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936A - 충전 도어 유니트 - Google Patents

충전 도어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936A
KR20220014936A KR1020200094395A KR20200094395A KR20220014936A KR 20220014936 A KR20220014936 A KR 20220014936A KR 1020200094395 A KR1020200094395 A KR 1020200094395A KR 20200094395 A KR20200094395 A KR 20200094395A KR 20220014936 A KR20220014936 A KR 2022001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charging
co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훈
최문규
최소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936A/ko
Publication of KR2022001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배치되는 충전부(200)와, 전기 차량에 배치되고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일단을 폐쇄 내지 개방시키는 도어 하우징(100)과,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도어 하우징(100)과 비직접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에 따른 신호 변화를 생성하는 커버 스위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도어 유니트{CHARGING UNIT FOR A VEHICLE WITH A OPEING DOOR}
본 발명은 전기 차량의 충전 도어로서, 전기 차량의 충전 도어 내지 충전 플러그를 감지하여 충전 상태 준비 내지 상태의 시각적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적 구조의 충전 도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근래 통상적인 내연기관의 구동 방식을 넘어, 전기 자동차 내지 수소 자동차등 비연소 방식의 미래형 차량들이 활발하게 연구 및 생산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 내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들이 구비되며, 차량의 측면 내지 전면에 충전 플러그 접속부가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충전 장치들은 도어의 개폐에 있어 단순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탑재하여, 이물로 인한 오작동 내지 차량이 운행되는 극악한 주변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조립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작동성을 강화시키며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의 근접 여부 등을 감지하고 이를 통한 전기 차량 도어 개폐의 동작을 허용 가능하게 하여 충전 도어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충전 상태를 인지 수반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배치되는 충전부(200)와, 전기 차량에 배치되고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일단을 폐쇄 내지 개방시키는 도어 하우징(100)과,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도어 하우징(100)과 비직접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에 따른 신호 변화를 생성하는 커버 스위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은: 전기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노출을 허용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를 연결하는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는 힌지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비접촉 스위칭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인덕티브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정전용량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가동에 따라 위치 변동 가능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와,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자성체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전도체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수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과 접촉하게 배치 가능한 커버 실러(5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간접 접촉되어 가동되는 가압 스위칭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가동에 따라 위치 변동 가능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와,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으로부터 가압력을 전달 받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과,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과,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의 가압 변형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고정부 스위치 센서(4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는: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위치 고정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와 맞물리어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을 향한 일면에 배치되어 가압력을 전달받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 내면과 접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단부와 접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타면과 접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 리브(42171)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부(200)를 통한 전기 차량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외측에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커버 스위치(400)가 비접촉 상태로 근접 감지하여 광출력 상태를 실행하는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은: 전기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노출을 허용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를 연결하는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광투과를 이루는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으로 상기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충전 웰컴 광출력부(7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부(200)를 통한 전기 차량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는 상기 커버 스위치(400)로부터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도어 하우징 커버(120)가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충전 웰컴 광출력 표시가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부(200)를 통한 전기 차량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에 전기 차량의 충전 상태 광출력 표시가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은: 전기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노출을 허용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를 연결하는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 측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의 가동을 단속시키는 커버 액츄에이터(3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는 제한된 공간에서 컴팩트한 장착성 확보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는, 충저 도어 유니트의 충전 상태 광출력부 및 충전 웰컴 광출력부를 통하여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의 근접 감지를 통한 사용 감성 증진 및 충전 상태의 시각적 인지를 통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개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의 일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다른 일예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커버 실러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커버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커버 스위치의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커버 스위치 변형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충전 상태 광출력부가 배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충전 상태 광출력부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커버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커버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의 개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충전 웰컴 광출력부의 개략적인 상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충전 웰컴 광출력부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의 충전 웰컴 광출력부의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도어 유니트(10)는 충전부(200)와, 도어 하우징(100)과, 커버 스위치(400)를 포함한다.
