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906A - Core biopsy device - Google Patents

Core biops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906A
KR20220014906A KR1020220008584A KR20220008584A KR20220014906A KR 20220014906 A KR20220014906 A KR 20220014906A KR 1020220008584 A KR1020220008584 A KR 1020220008584A KR 20220008584 A KR20220008584 A KR 20220008584A KR 20220014906 A KR20220014906 A KR 20220014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using
needle
un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2431B1 (en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00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431B1/en
Publication of KR2022001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06A/en
Priority to KR1020220073425A priority patent/KR1025337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tting biopsy instrument which comprises: a needle set comprising an outer needle part and an inner needle part formed to pass through the outer needle part;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therein so that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is disposed; a holder part formed to control th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and having at least one region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supporting part disposed toward one surface of the outer region of the housing where the holder part is disposed,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region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outside of the housing among the region of the hold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ssues can be easily collected and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Description

절단 생검 기구{Core biopsy device}Cutting biopsy device {Core biopsy device}

본 발명은 절단 생검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흡인생검과 절단생검이 존재한다.In general, for the examination of living tissue, a method of injecting an instrument capable of sampling a living tissue into a living tissue and collecting a tissue to be sampled from among the living tissue is used. These types include aspiration biopsy and amputation biopsy.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 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흡인생검에 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Recently, excised biopsy, which can be ob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histological form is completely maintained by cutting tissue according to the shape of a needle, and can increase diagnostic accurac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ase of amputation biopsy, it has been widely used compared to suction biopsy in recent years because it minimizes the diameter of the needle inserted into the affected part, minimizes repetitive invasive behavior, and enables precise treatment on small specimens.

그러나 이러한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기구를 삽입 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제대로 침투하지 못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이러한 기구를 정밀하게 다루는데 한계가 있어, 검사 대상에 대한 통증 감소 및 생체 조직에 대한 조직 채취의 정확성와 안정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inserting an instrument to collect such living tissue, it may not be able to properly penetrate the capsule tissue or hard calcified tissue, and there is a limit in the user's ability to precisely handle these instruments, reducing pain for the test subject and living tissue.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issue harvest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조직 채취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xcised biopsy device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and easily improves tissue harvest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겉침부 및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속침부를 구비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홀더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영역 중 상기 홀더부가 배치되는 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의 영역 중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edle set having an outer needle and an inner needle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needle,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inside to place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The holder portion formed to control the movement and at least one area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one surface of the outer area of the housing facing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holder portion is disposed, among the area of the holder por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Disclosed is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comprising a support disposed to surround an area exposed to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겉침부는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고 상기 홀더부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chimney portion may include a portion connected to the holder portion and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holder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part and the support part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by a user's manipula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홈에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groove,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is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support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고정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고정 대응부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가 동시에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part includes a fix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includes a stationary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and the fixing part and the fixed counterpart are connected to be formed such that the holder part and the support part move at the same time. ca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하우징에 제1 블록과 인라인을 이루도록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 상기 제2 블록에 결합된 제2 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비된 밀폐 공간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needle having a tissue harvesting groove, and an outer needle provided shorter than the inner needle to cover the inner needle and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need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A needle set,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therein so that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is disposed, a second needl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uter needle, the inner needle passes through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 block, a second block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form in-line with the first block, the needle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block provid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 A second spring coupled to the second block and located in the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a seal provided to increase or decrease in volume according to the mo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comprising a space is disclo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losed space is provided to change the volume in association with the motion of the second block, and the cut biopsy device, the second block starts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increases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outer needle starts to move in a direction to close the opened tissue harvesting groove may be provided to be the sam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losed space is provided to change the volume in association with the motion of the second block, and the cut biopsy device, the second block starts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increases The first time point may be provided to be earlier than the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outer needle starts to move in a direction to close the opened tissue harvesting groov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적어도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losed space is provided to change the volum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at least the first block, and the cut biopsy device, the first block, starts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increases. The first time point, the outer needle, may be provided to be earlier than the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movement start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opened tissue harvesting groov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속침부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지지 챔버부 및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챔버부 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피스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챔버부 내에서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ner needle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chamber part located in the housing, and the inner needle part further includes a piston part penetrating through and reciprocating in the chamber part, the sealed space being the piston in the chamber part. It can be formed by wealth.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셋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압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located in the housing, the set of needles are provided to pass through, it may further include a pneumatic control unit including a flow path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절단 생검 기구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조직 채취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The amputation biops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easily improve tissue harvesting characteristic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지지부를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1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연결 챔버부와 제1 핸들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8는 도 27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의 겉침부 및 속침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3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4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챔버부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39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도 39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챔버부 및 피스톤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공기압 제어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FIG. 1 .
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older part and the support part of the biopsy cutting instrument of FIG. 1 .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biopsy cutting instrument of FIG. 1 .
FIG.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upport part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of FIG. 1 .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1 ;
13 and 14 are views illustrating the housing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15 and 16 are views illustrating a needle se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pport portion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18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of FIG. 17 viewed from one direction.
1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rst block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FIG. 2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econd block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2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nd the spring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2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cond block and the spring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2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eedle part and a support chamber par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2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chamber part and the first handle.
FIG. 2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ner needle part and the support chamber par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2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7 .
FIG. 29 is a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of FIG. 27;
30 and 31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uter needle part and the inner needle part of the needle se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27, respectively.
3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irst block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of FIG. 27 ;
33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block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of FIG. 27;
3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nd the spring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27 .
3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cond block and the spring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27 .
FIG. 3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support chamb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27 .
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FIG. 39 .
4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hamber part and the piston par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FIG. 39 .
4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cutting biopsy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of FIG. 42 .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m.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otherwis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K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disclosing a cut biopsy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K of FIG. 1, and FIGS. 3 to 6 are the holder portion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upport par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는 니들셋, 하우징(10),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cutting biops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needle set, a housing 10 , a holder part 330 , and a support part 340 .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는 생검 대상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조직의 채취를 수행할 수 있다.The cutting biops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 a biopsy subject, and may perform collection of necessary tissue for a biopsy subject.

니들셋은 겉침부(21) 및 속침부(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edle set may include an outer needle 21 and an inner needle 20 .

니들셋은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니들셋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The needleset can pierce the epidermis of a biopsy target and collect tissue. For example, the needle set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to penetrate the epidermis of the biopsy target.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바깥에 배치되고, 예를들면 겉침부(21)의 외경은 속침부(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The outer needle 21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needle 20 , and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needle 21 may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needle 20 .

이를 통하여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바깥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uter needle part 21 can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while being disposed outside the inner needle part 20 .

예를들면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part 21 is formed on a pipe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needle part 20 ,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inner needle part 20 .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1) 또는 속침부(20)는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하여 수용하는 조직 채취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20)는 조직 채취홈을 포함하여, 속침부(20)의 조직 채취홈(미도시)은 겉침부(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21)로 덮이거나 겉침부(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outer needle unit 21 or the inner needle unit 20 may include a tissue collection groove (not shown) for collecting and receiving a tissue to be biopsied, for example, the inner needle unit 20 is a tissue collection groove. Including,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not shown) of the inner needle part 20 may be covered with the outer needle part 21 or not covered with the outer needle part 2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uter needle part 21 .

이러한 조직 채취홈(미도시)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20)는 하우징(10)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속침부(20)의 후진 방향(D2) 단부는 하우징(10)의 일 영역에 직접 또는 지지챔버부(미도시)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Such a tissue harvesting groove (not shown) may have a structure of a groove that is opened upward or downward. The needle needle 2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housing 10 in the axial direction D, and the end of the needle needle 2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is directly in an area of the housing 10 or a support chamber part. It can be fixed through (not shown).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조직 채취홈(미도시)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일단에 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부(20)를 기준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겉침부(21)의 날(미도시)은 속침부(20)의 단부와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침부(20)의 단부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outer needle part 21 has a blade (not shown) formed at one end to cut the tissue received in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not shown) of the inner needle part 20 , and reciprocates based on the inner needle part 20 . It may be provided to exercise. The blade (not shown) of the outer needle unit 21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at of the end of the inner needle 2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n inclin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nd of the inner needle 20 . can be provided.

이러한 니들셋은 하우징(10)을 통과해 하우징(10)의 선단 홀(15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This needle set passes through the housing 10 and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tip hole 151 of the housing 10 .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겉침부(21)와 속침부(2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은 속침부(20)의 조직 채취 홈(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겉침부(21)의 일 영역, 예를들면 단부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홀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겉침부(21)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홀(미도시)을 통해 겉침부(21)의 내부 공간에 음압을 형성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needle part 21 and the inner needle part 20 , and this space is a tissue harvesting groove (not shown) of the inner needle part 20 . ) can be connected to A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one region, for example, an end of the outer needle 21 , and the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D, and the space inside the outer needle 21 and can be communicated. It is possible to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needle 21 through such a hole (not shown).

하우징(10)은 절단 생검 기구(100)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배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be a case for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100 and may include an arrangement space therein.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에 도시된 니들셋의 속침부(20) 및 겉침부(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may be disposed in an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 . For example, at least one region of the inner needle part 20 and the outer needle part 21 of the needle set shown in FIG. 1 may be disposed in an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 .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된 채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for example,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needle part 21 may be moved while being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 for example,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can move to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and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예를들면 홀더부(330)는 겉침부(21)에 연결될 수 있고, 홀더부(330)는 겉침부(21)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홀더부(330)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 시 홀더부(330)와 연결된 겉침부(21)는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고, 홀더부(330)가 후진 방향(D2)으로 이동 시 홀더부(330)와 연결된 겉침부(21)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der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needle part 21 , and the holder part 330 may move together with the outer needle part 21 .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holder part 3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the outer needle part 21 connected to the holder part 3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nd the holder part 33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When moving to the outer needle part 21 connected to the holder part 330 may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D2).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330)는 관통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홀더부(330)의 관통부에 속침부(20)가 배치되고, 홀더부(330)의 운동 시 속침부(20)는 홀더부(330)의 관통부에 대응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older part 330 includes a penetrating part (not shown), the inserting part 20 is disposed in the penetrating part of the holder part 330 , and the inserting part 20 dur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part 330 . ) may correspond to the penetrating part of the holder part 330 .

홀더부(330)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Further details of the holder unit 330 will be described later.

지지부(340)는 홀더부(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는 홈을 갖도록 형성되고, 홀더부(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지지부(340)의 홈에 배치되어 홀더부(330)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340 is formed to have a groove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330 is disposed,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330 is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support part 340 to form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330 . It may be formed to surround.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40)는 하우징(10)에 연결된 채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하우징(10)에 지지부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지지부(340)는 이러한 지지부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art 340 may be formed to move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using 10 .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guide groove is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the support part 340 is such a It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guide groov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40)는 홀더부(330)의 운동 시, 적어도 일 시점에서 홀더부(330)와 동시에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art 340 may be formed to simultaneously move with the holder part 330 at at least one point in time when the holder part 330 moves.

지지부(340)가 홀더부(330)와 함께 운동하는 것을 포함하여 절단 생검 기구(100)를 사용하여 생검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홀더부(330)를 조작하고, 이에 따라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구체적 예로서 겉침부(21)에 대한 운동 조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 user performing a biopsy using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100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340 together with the holder part 330 easily manipulates the holder part 330 , and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 , as a specific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ed with the movement operation for the outer needle (2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상기 하우징(10)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D).

선택적 실시예로서 발사 유닛(180)이 하우징(10)에 위치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ring unit 180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10 .

상기 발사 유닛(180)은 제1 발사 유닛(182) 및 제2 발사 유닛(18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ing unit 180 may include a first firing unit 182 and a second firing unit 183 .

제1 발사 유닛(182)은 상기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대략 직각인 방향, 구체적 예로서 도 1의 Z축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ring unit 182 has elasticity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D, for exampl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specif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Z axis of FIG. 1 , a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housing 10 . can be

제2 발사 유닛(183)은 제1 발사 유닛(182)의 단부로부터 하우징(10)을 향하여 연장된 것으로, 사용자가 발사 유닛(180)을 누름에 따라 하우징(10)과 인접할 수 잇다.The second firing unit 183 extends from the end of the first firing unit 182 toward the housing 10 , and may be adjacent to the housing 10 as the user presses the firing unit 180 .

이러한 발사 유닛(180)은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발사 유닛(182)은 일단이 하우징(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발사 유닛(180)을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발사 유닛(180)과 하우징(10)의 조립이라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firing unit 18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0 . In particular, the first firing unit 182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 . As such, by integrally molding the firing unit 180 with the housing 10,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ing unit 180 and the housing 10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mass productivity. have.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500)이 하우징(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핸들(51)은 하우징(10)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ading unit 50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 . For example, the first handle 51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10 .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0)의 일단에 힌지 축(미도시)이 위치하고, 이러한 힌지 축에 장전 유닛(500)의 제1 핸들(5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a hinge shaft (not shown)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0 , and the first handle 51 of the loading unit 500 may be hinge-coupled to the hinge shaft.

힌지 축(미도시)는 하우징(10)의 영역 중 일 영역, 예를들면 축 방향(D)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D1)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 또는 후진 방향(D2)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axis (not shown) is located in one of the regions of the housing 10, for example,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end of the forward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D or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end of the backward direction D2. can be plac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500)은 제1 핸들(51)과 커넥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ading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handle 51 and a connector 52 .

제1 핸들(51)은 일 영역, 예를들면 일 단부가 하우징(10)의 힌지 축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개방된 것일 수 있다. The first handle 51 may have one region, for example, one end being hinged with the hinge shaft of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being open.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핸들(51) 또는 하우징(10)은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제1 핸들(51)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 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handle 51 or the housing 10 may include one or more stoppers to limit the rotation angle when the first handle 51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상기 커넥터(52)는 일단이 제1 핸들(51)의 대략 중앙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부재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connector 52 may be hinged rotatably around the center of the first handle 51 ,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face a member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 . .

커넥터(52)와 제1 핸들(51)의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 부재(5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52)의 타단이 전진 방향(D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A separate elastic member 5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or 52 and the first handle 51 ,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52 may receive an elastic forc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제1 핸들(51)은, 커넥터(52)가 회동해 제1 핸들(51)과 중첩되는 자리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핸들(51)이 하우징(10)에 인접하게 회동한 상태에서 커넥터(52)는 홈 내에 위치하므로, 커넥터(52)가 제1 핸들(51)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handle 51 may include a groov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52 rotates and overlaps the first handle 51 , so that the first handle 51 is adjacent to the housing 10 . Since the connector 52 is positioned in the groove in the rotat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52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handle 51 .

하우징(1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1 핸들(51)과 힌지 결합하는 영역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잠금 유닛(161)이 위치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161 may be located in one area of the housing 10 , for example, in an area adjacent to the opposite end of the area hinged with the first handle 51 .

잠금 유닛(161)은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핸들(51)의 홀(51a)이 잠금 유닛(161)에 걸릴 수 있다.The locking unit 161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D, for examp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locking unit 161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and the hole 51a of the first handle 51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unit. (161) can be caught.

잠금 유닛(161)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 핸들(5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161 may be provided to have elastic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us the fixing to the first handle 51 may be released by a simple manipulation of the user.

잠금 유닛(161)은 하우징(10)에 형성 또는 제1 핸들(5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161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 or form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handle 51 .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잠금 유닛(161)은 니들셋을 지지하는 영역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20)를 지지하는 연결 챔버부(미도시)에 결합되도록 형성 또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ck unit 16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a region supporting the needle set, for example, formed or extended to be coupled to a connection chamber unit (not shown) supporting the needle set 20 . It can be formed to be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51)은 잠금 유닛(161)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핸들(51)은 금속 및/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재질의 특성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handle 5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while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10 by the locking unit 161 . The first handle 51 may be formed of a metal and/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제1 핸들(51)은 잠금 유닛(161)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또는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에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이 눌리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제1 핸들(51)은 그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 예컨대 잠금 유닛(161)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handle 51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by the locking unit 161, approximat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or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internal arrangement space of the housing 10 . Since the portion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first handle 51 may hav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cking unit 161 .

