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153A -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 Google Patents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153A
KR20220015153A KR1020200095303A KR20200095303A KR20220015153A KR 20220015153 A KR20220015153 A KR 20220015153A KR 1020200095303 A KR1020200095303 A KR 1020200095303A KR 20200095303 A KR20200095303 A KR 20200095303A KR 20220015153 A KR20220015153 A KR 2022001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tree
protection net
net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083B1 (ko
Inventor
강경식
이임균
이광수
정수영
이호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20009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40Afforestation or refores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수목을 관리하기 위한 보호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목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자유형 그물망 스프링과 고정형 철망 형태로 구성되며 수목의 생장에 따라 높낮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는 조림 후에 묘목 또는 묘목 주변에 설치되어 묘목 주변 풀베기 용이, 묘목 주변 잡초 억제, 야생동물 피해방지, 수목병해충방지, 비·바람 피해방지 및 조림목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여 조림 후에 수목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일측이 개방되는 링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그물망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하부보호캡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결합하는 원추형태의 상부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Multipurpose protection net device for effective tree management}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수목을 관리하기 위한 보호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목적 보호망 장치는 조림 이후에 설치되는데 조림은 수풀에 있는 쓸 수 있는 나무의 종류의 수풀을 만드는 것이며 묘목 밭에서 키운 묘목을 조림지에 심어서 조림하는 식수조림, 형질이 우량한 살아있는 나무에서 골라내어 직접 조림지에 심어서 키우는 나무조림, 종자를 직접 조림지에 파종하는 파종조림 등이 있다.
수목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자유형 그물망 스프링과 고정형 철망 형태로 구성되며 수목의 생장에 따라 높낮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는 조림 후에 묘목 또는 묘목 주변에 설치되어 묘목 주변 풀베기 용이, 묘목 주변 잡초 억제, 야생동물 피해방지, 수목병해충방지, 비·바람 피해방지 및 조림목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여 조림 후에 수목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풀에 있는 쓸 수 있는 나무의 종류의 수풀을 만드는 것을 말하며, 보통 인공조림과 천연 갱신으로 구별된다. 인공조림은 묘목의 식재, 종자파종, 삽목등 인위적인 방법에 의하여 산림을 조성하는 것으로 묘목 밭에서 키운 묘목을 조림지에 심어서 조림하는 식수조림, 형질이 우량한 살아있는 나무에서 골라내어 직접 조림지에 심어서 키우는 나무조림, 종자를 직접 조림지에 파종하는 파종 조림 등이 있다.
조림 후에 묘목을 수월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야생동물피해방지, 수목병해충방지, 비·바람 피해방지 등의 외부 장애 요인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조림목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 중 일 예로서 일본공개특허 JP 2014-161302 A "묘목 보호구"가 개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조림을 실시하려면 묘목을 실생묘나 접목묘 등으로 묘포장에서 발아·발근시킨 후에 일정기간을 가지고 조림목을 이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조림목을 이식하는 과정에서 포장이나 조림지 현장에서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데, 조림 후에 주변 예초작업을 실시하여 잡초를 제거하는데 조림목 주변에 잡초가 무성히 자라게 되면 조림목을 발견하지 못하고 묘목이 절단되는 현상이 빈번하여 예초작업 전에 조림목 주변부에 미리 둘레베기를 실시해 놔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야자매트를 이용한 수간보호대는 내구성이 약한 편이고 병해충의 산란처 등 발병 가능성이 높으며 예초날에 약하며 천공성해충, 개미 등의 피해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
예초 후에도 미소곤충에 의한 균, 진균, 바이러스 등 침입피해와 동물에 의한 섭식피해로 막대한 손실이 있으며 강한 햇빛을 받아서 발생하는 볕떼기 피해 및 수분 스트레스, 풍해로 인한 고사증상을 겪는 단점이 있다.
조림 후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활착률 조사나 보식비율 산정 등 사후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지구상에는 약 75만여 종의 곤충이 존재하고 아직 발견되지 못한 곤충들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상당수가 나무의 잎, 줄기 등에 피해를 주는 것이 가능하고 국내에서 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대략 1,000~2,000종이 보고되어 있다.
