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586A - 녹조 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 예방방법 - Google Patents

녹조 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 예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586A
KR20220014586A KR1020200094360A KR20200094360A KR20220014586A KR 20220014586 A KR20220014586 A KR 20220014586A KR 1020200094360 A KR1020200094360 A KR 1020200094360A KR 20200094360 A KR20200094360 A KR 20200094360A KR 20220014586 A KR20220014586 A KR 20220014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ae
film body
water
prevention system
rol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538B1 (ko
Inventor
박인구
박홍주
Original Assignee
박인구
박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구, 박홍주 filed Critical 박인구
Priority to KR102020009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5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수의 수면 상에서 태양광을 차단하여 광합성을 방해하고, 또한 수온 상승을 억제하여 녹조의 폭발적인 증가를 방지하는 녹조 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은 태양광의 투과를 방지하도록 착색된 합성수지제의 필름본체로 이루어지며, 필름본체의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필름으로서, 필름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단부에 필름본체의 권회를 위한 롤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녹조 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 예방방법{Prevention system for removing water bloom and method for removing water bloo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녹조 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 예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담수의 수면에서 태양광을 차단하여 광합성을 방해하고, 수온 상승을 억제하여 녹조의 폭발적인 증가를 방지하는 녹조 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조(water bloom, 綠潮)는 광합성 독립영양으로 생장하는 세균군인 남세균(cyanobacteria) 등 식물성 플랑크톤의 폭발적인 발생으로 물빛이 녹색으로 바뀌어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녹조는 주로 남세균의 대발생이 원인으로 군체를 형성하여 페인트처럼 걸죽하게 되기도 한다.
바다에서는 비슷한 현상으로 와편모조류에 의한 적조(red tide)가 있다. 우리나라 낙동강 유역에서는 겨울철에 돌말류(규조류) 대발생도 흔한 데, 이 경우 물빛은 갈색 비슷하게 변해 녹조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고 갈조라고 하기도 한다.
녹조 대신 조류 대발생(algal bloom)이라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대표적인 녹조 발생 생물인 남세균은 조류가 아니라 세균이기에 조류 대발생도 적당한 용어가 아니다.
녹조는 기본적으로 수체의 부영양화, 특히 인의 과도한 유입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체로 주변 농경지 등에 뿌려진 비료에 의해 질소의 유입이 있는 상태에서 세제류나 배설물 등을 통한 인이 유입되면 특정 남세균이나 조류가 대발생하게 된다.
특정 종의 생장에 맞는 환경이 지속되면 세포 분열의 결과, 조류나 남세균의 세포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물 색깔을 변화시킨다.
대표적인 녹조 원인생물인 남세균의 경우, 이미 특정 남세균 종이 수체에 존재하고 있어야 하고, 부력이 양의 값을 가지며 물의 난류 혼합(turbulent mixing)이 위로 떠오려는 세포의 이동을 막기에는 너무 약해야 한다는 조건이 모두 갖춰져야 대발생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대표적인 남세균 대발생 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기노사(Microcystis aeruginosa)의 발생 조건은 저토까지 빛의 도달, 심수층 무산소 상태와 여름의 성층화, 풍속이 낮은 시기의 지속, 적당한 호수 지형 및 기존의 많은 남세균 바이오매스 및 높은 조도 조건 등이 제시되었다.
녹조를 일으키는 생물들로는 마이크로시스티스속(Microcystis), 아나베나속(Anabaena), 아파니조메논속(Aphanizomeno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녹조의 환경에 대한 영향으로는 첫째로 산소 고갈과 생물다양성 감소를 들 수 있다.
즉, 남세균과 조류가 대발생한 뒤 분해될 때 미생물 활동으로 인해 수중 산소가 고갈되며 녹조가 발생한 부영양화의 심층수부터 무산소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무산소층의 형성은 산소를 이용해 호흡하는 대부분의 저서 생물의 생존에 치명적이어서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킨다.
