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978A -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978A
KR20220013978A KR1020200093474A KR20200093474A KR20220013978A KR 20220013978 A KR20220013978 A KR 20220013978A KR 1020200093474 A KR1020200093474 A KR 1020200093474A KR 20200093474 A KR20200093474 A KR 20200093474A KR 20220013978 A KR20220013978 A KR 20220013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de
skin
high frequenc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465B1 (ko
Inventor
김정현
서영석
김영식
김세종
Original Assignee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465B1/ko
Priority to CN202010989163.2A priority patent/CN113995496A/zh
Priority to US17/928,362 priority patent/US20230210581A1/en
Priority to PCT/KR2021/009718 priority patent/WO2022025592A1/ko
Publication of KR2022001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075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37Details of operation mode
    • A61B2017/00154Details of operation mode pul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8Generators therefor generating two or more frequenc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Electrodes transferring energy by capacitive coupling, i.e. with a dielectricum between electrode and targe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 A61B2090/065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for measuring contact or contact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관리하고자 하는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의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중심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인가받는 전극과, 상기 전극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전극체를 통해 피부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와, 상기 신호 전달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APPARATUS FOR DELIVERING HIGH FREQUENCY ENERGY}
본 발명은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여 피부에 열 효과를 일으켜 최소침습적으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해 피부에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의 조직 상태를 변형시키거나 조직 특성을 개선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기술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레이저 빔, 플래시 램프, 초음파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RF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 표면으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면, 고주파의 전류 방향이 바뀔 때마다 피부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회전 운동, 뒤틀림 또는 충돌 운동에 의해 심부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심부열은 피부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콜라겐 층을 재조직함으로써,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조직의 혈액 순환을 증진, 촉진시켜 피부 노화 방지를 비롯하여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피부 조직의 치료를 위한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3706호(공개일 : 2004.11.08.)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 제시된 기술은 핸드피스 하우징, 핸드피스 하우징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유체 전달 부재로 이루어진 고주파 치료용 핸드피스에 관련된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가 고주파 에너지에 의해 피부 표면의 하부조직을 비침투식으로 치료하기 위해 고주파 에너지를 조직과 전기 용량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전극 조립체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유체 전달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듀티 사이클, 전극 조립체가 피부 표면에 대해 이동되는 횟수 또는 전극 조립체에 의해 치료되는 영역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제시된 선행기술은 고주파 에너지를 인체 내부로 공급시켜 피부에 자극을 주어 치료를 하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치료 영역의 피부와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한 전력을 갖는 고주파 에너지의 지속적인 공급과 치료 영역의 피부에 균일하게 고주파 에너지를 전달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93706호(2004.11.0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주파 신호를 피부에 전달하여 열 효과를 일으켜 최소침습적으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관리하고자 하는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의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중심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인가받는 전극과, 상기 전극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전극체를 통해 피부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와, 상기 신호 전달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전극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사분면(四分面)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는, 전도판과, 상기 전도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전극과 대응하는 상기 유전체 상에 배치하되, 상기 전극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비전도체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유전체 위에 위치하고, 상기 유전체의 형상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유전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비전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비전도판의 중심축으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도판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여 상기 전도판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상기 신호와 같거나 다른 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신호를 인가받기 위해, 양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양단에 배치된 상기 신호 인가부로 인가된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사분면들에 전달되는 신호 크기를 임계치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인가하고자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 신호에 따른 주기와 같거나 다른 주기를 갖는 제2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가 