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077A -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077A
KR20220015077A KR1020200095112A KR20200095112A KR20220015077A KR 20220015077 A KR20220015077 A KR 20220015077A KR 1020200095112 A KR1020200095112 A KR 1020200095112A KR 20200095112 A KR20200095112 A KR 20200095112A KR 20220015077 A KR20220015077 A KR 20220015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service
ser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슬기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슬기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슬기틀
Priority to KR102020009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077A/ko
Publication of KR2022001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의료기관에서 다양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개인의 검사, 처방기록 등의 진료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요청하여 자신의 진료 정보를 해당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 받은 진료정보를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책임하에 관리, 전달이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부가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의료기관이 소정의 정해진 프로그램을 이용 표준 데이터화 된 진료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의료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제공 받은 진료정보를 전용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 할 수 있고, 여러 의료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진료정보 파일들을 통합, 분리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료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기본적인 진료정보로부터 임상용어에 대한 풀이, 각 검사결과에 대한 분석정보 등 상세한 의료정보 및 전문가 그룹을 통한 전문적인 의견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의료인들에게 그 파일을 손쉽게 전달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전송관련정보를 전달 받아 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에 대한 인증요청에 대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타 의료기관에 진료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진료정보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각각의 의료기관에서 다양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개인의 처방, 검사결과 등의 진료정보에 대하여 서비 스 이용자가 요청하여 자신의 진료 정보를 해당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의료기관으로부터 제 공 받은 진료정보에 대하여 다양한 부가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 이다.
현재 국내의 각 의료기관들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보 시스템들은 원활한 운영을 위해 의료와 관련된 다양한 명칭(질 병, 약품, 처방 등)들을 정의하고 있는 코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코드의 형태는 비록 같은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 의료기관이라 할지라도 솔루션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의료기관들의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하 여, 정보의 전달 및 호환에 있어 중요한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다.
의료법상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이 이용한 의료기관에 자신의 진료기록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의료 기관은 진료기록을 의료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지닌다.
의료서비스 이용자에게 진료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의료기관에서는 복사(Copy)를 통한 전달이 가장 흔히 이용 되고 있으며 진료챠트와 함께 X-ray, CT, MRI 등 다양한 필름 등도 복사의 대상이 된다.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소정 의 비용을 복사비의 명목으로 지불한 후 복사한 진료기록들을 진료를 희망하는 의료인에게 전달된다.
대부분 과거 진료기록이 필요한 시점은 새롭게 방문한 병원에서 의료인을 처음으로 대면할 때 이며, 의료서비스 이 용자는 과거 진료기록의 전달을 위해 이전에 방문하였던 병원을 다시 방문하여 진료기록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에 따라 소중한 과거 진료기록이 참조되어 활용되지 못한 체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
급성질환을 제외한 대부분의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과거 진료기록들은 매우 가치가 있는 정보들로써, 사회가 복잡해지고, 의료가 발전함에 따라 대부분의 질병들이 만성화되어가고 있어 이들 과거 진료기록 참조를 통한 장기 적인 질병의 관리는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어, 의료기관간 진료정보의 전달체계 및 정보의 표준화는 의학 의 발전 및 국민의 건강증진 차원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진료정보의 전달체계의 확립과 표준화는 의료재정과 의학의 발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정 보의 보관 및 전달, 재활용을 통해 의료재정의 낭비적인 요소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효율적인 운용 및 재투자가 가능 해지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편의성 증대 및 건강증진 등의 의료 본연의 역할에 충실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의학의 발전에 밑바탕이 되는 다양한 정보들과, 통계자료의 산출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여 많은 나라에서 커다 란 관심과 함께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하였듯이, 국내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는 고유의 코드체계를 가지고 있어 이들 정보의 전달 및 재 활용에 있어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많은 의료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의료정보 시스템과 코드체계에 종속되지 않는 의료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진료정보 전달체계(의료정보 네트워크), 의료정보의 표준화, 진료정보의 인증 및 무결성 보장, 진료 정보의 관리,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질병상태에 대해 빠르고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하고자 하 는 것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이 과거 방문하였던 의료기관에서 관리되고있는 과거 진료기록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의 