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60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601A
KR20220014601A KR1020200094398A KR20200094398A KR20220014601A KR 20220014601 A KR20220014601 A KR 20220014601A KR 1020200094398 A KR1020200094398 A KR 1020200094398A KR 20200094398 A KR20200094398 A KR 20200094398A KR 20220014601 A KR20220014601 A KR 20220014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over
magnetic
box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601A/ko
Priority to PCT/KR2021/009868 priority patent/WO2022025659A1/ko
Priority to US18/017,763 priority patent/US20230280079A1/en
Publication of KR2022001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야채박스의 후방부에 상기 야채박스의 인출을 감지하는 스위치 및 마그네틱 구조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야채박스의 인출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공간의 내부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촬상 개시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냉장고 내부의 특정 부분을 촬상할 수 있다.
냉장고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박스의 내부 저장물을 촬상하기 위해서는, 상기 박스가 인출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공간이 외부에 노출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카메라의 촬상 개시신호는 상기 박스가 인출되었음을 감지하는 신호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가 인출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내부에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박스와 인접한 거리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다만,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박스의 크기는 가능한 크게 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 때 스위치가 박스와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냉장고 내부의 주요 부품과 간섭되지 않은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냉장고의 내부 이너케이스에 냉기유로가 설치되는 구조가 채용되고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냉기유로가 이너케이스의 측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냉기유로와 스위치가 간섭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또한, 냉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수분)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가 오염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관련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 (공개일) : 10-2015-0048525 (2015년 5월 7일)
2. 발명의 명칭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냉장고의 저장실 후벽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야채박스의 인출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저장실 측벽에 위한 냉기 덕트와 스위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후방부에 위치한 그릴 팬(Grille fan)에 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야채박스와 인접하게 위치하면서도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비스 용이성).
상기 야채박스의 후면부에는 상기 스위치와 작용할 수 있는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야채박스의 후면부에는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하여 마그네틱의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포켓 및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에 배수 구조를 마련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저장물 또는 저장물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마그네틱 어셈블리에 상기 포켓에 흘러 들어가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상기 포켓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억지끼움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야채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상기 포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공간 상부에 카메라를 마련하고 야채박스의 후방에 스위치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야채박스가 소정거리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야채박스의 인출이 감지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하여 카메라의 촬상이 수행되므로, 스위치 및 카메라의 작동 신뢰성이 확보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야채박스의 후방부에 상기 야채박스의 인출을 감지하는 스위치 및 마그네틱 구조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야채박스의 인출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저장실 측벽에는 냉장고 도어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덕트가 구비되고, 야채박스의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는 저장실의 후벽에 구비되므로, 상기 냉기 덕트와 스위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저장실 후측에는 증발기 및 송풍팬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는 그릴 팬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 팬에 스위치가 설치됨으로써, 스위치의 설치 또는 분리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야채박스의 후면부에 포켓이 구비되고, 상기 포켓에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는 상기 포켓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야채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상기 포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는 마그네틱 및 상기 마그네틱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마그네틱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마그네틱이 저장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에는 저장실에 저장된 액체류 또는 저장물에서 발생된 수분등이 배출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류 또는 수분이 마그네틱 어셈블리에 흘러 들어가도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저장실 상부 벽에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의 화각은 야채박스를 향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야채박스의 내부를 촬상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스위치가 야채박스의 소정거리 인출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신호는 카메라의 촬상 개시신호로 작용하여, 카메라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제빙실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덕트; 상기 저장실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박스; 상기 저장실의 후벽을 형성하며, 송풍팬의 전방에 위치하는 그릴 팬; 및 상기 박스 및 상기 그릴 팬에 구비되며, 상기 박스의 인출 또는 인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마그네틱 및 상기 마그네틱과 자기적인 작용을 수행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는 상기 그릴 팬에 대향하는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박스의 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그릴 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박스의 후면부는 상기 마그네틱이 설치되는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에는, 상기 마그네틱으로 흐르는 액체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포켓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는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박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은 상기 박스 본체의 상단 테두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은 포켓전면부와, 상기 포켓전면부 양측의 포켓측면부 및 상기 양측의 포켓측면부를 연결하는 포켓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전면부와 상기 포켓후면부의 상단부는 상기 마그네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포켓은 상기 포켓전면부와 상기 포켓후면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포켓저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켓 홀은 상기 포켓저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포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마그네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는, 서로 마주보는 커버전면부 및 커버후면부와, 상기 커버전면부 양측의 커버측면부 및 상기 커버전면부와 상기 커버후면부를 연결하는 커버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는 상기 마그네틱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의 상측은 상기 커버상면부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는 조립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리브는 상기 포켓의 내면에 형성된 조립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외면에는 제 1 접촉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틱 커버가 상기 포켓에 억지 끼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접촉리브는 상기 포켓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내면에는 제 2 접촉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틱이 상기 마그네틱 커버에 억지 끼움 되도록 상기 제 2 접촉리브는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포켓으로 흘러들어가는 유체가 상기 포켓 홀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배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홈은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커버전면부와, 커버후면부 및 상기 커버측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마그네틱에 대향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의 전면은 상기 박스의 후면부를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상부벽에 구비되며, 상기 박스가 인출되었을 때 상기 박스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냉장고의 저장실 후벽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야채박스의 인출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저장실 측벽에 위한 냉기 덕트와 스위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후방부에 위치한 그릴 팬(Grille fan)에 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야채박스와 인접하게 위치하면서도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서비스 용이성).