피부와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극체가 피부와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입력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신호 발생부로 트리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전력을 갖는 고주파 에너지를 치료 대상의 피부로 지속적인 공급을 이룰 수 있으며, 보다 넓은 피부에도 고주파 에너지를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배치에 따른 다양한 유전체의 배치 형태를 통해, 얼굴에서 특히, 눈, 이마, 코 등의 치료 영역에서도 보다 효율적인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2에 따른 전극체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발생부를 통해 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부의 다양한 입력 펄스 신호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작동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모드 수행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모드 수행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체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발생부를 통해 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부의 다양한 입력 펄스 신호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작동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모드 수행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모드 수행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는, 접촉되는 피부에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여 피부에 열 효과를 일으켜 피부를 최소침습적으로 관리(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는 파지 가능한 형태의 핸드피스, 피부에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100), 그리고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은 신호 전달부(100)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1을 참조하면,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는 신호 발생부(200), 제어부(300), 감지부(400), 전기 자극 발생부(500), 및 메모리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부(100)는 관리하고자 하는 피부와 접촉하여, 접촉된 피부에 고주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신호 전달부(100)는 피부 표면 및 조직에 대해 열 손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기 위해 선택된 깊이에서 피부의 조직 내 균일한 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부(100)는 전극체(110) 및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110)는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후술할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피부로 보다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전극체(110)는 고주파 신호를 피부와 접촉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신호 전달부(10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체(110)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2를 참조한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체(110)는 전도판(111), 유전체(112), 전극(113), 비전도체(114) 및 비전도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도판(111)은 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전도판(111)은 후술할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생성된 신호(고주파 신호)를 전달받아 접촉되는 피부로 전달받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도판(111)은 내측에 배치되는 전극(113)을 통해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전도판(111)은 전극체(110)에서 고정되기 위한 비전도판(115) 상에 배치되되, 전도판(111)은 비전도판(115)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도판(111)은 접촉되는 피부에, 유전체(112)를 통해 전극(11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고주파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전극(113)은 신호 전달부(110)의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중심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인가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113)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중심축을 갖는 복수의 전극들을 배치 구조를 통해, 신호 전달부(110)와 접촉하는 피부의 전체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고주파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입은 피부 관리 타입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본 발명의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관리 타입에 따라 정해진 신호 유형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이하, 고주파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일정 범위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일 수 있다.
유전체(112)는 전극(113)이 전도판(111)의 일단에서 내측을 가로질러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 형태를 갖는 경우, 전극(113)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전체(112)가 전극(113)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 각각에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전극(113)이 제1 전극(113a)과 제2 전극(113b)으로 마련되어 상호 교차되도록 전도판(111)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 전극(113a)과 제2 전극(113b)에 의해 각기 나누어진 전도판(111)의 영역에 유전체(112)가 각각 다수로 분리된 형태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인 도2에 따른 유전체(112)는 복수의 전극이 전도판(111)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사분면(四分面)(112(A), 112(B), 112(C), 112(D))들을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112)는 전극(113)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전달받아 접촉하는 피부로 고주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유전체(112)는 전극(113)의 배치 형태에 의해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전극(113)으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피부에 분산시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전체(112)는 실리콘, 폴리이미드, 캡톤 등으로 이루어지되,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용이하게 전기적 유도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면 충분하다.
유전체(112)는 전도판(111) 상에 전극(113)이 배치되는 경우, 전극(113)을 기준으로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전도판(111) 상에 배치되며, 전극(113)으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이를 전달받아 보다 넓은 범위로 고주파 신호를 분산시킬 수 있다.