산소가 고갈된 심층수를 하류로 방류할 때 댐 하류의 어류 폐사가 일어날 수 있다.
또 남세균과 조류의 광합성으로 표수층의 산도(pH)는 9.5 이상에 이를 수 있는데, 민감한 어류에게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어 동물다양성이 크게 낮아질 수 있다.
녹조의 환경에 대한 영향으로는 두 번째로 독소 생성을 들 수 있다. 남세균은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라는 간독소나 아나톡신(anatoxin-a)과 같은 신경독소를 생성하여 외국에서는 가축이나 야생동물이 대량 폐사한 사례도 보고되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마이크로시스티스속 뿐만 아니라 10종 이상의 남세균에서 만들어지는 환형펩타이드이며, 아나톡신도 아나배나속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시스티스속에서도 생성된다. 마이크로시스티스속 안에서도 마이크로시스틴을 생산하는 독성 계통과 생산하지 못하는 비독성 계통이 존재한다.
따라서, 녹조의 발생 시 녹조를 신속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남세균, 특히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기노사를 제어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아직 효율적이고 생태계 친화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호수에서 남세균을 제어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외부로부터 인의 유입을 줄이는 것이지만, 수많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개선이 필요해 장기간에 걸친 복원 노력이 필요하다.
빠르게 녹조 제거 효과를 보기 위해 호수 안의 남세균을 직접 처리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이 개발되고 적용되어 왔으며, 이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방법으로 다른 수체의 물을 이용한 희석, 인위적인 성층 파괴(혼합), 초음파를 이용한 기낭 파괴, 남세균의 물리적인 제거 등이 적용되어 왔다.
둘째: 생물학적 방법으로 영양단계연쇄반응(trophic cascade)를 이용하여 동물플랑크톤을 먹는 작은 물고기가 최상위 단계인 경우 물고기를 먹는 큰 물고기를 넣어주거나,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 작은 물고기 종류를 모두 제거하는 생물조절(biomanipulation)이 활발히 연구되었다. 바이러스, 세균, 원생생물 등도 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남세균 제어에 적용되어 왔다.
셋째: 화학적 방법으로 남세균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 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것은 화학물질 즉 살조제(algaecide) 처리이다. 남세균 억제제는 크게 합성물질과 천연물로 나눌 수 있다. 합성살조제 중 가장 널리 이용되어 온 것은 황산구리(CuSO4·5H2O)이다. 황산구리 이외의 무기 화합물로 질산은(AgNO3), 과망간산칼륨(KMnO4),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등이 시도되어 왔고, 최근에는 감광제(photosensitizer)의 일종인 과산화수소(H2O2)도 시도되었다. 그 밖에 알루미늄염과 같은 응집제 및 유기 합성물질도 살조 가능성이 조사되었다. 남세균을 억제하는 천연물의 경우 최근 많이 연구되고 앞으로 개발가능성도 높으나, 아직 실험실 연구를 벗어나 실제 호수 규모에서 적용된 적은 없다. 남세균 생장을 억제하는 여러 침수식물과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며, 이 외에 육상식물을 이용한 예로써 보리 짚(barley straw)의 적용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691호는 적조 및 녹조원인생물 및 이들을 포식할 수 있는 원생생물성 포식자의 배양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6593호는 산수유 종자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녹조류 방제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0280호는 부상분리에 의한 녹조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조저감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361호는 섬모상 메디아를 이용한 이중 녹조차단막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이는 이미 발생된 녹조의 전파를 차단하여 녹조로부터 청정구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 녹조 자체를 저감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이처럼 과거부터 다양하게 많은 녹조 관련 기술이 개발되었음에도 광범위한 수면에서 녹조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된 녹조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담수의 수면 상에서 태양광을 차단하여 남세균의 광합성을 방해하고, 또 수온 상승을 억제하여 녹조의 폭발적인 증가를 방지하는 녹조 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 예방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의 특징적인 구성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합성수지제로서 설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필름과; 물 위로 부유하며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 일단을 고정하여 감거나 풀도록 한 롤축과; 상기 롤축에 연결하여 롤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름은, 표면에 통기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은, 타단에 견인부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필름의 중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를 이루어 상기 필름의 폭 변형 방지를 위해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녹조예방방법은, (1) 녹조의 발생 또는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을 감시하는 감시단계; (2) 상기 감시단계에서 녹조가 발생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이 상승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수면 상에 녹조 예방시스템을 전개하는 필름전개단계; 및 (3) 녹조가 소멸 또는 