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760A -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760A
KR20220015760A KR1020200096217A KR20200096217A KR20220015760A KR 20220015760 A KR20220015760 A KR 20220015760A KR 1020200096217 A KR1020200096217 A KR 1020200096217A KR 20200096217 A KR20200096217 A KR 20200096217A KR 20220015760 A KR20220015760 A KR 2022001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xterior member
home appliances
clear coat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형
이구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760A/ko
Publication of KR2022001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2Metallic printing; Printing with powdered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 소재로 형성된 강판; 상기 강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층간의 결합을 위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일면에 형성되는 프린트층; 및 상기 프린트층 일면에 형성되는 클리어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멜라민계 경화제와 아민계 첨가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와 세탁기, 조리기기, 공기조화기,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들은 강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본체 또는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또는 도어는 다양한 색감이나 질감 또는 무늬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는 생활수준의 향상 및 소비자의 선호에 따라 점차 고급화 또는 디자인의 차별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능은 물론 디자인이 구매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다양한 무늬와 색감 및 질감 등을 가지는 가전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전기기의 본체 또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외장부재를 미관 향상을 위해 패턴이 형성되거나 스테인리스를 포함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종래에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할 경우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종래 냉장고의 도어에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반 철판에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2428호에는 가전기기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는 청유리 배면에 백색 무기 안료로 인쇄된 반사 인쇄층과, 피이티(PET) 소재의 보강층을 포함하는 외장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가전기기가 설치되는 주변 가구들과 일체된 미감을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을 가진 가전기기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리나, 종래의 가전 기기들은 스테인레스 자체의 질감 또는 금속의 질감을 나타낼 수 있을 뿐 석재 질감 등 다양한 질감 및 색상을 구현할 수 없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전기기가 설치되는 주변 인테리어와 조화로운 미감을 형성할 수 있는 가전기기용 외장 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리석 또는 석재 질감을 가지면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가전기기의 외관을 보다 다채롭게 할 수 있는 가전기기용 외장 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는 다양한 색감과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프린트층과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클리어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 강판; 상기 강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층간의 결합을 위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일면에 형성되는 프린트층; 및 상기 프린트층 일면에 형성되는 클리어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멜라민계 경화제와 아민계 첨가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판은, 전기아연도금강판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4㎛ ~ 6㎛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5㎛ ~ 15㎛ 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린트층은, 메탈릭 패턴을 구현하는 제1 프린트층과, 솔리드 패턴을 구현하는 제2 프린트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프린트층은, 1도 인쇄되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프린트층은, 2도 인쇄되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메인 수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멜라민계 경화제는,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헥사메톡시부톡시메틸멜라민, 이미노메톡시메틸멜라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민계 첨가제는 디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유기 입자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외장부재의 제조방법은, 롤 타입의 강판이 입고되는 단계; 상기 강판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일면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 일면에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트층 일면에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멜라민계 경화제와 아민계 첨가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메탈릭 패턴을 1도 인쇄하는 단계와, 솔리드 패턴을 2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에스테르를 메인 수지로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강판을 롤 타입으로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며, 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클리어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부재는 가전기기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에 의하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클리어층에 의해 석재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린트층은, 메탈릭 패턴을 구현하는 제1 프린트층과 솔리드 패턴을 구현하는 제2 프린트층을 포함하여, 석재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클리어 코팅층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소비자의 구매력을 유도할 수 있는 고급 질감을 가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경화시 도막의 내부와 표면과의 경화 차이를 이용하여 도막 표면상의 소정의 주름 또는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외장부재 표면에 석재 질감과 같은 고급화된 질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는, 주변 인테리어와 조화로운 미관을 형성하면서, 고급스런 질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어층의 형성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은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과, 식품의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하로 구획되거나 좌우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각각 베리어에 의해서 다수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2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냉동실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외관은 외장부재(1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외장부재(100)는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외측에서 노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가장 외측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 전체와 외측 둘레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기재에서는, 상기 외장부재(100)가 상기 냉장고(1)의 도어(2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외장부재(100)는 상기 냉장고(1)에 제한되지 않고 세탁기,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부재(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외장부재(100)는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장부재(100)는 전체적으로 금속소재의 강판(110)과, 