여,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교정 단련 정보를 가상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제어부(300)와,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가상 물체의 움직임 및, 교정 단련정보를 진동 또는 소리로 출력하되,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장치(400)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구비되어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출력부는 입력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가상 물체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저장한 컨텐츠 DB(310)와, 상기 각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의 고유 ID정보와, 3차원 정보와, 교정 단련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3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물체의 정보는 가상물체의 움직임, 이미지를 포함하여 겨루기 동작 또는 태권도 품새 동작을 훈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장치(100)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부(330)와,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 또는 불일치 비교 결과값을 생성하는 비교 판단부(340)와, 상기 비교 판단부(340)로부터 생성한 비교 결과값이 불일치일 경우, 3차원 정보를 상기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 대하여 보정한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350) 및 상기 메인 제어부(3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장치(100)는 사용자의 손 동작 및 발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제1인식 센서(110)와, 사용자의 몸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인식센서(120)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장치(100)는, 제1인식 센서(110)와 제2 인식 센서(120)로부터 인식된 손동작 및 발동작, 몸 동작을 기반으로 신체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장치(100)와 출력장치(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양 팔과 양 다리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입력장치의 개수가 많을수록, 정확도 높은 3차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AR,VR 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권도 훈련 시스템은, 이미지, 주변 배경, 객체 모두를 가상의 이미지로 만드는 VR(가상현실)로 구현하거나, 또는 추가되는 정보만을 가상의 이미지로 만드는 AR(증강 현실)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실시예에 따른 A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 시스템으로써, 가상 영상은 촬영된 현실 세계의 플레이그라운드(B1) 내에 가상 물체(O)의 정보를 오버랩 방식으로 추가하여 생성된 것이되, 현실세계의 플레이 그라운드를 촬영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술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몰입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의 (b)는 실시예에 따른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 시스템으로써, 상기 가상 영상은 가상 배경(B2)에 가상 물체(O)의 정보를 오버랩방식으로 추가하여 생성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로 구현되어 보다 자유도가 넓은 태권도 훈련 시뮬레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는 태권도 겨루기 동작정보가 포함되고, 가상 물체는 태권도 겨루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를 포함하여 겨루기 동작의 훈련이 가능하다. 상기 가상 물체인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는 3차원 정보 중,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한다.
상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부는 컨텐츠 DB에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독출한다. 가상 물체의 정보에는 가상 물체의 동작을 위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어서,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에서 독출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메인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이용하여 AR 또는 VR방식으로 시각화한다. 이어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시각화된 가상물체, 즉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의 움직임에 사용자가 반응하여 사용자의 3차원 정보가 변화할 경우, 입력장치(100)는 변화한 3차원 정보를 미리 부여된 고유 ID정보와 함께 메인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의 통신부는 수신된 3차원 정보를 비교판단부에 전달하고, 비교 판단부(340)는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 또는 불일치 비교 결과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 결과값을 정보 생성부에 전달한다.
정보 생성부(350)는 비교 판단부로부터 불일치 비교 결과값이 생성될 경우, 3차원 정보를 상기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 대하여 보정한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360)는 생성된 정보 생성부(350)로부터 교정 단련 정보가 생성될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DB에 3차원 정보와, 교정 단련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는 교정 단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수신한 교정 단련 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장치(400)는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가 기 설정된 태권도 겨루기 동작으로 사용자를 타격할 경우, 타격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밀착 구비된 진동 출력부가 진동을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태권도 겨루기 동작으로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를 가격할 경우, 가격 시 사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 구비된 진동 출력부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출력의 세기는, 가격 또는 타격 강도 및 가격부위 또는 타격 부위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가격 또는 타격 강도는 3차원 정보로부터 순간가속도와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 각 태권도 겨루기 동작별 평균 충격값 등을 이용하여 자동 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는 태권도 품새 동작정보가 포함되고, 가상 물체는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를 기초로 가상 영상 바닥면에 구비된 품새선과, 품새선 방향으로 사용자의 발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지시선을 포함하여 태권도 품새 동작의 훈련이 가능하다. 상기 가상 물체인 지시선은,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한다. 상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부는 컨텐츠 DB에서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독출한다. 가상 물체의 정보에는 가상 물체의 동작을 위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어서,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에서 독출된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메인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이용하여 AR 또는 VR방식으로 시각화한다. 이어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시각화된 가상물체, 즉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영상 바닥면에 구비된 품새선과 지시선에 사용자가 반응하여 사용자의 3차원 정보가 변화할 경우, 입력장치(100)는 변화한 3차원 정보를 미리 부여된 고유 ID정보와 함께 메인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의 통신부는 수신된 3차원 정보를 비교판단부(340)에 전달하고, 비교 판단부(340)는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 또는 불일치 비교 결과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 결과값을 정보 생성부(350)에 전달한다.
정보 생성부(350)는 비교 판단부로부터 불일치 비교 결과값이 생성될 경우, 3차원 정보를 상기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에 대하여 보정한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360)는 생성된 정보 생성부(350)로부터 교정 단련 정보가 생성될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DB에 3차원 정보와, 교정 단련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는 교정 단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0)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장치(400)는 사용자의 3차원 정보가 품새선 및 지시선의 방향과 다를 경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부위 또는, 품새선 및 지시선의 방향과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에 밀착 구비된 진동 출력부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한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입력장치 110 : 제1인식 센서
120 : 제2인식 센서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메인 제어부 310 : 컨텐츠 DB
320 : 사용자 DB 330 : 통신부
340 : 비교 판단부 350 : 정보 생성부
360 : 제어부 400 : 출력장치

