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773A -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773A
KR20220015773A KR1020200096256A KR20200096256A KR20220015773A KR 20220015773 A KR20220015773 A KR 20220015773A KR 1020200096256 A KR1020200096256 A KR 1020200096256A KR 20200096256 A KR20200096256 A KR 20200096256A KR 20220015773 A KR20220015773 A KR 20220015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stone
riprap
chute
frame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157B1 (ko
Inventor
이상태
조철수
Original Assignee
(주)부마씨이
조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마씨이, 조철수 filed Critical (주)부마씨이
Priority to KR102020009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02D3/068Vibrating apparatus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사 없이 수중에 사석을 투하하고 동시에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는 이동수단과, 사석틀수단 및 슈트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면이 평평하고 측면에 경사면을 가진 수중의 기초사석의 상기 상면에서 전후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사석틀수단은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상기 경사면에 배출되게 지지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석틀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를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상기 슈트수단은 상기 수중으로 공급되는 상기 사석이 상기 유입구로 안내될 수 있게 상기 이동수단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지선에서 사석을 투하하면 기초사석의 경사면에 사석이 투하되는 동시에 사석을 일정한 높이로 고르게 포설하고 누름판에 의해 사석이 가압되어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석의 투하와 함께 평탄 작업이 동시에 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Seabed rock berm leveling device}
본 발명은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사 없이 수중에 사석을 투하하고 동시에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수중 공사 중 안벽, 방파제, 침매터널, 발전소 취수로 등 공사에서 케이슨, 취배수로 함체, 침매 함체, 블럭 등의 구조물을 수중에 설치하기 위해서 그 기초인 사석을 투하하고 고르기(평탄 작업)를 하여야 한다.
수중에 사석을 평탄하게 고르기 위하여 종래에는 바지선에서 수중으로 직접 투하하여 투하된 높이가 적당한지 수심을 측정하며 부족한 부분에 추가 투하하는 방법으로 1차 투하하고, 2차 본 고르기는 잠수사가 들어가 기준틀을 설치하고 높낮이를 측정하여 더하거나 빼내는 방법으로 고르기 작업을 하였다.
등록실용 제20-0327417호(등록일자 2003년 09월 09일) 등록번호 제10-0651697호(등록일자 2006년 11월 23일) 등록실용신안 제20-0266873호(등록일자 2002년 02월 22일) 공개특허 제10-2017-0020829호(공개일자 2017년 02월 24일)
종래의 경우 수중에 사석 투하 고르기 작업은 수면 상에서 굴삭기 등 장비의 바켓으로 수중으로 사석을 투하하고 잠수부가 사석이 투하된 수중으로 들어가 사석을 평탄 작업하는 방법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잠수사의 작업 시간이 짧아 많은 수의 잠수사를 동원하여 교대로 작업을 하였다.
