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465A - 흡음시트 재단기 - Google Patents

흡음시트 재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465A
KR20220014465A KR1020200093918A KR20200093918A KR20220014465A KR 20220014465 A KR20220014465 A KR 20220014465A KR 1020200093918 A KR1020200093918 A KR 1020200093918A KR 20200093918 A KR20200093918 A KR 20200093918A KR 20220014465 A KR20220014465 A KR 2022001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utting
absorbing sheet
shee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018B1 (ko
Inventor
이종남
Original Assignee
지엔씨코퍼레이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씨코퍼레이션(주) filed Critical 지엔씨코퍼레이션(주)
Priority to KR102020009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0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65H16/103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5Cutting handled material longitudin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시트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절단부에 의해 여러 갈래로 절단한 흡음시트의 절단된 각각의 흡음시트를 방음판의 내부에 동시에 나란히 삽입하도록 한 것이며, 여러 갈래의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절개하여 준비해놓음으로써 방음판에 상기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중단없이 항상 공급하여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음시트 재단기{Cutting machine of sound absorption sheet}
본 발명은 흡음시트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방음판에 사용되는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의 띠형상으로 절단하여 상기 방음판의 내부에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한 흡음시트 재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음판, 방음판은 다양한 종류의 형태와 재질로 만들어져 공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방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음판의 내부에 별도의 흡음재를 삽입하여 설치한 것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흡음재로 근래에는 흡음시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보통은 상기 방음판의 내부가 격자형으로 되어 있어, 각 격자의 홈 내부로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각각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방음판의 방음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렇게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두루마리 휴지와 같이 큰 드럼에 감겨있는 흡음시트를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갈래로 절개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직접 수작업으로 절개하고나서 절개된 각각의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다시 감아서 사용하고 있다. 즉 보통의 흡음시트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길게 생산되고 있어, 이를 방음판 내부의 격자마다 삽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갈래의 띠형상으로 각각 절개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루마리 휴지와 같이 감겨있는 흡음시트를 일일이 여러 갈래의 띠형상으로 절개하는 것에는 큰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어, 상기 흡음시트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절개하여 방음판 내부에 그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 면에서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러 개의 칼날을 갖고 있는 재단기에 의해 감겨있는 흡음시트를 풀면서 여러 갈래의 띠형상으로 상기 흡음시트를 연속적으로 절개하여 방음판에 곧바로 삽입하거나 절개 후 감겨진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방음판에 공급하여 삽입하도록 한 흡음시트 재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흡음시트 재단기는, 시트절단부에 의해 여러 갈래로 절단한 흡음시트의 절단된 각각의 흡음시트를 방음판의 내부에 동시에 나란히 삽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여러 갈래의 절단된 흡음시트 중 양쪽 끝의 가장 외곽의 각 흡음시트는 방음판에 삽입되지 않고 별도로 수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흡음시트는 발포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재단기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롤형태로 흡음시트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 상기 받침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롤형태의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로 갈라 절단하는 시트절단부; 상기 시트공급부와 시트절단부의 사이의 받침부에 설치되어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전텐션부; 상기 시트절단부 이후의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를 잡아당겨주도록 회전하는 밀림부; 상기 밀림부의 양쪽에서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후텐션부; 상기 후텐션부를 거쳐온 절단된 각각의 흡음시트를 방음판의 내부에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흡음시트의 공급과 절단 및 절단 후의 감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재단기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롤형태로 흡음시트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 상기 받침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롤형태의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로 갈라 절단하는 시트절단부; 상기 시트공급부와 시트절단부의 사이의 받침부에 설치되어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전텐션부; 