료기관에 요청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의료기관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준 데이터화 한 진료정보를 추출해 내어 서비스 요청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진료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본적인 진료정보로부터 임상용어에 대한 풀이, 각 검사결과에 대한 의학정보 등 상세한 의료정보 및 전문가 그룹을 통해 더 전문적인 의견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 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의료서비스 이용자에 진료정보의 내용을 확인, 편집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자로 하 여금 전달받은 자신의 진료정보의 내용을 손쉽게 확인하고, 편집가능 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진료정보를 타 의료기 관에 간단하게 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의료기관으로부터 그 전송관련정보를 전달받아 이후 타 의료기관에 제시된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에 대한 인증요청 인증요청과정을 수행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타 의료기관에 진료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타 의료기관 에서 진료정보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과거의 진료이력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질병관리가 가능해지므로 의료서 비스 이용자의 편의성과 건강증진 등의 의료 본연의 역할에 충실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의 전달체계 및 정보의 표준화를 촉진하고, 의학의 발전에 밑바탕이 되는 다양한 정보들과, 통계자료의 산출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여 의학의 발전과 국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불필요한 중복진료를 최소화하여 의료재정의 건전성을 증진함과 동시에, 진료서비스의 신속성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진료정보를 표준데이터로 가공하고 암호화하여 서비스이용자에게 암호화된 진료정보에 대한 뷰 어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하는 의료기관 시스템과, 표준 데이터로 가공하기 위한 진료정보생성 프로그램 및 암호화 된 진료정보에 대한 뷰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에게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의 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진료정보에 대한 상세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요청하여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은, 환자의 진료정보가 저장된 의료기관 데이터 베이스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의 진료정보 요청을 접수하기 위한 접수수단과, 의료기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비 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로 가공하고, 암호화(encoding)하기 위한 진료정보생성수단과, 생성된 진 료정보와 진료정보에 대한 뷰어 프로그램(viewer)을 첨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암호화된 진료정보에 대한 해독키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해독키이요청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전송관련정보로부터 로그파일을 생성하여 저장 하는 로그파일저장수단과, 전송된 진료정보에 대한 해독키이를 생성하는 해독키이 생성수단과, 의료기관시스템으 로부터 요청된 해당 사용자에게 진료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리고, 해독키이를 전송하는 서비스 이용자 인증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며, 의료기관으로부터 전송받은 진료정보 를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전송받아 서비스 이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각종 검사결과 및 진료결과에 대한 임상용어 의 풀이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세 의료정보(재 가공된 진료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제공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뷰어프로그램은 진료정보의 편집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 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 요청에 대하여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요구하는 표준형태의 진료정보로 가공 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제공한 뷰어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하는 의료기관시스템 (100)과,
계약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상기 해당 의료기관의 전산시스템에 구축된 진료정보로부터 표준 진료정보로 생성 가능 하도록 하는 진료정보생성프로그램 및 이 진료정보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암호화된 진료정보에 대한 뷰어 프로그램 을 제공하며, 의료기관시스템(100)에서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한 진료정보에 대한 해독키이 요청에 대하여 서비 스 이용자에게 해독 키이를 제공하고, 서비스이용자로부터의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하여 해당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정보 서비스 시스템(200)과,
원하는 진료정보를 해당하는 의료기관에 요청하여 암호화된 진료정보 및 뷰어프로그램을 제공받고, 뷰어프로그램 을 설치하여 진료정보를 확인하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진료정보에 대한 상세한 의료정보 및 전문가 의견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100)은, 환자의 진료정보가 저장된 의료기관 전산시스템내에 구축된 의료기관 데이터베이스 (110)와, 서비스이용자로부터 진료요청정보를 접수받기 위한 콜센터(120)와, 의료기관내의 전산시스템 접속 및 의 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과의 접속을 위한 의료기관 운영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의료기관 운영단말기(130)는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받은 의료기관 데이터 베이스(110)로 부터 진료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표준 데이터로 생성 및 전송을 위한 암호화를 실행하 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진료정보 생성프로세스부(131)와,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뷰어 프로그램이 내장 된 뷰어프로그램저장부(132)와, 진료정보 생성프로세서부(131)로부터 생성된 진료정보 및 뷰어프로그램을 첨부하 여 전자우편으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전자우편전송부(133)와,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 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한 진료정보에 대한 해독키이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인증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은 진료생성프로그램, 