전극(113)은 전도판(111)이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신호를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의 전달 선로일 수 있다. 일 예로, 전극(113)은 일단에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타단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그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전극(113)은 전도판(1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극(113)은 전도판(111)에 배치되는 경우, 전도판(111)을 가로지르는 배치 형태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113)은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인 도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극체(110)는 제1 전극(113a) 및 제2 전극(113b)에 고주파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신호 인가부(116)는 제1 전극(113a)과 제2 전극(113b) 각각의 양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13a)과 제2 전극(113b)의 중간에 저항체가 있다면, 전극의 일단으로 입력된 신호가 타단으로 갈수록 신호 크기가 약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전극(113a, 113b)과 접촉되는 피부가 저항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전극(113a, 113b)이 일단에서만 고주파 신호를 인가받는다면, 타단으로 갈수록 신호가 약해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전극(113a, 113b) 각각은 양단에 마련되는 신호 인가부들(116)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인가받기 때문에, 중앙 및 인가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하는 타단부에서의 신호 전력도 임계치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에너지 출력을 원하는 만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피부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전체(112)의 사분면(112(A), 112(B), 112(C), 112(D))에서의 고주파 신호의 크기도 상기 임계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신호 인가부(116)에 의해,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의 각각으로 고주파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고주파 신호는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의 각각으로 전달되되, 동일한 전력을 갖는 고주파 신호가 동시 또는 특정 패턴을 가지고 전달되거나, 상호 일정 시간 간격과 서로 다른 전력을 갖는 복수의 고주파 신호를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 각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유전체(112)는 전극(113)이 전도판(111)의 일단에서 내측을 가로질러 타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전극(113)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전체(112)가 전극(113)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113)이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 상호 교차되도록 전도판(111)에 배치됨으로써,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에 의해 각기 나누어진 전도판(111)의 영역에 유전체(112)가 각각 다수로 분리된 형태(예를 들어, 사분면)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비전도체(114)는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도전체(114)는 전도판(111) 상에 배치되는 전극(113)의 배치 형태와 대응되도록 유전체(11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전극(113)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비전도체(114)는 전극체(110)가 피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전극(113)으로 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전극(113)을 통해 직접적으로 피부에 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비전도체(114)는 전극(113)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113)의 양측면이 유전체(112)와 접촉됨에 따라 유전체(112)로 고주파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비전도판(115)은 전극(113) 및 유전체(112) 위에 위치하고, 유전체(112)의 형상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형상을 가지되, 유전체(112)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인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전체(112)는 제1 및 제2 전극(113a, 113b)의 교차점들로 이루어진 영역을 기준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전도판(115)은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전체(112)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형태인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신호 인가부(116)들이 배치되는 마름모 형상의 꼭지점 부분은 돌출된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112) 및 비전도판(115)의 중심은, 제1 전극(113a)과 제2 전극(113b)의 교차점들로 이루어진 영역일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체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113)은 내측을 선회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113a)은 전도판(111)의 내측에서 선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113b)은 제1전극(113a)의 배치 형태와 대응되며. 전도판(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1전극(113a)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전체(112)는 전극(113)의 배치 형태에 따라 그 배치 형태가 달라지며,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112)의 배치 형태는 전극(113)이 전도판(111)의 내측에서 선회하는 배치 형태를 갖는 경우, 전극(113)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전체(112)가 전극(113)의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신호 발생부(200)는 전극(113)에 인가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신호 발생부(200)가 발생시키는 신호는 고주파 신호일 수 있다. 신호 발생부(200)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RF(Radio Frequency)”일 수 있다. 신호 발생부(200)는 특정 주파수(Frequency)와 패턴으로 갖고 일정한 파워(Power)로 고주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200)는 특정 주파수와 패턴을 갖도록 고주파 신호를 전극체(110)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200)는 펄스(Pulse) 방식의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신호 발생부(200)는 특정 주파수와 패턴에 따른 고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후술할 제어부(300)로부터 펄스 신호(Pulse signer)를 입력 받으며, 펄스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와 전력으로 고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발생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발생부(200)는 일 예로, 제1 신호 발생부(210) 및 제2 신호 발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발생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11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신호 발생부(210)는 전극(113) 중 제1전극(113a)의 양단으로 고주파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신호 발생부(210)는 특정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11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신호 발생부(230)는 전극(113) 중 제2전극(113b)의 양단으로 고주파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주파 발생부(210, 