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543A -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 Google Patents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543A
KR20220016543A KR1020200096566A KR20200096566A KR20220016543A KR 20220016543 A KR20220016543 A KR 20220016543A KR 1020200096566 A KR1020200096566 A KR 1020200096566A KR 20200096566 A KR20200096566 A KR 20200096566A KR 20220016543 A KR20220016543 A KR 2022001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supply pipe
fire extinguish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1618B1 (en
Inventor
신상현
강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림
Priority to KR102020009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618B1/en
Publication of KR2022001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A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is disclosed. Th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short pipe having a short length with an expanded upper area; welding a lower end of the prepared short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a water supply pipe to correspond to a bran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hort pipe; contracting the expanded upper region of the welded short pipe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hort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t cover to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and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inside of the welded short pip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ipes constitu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becomes easy, and the construction period of firefighting facilities can be shortened.

Description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Connection processing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pipe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본 발명은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설비의 배관들의 연결이 쉬워지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that makes it easy to connect the pipes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에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화설비가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소화배관이 연결 설치된다.In general,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such as sprinklers are installed in high-rise buildings, and fire extinguishing pipes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rinkler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예를 들어, 소화배관은 소방용수를 저장하고 있는 공급처로부터 건물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배관 및 주배관에서 분기되어 각 층으로 분기되는 분기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배관 및 분기배관들은 복수의 소단위 배관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may include a main pipe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uilding from a supply source storing firefighting water, and branch pipes branching from the main pipe to each floor. Here,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b-unit pipes.

한편, 종래의 소화배관은 소단위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관 중 어느 하나의 관의 단부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축관하고, 축관된 단부를 다른 관과 맞대어 연결하고, 서로 연결된 관 대 관의 연결부분을 용접하여 소단위 배관들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fire extinguishing pipe, in order to connect the subunit pipes, the diameter of the end of any one of the two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is reduced, and the shaft pipe is connected to the other pipe buttted, and the pip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common to connect small unit pipes by welding the connecting part of the pipe.

이러한 종래의 소화배관을 구성하는 과정은 배관 대 배관을 직접 용접하여 연결하여야 하므로 배관들을 연결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반복적인 용접에 의한 화재 위험이 있고, 소화설비의 시공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uch a conventional fire extinguishing pipe, since the pipe to pipe must be directly welded and connected,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ipes takes a lot of time, there is a risk of fire due to repeated welding, and the construction of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takes a lot of time. There was a problem with taking.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배관들의 연결 과정이 쉬워지고, 소방시설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so that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ipes constituting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s easy an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ire fighting facility can be short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short pipe with an expanded upper area;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hort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rrespond to the bran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shafting the expanded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t cover to an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and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welded single pi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을 확관 후 확관된 영역의 상단을 축관한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single pipe condensing the upper end of the expanded area after expanding the upper area;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hort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rrespond to the bran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ing cover to an end of an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and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welded single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의 둘레에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short pipe with an expanded upper area;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ingle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one end or both ends of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fight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shafting the expanded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t cover to an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and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welded single pipe.

본 발명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의하면,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배관들의 연결 과정이 쉬워지고, 소방시설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rocess of pipes constituting the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is facilitat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ire-fighting facilities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S1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의 S12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1의 S13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1의 S14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e는 도 1의 S15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S2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이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의 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스프링클러 헤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5a에 도시된 S110 및 도 5b에 도시된 S120 단계 각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5a에 도시된 S110 및 도 5b에 도시된 S120 단계 각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스프링클러 헤드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통해 설치한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에 도시된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통해 설치한 신축관을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 도시된 신축관을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들이다.
도 18a 내지 도 18f는 급수배관의 단부를 확관 및 축관하여 추가 급수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1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of FIG. 2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FIG. 3 .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tep S110 of FIG. 1 .
5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tep S120 of FIG. 1 .
FIG. 5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tep S130 of FIG. 1 .
5D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tep S140 of FIG. 1 .
FIG. 5E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tep S150 of FIG. 1 .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tep S210 of FIG. 6 .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shown in FIG. 2 .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adjustable nipple and sprinkler head ar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shown in FIG. 2 .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each of steps S110 shown in FIG. 5A and step S120 shown in FIG. 5B .
12A and 1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each of steps S110 shown in FIG. 5A and step S120 shown in FIG. 5B .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djustable nipple and the sprinkler head shown in FIG. 9 .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ottom-up sprinkler installed through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enlarged views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ottom-up sprinkler shown in FIG. 14 .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prinkler having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installed through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and 17B are enlarged views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prinkler having an expansion tube shown in FIG. 16 .
18A to 18F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equence of a method of connecting an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by expanding and shriveling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for connect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소화설비의 배관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the pipes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by us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shown in FIGS. 2 to 4 .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shown in FIGS. 2 to 4 will be first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FIG.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는 급수배관(110), 배관 사이 연결관(120) 및 배관 구속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2 to 4 ,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110 , a connection pipe between the pipes 120 , and a pipe restraint means 130 . have.