뷰어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의료기관 및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 및 접속이후 요청된 정보에 대한 처리를 위한 서버(210)와, 의료기관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해독 키이요 청 정보에 대하여 이후 타 의료기관(100')의 진료정보인증에 따른 인증을 위해 로그파일이 저장되는 로그파일저장 부(220)와, 해독키이요청정보에 따라 해독키이를 생성하는 해독키이생성부(230)와, 생성된 해독키이를 서비스 이 용자에게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한 SMS인증부(240)와, 서비스이용자로부터 전송된 표준 데이터를 진료정보와 진료정보 각 항목에 대한 상세설명 등이 포함되는 2차 가공된 상세 정보로 변환시키는 의료정보 제공부(250)와, 서 비스이용자로부터 전송된 진료정보에 대한 표준데이터를 포함하는 전문가의견 요청정보를 전문가그룹(400)으로 제공하여 전문가 그룹(400)으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제공받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전문가의견제공부(26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독키이 요청시 포함되는 전송관련정보에는 환자이름, 주민번호,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자료요청일, 의료 기관명 정보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로그파일저장부(220)에 저장되는 로그파일 정보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요청한 의료기관명, 환자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자료송신시간/자료수신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해독키이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되는 해독키이는 환자이름, 주민번호, 전화번호, 의료기관명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서비스 이용자 시스템(300)은, 원하는 진료정보를 해당하는 의료기관에 요청하여, 암호화된 진료정보 및 뷰어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진료정보를 확인하고,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진료정보에 대한 상세한 의료정보 및 전문가 의견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단말기(310)와, 암호화된 진 료정보의 해독키이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인증 수단으로서의 휴대이동통신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뷰어프로그램은 진료정보의 확인 및 편집이 가능하며, 편집작업 시 진료정보 데이터에는 편집에 의한 수정사실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편집작업에 의해 저장된 진료정보는 원래 전송받은 진료정보와 다른이름으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따르는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가 진료정보 및 진료정보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 받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이 내원 했던 의료기관에 진료정보를 요청하는 진료정보요청과정과,
진료정보를 요청받은 의료기관에서는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받은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베이 스(110)에 저장된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로부터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료정보를 암호화하는 의료기관의 진료정보생성과정과,
생성된 진료정보와 의료정보서비스시스템에서 제공한 뷰어 프로그램을 전자우편(E-MAIL)에 첨부하여 서비스 이 용자에게 전송하는 의료기관 시스템(100)의 진료정보 전송과정과,
서비스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내역정보를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면서, 서비스 이용자 인증 을 요청하는 의료기관시스템(100)의 사용자 인증요청과정과,
의료기관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전송내역정보를 제공받아 로그파일에 기록하고, 전송내역정보로부터 해독 키이를 생성하는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의 해독키이생성과정과,
전송내역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이용자 정보로부터 해당하는 서비스이용자의 휴대이동통신기(320)로 진료정보가 도 착했음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해독키이를 문자메시지(SMS)로 전송하는 의료정보서비스시스템(200)의 서비스이용 자 인증과정과,
전자우편으로 전송받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뷰어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해독키이에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서 문자메시지로 전송한 해독키이를 입력하여 진료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이용자의 진료 정보 확인과정과,
뷰어프로그램에 링크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진료정보데이터를 전송하여 진료정보에 대해 가 공된 상세한 의료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의 상세 의료 정보 요청과정과,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 상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진료정보 데이터를 가 공하여 진료정보의 상세 의료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의 의료정 보 제공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진료정보에 대한 전문가 그룹(400)의 의견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자로 부터 전송된 진료정보를 전문가 그룹(400)에 제공하여 전문가 그룹(400)으로부터 제공받은 진료정보에 대한 의료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의 전문가그룹의료정보 제공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제공된 진료정보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인증을 요청하는 의료기관시스템의 진료정보인증요청과정과,
의료기관시스템으로부터 진료정보인증이 요청되면, 저장된 로그파일로부터 전송관련정보를 읽어 해당 진료정보와 비교하여 의료기관시스템으로 진료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진료정보 인증수행과정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는,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에서는 미리 약속(계약)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진료정보생성 프로그램 및 뷰어프로그램 을 제공한다.
의료기관에서는 의료기관 운영단말기(130)에 진료정보 생성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진료정보 프로세스부(131)를 구 성하며, 뷰어프로그램은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뷰어프로그램저장부(132)에 저장된다.
상기 의료기관 운영단말기(130)는 의료기관의 전산시스템에 접속가능한 단말장치이다.
의료기관 운영단말기(130)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자우편을 전송하기 위하여 전자우편전송부(133)와, 의료정보 서 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독키이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인증부(134)를 구성한다.