이와 같이 제1 핸들(51)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경우 제1 핸들(51)이 잠금 유닛(161)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포텐셜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갈고리 형태의 잠금 유닛(161)을 가볍게 터치함으로써 제1 핸들(51)의 잠금 유닛(161)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제1 핸들(51)에 대한 조작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rst handle 51 ha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handle 51 has a potential in a direction to release the coupling by the lock unit 161,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hook By lightly touching the locking unit 161 of the form, the coupling by the locking unit 161 of the first handle 51 can be released. This may improve the user's handling characteristics for the first handle 51 .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older part and the support part of the biopsy cutting instrument of FIG. 1 .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and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도 3을 참조하면 홀더부(330)는 일 영역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330)는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one area of the holder part 3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In addition, the holder part 330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for example,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21)와 연결되고, 홀더부(330)의 운동에 따라 겉침부(21)도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21)는 홀더부(330)와 함께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older part 330 is connected to one of the needle sets,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part 21, and the outer needle part 21 may als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older part 330.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21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together with the holder 330 .

또한 홀더부(330)는 일 영역에 고정부(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331)를 통하여 홀더부(330)는 지지부(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part 330 may include a fixing part 331 in one area, and the holder part 330 may move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340 through the fixing part 331 .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33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부(331), 조작 핸들(332), 탄성부(335), 홀더 본체(333), 홀더 가이드(33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holder part 330 may include a fixing part 331 , an operation handle 332 , an elastic part 335 , a holder body 333 , and a holder guide 337 as an optional embodiment.

홀더 본체(333)는 겉침부(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333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needle 21 .

탄성부(335)는 홀더 본체(333)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될 수 있는 형태로서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된 후에 홀더부(330)가 운동할 수 있고, 폭이 증가되면 홀더부(330)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335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333 and has a shape that can be reduced in width by elasticity, and after the width is reduced by elasticity, the holder part 330 can move, and when the width is increased, Movement of the holder part 330 may be limited.

탄성부(335)는 홀더 본체(333)와 연결되고 홀더 본체(333)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335 may have a shape that is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333 and increases in width as it goes away from the holder body 333 , and may include an open end shape.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 본체(333)의 일면에 홀더 가이드(337)가 배치되고, 이러한 홀더 가이드(337)는 돌출 또는 오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0)의 내에서 홀더 본체(333)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10)의 내면에 홀더 가이드(337)에 대응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holder guide 337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333 , and the holder guide 337 may have a protruding or concave shape, and the holder body 333 is formed within the housing 10 . Exercise can be guided. For exampl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guide 33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조작 핸들(332)는 탄성부(335)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조작 핸들(332)을 통하여 탄성부(335)에 압력을 가하고 탄성부(335)의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 핸들(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탄성부(335)의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핸들(332)을 누른 채로 홀더부(330)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하게 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handle 332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335 , and the width of the elastic part 335 may be chang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elastic part 335 through the manipulation handle 332 .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elastic portion 335 may be reduced through the user's pressing on the operation handle 332 , and the holder 3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while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handle 332 . It can be made to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D2).

조작 핸들(332)는 탄성부(335)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manipulation handle 332 may have an extended shape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from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335 .

고정부(331)는 조작 핸들(33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조작 핸들(332)과 굴곡진 형태로서, 예를들면 갈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33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manipulation handle 332 , and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the manipulation handle 332 , for example, a hook shape.

고정부(331)를 통하여 홀더부(330)는 지지부(340)와 연결된 채 지지부(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Through the fixing part 331 , the holder part 330 may move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34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40 .

이를 통하여 홀더부(33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holder part 330 .

도시하지 않았으나 홀더부(330)는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갖고, 이러한 관통 영역에 속침부(20)가 대응될 수 있고, 홀더부(330)는 겉침부(21)와 함께 속침부(20)의 외면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holder part 330 has a penetrating area therein, and the inner needle part 20 may correspond to this penetrating region, and the holder part 330 is the inner needle part 20 together with the outer needle part 21 . You can exercise along the outside.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340)는 메인 영역(341) 및 연장 영역(342), 조작홈(346) 및 고정 대응부(343)을 포함할 수 있다.3 and 5 , the support 340 may include a main region 341 , an extension region 342 , an operation groove 346 , and a fixed counterpart 343 .

메인 영역(341)은 홀더부(33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region 341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330 , for example, may be formed to surround one region of the manipulation handle 332 of the holder part 330 .

예를들면 메인 영역(341)에 형성된 조작홈(346)에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22)이 대응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ipulation handle 322 of the holder part 330 may correspond to the manipulation groove 346 formed in the main region 341 .

메인 영역(341)는 하우징(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일면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341)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하우징 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하우징 가이드(미도시)를 통하여 하우징(10)에 연결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의 한계가 정의될 수 있다.The main region 341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 , and may move in a forward direction D1 or a backward direction D2 while being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 .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in region 341 may include a housing guide (not shown) that protrudes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housing guide (not shown). It can move in a forward direction (D1) or a backward direction (D2) and limits of movement can be defined.

조작홈(346)의 일 영역에 고정 대응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A fixed counterpart 343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manipulation groove 346 .

고정 대응부(343)에 전술한 홀더부(330)의 고정부(331)가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조작 핸들(332)에 압력을 주면 고정부(331)가 고정 대응부(343)를 향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이 계속되면 고정부(331)는 고정 대응부(34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331 of the above-described holder part 330 may correspond to the fixing corresponding part 343, for example,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operation handle 332 through a user's operation, the fixing part 331 is fixed. It can move toward the corresponding part 343 , and when the movement continues, the fixing part 331 may be caught by the fixed counterpart 343 and be fixed.

고정부(331)가 고정 대응부(343)에 걸려 고정된 후에, 사용자가 조작 핸들(332)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조작할 경우 홀더부(330)가 운동하고, 홀더부(330)와 연결된 지지부(340)도 홀더부(33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After the fixing part 331 is caught by the fixing counterpart 343 and fixed,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handle 332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the holder part 330 moves and the support part 340 connected to the holder part 330 may also move together with the holder part 330 .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겉침부(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어서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감소하거나 방지하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user intends to exercise with respect to the outer needle 21, for exampl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a hand, for example, one finger, is moved to the holder portion 330 and the support portion 340. It can be manipulated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stylus to reduce or prevent pain in the fingers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nipulation.

연장 영역(342)은 메인 영역(341)에 연결되는 영역으로서, 적어도 일 영역에서 메인 영역(341)과 대응하지 않는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높이(ha)를 가질 수 있다.The extension region 342 is a region connected to the main region 341 and may include an exposed reg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in region 341 in at least one region, and the exposed region may have a height ha. .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은 메인 영역(341) 중 전진 방향(D1)으로의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exposed area having such a height ha may be adjacent to an end of the main area 341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이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 핸들(332)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handle 332 of the holder part 330 may correspond to the exposed area having such a height ha, and through this, the user may easily manipulate the manipulation handle 332 .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342)의 두께는 노출 영역에 인접한 영역보다 노출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이 더 두꺼울 수 있고, 예를들면 연장 영역(342)은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region 342 may be greater in a region remote from the exposed region than in an region adjacent to the exposed region, for example, the extended region 342 may have a height ha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region. It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342)의 측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연장 영역(342)의 측면 중 상기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을 향하는 측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area 342 , and as a specific example,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area 342 facing the exposed area having the height ha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사용자가 겉침부(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연장 영역(342)의 측면, 예를들면 측면의 곡면에 대한 지지를 통하여 조작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tends to exercise with respect to the outer needle 21, for exampl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a hand, specifically, one finger, is moved against the holder portion 330 and the support portion 340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applying pressure togeth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operation by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ded area 342 , for example, the curved surface of the side surface.

도 6을 참조하면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홀더부(330)의 탄성부(335)에 대한 폭을 감소하여 홀더부(330)의 운동을 의도 시 조작 핸들(332)는 하우징(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조작 핸들(332)은 지지부(340)의 두께(H)에 대응하거나 두께(H)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width of the elastic part 335 of the holder part 330 is reduced through the pressing of the manipulation handle 332 of the holder part 330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holder part 330 to be intentional. The 332 may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 and the manipulation handle 332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H of the support 340 or may not deviate from the thickness H.

이를 통하여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에 대한 조작 시 사용자가 지지부(340)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 예를들면 조작 핸들(332)의 돌출된 협소한 영역만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여 손가락의 협소한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handle 332 of the holder unit 330,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support unit 340, and unnecessary pressure on the user's finger is applied,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handle. Only the narrow protruding area of 332 may contact the user's hand and reduce or prevent concentration of stress in the narrow area of the finger.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biopsy cutting instrument of FIG. 1 .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을 기준으로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는 후진 방향(2)으로 R1만큼 이동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holder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340 are shown to have moved by R1 in the reverse direction 2 based on FIG. 6 .

사용자는 홀더부(330)에 대한 압력을 주면서 홀더부(330)를 이동할 수 있고, 이 때, 홀더부(330)에 인접한 지지부(340)도 함께 손가락으로 접촉하면서 지지부(340)에도 동시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를 용이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홀더부(330)에 연결된 겉침부(21)도 홀더부(330)와 같은 방향, 예를들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user may move the holder part 330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holder part 330 , and 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340 adjacent to the holder part 330 is also in contact with the finger while applying a force to the support part 340 at the same time. can appl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holder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340 , and accordingly, the outer needle part 21 connected to the holder part 330 is also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lder part 330 , for example, in the reverse direction. You can move to (D2).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330)의 고정부(331)가 지지부(340)에 고정 대응부(343)에 걸려서 홀더부(330)가 지지부(340)에 고정될 수 있고, 홀더부(330)와 지지부(340)가 일체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한 접촉을 하면서 힘을 주며 이동하고자 할 때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가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xing part 331 of the holder part 330 is caught by the fixing counterpart 343 on the support part 340 so that the holder part 33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art 340 , and the holder part The holder 330 and the support 340 are easily moved when the user 330 and the support 340 are moved integrally and the user wants to move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holder 330 and the support 340 while applying force. can exercise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좀 더 넓은 시야를 기준으로 볼 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절단 생검 기구(100)에 대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한 후진 방향(D2)으로 R1만큼 이동하면, 이에 따라 홀더부(330)와 연결된 겉침부(21)가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viewed from a wider field of view in the same way, in the reverse direction D2 for the holder 330 and the support 340 with respect to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100 . When it moves by R1, the outer needle part 21 connected to the holder part 330 may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D2 accordingly.

겉침부(21)가 후진 방향(D2)로 이동하면 속침부(20)의 영역 중 겉침부(21)로 덮여있던 일 영역이 노출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20)의 조직 채취홈(202)이 노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생검 대상의 조직이 조직 채취홈(202)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고, 절단 생검 기구(100)를 생검 대상 기구의 피부로부터 완전히 꺼낸 뒤에 조직 채취홈(202)을 노출시켜 채취된 조직을 떼어내어 필요한 검사, 처리 등을 위하여 후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When the outer needle 21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one area covered by the outer needle 21 among the regions of the inner needle 20 may be exposed, for example,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of the inner needle 20 202 may be exposed. For example, the tissue to be biopsy may be accommodated in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202, and after the cut biopsy instrument 100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skin of the biopsy object, the tissue harvested by exposing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202 is collected. It can be removed and follow-up procedures can be carried out for necessary inspection, processing, etc.

도 10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upport part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of FIG. 1 .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340')는 메인 영역(341') 및 연장 영역(342'), 조작홈(미도시) 및 고정 대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support part 340 ′ may include a main region 341 ′, an extension region 342 ′, a manipulation groove (not shown), and a fixed counterpart (not show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지지부(34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ifferent points from the support part 34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의 지지부(340')는 상면에, 예를들면 연장 영역(342')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concave portions 344 ′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40 ′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region 342 ′.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오목부(344')가 서로 이격되어 연장 영역(342')의 상면, 예를들면 사용자가 조작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손가락을 향하는 면에 오목부(344')가 형성되어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34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concave portion 34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region 342', for example, a surface facing a finger used when a user wants to operate. has been

이러한 오목부(344')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접촉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를 이동하고자 할 때 손가락의 미끌어짐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가하는 힘이 지지부(34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드럽게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가 효과적으로 운동하여 겉침부에 대한 운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user's finger contacts the holder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340' through the concave part 344' to reduce or prevent slippage of the finger when the holder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340' are moved. Thus, the force applied through the user's finger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support 340'. As a result, the holder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340 ′ move effectively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outer needle part.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는 니들셋을 통하여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셋은 하우징의 내에 일 영역이 배치된 채 적어도 하나가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겉침부가 적어도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collect a tissue of a biopsy target through a needle set. At least one of these needle sets may be moved while a region i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nd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may be moved in at least a forward direction or a backward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의 내측에 배치된 속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된 조직 채취홈에 생검 대상의 조직이 채취될 수 있다. 이러한 채취된 조직은 절단 생검 기구가 생검 대상으로부터 꺼낸 후에 떼어낼 수 있는데, 이 때 겉침부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후진 방향으로의 운동을 통하여 채취된 조직을 노출한후에 떼어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tissue to be biopsied may be collected in a tissue collection groove formed in an area of the inner needle unit disposed inside the outer needle unit. The harvested tissue can be removed after the cutting biopsy device is removed from the biopsy object, and at this time, the harvested tissue can be removed after exposing the harvested tissue through a movement to the outer needle, for example, a backward movement.

사용자는 홀더부를 통하여 홀더부에 연결된 겉침부를 이동하게 할 수 있는데, 이 때 홀더부와 함께 지지부에 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하여 홀더부에 대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하여 홀더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the outer needle connected to the holder part through the holder part. At this time, by moving the user's finger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together with the holder part,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holder part is reduced, so that the holder part is damaged or damaged. damage can be reduced or prevented.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홀더부와만 접촉하여 손가락의 통증이 증가되는 것을 감소하여 홀더부 및 지지부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하면서 홀더부가 지지부와 운동하도록 하여 겉침부가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s finger on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er part, the increase in pain in the finger is reduced, so that the holder part moves with the support part while making the finger contact with the holder part and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outer needle part can be moved smoothly and efficiently.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사용자의 보다 많은 힘이 넓은 면적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손가락을 통하여 압력을 가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절단 생검 기구를 통한 조작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more force of the user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a large area through the user's finger, thereby reducing or preventing the user from unnecessarily applying pressure through the finger, thereby improving the manipulation precision through the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부분 단면도이다.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ut biopsy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1 .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을 도시한 도면이다.13 and 14 are views illustrating the housing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and FIGS. 15 and 16 are views illustrating the needle set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0)는 니들셋, 하우징(1010),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tting biopsy device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needle set, a housing 1010 , a holder unit 1330 , and a support unit 1340 .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0)는 생검 대상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조직의 채취를 수행할 수 있다.The cutting biopsy device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 a biopsy subject, and may perform collection of necessary tissue for a biopsy subject.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0)는 하우징(1010)의 내측에 배치된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을 포함할 수 있다.Also,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utting biopsy device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lock 1030 and a second block 104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10 .

니들셋은 겉침부(1021) 및 속침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edle set may include an outer needle portion 1021 and an inner needle portion 1020 .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을 도시한 도면이고, 구체적으로 도 1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겉침부(1021)를 속침부(1020)에서 완전히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15 and 16 are views showing the needle se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and specifically, FIG. 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er needle part 1021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ner needle part 10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ave.

니들셋은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니들셋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The needleset can pierce the epidermis of a biopsy target and collect tissue. For example, the needle set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to penetrate the epidermis of the biopsy target.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바깥에 배치되고, 예를들면 겉침부(1021)의 외경은 속침부(10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The outer needle part 1021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needle part 1020 , and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needle part 1021 may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needle part 1020 .

이를 통하여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바깥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uter needle unit 1021 can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while being disposed outside the inner needle unit 1020 .

예를들면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10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portion 1021 is formed on a pipe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needle portion 1020 ,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inner needle portion 1020 .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021) 또는 속침부(1020)는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하여 수용하는 조직 채취홈(1202)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1020)는 조직 채취홈(1202)을 포함하여,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은 겉침부(10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1021)로 덮이거나 겉침부(10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outer needle part 1021 or the inner needle part 1020 may include a tissue harvesting groove 1202 for collecting and receiving tissue to be biopsied, for example, the inner needle part 1020 may include a tissue harvesting groove ( Including 1202 ,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1202 of the inner needle 1020 may be covered with the outer needle 1021 or not covered with the outer needle 102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uter needle 1021 .

