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857A - 화장품 디스펜싱용 리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화장품 디스펜싱용 리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857A
KR20220014857A KR1020210099288A KR20210099288A KR20220014857A KR 20220014857 A KR20220014857 A KR 20220014857A KR 1020210099288 A KR1020210099288 A KR 1020210099288A KR 20210099288 A KR20210099288 A KR 20210099288A KR 20220014857 A KR20220014857 A KR 20220014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ase
receiving element
lipstick
lock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날드 트호셸
Original Assignee
악실론 플라스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실론 플라스티크 filed Critical 악실론 플라스티크
Publication of KR2022001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62Stick holding cups with retaining means, e.g. clamping mean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12, 112, 212, 312) 및 상기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카트리지(14, 114, 214, 314)를 포함하는 화장품 디스펜싱을 위한 리필식 어셈블리(100, 200, 300)가 제시된다. 베이스는 카트리지 수용요소(132, 232, 332) 및 카트리지 락킹요소(148, 248, 348)를 포함한다. 락킹요소는 개방 위치를 향한 제1 방향(D1) 및 폐쇄 위치를 향한 제2 방향(D2)으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회전하여 수용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개방 위치에서,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카트리지가 베이스에 삽입될 때 폐쇄 위치에서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와 통합된다.

Description

화장품 디스펜싱용 리필 어셈블리{REFILLABLE ASSEMBLY FOR DISPENSING COSMETIC PRODU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와 카트리지가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화장품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립스틱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디스펜싱 장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립스틱 디스펜싱 장치의 경우이다. 카트리지에는 립스틱의 스틱이 들어 있으며 베이스가 립스틱 디스펜싱 장치를 파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와 베이스는 디스펜싱 장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정렬된다. 결합시, 베이스는 립스틱을 디스펜싱하기 위해 카트리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컨트롤 소켓을 통해 카트리지에 대한 베이스의 회전을 부여함으로써, 디스펜싱 장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립스틱의 스틱(컵이라고도 함)이 리셉터클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베이스와 카트리지는 영구 결합된다. 이 때문에, 립스틱 스틱이 소모되면 완전히 새로운 디스펜싱 장치를 구입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베이스와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펜싱 장치가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립스틱의 스틱이 소모되면, 베이스와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카트리지만 교체할 수 있어 더욱 친환경적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베이스와 다양한 색상의 립스틱에 해당하는 여러 개의 카트리지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와 베이스 사이의 연결은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은 자기적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강자성 재료로 구성된 요소 및 상기 강자성 요소와 협력할 수 있는 자석을 베이스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결합은 사용자의 부적절한 취급으로 인해 사용 중 베이스에서 카트리지가 분리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카트리지와 베이스 사이의 또 다른 유형의 연결은 서로에 대한 탄성 결합(snap-fitting)을 포함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연결이 느슨해져서 카트리지와 베이스가 너무 이르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길이방향 축을 정의하는 화장품, 특히 립스틱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리필식 어셈블리로서,
- 베이스; 및
- 상기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외부 시스와 시스 내부에 있고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 배치된 컨트롤 소켓을 가지고 있고, 상기 컨트롤 소켓은 카트리지로부터 화장품을 빼낼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컨트롤 소켓에 개구가 있고,
상기 베이스는:
- 카트리지의 하부를 내부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슬리브가 있는 카트리지 수용요소; 및
- 개방 위치를 향한 제1 방향 및 폐쇄 위치를 향한 제2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회전하면서 수용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락킹요소를 포함하고,
개방 위치에서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폐쇄 위치에서 베이스에 카트리지의 삽입시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와 통합되며,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락킹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용요소와 락킹요소가 회전 통합되며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이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과 결합할 수 있는 베이스의 전달요소에 의해 구동되도록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 접합부를 포함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가 제안된다.
화장품 디스펜싱을 위한 리필 가능한 어셈블리는 카트리지를 락킹 및 언락킹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쉽게 손가락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형성한다.
다음 단락에서 설명하는 기능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전달요소가 수용요소에 배치된다.
- 베이스는 락킹부재의 위치에 따라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에 결합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한다.
- 락킹부재는 락킹요소에 있고, 수용요소는 슬리브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상기 락킹요소와 접촉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개구가 있으며, 상기 개구에는 락킹부재가 수용된다.
- 락킹부재는 수용요소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는 슬리브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베이스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개방 위치에 있는 개방 접합부를 포함한다.
-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락킹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클로저 접합부에 클로저 캐치를 더 포함한다. 폐쇄 캐치는 폐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락킹요소의 원치 않는 회전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중 하나에 슬롯과 상기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중 다른 하나에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슬롯과 맞물리고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 슬롯은 일정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전반적으로 원호 형상을 갖는다. 원형 슬롯은 립스틱 디스펜싱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과 유사한 회전 운동을 허용하다.
- 슬롯은 락킹요소가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수용요소에 대해 이동될 때 락킹요소가 나선형 운동을 따도록 가변 길이 위치로 뻗어 있는 전반적으로 원호 형상을 갖는다.
-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회전은 길이방향 축 주위로 18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도의 각도에 걸쳐 발생한다.
- 전달요소는 락킹부재 주위로 바닥부에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는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의 대응하는 리세스와 맞물릴 수 있다.
- 락킹부재는 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를 통해 카트리지의 개구로 뻗어 있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자유 단부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는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 아닌 반경방향 돌출부를 포함하고, 카트리지의 개구는 상기 돌출부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 락킹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를 통해 카트리지의 개구로 뻗어 있는 2개의 가요성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요성 탭은 바닥부의 개구의 벽에 맞닿아 있고, 상기 바닥부의 개구는 상기 개구에 대한 가요성 탭의 상대 위치가 가요성 탭 사이의 가변 거리를 정의하도록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 아닌 형상을 가지며, 상기 락킹요소의 개방 위치에서 2개의 가요성 탭은 락킹요소의 폐쇄 위치에서보다 서로 반경방향으로 더 가깝다.
