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506A - 에어돔 냉각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돔 냉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506A
KR20220016506A KR1020220006369A KR20220006369A KR20220016506A KR 20220016506 A KR20220016506 A KR 20220016506A KR 1020220006369 A KR1020220006369 A KR 1020220006369A KR 20220006369 A KR20220006369 A KR 20220006369A KR 20220016506 A KR20220016506 A KR 2022001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me
air dome
cooling struc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창식
Original Assignee
염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창식 filed Critical 염창식
Priority to KR102022000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506A/ko
Publication of KR2022001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15/2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supported by air pressure inside the 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6Details of inflation devices, e.g. valves, connections to fluid pressur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돔 냉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돔 내의 온도가 태양열의 방사나 외기 기온의 상승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 데 사람이 활동하기에 쾌적한 온도의 환경으로 조성해 주거나 식물 생육에 알맞은 온도로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에어돔의 천막에 복수의 공기 배출 구멍을 타공하여 에어돔의 상부에 모이는 따뜻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에어돔의 내기 온도를 냉각시키는 에어돔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막(103)과 공기막(103)을 중첩하여 접합하고 상기 공기막(103)과 상기 공기막(103)이 중첩되어 접합된 접합부에 이음매(105)로 접합 이음하고 공기 송풍기에 의해 공기압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펼쳐지는 에어돔(100)과, 상기 어에돔(100) 안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출입구(101)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돔(100)의 공기막(103)에는 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돔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for Air Dome}
본 발명은 에어돔 냉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돔 내의 온도가 태양열의 방사나 외기 기온의 상승 또는 에어돔 내부에서 운동과 같은 사람의 활동,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사람이 활동하기에 쾌적한 온도의 환경으로 조성해 주거나 식물 생육에 알맞은 온도로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에어돔의 천막에 복수의 공기 배출 구멍을 타공하여 에어돔의 상부에 모이는 따뜻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에어돔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에어돔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에어돔은 공기막(천막)이 일정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주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에어돔의 공기막 내부로 송풍기로 공기를 송풍하여 에어돔 내부의 공기 압력에 의해 공기막을 부양시키게 함으로써 일정 형태의 지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시설물이다. 에어돔은 일반적으로, 터널형이든가 반구형의 지붕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에어돔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에어돔은 농작물 재배 하우스, 전시장, 학교 운동장, 체육 시설, 창고, 행사장 등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간단한 유지 보수와 해체가 용이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미세 먼지의 영향으로 학교 운동장, 체육 연습장 시설 등 다중이 모이는 장소에 많이 설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돔의 내부의 온도는 외기의 온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겨울철이나 야간에는 에어돔 내의 온도가 일반 주택이나 실내 운동장, 체육관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 비하여 비교적 더 많이 떨어지고 여름철이나 주간에는 태양열이나 사람, 식물이 내뿜는 공기에 의해 에어돔 내부의 온도가 급상승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에어돔(10)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널 형태의 지붕을 가진 에어돔(10)을 도시한 것이다. 지붕 형태는 터널 형태 이외에 돔(dome) 형태 등 여러 가지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돔(10)은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고 유지되는 공기막(천막)(11)과, 기계실(12) 내에 있는 송풍기(도시 안함)와, 외측문(14)과 내측문(15)을 가지는 출입구(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풍기는 상기 공기막(11)이 팽창되어 지붕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의 공기를 에어돔(10) 내부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막(11)이 완전히 팽창되고 지붕 형태가 유지하게 되면 송풍기의 가동이 중지된다. 내측 출입문(14)과 외측 출입문(15)을 통하여 사람이 출입하다 보면 에어돔(10) 내의 공기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에어 댐퍼의 제어에 의해 송풍기가 가동되어 에어돔(10)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여 지붕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에어돔(10)의 공기막(11)은 직사광선을 받게 되어 에어돔(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에어돔(10) 내부에서 식재된 식물이나 사람들의 호흡 공기, 체온 등에 의해 에어돔(10) 내의 온도가 더욱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에어돔이 식물 재배 하우스로 이용될 경우, 일반적으로 식물은 섭씨 27도 전후가 생육의 최적 온도이나 주간에는 섭씨 27도보다 높은 온도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에어돔이 행사장, 전시장, 학교의 운동장, 체육 훈련장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로 사용될 경우에도 사람의 활동의 최적 온도 이상으로 에어돔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공조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돔 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습도도 낮아져 활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에어돔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인간이나 식물이 쾌적하게 활동하게 하고 싱싱하게 재배되도록 하는 에어돔 냉각 구조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돔의 상부에 모이는 더운 공기를 에어돔의 공기막(천막)에 형성된 작은 구멍을 통하여 방출하여 에어돔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한 에어돔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송풍기 등과 같은 복잡한 기계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경제적인 에어돔 