급수배관(110)은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관이다. The water supply pipe 110 is a pipe for supplying fire fighting water in one direction.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급수배관(110) 및 소화용수의 분기를 위한 추가 급수배관(140)을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로 기능한다. 이를 위해,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하단부가 급수배관(110)의 둘레 일측에 용접되어 구비된다.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functions as a joint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110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for branching the fire fighting water. To this e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is welded to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

일 예로,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제1 확관부(121), 제2 확관부(122), 제1 테이퍼부(123), 제2 테이퍼부(124), 축관부(125) 및 제3 테이퍼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includes a first expanded pipe part 121 , a second expanded pipe part 122 , a first tapered part 123 , a second tapered part 124 , a shaft pipe part 125 and a second pipe part 125 . 3 may include a tapered portion 126 .

제1 확관부(121)는 급수배관(110)의 둘레에 용접되는 하단부 위로 형성되고,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외경보다 큰 제1 직경으로 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xpanded pipe portion 121 may be formed above the lower end weld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and expanded to a first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제2 확관부(122)는 제1 확관부(121) 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xpanded tube portion 122 may be formed above the first expanded tube portion 121, and may be formed by expanding the tube to a second diameter greater than the first diameter.

축관부(125)는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상단부가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haft pipe part 125 may be formed by forming a shaft pipe with a diameter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120 between the pip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nserted into the pipe connection pipe 120 between the pipes.

제1 테이퍼부(123)는 제1 확관부(121) 및 제2 확관부(122) 사이에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 테이퍼부(123)는 제2 확관부(122)를 제1 확관부(121)와 이격되는 일정 높이에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apered part 123 is inclinedly extended between the first expanded pipe part 121 and the second expanded pipe part 122 . The first tapered portion 123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second expanded tube portion 122 at a predetermined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panded tube portion 121 .

제2 테이퍼부(124)는 제1 확관부(121)로부터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테이퍼부(124)는 축관부(12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tapered part 124 extends from the first expanded pipe part 121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4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shaft tube portion 125 .

제3 테이퍼부(126)는 제1 확관부(121)로부터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3 테이퍼부(126)는 제2 축관부(12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tapered portion 126 extends obliquely from the first expanded tube portion 121 towar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tube 120 between the pipes. The third tapered portion 126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second shaft tube portion 125 .

배관 구속 수단(130)은 제2 확관부(122) 및 제2 테이퍼부(124) 내에 수용되어 배관 사이 연결관(120)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싸서 구속한다.The pipe restraining means 13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expanded pipe part 122 and the second tapered part 124 and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to constrain it.

일 예로, 배관 구속 수단(130)은 환형의 씰링링(131), 환형의 슬리브(133) 및 스프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pe restraining means 130 may include an annular sealing ring 131 , an annular sleeve 133 , and a spring 132 .

씰링링(sealing-ring)(131)은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제2 확관부(122)의 내면 및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배관 사이 연결관(120) 및 추가 급수배관(140) 사이 간격을 실링(sealing)한다. 이러한 씰링링(131)은 제2 확관부(1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씰링링(131)은 플렉시블한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일 수 있고, 수축하여 배관 사이 연결관(120) 및 추가 급수배관(140) 사이 간격을 실링할 수 있다.A sealing-ring 131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pansion pipe 1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It may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interval of, and sealing the interval between the connecting pipe 120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between the pipes (sealing). This sealing ring 131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expansion tube 122 . The sealing ring 131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and may be contracted to seal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pipe 120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between the pipes.