상기 강판(110)의 상면에 제공되는 프라이머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100)는 상기 프라이머층(120)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장부재(100)의 전체적인 패턴을 구현하는 프린트층(140)과, 상기 외장부재(100)의 외표면을 형성하면서 표면 질감을 구현하는 클리어 코팅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부재(100)는 상기 프라이머층(120)과 상기 프린트층(140) 사이에, 상기 외장부재(100)의 균일한 색감을 구현하는 베이스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110)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용융아연도금강판, 또는 스테인레스(sts)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판(110) 일면에는 상기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강판(110)과 상기 베이스층(130) 사이에는 상기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라이머층(120)은 대략 4㎛ ~ 6㎛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04)이 4㎛ 이하로 얇게 형성되는 경우 충분한 색상 구현이 어렵게 되며, 6㎛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장부재 전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20)은 접착 기능과 색상의 구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는 도료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를 메인 레진으로 사용하며, 멜라민(Melamin)계의 가교제(Cross link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에는 접착증진제가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20)의 상면에는 냉장고 도어(20)의 외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층(130)은, 상기 프라이머층(120)에 의해서 상기 강판(1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층(130)은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출된 레진이 가압되어 성형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상기 베이스층(130)은. ABS수지 또는 ASA 수지 또는 PET수지 또는 PCT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MMA수지 또는 PC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30)의 두께는 대략 5~15㎛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30)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상기 외장부재(100)의 전체 색감을 구현하는데 불충분할 수 있으며, 두께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장부재(100)가 과도하게 두꺼워질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층(120)과의 부착력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30) 일면에는 상기 외장부재(100)의 색상과 패턴을 구현하는 프린트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층(130) 하면은 상기 프라이머층(120)에 의해 상기 강판(110)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층(130) 상면에는 상기 프린트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층(140)은 입체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프린트층(140)상에 클리어 코팅층(150)을 형성시켜 상기 프린트층(140)에 의한 입체 패턴을 더욱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층(140)은 공지의 PCM용 프린트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층(140)은 메탈릭 패턴 (Metallic Pattern) 과 솔리드 패턴(solid pattern)을 상기 외장부재(100)에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층(140)은 메탈릭 안료 등을 포함하여 메탈릭 패턴을 구현하는 제1 프린트층(141)과, 유색 또는 무색을 포함하여 솔리드 패턴을 구현하는 제2 프린트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린트층(141)은 상기 베이스층(130) 상면에 메탈릭 패턴 잉크가 1도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린트층(142)은 상기 제1 프린트층(141) 상에 솔리드 패턴 잉크가 1도 또는 2도를 인쇄하여 색상과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층(140)을 메탈릭과 솔리드 패턴을 3도 인쇄에 걸쳐 형성되어 석재와 유사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상기 프린트층(14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외장부재(100)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상기 외장부재(100)의 외관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도 조건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하며, 내지문성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빈번한 접촉에도 지문과 같은 얼룩이 외장부재(100)의 표면에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약 10~20㎛, 바람직하게는 13~17㎛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질감이 충분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게 될 경우 색상을 표현하는 상기 프라이머층(120)과 멀어지게 되어 색상의 이질감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코팅층(150)은 경화시 주름이 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 표면에 요철(151)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상기 멜라민계 경화제와, 상기 아민계 첨가제의 반응으로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 형성시, 표면과 내부에 경화속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속도 차이에 의해서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 표면에 주름진 무늬와 같은 요철(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리어 코팅층(150) 표면에 의해서, 석재 질감과 유사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을 형성하는 도료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를 메인 레진으로 하여, 멜라민(Melamine)계의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 경화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헥사메톡시부톡시메틸멜라민, 이미노메톡시메틸멜라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경도와 가공성을 만족하 수 있도록, 전체 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는 전체 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석재 질감을 가진 표면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첨가제로, 전체 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촉매 1~5중량부, 아민계 첨가제 0.5~ 2 중량부,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 0.1 ~ 3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멜라민 분자의 경화반응을 촉진하여, 도막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촉진제로서 산촉매과 아민계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산 촉매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술폰산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 촉매는 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도막의 물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아민계 첨가제는 탄화수소로 치환된 1차 아민(NH2-R1), 2차 아민(NH-R1, -R2), 3차 아민(N-R1, -R2, -R3)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아민계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디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아민계 첨가제는 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도막의 경화속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계 첨가제에 의해 높은 온도에서 경화반응 시 도막 내부와 표면에서 경화속도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화속도 차를 이용하여 도막 표면의 요철(151)이 형성되어 도막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막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면 소광 효과에 의해 표면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어층의 형성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상세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멜라민 경화제와 상기 아민계 첨가제간의 분자간 결합한 상태가 된다(A). 그리고, 가열하게 되면 상기 아민계 첨가제는 증발하면서 상기 멜라민 경화제를 상기 도막의 표면으로 상승시켜, 도막 표면에 상기 멜라민 경화제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게 된다(B).
