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706A - 풍구 설비 - Google Patents

풍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706A
KR20220012706A KR1020200091839A KR20200091839A KR20220012706A KR 20220012706 A KR20220012706 A KR 20220012706A KR 1020200091839 A KR1020200091839 A KR 1020200091839A KR 20200091839 A KR20200091839 A KR 20200091839A KR 20220012706 A KR20220012706 A KR 2022001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yere
circumferential surface
peripheral surface
drai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9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706A/ko
Publication of KR2022001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21B7/163Blowpipe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27D2007/023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구 설비는, 노에 삽입설치되어 내부가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며, 대풍구 후방내주면 및 상기 대풍구 후방내주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대풍구 전방내주면을 가지는 대풍구; 상기 대풍구의 내부를 통해 상기 대풍구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며,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과 접하는 풍구 후방외주면 및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풍구 전방외주면을 가지는 풍구; 그리고 상기 풍구 전방외주면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풍구의 단차를 메우며,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나란한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턱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풍구 설비{TUYERE ASSEMBLY}
본 발명은 풍구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풍구 및 풍구를 포함하는 풍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정은 장입구를 통해서 연료인 코크스와 원료인 철광석을 장입하고, 고로의 하부에 있는 풍구(tuyere)를 통해 열풍(산소 또는 공기)을 공급하여 장입된 코크스를 연소시키면서 철광석을 용융 및 환원시켜 고온의 용융물인 용선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대풍구는 풍구 주위의 철피와 내화 연와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냉각장치를 말하며, 풍구는 고로의 외부로부터 고로 내부로 1,200℃ 정도의 열풍을 불어 넣는 장치로서 고로의 하부에 설치된다.
풍구는 고로의 원주 방향으로 평균 36 내지 40개 정도가 설치되어 있다. 풍구는 순동으로 제조되며, 순동은 용융점이 1,083℃로 비교적 낮지만 그 내부는 고속의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고로로 송풍되는 약 1,200℃ 정도의 고열로부터 견딜 수 있게 제작된다.
도 1은 풍구 설비가 고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00)는 내벽이 연와(10)로 형성되며, 그 외곽을 고로 철피(20)로 에워싸고 있다. 고로(100)의 일측에는 대풍구(30)가 설치되며, 그 전단에 풍구(40)를 설치하여 노내로 1,200℃ 정도의 열풍이 유입되도록 한다. 풍구의 후단에는 블로우 파이프(blow pipe)(도시안함)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열풍이 풍구를 통해 노내로 유입되게 한다. 블로우 파이프에는 급배수관이 부착되어, 고압의 냉각수가 풍구에 공급되고 이를 통해 풍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351480호(2014.01.15.)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풍구 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구의 곡손을 방지할 수 있는 풍구 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구 설비는, 노에 삽입설치되어 내부가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며, 대풍구 후방내주면 및 상기 대풍구 후방내주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대풍구 전방내주면을 가지는 대풍구; 상기 대풍구의 내부를 통해 상기 대풍구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며,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과 접하는 풍구 후방외주면 및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풍구 전방외주면을 가지는 풍구; 그리고 상기 풍구 전방외주면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풍구의 단차를 메우며,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나란한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턱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면의 경사각은 상기 풍구 전방외주면의 경사각과 다를 수 있다.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풍구 설비는 상기 오링홈에 설치된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 및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의 길이는 120 내지 130 mm일 수 있다.