먼저, 충전부(200)는 전기 차량에 배치되는데, 충전부(200)는 외부 충전 장치(미도시)와의 커넥팅 접속을 통한 전기적 신호, 즉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로서, 충전부(200)는 전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된 차량 배터리에 연결되어, 외부 충전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차량 배터리로 전달하고,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미도시)의 배터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충전 장치의 충전 커넥터와의 접속 후 전력 신호의 입력의 허용 등이 제어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어 하우징(100)은 전기 차량에 배치되고 개방 여부에 따라 충전부(200)의 일단을 폐쇄 내지 개방시키는데, 도어 하우징(100)은 통상적인 내연기관 차량의 연료 주입구 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차량의 전면 통상적인 내연기관 차량이 래디에이터 그릴 측의 전면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 선정이 가능하다.
커버 스위치(400)는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되 도어 하우징(100)과 비직접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에 따른 신호 변화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도어 하우징(100)은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도어 하우징 바디(110)는 전기 차량에 고정 장착되고, 도어 하우징 커버(120)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도어 하우징 커버(12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는 힌지 구조로 형성되어,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도어 하우징 바디(110) 간의 안정적인 상대 회동 구조를 형성한다. 도 2에서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는 힌지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는 경우에 따라 슬라이딩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충전부(200)의 개폐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 측은 절곡 동작 가능한 형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등이 구비되어, 완전 개방시에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되,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통한 원위치 복귀를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스위치(400)는 비접촉 스위칭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커버 스위치(40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및/또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어 충전부(200) 측과의 접속을 위한 대기 상태로의 절환 여부를 비접촉 상태로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스위치(400)는 인덕티브 스위치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인덕티브 스위치 타입으로 구현되는 커버 스위치(400)로 구현되는 경우, 커버 스위치(40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와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덕티브 스위치 타입으로 구현되었으나, 이외에도 정전용량 스위치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정전용량 스위치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순 신체의 근접으로 인한 신호 변화와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의 근접 여부에 의한 신호 변화 간의 차이를 구분하는 구성이 더 포함되어 양자의 근접 간의 식별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가동에 따라 위치 변동 가능하다.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에 대응하여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고,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자성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자성체로 구현되고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티드 스위치 타입의 커버 스위치(400)의 자성체로 구현되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전도체로서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와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과 스위치 하우징 기판 고정부(425)와 스위치 고정부 센서(4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자성체로 구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전도체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에서의 신호 변화를 감지 가능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은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에 스위치 하우징 기판 고정부(425)를 통하여 고정되고,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상으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를 향하여 스위치 고정부 센서(426)가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커버 스위치(400)의 스위치 고정부(420)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수용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커버 스위치(400)의 스위치 고정부(420)는 별도의 하우징 구조 없이 도어 하우징(100)의 도어 하우징 바디(110)를 이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하우징(100)의 도어 하우징 바디(110)는 아우터 바디(111)와 이너 바디(113)를 포함하는데, 아우터 바디(111)는 이너 바디(113)를 덮는 구조를 형성하고, 이너 바디(113)의 일측에는 이너 바디 스위치 수용부(1131)가 형성되는데, 아우터 바디(111)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 바디 스위치 수용부(1131)를 덮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너바디 수용부(1131)와 아우터 바디(111) 사이에는 액체, 습기 등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실러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 이너 바디(113)의 상단 측에는 이너 바디 연결부 수용부(115)가 구비되고 이너 바디 연결부 수용부(115)의 일측에는 커버 액츄에이터(300)가 배치되는데, 이너 바디(113) 측에 하기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의 가동을 제한하기 위한 커버 액츄에이터(300)의 구동축이 이너 바디 연결부 수용부(115)에 배치되고, 이는 하기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에 연결되는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의 적어도 일측과 연결 내지 접촉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가동되는 커버 액츄에이터(200)와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 간의 직접 내지 간접적인 연결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 액츄에이터(300)는 본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로 구현되는데, 커버 액츄에이터(300)는 차량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거나 비작동하여 도어 하우징 케이스에 연결되는 도어 하우징 커버 연결부의 가동을 단속함으로써, 도어 하우징 커버의 개폐 상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 액츄에이터(300)와 도어 하우징 커버 연결부(130)의 연결은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버 액츄에이터(300)와 도어 하우징 커버 연결부(130) 간의 직간접적 