환형의 슬리브(133)는 제2 테이퍼부(124) 내에 수용되어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일 예로, 환형의 슬리브(133)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고, 외면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서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환형의 슬리브(133)는 테이퍼진 외면이 제2 테이퍼부(124)에 밀착하고 내면이 추가 급수배관(140)에 밀착하도록 제2 테이퍼부(124)에 수용될 수 있다.The annular sleeve 133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4 and wrap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For example, the annular sleeve 133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outer surface may be tapered in a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a triangular shape. The annular sleeve 133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4 so that the tapered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4 and the inn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

스프링(132)은 씰링링(131) 및 슬리브(133)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스프링(132)은 환형의 슬리브(133) 및 씰링링(131)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형의 슬리브(133)는 스프링(132)에 의해 제2 테이퍼부(124)의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환형의 슬리브(133)가 제2 테이퍼부(124)의 내면 및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The spring 132 is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ring 131 and the sleeve 133 . At this time, the spring 132 may press the annular sleeve 133 and the sealing ring 131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annular sleeve 133 is pres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4 by the spring 132 so that the annular sleeve 133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4 and an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 140)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surface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는 배관 구속 수단(130)이 환형의 배관 구속 커버(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constraining means 130 may further include an annular pipe constraining cover 134 .

환형의 배관 구속 커버(134)는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에 결합된다.The annular pipe constraint cover 134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일 예로, 환형의 배관 구속 커버(134)는 내측링(1341), 추가 급수배관(140)의 두께만큼 상기 내측링(1341)과 이격되고 내측링(1341)보다 높게 연장되는 외측링(1342), 내측링(1341) 및 외측링(134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링연결부(1343)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nnular pipe restraint cover 134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ing 1341 by the thickness of the inner ring 1341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and the outer ring 1342 extending higher than the inner ring 1341 ) , it may include a ring connection portion 1343 for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inner ring 1341 and the outer ring 1342).

이러한 배관 구속 커버(134)는 추가 급수배관(140)이 상기 내측링(1341) 및 외측링(1342) 사이에 삽입되면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싼 상태로 추가 급수배관(140)과 함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추가 급수배관(140)은 배관 구속 커버(134)가 제1 확관부(121) 내에 수용되는 깊이, 즉 배관 구속 커버(134)의 외측링(1342)의 상단이 씰링링(131)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는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다.This pipe constraint cover 134 may wrap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whe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ring 1341 and the outer ring 1342,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n a state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 may be inserted to a depth accommodated in, that is, to a depth where the upper end of the outer ring 1342 of the pipe restraint cover 134 can b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ring 131 .

이하에서는 도 1,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nect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A to 5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a는 도 1의 S1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1의 S12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1의 S13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d는 도 1의 S14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e는 도 1의 S15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us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step S110 of FIG. ,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step S120 of FIG. 1 , FIG. 5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step S130 of FIG. 1 , and FIG. 5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step S140 of FIG. 1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step S150.

1)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S110);1) preparing a short pipe with an expanded upper region (S110);

이 단계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준비되되, 먼저 제1 확관부(121)를 형성한 후 제2 확관부(122)를 형성하여, 제2 확관부(122)까지 형성된 상태로 준비된다.In this step, as shown in FIG. 5A ,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s prepared. First, the first expanded pipe part 121 is formed, and then the second expanded pipe part 122 ) is formed, and the second pipe expansion part 122 is prepared in a formed state.

2)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S120);2)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hort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rrespond to the bran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fighting water in one direction (S120);

이 단계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구멍(111)에 대응되게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하단부가 급수배관(110)의 둘레에 용접된다.In this step, as shown in FIG. 5B ,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120 between the pipe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s weld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to correspond to the branch hole 111 . .

3)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S130);3)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the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S130);

이 단계에서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구속 수단(130)을 씰링링(131), 스프링(132) 및 슬리브(133)의 순서로 삽입한다.In this step, as shown in FIG. 5c , the pipe restraining means 130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s inserted in the order of the sealing ring 131 , the spring 132 , and the sleeve 133 .

4)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S140);4) shafting the expanded upper area of the welded single pipe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S140);

이 단계에서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확관부(122)까지 형성된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상단부를 상기 추가 급수배관(140)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축관하여 축관부(125)를 형성한다.In this step, as shown in FIG. 5D ,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formed up to the second expanding pipe part 122 is axially pip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 (125) is formed.