Claims (10)

  1. 사용자가 실제로 이동가능한 소정 면적을 가지고, 현실 세계의 실제 공간 내에 정의된 플레이 그라운드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시선 방향과 신체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하여 3차원 정보를 생성하며,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와,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3차원 정보를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와 비교하여,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정 단련 정보를 가상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상 물체의 움직임 및, 교정 단련정보를 진동 또는 소리로 출력하되,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메인 제어부는,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 가상 배경, 가상물체의 정보를 저장한 컨텐츠 DB와,
    각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의 고유 ID정보와, 3차원 정보와, 교정 단련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를 포함하되,
    가상물체의 정보는 가상물체의 움직임, 이미지를 포함하여 겨루기 동작 또는 태권도 품새 동작을 훈련할 수 있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입력장치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미리 저장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 또는 불일치 비교 결과값을 생성하는 비교 판단부와,
    비교 판단부로부터 생성한 비교 결과값이 불일치일 경우, 3차원 정보를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 대하여 보정한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교정 단련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메인 제어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손 동작 및 발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제1인식 센서와,
    사용자의 몸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제2 인식센서를 포함하고,
    제1 인식센서와 제2 인식센서로부터 인식된 손동작 및 발동작, 몸 동작을 기반으로 신체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는 태권도 겨루기 동작정보가 포함되고, 가상 물체는 태권도 겨루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를 포함하여 겨루기 동작의 훈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가상 물체인 가상의 대련자 캐릭터는 3차원 정보중,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태권도 기본 동작 정보에는 태권도 품새 동작정보가 포함되고,
    가상 물체는 태권도 기본 품새 동작정보를 기초로 가상 영상 바닥면에 구비된 품새선과, 품새선 방향으로 사용자의 발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지시선을 포함하여 태권도 품새 동작의 훈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가상 물체인 지시선은,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8. 제 4항 또는 7항중 한 항에 있어서,
    출력장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구비되어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를 포함하고,
    진동출력부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3차원 정보와, 가상 물체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가상 영상은 촬영된 현실 세계의 플레이그라운드 내에 가상 물체의 정보를 오버랩 방식으로 추가하여 생성된 것이되, 현실세계의 플레이 그라운드를 촬영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가상 영상은 가상 배경에 가상 물체의 정보를 오버랩방식으로 추가하여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KR1020200096615A 2020-08-03 2020-08-03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KR10247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15A KR102475743B1 (ko) 2020-08-03 2020-08-03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15A KR102475743B1 (ko) 2020-08-03 2020-08-03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62A true KR20220016562A (ko) 2022-02-10
KR102475743B1 KR102475743B1 (ko) 2022-12-08

Family

ID=8025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15A KR102475743B1 (ko) 2020-08-03 2020-08-03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7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29B1 (ko) * 2010-08-24 2011-05-23 윤상범 가상현실 무도 수련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KR20130036528A (ko) * 2011-10-04 2013-04-12 유성규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
KR20170076534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89568A (ko) * 2018-01-23 2019-07-31 노호성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KR20190113265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스탠스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29B1 (ko) * 2010-08-24 2011-05-23 윤상범 가상현실 무도 수련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KR20130036528A (ko) * 2011-10-04 2013-04-12 유성규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
KR20170076534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89568A (ko) * 2018-01-23 2019-07-31 노호성 웨어러블 기반의 모션 센싱 기술을 이용한 태권도 품새 평가 시스템
KR20190113265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스탠스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743B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727A (en) Interactive movement and contact simulation game
US9599821B2 (en) Virtual reality system allowing immersion in virtual space to consist with actual movement in actual space
US9878206B2 (en) Method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analysis
US5616078A (en) Motion-controlled video entertainment system
CN103488291B (zh) 一种基于运动捕捉的浸入式虚拟现实系统
US8892219B2 (en) Motivation and enhancement of physical and mental exercise, rehabilitation,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
CN102331840B (zh) 基于回环运动的用户选择和导航
EP2039402B1 (en) Input instruction device, input instruction method, and dancing simultation system using the input instruction device and method
JP6467698B2 (ja) 野球の打撃練習支援システム
JP2000033184A (ja) 全身動作入力型のゲ―ム及びイベント装置
US20110270135A1 (en) Augmented reality for testing and training of human performance
CN109731292A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平衡能力测试与训练系统及方法
JPWO2007069751A1 (ja) 記憶力テスト装置、判断力テスト装置、比較力テスト装置、コーディネーション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ワーキングメモリトレーニング装置
JP7488867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2003180896A5 (ko)
JP2002210240A (ja) ビデオゲーム装置
CN111672089B (zh) 一种针对多人对抗类项目的电子计分系统及实现方法
KR20220016562A (ko) Ar, vr장비를 이용한 태권도 훈련시스템
US11213733B1 (en) Surface interactions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US11331551B2 (en) Augmented extended realm system
KR20150001268U (ko) 청각센서로 기동되는 다중 프로세서 방식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JP2019083996A (ja) 動体反応確認システム
CN109475773B (zh) 用于模拟游戏事件的方法和设备
RU2106695C1 (ru) Способ представления виртуаль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пользователю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WO2019142227A1 (ja) 移動体および移動体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