이러한 조직 채취홈(1202)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1020)는 하우징(10)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속침부(20)의 후진 방향(D2) 단부는 하우징(10)의 일 영역에 직접 또는 지지 챔버부(미도시)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tissue harvesting groove 1202 may have a structure of a groove that is opened upward or downward. The fastening part 102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housing 10 in the axial direction (D), and the end of the inserting needle part 2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is directly in an area of the housing 10 or a support chamber part. It can be fixed through (not shown).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일단에 날(1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부(1020)를 기준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겉침부(1021)의 날(1212)은 속침부(1020)의 단부와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침부(1020)의 단부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outer needle unit 1021 has a blade 1212 formed at one end to cut the tissue received in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1202 of the inner needle unit 1020, and reciprocates based on the inner needle unit 1020. can be provided. The blade 1212 of the outer needle 1021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at of the end of the inner needle 10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nd of the inner needle 1020. can be

이러한 니들셋은 하우징(1010)을 통과해 하우징(1010)의 선단부(1091)의 선단 홀(10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This needle set passes through the housing 1010 and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tip hole 1012 of the tip 1091 of the housing 1010 .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겉침부(1021)와 속침부(102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은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에 연결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needle unit 1021 and the inner needle unit 1020 , and this space is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1202 of the inner needle unit 1020 . can be connected to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021)의 일 영역, 예를들면 단부에는 홀(12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홀(1211)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겉침부(1021)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홀(1211)을 통해 겉침부(1021)의 내부 공간에 음압을 형성시킬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hole 1211 may be formed in an area, for example, an end of the outer needle 1021, and the hole 1211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D, and the outer needle part ( 1021)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needle 1021 through the hole 1211 .

하우징(1010)은 절단 생검 기구(1000)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배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10 may be a case for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1000 and may include an arrangement space therein.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예를들면 도 13은 절단 생검 기구(1000)의 외부 일측에서 본 하우징(1010)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일 수 있고 도 14는 절단 생검 기구(1000)의 내부 일측에서 본 하우징(1010)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일 수 있다.13 and 14 are views illustrating the housing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for example, FIG. 13 is a schematic view of a region of the housing 1010 as view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1000 and FIG. 14 may be a schematic view of a region of the housing 1010 as viewed from an inner side of the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1000 .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니들셋의 속침부(1020) 및 겉침부(10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may be disposed in an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10 . For example, at least one region of the inner needle part 1020 and the outer needle part 1021 of the needle set may be disposed in an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10 .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10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된 채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for example,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needle 1021 may move while being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10, for exampl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can move to

구체적 예로서 상기 하우징(1010)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중공부(10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공부(1011)는 니들셋이 관통하는 것 외에는 대략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10)은 중공부(1011)와 연통하는 제1 개구(1110)를 가지며, 이 제1 개구(1110)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블록(1040)과 장전 유닛(1500)이 연결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housing 10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D), and may include a hollow portion 1011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D) therein. The hollow portion 1011 may form an approximately sealed space except for the needle set to pass through. The housing 1010 has a first opening 111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art 1011, and the second block 1040 and the loading unit 1500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have.

선택적 실시예로서 발사 유닛(1180)이 하우징(1010)에 위치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 firing unit 1180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1010 .

상기 발사 유닛(1180)은 제1 발사 유닛(1182) 및 제2 발사 유닛(118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ing unit 1180 may include a first firing unit 1182 and a second firing unit 1183 .

제1 발사 유닛(1182)은 상기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대략 직각인 방향, 구체적 예로서 도 11의 Z축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하우징(101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ring unit 1182 has elasticity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D, for exampl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specif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Z axis of FIG. 11 , a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housing 1010 . can be

*제2 발사 유닛(1183)은 제1 발사 유닛(1182)의 단부로부터 하우징(1010)을 향하여 연장된 것으로, 사용자가 발사 유닛(1180)을 누름에 따라 하우징(1010)과 인접할 수 잇다.*The second firing unit 1183 extends from the end of the first firing unit 1182 towards the housing 1010 , and may abut the housing 1010 as the user depresses the firing unit 1180 .

이러한 발사 유닛(1180)은 하우징(10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발사 유닛(1182)은 일단이 하우징(10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발사 유닛(1180)을 하우징(1010)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발사 유닛(1180)과 하우징(1010)의 조립이라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firing unit 118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010 . In particular, the first firing unit 1182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10 . As such, by integrally molding the launch unit 1180 with the housing 1010,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launch unit 1180 and the housing 1010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mass productivity. have.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1500)이 하우징(10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핸들(1051)은 하우징(1010)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ading unit 150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10 . For example, the first handle 1051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1010 .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010)의 일단에 힌지 축(1017)이 위치하고, 이러한 힌지 축(1017)에 장전 유닛(1500)의 제1 핸들(105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a hinge shaft 1017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010 , and the first handle 1051 of the loading unit 1500 may be hinged to the hinge shaft 1017 .

힌지 축(1017)는 하우징(1010)의 영역 중 일 영역, 예를들면 축 방향(D)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D1)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 또는 후진 방향(D2)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shaft 1017 is disposed in one of the regions of the housing 1010 , for example, in a region adjacent to an end in the forward direction D1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D or in a region adjacent to an en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 can be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1500)은 제1 핸들(1051)과 커넥터(1052)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ading unit 1500 may include a first handle 1051 and a connector 1052 .

제1 핸들(1051)은 일 영역, 예를들면 일 단부가 하우징(1010)의 힌지 축(1017)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개방된 것일 수 있다. The first handle 1051 may have one region, for example, one end being hinged with the hinge shaft 1017 of the housing 1010 and the other end being open.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1051) 또는 하우징(1010)은 하나 이상의 스토퍼(1171)를 포함하여 제1 핸들(1051)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 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handle 1051 or the housing 1010 may include one or more stoppers 1171 to limit the rotation angle when the first handle 1051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상기 커넥터(1052)는 일단이 제1 핸들(1051)의 대략 중앙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부재, 예를들면 제2 블록(1040)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connector 1052 may be hinged rotatably around the center of the first handle 1051 , and the other end is a member disposed in an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10 , for example, a second block It may be provided to face 1040.

커넥터(1052)와 제1 핸들(1051)의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 부재(105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1052)의 타단이 전진 방향(D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A separate elastic member 105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or 1052 and the first handle 1051 ,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1052 may receive an elastic forc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제1 핸들(1051)은, 커넥터(1052)가 회동해 제1 핸들(1051)과 중첩되는 자리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핸들(1051)이 하우징(1010)에 인접하게 회동한 상태에서 커넥터(1052)는 홈 내에 위치하므로, 커넥터(1052)가 제1 핸들(1051)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handle 1051 may include a groov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1052 rotates to overlap the first handle 1051 , so that the first handle 1051 is adjacent to the housing 1010 . Since the connector 1052 is located in the groove in the rotat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1052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handle 1051 .

하우징(101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1 핸들(1051)과 힌지 결합하는 영역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잠금 유닛(1160)이 위치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1160 may be located in one area of the housing 1010 , for example, in an area adjacent to the opposite end of the area hinged with the first handle 1051 .

잠금 유닛(1160)은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핸들(1051)의 홀(1051a, 도 24참고)이 잠금 유닛(1160)에 걸릴 수 있다.The locking unit 1160 extend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D, for examp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nd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and a hole 1051a of the first handle 1051, see FIG. 24 . ) may be caught in the locking unit 1160 .

잠금 유닛(1160)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 핸들(105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1160 may be provided to have elastic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us the fixing of the first handle 1051 may be released by a simple manipulation of the user.

잠금 유닛(1160)은 하우징(1010)에 형성 또는 제1 핸들(105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1160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10 or in one area of the first handle 1051 .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잠금 유닛(1160)은 니들셋을 지지하는 영역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1020)를 지지하는 지지 챔버부(1400)에 결합되도록 형성 또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후술할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cking unit 116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a region supporting the needle set, for example, formed or extended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supporting the needle set 1020 . may be 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1051)은 잠금 유닛(1160)에 의해 하우징(10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핸들(1051)은 금속 및/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재질의 특성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handle 105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while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1010 by the locking unit 1160 . The first handle 1051 may be formed of a metal and/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제1 핸들(1051)은 잠금 유닛(1160)에 의해 하우징(10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10) 또는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에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이 눌리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제1 핸들(1051)은 그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 예컨대 잠금 유닛(116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handle 1051 is coupled to the housing 1010 by the locking unit 1160, approximat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10 or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arrangement space inside the housing 1010 . Since the portion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first handle 1051 may hav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cking unit 1160 .

이와 같이 제1 핸들(1051)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경우 제1 핸들(1051)이 잠금 유닛(1160)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포텐셜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갈고리 형태의 잠금 유닛(1160)을 가볍게 터치함으로써 제1 핸들(1051)의 잠금 유닛(1160)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제1 핸들(1051)에 대한 조작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handle 1051 ha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handle 1051 has a potential in a direction to release the coupling by the lock unit 1160,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hook By lightly touching the locking unit 1160 of the shape, the coupling by the locking unit 1160 of the first handle 1051 may be released. This may improve the user's handling characteristics for the first handle 1051 .

상기 하우징(1010)은 제1 지지 유닛(1013) 및 제2 지지 유닛(10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1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unit 1013 and a second support unit 1014 .

상기 제1 지지 유닛(1013)은 적어도 장전 위치에서 제1 블록(10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록(1030)에게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유닛(1013)은 하우징(1010)에 형성된 제2 개구(1111)의 후진 방향(D2)의 단부가 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unit 1013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block 1030 at least at the loading position to provide the first block 1030 with resistanc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unit 1013 may be an end of the second opening 1111 formed in the housing 101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

제2 발사 유닛(1183)은, 제1 지지 유닛(1013)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발사 시 제1 지지 유닛(1013)에 걸려 있는 제1 블록(1030)의 일부를 눌러 제1 지지 유닛(1013)에 대한 제1 블록(1030)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The second firing unit 1183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ing unit 1013 and, upon firing, presses a portion of the first block 1030 hanging from the first supporting unit 1013 to the first supporting unit 1013 . ) to release the jam of the first block 1030.

상기 제2 지지 유닛(1014)은 적어도 장전 위치에서 제2 블록(10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블록(1040)에게 스프링(1050)의 탄성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 유닛(1014)은 하우징(1010)에 형성된 제1 개구(1110)로부터 후진 방향(D2)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탄성 지지체일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block 1040 at least at the loading position to provide the second block 1040 with resistanc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050 .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may be an elastic support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opening 1110 formed in the housing 1010 toward the backward direction D2 .

제2 지지 유닛(1014)의 일단은 하우징(1010)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1142)은 일단으로부터 중공부(11)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 유닛(1014)의 타단(142)은 하우징(1010)으로부터 분리되어 일단(141)을 중심으로 일정 정도 탄성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사 동작에 의해 제1 블록(1030)이 제2 블록(104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 블록(1030)이 제2 지지 유닛(1014)을 누름에 따라 제2 블록(1040)과 제2 지지 유닛(1014)간의 선택적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is coupled to the housing 1010 , and the other end 1142 extends from one end to be inclined toward the hollow portion 11 . The other end 142 of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10 and elastically moved around the end 141 to a certain extent. Accordingly, as the first block 1030 moves toward the second block 1040 by the user's firing opera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the first block 1030 presses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the second The selective coupling between the block 104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may be released.

한편, 상기 하우징(1010)은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개구(1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1133)는 하우징(10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 데, 예컨대 발사 유닛(1180)에 인접한 하우징(10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3 , the housing 10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pening 1133 . The third opening 113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10 , for example,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10 adjacent to the firing unit 1180 .

제3 개구(1133)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부(133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조작 핸들(1332)이 하우징(10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조작 핸들(1332)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third opening 1133 , a region of the holder part 1330 ,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0 ,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 be able to

또한, 제3 개구(1133)와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4 개구(1134)가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4 개구(1134)는 제3 개구(1134)와 이격되도록 제3 개구(1134)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개구(1134)를 통하여 후술할 지지부(1340)가 하우징(1010)의 외측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홀더부(133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fourth openings 1134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third openings 1133 , and for example, the fourth openings 11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openings 1134 .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A support part 134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0 through the fourth opening 1134 and may move together with the holder part 133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홀더부(11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unit 1133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and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예를들면 홀더부(1330)는 겉침부(1021)에 연결될 수 있고, 홀더부(1330)는 겉침부(1021)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홀더부(1330)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 시 홀더부(1330)와 연결된 겉침부(1021)는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고, 홀더부(1330)가 후진 방향(D2)으로 이동 시 홀더부(1330)와 연결된 겉침부(1021)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der unit 133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needle unit 1021 , and the holder unit 1330 may move together with the outer needle unit 1021 .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holder 13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the outer needle 1021 connected to the holder 13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nd the holder 133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When moving to the outer needle portion 1021 connected to the holder portion 1330 may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D2).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1330)는 관통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홀더부(1330)의 관통부에 속침부(1020)가 배치되고, 홀더부(1330)의 운동 시 속침부(1020)는 홀더부(1330)의 관통부에 대응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older part 1330 includes a penetrating part (not shown), the insert 1020 is disposed in the penetrating part of the holder part 1330 , and the insert part 1020 during movement of the holder part 1330 . ) may correspond to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holder unit 1330 .

홀더부(1330)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Further details of the holder unit 133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7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지지부를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pport part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and FIG. 18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part of FIG. 17 viewed from one direction.

지지부(1340)는 홀더부(1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는 홈을 갖도록 형성되고, 홀더부(1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지지부(1340)의 홈에 배치되어 홀더부(1330)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340 is formed to have a groove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1330 is disposed,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1330 is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support part 1340 to form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1330 . It may be formed to surround.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40)는 하우징(1010)에 연결된 채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하우징(1010)의 제4 개구(1134)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부재(1345)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art 1340 may be formed to move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using 1010 , for example, a guide to correspond to the fourth opening 1134 of the housing 1010 described above. member 1345 may be includ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40)는 홀더부(1330)의 운동 시, 적어도 일 시점에서 홀더부(1330)와 동시에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unit 1340 may be formed to simultaneously move with the holder unit 1330 at at least one point in time when the holder unit 1330 moves.

지지부(1340)가 홀더부(1330)와 함께 운동하는 것을 포함하여 절단 생검 기구(1000)를 사용하여 생검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홀더부(1330)를 조작하고, 이에 따라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구체적 예로서 겉침부(1021)에 대한 운동 조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 user performing a biopsy using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1000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unit 1340 together with the holder unit 1330 easily manipulates the holder unit 1330, and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 as a specific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ed with the movement operation for the outer needle (1021).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1340)는 메인 영역(1341) 및 연장 영역(1342), 조작홈(1346) 및 고정 대응부(1343)를 포함할 수 있다.17 and 18 , the support 1340 may include a main area 1341 , an extension area 1342 , an operation groove 1346 , and a fixed counterpart 1343 .

메인 영역(1341)은 홀더부(133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region 1341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unit 1330 , for example, may be formed to surround one region of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of the holder unit 1330 .

예를들면 메인 영역(1341)에 형성된 조작홈(1346)에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이 대응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of the holder unit 1330 may correspond to the manipulation groove 1346 formed in the main region 1341 .

메인 영역(1341)은 하우징(10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10)의 일면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1341)는 하우징(10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가이드 부재(134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 부재(1345)를 통하여 하우징(1010)에 연결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의 한계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대로 제4 개구(1134)의 길이 방향으로 운동하고 제4 개구(1134)의 길이를 넘지 않도록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45)는 복수 개로 형성, 예를들면 조작홈(1346)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1330)의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지부(1340)가 운동할 수 있다.The main region 1341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10 , and may move in a forward direction D1 or a backward direction D2 while being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10 .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in region 1341 may include a guide member 1345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10 ,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10 through the guide member 1345 in the forward direction. It can move in (D1) or backward direction (D2) and the limits of the motion can be defined.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may be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ning 1134 and not exceed the length of the fourth opening 1134 .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1345 may be formed, for example, two on both sides with the manipulation groove 1346 therebetween. Through this, the support part 1340 can move without affect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part 1330 .