5)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S150);5) coupling the pipe restraint cover to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S150);

이 단계에서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가 상기 배관 구속 커버(134)의 내측링(1341) 및 외측링(1342) 사이로 삽입되게 배관 구속 커버(134)를 결합한다.In this step, as shown in FIG. 5E,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ring 1341 and the outer ring 1342 of the pipe containment cover 134. The pipe containment cover 134. combine

6)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S160);6)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welded single pipe (S160);

이 단계에서는, 상기 배관 구속 커버(134)가 결합된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를 삽입하되, 상기 배관 구속 커버(134)가 상기 제1 확관부(121) 내에 수용되는 깊이까지 삽입한다. 즉, 배관 구속 커버(134)의 외측링(1342)의 상단이 씰링링(131)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는 깊이까지 삽입한다.In this step,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to which the pipe constraint cover 134 is coupled is inserted, and the pipe constraint cover 134 is inserted to a depth accommodated in the first expansion pipe part 121 .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outer ring 1342 of the pipe restraint cover 134 is inserted to a depth that can b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ring 131 .

이와 같이 추가 급수배관(140)이 삽입되면 씰링링(131) 및 슬리브(133)에 의해 추가 급수배관(140)이 구속되고, 이와 함께 배관 구속 커버(134)의 외측링(1342)의 상단이 씰링링(131)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추가 급수배관(140)을 추가로 구속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s inserted in this way,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s constrained by the sealing ring 131 and the sleeve 133,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ring 1342 of the pipe restraint cover 134 is It is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ring 131 to further constrai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

여기서, 상기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은 소화설비의 소화배관의 주배관, 가지배관, 교차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단관의 길이는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확관부(121), 제2 확관부(122) 및 축관부(125)를 형성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이면 충분하다.Here, the water supply pipe 110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may be any one of a main pipe, a branch pipe, and a cross pip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d the length of the short pipe is the water supply pipe 110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t is sufficient if it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140 and sufficient to form the first expanded pipe portion 121 , the second expanded pipe portion 122 , and the shaft tube portion 125 .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S2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step S210 of FIG. 6 . Hereinafter,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1) 상부 영역을 확관 후 확관된 영역의 상단을 축관한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S210);1) After expanding the upper area, preparing a short tube with an upper end of the expanded area (S210);

이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준비되되, 먼저 제1 확관부(121) 및 제2 확관부(122)를 형성한 후, 상단부를 배관 사이 연결관(120)으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140)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축관하여 축관부(125)를 형성한 상태로 준비한다.In this step, as shown in FIG. 7 ,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s prepared, and first the first expanded pipe part 121 and the second expanded pipe part 122 are formed. After that, the upper end is axially pip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and the shaft pipe part 125 is prepared in a state in which it is formed.

2)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S220);2)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hort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rrespond to the bran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one direction (S220);

이 단계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2)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is step is the same as step 2)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3)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S230);3)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the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S230);

이 단계에서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구속 수단(130)을 씰링링(131), 스프링(132) 및 슬리브(133)의 순서로 삽입하며,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축관부(125)까지 형성된 상태로 용접되어 있으므로 씰링링(131), 스프링(132) 및 슬리브(133)를 압축시키면서 삽입한다.In this step, the pipe restraining means 130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s inserted in the order of the sealing ring 131, the spring 132, and the sleeve 133, and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is the shaft pipe. Since the portion 125 is welded in a formed state, the sealing ring 131 , the spring 132 , and the sleeve 133 are inserted while being compressed.

4)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S240);4) coupling the pipe restraint cover to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S240);

5)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S250)5)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welded single pipe (S250)

상기 4), 5)의 단계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5), 6)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teps 4) and 5) are the same as steps 5) and 6)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서 설명된 급수배관(110)은 소화설비의 소화배관의 주배관, 가지배관, 교차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추가 급수배관(140)은 주배관, 가지배관, 교차배관, 신축배관,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급수배관(1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배관일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이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water supply pipe 110 described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may be any one of a main pipe, a branch pipe, and a cross pipe of the fire fighting pipe of the fire fighting facility,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s the main pipe , branch piping, cross pip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ing, may be any one of the piping connected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at the e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may be a pipe to which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is connected at the en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shown in FIG.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상기 니플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의 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스프링클러 헤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connects a length-adjustable nipple to the lower part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and a sprinkler head coupled to the nipple. may include mo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adjustable nipple and sprinkler head ar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shown in FIG.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2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면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배관들의 연결 과정이 쉬워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e-extinguishing facility using th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to 4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pipes can be made easy.

즉, 배관들끼리 직접 용접할 필요 없이 배관 사이 연결관(120)을 미리 용접하여 구비한 후 배관 사이 연결관(120)에 배관을 삽입하면 배관 대 배관이 연결되므로 배관들의 연결이 쉬워질 수 있다.That is, if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is pre-welded and provided without the need to directly weld the pipes to each other, and t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the pipe to pipe is connected, so the connection of the pipes can be made easier. .