내부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자연적으로 에어돔 내부를 환기할 수 있는 에어돔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겨울철에 에어돔의 냉방장치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여 본 발명의 에어돔 냉각 구조인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구멍 주변에 눈이 붙는 것을 방지하며 구멍 주변의 눈이 녹아 공중으로 날아가게 함으로써 겨울철에 눈이 쌓여 에어돔이 무너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에어돔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막과 공기막을 중첩하여 접합하고 상기 공기막과 상기 공기막이 중첩되어 접합된 접합부에 이음매로 접합 이음하고 공기 송풍기에 의해 공기압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펼쳐지는 에어돔과, 상기 에어돔 안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출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돔의 공기막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막의 구멍은 에어돔의 천정부에는 작은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에는 큰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출입구는 차단문과 회전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공기막의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이 에어돔의 길이방향으로 한 번 이상 중첩되어 반복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공기막의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이 에어돔의 공기막의 전체에 일정 또는 랜덤하게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에어돔 내부의 따뜻해진 공기를 에어돔 공기막에 구성된 구멍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에어돔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므로 에어돔 내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돔 내부로부터 공기가 분출되어 공기 중에 내포되어 있던 먼지 등을 밖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에어돔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에어돔의 상부의 뜨거워진 공기를 에어돔의 공기막을 통하여 에어돔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에어돔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여 흐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겨울철에 에어돔의 내부를 냉방하는 뜨거운 공기가 구멍을 통하여 방출되고 구멍 주변에 눈이 달라 붙지 않게 되고 눈을 녹여주므로 에어돔을 무너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널형 지붕을 가지는 에어돔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를 구비하는 에어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에어돔 내부에 농구 코트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의 뜨거워진 공기를 배출하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돔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원안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종래의 천막의 이음매 방식이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의 천막 이음매 방식을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의 출입구의 차단문과 회전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의 공기를 배출하는 구멍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같은 부품이나 장치에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를 구비하는 에어돔(100)과 그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를 구비하는 에어돔(10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돔(100)은 터널형의 공기막(103)에 의해 외형을 이루고 있는데, 상기 공기막(103)은 도시되지 않은 송풍기의 송풍에 의해 터널형의 에어돔(100)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돔(100)은 복수 개의 출입구(101)를 가지게 된다. 상기 출입구(101)로 사람이 출입하게 되면 공기막(103) 내에 있는 공기가 상기 출입구(101)로 빠져 나가게 되고 상기 공기막(103)이 부압(-공기압)을 받게 되어 점차 그 외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때, 공기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에어 댐퍼의 자동 제어에 의해 송풍기가 가동되어 에어돔(100)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여 공기막(103)이 지붕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를 구비하는 에어돔(10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농구 코트(102)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농구 코트(102)를 예시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배구장, 야구장, 크리켓 코트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 냉각 구조의 뜨거워진 공기를 배출하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돔(100)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원안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에어돔(100)의 공기막(103)에는 복수 개의 작은 공기 구멍(104)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구멍(104)은 상기 공기막(103)의 전체에 일정 간격을 유지 또는 램덤하게 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에어돔(100)의 천정부에만 천공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공기가 뜨거워지면 에어돔(100)의 상부로 모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공기막(103)의 구멍(104)의 크기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가 송풍하는 공기량이 상기 공기막(103)이 무너지지 않고 유지 될 수 있는 정도로 그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멍(104)에서는 따뜻한 공기가 불출되므로 비가 오더라도 빗방울이 튀겨 나가 비가 구멍(104)을 통하여 에어돔(100)의 내부로는 들어오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겨울철에 에어돔(100)의 내부를 냉방하기 위하여 뜨거운 열풍을 열풍기로 불어 넣으면, 본 발명의 에어돔 냉각 구조인 구멍(104)을 통하여 뜨거운 공기가 방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멍(104)의 주변에는 눈이 달라 붙지 않게 되고 상기 구멍(104) 주변의 눈이 녹아 공중으로 수증기 형태로 방출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에어돔(100)이 무너지지 않고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를 보면, A는 종래의 천막의 이음매 방식이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돔(100) 냉각 구조의 천막 이음매 방식을 대조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보면, 공기막(103)과 공기막(103)을 겹쳐 이음하고, 도 5의 B를 보면, 공기막(103)과 공기막(103)을 겹쳐 이음하고 그 위에 이음매(105)를 겹쳐 이음하고 있다. A의 경우, 공기막(103, 103)이 과도하게 당겨지면 이음이 풀어지게 되는 경우도 있다. 도 5의 B와 같이, 공기막(103)과 공기막(103)을 겹쳐 이음하고 그 위에 이음매(105)를 겹쳐 이음하면 더 큰 힘에도 견디게 된다. 상기 이음매(105)는 에어돔(100)의 길이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에어돔(100)의 공기막(103)을 지지해 주는 역할도 하므로 에어돔(100)을 더욱 더 보강해 주는 역할도 한다.