조작홈(1346)의 일 영역에 고정 대응부(134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대응부(1343)는 조작홈(1346)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bar)형태일 수 있고, 걸림부가 될 수 있다.A fixed counterpart 1343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manipulation groove 1346 . The fixed counterpart 1343 may be in the form of a ba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groove 1346 , and may be a locking part.

고정 대응부(1343)에 홀더부(1330)의 고정부(1331)가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조작 핸들(1332)에 압력을 주면 고정부(1331)가 고정 대응부(1343)를 향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이 계속되면 고정부(1331)는 고정 대응부(134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The fixed portion 1331 of the holder unit 1330 may correspond to the fixed counterpart 1343 , and, for exampl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operation handle 1332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the fixed portion 1331 may be a fixed counterpart. It can move toward the 1343 , and when the movement continues, the fixing part 1331 can be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fixing counterpart 1343 .

고정부(1331)가 고정 대응부(1343)에 걸려 고정된 후에, 사용자가 조작 핸들(1332)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조작할 경우 홀더부(1330)가 운동하고, 홀더부(1330)와 연결된 지지부(1340)도 홀더부(133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After the fixing part 1331 is caught by the fixing counterpart 1343 and fix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the holder part 1330 moves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340 connected to the holder part 1330 may also move together with the holder part 1330 .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겉침부(10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어서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감소하거나 방지하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user intends to make the user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the outer needle unit 1021, for example, a hand, specifically, one finger, the holder unit 1330 and the support unit 1340. It can be manipulated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stylus to reduce or prevent pain in the fingers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nipulation.

연장 영역(1342)은 메인 영역(1341)에 연결되는 영역으로서, 적어도 일 영역에서 메인 영역(1341)과 대응하지 않는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높이(ha)를 가질 수 있다.The extension area 1342 is an area connected to the main area 1341 and may include an exposed area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in area 1341 in at least one area, and the exposed area may have a height ha. .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은 메인 영역(1341) 중 전진 방향(D1)으로의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posed area having such a height ha may be adjacent to an end of the main area 1341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이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 핸들(1332)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handle 1332 of the holder unit 1330 may correspond to the exposed area having such a height ha, and through this, the user may easily manipulate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1342)의 두께는 노출 영역에 인접한 영역보다 노출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이 더 두꺼울 수 있고, 예를들면 연장 영역(1342)은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region 1342 may be greater in a region remote from the exposed region than in a region adjacent to the exposed region, for example, the extended region 1342 may have a height ha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region. It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1342)의 측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연장 영역(1342)의 측면 중 상기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을 향하는 측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area 1342 , and as a specific example,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area 1342 facing the exposed area having the height ha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사용자가 겉침부(10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연장 영역(1342)의 측면, 예를들면 측면의 곡면에 대한 지지를 통하여 조작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exercise with respect to the outer needle unit 1021, for example,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a hand, for example, one finger,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holder unit 1330 and the support unit 1340.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applying pressure togeth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operation by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ded area 1342 , for example, the curved surface of the side surface.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홀더부(1330)의 탄성부(1335)에 대한 폭을 감소하여 홀더부(1330)의 운동을 의도 시 조작 핸들(1332)는 하우징(10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조작 핸들(1332)은 지지부(1340)의 전체 두께에 대응하거나 전체 두께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holder portion 1330 intends to move the holder portion 1330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elastic portion 1335 of the holder portion 1330 through pressing the operation handle 1332, the operation handle 1332 is the housing. Moving toward the inside of the 1010 ,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may correspond to or not deviate from the full thickness of the support 1340 .

이를 통하여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에 대한 조작 시 사용자가 지지부(1340)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 예를들면 조작 핸들(1332)의 돌출된 협소한 영역만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여 손가락의 협소한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of the holder 1330,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support 1340, and unnecessary pressure on the user's finger is applied,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handle. Only the narrow protruding area of 1332 may contact the user's hand to reduce or prevent concentration of stress in the narrow area of the finger.

본 실시예의 지지부(1340)는 상면에, 예를들면 연장 영역(1342)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1344)가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concave portions 134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340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region 1342 .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오목부(1344)가 서로 이격되어 연장 영역(1342)의 상면, 예를들면 사용자가 조작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손가락을 향하는 면에 오목부(1344)가 형성되어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34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ncave portion 134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region 1342 , for example, a surface facing a finger used when a user wants to operate.

이러한 오목부(1344)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접촉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1340)를 이동하고자 할 때 손가락의 미끌어짐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가하는 힘이 지지부(134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드럽게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가 효과적으로 운동하여 겉침부에 대한 운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s finger contacts the holder part 1330 and the support part 1340 through the concave part 1344 to move the holder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1340, the sliding of the finger is reduced or prevented by reducing or preventing the user's finger. A force applied through a finger may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support unit 1340 . As a result, the holder part 1330 and the support part 1340 move effectively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outer needle part.

도 19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1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rst block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제1 블록(1030)에는 홀더부(1330)가 배치될 수 있고, 홀더부(1330)는 제1 블록(1030)에 수용된 채 운동할 수 있다.A holder unit 13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lock 1030 , and the holder unit 1330 may mov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block 1030 .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and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홀더부(1330)는 일 영역이 하우징(10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330)는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One region of the holder unit 13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0 . In addition, the holder unit 1330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for example,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1330)는 니들셋의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1021)와 연결되고, 홀더부(1330)의 운동에 따라 겉침부(1021)도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1021)는 홀더부(1330)와 함께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older unit 1330 is connected to one of the needle sets,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unit 1021,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older unit 1330, the outer needle unit 1021 may also move together.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1021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together with the holder 1330 .

또한 홀더부(1330)는 일 영역에 고정부(1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1331)를 통하여 홀더부(1330)는 지지부(1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unit 1330 may include a fixing part 1331 in one region, and the holder part 1330 may move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1340 through the fixing part 1331 .

홀더부(133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부(1331), 조작 핸들(1332), 탄성부(1335), 홀더 본체(1333), 홀더 가이드(1337)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older unit 1330 may include a fixing unit 1331 , an operation handle 1332 , an elastic unit 1335 , a holder body 1333 , and a holder guide 1337 .

홀더 본체(1333)는 겉침부(10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1333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needle 1021 .

탄성부(1335)는 홀더 본체(1333)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될 수 있는 형태로서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된 후에 홀더부(1330)가 운동할 수 있고, 폭이 증가되면 홀더부(1330)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1335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1333,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can be reduced by elasticity. After the width is reduced by the elasticity, the holder part 1330 can move, and when the width is increased, Movement of the holder unit 1330 may be limited.

탄성부(1335)는 홀더 본체(1333)와 연결되고 홀더 본체(1333)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1335 may have a shape that is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1333 and increases in width as it goes away from the holder body 1333 , and may include a shape with an open end.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 본체(1333)의 일면에 홀더 가이드(1337)가 배치되고, 이러한 홀더 가이드(1337)는 돌출 또는 오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010)의 내에서 홀더 본체(1333)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1010)의 내면에 홀더 가이드(1337)에 대응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holder guide 1337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1333 , and the holder guide 1337 may have a protruding or concave shape, and the holder body 1333 is formed within the housing 1010 . Exercise can be guided. For exampl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guide 133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0 .

조작 핸들(1332)은 탄성부(1335)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조작 핸들(1332)을 통하여 탄성부(1335)에 압력을 가하고 탄성부(1335)의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 핸들(1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탄성부(1335)의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핸들(1332)을 누른 채로 홀더부(1330)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하게 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handle 1332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1335 , and may apply pressure to the elastic part 1335 through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 and the width of the elastic part 1335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elastic portion 1335 may be reduced through the user's pressing on the operation handle 1332 , and the holder 13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while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handle 1332 . It can be made to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D2).

조작 핸들(1332)은 탄성부(1335)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10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manipulation handle 1332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1335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10 .

고정부(1331)는 조작 핸들(133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조작 핸들(1332)과 굴곡진 형태로서, 예를들면 갈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33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 and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 for example, a hook shape.

고정부(1331)를 통하여 홀더부(1330)는 지지부(1340)와 연결된 채 지지부(1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The holder part 1330 may move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134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340 through the fixing part 1331 .

이를 통하여 홀더부(133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holder unit 1330 .

홀더부(1330)는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갖고, 이러한 관통 영역에 속침부(1020)가 대응될 수 있고, 속침부(1020)는 홀더부(1330)를 관통하여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holder unit 1330 has a penetrating region therein, and the insert 1020 may correspond to the penetrating region, and the insert unit 1020 passes through the holder unit 1330 and extend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can

홀더부(1330)는 겉침부(1021)와 함께 속침부(20)의 외면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The holder unit 1330 may mov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needle unit 20 together with the outer needle unit 1021 .

제1 블록(1030)은 하우징(101)의 중공부(1011) 내에 위치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블록(1030)은 베이스(1301)와 커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01)는 홀더부(1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1304)을 구비하며, 일측에 개구(1305)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block 1030 is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1011 of the housing 101 . Referring to FIG. 19 , the first block 1030 may include a base 1301 and a cover 1302 . The base 1301 has an inner space 1304 so that the holder part 1330 can be coupled, and an opening 1305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of the holder part 1330 is exposed through this. can

상기 베이스(1301)는 개구(1305)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3 지지 유닛(1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유닛(1303)은 베이스(1301)의 바닥 측벽으로부터 내측 공간(1304)을 향해 돌출된 쐐기 형상일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홀더부(133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공간(1304)을 향해 돌출된 돌기 형상일 수 있는 데, 예컨대 홀더부(133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base 1301 may include a third support unit 1303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1305 . The third support unit 1303 may have a wedge shape protruding from the bottom sidewall of the base 1301 toward the inner space 1304, and thus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block the movement of the holder unit 1330.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toward the space 1304 . For example, any shape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selectively blocks the movement of the holder 1330 .

홀더부(1330)는 제1 블록(1030)내에 장착될 수 있고, 제1 블록(10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홀더부(1330)의 탄성부(1335)는 제3 지지 유닛(1303)에 의해 선택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holder unit 1330 may be mounted in the first block 1030 , and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1030 . The position of the elastic part 1335 of the holder part 1330 may be selectively fixed by the third support unit 1303 .

예를들면 홀더부(1330)가 제1 블록(1030)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부(1335)의 단부는 제3 지지 유닛(1303)에 걸려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탄성부(1335)가 외부 압력, 예를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제1 블록(1030)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휘어질 경우, 탄성부(1335)의 단부와 제3 지지 유닛(1303)의 걸림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part 133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block 1030 , the end of the elastic part 1335 may remain hung on the third support unit 1303 . When the elastic part 1335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1030 by an external pressure,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pressure, the end of the elastic part 1335 and the third support unit The jammed state of 1303 may be released.

상기 커버(1302)는 베이스(1301)와 결합되는 데, 커버(1302)의 표면에는 제1 블록(10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된 제1 고정 유닛(10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유닛(1031)은 커버(130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갖게 움직일 수 있다. 장전 상태에서 이 제1 고정 유닛(1031)이 제1 지지 유닛(1013)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제1 블록(1030)의 움직임이 제1 지지 유닛(1013)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도 14 참조). The cover 1302 is coupled to the base 1301, a first fixing unit 1031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1302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1030. This may be provided. The first fixing unit 103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cover 1302 , and can move with elasticit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In the loaded state, the first fixing unit 1031 is caught by the first supporting unit 1013 , and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 1030 may be constrained by the first supporting unit 1013 (see FIG. 14 ). ).

상기 발사 유닛(1180)의 제2 발사 유닛(118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고정 유닛(1031)을 누르게 되는 데, 이에 따라 제1 고정 유닛(1031)의 제1 지지 유닛(1013)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The second firing unit 1182 of the firing unit 1180 presses the first fixing unit 1031 by a user's manipulation, and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ing unit 1013 of the first fixing unit 1031 is fixation may be released.

상기 제1 블록(1030)은 해제 유닛(10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 유닛(1032)은 제1 블록(1030)의 제2 블록(1040)을 향한 부분에 위치하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1040)을 향해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제 유닛(1032)은 제2 블록(1040)을 향해 연장된 판상 부재일 수 있다.The first block 1030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unit 1032 . The release unit 1032 is located in the portion facing the second block 1040 of the first block 1030, and is provided to exten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oward the second block 10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lease unit 1032 may be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toward the second block 1040 .

도 20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FIG. 2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econd block of the cut biopsy instrument of FIG. 11 .

제2 블록(1040)은 상기 중공부(1011) 내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상기 속침부(1020)가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블록(1030)과 상기 축 방향(D)을 따라 인라인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블록(1040)은 제1 블록(1030)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1040 may be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1011 , and is provided so that the inner needle portion 1020 passes therethrough, and is in-line with the first block 1030 along the axial direction (D). may be arranged to be alig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the second block 104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block 1030 .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블록(1040)은 스프링(11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150)은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the second block 10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upled to a spring 1150 . The spring 115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151 and a second portion 1152 .

제1 부분(1151)은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1152)은 제2 블록(104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블록(104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portion 11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 The second part 1152 may be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cond block 1040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lock 1040 .

상기 제2 블록(1040)은 제4 지지 유닛(10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지지 유닛(1043)은 장전 유닛(1500)을 향해 형성될 수 있는 데, 제2 블록(1040)의 바닥면에 단차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4 지지 유닛(1043)은 전술한 도 12의 커넥터(1052)의 타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핸들(1051)을 잡고 한 손으로 하우징(1010)의 방향으로 쥠에 따라 커넥터(1052)가 제4 지지 유닛(1043)에 지지된 상태로 제2 블록(104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1040 may include a fourth support unit 1043 . The fourth support unit 1043 may be formed toward the loading unit 1500 , and may be provided to have a step differen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lock 1040 . The fourth support unit 1043 is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1052 of FIG. 12 described above can be supported. Accordingly, as the user holds the first handle 1051 and grips it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10 with one hand, the connector 1052 is supported by the fourth support unit 1043 and the second block 1040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You can move to (D2).

제2 블록(1040)은 제2 고정 유닛(1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유닛(1042)은 제2 블록(1040)에 상기 축 방향(D)에 교차하는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상된 단차부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유닛(1042)에 의해 제2 블록(1040)이 후진 방향(D2)으로 진행한 후 장전 상태에서, 제2 지지 유닛(1014)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block 1040 may include a second fixing unit 1042 . The second fixing unit 1042 may be a step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or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D in the second block 1040 . The second block 104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in the loaded state after the second block 1040 proceed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the second fixing unit 104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2 고정 유닛(1042)과, 제1 블록(1030)의 해제 유닛(1032)은 서로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전 시 제2 블록(1040)이 후진 방향(D2)으로 진행할 때 제2 지지 유닛(1014)을 넘어 진행하게 되는 데, 하우징(101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제2 지지 유닛(1014)의 타단(1142)이 제2 고정 유닛(1042)에 닿아 제2 블록(1040)을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사 조작에 의해 제1 블록(1030)이 제2 블록(1040)에 가까워지도록 진행하면 제1 블록(1030)의 해제 유닛(1032)이 제2 고정 유닛(1042)에 결합되는 데, 이에 따라 제2 지지 유닛(1104)의 타단(1142)을 누르게 되고, 결국 상기 타단(1142)의 제2 고정 유닛(1042)에 대한 지지는 해제된다. 이 경우 스프링(1150)에 의해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전진 방향(D1)으로 진행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fixing unit 1042 and the releasing unit 1032 of the first block 10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shape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second block 1040 proceed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during loading, it proceeds beyond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that is not fixed to the housing 1010 ( 1142 touches the second fixing unit 1042 to fix the second block 1040 .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block 1030 proceeds to approach the second block 1040 by the user's firing operation, the release unit 1032 of the first block 103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unit 1042 . Accordingly, the other end 1142 of the second support unit 1104 is pressed, and as a result, the support for the second fixing unit 1042 of the other end 1142 is released. 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pring 1150 , they proceed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t the same time.