감소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이 하강하는 경우, 수면 상에 전개된 녹조 예방시스템을 회수하는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수의 수면 상에서 태양광을 차단하여 광합성을 방해하고, 또한 수온 상승을 억제하여 녹조의 폭발적인 증가를 방지하는 녹조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녹조예방방법을 제공하여 담수 상에서 녹조를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이 전개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녹조제거방법을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수면에 설치한 필름본체의 단면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 구성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에 해당하는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이렇게 균등물로 인정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도 인지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합성수지제로서 설정한 폭(W)과 길이(L) 및 얇은 두께를 가지며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필름본체(11)와, 물 위에 부유하며 필름본체(11)의 길이 방향 일단을 고정하여 필름본체(11)를 감을 수 있도록 하거나, 감긴 상태에서 풀릴 수 있도록 한 롤축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필름본체(11)는 수면상에서 전개 및 회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필름본체(11)의 폭(W)에 비해 길이(L)가 긴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폭(W)에 비해 길이(L)가 짧은 형상의 것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필름본체(11)는, 수면상에서의 전개 및 회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필름본체(11)의 길이 방향 일단에 롤축부(13)를 고정하고, 롤축부(1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필름본체(11)를 롤축부(13)에 권회 또는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필름본체(11)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관계로 롤축부(13)와 관계 없이 롤축부(13)에 감긴 상태이거나 풀려 펼쳐진 상태에서도 물 위에 올려놓았을 때에 물의 수면상에서 부유한다.
즉, 필름본체(11)는, 물 위에 펼쳐진 상태로 놓을 때에 외력을 받지 않는 한 물의 표면과 맞닿은 상태로 부유한다.
필름본체(1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에 대하여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범용 플라스틱이고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필름본체(1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본체(1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비중이 1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수면 상에 전개하는 경우, 수면상에 부유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필름본체(11)로 표현하였으나, 달리 합성수지로 된 필라멘트,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직조한 직물 또는 부직포 및 위장막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본체(11)의 빛의 투과를 차단 기능은, 필름본체(11)의 재질 자체가 불투명한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거나 필름본체(11)의 표면에 불투과성 물질을 착색, 코팅 및 빛 불투과성 특성의 물질(도시 안함)을 이중으로 접합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필름본체(11)로 하여금 빛의 투과를 차단하게 한 것은, 태양빛이 수면 아래까지 침투하여 수온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필름본체(11)의 빛의 불투과성을 위한 착색이나 코팅을 포함한 빛의 불투과성 물질로는, 필름본체(11)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수면에서도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밝은 색상 또는 은박지필름 등으로 하고 표면을 미세한 요철 구조를 갖도록 하는 등 빛이 일부반사 또는 난반사가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물질 및 형태의 것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위의 설명 중 필름본체(11)의 빛 불투과성 성질을 갖도록 함에 있어, 난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은, 은박 코팅 등 다량의 빛을 반사하게 하는 것은, 주변으로 반사가 집중할 경우 다른 피해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위의 설명 중 필름본체(11)의 빛 불투과성을 위한 착색은, 염료나 안료의 제한이 없고, 색상도 제한이 없으나, 효과적인 태양광의 차단과 수온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밝은 색상, 특히 난반사와 같은 효과를 갖도록 광택처리를 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본체(11)의 표면 중 수면에 전개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에, 적어도 수면에 잠기는 부위의 반대면 즉, 상면에 대한 코팅은 필름본체(11)가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감안하여 자외선에 의해 필름본체(11)의 성질 변화를 저감할 수 있도록 UV코팅을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름본체(11)는, 폭(W)과 길이(L)의 면적 범위 내에 복수의 통기부(12)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통기부(12)는, 필름본체(11)의 면적에 하나 이상의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홀(hole)들을 넓은 분포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파벳 'U'자 형상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과 같이 개회로 형상으로 부분 절개하고, 필름본체(11)와 연결을 유지하는 부위를 통해 절개한 부위가 매달린 형태로 있게한 형태일 수 있다.