상기 대풍구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급수포트와 상기 제1 및 제2 급수포트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급수포트를 통해 각각 유입된 냉각수가 유출되는 하나의 배수포트; 전방면과 접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된 링 형상이며, 상기 제1 급수포트를 통해 유입된 제1 냉각수가 상기 배수포트를 향해 일방향으로 흐르는 대풍구 전단유로;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와 연통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냉각수가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유동하며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제1 대풍구 냉각유로;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의 후방에 위치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2 냉각수가 지그재그유동하며 상기 배수포트를 향해 상기 일방향으로 흐르는 제2 대풍구 냉각유로;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대풍구 냉각유로에 연통되며, 상기 제1 및 제2 대풍구 냉각유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제1 및 제2 냉각수가 상기 배수포트를 향해 흐르는 대풍구 배수유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는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풍구는 후방면으로부터 각각 함몰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급배수포트를 가지며, 상기 급배수포트는, 급배수구; 상기 급배수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배수구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급배수관 지지구; 그리고 상기 급배수관 지지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배수관 지지구보다 큰 실링재 지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급배수관 지지구의 깊이는 상기 급배수구의 깊이보다 작고 상기 실링재 지지구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턱을 통해 풍구의 설치방향을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풍구가 대풍구의 전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대풍구와 풍구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실링재를 설치함으로써, 풍구의 곡손 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곡손 발생시 고로 내부의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풍을 예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풍구 대파 등 대형설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풍구의 전단에 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냉각수를 유로에 공급하여, 대풍구의 냉각성능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풍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풍구 설비가 고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구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대풍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대풍구 내의 냉각수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배수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풍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풍구 내의 냉각수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배수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풍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풍구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풍구 설비는 대풍구(30) 및 풍구(40)를 포함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블로우 파이프가 대풍구(30) 및 풍구(40)에 연결된다. 대풍구(30) 및 풍구(40)는 전방(또는 고로 내부)를 향해 테이퍼진 원뿔대 형상이며, 대풍구(30) 및 풍구(40)는 전후방을 따라 관통된 형상이다. 고로의 하부에는 열풍이 공급되는 통로인 장착공이 형성되며, 장착공은 고로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대풍구(30)는 장착공에 삽입설치되며, 풍구(40)는 대풍구(30)의 내부를 통해 전단에 설치되어 고로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대풍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대풍구 내의 냉각수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풍구(30)는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며, 전방(또는 고로 내부)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이다.
대풍구(3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내주면을 가진다. 내주면은 전방내주면(32a) 및 후방내주면(32b)을 가지며, 전방내주면(32a)의 후단과 후방내주면(32b)의 전단 사이에 단차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40)가 대풍구(30)의 전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내주면(32a)은 후술하는 풍구(40)의 후방부(42a)의 외주면과 접하며, 전방내주면(32a)의 길이는 후방부(42a)의 외주면 길이와 대체로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전방내주면(32a)의 길이(L)는 대풍구(3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측정된 길이를 의미하며, 전방내주면(32a)의 길이는 120 내지 130 ㎜일 수 있다. 전방내주면(32a)의 길이(또는 후방외주면(42a)의 길이가 120 ㎜ 미만일 경우, 대풍구(30)와 풍구(40)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풍구(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열전달성능이 저하되어 대풍구(30)의 전단유로(35)를 통한 풍구(40)의 효과적인 냉각이 어렵다. 또한, 전방내주면(32a)의 길이(또는 후방외주면(42a)의 길이가 130 ㎜ 초과일 경우 대풍구(30) 및 풍구(40)의 크기 및 하중이 과도하게 증가할 우려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풍구(30)는 두 개의 급수포트(22,23)와 하나의 배수포트(21)를 가지며, 대풍구(30)의 내부에는 제1 급수포트(22)와 배수포트(21)를 연결하는 하나의 유로와, 제2 급수포트(23)와 배수포트(21)를 연결하는 제2 유로가 형성된다. 전단유로(35)는 대풍구(30)의 전방면 및 전방내주면(32a)에 접하도록 전방면의 후방 및 전방내주면(32a)의 내측에 위치하며, 대풍구(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된 링 형상이다. 제1 급수유로(33)는 제1 급수포트(22)와 전단유로(35)를 연결하며, 제1 냉각유로(36)는 전단유로(35)와 배수유로(38)를 연결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냉각유로(36)는 대풍구(3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격벽에 의해 형성되며, 대풍구(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냉각유로(37)는 대풍구(3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격벽에 의해 형성되며, 대풍구(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제2 급수유로(34)는 제2 급수포트(23)와 제2 냉각유로(37)를 연결하며, 제2 냉각유로(37)는 제2 급수유로(34)와 배수유로(38)를 연결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급수포트(22)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면, 냉각수는 제1 급수유로(33)를 통해 전단유로(35)를 따라 일방향(도 4를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흐르며, 고로의 내부에 노출된 대풍구(30)의 전방면과 대풍구(30)의 전방내주면(32a)(또는 풍구의 후방외주면(42a))을 냉각한다. 이후, 냉각수는 제1 냉각유로(36)로 유입되며, 제1 냉각유로(36)를 따라 대풍구(30)의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유동하면서 대풍구(30)의 둘레를 따라 일방향과 반대방향(도 4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흐르며 대풍구(30)를 냉각한다. 이후, 냉각수는 배수유로(38)를 통해 배수포트(21)로 배출된다.