도 21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nd the spring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상기 스프링(1050)은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부분(1151) 및 제2 부분(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1040)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부분(1151)은 상기 제1 블록(1030)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록(1040)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부분(1152)은 상기 하우징(1010) 또는 지지 챔버부(1400)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spring 105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151 and a second portion 1152 . A first portion 1151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econd block 104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block 1030 , and a second portion 1152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lock 1040 . may be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housing 1010 or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

장전된 상태, 즉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1151)은 상기 제1 블록(1030)에 대하여 축방향(D)과 평행한 후진 방향(D2)으로의 제1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부분(1152)은 상기 제2 블록(1040)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D)과 평행한 전진 방향(D1)으로 제2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 loaded stat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are sufficiently spaced apart, the first part 1151 moves backward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D with respect to the first block 1030 . A first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D2 may be provided, and the second portion 1152 may apply a second elastic force in a forward direction D1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1040 . can provide

상기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은 서로 다른 스프링 피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상기 제1 부분(1151)의 스프링 피치가 상기 제2 부분(1152)의 스프링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The first part 1151 and the second part 1152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spring pitches, and the spring pitch of the first part 1151 is smaller than the spring pitch of the second part 1152. can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은 서로 다른 스프링 피치를 가지나, 각 부분은 균일한 스프링 피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1151)은 제2 부분(1152) 보다 상대적으로 인장 피치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제2 부분(1152) 은 제1 부분(1151)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피치를 갖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part 1151 and the second part 1152 have different spring pitches, but each part may be provided to have a uniform spring p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part 1151 may have a relatively tensile pitch than that of the second part 1152 , and the second part 1152 may have a relatively compressed pitch than the first part 1151 . may hav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1151)은 인장 스프링이 되도록 권취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1152) 은 압축 스프링이 되도록 권취된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part 1151 may be wound to be a tension spring, and the second part 1152 may be wound to be a compression spring.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전 상태, 즉 제1 블록(10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블록(1040)만을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킨 뒤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부분(1151) 및 제2 부분(1152)은 제2 블록(1040)에 대하여 모두 전진 방향(D1)으로 탄성력을 갖는 상태가 된다. 이 후 발사 유닛(1180)의 조작에 의하여 제1 블록(1030)의 중공부(1011) 내부에서의 고정이 해제되면, 제2 블록(1040)이 여전히 중공부(1011) 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부분(1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1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loaded state, that is, in the fixed state after moving only the second block 1040 in the reverse direction D2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lock 1030 is fixed, the first part 1151 and the second All portions 1152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1040 . After that, when the fixing in the hollow portion 1011 of the first block 1030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ing unit 1180, the second block 1040 is still fixed in the hollow portion 1011, The first block 103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part 1151 .

이 후 제1 블록(1030)이 제2 블록(1040)과 근접함에 따라 제2 블록(104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제2 부분(1152) 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동시에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제1 블록(1030)의 후진 방향(D2)으로의 이동 및 전진 방향(D1)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1 블록(1030)에 결합되어 있는 겉침부(1021)가 동시에 후진 방향(D2) 및 전진 방향(D1)으로 순차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술한 조직 채취홈(1202)에 조직이 채취될 수 있다.After that, as the first block 1030 approaches the second block 1040 , when the fixing of the second block 1040 is released,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30 are form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part 1152 . Two blocks 1040 simultaneousl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s the first block 103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and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in this way, the outer needle 1021 coupled to the first block 1030 is simultaneously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and It moves sequentially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nd thus, tissue may be collected in the aforementioned tissue harvesting groove 1202.

도 22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cond block and the spring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 피치를 갖는 제1 부분(1151')은 압축 피치를 갖는 제2 부분(1152') 보다 작은 반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first part 1151 ′ and the second part 1152 ′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1151 ′ having a tensile pitch may have a smaller radius than the second portion 1152 ′ having a compressed pitch.

이러한 스프링(1050')은 제2 블록(1040')의 관통공(1450')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pring 1050'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1450' of the second block 1040'.

상기 관통공(1450')은 스프링(1150')의 제1 부분(1151')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1451')과 제2 부분(1152')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14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관통공(1451')과 제2 관통공(145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1450' is a first through-hole 1451' through which the first portion 1151' of the spring 1150' passes and a second through-hole 1452' through which the second portion 1152' passes. ) may be included. The first through hole 1451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52 ′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통공(1451')은 제1 부분(115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1 직경(d1')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관통공(1452')은 제2 부분(1152') 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2 직경(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경(d1')은 제2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150')을 관통공(1450')에 삽입할 때에 제1 부분(1151')을 제2 관통공(1452')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hrough hole 1451 ′ may be formed with a first diameter d1 ′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portion 1151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52 ′ may have a It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diameter d2'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 1152'. The first diameter d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diameter d2'. Accordingly, when the spring 1150 ′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50 ′, the first portion 1151 ′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452 ′.

상기 제1 관통공(1451')과 제2 관통공(1452')의 사이에는 고정단(1453')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고정단(1453')의 위치에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의 사이가 위치하게 되며, 고정단(1453')에서 스프링(1050')은 제2 블록(1040')에 고정될 수 있다.A fixed end 1453 ′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1451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52 ′. The fixed end 1453'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rt 1151' and the second part 1152', and the spring 1050' at the fixed end 1453' is the second block 1040. ') can be fixed.

상기 고정단(1453')은 제1 관통공(1401')과 제2 관통공(1402')의 직경 차이에 따른 단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의 직경 차이로 인하여 제2 부분(1152')의 단부가 고정단(1453')에 밀착될 수 있다. The fixed end 1453 ′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1401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02 ′.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second part 1152 ′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end 1453 ′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first part 1151 ′ and the second part 1152 ′.

제2 블록(1040')은 장전 동작에 의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는 데, 고정단(1403')이 제2 부분(1152')의 단부를 후진 방향(D2')으로 밀어 제2 부분(1152') 이 압축된다. 이 때, 제2 부분(1152')의 단부가 고정단(1453')에 밀착되므로 스프링(1150')은 제2 블록(1040') 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block 104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the loading operation, and the fixed end 1403' pushes the end of the second part 1152' in the reverse direction D2'. Portion 1152' is compressed. At this time, since the end of the second part 115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end 1453', the spring 1150' may be fixed in the second block 1040'.

사용자의 발사 조작 시에도 제2 부분(1152')의 단부가 제2 부분(1152')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단(1453')을 밀게 되므로, 제2 블록(1040')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Even during the user's firing operation, the end of the second part 1152' pushes the fixed end 1453'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part 1152', so the second block 104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can be moved to

이처럼 스프링(1150')은 별도의 고정 기구 없이도 제2 블록(104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단(1453') 외측으로부터 별도의 핀(미도시')이 제2 블록(1040')에 삽입되어 스프링(1150')의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링(1150')이 제2 블록(1040') 내에 고정될 수 있다.As such, the spring 115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block 1040' without a separate fixing mechanis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pin (not shown ') from the outside of the fixed end 145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lock 1040' and the first part 1151' of the spring 1150'. The spring 1150 ′ may be fixed in the second block 1040 ′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part 1152 ′ and the second part 1152 ′.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010)의 일 영역에는 개방된 확인 창(1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블록(1040)의 외면 중 확인 창(1122)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킹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 마킹을 확인 창(1122)으로 확인함으로써, 장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1 , an open confirmation window 1122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housing 1010 , and a marking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window 1122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block 1040 . It is,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charging state by confirming this marking with the confirmation window 1122.

도 23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지지 챔버부와 제1 핸들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needle part and the support chamber par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and FIG. 2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chamber part and the first handle.

속침부(102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겉침부(102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외면을 따라서 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needle unit 102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outer needle unit 1021 , and the outer needle unit 1021 may mov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needle unit 1020 .

속침부(1020)는 전술한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의 운동 시 속침부(1020)는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102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the inserting unit 1020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1020 may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

속침부(1020)의 일단은 지지 챔버부(1400)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immersion unit 102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

지지 챔버부(1400)는 내측에 적어도 일 영역이 빈 형태의 수용부(1410)를 포함할 수 있고, 속침부(1020)는 수용부(14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1410 having at least one region empty therein, and the immersion part 1020 may be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410 .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블록(1040)의 운동 시 제2 블록(1040)의 영역 중 제1 블록(103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일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 영역은 수용부(14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150)의 제2 부분(1152)은 수용부(1410)의 내측면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the second block 1040 is moved, at least one area including one 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ea facing the first block 1030 among the areas of the second block 104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410 . can be In addition, the second part 1152 of the spring 1150 may be connected to or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410 .

도 24를 참조하면 지지 챔버부(1400)의 일 영역에 제1 핸들(1051)을 향하도록 잠금 유닛(116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 a locking unit 1160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to face the first handle 1051 .

잠금 유닛(1160)은 연장부(1161) 및 잠금부(1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61)은 지지 챔버부(14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예를들면 축 방향(D)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고, 잠금부(1162)는 연장부(1161)로부터 연장부(116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탄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잠금부(1162)는 제1 핸들(1051)의 홀(1051a)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1160 may include an extension 1161 and a locking part 1162 . The extension part 1161 has a form that is elong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chamber part 1400 , for example, in a direction crossing or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D, and the lock part 1162 is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part 1161 . It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1161 and have an elastic region. The locking part 1162 may be formed to be caught in the hole 1051a of the first handle 1051 .

본 실시예의 잠금 유닛(1160)은 지지 챔버부(1400)의 영역 중 축 방향(D)을 기준으로 후진 방향(D2)으로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It is illustrated that the locking unit 1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end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D among the regions of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

도 25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2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ner needle part and the support chamber part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11 .

도 25를 참조하면 속침부(1020)는 지지 챔버부(1400')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 the fastening unit 102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

지지 챔버부(1400')에는 잠금 유닛(1160')이 연결될 수 있다.A locking unit 1160 ′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

잠금 유닛(1160')은 지지 챔버부(1400')의 영역 중 축 방향(D)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D1)으로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1160 ′ may be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an end in the forward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D among regions of the support chamber unit 1400 ′.

설계 조건 및 규격의 다양성에 따라 잠금 유닛이 지지 챔버부에 형성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고, 전술한 대로 잠금 유닛은 하우징의 일 영역에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Positions formed by the locking unit on the support chamber part may vary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diversity of specifications, and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unit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one region of the housing.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에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26 shows an operation flow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1 단계는 준비 상태이다. 이 때, 제1 핸들(1051)은 잠금 유닛(1160)에 홀이 걸려 있는 상태가 되고, 커넥터(1052)의 타단은 제2 블록(1040)의 제4 지지 유닛(1043)을 지지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Step S1 is a ready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handle 1051 is in a state in which a hole is hung on the locking unit 116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1052 does not support the fourth support unit 1043 of the second block 1040 . can be

이 때, 제1 핸들(1051)은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잠금 유닛(1160)의 홀 외측으로 노출된 잠금부(1162) 를 잠금 해제 방향(예컨대 전진 방향(D1))으로 가볍게 터치하는 것만으로 제1 핸들(1051)의 잠금이 풀릴 수 있다. 이렇게 잠금이 풀리게 되면, 스토퍼(1171)와 같은 스토퍼에 의해 제1 핸들(1051)의 회동 각도가 단속되므로, 제1 핸들(1051)은 자동적으로 장전 진행 직전의 상태(S2)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커넥터(1052)의 타단은 제4 지지 유닛(1043)을 지지하는 위치로 자동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handle 1051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 is released, the user moves the lock portion 116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e of the lock unit 1160 in the unlocking direction (eg, The lock of the first handle 1051 may be released only by lightly touching it in the forward direction D1). When the lock is released in this way,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handle 1051 is interrupted by a stopper such as the stopper 1171 , so that the first handle 1051 can automatically be in the state S2 just before the loading process. And in this posit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1052 may automatically move to a position supporting the fourth support unit 1043 .

S2 단계는 장전 진행 직전의 상태로서 제1 핸들(1051)이 하우징(1010)으로부터 이격되고, 커넥터(1052)의 타단(522)은 제4 지지 유닛(1043)을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In step S2 , the first handle 1051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010 and the other end 522 of the connector 1052 supports the fourth support unit 1043 as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loading process.

S3 단계는 장전 상태로서 사용자가 제1 핸들(1051)에 누름 힘을 가함에 따라 힌지 이동 메커니즘에 따라서 커넥터(1052)가 제4 지지 유닛(1043)에 후진 방향(D2)의 힘을 가하여 제2 블록(1040)이 기 설정된 거리(a)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장전이 완료된다. 이 때 제2 블록(1040)의 제2 고정 유닛(1042)이 제2 지지 유닛(1014)에 고정되어 제2 블록(10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Step S3 is a loaded state. As the user applies a pressing force to the first handle 1051 , the connector 1052 applies a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o the fourth support unit 1043 according to the hinge movement mechanism to apply a second The block 104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a preset distance a to complete loading. 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unit 1042 of the second block 104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unit 1014 ,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lock 1040 may be fixed.

이러한 장전 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하고 제1 핸들(1051)을 하우징(1010)의 방향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고, 단지 제1 핸들(1051)을 누르는 힘만으로 장전함으로써 간단히 장전 동작을 마칠 수 있다.Since this 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holding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with one hand and pressing the first handle 1051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10, the user can still maintai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other hand, only The loading operation can be simply finished by loading the first handle 1051 only by pressing the force.

이때 제1 블록(1030)은 제1 지지 유닛(1013)에 의하여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 사이가 상술한 기설정된 거리(a)만큼 이격되면서 스프링(1150)의 제1 부분(1151)이 인장되고, 이에 따라 제1 부분(1151)에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제2 부분(1152)은 압축된 상태가 되어 탄성력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 1030 is suppressed by the first support unit 1013 , the spring between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is spaced apart by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distance (a). The first part 1151 of 1150 is tensioned, and accordingly,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first part 1151 . At this time, the second part 1152 is in a compressed state and has elastic force.

상기 S1 내지 S3 단계의 어느 한 단계에서 사용자는 절단 생검 기구의 겉침부(1021)와 속침부(1020)를 동시에 환자의 조직에 삽입하고 발사를 준비할 수 있다.In any one of steps S1 to S3, the user can insert the outer needle 1021 and the inner needle 1020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into the patient's tissue at the same time and prepare for firing.

이후 발사 유닛(1180)에 누름 힘(P)이 가해지면, 제1 발사 스테이지(S4)가 진행된다. 즉 발사 유닛(1180)에 누름 힘(P)이 가해지면 제2 발사 유닛(1182)이 제1 고정 유닛(1031)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고정 유닛(1031)의 제1 지지 유닛(1013)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프링(115)의 제1 부분(1151)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1030)이 기설정된 거리(b)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1 블록(1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1021)도 거리 b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해 조직 채취홈(1202)을 노출시킨다. 이 때, 조직 채취홈(1202)으로 채취할 조직이 밀려 안착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ressing force P is applied to the firing unit 1180 , the first firing stage S4 proceeds. That is, when a pressing force P is applied to the firing unit 1180 , the second firing unit 1182 presses the first fixing unit 1031 , and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ing unit 1013 of the first fixing unit 1031 . ) can be released. Accordingl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part 1151 of the spring 115, the first block 103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a preset distance b, and is fixed to the first block 1030 at the same time. The outer needle 1021 also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by a distance b to expose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1202 . At this time, the tissue to be harvested may be pushed and seated in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1202 .

S4 단계가 완료되면 제2 발사 스테이지(S5)가 진행된다. 즉, 제1 블록(1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블록(1030)의 해제 유닛(1032)이 제2 고정 유닛(1042)에 결합되는 데, 이에 따라 해제 유닛(1032)이 제2 지지 유닛(1014)의 타단(1142)을 누르게 되고, 결국 상기 타단(1142)의 제2 고정 유닛(1042)에 대한 지지는 해제된다. When step S4 is completed, the second firing stage S5 proceeds. That is, as the first block 103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he release unit 1032 of the first block 103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unit 1042, and accordingly, the release unit 1032 ) presses the other end 1142 of the second support unit 1014, and eventually the support of the other end 1142 for the second fixing unit 1042 is released.

이 경우 스프링(115)의 제2 부분(1152)에 의해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전진 방향(D1)으로 진행하게 되고, 동시에 제1 블록(1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1021)도 전진 방향(D1)으로 거리(c)만큼 진행하면서 조직 채취홈(1202)을 덮게 되어 조직 채취홈(1202)에 안착되어 있는 조직의 상부를 절단해 절단된 조직이 조직 채취홈(1202)에 밀봉 수용되도록 한다(S5).In this case, the first block 1030 and the second block 1040 proceed in the forward direction D1 by the second part 1152 of the spring 115, and are fixed to the first block 1030 at the same time. The outer needle 1021 also covers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1202 while proceeding by the distance c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nd the cut tissue is harvested by cutting the upper part of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1202. It is sealed and accommodated in the groove 1202 (S5).