도 6을 보면, 에어돔의 출입구(101)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출입구(101)에는 차단문(106)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막(103) 내에 들어 있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차단문(106)의 내측에는 회전문(107)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막(103) 내에 들어 있는 공기가 잘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도 7을 보면, 도 4의 다른 실시예 중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공기막(103)에는 큰 구멍(108)과, 상기 큰 구멍(108)보다 작게 형성된 작은 구멍(1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큰 구멍(108)과 작은 구멍(109)은 1열 내지 복수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이음매(105) 부근에는 작은 구멍(109)을 1열 이상 배열하고 그 작은 구멍(109) 옆에는 1열 내지 복수 열의 큰 구멍(108)을 배치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음매(105) 부근에는 이음매 부근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공기가 덜 빠져 나가게 되므로 큰 구멍(108)을 설치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공기막(103)의 천정부에는 작은 구멍(109)을 복수 열 배치하고 양옆에는 큰 구멍(018)을 복수 열 배치하거나 이와 반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는 큰 구멍(108)과 작은 구멍(109)을 적절히 배치하여 원하는 형태로 에어돔(100)의 돔 형태를 유지케 하기 위함이다.
상기 큰 구멍(108)과 작은 구멍(109)을 번갈아 가며 형성할 수도 있고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도 있다.
100 : 에어돔 101 : 출입구
102 : 농구 코트 103 : 공기막
104 : 구멍 105 : 이음매
106 : 차단문 107 : 회전문
108 : 큰 구멍 109 : 작은 구멍

Claims (4)

  1. 공기막(103)과 공기막(103)을 중첩하여 접합하고 상기 공기막(103)과 상기 공기막(103)이 중첩되어 접합된 접합부에 이음매(105)로 접합 이음하고 공기 송풍기에 의해 공기압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펼쳐지는 에어돔(100)과,
    상기 에어돔(100) 안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출입구(101)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돔(100)의 공기막(103)에는 구멍(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막(103)의 구멍(104)은 에어돔(100)의 천정부에는 작은 구멍(109)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에는 큰 구멍(108)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돔 냉각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01)는 차단문(106)과 회전문(107)을 구비한 에어돔 냉각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막(103)의 큰 구멍(108)과 작은 구멍(109)이 에어돔(100)의 길이방향으로 한 번 이상 중첩되어 반복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에어돔 냉각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막(103)의 큰 구멍(108)과 작은 구멍(109)이 에어돔(100)의 공기막(103)의 전체에 일정 또는 랜덤하게 천공되어 있는 에어돔 냉각 구조.
KR1020220006369A 2020-05-06 2022-01-17 에어돔 냉각 구조 KR20220016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369A KR20220016506A (ko) 2020-05-06 2022-01-17 에어돔 냉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14A KR20210135684A (ko) 2020-05-06 2020-05-06 에어돔 냉각 구조
KR1020220006369A KR20220016506A (ko) 2020-05-06 2022-01-17 에어돔 냉각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14A Division KR20210135684A (ko) 2020-05-06 2020-05-06 에어돔 냉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06A true KR20220016506A (ko) 2022-02-09

Family

ID=787169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14A KR20210135684A (ko) 2020-05-06 2020-05-06 에어돔 냉각 구조
KR1020220006369A KR20220016506A (ko) 2020-05-06 2022-01-17 에어돔 냉각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14A KR20210135684A (ko) 2020-05-06 2020-05-06 에어돔 냉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356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852B1 (ko) 2022-05-06 2023-05-04 (주)세연사건설 이중막 에어돔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852B1 (ko) 2022-05-06 2023-05-04 (주)세연사건설 이중막 에어돔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84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0090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412668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00175330A1 (en) Inflatable multi-tube structure
US20140305036A1 (en) Functional polytunnels, in particular self-erecting structures and programming methods therefor
KR20220016506A (ko) 에어돔 냉각 구조
JP2007319138A (ja) 建築資材、建造物および建造物の室内環境調節方法
ES2312631T3 (es) Dispositivo protector contra los agentes meteorologicos, para la proteccion de cultivos especiales de plantas, sensibles a la humedad.
US20040006926A1 (en) Climate controlled practice facility and method utilizing the same
KR20140040656A (ko)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CN205794274U (zh) 一种多层通风降温大棚
JP6865383B2 (ja) 農業用ハウスにおける環境制御方法、農業用ハウスにおける環境制御装置
CN205857893U (zh) 建筑
JP3200790B2 (ja) 天然芝グランドを有する開閉屋根付多目的スタジアム
JP2004008049A (ja) 植物栽培用施設及び植物栽培方法
JP4032139B2 (ja) 融雪ダクトおよび融雪システム
JPH1175573A (ja) 農業用ハウス
CN219305541U (zh) 一种透气式暖房
JP5194093B2 (ja) 換気手段を備えたエアドーム
Toledo et al. Methods to Relieve Heat Stress for Florida Dairies: CIR782/AE022, rev. 2/2019
Thipe et al. A comparison of two greenhouse structures under sub-humid conditions in terms of changes i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US716344A (en) Refrigerator-building.
MX2007008107A (es) Invernadero y sistema y metodo de control de clima de invernadero forzado.
JP6482772B2 (ja) 競技場
CA2649897A1 (en) Inflatable multi-tube structure
JPH07104015B2 (ja) 閉鎖系空間用植物棟における空調方法並びに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