220)의 각각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가 분리되어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고주파 발생부(210, 220)의 각각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가 모두 하나의 전극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호 발생부(200)는 제1 신호 발생부(210)와 제2 신호 발생부(230)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호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부(300)로부터 펄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신호 발생부(200)는 전극체(110)의 전극(113) 중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이 상호 교차되도록 전도판(111)에 구비되는 경우, 제1전극(113a)과 제2전극(113b) 각각의 양단으로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와 전력을 갖는 고주파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신호 발생부(210)를 통해 제1전극(113a)의 양단으로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고주파 신호를 공급하고, 이후, 제2 신호 발생부(230)를 통해 제2전극(113b)의 양단으로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두고 고주파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 발생부(210)를 통해 제1전극(113a)의 일단과 제2전극(113b)의 일단으로 고주파 신호를 공급한 이후, 제2 신호 발생부(230)를 통해 제1전극(113a)의 타단과 제2전극(113b)의 타단으로 고주파 신호를 공급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신호 발생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특정 주파수와 전력을 갖는 고주파 신호가 다양한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신호 발생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와 전력 그리고 각 고주파 신호의 펄스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신호 전달부(100)의 전극체(110)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며,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와 전력 및 펄스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 신호(Pulse Signer)를 생성하여 신호 발생부(200)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신호 발생부(200)로 펄스 신호를 펄스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신호 발생부(200)가 제1 신호 발생부(210)와 제2 신호 발생부(230)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신호 발생부(210)와 제2 신호 발생부(230) 각각을 제어하도록 제1 및 제2 고주파 발생부(210, 220) 각각에 펄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신호 발생부(210)에서 고주파 신호가 생성되면, 이후, 제2 신호 발생부(230)에서 고주파 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펄스 신호를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210, 230) 각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제1 신호 발생부(210)의 고주파 신호 생성을 위한 펄스 신호를 입력하고, 제 1 시간간격(d1) 이후, 제2 신호 발생부(230)의 고주파 신호 생성을 위한 펄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신호 발생부(210) 및 제2 신호 발생부(230) 각각으로 제 1 시간간격(d1)을 갖고 펄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신호 발생부(210)와 제2 신호 발생부(230)는 각각 제 1 주기(T1)와 제 2 주기(T2)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로서, 제1 신호 발생부(210)에서의 고주파 신호와 제2 신호 발생부(230)에서의 고주파 신호를 상호 제 1 시간간격(d1)을 두고 교번 출력시킬 수 있도록 펄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제1 신호 발생부(210)에서 고주파 신호가 다수로 생성되면, 이후, 제2 신호 발생부(230)에서 고주파 신호가 다수로 생성될 수 있도록 펄스 신호를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210, 230) 각각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제1 신호 발생부(210)의 고주파 신호 생성을 위해 제 2 시간간격(d2)을 두고 다수의 펄스 신호를 제 1 주기(T1) 동안 입력하고, 제 3 시간간격(d3) 이후, 제2 신호 발생부(230)의 고주파 신호 생성을 위해 제 2 시간간격(d2)을 두고 다수의 펄스 신호를 제 2 주기(T2) 동안 다수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특정 주기 동안 신호 발생부(200)로 입력함으로써 신호 발생부(200)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신호 전달부(100)는 하우징의 이동에 의해, 전극체(110)가 접촉하는 피부 부위의 변화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130)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전극체(11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신호 전달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전극체(110)의 이동을 감지함에 따라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로 전달되도록 고주파 신호의 전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신호 전달부(100) 또는 전극체(110)의 이동,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각속도, 기울기, 위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부(130)는 IR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130)는 전극체(110)의 이동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전극체(110)의 이동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 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신호 발생부(200)로 트리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센서부(13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 인가부(116)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트리거 신호가 인가된 이후, 감지한 압력이 기준 압력 값 이상으로 계속해서 감지되는 경우,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30)는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로부터 펄스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전극체(110)가 피부와 접촉함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D)이 되는 시점(R)에서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를 경유하여 피부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센서부(13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제어부(300)를 통해 펄스 신호가 입력되어진 경우, 감지되는 압력이 기준 압력(D) 이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신호 발생부(200)를 통해 다수의 고주파 신호가 제 3 시간간격(d3)을 갖고 제 5 주기(T5) 동안 출력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압력이 기준 압력(D) 이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어부(300)를 통해 도 5의 (b)에 도시된 펄스 신호의 형태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센서부(130)는 감지되는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감지되는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과정에서 전극체(110)가 이동됨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전극체(110)와 피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피부로의 고주파 신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일 예로, 신호 전달부(100)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30)는 신호 전달부(100)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신호 전달부(100)의 각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신호 전달부(100)가 기울어짐에 따라 전극체(110)와 피부 사이에 