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580A -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580A
KR20140144580A KR1020130066718A KR20130066718A KR20140144580A KR 20140144580 A KR20140144580 A KR 20140144580A KR 1020130066718 A KR1020130066718 A KR 1020130066718A KR 20130066718 A KR20130066718 A KR 20130066718A KR 20140144580 A KR20140144580 A KR 2014014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extended
linear flow
flow pa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610B1 (ko
Inventor
천용권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6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61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로의 노벽에 설치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벽의 두께방향으로 삽입설치되는 냉각몸체; 상기 노벽의 두께?향을 따라 상기 냉각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상부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상부 냉각유로; 상기 노벽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하부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하부 냉각유로; 상기 상부 냉각유로와 상기 하부 냉각유로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연장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연장 냉각유로;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연장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제1 외측연결관; 및 상기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하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제2 외측연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COOLING APPARATUS FOR FURNACE AND METHOD FOR CHANGING FLOW PASSAGES THEREBY}
본 발명은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의 노벽에 설치되는 노즐의 선단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유로를 변경하여 노벽을 용이하게 냉각을 유지할 수 있는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24시간 연속적으로 쇳물(이하, 용선이라 함)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상부로 철광석과 코크스를 번갈아 가면서 장입하고, 하부로는 약 1100 ~ 1200도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를 불어 넣고, 풍구 아래에 존재하는 용선배출구로 용선을 배출한다. 풍구로 들어간 열푼은 연료인 코크스와 반응하여 2200 ~ 2400도의 고열을 만들고, 이 고열을 이용하여 장입된 원료인 철광석을 녹여 용선을 생산한다.
고로는 철광석이 저장되는 챔버를 포함하는데 챔버는 외벽(일명 철피)와 외벽 내주면에 고정된 내벽으로 구비된다. 내벽은 내화벽돌과 같이 챔버 내부의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된다. 한편, 고로에는 챔버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관통홀은 챔버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풍구와 챔버 내부에 저장된 용강을 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선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고로에 구비된 내벽에는 내벽의 냉각을 위한 다수의 냉각반이 구비된다. 냉각반은 고로 노체의 철피 적열 및 연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프에 의해 공급된 냉각수가 높이방향으로 냉각반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와 사이에 냉각반이 삽입되어 냉각수에 의해 노내의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산시켜줌으로써 노벽 연와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내벽은 챔버로 유입되는 장입물에 의한 마찰, 챔버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가스등에 의해 마모될 수 있고, 내벽에 위치한 냉각반도 챔버 내부의 열이나 기타의 원인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냉각반이 파손되면 챔버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되고, 챔버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면 고로의 열손실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챔버 내부에 저장된 용강과 접촉하여 폭발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28836호. 2004.04.29.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의 노벽을 용이하게 냉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벽을 구성하는 내화물이 마모될 경우 함께 선단부가 파손되는 유로를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로의 노벽에 설치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벽의 두께방향으로 삽입설치되는 냉각몸체; 상기 노벽의 두께?향을 따라 상기 냉각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상부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상부 냉각유로; 상기 노벽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하부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하부 냉각유로; 상기 상부 냉각유로와 상기 하부 냉각유로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연장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연장 냉각유로;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연장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제1 외측연결관; 및 상기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하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제2 외측연결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외측연결관은 각각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연장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하부 냉각직선유로로부터 탈착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냉각곡선유로는 