또한, 제2 급수포트(23)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면, 냉각수는 제2 급수유로(34)를 통해 제2 냉각유로(37)로 유입되며, 제2 냉각유로(37)를 따라 대풍구(30)의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유동하면서 대풍구(30)의 둘레를 따라 일방향(도 4를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흐르며 대풍구(30)를 냉각한다. 이후, 냉각수는 배수유로(38)를 통해 배수포트(21)로 배출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배수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배수포트(21)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급수포트(22,23) 역시 배수포트(21)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수관(도시안함)은 배수포트(21)에 연결되어 배수포트(21)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를 배출하며, 급수관(도시안함)은 급수포트(22,23)에 각각 연결되어 급수포트(22,23)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포트(21)는 배수구(21a), 배수관지지구(21b), 실링재 지지구(21c)를 가지며, 배수관 지지구(21b)의 깊이 및 직경은 배수구(21a)의 깊이 및 직경보다 작고 실링재 지지구(21c)의 깊이 및 직경보다 작다. 앞서 설명한 배수관은 배수관 지지구(21b)에 삽입되어, 배수관 지지구(21b)와 배수구(21a) 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실링재(예를 들어, 개스킷(gasket)을 포함하는 금속/비금속 실링재)는 실링재 지지구(21c)에 삽입되어, 실링재 지지구(21c)와 배수관 지지구(21b) 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배수포트(21)에 배수관이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실링재가 삽입설치되며, 별도의 플랜지 등을 통해 배수관을 배수포트(21)에 고정할 수 있으며, 실링재는 배수관의 외부로 냉각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풍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한 풍구 내의 냉각수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40)는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며, 전방(또는 고로 내부)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풍구(40)는 대풍구(30)의 전단에 설치되며, 대풍구(30)의 내측에 위치하는 후방부(42a)와 대풍구(3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방부(42b)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40)의 후방부(42a)는 대풍구(30)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중심축을 가지며, 풍구(40)의 전방부(42b)는 대풍구(30)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각도(θ=약 6°) 만큼 하향 경사진 중심축을 가진다.
후방부(42a)의 외주면 전단과 전방부(42b)의 외주면 후단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단차는 라운드 가공될 수 있다. 가이드턱(57)은 풍구(40)의 전방부(42b) 둘레 중 하부(도 6을 기준으로)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단차를 메울 수 있다. 가이드턱(57)은 풍구(40)의 후방부(42a) 외주면과 나란한 가이드면(57a)을 가지며, 가이드면(57a)의 경사각은 전방부(42b) 외주면의 경사각과 다를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57a)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풍구(40)를 대풍구(30)의 전단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풍구(40)는 대풍구(30)의 내부를 통해 대풍구(30)의 전방(또는 고로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풍구(4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면(57a)이 대풍구(30)의 전방내주면(32a)과 접하여 풍구(40)를 정확한 설치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내주면(32a)과 후방내주면(32b)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도 불구하고, 풍구(40)는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40)가 대풍구(30)의 전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풍구(40)의 후방부(42a) 외주면은 대풍구(30)의 전방내주면(32a)과 접하며, 후방부(42a)의 외주면 길이는 전방내주면(32a)의 길이와 대체로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후방부(42a)의 외주면 길이(l)는 후방부(42a)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측정된 길이를 의미하며, 후방부(42a)의 외주면 길이(l)는 120 내지 130 ㎜일 수 있다.