상기 시트절단부 이후의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를 잡아당겨주도록 회전하는 밀림부; 상기 밀림부의 양쪽에서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후텐션부; 상기 받침부의 다른 쪽에 설치되어 후텐션부를 거쳐온 절단된 여러 갈래의 흡음시트를 감아두는 감김부; 및 상기 흡음시트의 공급과 절단 및 절단 후의 감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시트공급부는 흡음시트가 감겨진 공급롤과 이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롤을 회전시키는 공급모터로써, 상기 공급모터에 의해 공급롤을 회전시켜 감겨진 상기 흡음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시트절단부는, 다수 개의 절단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되어 승강하는 절단상롤러; 다수 개의 상기 절단날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절단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절단상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로 접촉하는 절단하롤러; 및 상기 절단하롤러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절단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단상롤러의 각각의 절단날은 원형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단상롤러를 승강시켜 절단하롤러와 접촉시키도록 절단상롤러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된 승강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단상롤러의 한쪽 끝단의 위쪽에 절단상롤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핸들이 연결되어, 상기 수평핸들에 의한 절단상롤러의 수평이동에 의해 각 절단날의 날부 측면과 절단하롤러의 각 절단홈의 홈내벽 사이의 접촉으로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로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텐션부는 서로 단차를 두고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제1 전텐션롤러와 제2 전텐션롤러 및 제3 전텐션롤러로써,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음시트는 각각의 전텐션롤러를 거쳐 시트절단기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감김부는 여러 갈래로 절단된 흡음시트가 감겨지는 감김롤과 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김롤을 회전시키는 감김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감김모터에 의해 감김롤을 회전시켜 절단된 흡음시트를 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후텐션부는 서로 단차를 두고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제1 후텐션롤러, 제2 후텐션롤러, 제3 후텐션롤러, 제4 후텐션롤러 및 제5 후텐션롤러로 구성되어, 시트절단부에 의해 여러 갈래로 절단된 흡음시트가 각각의 상기 후텐션롤러를 거쳐 안내부로 삽입되거나 감김부에 감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밀림부는 상하로 한 쌍의 밀림상롤러와 밀림하롤러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밀림상롤러와 밀림하롤러 사이로 절단된 흡음시트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시트절단기에 의해 여러 갈래로 갈라져 절단되는 흡음시트의 일부를 흡입하는 절단시트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음시트 재단기에 의하면, 여러 갈래의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절개하여 준비해놓음으로써 방음판에 상기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중단없이 항상 공급하여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여러 갈래의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절개하면서 절개 후 곧바로 방음판에 삽입하게 되면, 흡음시트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중으로 일을 처리할 필요없이 효율적으로 상기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방음판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갈래의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절개하여 감아놓은 경우에도 상기 띠형상의 흡음시트는 항상 준비되어 있으므로, 언제든지 방음판에 상기 띠형상의 흡음시트를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시트절단부의 'A'부로써, 흡음시트 절단 전의 확대도
도 5는 상기 도 1의 시트절단부의 'A'부로써, 흡음시트 절단 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는 시트절단부(3)에 의해 폭이 넓고 긴 흡음시트(9)를 여러 갈래로 절단하고, 이렇게 절단된 각각의 시트(9a)를 내부에 격자구조가 나란히 형성된 방음판의 상기 각 격자마다 동시에 나란히 삽입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흡음시트(9)를 여러 갈래로 절단하되, 절단된 흡음시트(9a) 중 양쪽 끝의 가장 외곽의 각 흡음시트를 제외한 그 사이의 흡음시트만 방음판에 삽입되므로, 상기 방음판에 삽입되지 않은 양쪽 끝의 절단된 각 흡음시트는 별도로 수거하도록 한다. 즉 흡음시트(9)를 10개의 여러 갈래의 띠로 절단하였다면, 방음판에 상기 절단된 띠 형상의 흡음시트(9a)가 삽입될 격자의 수는 8개이므로, 양쪽 끝의 1번 및 10번의 띠 형상의 흡음시트(9a)는 제외하고, 2번 내지 9번의 띠 형상의 흡음시트(9a)만 방음판 내부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흡음시트(9)는 흡음성능을 발휘하는 발포시트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기 재단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받침부(1), 시트공급부(2), 시트절단부(3), 전텐션부(4), 밀림부(5), 후텐션부(6), 안내부(7) 및 제어부(8)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개략적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각각의 구성 및 구성간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부(1)는 재단기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프레임의 형태로 상기한 시트공급부(2) 등의 각 구성들이 그 위에 설치되어 이들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시트공급부(2)는 받침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롤형태로 감겨있는 흡음시트(9)를 공급하는 장치로써 공급롤(2a)과 공급모터(2b)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롤(2a)의 한쪽 끝단에 연결된 공급모터(2b)에 의해 공급롤(2a)을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감겨있는 흡음시트(9)를 일정한 속도로 풀어 공급하게 된다.