즉, 통기부(12)는, 물결에 의해 필름본체(11)가 일렁이는 움직임을 나타낼 때 필름본체(11)에 비하여 절개한 부위가 일렁이는 물결을 따라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형성한 통기부(12)에 의하면, 필름본체(11) 아래의 수면이 부분적으로 공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공기, 특히 산소가 수중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필름본체(11)의 수면 전개는, 필름본체(11)의 아래의 수중에 빛의 침투를 차단하면서, 물의 일렁임에 따른 통기부(12)을 통해 부분적인 개방이 있도록 하여 수중의 산소 고갈을 방지하여 수중 생물의 생육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통기부(12)는, 필름본체(11) 자체의 구성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름본체(11)의 면적 부위에 필름본체(11)를 사이에 두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부가 설치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기부(12)는 수면을 통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수중의 온도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밖에 필름본체(11) 중 폭(W) 방향 및/또는 길이(L) 방향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필름본체(11)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17)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보강부(17)는 필름본체(11)의 각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이미 설정한 폭으로 포개어 접고, 필름본체(11)의 두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도록 열과 힘으로 압착 및 융착한 형태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형태의 보강부(17)는, 필름본체(11)의 재질보다 강도 또는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다른 재질의 부재를 필름본체(11)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접합 내지 연결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17)는 롤축부(13)에 필름본체(11)를 감거나 감긴 상태로부터 펼치며 전개하는 과정에도 필름본체(11)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보강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필름본체(11)는 수면에 대하여 넓게 펼쳐진 전개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필름본체(11)는 표면 중 폭(W) 방향 또는 길이(L) 방향 및 이들 방향의 대각선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배치의 간격지지부(16)를 하나 이상 간격을 두고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지지부(16)는, 상술한 보강부(17)와 마찬가지로 필름본체(11)의 면적 일부는 접어 접합한 형식 또는 필름본체(11)의 재질보다 강도 또는 바람 등의 외력에 변형 가능성이 작은 다른 재질의 부재를 필름본체(11)의 표면을 가로질러 접합 내지 연결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보강부(17) 또는 간격지지부(16)로 채택 가능한 부재는, 수면 위에 부유할 수 있도록 비중이 1보다 낮거나 중공 형식의 것 등 수면 위로 부유 가능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이렇게 보강부(17)와 간격지지부(16)를 이루는 부재가 수면에 부유하는 것으로 채택하는 이유는, 필름본체(11)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반대로, 보강부(17)와 간격지지부(16)를 이루는 부재가 비중 1보다 높거나 수면 아래로 잠기는 수준일 경우에는, 연결한 필름본체(11)를 물속에 잠기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간격지지부(16)는, 상술한 보강부(17)와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필름본체(11)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줄이는 보강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간격지지부(16)가 필름본체(11)의 폭(W)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형성한 것에 있어, 간격지지부(16)의 양단에는 이웃하여 배치가 이루어지는 다른 필름본체(11)의 롤축부(13)와 별도의 커플러(C) 등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간격지지부(16)와 롤축부(13)가 서로 연결 가능하게 한 것은, 강가 또는 호수가의 형상이 정방형이 아닌 것에 대응하여 필름본체(11)들의 설치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간격지지대(16)는 필름본체(11)를 수면 상에 전개시키거나 권회할 때 필름본체(11)가 구겨져서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필름본체(11) 중 풀리는 방향의 선단 부위에는, 롤축부(13)로부터 필름본체(11)의 풀림을 견인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말단지지부(15)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물론, 필름본체(11)의 풀림은, 말단지지부(15)가 수류에 이끌리도록 하는 방법 이외에 로프 등을 이용하여 보트나 지중에서 이끌도록 할 수 있고, 필름본체(11)의 회수는 롤축부(13)를 회전시켜 권회토록 하는 방법 이외에 보트나 지중에서 로프를 걸어 