상술한 각 기설정된 거리 a, b, c는 본 발명에서 동일함이 바람직하나, 발명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여 a, b, c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lthough it is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distances a, b, and c are the same, it can be understood that a, b, and c may be set differently due to some error in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이후 조직 회수 스테이지(S6)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대한 힘을 가하여, 예를들면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을 눌러 제3 지지 유닛(1303)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홀더부(1330)을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더부(13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1021)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이 노출되도록 하여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issue recovery stage ( S6 ) may proceed. That is,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holder unit 1330 and the support unit 1340 , for example, presses the manipulation handle 1332 of the holder unit 1330 to release the fixation by the third supporting unit 1303 , and the holder By moving the part 1330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he outer needle 1021 fixed to the holder part 1330 may be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Accordingly,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1202 of the inner needle 1020 is exposed so that the harvested tissue can be recovered.

이 때, 전술한 것과 같이 홀더부(1330)와 함께 고정된 지지부(1340)를 사용자의 조작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의 일면과 접하면서 힘을 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힘의 전달을 통하여 홀더부(1330) 및 이에 연결된 겉침부(1021)이 용이하고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1340 fixed together with the holder part 1330 can be moved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the user's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part 1330 and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340 . Since force can be applied, the holder part 1330 and the outer needle part 1021 connected thereto can easily and smoothly move through effective force transmission.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압력의 크기를 감소하여 사용자의 통증 및 편의성을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r's pain and convenience by reducing the amount of local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finger.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조직을 회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로 다음 조직 채취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조직 채취가 용이해질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covery of the collected tissue by a simple operation, the user can recover the tissue only with the hand holding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and thus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other hand can still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user may proceed to the next tissue harvesting operation, and thus a plurality of consecutive tissue harvesting may be facilitated.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손으로는 생검 기구를 타겟 위치에 여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전술한 장전, 발사, 회수의 동작을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술 동작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loading, firing, and retrieval operations can be performed only with the hand holding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while the biopsy instrument is still positioned at the target position with one hand, thereby simplifying the entire surgical operation.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2000)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8는 도 27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의 겉침부 및 속침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utting biopsy instrument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2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7 . 29 is a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 27, and FIGS. 30 and 31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uter needle part and the inner needle part of the needle set of the cut biopsy device of FIG. 27, respectively.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ifferent poin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2000)는 니들셋(2023), 하우징(2010), 홀더부(2330) 및 지지부(2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tting biopsy device 2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needle set 2023 , a housing 2010 , a holder part 2330 , and a support part 2340 .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2000)는 도 28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2010)의 내측에 배치된 제1 블록(2030) 및 제2 블록(2040)을 포함할 수 있다.Also,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utting biopsy device 20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lock 2030 and a second block 204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10, as shown in FIG. 28 .

니들셋(2023)은 서로 중첩되는 겉침부(2021) 및 속침부(20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edle set 2023 may include an outer needle portion 2021 and an inner needle portion 2020 that overlap each other.

겉침부(2021)는 속침부(2020)의 바깥에 배치되는 데, 예를 들면 도 30 및 도 31에서 볼 수 있듯이, 겉침부(2021)의 내경(d1)은 속침부(2020)의 외경(d0)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The outer needle part 2021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needle part 2020. For example, as can be seen in FIGS. 30 and 31 ,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outer needle part 2021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needle part 2020 ( d0) and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d0).

겉침부(2021)는 속침부(2020)의 바깥에 배치된 채, 속침부(20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예컨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The outer needle 2021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needle 2020 while being disposed outside the inner needle 2020 , for example, in a forward direction D1 or a backward direction D2 .

예를 들면 겉침부(2021)는 속침부(202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20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part 2021 is formed on a pipe so that the inner needle part 2020 is accommodated therein,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inner needle part 2020 .

겉침부(2021)의 후진 방향(D2) 단부(2021b)는 제1 블록(20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겉침부(2021)는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할 수 있다.An end 2021b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of the outer needle 20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30 . Therefore, the outer needle 2021 may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 2030 .

도 31를 참조하면, 속침부(2020)는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하여 수용하는 조직 채취홈(2202)을 포함할 수 있고, 속침부(2020)의 조직 채취홈(2202)은 겉침부(20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20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직 채취홈(2202)은 겉침부(20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2021)로 덮이거나 겉침부(20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 the inner needle part 2020 may include a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for collecting and receiving tissue to be biopsied, and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of the inner needle part 2020 is the outer needle part 2021 )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outer needle 2021 according to the movement. That is,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may be covered with or not covered with the outer needle 202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uter needle 2021 .

이러한 조직 채취홈(2202)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may have a structure of a groove open toward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속침부(2020)는 하우징(2010)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속침부(2020)의 후진 방향(D2) 단부는 하우징(2010)의 일 영역에 직접 또는 지지 챔버부(2400)에 고정될 수 있다.The needle part 202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housing 2010 in the axial direction (D). An end of the back needle part 202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may be directly fixed to an area of the housing 2010 or fixed to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021)의 일단의 날(2021a)은 속침부(2020)의 일단의 날(2020a)과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겉침부(2021)의 일단의 날(2021a)이 속침부(2020)의 날(2020a)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end of the blade 2021a of the outer needle part 2021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at of the one end of the inner needle 2020a. As another example, one end of the blade 2021a of the outer needle 2021 may be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ade 2020a of the inner needle 2020.

속침부(2020)의 일 영역에는 도 31에서 볼 수 있듯이 연통 홀(2201)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이 연통 홀(2201)은 속침부(2020) 내부의 연통로(2203)를 통해 상기 조직 채취홈(2202)과 연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1 , a communication hole 2201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inner needle unit 2020, and the communication hole 2201 is formed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path 2203 of the inner needle unit 2020.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llecting groove 2202.

이러한 니들 셋(2023)은 하우징(2010)을 통과해 하우징(2010)의 선단부(2091)의 선단 홀(20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This needle set 2023 passes through the housing 2010 and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tip hole 2012 of the tip portion 2091 of the housing 2010 .

상기 하우징(2010)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중공부(20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20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D), and may include a hollow part 2011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D) therein.

선택적 실시예로서 발사 유닛(2180)이 하우징(2010)에 위치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 firing unit 2180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2010 .

상기 발사 유닛(2180)은 제1 발사 유닛(2182) 및 제2 발사 유닛(2183)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firing unit 2180 may include a first firing unit 2182 and a second firing unit 2183, and may be applied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or modified within a similar range as necessary. can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2500)이 하우징(20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핸들(2051)은 하우징(2010)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ading unit 250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housing 2010 . For example, the first handle 2051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2010 .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2010)의 일단에 힌지 축(2017)이 위치하고, 이러한 힌지 축(2017)에 장전 유닛(2500)의 제1 핸들(205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a hinge shaft 2017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housing 2010 , and the first handle 2051 of the loading unit 2500 may be hinged to the hinge shaft 2017 .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2500)은 제1 핸들(2051)과 커넥터(2052)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loading unit 2500 may include a first handle 2051 and a connector 2052, and may be applied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odified within a similar range as necessary. have.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2051) 또는 하우징(2010)은 하나 이상의 스토퍼(2171)를 포함하여 제1 핸들(2051)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 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handle 2051 or the housing 2010 may include one or more stoppers 2171 to limit the rotation angle when the first handle 2051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하우징(201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1 핸들(2051)과 힌지 결합하는 영역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잠금 유닛(2160)이 위치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2160 may be located in one area of the housing 2010 , for example, in an area adjacent to the opposite end of the area hinged with the first handle 2051 .

상기 하우징(2010)은 제1 지지 유닛(2013) 및 제2 지지 유닛(2014)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housing 201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unit 2013 and a second support unit 2014, and may be applied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odified within a similar range as necessary. have.

한편, 상기 하우징(2010)은 도 29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개구(213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개구(2133)와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4 개구(2134)가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9 , the housing 20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pening 2133 , and one or more fourth openings 2134 may be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third opening 2133 , ,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odified within a similar range as necessary.

홀더부(2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holder part 23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and may be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and may be applied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odified within a similar range as necessary. have.

도 32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2030)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3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first block 2030 of the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of FIG. 27 .

제1 블록(2030)에는 홀더부(2330)가 배치될 수 있고, 홀더부(2330)는 제1 블록(2030)에 수용된 채 운동할 수 있다.A holder part 233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lock 2030 , and the holder part 2330 may mov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block 2030 .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needle sets and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홀더부(2330)는 일 영역이 하우징(20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2330)는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One area of the holder part 23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10 . In addition, the holder part 2330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for example,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r the backward direction D2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2330)는 겉침부(2021)와 연결되고, 홀더부(2330)의 운동에 따라 겉침부(2021)도 함께 운동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older part 2330 is connected to the outer needle part 2021,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older part 2330, the outer needle part 2021 may also move together.

또한 홀더부(2330)는 일 영역에 고정부(2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2331)를 통하여 홀더부(2330)는 지지부(2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part 2330 may include a fixing part 2331 in one area, and the holder part 2330 may move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2340 through the fixing part 2331 .

홀더부(233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부(2331), 조작 핸들(2332), 탄성부(2335), 홀더 본체(2333), 홀더 가이드(23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part 2330 may include a fixing part 2331 , an operation handle 2332 , an elastic part 2335 , a holder body 2333 , and a holder guide 2337 as an optional embodiment.

홀더 본체(2333)는 겉침부(20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2333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needle 2021 .

탄성부(2335)는 홀더 본체(2333)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될 수 있는 형태로서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된 후에 홀더부(2330)가 운동할 수 있고, 폭이 증가되면 홀더부(2330)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2335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2333,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can be reduced by elasticity. After the width is reduced by the elasticity, the holder part 2330 can move, and when the width is increased, Movement of the holder part 2330 may be limited.

탄성부(2335)는 홀더 본체(2333)와 연결되고 홀더 본체(2333)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2335 may have a shape that is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2333 and increases in width as it gets further away from the holder body 2333 , and may include a shape with an open end.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 본체(2333)의 일면에 홀더 가이드(2337)가 배치되고, 이러한 홀더 가이드(2337)는 돌출 또는 오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커버(2302)의 가이드(2307)와 결합되어 홀더 본체(2333)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커버(2302)의 가이드(2307)는 홀더 가이드(2337)에 대응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older guide 2337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2333, the holder guide 2337 may have a protruding or concave shape, and is coupled with the guide 2307 of the cover 2302 to the holder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2333 may be guided. For example, the guide 2307 of the cover 230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guide 2337 .

조작 핸들(2332)은 탄성부(2335)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20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manipulation handle 2332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2335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10 .

고정부(2331)는 조작 핸들(233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조작 핸들(2332)과 굴곡진 형태로서, 예를들면 갈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233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operation handle 2332 , and has a curved shape with the operation handle 2332 ,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hook shape.

홀더부(2330)는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갖고, 이러한 관통 영역에 속침부(2020)가 대응될 수 있고, 속침부(2020)는 홀더부(2330)를 관통하여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holder part 2330 has a penetrating area therein, and the fastening part 2020 may correspond to this penetrating area, and the internal needle part 2020 passes through the holder part 2330 and extend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can

홀더부(2330)는 겉침부(2021)와 함께 속침부(20)의 외면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The holder part 2330 may mov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needle part 20 together with the outer needle part 2021 .

제1 블록(2030)은 베이스(2301)와 커버(23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301)는 홀더부(2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2304)을 구비하며, 일측에 개구(2305)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홀더부(2330)의 조작 핸들(2332)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block 2030 may include a base 2301 and a cover 2302 . The base 2301 has an inner space 2304 so that the holder part 2330 can be coupled, and an opening 2305 is formed on one side to expose the manipulation handle 2332 of the holder part 2330 through this. can

상기 베이스(2301)는 개구(2305)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3 지지 유닛(23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2301 may include a third support unit 2303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2305 .

상기 제1 블록(2030)은 해제 유닛(20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lock 2030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unit 2032 .

제1 블록(2030)에는 제1 스프링(2151)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스토퍼(23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lock 203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topper 2306 to which the first spring 2151 may be coupled.

제1 블록(2030)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을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생략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block 2030 will be omitted since it can be applied with the same or similar modifications to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33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3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econd block of the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of FIG. 27;

제2 블록(2040)은 상기 중공부(2011) 내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상기 속침부(2020)가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블록(2030)과 상기 축 방향(D)을 따라 인라인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lock 2040 may be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2011, and is provided so that the inner needle portion 2020 passes through, and is in-line with the first block 2030 along the axial direction (D). may be arranged to be aligned.

제2 블록(2040)은 스프링(21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50)은 제1 스프링(2151)과 제2 스프링(21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2040 may be coupled to the spring 2150 . The spring 2150 may include a first spring 2151 and a second spring 2152 .

상기 제2 블록(2040)은 제4 지지 유닛(2043)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2040 may include a fourth support unit 2043,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ay be applied by changing it within a similar range.

또한 제2 블록(2040)은 제2 고정 유닛(2042)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lock 2040 may include the second fixing unit 2042,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ay be applied by changing it within a similar range.

상기 스프링(2150)은 도 3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스프링(2151) 및 제2 스프링(2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2040)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 스프링(2151)은 상기 제1 블록(2030)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록(2040)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스프링(2152)은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3 , the spring 2150 may include a first spring 2151 and a second spring 2152 . A first spring 2151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econd block 204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30 , and a second spring 2152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lock 2040 . may extend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제2 블록(2040)은 후진 방향(D2)의 단부에 제2 스프링(2152)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2040)은 후진 방향(D2)을 향해 연장된 피스톤부(2402)를 포함할 수 있고, 피스톤부(2402)의 단부에 제2 스프링(2152)이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부(2402)의 제2 스프링(2152)에 인접한 부분에 가스켓(240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2402)는 후술하는 지지 챔버부(2400)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가스켓(2404)은 지지 챔버부(2400) 내에 밀폐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챔버부(2400)는 하우징(2010)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 second spring 2152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block 204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block 2040 may include a piston part 2402 extending toward the reverse direction D2, and a second spring 2152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piston part 2402. have. A gasket 2404 may be coupl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pring 2152 of the piston unit 2402 . The piston unit 2402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gasket 2404 may implement an enclosed space within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2010 .

한편, 도 27을 참조하면, 하우징(2010)의 일 영역에는 개방된 확인 창(2122)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7 , an open confirmation window 2122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housing 2010 .

도 28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2010)의 후진 방향(D2) 단부에는 지지 챔버부(2400)가 위치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28 ,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may b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housing 201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

지지 챔버부(2400)는 내측에 적어도 일 영역이 빈 형태의 수용부(2410)를 포함할 수 있고, 속침부(2020) 일단은 수용부(24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2410 having at least one region on the inside thereof empty, and one end of the infiltrating part 202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410 .

지지 챔버부(2400)의 수용부(2410)에는 제2 스프링(2152)이 삽입될 수 있고, 제2 블록(2040)의 피스톤부(240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A second spring 2152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2410 of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iston part 2402 of the second block 2040 may be inserted.