- 락킹부재는 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를 통해 길이방향 축을 따라 뻗어 있는 스터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요소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카트리지의 개구 내로 뻗어 있는 복수의 가요성 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요성 탭은 스터드가 뻗어 있는 개구를 정의하기 위해 스터드 주위에 배열되고 스터드와 접촉하며, 락킹요소 및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회전으로 인해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스터드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길이방향 축을 따른 스터드의 이동으로 복수의 가요성 탭의 거리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증가하도록 한다.
- 카트리지의 돌출부와 개구는 각각 타원형이다.
- 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는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는 대체로 타원형이고; 개방 위치에서 2개의 가요성 탭 각각은 장축의 단부에 위치되고 폐쇄 위치에서 2개의 가요성 탭 각각은 단축의 단부에 위치된다.
- 2개의 가요성 탭 각각은 카트리지의 대응하는 테두리와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 복수의 가요성 탭은 3개의 가요성 탭을 포함하고 복수의 러그는 3개의 러그를 포함한다.
- 락킹부재와 전달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길이방향 축을 정의하며, 립스틱용 착탈식 카트리지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립스틱용 리필식 베이스로서,
- 내부에 카트리지의 하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슬리브를 갖는 카트리지 수용요소;
카트리지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개방 위치를 향한 제1 방향 및 카트리지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와 일체인 폐쇄 위치를 향한 제2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수용요소에 대해 적어도 회전 이동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에 카트리지를 락킹하기 위한 락킹요소; 및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에 있고, 락킹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을 구동하기에 적합한 폐쇄 접합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요소는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전달요소를 갖는 립스틱용 리필식 베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 사항 및 이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의 분석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립스틱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어셈블리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고 립스틱과 호환되는 별도의 미부착 착탈식 립스틱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립스틱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리셉터클에는 내부에 립스틱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점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의 단면도로서, 립스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립스틱 카트리지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립스틱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립스틱 카트리지의 일부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베이스의 다양한 요소를 드러내기 위해 베이스의 외부 쉘은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립스틱의 착탈식 카트리지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베이스의 일부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베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요소의 위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2의 립스틱의 라인 6-6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립스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립스틱 카트리지를 내부에 구비한다.
도 9는 도 8 립스틱 베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요소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립스틱 베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요소의 위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8의 립스틱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일부를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도시된 베이스 부분은 도 9의 수용요소 및 도 10의 락킹요소를 포함한다.
도 12는 도 8의 립스틱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카트리지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립스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립스틱 카트리지를 내부에 구비한다.
도 14는 락킹요소 및 수용요소를 포함하는 도 13의 립스틱 베이스의 측면도로서, 베이스의 락킹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5는 락킹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 13의 립스틱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립스틱 베이스의 락킹요소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립스틱 베이스의 일부를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도시된 부분은 베이스의 락킹요소 및 수용요소를 포함한다.
아래의 도면과 명세서는 대부분 본질적으로 확실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발명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적절한 경우 발명의 정의에 기여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품, 특히 립스틱용 리필식 디스펜서(8)가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디스펜서 또는 립스틱(8)은 립스틱 리셉터클(11)과 별도의 착탈식 카트리지(14)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1)은 디스펜서(8)의 외부 쉘이고 카트리지(1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베이스(12), 및 카트리지(14) 주위로 외부 보호쉘을 생성하기 위해 베이스와 협력하는 캡(16)을 포함한다. 캡(16)이 예를 들어 자기 또는 기계 장치에 의해 베이스(12)에 연결되면, 카트리지(14)에 접근할 수 없다. 접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캡(16)이 베이스(12)에서 분리된다.
카트리지(14)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가 비었거나 다른 컬러의 립스틱을 원할 때) 교체 카트리지를 삽입함으로써 베이스(12)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1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즉,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2) 및 캡(16)이 재사용될 수 있다. 리필식 립스틱(8)은 우수한 품질의 외부 쉘(즉, 리셉터클(11))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포장 및 그에 따른 플라스틱의 소비를 줄이게 한다.
도면의 예에서, 리셉터클(11)은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어셈블리(10)는 상이한 횡단면, 예를 들어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육각형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12)와 카트리지(14)의 결합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목록으로서, 결합은 자기 연결 또는 탄성 연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2) 및 카트리지(14)는 주어진 브랜드 또는 모델의 카트리지(14)만이 미리 결정된 베이스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커플링을 갖는다. 따라서, 키잉 시스템은 카트리지(14)와 베이스(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14)와 베이스(12)는 카트리지(14)가 베이스(12)에 어셈블리될 때 길이방향 축(L)을 정의하는 어셈블리(10)를 형성한다. 길이방향 축(L)은 또한 카트리지(14)의 길이방향 축이다.
카트리지(14)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립스틱(20)의 스틱 또는 컨트롤 소켓(도 1에는 미도시)과 같은 카트리지의 내부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카트리지(14)의 전체 높이에 걸쳐 뻗어 있는 보호 시스(18)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소켓은 카트리지(14)의 바닥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하므로, 보호 시스(18)는 립스틱 디스펜싱 시스템의 시기적절하지 못하게 작동을 방지한다. 디스펜싱 시스템은 립스틱(20)의 스틱이 컵에 배열되고 컨트롤 소켓의 회전 동안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이동하는 립스틱 분야에 알려진 시스템이다.