또한 조류나 수중 시야 확보 등 수중 작업 조건이 많고, 잠수사의 작업 시간 제한으로 수중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좀 더 진일보한 방법은 잠수사에 의한 수중 작업이 어려워 수중 굴삭기나 수중 불도저로 평탄하게 고르기 하는 수중 장비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에 의한 평탄작업(고르기)도 시야 확보가 되는 아주 깨끗한 수중에서 가능하고, 무엇보다 1차로 사석을 투하 한 다음 2차로 높이를 맞추는 평탄작업(고르기)에 수중 굴삭기 등 수중 장비를 사용해도 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석을 투하하는 동시에 평탄하게 고르기 작업을 할 수 있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잠수사를 투입하지 않고서 수중의 바닥을 평탄하게 고르기할 수 있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는 이동수단과, 사석틀수단 및 슈트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면이 평평하고 측면에 경사면을 가진 수중의 기초사석의 상기 상면에서 전후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사석틀수단은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상기 경사면에 배출되게 지지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석틀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를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상기 슈트수단은 상기 수중으로 공급되는 상기 사석이 상기 유입구로 안내될 수 있게 상기 이동수단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는 도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관수단은 복수의 바스켓과, 유연한 연결스트링과, 윈치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차례대로 삽입하여 일렬로 포갤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다. 상기 연결스트링은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상단의 바스켓은 지상에서 투입되는 사석을 입력받을 수 있고 하단의 바스켓은 입력된 상기 사석을 상기 슈트수단으로 안내할 수 있게 상기 복수의 바스켓이 일렬로 펼쳐지도록 상기 각각의 바스켓을 연결시킨다. 상기 윈치는 펼쳐진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포갤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도관수단은 지상에서 투입되는 상기 사석을 상기 슈트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트링은 수직방향으로 이웃한 바스켓을 연결하는 각각의 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단은 이웃한 단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어긋나게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수단은 슈트와,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슈트는 상기 사석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유입구로 투입되도록 경사져서 하부가 상기 유입구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관수단에서 상기 사석이 상기 슈트의 상부로 투하되도록 상기 하단의 바스켓을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슈트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석틀수단은 상기 사석틀이 전진하면 상기 사석틀과 함께 전진하면서 상기 사석틀에서 투하된 사석이 상기 기초사석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상기 투하된 사석의 상부면을 다지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경사면에 상기 사석을 배출시킬 수 있게 경사져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면이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지선에서 사석을 투하하면 기초사석의 경사면에 사석이 투하되는 동시에 사석을 일정한 높이로 고르게 포설하고 누름판에 의해 사석이 가압되어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석의 투하와 함께 평탄 작업이 동시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잠수사에 의한 수중 작업은 조류의 흐름이나 물의 탁도에 따라 수중 시야를 확보하여야하는 수중 작업 조건 등으로 많은 제약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작업 조건에 제한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많은 수의 잠수부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깊은 수심에서는 종래의 작업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고 작업 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석 고르기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이동수단과 사석틀수단의 부분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바스켓과 연결스프링의 개념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수중 사석 고르기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석 고르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석 고르기 장치는 이동수단(10)과, 사석틀수단(20)과, 슈트수단(30) 및 도관수단(40)을 포함한다.
이동수단(10)은 수중에 있는 기초사석(1)의 상면(1a)에서 전후진하여 이동할 수 있다. 기초사석(1)은 기본적으로 잠수사가 수중에 잠수하여 형성하며, 이동수단(10)이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기초사석(1)의 범위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적은 수의 잠수사가 짧은 시간 내에 작업이 가능하다. 기초사석(1)은 상면(1a)이 평평하고, 측면(1b)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사석틀수단(20)은 수중에 있는 기초사석(1)의 경사진 측면(1b)에 사석(3)을 투하하고 투하된 사석(3)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하여 기초사석(1)의 범위를 넓히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사석틀수단(20)은 사석틀(21)과, 누름판(25)을 구비하여 이동수단(10)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사석틀(21)은 사석(3)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24a)와, 유입구(24a)로 유입된 사석(3)을 경사진 경사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22b)가 형성된다. 이때 사석틀(21)은 배출구(22b)를 통하여 경사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사석(3)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석틀(21)은 하부프레임(22)과 상부프레임(24)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하부프레임(22)은 사석(3)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구(22a)와, 배출구(22b)를 구비한다. 개방구(22a)는 상부프레임(24)으로 부터 사석(3)을 입력 받을 수 있게 상부에 형성되며, 배출구(22b)는 경사진 측면(1b)으로 배출될 수 있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때 배출구(22b)는 경사진 측면(1b)의 경사각 보다 기울기가 가파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하부프레임(22)의 배출구(22b)를 기초사석(1)의 측면(1b)에 위치시키면 개방구(22a)로 유입된 사석(3)은 하부프레임(22)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배출구(22b)를 통하여 측면(1b)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임(22)은 전진해야 하므로 수중의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프레임(24)은 유입구(24a)와, 유출구(24b)가 형성된다. 유입구(24a)는 슈트수단(30)에서 낙하하는 사석(3)이 공급될 수 있게 상부에 형성되며, 유출구(24b)는 유입구(24a)로 공급된 사석(3)이 하부프레임(22)의 개방구(22a)로 공급될 수 있게 개방구(22a)에 삽입되도록 하부에 형성된다. 사석틀(21)은 슈트수단(30)에서 공급된 사석(3)을 가두고 사석틀(21)이 X방향으로 전진할 때, 사석틀(21)에 가두어진 사석(3)은 하부 프레임 배출구(22b)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24) 유출구(24b)는 하부 프레임 배출구(22b)로 배출되는 사석(3)의 상단을 일정한 높이로 형성하게 한다, 즉 상부 프레임(24) 유출구(24b)는 기초사석(1)의 상면(1a)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고, 유출구(24b)에 의해 배출되는 사석(3)의 높이를 결정한다. 기초사석(1)의 상면(1a)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사석(3)의 상면을 하부 프레임(22)에 결합된 경사진 누름판(25)이 사석(3)을 누르면서 기초사석(1)의 상면(1a)높이에 맞추게 된다.