연결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하나, 본 발명의 커버 액츄에이터(300)가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과 직접 내지 간접 연결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어 하우징 커버(120)는 아우터 커버(121)와 이너 커버(123)를 구비하고, 아우터 커버(121)와 이너 커버(123)는 서로 맞물리고 이너 커버(123)의 일면으로 아우터 바디(111)를 향한 일면에는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부(1231)가 형성되고,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부(1231)의 외주에는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 가이드(1233)이 배치되어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부(1231)에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아우터 바디(111)의 외주에는 아우터 바디 실러(117)가 배치되고, 아우터 바디(111)의 상면으로 마주하여 도어 하우징 커버(120)가 배치되는데, 아우터 바디 실러(117)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빗물, 습기, 이물 등의 충전부(200) 측으로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커버 실러(5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커버 실러(500)는 일단이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커버 실러(500)의 타단은 도어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과 간극을 제거 내지 최소화하는 구조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의 커버 스위치(400)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이너 커버(123)의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부(1231)의 외측에는 이너 커버 실러 안착부(1235)가 배치되는데, 이너 커버 실러 안착부(1235)에는 커버 실러(500)의 일단이 안착되어 위치 고정된다.
커버 실러(500)는 커버 실러 바디(510)와 커버 실러 브릿지(520)가 구비되는데, 커버 실러 바디(510)는 이너 커버 실러 안착부(1235)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고, 커버 실러 바디(51)의 타단에는 커버 실러 브릿지(520)가 배치된다. 커버 실러 브릿지(520)는 양측에서 일면에서 멀어질수록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형식의 배치 구조를 형성하고 커버 실러 브릿지(520)는 다소 간의 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 하우징 커버(120)가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리는 경우 커버 실러 브릿지(520)가 아우터 바디(111)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대 거리가 벌어지는 구조로 커버 실러 브릿지(520)와 아우터 바디(111)의 일면이 이루는 공간에 공기를 배출하여 다소 간의 기밀 흡착 상태를 형성하여, 커버 실러(500)의 내측 공간으로 이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충전부(200)로의 액체 등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성체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의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자성체로 구현되고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와 달리 내부에 직접 수용 배치되는 구성을 통하여 이너 커버(123)의 일면으로 아우터 바디(111)를 향한 일면에는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부(1231)가 형성되고,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부(1231)의 외주에는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 가이드(1233)이 배치되되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 가이드(1233)는 이너 커버 가동부 안착부(1231)를 완전히 덮어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수용 구조를 형성하여,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하우징 커버(120)과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일체의 혼합 재료 내지 자성체 혼합 재료로 형성되고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 측에 근접 영역을 형성하여 출력 신호의 변화를 생성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커버 스위치(400)는 비접촉 스위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10)는 직접적인 비접촉이나 간접적인 가압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도어 유니트(10)의 커버 스위치(40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간접 접촉되어 가동되는 가압 스위칭 구조일 수도 있다. 커버 스위치(40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와,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하는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가동에 따라 위치 변동 가능하고,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에 대응하여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고,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한다.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의 일면에서 일정한 크기, 도면 부호 d(도 9 참조)로 지시되는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과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과 스위치 고정부 스위치 센서(426)를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으로부터 가압력을 전달 받고,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이 가압력을 전달받는 경우 연계되어 가압 변형되고, 스위치 고정부 스위치 센서(426)는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가압 변형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즉, 궁극적으로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의 가압 변형에 의하여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 상의 스위치 고정부 스위치 센서(426)의 신호 변화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1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커버 스위치(400)의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가 매립형으로 완전 비접촉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커버 스위치(40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유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 스위치(40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간접 접촉되어 가동되는 가압 스위칭 구조일 수도 있다. 