베이스(12)는 베이스(12)와 카트리지(14)의 임의의 분리를 방지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술된) 락킹 시스템을 포함한다. 락킹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2개의 요소: 카트리지(14)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요소, 및 상기 수용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한 락킹요소를 포함한다. 이 락킹 시스템은 베이스와 카트리지 사이의 제 2 커플링이 될 수 있어 베이스에서 카트리지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다양한 락킹 시스템을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가 립스틱 디스펜싱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리필 카트리지(14)를 베이스(12)에 고정할 수 있다. 카트리지(14)가 베이스(12)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해 베이스(12)의 수용요소와 일체인 락킹 링(30)을 잡고 베이스(12) 및 카트리지(14) 사이에 실제적인 락킹이 얻어질 때까지 반대쪽 손의 손가락으로 베이스(12)의 외부 쉘(33)을 회전시키며, 상기 외부 쉘은 베이스(12)와 일체로 되어 있다. 아래에 설명된 각 실시예에서, 락킹은 카트리지(14)가 베이스(12)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발생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화장품, 특히 립스틱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리필식 어셈블리(100)의 제1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2는 내부에 착탈식 립스틱 카트리지(114)를 갖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108)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립스틱(108)은 상기 립스틱(108)의 외부 쉘인 리셉터클(111)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11)은 카트리지(11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베이스(112), 및 카트리지(114) 주위에 외부 보호 쉘을 생성하도록 베이스(112)와 협력하는 캡(116)을 포함한다. 캡(116)이 예를 들어 자기 및/또는 기계 장치(117)에 의해 베이스(112)에 연결되면, 카트리지(114)는 접근할 수 없다. 접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캡(116)은 베이스(112)에서 분리된다. 도면의 예에서, 장치(117)는 기계적이고 베이스(112)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베이스(112)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캡(116)과 마찰을 생성하는 스터드로 구성된다(도 3에서 더 볼 수 있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펜싱용 어셈블리(100)는 립스틱(108)의 베이스(112) 및 착탈식 카트리지(11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14)는 외부 시스(118)(보호 시스(18)와 유사) 및 상기 시스(118) 내부에 있고 카트리지(114)의 하부에 제공된 컨트롤 소켓(122)을 갖는다. 컨트롤 소켓(122)은 립스틱 디스펜싱 시스템(126)(도 2에서 볼 수 있음)을 활성화함으로써 카트리지(114)로부터 화장품을 빼낼수 있게 한다. 디스펜싱 시스템(126)은 립스틱 튜브에서 립스틱 스틱을 빼내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카트리지(114)는 베이스(112)와의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컨트롤 소켓(122)에 개구(130)를 갖는다. 이 개구는 또한 베이스(112)와 카트리지(114) 사이의 키잉 시스템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 개구와 맞물리고 카트리지(114)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베이스(112)만이 베이스(112)와 카트리지(114) 사이의 결합을 허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베이스(112)는 카트리지(114)가 베이스(112)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114)와 협력하는 카트리지(114)용 수용요소(132), 및 베이스(112)에 카트리지(114)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요소(148)를 포함한다. 수용요소(132)는 링(130)과 일체화되고(예를 들어, 접착되고), 락킹요소(148)는 베이스(312)의 외부 쉘(133)과 일체화된다(예를 들어 접착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외부 쉘(133)에 대한 링(130)의 상대 회전으로 베이스(112)로부터 카트리지(114)를 고정 또는 분리하기 위해 수용요소(132)와 락킹요소(148)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이제 도 5을 참조하면, 수용요소(132)는 그 내부(136) 내에 카트리지(114)의 하부(123)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슬리브(134)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요소(132)는 슬리브(134)의 하부(142)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140)을 포함한다. 그러나, 바닥부(140)은 생략될 수 있다. 바닥부(140)은 개구(172)를 포함한다.
수용요소(132)는 카트리지(114)의 컨트롤 소켓(122)과 맞물릴 수 있는 전달요소(138)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138)가 바닥부(140)에 배열된다. 그러나, 전달요소(138)는 바닥부(140)보다 베이스(112)의 다른 곳에, 예를 들어 슬리브(134) 또는 락킹요소(14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138)는 서로 동일한 거리로 바닥부(140) 상에 배열된 복수의 러그(144)를 포함한다. 러그(144)는 카트리지(114)의 컨트롤 소켓(122)의 대응하는 리세스(146)와 맞물릴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의 예에서, 어셈블리(100)는 2개의 러그(144)를 포함한다. 그러나, 어셈블리(100)는 단지 하나 또는 2개보다 많은 러그를 가질 수 있다. 러그는 정사각형, 원형 또는 기타 횡단면일 수 있다. 러그는 대안적으로 카트리지(114)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수용요소(132)는 대응하는 리세스를 가질 것이다. 전달요소(138)는 또한 러그-리세스와 상이한 암수 시스템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락킹요소(148)는 제1 방향(D1)(또는 개방 방향)에서 개방 위치로 그리고 제2 방향(D2)(또는 폐쇄 방향)에서 폐쇄 위치로 길이방향 축선(L)을 중심으로 적어도 회전으로 수용부재(13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이다. 개방 위치에서, 카트리지(114)는 길이방향 축(L)을 따라 베이스(1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개방 위치는 카트리지(114)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다. 카트리지(114)가 베이스(112)에 삽입될 때 폐쇄 위치에서, 카트리지(114)는 길이방향 축(L)을 따라 베이스(112)와 일체화된다. 폐쇄 위치는 베이스(112)에 카트리지(114)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립스틱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사이의 연결부(150)가 폐쇄 위치에서 폐쇄 접합부(152)를 포함하므로 락킹요소(148)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112)가 폐쇄 방향(D2)으로(즉,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수용요소(132) 및 락킹요소(148)가 회전에 통합되고 카트리지(114)의 컨트롤 소켓(122)이 전달요소(138)에 의해 구동된다.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사이의 연결부(150)는 베이스(112)가 개방 방향(D1)으로 회전될 때 개방 위치에 개방 접합부(15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접합부(154)는 락킹요소(148)가 개방 위치에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114)가 베이스(112)로부터 결합/분리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사이의 연결부(150)는 락킹요소(148)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114)가 제1 방향(D1)으로 회전될 때 저항을 생성하기 위해 폐쇄 접합부(152)에(즉, 폐쇄 접합부(152) 직전에) 클로저 캐치(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사이의 연결부(150)는 락킹요소(148)가 개방 위치에 있고 베이스(114)가 폐쇄 방향(D2)으로 회전될 때 저항을 생성하기 위해 개방 접합부(154)에(즉, 개방 접합부(154) 직전에) 오프닝 캐치(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치(156, 158)는 원치 않는 락킹 및 언락킹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50)는 2개보다 많은 캐치, 예를 들어 복수의 캐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사용자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할 때 다양한 클릭감을 주기 위해 저항이 덜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사이의 연결부(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슬롯(160), 및 상기 슬롯(160)과 맞물리고 상기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한 핑거(162)를 포함한다. 어셈블리(100)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112)에는 각각 핑거(162)가 있는 2개의 슬롯(160)이 장착되며, 슬롯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다. 그러나, 단순화하기 위해, 싱글 슬롯(160) 및 핑거(162)를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연결부(150)는 싱글 슬롯 핑거 시스템 또는 2개보다 많은 슬롯 핑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연결부(150)는 또한 슬롯 핑거 시스템 이외의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50)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에 맞물리는 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슬롯(160)은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고, 핑거(162)는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슬롯(160)은 수용요소(132)에 위치되고 핑거(162)는 락킹요소(148)에 위치된다. 슬롯(160)은 고정된 길이방향 위치에서 뻗어 있는 일반적인 원호 형상을 갖는다. 슬롯(160)의 길이가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사이의 회전 진폭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롯(160)은 반원 또는 수용요소(132) 또는 위치된 락킹요소(148)의 원주 미만(예를 들어, 원의 1/4 또는 원 1/3 또는 원의 6/8)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킹요소(148)와 수용요소(132) 사이의 회전은 길이방향 축(L)에 대해 18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90도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도인 각도에 걸쳐 일어난다. 각도는 180도에서 30도 사이의 모든 각도(예를 들어, 40도 또는 50도)일 수 있다.