끌어내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말단지지부(15)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 부유체 구조물을 채택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보강부(17)와 간격지지부(16)와 마찬가지로 필름본체(11)의 해당 부위의 선단을 접은 형태로 고정한 것이거나, 보강부(17) 및 간격지지부(16)의 비중 1보다 낮은 부재를 연결한 형태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말단지지부(15)를 부유체로 형성한 것은, 필름본체(11)가 수면 위에 부유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수면에서 부유하는 상태로 수면의 물 흐름을 따라 휩쓸려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필름본체(11)가 고정 위치한 롤축부(13)로부터 자연스럽게 풀리도록 하면서 전개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말단지지부(15)는, 끈 또는 별도의 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다른 롤축부(13)를 필름본체(11)의 풀리는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매개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담수 또는 저속으로 흐르는 수면상에서 필름본체(11)를 전개할 경우, 필름본체(11)의 전개에 따른 수면상의 면적 범위는, 태양광의 차단에 의해 해당 면적에서 남세균류의 광합성을 방해하고, 또 빛의 투과를 차단하여 수온 상승을 억제하므로 녹조의 발생을 억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름본체(11)는, 녹조의 발생이 예상되거나 이미 발생하는 지역에 전개할 경우, 필름본체(11)가 펼쳐진 면적 범위에 대하여 태양광을 차단함으로써 일차적으로 남세균류의 광합성을 방해하여 남세균류의 확산을 방지한다.
또한, 필름본체(11)의 전개는, 빛의 침투를 차단하므로 수온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다른 미세 녹조류나 규조류들의 증식도 억제한다.
더불어, 필름본체(11)의 전개에도 불구하고, 필름본체(11)에 형성한 통기부를 통한 수면 아래로의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온의 방출은 물론 수생물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롤축부(13)는, 필름본체(11)를 권회 또는 전개에 의한 풀림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필름본체(11)와 마찬가지로 물의 비중보다 낮은 합성수지제 또는 밀폐 중공을 갖는 구조물 등 수면에 부유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롤축부(13)는, 반듯이 부유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롤축부(13)의 설치 위치가 강변이나 저수지의 가장자리 외측인 지면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강성과 내구성을 갖는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롤축부(13)는 필름본체(11)의 풀림이 수면 아래에서부터 풀리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필름본체(11)가 수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게 하여 수면과의 사이를 통한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토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롤축부(13)에는 고정용 로프(21)의 일단을 더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용 로프(21)를 연결토록 하는 것은, 수면에 전개한 필름본체(11)가 롤축부(13)와 함께 물의 흐름(수류)을 따라 휩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용 로프(21)의 타단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10)을 수중에 고정(정박)하기 위한 닻(22)을 연결할 수 있고, 강변 또는 호숫가 등에 있는 고정 구조물에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롤축부(13)는 양단에 조인트부(14)를 더 구비토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인트부(14)는 필름본체(11)를 롤축부(13)에 권회할 수 있도록 하거나 롤축부(13)로부터 필름본체(11)가 풀리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필름본체(11)들을 나란히 전개할 경우, 조인트부(14)들을 서로 연결 또는 고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10)의 담수호나 하천 등의 수면 상에 전개하는 것에 의하여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남세균류의 대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녹조 발생을 원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10)은, 표시등(31)을 더 구비토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등(31)은, 롤축부(13), 조인트부(14), 말단지지부(15), 간격지지부(16)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에 점멸이 있도록 하여 보트를 포함한 선박 등의 운송수단이 필름본체(11)의 전개 영역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현 예에 따른 녹조제거방법은, (1) 녹조의 발생 또는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을 감시하는 감시단계; (2) 상기 감시단계에서 녹조가 발생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 상승의 경우, 해당 지역의 수면 상에 녹조 예방시스템을 전개하는 필름전개단계; 및 (3) 