전자우편전송부(133)는 일반적인 전자우편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서비스이용자 인증부 (134)는 웹을 표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브라우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기관 운영단말기(130)의 내부 구성은 의료기관내 전산시스템 서버상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의료기 관 운영단말기(130)는 이와 같은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말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진료정보를 요청 접수받기 위한 콜센터(120)가 구성되며, 콜센터(120)에서는 전화 또는 의료기관의 서비스 사이트(homepage)에 접수메뉴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운영자(operator)가 접수받도록 한다.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의료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므로, 서비스 이용자 들에게 진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기관 또는 다양한 의료정보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웹서핑을 통해 접속하여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비스 이용자 또는 의료기관에 대하여 의료정보를 제 공하기 위한 서버(210)가 구성된다.
또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은 이후에 서비스 이용자가 또 다른 의료기관 등에 제공받은 진료정보 데이터를 제시하게 될 때 이에 대한 인증(해당 진료기관에서 제공한 사실을 입증)하기 위하여 의료기관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 받은 해독키이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진료정보 전송관련하여 생성된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로그파일 저 장부(220)가 구성된다.
또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은 해독 키이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해독키이를 생성하는 해독키이생성부(230) 가 구성되며, 해독키이생성부(230)에서 생성되는 해독키이에는 진료정보를 제공한 의료기관 제공된 날짜정보, 서 비스 이용자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이후 서비스 이용자가 진료정보를 타 의료기관(100')에 제시했을 경우 상기 로그파일 저장부(220)에 저장된 로그파일과의 비교를 통해 진료정보 데이터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은 생성된 해독키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하여 SMS 인증부(240)를 구성하며, SMS 인증부(240)에서는 해독키이요청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이용자 정보중 휴대이동통신기(320)의 번호를 이용하 여 전송한다.
여기서, 다른실시예로 SMS 인증부(240)대신에 사용자 인증수단으로 전자우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진료정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한 상세 의료정보를 요청받을 경우,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진료정보 데이터를 2차 가공된 상세 의료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의료정보제공부(250)를 구성한다.
의료정보제공부(250)는 의료기관 시스템(100)에 제공된 진료정보 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진료정보 데이터에 대한 변환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와 같은 변환 정보로부터 소정의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표준 진료정보 데이터를 상세 의료정보로 2차 가공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쉽게 진료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진료정보에 대한 상세 의료정보는 진료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임상용어의 풀 이는 물론, 각 검사결과에 대한 기준치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함께 첨부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서는 각 의료분야별 전문가를 선정하여 전문가그룹(400)을 구성하고,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진료정보에 대한 전문가 의견 또는 의료정보가 요청될 경우 해당하는 정보를 전문가 그룹(400)에 제 공하여 전문가 그룹(400)으로부터 해당하는 의견을 제공받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이용자 시스템은(300)은 의료기관시스템(100)으로부터 전자우편으로 전송된 진료정보의 확인 및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310)를 구성하며,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310)는 일반 적인 개인 컴퓨터(PC)로 구성된다.
또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해독키이를 전송받기 위하여 휴대이동통신기(320)가 구성되며, 문자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PDA 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의료기관시스템(100)과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은 결제수단을 더 구성하여, 의료기관은 진료정보 서비스에 대 한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해서 진료정보를 제공하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진료정보 에 대한 상세 의료정보 및 전문가의견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수수료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부가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의 결제수단은 일반적인 휴대전화결제, 신용카드결제 등 다양한 결제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 서비스 이용자에게 진료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진료정보에 대한 다양한 의료정 보를 제공하는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이용자는 내원했던 의료기관에 진료정보를 콜센터(120)를 통해 요청한다.
의료기관 운영자는 콜센터(120)를 통해 진료정보 요청이 접수되면, 운영 단말기(130)의 진료정보 생성프로세스부 (131)로부터 진료정보 생성 프로그램을 진행시켜, 의료기관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진 료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암호화한다.
이후, 암호화된 진료정보와 뷰어프로그램 저장부(132)에 저장된 뷰어프로그램을 전자우편에 첨부하여 해당한 서비 스 이용자에게 전송한다.
이와 함께 의료기관 운영자는 서비스 이용자 인증부(134)를 통해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200)에 해독키이를 요청 한다.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서는 의료기관 시스템(100)으로부터 해독키이가 요청되면, 해독키이 요청정보에 포 함된 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진료정보 전송관련하여 로그 파일을 생성시켜 로그파일저장부(220)에 저장하 고, 해독키이생성부(230)를 통해 해독키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해독키이는 SMS인증부(240)에서 서비스 이용자정보에 포함된 휴대이동통신기(320) 번호로 문 자메시지로 전송된다.