붉가시나무 묘목에 많이 발생하는 혹벌 및 혹파리류 피해로 양묘단계에서 산지폐기되거나 참나무하늘소 등의 청공성 피해로 산림의 경제적 타격을 받는 일이 속출하고 있다. 또한, 비용면에서 숲가꾸기 설계 지침 중 조림목 찾기품, 둘레베기품 등이 상정되어 있을 정도로 조림목 관리에 많은 예상이 투입되고 있기 때문에 수목보호를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1. 일본공개특허 JP 2014-161302 A(2014.09.08)
묘목 주변 풀베기 용이, 묘목 주변 잡초 억제, 야생동물 피해방지, 수목병해충방지, 비·바람 피해방지 및 조림목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여 조림 후에 수목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광통풍과 방어력이 뛰어나며 편리성이 있어 재배포장, 도로변 식수대, 산지 등 어느 곳에서나 설치 가능하다. 이에 가볍고 선명성이 뛰어난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일측이 개방되는 링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그물망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하부보호캡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결합하는 원추형태의 상부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그물망은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그물망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단되는 절단부를 결합해주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그물망의 절단부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방되는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리링을 관통하며 지면에 고정되는 말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보호캡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기후에도 견딜 수 있고 내구력이 강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는 조림목에 피해를 주는 각종 요인으로 부터 안전하게 수목을 보호하는 보호망 장치는 그물망이 형성되어 야생동물 피해방지, 수목병해충방지 및 묘목 주변 둘레베기 과정 생략이 가능하고, 작업자가 그물 내의 작업이 수월하도록 그물망이 절단되고 이를 다시 연결하는 지퍼 또는 자석의 결합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물망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의 스프링이 형성되어 지지대 없이 펼쳐져서 원통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스프링을 압축하면 크기가 작아진 상태로 보관 및 수송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다양한 환경에서 수목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여 일반 조림지와 도로변 식수대, 도시 및 주택 조경대상지 등의 식재 수목관리에 최적화 되어 있다. 특히,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등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지속가능한 임업발전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상부보호캡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의 상부보호캡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10)과 상기 그물망(10)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일측이 개방되는 링 형태의 프레임(20)과 상기 그물망(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2)과 상기 그물망(10)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하부보호캡(30) 및 상기 그물망(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원추형태의 상부보호캡(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10)은 사각형의 형태의 망을 좌단과 우단을 붙혀서 원통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이고 내부 공간에 묘목 등이 심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 병해충연구과에서 인증한 폴리에틸렌 재질을 사용하여 그물망(10)의 각각의 구멍들은 크기가 0.5~1.01mm 정도를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방충망의 크기를 가지며 청공성해충의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초 작업 전 수목을 예초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미리 낫으로 수목 주변 20~30cm 부분을 원형으로 베어주는 작업인 둘레베기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산림청 숲가꾸기 설계·감리 및 사업시행 지침에 명시된 둘레베기 및 묘목찾기 인력품 및 사업비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수광통풍과 방어력이 뛰어나며 편리성이 있어 재배포장, 도로변 식수대, 산지 등에 설치 가능하고 각종 기후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고 조림유목에 피해를 주는 많은 요인들로부터 건강하게 수목을 보호·육성한다.
상기 그물망(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조림명찰(65)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조림명찰(65)은 해당 그물망(10) 내에 심어져있는 조림목에 대한 정보를 적어 놓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물망(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절단되어 개방되는 것이 가능한 링 형태의 프레임(20)은 상기 그물망(10)이 원통형의 모양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측이 절단되어 그물망(10)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물망 일측을 개방하여 내부 공간으로 진입할 때 상기 프레임(20)도 같이 열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물망(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는데 그물망(10)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상부로 이어지는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는 스프링(12)이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12)은 상하로 벌어진 상태로 있으며 원형 나선으로 상기 그물망(10)의 원통형을 유지하게 해주는 역할도 가능하다.