누름판(25)은 사석틀(21)이 전진하면 사석틀(21)과 함께 전진하면서 사석틀(21)에서 투하된 사석(3)의 상부면을 눌러서 평평하게 한다. 이를 위해 누름판(25)은 하부프레임(22)에 결합된다. 사석틀(21)의 하부프레임(22)이 전진하면 하부프레임(22)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있던 사석(3)은 배출구(22b)를 통하여 기초사석(1)의 경사진 측면(1b)으로 배출된다. 누름판(25)은 경사진 측면(1b)에 배출된 사석(3)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사석(3)을 평평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누름판(25)은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가압면(26)이 형성된다. 가압면(26)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므로 누름판(25)이 사석틀(21)을 따라 함께 진행하면 사석틀(21)에서 투하된 사석(3)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된다.
사석틀수단(20)은 이동수단(10)에 유압실린더 등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므로 이동수단(10)을 이동시킨 후 사석틀수단(20)을 회동시켜서 배출구(22b)를 기초사석(1)의 경사진 측면(1b)에 위치시킬 수 있다.
슈트수단(30)은 도관수단(40)에서 공급되는 사석(3)이 사석틀(21)의 유입구(24a)로 안내될 수 있게 이동수단(10)에 장착된다. 그래서 슈트수단(30)은 이동수단(10)과 함께 이동된다. 이를 위해서 슈트수단(30)은 슈트(31) 및 고정부재(35)를 구비한다. 슈트(31)는 도관수단(40)에서 떨어지는 사석(3)을 사석틀(21)로 떨어지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슈트(31)는 상부슈트부(32)와 하부슈트부(33)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슈트부(32) 및 하부슈트부(33)는 사석(3)이 도관수단(40)에서 사석(3)이 공급될 때 사석(3)이 사석틀(21)에 고르게 분포되어 떨어질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35)는 도관수단(40)에서 사석(3)이 슈트(31)의 상부로 투하되도록 도관수단(40)의 하단의 바스켓(4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고정부재(35)는 하단의 바스켓(4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슈트부(32)에 장착된다.
도관수단(40)은 바지선(7)에서 사석(3)을 슈트(31)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관수단(40)은 복수의 바스켓(41)과, 연결스트링(43)과, 윈치(45)를 구비한다. 복수의 바스켓(41)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차례대로 삽입하여 일렬로 포갤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된다. 바스켓(41)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바스켓(41)을 일렬로 배치시키면 상단의 바스켓(41a)에서 하단의 바스켓(41b)까지 관통된다. 그래서 사석(3)을 상단의 바스켓(41a)에 떨어뜨리면 하단의 바스켓(41b)을 통과하여 떨어진다. 또한 바스켓(41)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므로 바스켓(41a)을 포갤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석(3)을 상단의 바스켓(41a)에 떨어뜨리면 하단의 바스켓(41b)을 통과하여 떨어진다.