상기 야채박스의 후면부에는 상기 스위치와 작용할 수 있는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야채박스의 후면부에는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하여 마그네틱의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포켓 및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에 배수 구조를 마련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저장물 또는 저장물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마그네틱 어셈블리에 상기 포켓에 흘러 들어가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상기 포켓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억지끼움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야채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상기 포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공간 상부에 카메라를 마련하고 야채박스의 후방에 스위치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야채박스가 소정거리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야채박스의 인출이 감지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하여 카메라의 촬상이 수행되므로, 스위치 및 카메라의 작동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와 그릴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의 후방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가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넷(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4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은 상면과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2) 및 상기 아웃 케이스(1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2)와 이너 케이스(104의 사이에는 단열재(16, 도 5 참조)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4)는 저장실의 양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5)과, 절환실(16) 및 냉동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5,16,17)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은 그릴 팬(90, 도 4 참조)의 전방에 제공되는 공간으로서 저장물을 냉장 보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90)은 송풍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을 커버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 팬(90)은 냉장실 증발기(72, 도 4 참조) 및 냉장실 팬(75, 도 4 참조)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냉장실 증발기(72) 및 냉장실 팬(75)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절환실(16) 및 냉동실(17)은 냉동실 팬 어셈블리(50)의 전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팬 어셈블리(50)는 냉동실 증발기 및 냉동실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팬 어셈블리(50)의 전방에는 상기 냉동실 팬 어셈블리(50)를 커버하는 냉동실용 그릴 팬이 구비되며, 상기 절환실(16) 및 냉동실(17)은 냉동실용 그릴 팬의 전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16)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저장실로서, 상기 냉동실(17)과 동일한 증발기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16)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7)은 저장물을 냉동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저장실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은 상기 캐비넷(10) 내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냉동실(17)은 상기 냉장실(15)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절환실(16)은 상기 냉장실(15)과 냉동실(17)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 절환실 도어(41) 및 상기 냉동실 도어(45)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냉장실(15)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회전식 도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내측(냉장실 도어를 닫았을 때 냉장실 내부에 위치되는 측)에는 제빙실(21)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21)은 냉장실 도어(20)에 얼음의 제조를 위한 아이스 메이커(23) 및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이 제공되는 저장실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빙실(21) 내부는 상기 냉장실 도어 전면의 디스펜서(24)와 연통되어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24)를 통해 상기 제빙실(21)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21)은 안내덕트(22)를 통해 제빙실용 공급덕트(51)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은 후 제빙실용 회수덕트(52)로 냉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실용 공급덕트(51)와 상기 제빙실용 회수덕트(52)를 합하여 "냉기 덕트"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덕트(22)는 상기 제빙실(21)의 측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용 공급덕트(51) 및 상기 제빙실용 회수덕트(52)는 저장실의 측벽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용 공급덕트(51)의 일부 및 상기 제빙실용 회수덕트(52)의 일부는 냉장실(15)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4)의 외측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팬 어셈블리(5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제빙실용 공급덕트(51)를 통하여 안내덕트(22)로 전달되며, 상기 제빙실(2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용 공급덕트(51)의 단부에는 상기 안내덕트(22)의 제 1 안내포트(22a)와 연통하는 공급포트(51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포트(51a)는 냉장실(15)의 측벽에 노출되며, 냉장실 도어(2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안내포트(22a)와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포트(51a)로부터 상기 제 1 안내포트(22a)로의 냉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실(21)의 냉기는 상기 안내덕트(22)의 제 2 안내포트(22b)를 통하여 제빙실용 회수덕트(52)의 회수포트(52a)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회수포트(52a)는 냉장실(15)의 측벽에 노출되며, 냉장실 도어(2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안내포트(22b)와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안내포트(22b)로부터 상기 회수포트(52a)로의 냉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포트(51a)와 상기 회수포트(52a)는 상기 이너 케이스(14)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안내포트(22a,22b)는 상기 안내덕트(22)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용 공급덕트(51) 및 상기 제빙실용 회수덕트(52)가 상기 냉장실(15)의 측벽, 즉 이너 케이스(14)의 측벽에 매립되어 후술할 박스용 인출감지 스위치가 설치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박스용 인출감지 스위치와 상기 덕트(51,52)가 간섭되기 때문이다.