상기 시트절단부(3)는 받침부(1)의 중간에 설치되는 절단지지틀(34) 내에서 상하로 각각 설치되어 서로 접촉하는 절단상롤러(3a)와 절단하롤러(3b) 및 상기 절단하롤러(3b)를 회전시키는 절단모터(3c)로 구성되어, 상기 절단상롤러(3a)와 회전하는 절단하롤러(3b)의 사이로 시트절단부(2)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흡음시트(9)를 밀어넣어 상기 흡음시트(9)를 여러 갈래로 갈라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상롤러(3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날로 구성되는 절단날(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절단하롤러(3b)는 바깥둘레에 고리형 홈으로 형성되는 절단홈(3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절단홈(31)에 절단상롤러(3a)의 각각의 절단날(30)이 1대 1로 각각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절단모터(3c)는 절단하롤러(3b)의 한쪽 끝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상롤러(3a)의 양쪽 끝단에는 승강핸들(32)이 각각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승강핸들(32)에 의해 절단상롤러(3a)가 승강하면서 상기 절단하롤러(3b)와 접촉하도록 한다. 즉 각각의 승강핸들(32)은 절단상롤러(3a) 위에 배치된 절단지지틀(34)의 양쪽 끝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스크루(33)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절단지지틀(34)의 안쪽으로 절단상롤러(3a)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승강핸들(32)을 돌리면 승강스크루(33)가 각각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스크루(33)와 절단지지틀(34)을 통해 연결된 절단상롤러(3a)가 같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상롤러(3a)의 한쪽 끝단에는 이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핸들(38)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핸들(38)은 절단지지틀(34)을 통해 절단상롤러(3a)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수평핸들(38)을 돌리면 절단상롤러(3a)는 수평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이동은 아주 짧은 거리 내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절단상롤러(3a)가 승강하면서 수평으로도 이동됨으로써, 상기 절단상롤러(3a)의 각 절단날(30)의 날부가 절단하롤러(3b)의 각 절단홈(31)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각 절단날(30)의 날부의 측면이 상기한 각 절단홈(31)의 홈내벽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절단날(30)의 날부와 상기 각 절단홈(31)의 홈내벽이 일종의 가위의 양쪽 날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전텐션부(4)는 시트공급부(2)와 시트절단부(3) 사이에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수평으로 받침부(1) 상에 설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3개의 제1 전텐션롤러(4a)와 제2 전텐션롤러(4b) 및 제3 전텐션롤러(4c)로 각각 구성되며, 이 중의 2개의 제1 및 제2 전텐션롤러(4a)(4b)는 받침부(1) 상의 양쪽에 각각 세워지는 지지대(40)에 양쪽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제3 전텐션롤러(4c)는 시트공급부(2)의 절단하롤러(3b)의 바로 앞에 배치되어 절단지지틀(34)의 안쪽에 양쪽 끝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전텐션부(4)를 통해 시트공급부(2)에서 공급되는 흡음시트는 높이가 가장 높은 제1 전텐션롤러(4a)의 상단을 거치고 높이 가장 낮은 제2 전텐션롤러(4b)의 하단을 거쳐서 높이가 중간인 제3 전텐션롤러(4c)의 상단을 거치면서 시트절단부(3)의 절단상롤러(3a)와 절단하롤러(3b)의 사이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상기 전텐션부(4)의 각각의 제1 내지 제3 전텐션롤러(4a)(4b)(4c)에 의해 시트공급부(2)에 공급되는 흡음시트는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면서 시트절단부(3)로 공급된다.