이 후, 상기 메인 레진과 상기 멜라민 경화제가 반응을 시작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멜라민 경화제가 많이 분포한 도막의 표면에서 먼저 경화가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도막 내부는 용체의 휘발 과정에서 대류가 일어나게 된다(C).
그리고, 도막은 입자를 중심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도막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게 된다(D).
상기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는 일례로, 실리카, 아크릴 비드, 폴리 에틸렌(PE), 폴리 프로필렌 왁스(PP WA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을 형성하는 도료는 필요에 따라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도료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 ~ 2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을 형성하는 도료는 도막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레벨링제, 왁스, 경화촉매, 안료응집 방지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가 최소 일종 이상 추가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도료에서 배합되는 성분 외의 잔부는 용제일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톨루엔, 자일렌, 이소 프로판올, 솔벤트 나프타, 셀로솔브,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일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이 형성된 상기 외장부재(100) 표면 조도가 대략 3~7 ㎛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조도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KSB0161 규격에 의해 표면 조도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외면에 요철(151)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석재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100)는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 상에 형성된 보호필름(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160)은 상기 외장부재(100) 판금 시까지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상에 부착되어 상기 외장부재(100)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160)은 상기 판금 성형시 발포 전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160)은 폴리 에틸렌 수지, 폴리 프로필렌 수지가 주 수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접착제, 경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웃 부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부재(100) 제조를 위해서는 먼저 롤 타입으로 권취된 상기 강판(110)이 입고될 수 있다. 상기 강판(110)은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용융아연도금강판(GI), 또는 스테인레스(sts)강판으로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하도록 롤 상태로 입고될 수 있다.(S100)
특히 상기 강판(110)은, 전기아연도금강판(EGI)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 가공성 및 석재 질감 구현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외장부재(100)를 구성하는 강판(110)과 프라이머층(120) 및 베이스층(1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리코팅 방식으로 도장한 PCM(Pre-Coated Metal) 강판 제조방법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강판(110) 상면에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라이머층(120)은 상기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롤 타입의 강판(110)이 연속으로 공급되면서 코팅되어 상기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S200)
상기 프라이머층(12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프라이머층(120)의 상면에 베이스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30)은 상기 프라이머층(120)에 압출된 레진이 가압되어 성형될 수 있다.(S300)
상기 베이스층(130)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프린트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층(140)의 인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및 잉크젯 인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인쇄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판 롤러를 사용한 오프셋 인쇄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린트층(140)은 상기 베이스층(130) 상에 1도 인쇄로 메탈릭 패턴을 구현하는 제1 프린트층(14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프린트층(141)상에 2도 인쇄로 유색 또는 무색의 솔리드 패턴을 구현하는 제2 프린트층(142)을 형성할 수 있다.(S400)
상기 프린트층(140)이 인쇄 완료된 후에는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은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층(120)의 코팅 처리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된 롤타입의 강판(110)이 연속으로 공급되면서 코팅되어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20) 상에 도포된 도료는 건조되면서, 주름진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S500)
이와 같이 상기 강판(110)은 최초 입고에서부터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이 형성될 때까지 롤타입으로 권취된 상태로 연속 공급 및 가공될 수 있다. 즉, 강판(110)의 입고시부터 프라이머층(120) 형성 및 클리어 코팅층(150)의 형성까지 롤 타입으로 권취된 강판의 연속공급을 통해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150)까지 성형 완료된 상태의 강판(110)에는 보호필름(160)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판(110)은 권취된 상태로 운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외장부재(100)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절단 및 절곡될 수 있다.(S600)
그리고, 절곡된 상기 외장부재(100)는 조립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20)를 형성하게 된다.