이때 문자 메시지에는 진료정보가 전자우편으로 의료기관으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서비스 이용자는 휴대이동통신기(320)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고, 전자우편을 통해 진료정보가 도착했음을 확 인한 후, 전자우편 계정을 열어 진료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가 전자우편에 첨부된 뷰어프로그램을 다운받게 되면, 뷰어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설치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이용자가 설치를 확인하면, 뷰어프로그램이 자동설치되고, 서비스 이용자는 뷰어 프로그램을 통해 진료정보 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가 진료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해독키이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 되고, 해독키이를 입력하여야 진료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이용자 인증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서비스 이용자는 휴대이동통신기(320)를 통해 전달받은 해독키이를 입력하여 진료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뷰어프로그램은 별도의 업버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한번 설치되면 다시 설치할 필요없으며, 새로운 진료 정보를 제공받을 때마다 해당하는 해독키이만을 입력하여 진료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여진 진료정보는 진료정보 생성 프로그램에 의해 의료기관에서 제공되는 진료정보 그대로이며, 서비스 이용자는 뷰어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이용하여, 진료정보를 편집하거나 상세 의료정보 또는 전문가 의견정 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가 상세 의료정보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뷰어 프로그램에서는 표시된 진료정보 데이터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의 의료정보제공부(250)에서는 전송받은 표준 진료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설 정된 값을 읽어 2차 가공된 상세의료정보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진료정보에 대한 상세 의료정보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되어 뷰어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이용 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는 임상용어에 대한 쉬운 이해와 함께, 검사결과에 대한 기준치와의 비교, 주의점 등 다양한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에서와 같이 자신의 진료정보에 따른 일반적인 의료정보이외에도 뷰어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가의견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가 전문가 의견을 신청하게 되면,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전문가그룹 리스트에서 해당분야의 전문가를 선택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해당 전문가로부터 이에 대한 의견을 회신 받아 서 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의 질문이나 의견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있다면 이를 함께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의견 을 회신받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의 진료정보를 이용하여 또 다른 전문가로부터 진단이나 상세한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는 또 다른 의료기관을 방문하게 될 경우 제공받은 자신의 진료정보를 해당 의료기관에 제시할 수 있으며, 제시받은 의료기관은 제공받은 진료정보에 대하여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 인증을 요청하여 의 료기관으로부터 발행된 정확한 자료인가를 확인한다.
의료기관에서는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진료정보를 받게되면, 뷰어프로그램을 통해 진료정보를 확인하고, 뷰어 프로 그램의 진료정보 인증 메뉴를 통해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 인증을 요청한다.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서는 진료정보를 확인하고, 로그파일저장부(220)로부터 전송 내역정보가 기록된 로 그파일을 읽어 비교하여 인증을 요청한 의료기관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뷰어프로그램은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 편집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서비스 이용자가 편집을 수행할 경우, 예를 들어 진료정보중 일부를 삭제할 경우 진료정보에 수정사항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진료정보에 포함시켜 저장 하게 된다.
즉 뷰어프로그램을 통해 원래의 진료정보와 편집된 진료정보 두 개의 파일이 생성되며, 서비스 이용자는 다른이름 으로 저장된 편집된 진료정보를 타 의료기관(100')에 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진료정보를 서비스 이용자가 타 의료기관(100')에 제시하게 될 경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서는 의료기관(100')으로부터 요청된 진료정보에 이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인증결과에 이를 알리게 된다.
해당 의료기관에서는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의 인증 결과를 확인하여 진료를 하게 된다.