즉, 커버 스위치(40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와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하고,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가동에 따라 위치 변동 가능하고,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에 대응하여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고,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본 실시예에서 돌출 구조로 형성되는데, 앞선 도 7의 일실시예에서의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별도의 자성체 요소가 포함되지 않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간접적인 가압 전달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와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와 스위치 고정부 스위치 센서(426)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으로부터 가압력을 전달 받고,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은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이 가압력을 전달받는 경우 연계되어 가압 변형되고, 스위치 고정부 스위치 센서(426)는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가압 변형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와,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를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위치 고정 배치되고,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와 맞물리어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은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와,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와,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 리브(42171)를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을 향한 일면에 배치되어 가압력을 전달받는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을 향한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는 일단이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 내면과 접하고 타단이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단부와 접하고,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 내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는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이들 양단에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이 안착 지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 리브(42171)는 일단이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에 배치되고 타단이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타면과 접하는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는 위치 고정 상태를 형성하고,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 리브(42171)는 서로 이격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중앙 측에 접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상단이 전달되는 힘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가압력은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일면에 형성된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를 통하여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를 거쳐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에 전달되고,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는 중앙이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를 가압하여 소정의 변형을 발생시키고,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은 자체 내지 일면에 형성된 센서는 변형률을 감지하여 스위칭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간접적인 가압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내부의 기밀 상태가 확보됨으로써, 오작동 내지 불량 가능성을 차단 내지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간접적인 가압 구조의 커버 스위치(400)로 구현되는 경우, 장착 공간을 컴팩트화시키고 작동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상면부로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가 형성되는데, 아우터 바디(111)의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와 맞닿는 지점은 다른 지점보다 두께가 작은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아우터 바디(111)의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와 맞닿는 지점의 두께 t1은 인근의 다른 지점의 두께 t2보다 훨씬 작은 크기를 갖는 관계(t1<t2)를 형성하여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의 가동 동작 감응도를 강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10)는 충전부(200)의 충전 상태 내지 충전 준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10)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를 포함하는데,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는 도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충전부(200)를 통한 전기 차량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는 충전 상태 광출력 기판(610)과, 충전 상태 광원(620)과, 충전 상태 광전달부(630)를 포함한다.
충전 상태 광출력 기판(610)은 충전 도어 유니트의 도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도어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된다. 충전 상태 광출력 기판(61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충전 상태 광원(620)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충전 상태 광원은 복수 개가 복수의 라인으로 배치되는 경우로 형성되어 충전량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충전 상태 광원(20)은 LED 형태로 구현되나, 광을 생성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충전 상태 광전달부(630)는 충전 상태 광원(20)으로부터 입력되는 빛을 전달받아 빛을 고르게 분산 출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10)는 충전부의 충전 과정 중 충전 상태의 시각적 인지 외 충전 상태 준비를 위한 광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충전 도어 유니트(10)는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는 도어 하우징(100)의 외측에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가 근접하는 경우, 커버 스위치(400)가 비접촉 상태로 근접 감지하여 광출력 상태를 실행한다. 충전소에서 사용자 내지 운전자가 충전부(200)에 접속하는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미도시)를 근접시키는 경우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가 광출력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 작업자에게 충전 접속이 가능함을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하우징(100)은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를 구비함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는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와, 충전 웰컴 광출력부(710)를 포함한다.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광투과를 이루는데,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도록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동일한 색상 계열의 반투명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일면 일측에는 커버 광표시부(125)가 구비되고, 커버 광표시부(125)의 대응되는 위치에 충전 웰컴 광출력부(710)가 배치된다. 커버 광표시부(125)는 단순한 도형일 수도 있고, 플러그 표시일 수도 있는 등 디자인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충전 웰컴 광출력부(710)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으로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출사되는 빛을 생성한다.