잠금 유닛(2160)은 지지 챔버부(2400)의 후진 방향(D2) 단부에 위치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5에서 볼 수 있듯이 전진 방향(D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2160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s shown in FIG. 35 .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6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 챔버부(2400)의 후진 방향(D2)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2420)가 형성될 수 있고, 그 외측에 일측이 지지 챔버부(2400)와 결합된 필름(24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필름(2421)은 지지 챔버부(2400) 내의 수용부(2410)로부터 후진 방향(D2)으로 진행되는 공기는 개구(2420)를 통해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고, 지지 챔버부(2400) 외측에서 전진 방향(D1)으로 수용부(2410)로 진입하는 공기는 필름(242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2410) 내가 밀폐 공간(2600)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Option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36 , at least one opening 2420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 and one side of the support chamber part is disposed on the outside thereof. A film 2421 coupled to the unit 2400 may be provided. In the film 2421 , air travel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from the receiving part 2410 in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420 , and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 Air entering the receiving part 2410 in the forward direction D1 may be blocked by the film 242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sealed space 2600 in the accommodating part 2410 .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7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1 단계는 준비 상태이다. 이 때, 하우징(2010) 내에 위치하는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의 사이에 제1 스프링(2151)이 개재되어 있고, 제2 블록(2040)은 제2 스프링(2152)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스프링(2152)의 타단은 하우징(2010) 또는 전술한 지지 챔버부(2400) 내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2040)과 하우징(2010) 단부의 사이에는 밀폐 공간(2600)이 위치한다. 상기 밀폐 공간(2600)에까지 속침부(2020)가 연장되고, 속침부(2020)의 연통 홀(2201)이 밀폐 공간(26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 공간(2600)은 연통 홀(2201)을 통해 조직 채취홈(2202)과 연통될 수 있다.Step S11 is a ready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spring 2151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located in the housing 2010, and the second block 2040 is the second spring 2152 .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15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10 or the aforementioned support chamber part 24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losed space 2600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block 2040 and the end of the housing 2010 . The inside needle part 2020 may extend to the sealed space 2600 , and the communication hole 2201 of the internal needle part 2020 may be located in the sealed space 2600 . Accordingly, the sealed space 2600 may communicate with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01 .

상기와 같은 밀폐 공간(2600)은 제1 블록(2030) 및 제2 블록(2040)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비된 것으로, 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챔버부(2400)의 수용부(2410)에 도 33의 피스톤부(2402)가 삽입되고, 이 피스톤부(2402)와 지지 챔버부(2400)의 사이에 밀폐 공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 공간(2600)의 부피는 피스톤부(2402)의 이동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The closed space 260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increase or decrease in volu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chamber part ( The piston unit 2402 of FIG. 3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2410 of the 2400 , and a sealed space 26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iston unit 2402 and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sealed space 2600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ston unit 2402 .

S12 단계는 장전 상태로서, 사용자가 제1 핸들(2051)에 누름 힘을 가함에 따라 힌지 이동 메커니즘에 따라서 커넥터(2052)가 제4 지지 유닛(2043)에 후진 방향(D2)의 힘을 가하여 제2 블록(2040)이 기 설정된 거리(a11)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장전이 완료된다. 이 때 제2 블록(2040)의 제2 고정 유닛(2042)이 제2 지지 유닛(2014)에 고정되어 제2 블록(20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블록(2040)의 이동에 따라 밀폐 공간(2600)도 상기 a11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 a12만큼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Step S12 is a loaded state, and as the user applies a pressing force to the first handle 2051 , the connector 2052 applies a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o the fourth support unit 2043 according to the hinge movement mechanism to release it. 2 The block 2040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by a preset distance a11 to complete the loading. 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unit 2042 of the second block 204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unit 2014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lock 2040 may be fixed. Also, as the second block 2040 moves, the volume of the enclosed space 2600 may be reduced by the distance a12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11.

이러한 장전 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하고 제1 핸들(2051)을 하우징(2010)의 방향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고, 단지 제1 핸들(2051)을 누르는 힘만으로 장전함으로써 간단히 장전 동작을 마칠 수 있다.Since this 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holding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with one hand and pressing the first handle 2051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2010, the user can still maintai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other hand, only The loading operation can be simply finished by loading the first handle 2051 only by pressing the force.

이때 제1 블록(2030)은 제1 지지 유닛(2013)에 의하여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 사이가 상술한 거리 a11만큼 이격되면서 제1 스프링(2151)이 인장되고, 이에 따라 제1 스프링(2151)에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제2 스프링(2152)은 압축된 상태가 되어 탄성력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 2030 is suppressed by the first support unit 2013, the first spring 2151 is spaced apart by the above-described distance a11 between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 is tensioned, and accordingly,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first spring 2151 . At this time, the second spring 2152 is in a compressed state and has elastic force.

상기 S11 내지 S12 단계의 어느 한 단계에서 사용자는 절단 생검 기구의 겉침부(2021)와 속침부(2020)를 동시에 환자의 조직에 삽입하고 발사를 준비할 수 있다.In any one of steps S11 to S12, the user may insert the outer needle part 2021 and the inner needle part 2020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into the patient's tissue at the same time and prepare for firing.

이후 발사 유닛(2180)에 누름 힘이 가해지면, 제1 발사 스테이지(S13)가 진행된다. 즉 발사 유닛(2180)에 누름 힘이 가해지면 제2 발사 유닛(2182)이 제1 고정 유닛(2031)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고정 유닛(2031)의 제1 지지 유닛(2013)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2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2030)이 기설정된 거리 a1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도 거리 a1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해 조직 채취홈(2202)을 노출시킨다. 이 때, 조직 채취홈(2202)으로 채취할 조직이 밀려 안착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firing unit 2180 , the first firing stage S13 proceeds. That is,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firing unit 2180, the second firing unit 2182 presses the first fixing unit 2031, and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unit 2031 of the first supporting unit 2013 The lock may be released. Accordingly, the first block 203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a preset distance a13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2151,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needle part 2021 fixed to the first block 2030 is als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is exposed by mov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by a distance a13. At this time, the tissue to be harvested may be pushed and seated in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

S13 단계가 완료되면, 제2 발사 스테이지(S14)가 진행된다. 즉,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블록(2030)의 해제 유닛(2032)이 제2 고정 유닛(2042)에 결합되는 데, 이에 따라 해제 유닛(2032)이 제2 지지 유닛(2014)의 타단(2142)을 누르게 되고, 결국 상기 타단(2142)의 제2 고정 유닛(2042)에 대한 지지는 해제된다. When step S13 is completed, the second firing stage S14 proceeds. That is, as the first block 2030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 the release unit 2032 of the first block 203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unit 2042 , and accordingly, the release unit 2032 ) presses the other end 2142 of the second support unit 2014, and eventually, the support of the other end 2142 for the second fixing unit 2042 is released.

이 때 제2 스프링(2152)에 의해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전진 방향(D1)으로 a14 거리만큼 진행하게 되고,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도 전진 방향(D1)으로 a14 거리만큼 진행하면서 조직 채취홈(2202)을 덮게 되어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되어 있는 조직의 상부를 절단해, 절단된 조직이 조직 채취홈(2202)에 밀봉 수용되도록 한다(S14). 이 때 밀폐 공간(2600)도 부피가 a15만큼 늘어난다. 이렇게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늘어남에 따라 밀폐 공간(2600) 내에 소정의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음압은 연통 홀(2201) 및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채취홈(2202)에 전달된다. 따라서 겉침부(2021)에 의해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음압에 의해 견고히 붙잡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채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advance by a distance a14 in the forward direction D1 by the second spring 2152 ,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needle part fixed to the first block 2030 .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is covered by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while proceeding by a14 distanc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2021), and the upper part of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is cut, and the cut tissue is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 to be sealed in (S14). At this time, the volume of the enclosed space 2600 also increases by a15. As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2600 increases in this way,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enclosed space 2600 , and this negativ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220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01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03 . do.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by the outer needle 2021,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may be firmly held by negative press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ampling rate of the tissue.

상술한 각 기설정된 거리 a11, a12, a13, a14, a15는 본 발명에서 동일함이 바람직하나, 발명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여 a11, a12, a13, a14, a15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Each of the above-described preset distances a11, a12, a13, a14, and a15 is preferably the same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some errors occur in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11, a12, a13, a14, and a1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set.

이후 조직 회수 스테이지(미도시)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홀더부(2330) 및 지지부(2340)에 대한 힘을 가하여, 예를 들면 홀더부(2330)의 조작 핸들(2332)을 눌러 제3 지지 유닛(2303)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홀더부(2330)을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더부(23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속침부(2020)의 조직 채취홈(2202)이 노출되도록 하여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Thereafter, a tissue recovery stage (not shown) may proceed. That is,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holder part 2330 and the support part 2340 , for example, presses the manipulation handle 2332 of the holder part 2330 to release the fixation by the third support unit 2303 , and the holder By moving the part 2330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he outer needle 2021 fixed to the holder part 2330 may be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Accordingly,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of the fastening part 2020 is exposed so that the harvested tissue can be recovered.

도 38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8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21 단계는 준비 상태이고, S22 단계는 장전 상태이다. 이 상태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tep S21 is a ready state, and step S22 is a loading state. Since these state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23 단계는 제1 발사 스테이지이다. 사용자가 발사를 하게 되면 제1 스프링(2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2030)이 기설정된 거리 a2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도 거리 a2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해 조직 채취홈(2202)을 노출시킨다. 이 때, 조직 채취홈(2202)으로 채취할 조직이 밀려 안착될 수 있다.Step S23 is the first firing stage. When the user fires, the first block 203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a preset distance a23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2151,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needle part fixed to the first block 2030 (2021) also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by a distance a23 to expose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At this time, the tissue to be harvested may be pushed and seated in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

한편,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한 제1 블록(2030)은 제3 지지유닛(2016)에 걸려 멈추게 되고, 이 때 제1 블록(2030)에 의해 제2 블록(2040)을 고정하고 있는 제2 지지유닛(2014)을 해제시켜 제2 블록(2040)을 전진 방향(D1)으로 거리 a24만큼 이동시킨다(S24). 이에 따라 밀폐 공간(2600)도 거리 a25만큼 확장된다. 이렇게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확장됨에 따라 밀폐 공간(2600) 내는 음압이 발생된다. 이 밀폐 공간(2600)의 음압은 연통 홀(2201) 및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채취홈(2202)에 전달된다. 따라서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음압에 의해 견고히 붙잡고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lock 2030 mo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D2 is caught by the third support unit 2016, and at this time, the second block 2040 is fixed by the first block 2030. 2 The support unit 2014 is released to move the second block 2040 in the forward direction D1 by a distance a24 (S24). Accordingly, the enclosed space 2600 is also extended by a distance a25. As the volume of the enclosed space 2600 is expanded in this way,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enclosed space 2600 .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sealed space 2600 is transmitted 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01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03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rmly hold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by negative pressure.

S25 단계에서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은 전진 방향(D1)으로 거리 a26만큼 더욱 진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거리 a27만큼 밀폐 공간(2600)이 증가한다. 이렇게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확장됨에 따라 밀폐 공간(2600) 내의 음압은 더욱 커지게 되어 조직 채취홈(2202) 내에 붙잡힌 조직은 더욱 견고히 고정되고, 동시에 겉침부(2021)가 조직 채취홈(2202)을 폐쇄하면서 조직을 절단한다.In step S25,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further advance by a distance a26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nd accordingly, the enclosed space 2600 increases by a distance a27. As the volume of the enclosed space 2600 is expanded,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enclosed space 2600 increases, so that the tissue caught in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2202 is more firmly fixed,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needle 2021 is formed in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 2202) while cutting the tissue.

이처럼 상기 제2 블록(2040)이, 상기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 즉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2021)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2202)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된다. 따라서 조직 채취홈(2202)이 겉침부(2021)에 의해 폐쇄되기 전에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먼저 걸리도록 함으로써,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이 보다 견고히 붙잡혀 있는 상태에서 겉침부(2021)가 조직 채취홈(2202)을 덮어 조직을 절단하는 것이다.As such, the first time point at which the second block 2040 starts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2600 increases, tha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is the tissue harvesting in which the outer needle 2021 is opened. It becomes faster than the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groove 2202 starts to move in the closing direction. Therefore, before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is closed by the outer needle 2021, negative pressure is first applied 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so that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is more firmly held on the outside. The needle 2021 covers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to cut the tissue.

도 39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9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31 단계는 준비 상태이다. 도 39에 도시된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는 밀폐 공간(2600)이 적어도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된 것이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tep S31 is a ready state. In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9 , the closed space 2600 is provided so that the volume changes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at least the first block 2030 .

일 실시예로서, 하우징(2010)의 일 영역에 지지 챔버부(2400)가 형성되고, 이 지지 챔버부(2400)에 속침부(2020)의 연통 홀(2201)이 연결되어 있고, 챔버부(2400) 내의 일 영역에 밀폐 공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밀폐 공간(2600)은 연통 홀(2201)과 연통되어 있고,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채취홈(2202)과 연통되어 있다.As an embodiment,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housing 2010, and the communication hole 2201 of the needle part 20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and the chamber part ( A closed space 2600 may be formed in an area within the 2400 . The sealed space 260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2201 and communicates with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2203 .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S32 단계는 장전 상태로서, 사용자의 제1 핸들 조작에 의해 제2 블록(2040)이 기 설정된 거리 a31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장전이 완료된다. 이 때 제2 블록(204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tep S32 is a loading state, and the second block 204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a preset distance a31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first handle to complete the loading.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second block 2040 may be fixed.

S31 내지 S32 단계의 어느 한 단계에서 사용자는 절단 생검 기구의 겉침부(2021)와 속침부(2020)를 동시에 환자의 조직에 삽입하고 발사를 준비할 수 있다.In any one of steps S31 to S32, the user can insert the outer needle part 2021 and the inner needle part 2020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into the patient's tissue at the same time and prepare for firing.

이후 사용자의 발사 유닛 조작에 의해 제1 발사 스테이지가 되는 S33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Thereafter, step S33, which becomes the first firing stage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firing unit, may be performed.

제1 발사 스테이지가 되면,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a32 거리만큼 후진한다. 이에 따라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하는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a33 거리만큼 증가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결합되어 있는 겉침부(2021)가 후진 방향(D2)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기 때문에 조직 채취홈(2202)이 노출된다. 따라서 조직은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firing stage is reached, the first block 2030 moves backward by a32 distance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2600 interlocking with the motion of the first block 2030 may increase by the distance a33. At the same time, since the outer needle 2021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30 slide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is exposed. Accordingly, the tissue may b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

이 때, 밀폐 공간(2600)이 확장됨으로 인해 밀폐 공간(2600)에 음압이 생성되고, 연통 홀(2201) 및 연통로(2203)를 통해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전달된다.At this time,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enclosed space 2600 due to the expansion of the enclosed space 2600 ,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01 and the communication path 2203 .

따라서,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되는 조직은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직 채취홈(2202)이 개방되는 시점에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걸리기 시작하기 때문에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되는 조직에 대한 고정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음압이 걸리는 시간이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음압에 의한 조직 채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issue to b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can be more firmly fixe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negative pressure starts to be applied 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at the time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is opened, the fixing force to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negative pressure This will take enough time. Therefore, tissue harvesting efficiency by negative pressure can be improved.

S33 단계가 완료되면, 제2 발사 스테이지(S34)가 진행된다. 즉,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블록(2030)에 의해 제2 블록(2040)의 고정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동시에 전진 방향(D1)으로 각각 a35, a34만큼 이동한다. 동시에 밀폐 공간(2600)은 a36 거리만큼 축소된다.When step S33 is completed, the second firing stage S34 proceeds. That is, as the first block 203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 the fixing of the second block 2040 is released by the first block 2030 , and accordingly,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30 are released. The block 2040 simultaneously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by a35 and a34,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enclosed space 2600 is reduced by a36 distance.

따라서 겉침부(2021)가 조직 채취홈(2202)을 덮어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절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충분히 걸려 있는 상태에서 조직을 절단하기 때문에 조직 채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outer needle 2021 covers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to cut the tissue seated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tissue is cut in a state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sufficiently applied to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2202, tissue harvest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위와 같은 구조는 도 40 및 도 41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The above structure may be embodied by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40 and 41 .