슬롯(160)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의 예에서, 슬롯(160)은 2개의 긴 측면 중 하나에서 개방되고, 상기 개방 측면은 락킹요소(148)의 림(161)에 의해 폐쇄된다.
개방 및 폐쇄 접합부(152, 154)는 슬롯(160)의 단부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치(156 또는 158)와 대응하는 가장 가까운 접합부(152, 154) 사이의 거리는 대략 손가락(162)의 크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락킹요소(148)는 카트리지(114)를 베이스(112)에 고정시키기 위해 카트리지(114)의 개구(130)에 맞물릴 수 있는 락킹부재(164)를 포함한다. 락킹부재(164)는 바닥의 개구(172)에 수용되고, 러스(144)가 서로 동일한 거리에서 락킹부재(164) 및 개구(172) 주위의 바닥부(140)에 배열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락킹부재(164)는 자유 단부(168)를 갖는 로드(166)를 포함한다. 자유 단부(168)는 길이방향 축(L)에 대해 회전 대칭이 아닌(원형이 아님을 의미하는) 반경방향 돌출부(170)를 포함하고, 카트리지(114)의 개구(130)는 돌출부(17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7의 예에서, 돌출부(170)와 개구(130)는 타원형이다.
비대칭 형상들이 정렬될 때(즉, 개방 위치일 때), 락킹부재(164)가 개구(130)에 삽입될 수 있고, 비대칭 형상들이 정렬되지 않을 때(즉, 폐쇄 위치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킹부재(164)는 더 이상 개구(13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없다. 개구(130) 및 돌출부(170)의 형상의 상보성으로 인해 카트리지(114)와 베이스(112) 사이의 키잉 시스템이 허용되므로 베이스(112)와 호환되는 카트리지(114)만이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170)와 이에 대응하는 개구(130)의 형상은 개폐 위치를 정의하는 회전 각도에 따라 락킹을 허용한다. 개방 위치에서 락킹부재(164)가 폐쇄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도록 각도 및 형상이 선택된다. 도 2 내지 도 7의 예에서, 형상은 타원형이고 회전 각도는 엄격하게 180도 미만이므로 개방 및 폐쇄 위치에서 형상의 동일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138)와 락킹부재(164)는 하나의 동일한 요소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락킹부재(164)는 예를 들어 컨트롤 소켓(122)의 슬롯에 맞물리는 부분을 가질 수 있어서, 락킹요소(148)가 회전될 때, 컨트롤 소켓(122)도 마찬가지로 회전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138)는 수용요소(132)가 아니라 락킹요소(148) 상에 위치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요소(132) 및 락킹요소(148)는 각각 단일 성형 플라스틱 조각으로 만들어지며, 이 둘은 마찰에 의해 어셈블리된다. 그러나, 수용요소(132) 및 락킹요소(148)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의 여러 조각으로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화장품, 특히 립스틱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리필식 어셈블리(200)의 제2 실시예가 제시된다. 어셈블리(200)는 수용요소와 락킹요소 사이의 연결부, 락킹부재, 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 및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의 개구를 제외하고는 어셈블리(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간략히 하기 위해, 어셈블리(100)와 어셈블리(200) 사이의 공통 요소는 이 섹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200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수용요소(232)와 락킹요소(248) 사이의 연결부(250)는 전술한 슬롯 핑거 시스템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결부(250)가 슬롯 핑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연결부(250)는 함께 중첩된 2개의 요소로 형성된다. 제1 요소(260)는 수용요소(232)에(카트리지(214)를 수용하는 면에 대향하는 바닥부(240)의 면(241)에) 배열되고 제2 요소(미도시)는 바닥부(240)의 면(241)을 향하는 락킹요소(248) 상에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소(260)는 일반적으로 L-형 횡단면을 갖고 원호의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2 요소는 제1 요소(260)와 결합하여, 수용요소(232) 및 락킹요소(248)가 제1 요소(260)에 의해 형성된 원의 호에 의해 가이드되어 서로에 대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연결부(250)는 본 명세서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제1 요소-제2 요소 어셈블리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부(250)는 단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요소-제2 요소 어셈블리만 가질 수 있다.