연결스트링(43)은 유연하게 형성되어 바스켓(41)이 바지선(7)에서 슈트수단(30)까지 일렬로 펼쳐질 수 있게 바스켓(41)을 연결시킨다. 즉 연결스트링(43)은 높이 방향을 따라 이웃한 바스켓(41)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때 연결스트링(43)은 이웃한 바스켓(41)을 연결하는 각각의 단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스켓(41)은 펼쳐지거나 포개어 질 수 있다. 연결스트링(43)이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바스켓(41)에 연결되면 바스켓(41)이 포개어졌을 때 연결스트링(43)이 서로 중첩된다. 이 경우 연결스트링(43) 때문에 바스켓(41)이 제대로 포개어질 수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스트링(43)은 수직으로 이웃한 바스켓(41)을 연결한 후 이웃한 다음 바스켓(41)을 연결할 때에는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어긋나게 하여 연결시킨다. 그래서 연결스트링(43)의 이웃한 각 단은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어긋난다. 즉 연속적으로 이웃한 바스켓(41_n1, 41_n2, 41_n3)를 연결할 때 첫번째 이웃한 바스켓(41_n1, 41_n2)를 연결한 연결스트링(43)과, 두번째 이웃한 바스켓(41_n2, 41_n3)를 연결한 연결스트링(43)은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어긋나 있다. 이 경우 바스켓(41)을 포개면 상하로 위치한 연결스트링(43)이 서로 엉퀴어지지 아니한다.
윈치(45)는 펼쳐진 복수의 바스켓(41)을 포갤수 있게 바스켓(4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윈치(45)는 하단에 위치한 바스켓(41b)에 연결되도록 바지선(7)에 장착된다. 윈치(45)를 감으면 하단에 위치한 바스켓(41)이 상승하면서 일렬로 배열된 바스켓(41)을 차례대로 포개어진다.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기초사석(1)이 형성된 수중에 사석(3)을 투하하여 사석고르기 작업을 할 수 있다. 기초사석(1)은 기본적으로 잠수사가 수중에 잠수하여 형성하지만, 이동수단(10)이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만 형성되므로 그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적은 수의 잠수사가 짧은 시간 내에 작업이 가능하다. 이때 기초사석(1)은 상면(1a)이 평평하고 측면(1b)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기초사석(1)이 있으면 이동수단(10)을 기초사석(1)의 상면(1a)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동수단(10)을 기초사석(1)의 측면(1b)으로 이동시킨 후 사석틀수단(20)을 회동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2)의 배출구(22b)를 기초사석(1)의 측면(1b)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바지선(7)에서 도관수단(40)을 일렬로 떨어뜨린다. 복수의 바스켓(41)이 연결스트링(43)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윈치(45)를 작동시키면 바스켓(41)이 일렬로 떨어뜨려진다. 이때 하단의 바스켓(41b)이 슈트수단(30)의 고정부재(35)에 고정되도록 한다. 바스켓(41)은 바지선(7)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파도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그래서 바스켓(41)이 사석(3)을 슈트(31)로 안내하기 위하여 고정부재(35)에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복수의 바스켓(41)이 연결스트링(43)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관수단(4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윈치(45)를 사용하여 수심에 맞추어서 도관수단(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바스켓(41)이 슈트(31)에 고정되면 바지선(7)에서 사석(3)을 도관수단(40)의 상단의 바스켓(41a)에 투하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석(3)은 사석틀(21)에 공급된다. 사석틀(21)에서 사석(3)은 사석틀(21)의 하부프레임(22)에 지지되어 기초사면(1)의 측면(1b)에 배치된다. 그리고 바지선(7)에서 사석(3)을 투하하면서 이동수단(10)을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사석틀(21)은 전진하게 되고 사석(3)은 사석틀(21)에서 배출되어 기초사석(1)의 면적을 넓히게 된다. 사석틀(21)이 전진하면 누름판(25)이 사석틀(21)과 함께 진행하면서 사석틀(21)에서 투하된 사석(3)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투하된 사석(3)의 상부면도 평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석(3)을 투하함과 동시에 평탄(고르기)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잠수사가 수중에 들어가지 않고서 사석 다지기 작업을 할 수 있다. 잠수사에 의한 수중 작업은 조류의 흐름이나 물의 탁도에 따라 수중 시야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많은 제약이 있지만, 본 실시예를 사용하면 수중 작업 조건의 제안 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많은 수의 잠수사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깊은 수심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작업은 잠수사에 의한 작업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작업 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 : 기초사석 3 : 사석