상기 밀림부(5)는 시트절단부(3) 이후의 받침부(1) 상에서 양쪽의 밀림지지틀(35) 내에서 상하로 나란히 연결되어 서로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밀림상롤러(5a)와 밀림하롤러(5b)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절단부(3)에 의해 전달된 흡음시트가 회전하는 상기 밀림상롤러(5a)와 밀림하롤러(5b) 사이로 들어가면 이를 잡아당겨 바깥쪽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림하롤러(5b)의 한쪽에서는 롤러모터(5c)가 연결되어 밀림하롤러(5b)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접촉하는 밀림상롤러(5a)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림상롤러(5b)는 양쪽에서 밀림지지틀(5a)을 통해 연결된 밀림실린더(36a)(36b)에 의해 승강하면서 절단된 흡음시트가 상기 절단상롤러(3a)와 절단하롤러(3b)의 사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텐션부(6)는 전텐션부(4)와 같이 밀림부(5)의 양쪽에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수평으로 받침부(1) 상에 설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5개의 제1 후텐션롤러(6a), 제2 후텐션롤러(6b), 제3 후텐션롤러(6c), 제4 후텐션롤러(6d) 및 제5 후텐션롤러(6e)로 각각 구성되며, 이 중 앞쪽의 2개의 제1 및 제2 후텐션롤러(6a)(6b)는 상기 시트절단부(3)와 밀림부(5)의 사이에 설치되고, 나머지 뒤쪽의 3개의 제3 내지 제5 후텐션롤러(6c)(6d)(6e)는 상기 밀림부(3)와 후술하는 안내부(7) 사이에 설치된다. 즉 밀림부(3) 앞쪽의 2개의 제1 및 제2 후텐션롤러(6a)(6b)는 각각 시트절단부(3)의 바로 뒤의 절단지지틀(34)과 밀림부(3) 바로 앞의 밀림지지틀(35)에 거의 같은 높이로 설치되고, 뒤쪽의 3개의 제3 내지 제4 후텐션롤러(6c)(6d)(6e) 중 하나는 밀림부(3) 바로 뒤의 밀림지지틀(35)에 설치되며, 다른 2개는 상기 밀림지지틀(35)의 양쪽에 연결된 지지브래킷(37a)(37b)의 사이에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때 하나의 제3 후텐셜롤러(6c)는 앞쪽의 2개의 제1 및 제2 후텐션롤러(6a)(6b)와 거의 같은 높이로 설치되나, 다른 2개의 제4 및 제5 후텐션롤러(6d)(6e)는 상기 지지브래킷(37a)(37b)이 하나의 제3 후텐셜롤러(6c)의 위쪽에 연결되어 있어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텐션부(6)를 통해 시트절단부(3)에서 절단되어 공급되는 흡음시트는 앞쪽의 2개의 제1 및 제2 후텐션롤러(6a)(6b)의 하단과 상단을 각각 거쳐 밀림부(5)로 공급되고, 상기 밀림부(5) 이후에 하나의 제3 후텐션롤러(6c)의 하단을 거친 후 더 높은 높이의 다른 2개의 제4 및 제5 후텐션롤러(6d)(6e)의 상단을 각각 거쳐 안내부(7)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텐션부(4)의 각각의 제1 내지 제5 후텐션롤러(6a)(6b)(6c)(6d)(6e)에 의해 시트절단부(3) 및 밀림부(3)를 거쳐 공급되는 흡음시트는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면서 안내부(7)로 공급된다.
상기 안내부(7)는 절단된 각각의 흡음시트가 밀림부(3)와 제1 내지 제5 후텐션롤러(6a)(6b)(6c)(6d)(6e)를 거쳐 오면 이를 받아 방음판의 내부로 직적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절단된 각각의 흡음시트가 삽입되는 격자형상이 내부에 수평으로 나란히 형성된 긴 직사각의 박스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8)는 흡음시트를 공급하고 절단하여 방음판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상기 구성들의 회전 및 승강운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받침부(1)의 다른 쪽의 일측에 각종의 스위치 등이 있는 제어패널의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된 흡음시트(9a) 중 양쪽 끝의 각각의 흡음시트(9a)는 방음판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별도로 수거되므로, 이를 수행하도록 상기 받침부(1)의 하부에 절단시트 흡입부(10)를 설치한다. 상기 절단시트 흡입부(10)는 절단된 흡음시트(9a)의 양쪽 끝의 별도로 제거되는 각각의 흡음시트(9b)가 각각 삽입되는 흡입관(10a)과 상기 흡입관(10a)에 연결된 흡입기(10b)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시트 재단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의 상기한 구성의 재단기는 절단된 흡음시트를 방음판에 직접 삽입하지 않고, 별도로 감아두도록 안내부(7) 대신에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김부(11)를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마지막의 제5 후텐션롤러(6e) 이후에 감김롤(11a)과 이에 연결된 감김모터(11b)로 구성된 감김부(11)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제5 후텐션롤러(6e)를 거쳐온 절단된 흡음시트를 감김모터(11b)로 회전시키는 감김롤(11a)에 감아둔다. 상기 감김부(11) 이외에 다른 구성들은 상기한 재단기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음시트 재단기에 의해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의 긴 시트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시트공급부(2)의 회전하는 공급롤(2a)에 감겨있는 흡음시트가 풀리면서 전텐션부(4)의 제1 내지 제3 전텐션롤러(4a)(4b)(4c)를 거쳐 장력을 유지하면서 시트절단부(3)에 공급된다.