이격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치료 시 전극체(110)가 치료 대상 피부에 정상적으로 밀착하여 접촉되었을 경우에만, 피부로의 고주파 신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130)는 일 예로, 신호 전달부(10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30)는 신호 전달부(100)의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가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신호 전달부(100)의 가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신호 전달부(100)가 특정 영역의 피부로 보다 많은 고주파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피부의 화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치료 시 피부 상에서 신호 전달부(100)가 이동되었을 경우에만, 피부로의 고주파 신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센서부(130)는 감지되는 신호 전달부(100)의 각속도 또는 가속도에 따라 신호 발생부(200)로부터의 고주파 신호 전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신호 전달부(100)를 피부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고주파 신호를 공급하되, 신호 전달부(100)의 이동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신호 발생부(200)의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이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는 감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00)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전력 및 펄스 간격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전달받을 경우,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전력 및 펄스 간격과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생성된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전력 및 펄스 간격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된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의 출력을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400)는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 대응되도록 고주파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 대응하도록 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감지부(400)는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와 비교하여 신호 발생부(20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전력 및 펄스 간격이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응하는지를 감지하고,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이하는 경우 이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감지부(400)는 릴레이부(410)와 전력 감지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감지부(43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 대응하는 고주파 신호가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출력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전력 감지부(430)는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 고주파 신호가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감지부(430)는 신호 발생부(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신호 발생부(200) 각각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를 전달받고, 각각에 대해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와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가 출력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감지부(43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받은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대응되지 않은 경우,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감지부(43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가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 보다 그 이하로 출력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과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 발생부(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신호 발생부(200) 각각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를 전달받고, 고주파 신호 각각의 전력 값을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과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전력 값을 갖은 고주파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과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고주파 신호의 전력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릴레이부(41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가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출력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와 펄스 간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릴레이부(41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받은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대응되지 않을 경우,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릴레이부(41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가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그 이하로 출력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부(410)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가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펄스 간격 보다 짧게 출력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입력된 펄스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의 펄스 간격과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고주파 신호의 펄스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릴레이부(410)는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와 달리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되는 고주파 신호가 전극체(110)로 전달되는 펄스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도 있다.
전기 자극 발생부(500)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기 자극 발생부(500)는 일정한 파형과 주파수를 갖는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기 자극 발생부(50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자극 신호는 신호 전달부(100)의 전극체(110)를 통해 피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극 발생부(500)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 신호를 일정한 출력 값을 갖도록 유지시킨 상태에서 피부에 전달하면, 피부로부터 반송되는 전기 자극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전기 자극 발생부(500)는 일정한 파형과 주파수를 갖는 전기 자극 신호를 피부에 전달하여 반송되는 전기 자극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고주파 신호가 전달된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 자극 발생부(500)는 피부로부터 반송되는 전기 자극 신호를 지속적으로 후술할 메모리부(6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극 발생부(500)는 메모리부(600)에 누적된 임피던스 값을 획득하고, 이에 누적된 임피던스 값에서의 증가율을 산출함으로써, 임피던스 값의 증가된 정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신호 발생부(200)로부터의 고주파 신호 생성을 정지시킬 수 있다.