상기 절환실(16)과 냉동실(17)은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절환실 도어(41) 및 냉동실 도어(45)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절환실 도어(41)와 냉동실 도어(45)에는 서랍식의 수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15)의 내부에는 저장물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80)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선반(8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4)의 측벽에는, 상기 선반(80)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브라켓(85)이 돌출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의 후벽에는 멀티 덕트(30)가 구비된다. 상기 멀티 덕트(30)는 이너 케이스(14)의 후면부의 전방으로 이격하여 구비되며, 상기 멀티 덕트(30)와 상기 이너 케이스(14)의 후면부 사이에는 냉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팬(75)을 통과한 냉기는 상기 냉기 유로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덕트(30)에는 덕트 토출공(32)이 형성되며, 상기 냉기 유로를 유동한 냉기는 상기 덕트 토출공(32)을 통하여 냉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일레로, 상기 덕트 토출공(32)은 상기 멀티 덕트(30)의 중앙부에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의 후벽에는 그릴 팬(9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 팬(90)은 상기 냉장실 증발기(72) 및 상기 냉장실 팬(75)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실 증발기(72) 및 상기 냉장실 팬(75)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90)은 상기 이너 케이스(14)의 후면부의 전방으로 이격하여 구비되며, 상기 상기 그릴 팬(90)과 상기 이너 케이스(14)의 후면부 사이에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72) 및 상기 냉장실 팬(75)가 배치되는 열교환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팬(75)은 상기 냉장실 증발기(7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90)은 상기 멀티 덕트(3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90) 및 상기 멀티 덕트(30)는 상기 냉장실(15)의 후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4)의 측벽에는 상기 냉장실(15)의 내부를 밝혀주는 조명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원은 조명원 커버(19)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에는,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수납될 수 있는 박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박스(100)는 야채와 같은 저장물이 수납되는 야채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100)는 상기 냉장실(15)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그릴 팬(9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100)는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박스(100)는 저장물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박스 저장공간(101)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박스 본체(102) 및 상기 박스 본체(102)의 상부를 덮는 박스 커버(105)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1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박스(10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 개의 박스(100)는 제 1 박스(100a) 및 제 2 박스(100b)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100)의 전면부는 캐비닛(10)의 전방부를 향하며, 후면부(114)는 상기 캐비닛(10)의 후방부를 향한다. 일례로, 상기 박스(100)의 후면부(114)는 그릴 팬(90)을 대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100)의 후면부(114)와 상기 냉장실(15)의 후벽에는 상기 박스(10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스위치(230) 및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와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자기적인 작용을 수행하며,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그릴 팬(9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박스(1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스위치(230)가 상기 박스(100)에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그릴 팬(9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제 1 박스(100a)에 구비되는 제 1 어셈블리(150a) 및 상기 제 2 박스(100b)에 구비되는 제 2 어셈블리(150b)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150a)와 작용하는 제 1 스위치(230a) 및 상기 제 2 어셈블리(150b)와 작용하는 제 2 스위치(230b)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230)는 스위치 커버(200)에 의하여 상기 그릴 팬(9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커버(200)는 상기 그릴 팬(90)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230)는 스위치 커버(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스위치 커버(200)의 전면에 노출되며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위치(230a,230b)는 상기 스위치 커버(200)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의 상부벽에는 상기 박스(100)에 저장된 저장물을 촬상하는 카메라(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의 