연결부(250)는 폐쇄 접합부(252)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개방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드(166) 및 돌출부(170) 대신에, 어셈블리(200)의 베이스(212)의 락킹부재(264)는 2개의 가요성 탭(266)을 포함하며, 각각은 자유 단부(275)에 돌출부(270)를 갖는다. 탭(266)은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카트리지(214)의 개구(230) 내로 전개하도록 형성되므로, 돌출부(270)가 카트리지(214)의 대응하는 림(215)과 맞물려 카트리지(214)를 베이스(212)에 결속시킬 수 있다. 림(215)은 카트리지(214)의 내부에 있다. 이는 카트리지(214)의 컨트롤 소켓(222)에 있는 개구(230)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 림(215)은 방해받지 않는 림일 수 있거나 슬롯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일 림 또는 슬롯일 수 있거나 컨트롤 소켓(322)은 가요성 탭(266)이 있는 만큼 많은 림 또는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림(215)은 각각의 가요성 탭(266)의 돌출부(270)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가요성 탭(266)은 수용요소(232)의 바닥부(240)의 개구(272)를 통해 추가로 연장된다. 락킹부재(264)는 2개보다 많은 가요성 탭, 예를 들어 3개를 가질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개구(230)는 원형이다. 그러나, 개구(230)가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비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가요성 탭(266)은 수용요소(232)의 바닥부(240)의 개구(272)의 벽(271)에 대해 하단부(267)에서 맞닿아 있다. 개구(272)는 길이방향 축(L)에 대해 회전상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개구(272)에 대한 가요성 탭(266)의 상대 위치가 가요성 탭(266) 사이의 가변 거리(G)를 정의한다. 락킹요소(248)의 개방 위치에서, 가요성 탭(266)은 락킹요소(248)의 폐쇄 위치에서보다 서로 반경방향으로 더 가깝다. 락킹요소(248)의 개방 위치에서, 가요성 탭(266)은 거리(G1)에 있고, 락킹요소(248)의 폐쇄 위치에서, 가요성 탭(266)은 G1보다 큰 거리(G2)에 있다. 거리(G2)는 카트리지(214)와 베이스(212) 사이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컨트롤 소켓(222)의 개구(230)의 크기보다 더 크다. 거리(G1)는 컨트롤 소켓(222)의 개구(230)의 크기보다 작아서, 베이스(212)로부터 카트리지(214)를 배치하고 제거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수용요소(232)의 바닥부(240)의 개구(272)는 직선 측면(273)을 갖는 전반적인 타원형 형상이고 장축(A1) 및 단축(A2)을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가요성 탭(266) 각각은 장축(A1)의 단부(E1)에 위치되고, 폐쇄 위치에서 가요성 탭(266) 각각은 단축(A2)의 단부(E2)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요성 탭(266)이 단축면(A1)에 대해 인접할 때, 이들은 거리(G1)에 있고, 가요성 탭(266)이 장축면(A2)에 대해 인접할 때, 이들은 서로로부터 거리(G2)에 있다. 단축면(A1)에 대한 접합부에서 장축면(A2)에 대한 접합부로 또는 그 반대로 가요성 탭을 이동함으로써, 거리(G)가 변할 수 있고, 따라서 가요성 탭(266)의 돌출부(270)가 카트리지(214)를 베이스(212)에 고정하기 위한 컨트롤 소켓(222) 내부의 림(215)과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는다.
가요성 탭(266)이 락킹요소(248)에 고정 연결되고, 개구(272)가 수용요소(232)의 일부이기 때문에, 락킹요소(248)에 대한 수용요소(232)의 회전으로 인해 단축면(A1)과 장축면(A2) 사이에 가요성 탭(266)의 접합부가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제스처를 사용하여, 카트리지(214)의 내부 림(215)과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도록 가요성 탭(266)을 서로 더 가깝게 또는 더 멀어지게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14)의 컨트롤 소켓(222)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전달요소(238)(즉, 러그(244))는 장축(A1)과 정렬된 바닥부(240)에 위치된다. 그러나, 전달요소(238)는 수용요소(232) 상의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238) 및 가요성 탭(266)은 하나의 동일한 요소이다. 컨트롤 소켓(222)의 대응하는 리세스와 맞물림으로써, 가요성 탭(266)은 전달요소(238)로서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락킹요소(248)가 회전될 때, 컨트롤 소켓(222)도 역시 회전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238)는 수용요소(232)가 아니라 락킹요소(248) 상에 위치될 것이다.
이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화장품, 특히 립스틱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리필식 어셈블리(300)의 제3 실시예가 제시된다. 어셈블리(300)는 락킹부재, 수용부재의 바닥부의 개구, 및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의 개구를 제외하고는 어셈블리(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간결히 하기 위해, 어셈블리(100)와 어셈블리(300) 사이의 공통 요소는 이 섹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300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디스펜싱 어셈블리(300)는 베이스(312) 및 상기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카트리지(31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314)는 외부 시스(318)(보호 시스(18)와 유사) 및 상기 시스(318) 내부에 있고 카트리지(314)의 하부(323)에 배열된 컨트롤 소켓(322)을 갖는다. 컨트롤 소켓(322)은 립스틱 디스펜싱 시스템9326)을 작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314)로부터 화장품을 빼낼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314)는 베이스(312)와의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컨트롤 소켓(322)에 개구(330)를 갖는다.
베이스(312)는 카트리지(314)를 위한 수용요소(332)를 포함한다. 수용요소(332)는 그 내부(336)에 카트리지(314)의 하부(323)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슬리브(334)를 갖는다.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요소(332)는 슬리브(334)의 하부(342)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340)을 포함한다. 그러나, 바닥부(340)은 생략될 수 있다. 수용요소(332)는 카트리지(314)의 컨트롤 소켓(322)과 맞물릴 수 있는 전달요소(338)를 갖는다.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338)가 바닥부(340)에 배열된다. 그러나, 전달요소(338)는 바닥부(340)보다 베이스(312)의 다른 곳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요소(338)는 서로 동일한 거리로 바닥부(340) 상에 배열된 복수의 러그(344)를 포함한다. 러그(344)는 카트리지(314)의 컨트롤 소켓(322)의 대응하는 리세스(미도시)와 맞물릴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의 예에서, 어셈블리(300)는 3개의 러그(344)를 포함한다. 그러나, 어셈블리(300)는 단지 1개, 2개 또는 3개 이상의 러그를 가질 수 있다. 러그(344)는 정사각형, 원형 또는 다른 횡단면일 수 있다. 러그(344)는 대안적으로 카트리지(314)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수용요소(332)는 대응하는 리세스를 가질 것이다. 전달요소(338)는 또한 러그-리세스와 상이한 암수 시스템일 수 있다.