Claims (16)

  1. 금속 소재로 형성된 강판;
    상기 강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층간의 결합을 위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일면에 형성되는 프린트층; 및
    상기 프린트층 일면에 형성되는 클리어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멜라민계 경화제와 아민계 첨가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전기아연도금강판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4㎛ ~ 6㎛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5㎛ ~ 15㎛ 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층은,
    메탈릭 패턴을 구현하는 제1 프린트층과,
    솔리드 패턴을 구현하는 제2 프린트층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린트층은,
    1도 인쇄되어 형성된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린트층은,
    2도 인쇄되어 형성된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메인 수지로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경화제는,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헥사메톡시부톡시메틸멜라민, 이미노메톡시메틸멜라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첨가제는
    디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유기 입자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12. 롤 타입의 강판이 입고되는 단계;
    상기 강판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일면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 일면에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트층 일면에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멜라민계 경화제와 아민계 첨가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메탈릭 패턴을 1도 인쇄하는 단계와,
    솔리드 패턴을 2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에스테르를 메인 수지로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을 롤 타입으로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며, 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클리어 코팅층이 형성되는 가전기기용 외장부재의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가전기기용 외장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0200096217A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5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17A KR20220015760A (ko)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17A KR20220015760A (ko)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60A true KR20220015760A (ko) 2022-02-08

Family

ID=8025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217A KR20220015760A (ko) 2020-07-31 2020-07-31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7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610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용 무소광제 무광 강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610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용 무소광제 무광 강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784B1 (ko) 종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35692A2 (en) Interchangeable appliance insert components and system
WO2006071678A3 (en) Color harmonization coatings for articles of manufacture comprising different substrate materials
JP2012502828A (ja) インサー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11928A (ja) 化粧シート
CN101460315A (zh) 冰箱外壳及其制造方法
US20100189935A1 (en) Film for electri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KR20220015760A (ko) 가전기기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65668A (ja) 冷蔵庫と冷蔵庫の部品と冷蔵庫の扉と冷蔵庫の扉用ハンドルと冷蔵庫の部品の製造方法
CN109440342A (zh) 一种装饰用聚氨酯合成革及其制备方法
KR20130111704A (ko) 가전제품 외장재
EP2232177A1 (en) Exterior components of home appliance
US20170030006A1 (en) Panel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218301A1 (en) Tinted anti-fingerprint coating on 430 stainless steel for appliances
KR20130019901A (ko) 가구용 하이그로시 데코시트
KR101608783B1 (ko) 필름코팅부재 및 이를 이용한 캐비닛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441799B1 (ko) 냉장고 아웃 플레이트
JP4056293B2 (ja) 装飾用建材
CN204754077U (zh) 图案颜色随温度变化的地板以及木门
CN103448328B (zh) 多层结构装饰件及空调室内机
CN210030456U (zh) 一种盖板
JP3157105B2 (ja) 耐プレッシャーマーク性に優れた塗装鋼板
KR20170024971A (ko) 임프린팅 공법을 이용한 양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230404A (ja) 表面加飾品、表面加飾方法
CN202623451U (zh) 多层结构装饰件及空调器的室内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