충전 웰컴 광출력부(71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컴 광출력 하우징(711)과, 웰컴 광출력 광전달부(717)와, 웰컴 광출력 소자(715)와, 웰컴 광출력 기판(713)을 포함한다.
웰컴 광출력 하우징(711)의 내부에는 웰컴 광출력 광전달부(717)와 웰컴 광출력 소자(715)와 웰컴 광출력 기판(713)가 수용되는데, 웰컴 광출력 기판(713)의 일면에는 웰컴 광출력 소자(715)가 배치되고, 웰컴 광출력 소자(715)의 상단엔느 웰컴 광출력 광전달부(717)가 배치되어 웰컴 광출력 소자(715)에서 출사된 빛의 외부로의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와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는 택일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제어부(20)는 커버 스위치(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와 저장부(30)에 사전 설정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 및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에 광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와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가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스위치부(400)에서 감지되는 신호의 변화는 제어부(20)로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신호 전달을 이루는 저장부(30) 및 연산부(40)와 연결되고, 저장부(30)는 제어부(20)의 저장 제어 신호에 따라, 커버 스위치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저장하거나 차량의 다른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저장할 수 있고, 신호를 통한 사용자의 충전 플러그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연산부(40)는 제어부(20)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연산 과정을 거쳐 신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커버 스위치부(400)에서 감지된 신호의 변화 중,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의 가동에 의한 신호 변화 이외에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의 근접을 통한 신호 변화를 동시에 감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 근접 전용 센서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버 스위치부(400)에서 감지된 신호의 변화는 제어부(20)로 전달되고, 저장부(30)의 사전 설정 데이터 및 연산부(40)에서의 신호 처리를 통하여,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 및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로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의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게 하거나 및/또는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를 가지고 근접하는 경우 웰컴 광 표시를 통한 사용자의 충전부의 위치 인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는 차량에 사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분야의 적용이 가능하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단지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 도어 유니트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거나 웰컴 광 출력 기능 내지 충전 상태 표시 등의 제어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충전 도어 유니트의 구현에 있어 보다 세부적인 부가 신호를 통한 정교한 제어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전기 차량의 다양한 차량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커버 액츄에이터(300)의 동작 구현을 제어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차량 속도, 차량의 변속 레인지, 시동 신호, 차량의 도어락 잠금 상태 신호, 이모빌라이저 스마트키의 인증 신호 내지 스마트폰 앱을 통한 디지털키 신호 등을 이용하여 커버 액츄에이터(300)의 작동 상태 제어에 이용될 수 있는데, 차량이 P 변속 레인지 신호로, 차속이 영이고, 센트럴 도어락과 같은 차량 도어락의 상태가 락 상태이고,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가 근접하여 커버 스위치(400)의 신호 변화를 형성하여 스위칭하는 경우, 충전 도어 유니트에 대한 제어부는 충전 동작의 웰컴 광출력 표시와 더불어 커버 액츄에이터(300)의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개방 상태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의 충전부(200) 결속시 전기 차량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개방 후 타임 클락킹을 통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충전부(300) 접속 상태 비형성시 커버 액츄에이터(300)의 작동을 통한 폐쇄 동작 형성을 이룰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이 D 변속 레인지 신호로, 차속이 저속, 중속, 고속 여부에 따라, 커버 액츄에이터(300)의 작동을 통한 폐쇄 동작 형성을 이룰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10...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00...롤링 스위치 모듈 200...어라운드 스위치 모듈
300...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Claims (22)

  1. 전기 차량에 배치되는 충전부(200)와,
    전기 차량에 배치되고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일단을 폐쇄 내지 개방시키는 도어 하우징(100)과,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도어 하우징(100)과 비직접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개방 여부에 따른 신호 변화를 생성하는 커버 스위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은:
    전기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노출을 허용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를 연결하는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는 힌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비접촉 스위칭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인덕티브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정전용량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가동에 따라 위치 변동 가능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와,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 니트(10).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전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 니트(10).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수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2. 