상부벽은 이너 케이스(14)의 상면부(14a)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박스(100)가 소정거리 인출하였을 때 스위치(230)에 의하여 감지한 신호에 의하여 촬상 개시신호가 인가되고, 그에 따라 촬상이 이루어져 박스(100) 내부의 저장물에 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이미지는 냉장고에 저장되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카메라(120)를 상기 냉장실(15)의 상부벽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120)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5)은 이너 케이스(14)의 상면부(14a)에 설치되어 단열재(16)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25)은 하부가 개구된 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125)의 개구된 하부에는 카메라(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0)는 선반(80)의 전단부보다 더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박스(100)의 내부를 촬상하는 데 상기 선반(80)이 방해되지 않도록 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냉장실(15)의 상부벽 중 후단부보다 전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박스(100)를 향하여 하방으로 화각을 형성하는 렌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122)는 후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렌즈(120)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 방향 수직선(ℓ1)을 정의할 때, 상기 렌즈(122)의 화각은 상기 후방을 향하여 설정각도(θ1) 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렌즈(122)의 화각 배치에 의하여, 상기 박스(100)가 충분히 인출되지 않더라도 상기 박스(100) 내의 저장물에 관한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와 그릴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의 후방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팬(90)의 전방에는 박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박스(100)는 제 1 박스(110a)와 제 2 박스(100b)를 포함하며, 제 1,2 박스(100a,100b)는 상기 그릴 팬(90)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10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박스(100)는 저면부(111)와, 상기 저면부(11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부(113)와, 상기 저면부(1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112) 및 상기 저면부(11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100)의 후면부(114)는 상기 그릴 팬(90)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박스(100)의 상단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제 1 박스(100a)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제 1 어셈블리(150a) 및 제 2 박스(100b)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제 2 어셈블리(150b)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 팬(90)은 상기 박스(100)의 후면부(114)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그릴 팬(90)에는 스위치(230)를 지지하는 스위치 커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커버(200)는 상기 그릴 팬(9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그릴 팬(9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위치 커버(200)는 상기 그릴 팬(90)에 결합되는 팬 결합부(210) 및 상기 팬 결합부(2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에 스위치(23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23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150a)와 자기적인 작용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230a) 및 상기 제 2 어셈블리(150b)와 자기적인 작용을 수행하는 제 2 스위치(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위치(230a,230b)는 상기 스위치 커버(2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2 스위치(230a,230b)는 상기 스위치 커버(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위치(230a,230b)는 상기 스위치 커버(200)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위치(230a,230b)의 전면은 상기 스위치 커버(200)의 전면에 노출되어 상기 제 1,2 어셈블리(150a,150b)에 각각 대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박스(100)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박스(100)에 구비되는 포켓(116)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박스(100)는 개구된 상단의 테두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15)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수용공간(116a)을 형성하는 포켓(1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116)은 상기 박스(100)의 후면부(114)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116)은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포켓 저면부(116b)와, 상기 포켓 저면부(116b)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포켓 후면부(116c) 및 상기 포켓 저면부(116b)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포켓 측면부(116d)를 포함한다.
상기 포켓(116)의 전면부는 상기 박스(100)의 후면부(114)를 형성한다.