후방부(42a)는 중심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실링홈(53)을 가지며, 실링재(S)가 실링홈(53)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40)가 대풍구(30)의 전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풍구(40)의 후방부(42a) 외주면은 대풍구(30)의 전방내주면(32a)과 접하며, 실링재(S)는 풍구(40)의 후방부(42a) 외주면과 대풍구(30)의 전방내주면(32a) 사이에 위치한다. 실링재(S)는 풍구(40)의 곡손 발생시 고로 내부의 가스가 역류하여 대풍구(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40)는 두 개의 급수포트(52,53)와 두 개의 배수포트(51,54)를 가지며, 풍구(40)의 내부에는 제1 급수포트(52)와 제1 배수포트(51)를 연결하는 제1 유로(46a,46b)와, 제2 급수포트(53)와 제2 배수포트(54)를 연결하는 제2 유로(48a,48b,48c,48d,48e)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유로는 풍구(4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적층되며, 만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유로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할 경우 제1 유로를 통해 풍구(40)를 냉각함으로써 휴풍을 예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급수포트(52)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는 제1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풍구(30)를 냉각하고 제1 배수포트(51)를 통해 배출되며, 제2 급수포트(53)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는 제2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풍구(30)를 냉각하고 제2 배수포트(54)를 통해 배출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배수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배수포트(51)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급수포트(52,53) 및 배수포트(54) 역시 배수포트(51)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수관(도시안함)은 배수포트(51,54)에 연결되어 배수포트(51,54)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를 배출하며, 급수관(도시안함)은 급수포트(52,53)에 각각 연결되어 급수포트(52,53)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포트(51)는 배수구(51a), 배수관지지구(51b), 실링재 지지구(51c)를 가지며, 배수관 지지구(51b)의 깊이 및 직경은 배수구(51a)의 깊이 및 직경보다 작고 실링재 지지구(51c)의 깊이 및 직경보다 작다. 앞서 설명한 배수관은 배수관 지지구(51b)에 삽입되어, 배수관 지지구(51b)와 배수구(51a) 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실링재(예를 들어, 개스킷(gasket)을 포함하는 금속/비금속 실링재)는 실링재 지지구(51c)에 삽입되어, 실링재 지지구(51c)와 배수관 지지구(51b) 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배수포트(51)에 배수관이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실링재가 삽입설치되며, 별도의 플랜지 등을 통해 배수관을 배수포트(51)에 고정할 수 있으며, 실링재는 배수관의 외부로 냉각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풍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드페이싱(49)이 풍구(40)의 전방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드페이싱(49)은 고로 상부로부터 장입 낙하되는 원료와의 충돌에 의한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드페이싱(49)은 니켈-크롬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전열장치 11 : 전열하우징
13 : 배출팬 21 : 필터하우징
22 : 유입구 31 : 본체하우징
42a : 지지블럭 42b : 코일
50 : 배출유닛 51 : 호퍼
52 : 연결관 55 : 노즐

Claims (10)

  1. 노에 삽입설치되어 내부가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며, 대풍구 후방내주면 및 상기 대풍구 후방내주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대풍구 전방내주면을 가지는 대풍구;
    상기 대풍구의 내부를 통해 상기 대풍구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며,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과 접하는 풍구 후방외주면 및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풍구 전방외주면을 가지는 풍구; 및
    상기 풍구 전방외주면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풍구의 단차를 메우며,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나란한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턱을 구비하는, 풍구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의 경사각은 상기 풍구 전방외주면의 경사각과 다른, 풍구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풍구 설비는 상기 오링홈에 설치된 실링재를 더 포함하는, 풍구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 및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의 길이는 120 내지 130 mm인, 풍구 설비.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풍구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급수포트와 상기 제1 및 제2 급수포트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급수포트를 통해 각각 유입된 냉각수가 유출되는 하나의 배수포트;