또한, 배관 대 배관을 직접 용접하지 않고도 배관들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배관들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소화설비의 시공 기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ipes without directly welding the pipe to the pipe,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nection of the pipes is shortened,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s shorten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급수배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용접되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being welded to one end 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

이러한 경우,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할 때 급수배관(110)의 단부에 구비되는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추가 급수배관(140)을 삽입하면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의 연결이 완료되므로 배관들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과정 역시 용이하고 신속해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water supply pipe 110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he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120 between the pipe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Since the conn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140 is completed,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ipes in parallel may also be easy and quick.

급수배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구비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배관 사이 연결관(120)을 급수배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용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us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a fire fighting facility in which a connection pipe 120 between pipes is provided at one end 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is a connection pipe between pipes 120 ), except for welding to one end 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10,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us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y are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의 둘레에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short pipe with an expanded upper area. step;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ingle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one end or both ends of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fight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shafting the expanded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t cover to an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and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welded single pip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3)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Preparing a short pipe with an expanded upper area;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hort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rrespond to a bran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shafting the expanded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t cover to an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inside of the welded single pip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상부 영역을 확관 후 확관된 영역의 상단을 축관한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After expanding the upper area, preparing a single tube condensing the upper end of the expanded area;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hort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rrespond to a bran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ing cover to an end of an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inside of the welded single pip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의 둘레에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Preparing a short pipe with an expanded upper area;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prepared single pipe to the circumference of one end or both ends of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fighting water in one direction;
inserting a pipe restraining member into an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shafting the expanded upper region of the welded single pipe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welded single pipe;
coupling a pipe restraint cover to an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inserting the end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pipe into the inside of the welded single pipe,
Fire-extinguishing pipe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KR1020200096566A 2020-08-03 2020-08-03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KR102651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66A KR102651618B1 (en) 2020-08-03 2020-08-03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66A KR102651618B1 (en) 2020-08-03 2020-08-03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43A true KR20220016543A (en) 2022-02-10
KR102651618B1 KR102651618B1 (en) 2024-03-26

Family

ID=8025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566A KR102651618B1 (en) 2020-08-03 2020-08-03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61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425A (en) * 2009-06-15 2010-12-23 이윤철 Coupling apparatus for divergence of pipe and method for coupling pipe of divergence using the coupling apparatus
KR20130033632A (en) * 2011-09-27 2013-04-04 박강훈 Pipe connector having sleeve tube with sub sleeve
KR102047205B1 (en) * 2019-02-26 2019-12-02 신상현 Method of manufacturing fire pipe and fire pi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425A (en) * 2009-06-15 2010-12-23 이윤철 Coupling apparatus for divergence of pipe and method for coupling pipe of divergence using the coupling apparatus
KR20130033632A (en) * 2011-09-27 2013-04-04 박강훈 Pipe connector having sleeve tube with sub sleeve
KR102047205B1 (en) * 2019-02-26 2019-12-02 신상현 Method of manufacturing fire pipe and fire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618B1 (en)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6543A (en) 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KR101865460B1 (en) Flexible Joint Pipe Improved Sealing Quality of Packing
KR20220016542A (en) Fire pipe connection processing device for fire exringuishing equipment
KR102117915B1 (en) Multi-pipe structure for easy connection with flecxible branch joint pipe
KR10142343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sion joint
WO2020053696A1 (en) Corrugated piping assembly and sleeve for same
KR20170002084U (en) Pipe Joint
KR102310528B1 (en) Connecting fitting formed by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KR101114864B1 (en) Connecting adaptor for fire-fight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33915B1 (en) Flexible pipe for firefighting
EP3078892A1 (en) Garden water supplying hoses
US20040206411A1 (en) Water supply pipe liner
JP2008202613A (en) Water shut-off member and pipeline regen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290701B1 (en) Pipe joint member and pip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794867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 Double Wall Pipe
JP4137899B2 (en) Repair method for branching pipes
JP3569238B2 (en) Fire hose fittings
JP7477382B2 (en) Double Pipe Joint
JP2007130195A (en) Piping method for water system fire extinguishing piping
KR101198331B1 (en) No-weld type coupling apparatus for flexible tube
KR102178715B1 (en) Joining structure of flecxible pipe for firefighting
KR20110043852A (en) A flexible tube connector for pipe head
KR20240068413A (en) Fire-fighting pipe connecting structure
JPH08280837A (en) Sprinkler unwinding piping
JP2003214579A (en) Flexible tube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