녹조가 소멸 또는 감소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이 하강하는 경우, 수면 상에 전개된 녹조 예방시스템을 회수하는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녹조 예방시스템(10)은, 태양광의 투과를 방지하도록 착색된 합성수지제의 필름본체로 이루어지며, 필름본체의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필름으로서, 필름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단부에 필름본체의 권회를 위한 롤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1)의 감시단계는 녹조의 발생 또는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을 감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녹조가 이미 발생한 경우, 이는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함은 물론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038호에 개시된 레이저를 활용한 적조 및 녹조 발생 감시 장치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달리, 수온이 상승하는 경우에도 녹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수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녹조 발생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2)의 필름전개단계는 상기 감시단계에서 녹조가 발생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 상승의 경우, 해당 지역의 수면 상에 녹조 예방시스템을 전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녹조가 발생한 경우, 녹조가 발생하는 수면쪽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예방시스템을 이송시키고, 해당 수면 상에 상기 필름을 전개하여 해당 수역의 수면 상에서 태양광을 차단함으로써 녹조를 형성하는 남세균 등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을 방해하고, 또한 수온 상승을 억제하여 남세균 등 식물성 플랑크톤의 폭발적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녹조의 추가 발생을 억제하고, 녹조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녹조의 제거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녹조의 완전 제거를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고 남세균 등 식물성 플랑크톤의 허용 가능한 정도의 존재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필름본체(11)의 전개는 필름본체(11)의 일측단부를 지상에 고정시키고, 수류를 따라 타측단부를 흘려보내면서 또는 견인줄 등으로 견인하면서 전개시키거나, 닻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필름본체의 일측단부를 수중에 고정시키고, 수류를 따라 타측단부를 흘려보내면서 또는 견인줄 등으로 견인하면서 전개시키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필름본체가 롤축부에 권회되어 있는 경우, 롤축부를 지상에 고정시키고, 수류를 따라 타측 단부를 흘려보내면서 또는 견인줄 등으로 견인하면서 전개시키거나, 수면 상에 부유가능한 롤축부를 닻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수중에 고정시키고, 수류를 따라 타측단부를 흘려보내면서 또는 견인줄 등으로 견인하면서 전개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3)의 회수단계는 녹조가 소멸 또는 감소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이 하강하는 경우, 수면 상에 전개된 녹조 예방시스템을 회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롤축부가 사용되는 경우, 롤축부를 전동모터(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롤축에 필름본체를 권회시켜 회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녹조제거방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전개단계와 필름회수단계 사이에 전개된 필름이 소정의 시간 동안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대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녹조의 제거 또는 감소의 정도에 따라 인위적으로 필름본체의 전개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녹조 제거 효과를 확실하게 하도록 한다.
비록, 도 3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녹조가 완전히 제거되거나 충분히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필름이 회수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녹조 예방시스템 11: 필름본체
12: 통기부 13: 롤축부
14: 조인트부 15: 말단지지부
16: 간격지지부 17: 보강부
21: 고정용 로프 22: 닻
31: 표시등
W: 폭 L: 길이

Claims (3)

  1. 물보다 비중이 작은 합성수지제로서 설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필름본체와;
    물 위를 부유하며 상기 필름본체의 길이 방향 일단을 고정하며, 필름본체가 감기도록 하거나 풀리도록 하는 롤축부와;
    상기 롤축부에 연결하여 롤축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녹조 예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본체는, 표면에 통기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예방시스템.