메모리부(600)는 제어부(300)로부터 신호 발생부(200)로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펄스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고주파 발생부로 입력되는 각각의 펄스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600)는 신호 발생부(200)로 입력되는 펄스 신호 중 신호 발생부(200)를 통해 생성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전력 및 펄스 간격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메모리부(600)는 감지부(400)에서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되는 고주파 신호와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펄스 신호를 상호 비교하기 위해, 제어부(300)의 펄스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특히, 메모리부(600)는 감지부(400)의 릴레이부(410)로는 신호 발생부(20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에서 전력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메모리부(600)는 전기 자극 발생부(50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자극 신호와 피부로 전달된 이후 반송되는 전기 자극 신호를 획득하여 산출한 임피던스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600)는 센서부(130)를 통해 전극체(110)의 이동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과 상호 비교하기 위해 기 설정되는 기준 압력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130)로부터 전극체(110)의 이동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600)는 센서부(130)를 통해 전극체(110)의 이동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과 상호 비교하기 위한 기준 압력 값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600)는 신호 전달부(100)의 이동에 따라 감지되는 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600)는 센서부(130)를 통해 신호 전달부(100)의 이동에 따라 입력되는 가속도 또는 각속도와 상호 비교하기 위한 기 설정되는 각속도 또는 가속도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작동 방법(S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들은 생략하거나 간소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작동 방법(S10)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작동 방법(S10)은, 신호 발생부(200)가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부(300)를 통해 펄스 신호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S10)는 획득된 입력이 제 1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드 여부 판단 단계(S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S10)는 획득된 입력이 제 2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드 여부 판단 단계(S3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획득된 입력이 제 1 및 제 2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300)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작동 방법(S10)을 종료시킬 수 있다.
제 1 모드는 신호 발생부(200)를 통해 특정 시간 동안에만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 2 모드는 신호 발생부(200)를 통해 특정 시간제한 없이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 2 모드는 신호 전달부(100) 또는 전극체(110)의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에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작동 방법(S10)은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에서 센서부(130)는 신호 발생부(200)를 제어하여 개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을 참조차면,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선택 모드에 따른 고주파 발생부 작동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주파 발생부 작동 단계(410)는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압력 감지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단계(S410)는 센서부(130)를 통해 전극체(110)가 이동됨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측정된 압력 판단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판단 단계(S430)에서 센서부(130)는 전극체(110)가 이동되어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압력은 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는 피부와 전극체(110)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정도의 압력을 의미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40)에서 센서부(130)는 신호 발생부(20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미만이면, 센서부(130)는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40)를 수행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40) 이후, 센서부(130)는 압력 감지 단계(S420)를 수행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종료 사유 발생 여부 판단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사유 발생 여부 판단 단계(S450)는 센서부(1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의 종료 사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센서부(130)는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를 종료시킬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의 종료 사유는 일 예로, 입력되는 압력이 급격이 상승한 경우, 또는 압력 판단 단계(S430)를 통해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으로 판단한 이후, 감지되는 압력이 하강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이 되지 않은 경우, 또는 종료 입력이 획득된 경우일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의 종료 사유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선택 모드에 따른 고주파 발생부 작동 단계(S41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모드 수행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는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선택 모드에 따른 고주파 발생부 작동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 작동 단계(S410)는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10)는 핸드피스 이동 감지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피스 이동 감지 단계(S420)는 센서부(130)를 통해 신호 전달부(100)가 이동됨에 