또한, 걸리는 구조를 가지는 걸림쇠나 무거운 물체가 상기 스프링(12)의 상부를 압박하여 원하는 높이까지만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고,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운반과 적재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12)을 완전히 접어 부피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물망(10)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하부보호캡(30)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그물망(10)의 하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림 후 예초작업을 실시하는데 잡초사이 조림목을 찾기 어려운 상태에서 예초를 하다보면 예초날에 의해 묘목이 절단되는 현상이 빈번하며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1)를 사용하여 조림목을 보호하는 데 상기 그물망(10)은 예초날에 쉽게 절단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을 예초할 때 그물망(1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초날이 주로 접근하는 하부에 예초날에 내구성을 가지는 상기 하부보호캡(30)을 설치하여 그물망(10)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물망(10)의 내부공간에는 조림목이 심어지고 조림목이 위치한 부분을 제외하고 일측부터 중심까지 절단되어 있는 제초매트(70)를 깔아 놓기 때문에 내부공간은 예초를 하지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물망(10)만 형성되었을 때 보다 상기 하부보호캡(30)이 결합되었을 때 내구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대형동물의 침입피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20), 그물망(10) 등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빗물고임 문제와 개미 등의 집합적 피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형성되있는 구조로 인해서 용이하게 결합하는 것이 힘들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보호캡(30)의 외주면은 나선형으로 개폐가 가능한 하부캡개방부(32)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단으로 연장되는 고정핀(34)가 지면에 박혀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물망(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원추형태의 상부보호캡(4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부에 눈 또는 비 등이 쌓이거나 고이지 않고 흘러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물망(10)의 상부에 고정되지 않고 얹어지게 결합되어 묘목이 성장하였을 때 일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캡에 조여지거나 끼이지 않고 자라는 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벗겨지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밀어내는 힘이 충분하지 않아 상기 상부보호캡(40)을 관통하여 조림목에 끼이게 된다면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보호캡(4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또는 직선으로 개폐가 가능한 상부캡개방부(42)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캡개방부(42)는 밸크로, 지퍼 등의 결속부로 이루어 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물망(10)은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10)은 하부의 직경이 넓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윗면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상부보호캡(40)이 그물망(10) 위에 결속되면 원통형 그물망은 구조상 조림깃발(60)을 상기 프레임(20)의 외주면에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조림깃발(60)을 지주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반면에 원뿔대 형상의 그물망(10)은 상부 직경이 좁기 때문에 조림깃발(60)이 원통형 그물망보다 중심쪽에 가깝기 때문에 묘목이 수월하게 지주대 역할을 하는 조림깃발(60)에 안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뿔대 형상의 그물망(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2)은 원통형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었을 때 보다 압축하였을 때 뒤틀림이 덜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그물망(10)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단되는 절단부를 결합해주는 개폐부(1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10)은 원통형의 모양으로 하부에서 시작하여 상부로 이어지는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는 나선형 모양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에 다시 붙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지퍼 또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상기 개폐부(14)를 설치하여 절단부가 다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나선형의 개폐부(14)를 설치해야지 상기 스프링(12)의 이격된 사이로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4)는 그물망(10)의 절단부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14)는 절단부의 일측에만 형성되면 결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맞물리는 양단에 형성되어 지퍼 및 자석으로 서로 힘을 받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세틈새 방지를 위해서 개폐부(14)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10)의 일부가 여분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개폐부(14)를 덮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부(14)는 상기 프레임(20)의 개방되는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절단되어 개방되는 것이 가능한 링 형태의 프레임(20)은 상기 그물망(10)이 원통형의 모양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은 일측이 절단되어 있고 절단부에 상기 그물망(10)의 개폐부(14)가 결합되기 때문에 개폐부(14)를 개방하여 내부 공간으로 진입할 때 상기 프레임(20)의 절단부도 같이 열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링(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의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 고리링(22)은 상기 스프링(12)을 압축했을 때 짧은 길이의 조임걸쇠(24)로 상부쪽 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링(22)과 하부쪽 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링(22)을 연결 고정하여 상기 스프링(12)이 길이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어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운반과 적재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12)을 완전히 접어 부피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1)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조임걸쇠(24)를 제거하여 스프링(12)이 확장되고 조림목을 보호하는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해당 조림목을 표시해주는 조림깃발(60)을 상기 고리링(22)을 관통하여 지면에 박아 넣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림깃발(60)을 조림목 근처에 박아 넣어 고정했을 때는 봉 부분을 지주대의 역할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림깃발(60)은 멀리서도 육안으로 해당 조림목이 어떤 종인지 확인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둡거나 비가 올때도 확인이 쉽도록 하는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효과적 이력관리와 지속적 미래목 육성으로 산림산업과 임업농가의 수고를 덜어주는 것이 가능하여 임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상기 고리링(22)을 관통하며 지면에 고정되는 말뚝(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말뚝(50)은 상부가 꺾인 구조인 말뚝걸림부(52)를 가지고 있는데, 상하로 벌어진 상태의 상기 스프링(12)은 걸리는 구조를 가지는 걸림쇠나 무거운 물체가 상기 스프링(12)의 상부를 압박하여 원하는 높이까지만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고리링(22)을 관통하며 지면에 상기 말뚝(50)을 박아 넣어 상기 고리링(22)을 상기 말뚝걸림부(52)가 압박하게 되면 원하는 높이 까지만 확장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림깃발(60)을 상기 말뚝(50)이 역할을 하기 위하여 상측 외주면에 상기 말뚝걸림부(5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보호캡(40)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단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10)의 상부에 고정되지 않고 얹어지게 결합되어 묘목이 성장하였을 때 일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캡에 조여지거나 끼이지 않고 자라는 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벗겨지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밀어내는 힘이 충분하지 않아 상기 상부보호캡(40)을 관통하여 조림목에 끼이게 된다면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보호캡(4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또는 직선으로 개폐가 가능한 상부캡개방부(42)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캡개방부(42)는 밸크로, 지퍼 등의 결속부로 이루어 지는 것이 가능하다.