제 7항에 있어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과 접촉하게 배치 가능한 커버 실러(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간접 접촉되어 가동되는 가압 스위칭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의 가동에 따라 위치 변동 가능한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와,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가 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스위치 고정부(420)는: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으로부터 가압력을 전달 받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과,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과,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의 가압 변형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고정부 스위치 센서(4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421)는: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에 위치 고정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와 맞물리어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의 상기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 측을 향한 일면에 배치되어 가압력을 전달받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리브(4213)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4211) 내면과 접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일면 단부와 접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바디 기판 지지부(4215)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4217)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 고정부 기판(423)의 타면과 접하는 스위치 고정부 하우징 베이스 리브(4217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부(200)를 통한 전기 차량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외측에 전기 차량 충전 플러그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커버 스위치(400)가 비접촉 상태로 근접 감지하여 광출력 상태를 실행하는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은:
    전기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노출을 허용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를 연결하는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웰컴 광출력부(700)는: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 측에 배치되고 광투과를 이루는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 측으로 상기 충전 웰컴 광투과부(72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충전 웰컴 광출력부(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부(200)를 통한 전기 차량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는 상기 커버 스위치(400)로부터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도어 하우징 커버(120)가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충전 웰컴 광출력 표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부(200)를 통한 전기 차량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커버 스위치(400)는 커버 스위치 가동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상태 광출력부(600)에 전기 차량의 충전 상태 광출력 표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100)은: 전기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의 노출을 허용하는 도어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도어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도어 하우징 커버(120)를 연결하는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 측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 하우징 연결부(130)의 가동을 단속시키는 커버 액츄에이터(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도어 유니트(10).


KR1020200094395A 2020-07-29 2020-07-29 충전 도어 유니트 KR20220014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95A KR20220014936A (ko) 2020-07-29 2020-07-29 충전 도어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95A KR20220014936A (ko) 2020-07-29 2020-07-29 충전 도어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36A true KR20220014936A (ko) 2022-02-08

Family

ID=8025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395A KR20220014936A (ko) 2020-07-29 2020-07-29 충전 도어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9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9164A1 (de) * 2022-04-27 2023-11-0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augruppe für eine ladestecker-kopplungs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9164A1 (de) * 2022-04-27 2023-11-0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augruppe für eine ladestecker-kopplungsein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8223B2 (ja) 充電リッドの開閉検出装置
US9327594B2 (en) Access system for vehicle energy storage device with magnetic sensor to detect access door position
US8720968B2 (en) Charge port door with electromagnetic latching assembly
US9412530B2 (en) Switch device
CN101142369A (zh) 开闭装置
CN111668643B (zh) 用于连接和断开电气线路的插塞连接器装置
KR20220014936A (ko) 충전 도어 유니트
EP3041203A1 (en) Mobile phone docking device of inside mirror
CN114982075A (zh) 具有传感器装置的插式连接器部件
CN114127876A (zh) 具有可移动开关元件的致动装置、车辆以及致动方法
CN105027036B (zh) 用于方向盘的具有光学手指导航模块的操作装置
JP2000152512A (ja) 充電装置
US20230391210A1 (en) Locking devic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KR101080586B1 (ko) 차량용 키리스 버튼 스위치 유니트
JP2019507700A (ja) 外力により非接触式で調節可能な閉鎖フラップを含む調節機構
CN114450184A (zh) 充电或燃料补给凹口
CN210390939U (zh) 用于车辆的非接触式室内灯装置
US20110121925A1 (e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n electronic immobilizer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immobilizer
GB2599152A (en) Sliding charging inlet cover
KR102070357B1 (ko) 자동차
JP2015116970A (ja) 車両用情報表示窓
KR101240748B1 (ko) 전기자동차용 전원공급장치
KR20240065412A (ko) 충전 도어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 도어 시스템
KR101133809B1 (ko) 중립 스위치 유니트
KR20240062409A (ko) 충전 도어 유니트 및 충전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