여기서, 타 의료기관(100')에서 뷰어 프로그램으로 서비스 이용자가 제시한 진료정보를 확인하게 될 경우 편집된 부 분이 있다면, 해당 항목에 대해서는 표시하고 그 상세내역 예를 들면, 검사항목만 표시되고, 검사결과는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타 의료기관(100')의 의료인은 서비스 이용자가 제시한 진료정보가 수정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삭제된(편집 된) 항목이 어떤 내용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타 의료기관(100')에서는 이를 신뢰하여 이를 바탕으로 진료를 수행하며,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면담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환자)의 진료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진료정보를 손쉽게 타 의료기관(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에 서는 신뢰 있는 진료정보를 전달받아 진단의 정확을 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는 진료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전자우편을 통해 진료정보를 서비스 이용 자에게 제공하였지만, 3~5MB 미만의 데이터인 경우 상관없지만, 대량의 데이터인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3 내지 5MB 이상의 데이터인 경우 의료기관에서는 씨디롬(CD-ROM)과 같은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 이용자는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진료정보를 수령할 수 있다.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진료정보를 기록매체로 요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진료정보와 뷰 어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는 키오스크(무인안내시스템)을 통해 진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바, 무인 안내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내데스크에서 인증 CD를 제공받아 의료기관에 설치된 키오스크(무인안내시스 템)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환자)가 자신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진료기록을 요청하여 CD 기록매체에 자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의료기관에서는 이와 같이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진료정보를 제공한 경우에도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에 서비스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여 진료정보를 제공한 내역을 알리도록 하고, 이후 서비스 이용자 또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독 키이를 입력하여야만 제공된 진료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서비스 이용자의 진료정보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에 게 제공할 진료정보를 표준데이터로 가공하고 암호화하여 서비스이용자에게 암호화된 진료정보에 대한 뷰어 프로 그램과 함께 제공하는 의료기관 시스템과, 표준 데이터로 가공하기 위한 진료정보생성 프로그램 및 암호화된 진료 정보에 대한 뷰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진료정보에 대한 상세한 의료정보를 제공하 는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진료정보에 대한 상세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서 비스 시스템으로 요청하여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은, 환자의 진료정보가 저장된 의료기관 데이터 베이스와, 서비스 이용자로 부터의 진료요청정보를 접수하기 위한 접수수단과, 의료기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 를 추출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로 가공하고, 암호화(encoding)하기 위한 진료정보생성 수단과, 생성된 진료정보와 진료정보에 대한 뷰어 프로그램(viewer)을 첨부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암호화된 진료정보에 대한 해독키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해독키이요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 된 전송관련정보로부터 로그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로그파일저장수단과, 의료기관(타의료기관)으로부터 요청 된 진료정보 데이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진료정보 인증수행수단, 전송된 진료정보에 대한 해독키이를 생성하는 해독키이 생성수단과, 의료기관시스템으로부터 요청된 해당 사용자에게 진료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리고, 해독키 이를 전송하는 서비스 이용자 인증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의료정보를 제공 하며, 의료기관으로부터 전송받은 진료정보를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전송받아 서비스 이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각종 검사결과 및 진료결과에 대한 임상용어의 풀이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세 의료정보(재 가공된 진료정보)를 서비 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제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프로그램은 진료정보에 대한 확인의 기본기능외에 편집기능을 더 포함하고, 편집에 의 해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되면, 편집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정보를 진료정보에 포함시켜 새로운 편집된 진려정보 파일로 기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료정보 인증수행수단에서는 로그정보와 비교함에 있어서 상기 편집이 이루어 졌음을 알리는 정보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0095112A 2020-07-30 2020-07-30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15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12A KR20220015077A (ko) 2020-07-30 2020-07-30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12A KR20220015077A (ko) 2020-07-30 2020-07-30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077A true KR20220015077A (ko) 2022-02-08

Family

ID=8025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112A KR20220015077A (ko) 2020-07-30 2020-07-30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0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9251B1 (en) Portable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accessing personal data
US8195481B2 (en) Teleradiology image processing system
US6941271B1 (en) Method for accessing component fields of a patient record by applying access rules determined by the patient
CA2432141C (en) Computer oriented record administration system
JP4292199B2 (ja) 検証済み個人情報データベース
US81806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ssembling, managing, utilizing, and securely storing portable personal medical records
US200601845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ata analysis, performance estimation and data model creation
US8473310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CA2415157A1 (en) Broadband computer-based networked systems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US20090281836A1 (en) Personal medical record system
KR100594938B1 (ko)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AU2003251109B2 (en) Data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KR20220015077A (ko) 의료 정보 제공 전산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JP2003196385A (ja) 医療情報システムおよび医療情報の提供方法
US200200690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edical or consulting services
JP2005196394A (ja) 電子カルテ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20059300A1 (e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entralized management of medical images
KR100614033B1 (ko) 온라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122043B2 (ja) 機能提供サイトを有する診療支援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U2003265527B9 (en) Data management system
KR20230117932A (ko) 전자의무 기록장치와 연계된 모바일 문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559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medical file administration
JP2006079320A (ja) 診察予約システムと装置及び患者氏名表示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