다음에 시트절단부(3)의 절단상롤러(3a)와 절단하롤러(3b) 사이로 흡음시트가 공급되면 상기 절단상롤러(3a)의 다수 개의 절단날(30)과 절단하롤러(3b)의 상기 절단날(30)에 대응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홈(31)에 의해 여러 갈래의 긴 띠 형상의 흡음시트로 절단된다. 이때 절단된 흡음시트(9a) 중 양쪽 끝의 각각의 흡음시트는 절단시트 흡입부(10)에 의해 별도로 수거된다.
다음에 양쪽 끝의 절단된 흡음시트를 제외한 나머지의 절단된 흡음시트는 후텐션부(6)의 제1 및 제2 후텐션롤러(6a)(6b)를 거쳐 밀림부(5)의 밀림상롤러(5a)와 밀림하롤러(5b)의 사이로 공급되어 회전하는 상기 밀림상롤러(5a)와 밀림하롤러(5b)에 밀려 밖으로 빠져나온다.
다음에 상기 밀림부(5)에 의해 밀려 밖으로 나온 절단된 흡음시트는 후텐션부(6)의 제3 내지 제5 후텐션롤러(6a)(6b)(6c)를 거쳐 장력을 유지하면서 안내부(7)로 공급되어 삽입되거나, 감김부(12)의 감김롤(12a)에 감기게 된다.
이상과 같이 흡음시트 재단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받침부 2 : 시트공급부
2a : 공급롤 2b : 공급모터
3 : 시트절단부 3a : 절단상롤러
3b : 절단하롤러 3c : 절단모터
4 : 전텐션부 4a,4b,4c : 제1 내지 제3 전텐션롤러
5 : 밀림부 5a : 밀림상롤러
5b : 밀림하롤러 5c : 롤러모터
6 : 후텐션롤러 6a,6b,6c,6d,6e : 제1 내지 제5 후텐션롤러
7 : 안내부 8 : 제어부
9 : 흡음시트 9a : 절단된 흡음시트
10 : 절단시트 흡입부 10a : 흡입관
10b : 흡입기 11 : 감김부
11a : 감김롤 11b : 감김모터
30 : 절단날 31 : 절단홈
32 : 승강핸들 33 : 승강스크루
34 : 절단지지틀 35 : 밀림지지틀
36a,36b : 밀림롤러 37a,37b : 지지브래킷

Claims (15)

  1. 시트절단부에 의해 여러 갈래로 절단한 흡음시트의 절단된 각각의 흡음시트를 방음판의 내부에 동시에 나란히 삽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갈래의 절단된 흡음시트 중 양쪽 끝의 가장 외곽의 각 흡음시트는 방음판에 삽입되지 않고 별도로 수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시트는 발포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기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롤형태로 흡음시트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
    상기 받침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롤형태의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로 갈라 절단하는 시트절단부;
    상기 시트공급부와 시트절단부의 사이의 받침부에 설치되어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전텐션부;
    상기 시트절단부 이후의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를 잡아당겨주도록 회전하는 밀림부;
    상기 밀림부의 양쪽에서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후텐션부;
    상기 후텐션부를 거쳐온 절단된 각각의 흡음시트를 방음판의 내부에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흡음시트의 공급과 절단 및 절단 후의 감김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기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롤형태로 흡음시트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
    상기 받침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롤형태의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로 갈라 절단하는 시트절단부;
    상기 시트공급부와 시트절단부의 사이의 받침부에 설치되어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전텐션부;
    상기 시트절단부 이후의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를 잡아당겨주도록 회전하는 밀림부;
    상기 밀림부의 양쪽에서 받침부 상에 설치되어 절단된 흡음시트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후텐션부;
    상기 받침부의 다른 쪽에 설치되어 후텐션부를 거쳐온 절단된 여러 갈래의 흡음시트를 감아두는 감김부; 및
    상기 흡음시트의 공급과 절단 및 절단 후의 감김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공급부는 흡음시트가 감겨진 공급롤과 이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롤을 회전시키는 공급모터로써, 상기 공급모터에 의해 공급롤을 회전시켜 감겨진 상기 흡음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절단부는,
    다수 개의 절단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되어 승강하는 절단상롤러;
    다수 개의 상기 절단날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절단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절단상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로 접촉하는 절단하롤러; 및
    상기 절단하롤러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절단모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상롤러의 각각의 절단날은 원형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상롤러를 승강시켜 절단하롤러와 접촉시키도록 절단상롤러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된 승강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상롤러의 한쪽 끝단의 위쪽에 절단상롤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핸들이 연결되어, 상기 수평핸들에 의한 절단상롤러의 수평이동에 의해 각 절단날의 날부 측면과 절단하롤러의 각 절단홈의 홈내벽 사이의 접촉으로 흡음시트를 여러 갈래로 절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텐션부는 서로 단차를 두고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제1 전텐션롤러와 제2 전텐션롤러 및 제3 전텐션롤러로써,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음시트는 각각의 전텐션롤러를 거쳐 시트절단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는 여러 갈래로 절단된 흡음시트가 감겨지는 감김롤과 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김롤을 회전시키는 감김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감김모터에 의해 감김롤을 회전시켜 절단된 흡음시트를 감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13.