도 40를 참조하면,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제1 스프링(215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제1 블록(2030)의 제2 블록(2040)을 향한 일부 영역에 제5 지지 유닛(2035)을 형성하고, 제2 블록(2040)의 제1 블록(2030)을 향한 일부 영역에 제6 지지 유닛(2045)을 형성한다. 제5 지지 유닛(2035)과 제6 지지 유닛(2036)은 서로 대향되며,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최단 거리로 가까워진 상태에서도 후술하는 제7 지지 유닛(2408)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이격되어 있다. 제5 지지 유닛(2035)과 제6 지지 유닛(2036)의 사이 영역에 제7 지지 유닛(2408)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블록(2030)에는 겉침부(2021)가 고정 결합되고, 속침부(2020)는 제1 블록(2030) 및 제2 블록(2040)을 관통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0 ,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irst spring 2151 . At this time, the fifth support unit 2035 is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block 2030 toward the second block 2040 , and in a partial area of the second block 2040 toward the first block 2030 . A sixth support unit 2045 is formed. The fifth support unit 2035 and the sixth support unit 2036 face each other, and even when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are close to each other by the shortest distance, a seventh support unit 2408 to be described later is They are spaced apart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A seventh support unit 2408 may be positioned in a region between the fifth support unit 2035 and the sixth support unit 2036 .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uter needle part 2021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30 , and the inner needle part 2020 i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

도 41를 참조하면, 속침부(2020)의 일단은 지지 챔버부(2400)에 결합된다. 속침부(2020)의 연통 홀(2201)은 지지 챔버부(2400)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지지 챔버부(2400)는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지지 챔버부(2400)의 전진 방향(D1)으로 제2 블록(2040) 및 제1 블록(2030)이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챔버부(2400)와 제2 블록(2040)의 사이에는 제2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1 , one end of the fastening part 2020 is coupled to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 The communication hole 2201 of the needle part 2020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is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second block 2040 and the first block 203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D1 of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 have. A second spring may be coupled between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and the second block 2040 .

지지 챔버부(2400)는 후진 방향(D2)이 개방되고, 개방된 지지 챔버부(2400)로 피스톤부(2402)가 삽입된다. 피스톤부(2402)와 지지 챔버부(2400) 내벽과의 사이에는 가스켓(2404)이 결합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부(2402)와 지지 챔버부(2400) 내부 공간 사이에는 밀폐 공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공간(2600)은 피스톤부(2402)의 운동에 의해 부피가 증감될 수 있다. 즉, 피스톤부(2402)가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하면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작아지고, 피스톤부(2402)가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면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커진다.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is opened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 and the piston part 2402 is inserted into the open support chamber part 2400 . A gasket 2404 is coupled between the piston unit 2402 and the inner wall of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 and thus a sealed space 260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pace of the piston unit 2402 and the support chamber unit 2400 . can be The volume of the sealed space 260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unit 2402 . That is, when the piston unit 2402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the volume of the sealed space 2600 decreases, and when the piston unit 2402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he volume of the sealed space 2600 increases. .

피스톤부(2402)의 후진 방향(D2) 단부에는 지지대(24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대(2406)에 브릿지(2407)가 설치된다. 상기 브릿지(2407)는 지지대(2406)로부터 전진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브릿지(2407)의 전진 방향(D1) 단부에 제7 지지 유닛(2408)이 형성된다. 제7 지지 유닛(2408)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A support 2406 is formed at an end of the piston unit 2402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 and a bridge 2407 is provided on the support 2406 . The bridge 2407 extends from the support 2406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and a seventh support unit 2408 is formed at an end of the bridge 2407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The seventh support unit 2408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D.

이러한 브릿지(2407)는 도 40에서 볼 수 있는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의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며, 제7 지지 유닛(2408)은 제5 지지 유닛(2035)과 제6 지지 유닛(2036)의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Such a bridge 2407 extends to a region between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as seen in FIG. 40 , and the seventh support unit 2408 includes the fifth support unit 2035 and the sixth support unit 2408 . It may be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he support units 2036 .

도 39의 S33 단계와 같이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면 제5 지지 유닛(2035)이 제7 지지 유닛(2408)을 후진 방향(D2)으로 밀어 피스톤부(2402)가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지지 챔버부(2400) 내의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 때 밀폐 공간(2600)에는 음압이 형성된다.As in step S33 of FIG. 39 , when the first block 2030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he fifth support unit 2035 pushes the seventh support unit 2408 in the reverse direction D2, and the piston unit 2402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sealed space 2600 in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increases. At this time,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closed space 2600 .

이 후 도 13의 S34 단계와 같이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하면 제6 지지 유닛(2045)이 제7 지지 유닛(2408)을 전진 방향(D1)으로 밀어 피스톤부(2402)가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지지 챔버부(2400) 내의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감소한다.After that, as in step S34 of FIG. 13 , when the first block 2030 and the second block 2040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D1, the sixth support unit 2045 moves the seventh support unit 2408 in the forward direction ( D1), the piston 2402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sealed space 2600 in the support chamber part 2400 is reduced.

이처럼 밀폐 공간(2600)의 부피를 적어도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하여 증가시켜 음압을 형성할 경우, 음압에 의한 조직 채취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As such, when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2600 is increas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at least the first block 2030 to form a negative pressure, tissue harvesting efficiency by the negative pressure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42 및 도 4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42 and 43 are views illustrating a part of a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10)의 선단부(2091)와 제1 블록(2030)의 사이에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블록(2030)에는 유로(203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은 제1 블록(2030)의 유로(2033)와 연결된다. 상기 유로(2033)는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한 시점에 속침부(2020)의 연통로(2203)와 통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에 의해 유로(2033)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 차단되어 유로(2033)에는 음압이 걸리고 이 음압은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재취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2060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end 2091 of the housing 2010 and the first block 2030 . In addition, a flow path 2033 is formed in the first block 2030 . 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2060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2033 of the first block 2030 . The flow path 2033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th 2203 of the fastening unit 2020 when the first block 203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At this time,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flow path 2033 is blocked by 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2060, and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flow path 2033, and this negative pressure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2203 to affect the tissue retake groove. have.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은 하우징(2010) 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206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2010 .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은 도 43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 블록(2061)과, 제1 필름 조립체(2062) 및 제2 필름 조립체(206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3 , 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2060 may include a control block 2061 , a first film assembly 2062 , and a second film assembly 2063 .

제어 블록(2061)은 중앙에 니들 셋이 통과하는 제1 통공(2064)을 포함하고, 제1 통공(2064)의 주위에 유체, 예컨대 공기가 유통하는 제2 통공(2065)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block 2061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2064 through which the needle set passes in the center, and a second through hole 2065 through which a fluid, such as air, flows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2064 may be formed. .

제어 블록(2061)의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필름 조립체들이 배치될 수 있는 데, 전진 방향으로는 제1 필름 조립체(2062), 후진 방향으로는 제2 필름 조립체(206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름 조립체(2062) 및 제2 필름 조립체(2063)는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이 체크 밸브의 기능을 하도록 축 방향(D)으로 유연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필름(2067) 및 제2 필름(2066)은 각각 복수개로 절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블록(2061)은 제2 필름 조립체(2063)에 인접하게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Film assemblies may be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direction of the control block 2061 , wherein the first film assembly 2062 is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film assembly 2063 is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can The first film assembly 2062 and the second film assembly 2063 may be flexibly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D so that 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2060 functions as a check valve,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film 2067 ) and the second film 2066 may b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ut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rol block 2061 may have a space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film assembly 2063 .

유체, 예컨대 공기가 후진 방향(D2)으로 진행할 경우 제1 필름 조립체(2062)의 제1 필름(2067)은 제어 블록(2061)에 의해 후진 방향(D2)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제1 필름 조립체(2062)를 중심으로 후진 방향(D2)의 영역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공기가 전진 방향(D1)으로 진행할 경우 제2 필름 조립체(2063)의 제2 필름(2066)은 제어 블록(2061) 내의 공간부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제1 필름 조립체(2062)의 제1 필름(2067)도 전진 방향(D1)으로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공기는 전진 방향(D1)으로 유통할 수 있게 된다.When a fluid, such as air, proceeds in the reverse direction D2, the first film 2067 of the first film assembly 2062 is blocked from bending in the reverse direction D2 by the control block 2061, and thus 1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in a region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the film assembly 2062 .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D1 , the second film 2066 of the second film assembly 2063 may be bent into a space in the control block 2061 , and the first film of the first film assembly 2062 . Since 2067 can also be bent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ir can flow in the forward direction D1.

이러한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을 하우징 내에 삽입함으로써, 절단 생검 기구의 전방부에서도 음압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조직 채취홈에서의 조직 채취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By inserting the air pressure control unit 2060 into the housing, a negative pressure is also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tissue harvesting efficiency in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절단 생검 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조직을 회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로 다음 조직 채취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조직 채취가 용이해질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covery of the harvested tissue by a simple operation, the user can recover the tissue only with the hand holding the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and thus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other hand can still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user may proceed to the next tissue harvesting operation, and thus a plurality of consecutive tissue harvesting may be facilitated.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손으로는 초음파 기구를 타겟 위치에 여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전술한 장전, 발사, 회수의 동작을 절단 생검 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술 동작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loading, firing, and retrieval operations can be performed with only the hand holding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while the ultrasound instrument is still positioned at the target position with one hand, thereby simplifying the entire surgical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are only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in any way.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2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s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be used in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 Finally,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the order is explicit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In the embodiment,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2 examples, etc.)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it i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0, 1000: 절단 생검 기구
10, 1010: 하우징
21, 1021: 겉침부
20, 1020: 속침부
330, 1330: 홀더부
340, 1340: 지지부
100, 1000: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10, 1010: housing
21, 1021: outer needle
20, 1020: fast needle
330, 1330: holder part
340, 1340: support

Claims (10)

겉침부 및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속침부를 구비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홀더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영역 중 상기 홀더부가 배치되는 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의 영역 중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관통 형태의 조작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지지부의 조작홈을 통하여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로 덮이지 않도록 노출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홀더부의 상기 고정부가 압력을 받으면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작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고정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부의 고정 대응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a needle set having an outer needle and an inner needle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needle;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therein so that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is disposed;
a holder part form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area of the needle set, the at least one area being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d a support part disposed to face one surface on which the holder part is disposed among the external regions of the housing and to surround a region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outside of the housing among regions of the holder part;
The support includes a through-type manipulation groove,
The holder part includes a fixing part formed to protrude through the manipulation groove of the support part to be exposed,
The fixing part of the holder part is exposed so as not to be covered by the support part,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xing corresponding portion formed to be caught when the fixing portion of the holder portion is pressed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peration groove,
Comprising that the holder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formed to move together while the fixing part of the holder part is fixed to the fixed counterpart part of the support part,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겉침부는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고 상기 홀더부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comprising a needle portion connected to the holder portion and formed to move together with the holder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된 절단 생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 cutting biopsy instrument form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lder part and the support part by a user's manipul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홈에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nd wherein the support part has a groove,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holder part is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support part.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하우징에 제1 블록과 인라인을 이루도록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
상기 제2 블록에 결합된 제2 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비된 밀폐 공간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A needle set comprising: an inner needle having a tissue harvesting groove, and an outer needle provided shorter than the inner needle to cover the inner needle and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need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therein so that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edle set is disposed;
a first block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outer needle, the inner needle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block and provid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 second block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form an in-line with the first block and provid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rough the inner needle;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 second spring coupled to the second block; and
A cut biopsy instrument located in the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tissue harvesting groove, and including a closed space provided to increase or decrease in volume according to the mo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losed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volume changes in association with the motion of the second block,
The amputation biopsy device comprises:
A first time point at which the second block starts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increases, and a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outer needle starts to move in a direction to close the open tissue harvesting groove are provid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old, amputated biopsy instrumen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losed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volume changes in association with the motion of the second block,
The amputation biopsy device comprises:
The second block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time point at which the movement start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enclosed space is faster than the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outer needle start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pened tissue harvesting groove ,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적어도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aled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volume changes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at least the first block,
The amputation biopsy device comprises:
The first block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time point at which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enclosed space starts to be faster than the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outer needle part start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opened tissue harvesting groove , an amputation biopsy instrument.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침부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챔버부; 및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챔버부 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피스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챔버부 내에서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 생검 기구.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a chamber part coupled to the inner needle part and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Further comprising a piston part provided to reciprocate in the chamber part through which the needle part penetrates,
wherein the enclosed space is defined by the piston part within the chamber part.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셋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압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which is located in the housing,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needle set, and further includes an air pressure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tissue collection groove and includes a flow path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KR1020220008584A 2019-11-22 2022-01-20 Core biopsy device KR102452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584A KR102452431B1 (en) 2019-11-22 2022-01-20 Core biopsy device
KR1020220073425A KR102533757B1 (en) 2019-11-22 2022-06-16 Core biops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23A KR20210063115A (en) 2019-11-22 2019-11-22 Core biopsy device
KR1020220008584A KR102452431B1 (en) 2019-11-22 2022-01-20 Core biopsy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23A Division KR20210063115A (en) 2019-11-22 2019-11-22 Core biopsy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25A Division KR102533757B1 (en) 2019-11-22 2022-06-16 Core biops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06A true KR20220014906A (en) 2022-02-07
KR102452431B1 KR102452431B1 (en) 2022-10-11

Family

ID=763760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23A KR20210063115A (en) 2019-11-22 2019-11-22 Core biopsy device
KR1020220008584A KR102452431B1 (en) 2019-11-22 2022-01-20 Core biopsy device
KR1020220073425A KR102533757B1 (en) 2019-11-22 2022-06-16 Core biopsy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23A KR20210063115A (en) 2019-11-22 2019-11-22 Core biopsy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25A KR102533757B1 (en) 2019-11-22 2022-06-16 Core biops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6311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20B1 (en) * 2022-08-09 2023-06-01 조백현 A Surgical Equipm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3002A1 (en) * 2003-01-31 2004-08-05 Schramm John B. Integrated biopsy needle assembly
WO2005117683A1 (en) * 2004-05-27 2005-12-15 Boston Scientific Limited Biopsy needle instrument
WO2015069223A1 (en) * 2013-11-05 2015-05-14 C.R. Bard, Inc. Biopsy device having integrated vacuum
KR101782765B1 (en) * 2017-02-03 2017-09-27 고형진 Single-use needle biopsy
KR20180088119A (en) * 2017-01-26 2018-08-03 고형진 One-time usable core biopsy device
WO2018213324A1 (en) *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Semi-automatic biopsy needle device and methods of use
KR20190115784A (en)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Core biopsy device
KR20190115718A (en)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Driving force transmitt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2085B2 (en) * 2002-11-20 2006-04-04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instrument
KR102117014B1 (en) * 2018-01-26 2020-05-29 고형진 Core biopsy device
KR102215655B1 (en) * 2018-09-06 2021-02-16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Core biopsy device
KR102392692B1 (en) * 2019-11-08 2022-05-03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Core biopsy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3002A1 (en) * 2003-01-31 2004-08-05 Schramm John B. Integrated biopsy needle assembly
WO2005117683A1 (en) * 2004-05-27 2005-12-15 Boston Scientific Limited Biopsy needle instrument
WO2015069223A1 (en) * 2013-11-05 2015-05-14 C.R. Bard, Inc. Biopsy device having integrated vacuum
KR20180088119A (en) * 2017-01-26 2018-08-03 고형진 One-time usable core biopsy device
KR101782765B1 (en) * 2017-02-03 2017-09-27 고형진 Single-use needle biopsy
WO2018213324A1 (en) *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Semi-automatic biopsy needle device and methods of use
KR20190115784A (en)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Core biopsy device
KR20190115718A (en)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Driving force transmitt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431B1 (en) 2022-10-11
KR20210063115A (en) 2021-06-01
KR102533757B1 (en) 2023-05-18
KR20220088665A (en)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60053C2 (en) Instrument for biopsy and disposable set of instruments for biopsy
KR102134469B1 (en) Core biopsy device
EP1135065B1 (en) Biopsy needle and surgical instrument
KR100213463B1 (en) Needle for sampling of tissue of living body and method for making of the same and operating device of the same
JP4182431B2 (en) Puncture device
KR102452431B1 (en) Core biopsy device
JPH11225951A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CN105188508A (e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US20220395264A1 (en) Biopsy instrument having outer needle-locking member
KR102215655B1 (en) Core biopsy device
US20190321012A1 (en) Disposable needle biopsy device and needle structure of cutting biopsy apparatus
KR20170138064A (en) Biopsy device
KR102493277B1 (en) One-time usable core biopsy device
KR102357411B1 (en) Core biopsy device
CN110461245B (en) Cutting biopsy instrument
KR102117014B1 (en) Core biopsy device
KR102376214B1 (en) Core biopsy device
KR20220061068A (en) Core biopsy device
KR102392693B1 (en) Core needle cutting biopsy device
KR20210020051A (en) Core biopsy device
JP5850807B2 (en) Puncture device
KR20240078421A (en) Core biopsy device
KR20220082661A (en) Core biopsy device
CN103284762A (en) Device for sampling organ
KR20240042891A (en) Needle set for biops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