베이스(312)는 상기 베이스(312)에 카트리지(314)를 고정하기 위해 카트리지(314)가 베이스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314)와 협력하는 락킹요소(348)를 더 포함한다. 락킹요소(348)는 수용요소(332)에 대해 개방 위치를 향한 제1 방향(D1) 및 폐쇄 위치를 향한 제2 방향(D2)으로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적어도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이다. 개방 위치에서, 카트리지(314)는 길이방향 축(L)을 따라 베이스(3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폐쇄 위치에서, 카트리지(314)가 베이스(312)에 삽입되면, 카트리지(314)는 길이방향 축(L)을 따라 베이스(312)와 일체가 된다.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연결부(350)는 폐쇄위치에 폐쇄 접합부(352)를 포함하므로, 락킹요소(348)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312)가 제2 방향(D2)으로(즉, 폐쇄 위치로 변경하는 데 사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용요소(332) 및 락킹요소(348)는 회전에 있어서 일체화되고 카트리지(314)의 컨트롤 소켓(322)이 전달요소(338)에 의해 구동된다. 락킹요소(348) 및 수용요소(332)의 연결부(350)는 베이스(312)가 개방 방향(D1)으로 회전될 때 개방 위치에서 개방 접합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접합부는 락킹요소(348)가 개방 위치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연결부(350)는 락킹요소(348)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314)가 개방 방향(D1)으로 회전될 때 저항을 생성하기 위해 폐쇄 접합부(352)에(즉, 폐쇄 접합부(352) 직전에) 클로저 캐치(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연결부(350)는 락킹요소(348)가 개방 위치에 있고 베이스(314)가 제2 방향(D2)으로 회전될 때 저항을 생성하도록 개방 접합부(354)에(즉, 개방 접합부(354) 직전에) 오프닝 캐치(3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치(356, 358)는 원치 않는 락킹 및 언락킹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350)는 2개보다 많은 캐치, 예를 들어 복수의 캐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사용자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다양한 클릭감을 주기 위해 저항이 덜하다.
더 구체적으로,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연결부(350)는 슬롯(360) 및 상기 슬롯(360)과 맞물리고 상기 슬롯(360) 내에서 이동 가능한 핑거(362)를 포함한다. 어셈블리(300)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312)에는 각각 핑거(362)를 갖는 2개의 슬롯(360)이 설비되고, 슬롯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다. 단순화하기 위해, 싱글 슬롯(360) 및 핑거(362)를 설명할 것이다. 연결부(350)는 단 하나의 슬롯 핑거 시스템 또는 2개보다 많은 슬롯 핑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연결부(350)는 또한 슬롯 핑거 시스템 이외의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50)는 그루브 및 그르부에 맞물린 핀에 의해, 또는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그루브 또는 스냅-핏 그루브(탄성 상호연동)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슬롯(360)은 락킹요소(348) 및 수용요소(332)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고, 핑거(362)는 락킹요소(348) 및 수용요소(332)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 슬롯(360)은 수용요소(332)에 있고, 핑거(362)는 락킹요소(348)에 있다. 락킹요소(348)가 수용요소(332)에 대해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면, 락킹요소(348)가 나선형 운동을 따르도록 가변 길이 위치로 전개되는 전반적으로 원호 형상을 갖는다. 나선형 운동은 사용자가 락킹요소(348)가 어떤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지 본능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나선형 운동이 개방 방향(D1)으로 수행되고, 나선형 운동이 락킹요소(348)로부터 멀어지는 수용요소(332)를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을 때(도 15의 화살표 F1), 회전이 베이스(312)로부터 카트리지(314)를 해제하는 위치를 향한다는 직관적인 감각이 획득된다. 마찬가지로, 나선형 운동이 폐쇄 방향(D2)으로 수행되고 나선형 운동이 락킹요소(348)에 더 가깝게 수용요소(332)를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을 때(도 14의 화살표 F2), 회전이 베이스(312)에서 카트리지(314)를 고정하는 위치를 향한다는 직관적인 감각이 획득된다.
슬롯(360)의 길이는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회전 진폭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원 또는 수용요소(332) 또는 위치된 락킹요소(348)의 원주 미만(예를 들어, 원의 1/4 또는 원 1/3 또는 원의 6/8)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회전은 길이방향 축(L)에 대해 18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90도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도인 각도에 걸쳐 일어난다. 각도는 180도에서 30도 사이의 모든 각도, 예를 들어, 40도 또는 50도일 수 있다.
슬롯(360)은 두 개의 긴 측면을 따라 폐쇄된다.
개방 및 폐쇄 접합부(352, 354)는 슬롯(360)의 단부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치(356 또는 358)와 가장 가까운 대응 접합부(352, 354)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손가락(362)의 크기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락킹요소(348)는 카트리지(314)를 베이스(312)에 고정시키기 위해 카트리지(314)의 개구(330)에서 수용요소(332)의 복수의 가요성 탭을 결합하는 것을 돕는 락킹부재(36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킹부재(364)는 수용요소(332)의 바닥부(340)의 개구(372)를 통해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하는 스터드(366)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요성 탭(373)은 스터드(366)가 뻗어 있는 개구(372)를 정의하도록 스터드(366) 주위에 그리고 스터드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연결부(350)는 락킹요소(348)와 수용요소(332) 사이의 회전이 (나선형 운동을 따르는)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스터드(366)를 이동시키게 한다. 길이방향 축(L)을 따른 스터드(366)의 이동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복수의 가요성 탭(373)(바깥쪽으로 미는 경향이 있는 또는 그 반대인 전진 스터드(366))의 거리에 영향을 미친다.