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텐션부는 서로 단차를 두고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제1 후텐션롤러, 제2 후텐션롤러, 제3 후텐션롤러, 제4 후텐션롤러 및 제5 후텐션롤러로 구성되어, 시트절단부에 의해 여러 갈래로 절단된 흡음시트가 각각의 상기 후텐션롤러를 거쳐 안내부로 삽입되거나 감김부에 감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14.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부는 상하로 한 쌍의 밀림상롤러와 밀림하롤러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밀림상롤러와 밀림하롤러 사이로 절단된 흡음시트가 통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15.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절단기에 의해 여러 갈래로 갈라져 절단되는 흡음시트의 일부를 흡입하는 절단시트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재단기.
KR1020200093918A 2020-07-28 2020-07-28 흡음시트 재단기 KR10240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18A KR102402018B1 (ko) 2020-07-28 2020-07-28 흡음시트 재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18A KR102402018B1 (ko) 2020-07-28 2020-07-28 흡음시트 재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65A true KR20220014465A (ko) 2022-02-07
KR102402018B1 KR102402018B1 (ko) 2022-06-28

Family

ID=8025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918A KR102402018B1 (ko) 2020-07-28 2020-07-28 흡음시트 재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045B1 (ko) * 2022-09-08 2023-08-07 여진 자동차 흡음재 자동 스크랩탈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15B1 (ko) * 2009-09-25 2011-10-10 김현화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KR101268618B1 (ko) * 2008-03-24 2013-05-29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코루게이트 머신의 트림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33364B1 (ko) * 2013-01-14 2014-08-26 정연호 원단 자동 제단기
KR20190106635A (ko) * 2018-03-07 2019-09-18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의 발포시트 끼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18B1 (ko) * 2008-03-24 2013-05-29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코루게이트 머신의 트림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71515B1 (ko) * 2009-09-25 2011-10-10 김현화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KR101433364B1 (ko) * 2013-01-14 2014-08-26 정연호 원단 자동 제단기
KR20190106635A (ko) * 2018-03-07 2019-09-18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의 발포시트 끼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045B1 (ko) * 2022-09-08 2023-08-07 여진 자동차 흡음재 자동 스크랩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018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018B1 (ko) 흡음시트 재단기
CN102569731B (zh) 一种极片的涂布、辊压、分切一体机
CN203371106U (zh) 一种不锈钢板分条机
CN203185414U (zh) 一种铝箔自动放卷裁切机
CN104908075B (zh) 一种把卷筒绝缘纸裁切成段状绝缘纸的装置
CN109850655A (zh) 一种立式隔膜分切机
KR102293886B1 (ko) 방음판의 발포시트 끼움기
CN112027753B (zh) 一种转印纸用分卷机
CN201702791U (zh) 分切机切边装置
CN213226380U (zh) 一种电子标签分切机构
KR100924535B1 (ko) 태양전지 모듈용 시트지 커팅장치
CN212449969U (zh) 薄膜切割台和薄膜切割装置
CN203845526U (zh) 单面卷料拼接器
CN207874339U (zh) 缠绕式纸筒成型切割同步装置
CN107458906B (zh) 一种卷材自动切割装置
CN111392486A (zh) 四轴分条机
CN220886256U (zh) 一种气动感应式分裁复卷机
CN211812597U (zh) 一种垂直帘专用超声波分切机
CN220074876U (zh) 一种薄膜切边后的废边回收装置
CN216511733U (zh) 一种方便调节的pe膜分切机
CN219971386U (zh) 一种复合膜分切机
CN220537074U (zh) 一种纸张分卷结构及装置
KR200232165Y1 (ko) 멤브레인 시트용 재단장치
CN218747940U (zh) 一种手持式玻纤网切割器
CN219525784U (zh) 四轴自动复卷分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