7 : 바지선 10 : 이동수단
20 : 사석틀수단 21 : 사석틀
22 : 하부프레임 22a : 개방구
22b : 배출구 24 : 상부프레임
24a : 유입구 24b : 유출구
25 : 누름판 26 : 가압면
30 : 슈트수단 31 : 슈트
32 : 상부슈트 33 : 하부슈트
35 : 고정부재 40 : 도관수단
41 : 바스켓 43 : 연결스트링
45 : 윈치

Claims (7)

  1. 상면이 평평하고 측면에 경사면을 가진 수중의 기초사석의 상기 상면에서 전후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과,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상기 경사면에 배출되게 지지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석틀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를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 사석틀수단과,
    상기 수중으로 공급되는 상기 사석이 상기 유입구로 안내될 수 있게 상기 이동수단에 장착된 슈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석 고르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차례대로 삽입하여 일렬로 포갤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복수의 바스켓과,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상단의 바스켓은 지상에서 투입되는 사석을 입력받을 수 있고 하단의 바스켓은 입력된 상기 사석을 상기 슈트수단으로 안내할 수 있게 상기 복수의 바스켓이 일렬로 펼쳐지도록 상기 각각의 바스켓을 연결시키는 유연한 연결스트링과,
    펼쳐진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포갤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윈치를 구비하여 지상에서 투입되는 상기 사석을 상기 슈트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도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석 고르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트링은 수직방향으로 이웃한 바스켓을 연결하는 각각의 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단은 이웃한 단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어긋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석 고르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수단은
    상기 사석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유입구로 투입되도록 경사져서 하부가 상기 유입구에 위치한 슈트와,
    상기 도관수단에서 상기 사석이 상기 슈트의 상부로 투하되도록 상기 하단의 바스켓을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슈트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석 고르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사석틀수단은
    상기 사석틀이 전진하면 상기 사석틀과 함께 전진하면서 상기 사석틀에서 투하된 사석이 상기 기초사석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상기 투하된 사석의 상부면을 다지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경사면에 상기 사석을 배출시킬 수 있게 경사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면이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KR1020200096256A 2020-07-31 2020-07-31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KR10247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56A KR102474157B1 (ko) 2020-07-31 2020-07-31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56A KR102474157B1 (ko) 2020-07-31 2020-07-31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73A true KR20220015773A (ko) 2022-02-08
KR102474157B1 KR102474157B1 (ko) 2022-12-05

Family

ID=8025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256A KR102474157B1 (ko) 2020-07-31 2020-07-31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15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6419A (ja) * 1989-11-24 1991-07-18 Kokudo Sogo Kensetsu Kk 砂杭造成船による海底地盤のマウンドの締固め均し方法
KR200266873Y1 (ko) 1999-05-18 2002-03-06 원 회 양 물양장 구축을 위한 수중 기초사석 고르기 장치
KR200267904Y1 (ko) * 2001-12-19 2002-03-12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교량 하부 수중 바닥 세굴 방지용 레일식 사석 투하장치
KR200327417Y1 (ko) 2003-05-24 2003-09-22 원 회 양 방파제 구축시 사석 투하범위 기준틀
KR100651697B1 (ko) 2003-09-09 2006-12-06 은성기초건설(주) 수중 사석다짐 및 고르기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5464A (ko) * 2007-05-31 2008-12-04 성보개발 주식회사 수중 골재 고르기장치
JP2009007838A (ja) * 2007-06-28 2009-01-15 Hizen Construction Co Ltd 水中捨石均し装置及び水中捨石均し工法