상기 포켓 저면부(116b)에는 포켓 홀(116e)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 홀(116e)은,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가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저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 홀(116e)은 저장물의 액체류 또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 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포켓(116)의 수용공간(116 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포켓(116)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에는 조립 리브(164)가 구비된다. 상기 조립 리브(164)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외면에서 돌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립 리브(164)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후면에서 돌출하며,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만큼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116)에는 상기 조립 리브(164)가 삽입되는 조립 홈(116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 홈(116f)은 상기 포켓(116)의 내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립 홈(116f)은 상기 포켓 후면부(116c)의 상단부에 하방으로 함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 리브(164)가 상기 조립 홈(116f)에 삽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오조립을 방지하고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장착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제 1 접촉리브(163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촉리브(163a)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외면에서 돌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립 리브(164)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후면에서 돌출하며,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리브(163a)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조립 리브(164)는 상기 다수 개의 제 1 접촉리브(163a)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가 상기 포켓(116)에 삽입할 때, 상기 제 1 접촉리브(163a)는 상기 포켓(116)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리브(163a)가 상기 포켓(116)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포켓(116)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자성을 가지는 마그네틱(152) 및 상기 마그네틱(152)의 수용공간(160a)을 수용하는 마그네틱 커버(160)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마그네틱(152)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의 수용공간(160a)은 상기 마그네틱(152)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틱(152)은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의 하단부는 개구된다. 상기 마그네틱(152)은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의 개구된 하단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는 커버전면부(161a)와, 상기 커버전면부(161a)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커버후면부(161b) 및 상기 커버전면부(161a)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커버측면부(161c)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측면부(161c)는 상기 커버전면부(161a)와 상기 커버후면부(161b)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는 상기 커버전면부(161a)와 상기 커버후면부(161b)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커버상면부(161d)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상면부(161d)는 상기 마그네틱(15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상면부(161d)가 구비됨으로써, 액체류가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에 쏟아지더라도 마그네틱(152)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조립 리브(164) 및 제 1 접촉리브(163a)는 상기 커버후면부(161b)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전면부(161a)의 내면에는 상기 마그네틱(152)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리브(16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리브(163b)는 상기 커버전면부(161a)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리브(163b)가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152)은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에는, 유체의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홈은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의 외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홈은 상기 마그네틱 커버(160)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홈은 커버전면부(161a)에 형성되는 제 1 배수홈(165a)과, 상기 커버후면부(161b)에 형성되는 제 2 배수홈(165b) 및 상기 커버측면부(161c)에 형성되는 제 3 배수홈(165c)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배수홈(165a)과 및 상기 제 2 배수홈(165b)은 각각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배수홈(165c)은 도면상에 1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포켓(116)에 저장물 중 액체류 또는 저장물의 수분(f1)이 쏟아질 경우, 상기 액체류는 마그네틱 커버(160)의 커버상면부(161d)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152)으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상기 액체류는 상기 다수의 배수홈(165a,165b,165c)을 통하여 하방으로 흘러 내릴 수 있다. 즉, 상기 액체류는 상기 다수의 배수홈(165a,165b,165c)과 상기 포켓(116)의 면 사이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흐르며, 상기 포켓 홀(116e)을 통하여 상기 포켓(116)의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류가 마그네틱 어셈블리(150) 측으로 쏟아지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배수되므로 마그네틱 어셈블리(15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가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100)의 후면부에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50)가 구비되며, 상기 박스(100)의 후방에는 그릴 팬(90)에 장착되는 스위치(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는 스위치 커버(200)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 커버(200)는 그릴 팬(90)의 커버 홀(92)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의 전면은 상기 스위치 커버(200)의 전면과 대략 동일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냉장실(15)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스위치 커버(200)에 조립되는 스위치 본체(231)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본체(231)에는 단자(232)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23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리드 와이어(W)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박스(100)가 인입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박스(1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상기 스위치(23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와 상기 스위치(230)간에는 제 1 설정거리(S1)를 형성하며, 이 때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마그네틱(152)을 감지하여 상기 박스(100)가 인입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예를 들어, 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가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박스 본체(102)는 박스 커버(105)에 의하여 닫힌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120)는 촬상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박스(100)가 소정거리 만큼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박스(100)가 상기 소정거리 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150)는 제 2 설정거리(S2)만큼 상기 스위치(23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마그네틱(152)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박스(100)가 인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예를 들어, 오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가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박스 본체(110)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박스 본체(102)의 내부를 촬상(L)할 수 있다. 