  3. 상기 제1항 또는 제3항의 녹조 예방시스템을 구비하고,
    (1) 녹조의 발생 또는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을 감시하는 감시단계; (2) 상기 감시단계에서 녹조가 발생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이 상승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수면 상에 녹조 예방시스템을 전개하는 필름전개단계; 및 (3) 녹조가 소멸 또는 감소했거나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온이 하강하는 경우, 수면 상에 전개된 녹조 예방시스템을 회수하는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녹조 예방방법.
KR1020200094360A 2020-07-29 2020-07-29 녹조 예방시스템 KR10248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60A KR102489538B1 (ko) 2020-07-29 2020-07-29 녹조 예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60A KR102489538B1 (ko) 2020-07-29 2020-07-29 녹조 예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86A true KR20220014586A (ko) 2022-02-07
KR102489538B1 KR102489538B1 (ko) 2023-01-17

Family

ID=8025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360A KR102489538B1 (ko) 2020-07-29 2020-07-29 녹조 예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5853A (zh) * 2023-06-19 2023-07-28 湖南中拓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蓝藻水华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39B1 (ko) 2023-03-23 2024-01-25 대한민국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녹조 예측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355B1 (ko) * 1993-02-17 1995-10-02 세일기술교역주식회사 호수의 수질 개선장치
JP2005040794A (ja) * 2004-08-31 2005-02-17 Ebara Corp 貯水設備
KR101384971B1 (ko) * 2013-06-25 2014-04-16 김혜봉 녹조 사전 탐지, 예측 및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355B1 (ko) * 1993-02-17 1995-10-02 세일기술교역주식회사 호수의 수질 개선장치
JP2005040794A (ja) * 2004-08-31 2005-02-17 Ebara Corp 貯水設備
KR101384971B1 (ko) * 2013-06-25 2014-04-16 김혜봉 녹조 사전 탐지, 예측 및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5853A (zh) * 2023-06-19 2023-07-28 湖南中拓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蓝藻水华处理装置
CN116495853B (zh) * 2023-06-19 2023-09-05 湖南中拓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蓝藻水华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538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232B2 (ja) 沈水植物用人工浮島を用いた沈水植物群の形成方法
KR102489538B1 (ko) 녹조 예방시스템
CA2120969A1 (en) In situ marine fish incubator
JP2008271989A (ja) 沈水植物用人工浮島を用いた沈水植物群の形成方法
EP2925597B1 (en) A shark barrier
WO2013095021A1 (en)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system with tourism purpose
Allen et al. Native eelgrass Zostera marina controls growth and reproduction of an invasive mussel through food limitation
KR20220002278A (ko) 생물부착 보호
Kramer et al.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marine and hydrokinetic devices to act as artificial reefs or fish aggregating devices. based on analysis of surrogates in tropical, subtropical, and temperate US west coast and hawaiian coastal waters
CN108496865A (zh) 一种水库水位适应型立体生态鱼礁
CA2120968A1 (en) Variable buoyancy ballast assembly for fish incubator
Nwankwo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of Lagos lagoon and the adjacent sea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KR100524651B1 (ko) 부유식 잘피 재배 장치
KR100705230B1 (ko)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GB2437642A (en) Net array for fish farming
CN113490536B (zh) 持久的生物结垢保护
Olmsted et al. Aquatic biodiversity and the electric utility industry
EP0901987B1 (en) Method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or the like and water quality improving shading means used therefor
Pincetti Sustainable coastal developm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s between floating platforms and dredging
KR100374747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CN217389698U (zh) 一种组合式柔性人工鱼礁
JP6863592B2 (ja) シルトフェンス
KR100374749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벨트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Mestvedt Borgen Urban Mutualism
Tisdell Australian environmental issues: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