가요성 탭(373)은 자유 단부에 돌출부(377)를 포함하고, 이는 카트리지(314)가 수용요소(312)에 배치될 때 컨트롤 소켓의 개구(330)로부터 접근 가능한 카트리지(314)의 림(315)과 맞물릴 수 있다. 돌출부(377)를 림(315)과 결합시키는 작용으로 카트리지(314)가 베이스(312)에 고정된다. 림(315)은 방해받지 않는 림일 수 있거나 슬롯의 일부일 수 있다. 이것은 단일 림 또는 슬롯일 수 있거나 컨트롤 소켓(322)은 가요성 탭(373)이 있는 만큼 많은 림 또는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요소(332) 및 락킹요소(348) 각각은 단일 성형 플라스틱 조각으로 만들어지며, 이 둘은 마찰에 의해 어셈블리된다. 그러나, 수용요소(332) 및 락킹요소(348)가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의 여러 조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서, 립스틱 디스펜싱 어셈블리가 설명되었지만, 액체(예를 들어, 향수), 페이스트(예를 들어,아이라이너), 또는 고체(예를 들어,블러셔 스틱)와 같은 모든 유형의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다.
8: 디스펜서 또는 립스틱
10: 어셈블리
11: 립스틱 리셉터클
12: 베이스
14: 착탈식 카트리지
16: 캡
18: 보호 시스
20: 립스틱
30: 락킹 링
122: 컨트롤 소켓
132: 수용요소
133: 외부 쉘
134: 슬리브
138: 전달요소
140: 바닥부
144: 복수의 러그
146: 리세스
148: 락킹요소
152: 폐쇄 접합부
154: 개방 접합부
156, 158: 캐치
160: 슬롯
166: 로드
168: 자유 단부
170: 돌출부
172: 개구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Claims (19)

  1. 길이방향 축(L)을 정의하는 화장품, 특히 립스틱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리필식 어셈블리(100, 200, 300)로서,
    - 베이스(12, 112, 212, 312); 및
    - 상기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카트리지(14, 114, 214, 314)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외부 시스(18, 118, 218, 318)와 상기 시스 내부에 있고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123)에 배치된 컨트롤 소켓(22, 122, 222, 322)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 소켓은 카트리지로부터 화장품을 빼낼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컨트롤 소켓에 개구(130, 230, 330)가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 카트리지의 하부를 내부(136)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슬리브(134, 234, 334)가 있는 카트리지 수용요소(132, 232, 332); 및
    - 개방 위치를 향한 제1 방향(D1) 및 폐쇄 위치를 향한 제2 방향(D2)으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회전하면서 수용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락킹요소(148, 248, 348)를 포함하고,
    개방 위치에서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폐쇄 위치에서 베이스에 카트리지의 삽입시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와 통합되며,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150, 250, 350)는 락킹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용요소와 락킹요소가 회전 통합되며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이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과 결합할 수 있는 베이스의 전달요소(138)에 의해 구동되도록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 접합부(152, 252, 352)를 포함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전달요소가 수용요소에 배치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락킹부재의 위치에 따라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에 결합되는 락킹부재(154,254,354)를 포함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락킹부재는 락킹요소에 있고, 수용요소는 슬리브의 하부(142, 242, 342)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상기 락킹요소와 접촉하는 바닥부(140, 240, 34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개구(172, 272, 372)가 있으며, 상기 개구에는 락킹부재가 수용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락킹부재는 수용요소의 바닥부(140, 240, 340)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는 슬리브의 하부(142, 242, 342)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베이스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개방 위치에 있는 개방 접합부(154, 254, 354)를 포함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락킹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클로저 접합부에 클로저 캐치(156, 256, 356)를 더 포함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중 하나에 슬롯(160, 360)과 상기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중 다른 하나에 핑거(162, 362)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슬롯과 맞물리고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한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슬롯(160, 260)은 일정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전반적으로 원호 형상을 갖는 립스틱 리필식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슬롯(360)은 락킹요소가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수용요소에 대해 이동될 때 락킹요소가 나선형 운동을 따도록 가변 길이 위치로 뻗어 있는 전반적으로 원호 형상을 갖는 립스틱용 리필형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회전은 길이방향 축 주위로 18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도의 각도에 걸쳐 발생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달요소는 락킹부재 주위로 바닥부에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러그(144, 244, 344)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는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의 대응하는 리세스(146, 246)와 맞물릴 수 있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13. 제2항, 제3항 및 제 5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킹부재는 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를 통해 카트리지의 개구로 뻗어 있는 로드(166)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자유 단부(168)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는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 아닌 반경방향 돌출부(170)를 포함하고, 카트리지의 개구는 상기 돌출부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14. 제3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킹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를 통해 카트리지의 개구로 뻗어 있는 2개의 가요성 탭(266)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요성 탭은 바닥부의 개구의 벽(271)에 맞닿아 있고, 상기 바닥부의 개구는 상기 개구에 대한 가요성 탭의 상대 위치가 가요성 탭 사이의 가변 거리를 정의하도록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 아닌 형상을 가지며, 상기 락킹요소의 개방 위치에서 2개의 가요성 탭은 락킹요소의 폐쇄 위치에서보다 서로 반경방향으로 더 가까운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15.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킹부재는 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를 통해 길이방향 축을 따라 뻗어 있는 스터드(366)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요소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카트리지의 개구 내로 뻗어 있는 복수의 가요성 탭(373)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요성 탭은 스터드가 뻗어 있는 개구를 정의하기 위해 스터드 주위에 배열되고 스터드와 접촉하며, 락킹요소 및 수용요소 사이의 연결부는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의 회전으로 인해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스터드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길이방향 축을 따른 스터드의 이동으로 복수의 가요성 탭의 거리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증가하도록 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16. 제13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돌출부와 개구는 타원형인 립스틱 리필식 어셈블리.