    전방면과 접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된 링 형상이며, 상기 제1 급수포트를 통해 유입된 제1 냉각수가 상기 배수포트를 향해 일방향으로 흐르는 대풍구 전단유로;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와 연통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냉각수가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유동하며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제1 대풍구 냉각유로;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의 후방에 위치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2 냉각수가 지그재그유동하며 상기 배수포트를 향해 상기 일방향으로 흐르는 제2 대풍구 냉각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대풍구 냉각유로에 연통되며, 상기 제1 및 제2 대풍구 냉각유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제1 및 제2 냉각수가 상기 배수포트를 향해 흐르는 대풍구 배수유로를 가지는, 풍구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풍구 전단유로는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풍구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는 후방면으로부터 각각 함몰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급배수포트를 가지며,
    상기 급배수포트는,
    급배수구;
    상기 급배수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배수구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급배수관 지지구; 및
    상기 급배수관 지지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급배수관 지지구보다 큰 실링재 지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급배수관 지지구의 깊이는 상기 급배수구의 깊이보다 작고 상기 실링재 지지구의 깊이보다 큰, 풍구 설비.
  8. 전후방을 따라 관통되고, 전방을 향해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며, 풍구 후방외주면 및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풍구 전방외주면을 가지는 풍구; 및
    상기 풍구 전방외주면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차를 메우며,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나란한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턱을 구비하는, 풍구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과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따라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풍구 설비는 상기 오링홈에 설치된 실링재를 더 포함하는, 풍구 설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풍구 전방내주면 및 상기 풍구 후방외주면의 길이는 80 내지 130 mm인, 풍구 설비.
KR1020200091839A 2020-07-23 2020-07-23 풍구 설비 KR20220012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839A KR20220012706A (ko) 2020-07-23 2020-07-23 풍구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839A KR20220012706A (ko) 2020-07-23 2020-07-23 풍구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706A true KR20220012706A (ko) 2022-02-04

Family

ID=8026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839A KR20220012706A (ko) 2020-07-23 2020-07-23 풍구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7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480B1 (ko) 2012-11-06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풍구 노즐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480B1 (ko) 2012-11-06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풍구 노즐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53973A (ja) 製鉄工業炉用羽口
CN109628689B (zh) 高铁水比电炉供氧方法
US8142711B2 (en) Forged copper burner enclosure
KR20220012706A (ko) 풍구 설비
TW202227645A (zh) 帶有熱處理氣體爐身給送的高爐及其噴吹器
KR101172900B1 (ko) 전로 고온공기 분사장치
KR101277817B1 (ko) 슬래그 배출 도어 제조 방법
US11505840B2 (en) Cooling plate for metallurgical furnace
US6446565B2 (en) Blast tuyere for shaft furnaces, in particular blast furnaces or hot-blast cupola furnaces
CN101839640B (zh) 自热熔炼炉
JP2000256727A (ja) 冶金炉の水冷フランジ
CN103924019B (zh) 一种更换风口中套的方法
KR20140144580A (ko)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JP7418876B1 (ja) 独立した2つ以上の送風口を備える高炉用送風羽口
CN113063298A (zh) 工业炉窑风口小套及其制造方法
JP2016164300A (ja) 冶金炉のフランジ、冶金炉、および冶金炉のフランジの冷却方法
KR100962168B1 (ko) 열손방지용 고로 풍구
KR100868435B1 (ko) 고로 스테이브 냉각장치
KR101548535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KR100368274B1 (ko) 코렉스 용융로용 노즐
CN219713987U (zh) 送风水冷壁和顶侧复合吹熔炼炉
US20180080094A1 (en) Mounting enclosure with externally removable insert panel
CN101839648A (zh) 水套
KR20230001638U (ko) 고로대풍구
US3895783A (en) Cooling assembly for steel converter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