KR20130120167A (ko) * 2012-04-25 2013-11-0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림해충 포집장치
KR20170020829A (ko) 2017-02-06 2017-02-24 채성동 슬라이딩 게이트를 이용한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석 고르기 방법
EP3268296B1 (en) * 2015-03-11 2018-08-15 Van Oord Dredging And Marine Contractors B.V. Marine fall pipe system, and marine vessel comprising such fall pipe system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6419A (ja) * 1989-11-24 1991-07-18 Kokudo Sogo Kensetsu Kk 砂杭造成船による海底地盤のマウンドの締固め均し方法
KR200266873Y1 (ko) 1999-05-18 2002-03-06 원 회 양 물양장 구축을 위한 수중 기초사석 고르기 장치
KR200267904Y1 (ko) * 2001-12-19 2002-03-12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교량 하부 수중 바닥 세굴 방지용 레일식 사석 투하장치
KR200327417Y1 (ko) 2003-05-24 2003-09-22 원 회 양 방파제 구축시 사석 투하범위 기준틀
KR100651697B1 (ko) 2003-09-09 2006-12-06 은성기초건설(주) 수중 사석다짐 및 고르기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5464A (ko) * 2007-05-31 2008-12-04 성보개발 주식회사 수중 골재 고르기장치
JP2009007838A (ja) * 2007-06-28 2009-01-15 Hizen Construction Co Ltd 水中捨石均し装置及び水中捨石均し工法
KR20130120167A (ko) * 2012-04-25 2013-11-0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림해충 포집장치
EP3268296B1 (en) * 2015-03-11 2018-08-15 Van Oord Dredging And Marine Contractors B.V. Marine fall pipe system, and marine vessel comprising such fall pipe system
KR20170020829A (ko) 2017-02-06 2017-02-24 채성동 슬라이딩 게이트를 이용한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석 고르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157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057B1 (ko) 벌크 해저 채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NO820275L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bygging av vegger i grunnen etter slamgroeftprinsippet
EP3736382A1 (en) Erosion prevention unit and erosion prevention method
CN108223910A (zh) 一种球墨铸铁管穿越含水土壤层的施工方法
CN103397646B (zh) 一种在滨湖区域快速填筑人工湿地的工艺方法
CZ125695A3 (en) Excavating device, vessel therefor and excavation process
KR20220015773A (ko)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JP2003261930A (ja) 水底軟弱地盤の圧密改良工法
CN109024638A (zh) 一种钢围堰内深水板结硬塑性粘土层开挖施工方法
CN110565670B (zh) 一种沉井不排水下沉施工系统的施工方法
KR102505807B1 (ko)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RU2288361C1 (ru) Способ разупрочнения и дезинтеграции глинистых песков россып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JP4451007B2 (ja) 浚渫方法
KR100429370B1 (ko)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제체 축조를 위한 수중과 지상단위 재하재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RU2279507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трубчатых дренажных систем в водонасыщенных грунтах и дреноукладчик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261331C2 (ru) Способ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RU2756070C1 (ru) Способ добычи торф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14960690B (zh) 自动分离天然级配沙的渗沟回填导流工具及其施工方法
RU2716662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труднопромывистых и валунистых россып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RU2081321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алмазоносных кимберлитовых трубок
CN218148464U (zh) 一种深基坑不透水夹层分级降水结构
RU2102598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обводнен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CA1259635A (en) Diluvial diving dredge
RU2180399C1 (ru) Способ подводной добычи гравийно-песчаной смеси
RU2762654C1 (ru) Способ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обводнен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