따라 입력되는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신호 전달부(100)의 이동 정보는 신호 전달부(100)가 이동되는 경우에 감지할 수 있는 신호 전달부(100)의 각속도와 가속도일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측정된 각속도 판단 단계(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속도 판단 단계(S430)에서 센서부(130)는 신호 전달부(100)가 이동되어 입력되는 각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각속도는 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는 피부와 전극체(110)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정도의 각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각속도 판단 단계(S430)에서 측정된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미만일 경우에는 전극체(11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측정된 가속도 판단 단계($4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판단 단계(S440)에서 센서부(130)는 신호 전달부(100)가 이동되어 입력되는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가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가속도는 신호 전달부(100)의 소정으로 이동된 정도의 가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가속도 판단 단계(S440)에서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가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신호 전달부(100)가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특정 주기 동안의 고주파 신호가 공급된 이후, 소정 이동되어지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50)에서 센서부(130)는 신호 발생부(20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측정된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상이며,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이상인 경우, 센서부(130)는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50)를 수행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 작동 중단 단계(S450) 이후, 센서부(130)는 재차 신호 전달부 이동 감지 단계(S420)를 수행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는 종료 사유 발생 여부 단계(S46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사유 발생 여부 단계(S460)는 센서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의 종료 사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센서부(130)는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를 종료시킬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의 종료 사유는 일 예로, 측정되는 각속도 또는 가속도가 급격히 상승한 경우, 또는 감속도 판단 단계(S430)를 통해 측정된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미만으로 판단한 이후, 소정 시간 이후에 측정되는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가속도 미만인 경우, 또는 가속도 판단 단계(S440)에서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가속도 미만으로 판단한 이후, 소정 시간 이후에도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가속도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종료 입력이 획득된 경우일 수 있다. 개별 모드 수행 단계(S400)의 종료 사유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선택 모드에 따른 신호 발생부 작동 단계(S410)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를 통해 신호 전달부(100)의 전극체(110)가 피부와의 지속적인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며, 피부와의 접촉이 이격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의 제 2 모드를 통해 고주파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서의 고주파 신호 공급 주기와 전력 등을 동일하게 다수횟수로 반복적으로 고주파 신호를 공급함에 있어,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고주파 신호의 공급이 이루어진 이후, 재차 반복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신호 전달부(100)의 이동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시술 시간의 단축과 함께 안정적인 고주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신호 전달부
110: 전극체
111: 전도판
112: 유전체
113: 전극
114: 비전도체
115: 비전도판
200: 신호 발생부
300: 제어부
400: 감지부
500: 전기 자극 발생부
600: 메모리부

Claims (9)

  1. 관리하고자 하는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의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중심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인가받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전극체를 통해 피부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와,
    상기 신호 전달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전극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사분면(四分面)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는,
    전도판과,
    상기 전도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전극과 대응하는 상기 유전체 상에 배치하되, 상기 전극의 하부에 위치하는 비전도체와,
    상기 전극 및 상기 유전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전체의 형상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유전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비전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비전도판의 중심축으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도판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여 상기 전도판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상기 신호와 같거나 다른 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신호를 인가받기 위해, 양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양단에 배치된 상기 신호 인가부로 인가된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사분면들에 전달되는 신호 크기를 임계치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인가하고자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 신호에 따른 주기와 같거나 다른 주기를 갖는 제2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가 피부와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극체가 피부와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입력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신호 발생부로 트리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KR1020200093474A 2020-07-28 2020-07-28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KR102409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74A KR102409465B1 (ko) 2020-07-28 2020-07-28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CN202010989163.2A CN113995496A (zh) 2020-07-28 2020-09-18 高频能量传输装置