  17. 제14항에 있어서,
    수용요소의 바닥부의 개구는 장축(A1) 및 단축(A2)을 포함하는 대체로 타원형이고; 개방 위치에서 2개의 가요성 탭 각각은 장축의 단부(E1)에 위치되고 폐쇄 위치에서 2개의 가요성 탭 각각은 단축의 단부(E2)에 위치되는 립스틱 리필식 어셈블리.
  18. 제14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2개의 가요성 탭 각각은 카트리지의 대응하는 테두리(215)와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270)를 포함하는 립스틱용 리필식 어셈블리.
  19. 길이방향 축(L)을 정의하며, 립스틱용 착탈식 카트리지(114, 214, 314)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립스틱용 리필식 베이스(112, 212, 312)로서,
    - 내부(136, 236, 336)에 카트리지의 하부(123, 223, 323)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슬리브(134, 234, 334)를 갖는 카트리지 수용요소(132, 232, 332);
    카트리지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개방 위치를 향한 제1 방향(D1) 및 카트리지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와 일체인 폐쇄 위치를 향한 제2 방향(D2)으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수용요소에 대해 적어도 회전 이동 가능하고, 베이스에 카트리지를 락킹하기 위한 락킹요소(148, 248, 348); 및
    락킹요소와 수용요소 사이에 있고, 락킹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고 베이스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을 구동하기에 적합한 폐쇄 접합부(152, 252, 352)를 포함하는 연결부(150, 250, 35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카트리지의 컨트롤 소켓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전달요소(138, 238, 338)를 갖는 립스틱용 리필식 베이스.
KR1020210099288A 2020-07-29 2021-07-28 화장품 디스펜싱용 리필 어셈블리 KR20220014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7998A FR3112929B1 (fr) 2020-07-29 2020-07-29 Ensemble de dispense rechargeable de produit cosmétique
FR2007998 2020-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857A true KR20220014857A (ko) 2022-02-07

Family

ID=7349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288A KR20220014857A (ko) 2020-07-29 2021-07-28 화장품 디스펜싱용 리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41925B2 (ko)
EP (1) EP3944785A1 (ko)
JP (1) JP2022027595A (ko)
KR (1) KR20220014857A (ko)
CN (1) CN114052378A (ko)
FR (1) FR3112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764B1 (ko) * 2023-07-21 2023-10-19 데이비드 씨 정 리필이 가능한 스틱형 내용물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7072B2 (en) * 2018-07-11 2023-08-08 Pat Mcgrath Cosmetics Llc Lipstick arrangement
FR3122322A1 (fr) * 2021-04-30 2022-11-04 Albea Services Réceptacle d’un produit cosmétique et recharge pour un tel réceptacle
US11896113B2 (en) 2021-06-11 2024-02-13 Elc Management Llc Cosmetic product sampling system
US11737545B2 (en) * 2021-06-11 2023-08-29 Elc Management Llc Cosmetic product sampling system
KR20240032851A (ko) * 2022-07-11 2024-03-12 쥬하이 딩 롱 플라스틱 프로덕츠 씨오 엘티디 친환경 및 교체 가능 립스틱 코어를 갖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462A (en) * 2013-03-13 2014-10-29 Toly Man Ltd Cosmetic container
FR3066081B1 (fr) * 2017-05-12 2021-01-29 Albea Services Etui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et ensemble pour un tel etui
FR3074659B1 (fr) * 2017-12-12 2021-07-09 Axilone Plastique Ensemble de dispense de produit cosmetique comportant une cartouche et un element de transmission configures pour etre accouples de maniere amovible
US11395535B2 (en) * 2020-09-24 2022-07-26 Hcp Packaging Usa, Inc. Keyed refillable cosmetic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764B1 (ko) * 2023-07-21 2023-10-19 데이비드 씨 정 리필이 가능한 스틱형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52378A (zh) 2022-02-18
FR3112929A1 (fr) 2022-02-04
US11641925B2 (en) 2023-05-09
US20220031045A1 (en) 2022-02-03
FR3112929B1 (fr) 2022-11-11
EP3944785A1 (fr) 2022-02-02
JP2022027595A (ja)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4857A (ko) 화장품 디스펜싱용 리필 어셈블리
CA2143281C (en) Dispenser with replaceable cosmetic holder
KR101602925B1 (ko) 누름 작동식 립스틱 용기
KR102440796B1 (ko)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및 전달 요소를 갖는 화장품용 디스펜싱 어셈블리
US5186561A (en) Incremental feel cosmetic dispenser
US6874966B2 (en) Device comprising a case and an applicator
KR101385854B1 (ko) 단일 핸들을 갖는 다중 어플리케이터 패키지
US8267606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stick of product especially a cosmetic product
US20100003066A1 (en) Dispenser With Removable Head
NZ285392A (en) Container for adhesive; comprises inner and outer tubes, the inner tube having a screw-threaded spindle rotatably fixed to it
US11350723B2 (en) Tubular cartridge for a cosmetic product,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 base
CN116096269A (zh) 可再填充的唇膏壳体
JPH11155629A (ja) 液状化粧料容器
JP7136920B2 (ja) ドレッシング、キットおよび関連するドレッシング方法を有する化粧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デバイス
EP3462979A1 (en) Hinged applicator for a cosmetic product and associated packaging and application assembly
US20220053913A1 (en) Refillable container
TWM462541U (zh) 改良型化粧品容器
US20090317169A1 (en) Dispenser Of A Product In Stick Form
JP4427678B2 (ja) 化粧品収納容器
US20220346528A1 (en) Receptacle of a cosmetic product and refill for such a receptacle
JPS6118823Y2 (ko)
JP2002034651A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200483051Y1 (ko) 화장품 케이스
JP2000071680A (ja) 固形物繰出し容器
JP2003052450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