1 :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10 : 그물망
12 : 스프링
14 : 개폐부
20 : 프레임
22 : 고리링
24 : 조임걸쇠
30 : 하부보호캡
32 : 하부캡개방부
34 : 고정핀
40 : 상부보호캡
42 : 상부캡개방부
50 : 말뚝
52 : 말뚝걸림부
60 : 조림깃발
65 : 조림명찰
70 : 제초매트

Claims (8)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일측이 개방되는 링 형태의 프레임;
    상기 그물망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하부보호캡;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결합하는 원추형태의 상부보호캡;
    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단되는 절단부를 결합해주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그물망의 절단부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방되는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링을 관통하며 지면에 고정되는 말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호캡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망 장치.
KR1020200095303A 2020-07-30 2020-07-30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KR10246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03A KR102465083B1 (ko) 2020-07-30 2020-07-30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03A KR102465083B1 (ko) 2020-07-30 2020-07-30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53A true KR20220015153A (ko) 2022-02-08
KR102465083B1 KR102465083B1 (ko) 2022-11-10

Family

ID=8025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303A KR102465083B1 (ko) 2020-07-30 2020-07-30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0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19A (ja) * 1997-06-23 1999-01-19 Igarashi Hiroshi 樹木保護器
JP2004242818A (ja) * 2003-02-13 2004-09-02 Agutei:Kk 伸縮自在な洗濯用ネット袋
JP2014161302A (ja) 2013-02-27 2014-09-08 Daiichi Kogyo Kk 苗木等保護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19A (ja) * 1997-06-23 1999-01-19 Igarashi Hiroshi 樹木保護器
JP2004242818A (ja) * 2003-02-13 2004-09-02 Agutei:Kk 伸縮自在な洗濯用ネット袋
JP2014161302A (ja) 2013-02-27 2014-09-08 Daiichi Kogyo Kk 苗木等保護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083B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reary Regenerating rangeland oaks in California
US20170231171A1 (en) Plant skirt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20190191636A1 (en) Plant protection device
US10999975B2 (en) Aerial fluid application technology for orchards, vineyards and the like
KR101178837B1 (ko) 잡초제거장치
KR102465083B1 (ko)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Marsh et al. Exclusionary methods and materials to protect plants from pest mammals--a review
US20090172999A1 (en) Landscaping weed barrier and soil access device
JP4978854B2 (ja) 株立ち植物用防虫ネット
JP5207160B1 (ja) 自然薯の栽培装置
Morhart et al. Management guidelines for valuable wood production in Agroforestry systems
KR101461323B1 (ko) 백수오 재배 방법
Kroodsma The permanent fixation of sand dunes in Michigan
JP4540010B1 (ja) 株立ち植物用防虫ネット
Devine Planting native oak in the Pacific Northwest
Appleton et al. Tree and shrub planting guidelines
Harden et al. Tree Seedling Planting Guide
Loos et al. Biological control of purple loosestrife
Roper et al. Almonds in the Home Garden
Davis Windbreaks for Illinois farmsteads
Sinohin et al. Establishing a mangrove nursery
Kaiser et al. Protecting grapevines from winter injury
Campbell et al. Evergreen windbreaks for Iowa farmsteads
Kuhns et al. Planting Landscape Trees
Thongjua et al. Efficiency of Material Types of Box Fences to Prevent Rat Damage in Oil Palm Plan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