US17/928,362 US20230210581A1 (en) 2020-07-28 2021-07-21 High-frequency energy transfer device
PCT/KR2021/009718 WO2022025592A1 (ko) 2020-07-28 2021-07-27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74A KR102409465B1 (ko) 2020-07-28 2020-07-28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78A true KR20220013978A (ko) 2022-02-04
KR102409465B1 KR102409465B1 (ko) 2022-06-16

Family

ID=7992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474A KR102409465B1 (ko) 2020-07-28 2020-07-28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10581A1 (ko)
KR (1) KR102409465B1 (ko)
CN (1) CN113995496A (ko)
WO (1) WO20220255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316A1 (ko) * 2022-02-28 2023-08-31 원텍 주식회사 고주파 에너지의 자동 출력이 가능한 피부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706A (ko) 2002-02-06 2004-11-08 써메이쥐, 인크. 조직의 rf 치료용 핸드피스
KR20110026244A (ko) * 2009-09-07 2011-03-15 표대영 고주파 치료 장치 및 방법
KR20200057386A (ko) * 2018-11-16 2020-05-26 원텍 주식회사 멀티전극을 구비하는 핸드피스 및 그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8919B1 (en) * 1999-03-09 2005-06-29 Thermage, Inc. Apparatus for treatment of tissue
US20080200969A1 (en) * 2007-02-16 2008-08-21 Thermage, Inc.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devices used to deliver high frequency energy to tissue
US20110202048A1 (en) * 2010-02-12 2011-08-18 Solta Medical, Inc. Methods for pain reduction with functional thermal stimulation and tissue treatment systems
EP3804651A1 (en) * 2010-05-03 2021-04-14 Neuwave Medical, Inc. Energy delivery systems
US9161802B2 (en) * 2013-01-03 2015-10-20 Solta Medical, Inc. Patterned electrodes for tissue treatment systems
KR101622143B1 (ko) * 2013-10-30 2016-05-18 주식회사 화니메디칼 피부 조직의 치료 또는 피하 지방 제거를 위한 고주파 자극 장치
US10600961B2 (en) * 2017-07-27 2020-03-24 Hrl Laboratories, Llc Scalable and low-voltage electroforming-free nanoscale vanadium dioxide threshold switch devices and relaxation oscillators with current controlled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706A (ko) 2002-02-06 2004-11-08 써메이쥐, 인크. 조직의 rf 치료용 핸드피스
KR20110026244A (ko) * 2009-09-07 2011-03-15 표대영 고주파 치료 장치 및 방법
KR20200057386A (ko) * 2018-11-16 2020-05-26 원텍 주식회사 멀티전극을 구비하는 핸드피스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316A1 (ko) * 2022-02-28 2023-08-31 원텍 주식회사 고주파 에너지의 자동 출력이 가능한 피부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95496A (zh) 2022-02-01
US20230210581A1 (en) 2023-07-06
WO2022025592A1 (ko) 2022-02-03
KR102409465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5825A1 (en) Rf device for skin and fat treatment
US6635056B2 (en) RF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mplitude control
CA2222617C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ergy delivered to a patient for ablation
EP27316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n ultrasound source to tissue
JP5524956B2 (ja) 電気外科的ジェネレータの出力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005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smetic skin treatment
JP6118456B2 (ja) 無線周波数電流を用いた皮膚のための処置装置
US20020169445A1 (en) Radio frequency ablation system and method linking energy delivery with fluid flow
US200700785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local impedance factor
KR20100031652A (ko) 피부 접촉 쿨링을 이용하여 비침투 초음파 유도 신체윤곽형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09465B1 (ko)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KR20190105280A (ko) 모션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초음파 생성 장치
JP2024045716A (ja) 温度制御されたパルスrfアブレーション
US20240123247A1 (en) Treatment apparatus using high frequency handpie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20119249A (ko)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KR20140090349A (ko) Rf 치료장치 및 rf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KR200457996Y1 (ko) 고주파 치료기
WO2024055552A1 (zh) 超声输出脉冲的调制方法、控制器及治疗仪
CN114949640B (zh) 输出超声能量的控制方法、控制主机、系统及治疗仪
BR102019024198A2 (pt) Controle de irrigação durante a ablação
KR102540324B1 (ko) 다중 초음파 핸드피스 및 이의 제어방법
CN114796855A (zh) 射频系统、射频方法及美容装置
US20230271001A1 (en) Skin treatment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outputting high-frequency energy and control method
US11717335B2 (en) Pain mitigation by mechanical stimulation when treating tissue with electromagnetic energy
KR20230091323A (ko) 정밀 온도 추적이 가능한 고주파 에너지 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