상기 촬상된 이미지는 저장되며, 저장된 이미지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박스(100) 내 저장된 물품을 인식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및 카메라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되면, 도어 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되었음을 인식하고 카메라(120)의 전원을 ON 시킬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상기 박스(10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스위치(230)의 감지에 의하여 카메라(120)의 촬상이 이루어지는 않으며, 상기 박스(100)가 인출되었음을 감지할 때 스위치(23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120)의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박스(100)가 소정거리(에를 들어, 100mm~150mm의 범위)만큼 인출되었음을 감지하였을 때 또는 상기 박스(100)가 인출되기 시작한지 소정시간(예를 들어, 1~2초)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120)의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촬상 결과 획득된 이미지는 냉장고에 저장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혔을 때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저장물 관리(Food manag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1 : 냉장고 10 : 캐비닛
15 : 냉장실 17 : 냉동실
20 : 냉장실 도어 90 : 그릴 팬
100 : 박스 116 : 포켓
120 : 카메라 150 : 마그네틱 어셈블리
152 : 마그네틱 160 : 마그네틱 커버
200 : 스위치 커버 230 : 스위치

Claims (15)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제빙실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덕트;
    상기 저장실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박스;
    상기 저장실의 후벽을 형성하며, 송풍팬의 전방에 위치하는 그릴 팬; 및
    상기 박스 및 상기 그릴 팬에 구비되며, 상기 박스의 인출 또는 인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마그네틱 및 상기 마그네틱과 자기적인 작용을 수행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그릴 팬에 대향하는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박스의 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그릴 팬에 구비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후면부는 상기 마그네틱이 설치되는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에는, 상기 마그네틱으로 흐르는 액체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포켓 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박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은 상기 박스 본체의 상단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포켓전면부와, 상기 포켓전면부 양측의 포켓측면부 및 상기 양측의 포켓측면부를 연결하는 포켓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전면부와 상기 포켓후면부의 상단부는 상기 마그네틱이 삽입되도록 있도록 개방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포켓전면부와 상기 포켓후면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포켓저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켓 홀은 상기 포켓저면부에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포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마그네틱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 커버는,
    서로 마주보는 커버전면부 및 커버후면부와, 상기 커버전면부 양측의 커버측면부 및 상기 커버전면부와 상기 커버후면부를 연결하는 커버상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커버는 상기 마그네틱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의 상측은 상기 커버상면부에 의하여 차폐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커버는 조립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리브는 상기 포켓의 내면에 형성된 조립 홈에 삽입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외면에는 제 1 접촉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틱 커버가 상기 포켓에 억지 끼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접촉리브는 상기 포켓의 내면에 접촉하는 냉장고.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내면에는 제 2 접촉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틱이 상기 마그네틱 커버에 억지 끼움 되도록 상기 제 2 접촉리브는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내면에 접촉하는 냉장고.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포켓으로 흘러들어가는 유체가 상기 포켓 홀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배수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홈은 상기 마그네틱 커버의 커버전면부와, 커버후면부 및 상기 커버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팬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마그네틱에 대향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의 전면은 상기 박스의 후면부를 향하여 노출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상부벽에 구비되며, 상기 박스가 인출되었을 때 상기 박스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094398A 2020-07-29 2020-07-29 냉장고 KR20220014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98A KR20220014601A (ko) 2020-07-29 2020-07-29 냉장고
PCT/KR2021/009868 WO2022025659A1 (ko) 2020-07-29 2021-07-29 냉장고
US18/017,763 US20230280079A1 (en) 2020-07-29 2021-07-2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98A KR20220014601A (ko) 2020-07-29 2020-07-2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01A true KR20220014601A (ko) 2022-02-07

Family

ID=8003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398A KR20220014601A (ko) 2020-07-29 2020-07-29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0079A1 (ko)
KR (1) KR20220014601A (ko)
WO (1) WO20220256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1210B2 (ja) * 1995-05-12 2003-01-07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KR19990062168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냉장고
TW200710360A (en) * 2005-04-27 2007-03-16 Toshiba Kk Storage
KR102023014B1 (ko) * 2013-04-23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동작 방법
CN104296491B (zh) * 2014-10-09 2017-02-22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659A1 (ko) 2022-02-03
US20230280079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0239B2 (en) Refrigerator
CN105650971B (zh) 冰箱
EP3418658B1 (en) Refrigerator
KR101343092B1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KR20110088937A (ko) 냉장고
KR20190017853A (ko) 냉장고
KR100512733B1 (ko) 냉장고
KR20220014601A (ko) 냉장고
KR101519198B1 (ko) 냉장고
KR20160055741A (ko) 냉장고
AU2014289478B2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cream making machine
KR20170092335A (ko) 냉장고
JP5202207B2 (ja) 冷蔵庫
KR102052648B1 (ko) 냉장고
KR100220970B1 (ko) 도어로부터 냉기를 토출하는 냉장고
KR101639481B1 (ko) 냉장고
US11739999B2 (en) Refrigerator
CN219063900U (zh) 一种供水装置和冰箱
KR102477674B1 (ko) 냉장고
KR100697430B1 (ko) 서브피시비가 구비된 냉장실도어
JP4108046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101508385B1 (ko) 냉장고
JP2001174145A (ja) 冷蔵庫
KR101507845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KR20090101717A (ko) 냉장고의 외기 온도 센서 결합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