상기 상부냉각유로 및 상기 하부냉각유로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로 냉각장치는, 상기 냉각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노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서로 연통되는 상부유입홀 및 상부배출홀; 상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와 서로 연통되는 연장유입홀 및 연장배출홀;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와 서로 연통되는 하부유입홀 및 하부배출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로 냉각장치는, 상기 상부유입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상기 제1 상부 냉각직선유로에 공급하는 상부유입관; 및 상기 하부배출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에 흐르는 상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측연결관은 각각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에 각각 삽입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측연결관은 각각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로부터 각각 탈착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로 냉각장치는, 상기 연장유입홀 및 연장배출홀에 각각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을 외부로부터 차단가능한 밀폐부재; 및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에 각각 삽입설치되어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을 연결가능한 제3 외측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연결관을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연장 냉각직선유로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 외측연결관을 상기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하부 냉각직선유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외측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밀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로의 노벽에 냉각장치를 삽입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노벽을 구성하는 내화물이 마모되어 냉각장치의 선단부가 파손될 경우, 냉각장치의 유로를 변경하여 노벽의 냉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가 노벽 내부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냉입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업을 할 수 있으며, 고로 및 냉각장치의 수명을 연장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로에 구비되는 냉각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냉각반의 유로변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로에 구비되는 냉각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반(100)은 고로(furnace)(F)의 철피(3) 내측에 설치되는 정형 내화물인 연와(5)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냉각반(100)을 고로(F)의 철피(3) 안쪽으로 축조된 연와(5) 사이에 매설하고 냉매 공급라인(8)을 통해 냉매(냉각수)를 통수시켜 연와(5)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각반(100)의 주위를 다수의 연와(5)가 둘러싸며, 전체 연와(5)는 냉각반의 보호를 위해 냉각반(100)보다 더 큰 두께를 갖으며, 연와는 내화벽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벽 내측에 설치되는 연와(5)와 냉각반(100)은 고로의 조업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연와(5)는 고로(F) 안으로 장입물을 강하할 때 발생하는 마찰과 고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 가스에 의한 화학반응에 의해 침식 및 마모되어 노내로 냉각반(100)이 노출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F)의 철피(3) 내측의 연와(5)가 일부 탈락하면 고로(F) 내부에서 냉각반(100)이 노출된다. 노출된 냉각반(100)은 고로(F) 안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냉각반(100) 선단부가 열 부하를 집중적으로 받게 되어 냉각반(100)이 용손된다. 또한, 냉각반(100) 내의 냉각수가 고온의 열에 의해 기화되면 냉각 능력이 저하됨에 따라 냉각반(100)의 손상이 가중된다. 아울러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마모 및 주조결함 등으로 인해 냉각반(100)의 용손이 가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손된 냉각반(100)은 정기 수리작업 때까지 냉각수를 차단한 상태로 방치되므로 용손된 냉각반(100)의 마모는 가중되고 이로 인해 용손된 냉각반(100) 주위의 연와(5)의 조기 마모를 초래하게 된다. 그 결과, 전체 연와(5)의 두께는 더욱 짧아지며, 고로(F) 내부의 고온 가스가 마모된 연와(5) 외측의 노출된 철피(3)에 직접 닿게 된다. 따라서, 철피(3)의 온도를 급상승시켜 철피(3)가 적열현상을 보이고 열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 경우, 분사기(도시안함)를 이용해 적열된 철피(3) 부위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철피(3)를 냉각시키는 응급처치를 수행하고 있으나, 이는 충분하지 못하여 적열현상이 심한 경우 또는 분사 시기를 놓치는 경우 철피(3)에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연와(5)의 마모에 따라 냉각반(100)이 함께 마모된 상태에서 냉각반(100)의 유로를 변경하여 냉각반(100)의 수명을 증가시켜 연와(5)와 철피(3)를 효과적으로 냉각가능한 냉각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몸체(10)는 고로(F)의 노벽의 두께방향으로 삽입설치되어 연와(5)를 보호하며, 철피(3)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반(100)은 각각 고로의 노벽과 해제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플랜지(flange)(50)가 부착되며, 연와(5)의 마모로 인한 냉각반(100)의 파손시, 이를 분리 급수 후 고로 가동 정지를 통해 냉각반(100)을 교체할 수 있다.
냉각반(100)은 연와(5)와 철피(3)로서 구성되는 노벽이 얇아지는 노말기에 교체장착되어 노벽의 열부하를 감소시키면서 장입물의 하강류와 가스의 상승류에 의하여 용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몸체(10)와 냉각몸체(10) 내부에 형성된 유로(20, 30, 40)로 구성된다. 또한, 냉각반(100)은 상부유입관(60)을 통해 급수된 냉각수는 냉각반(100) 내부를 거쳐 다시 하부배출관(65)을 통해 배수통(도시안함)으로 모이는 개방형일 수 있다.
냉각몸체(10)는 노벽의 열부하를 감소시켜 고로(F)의 노말기에 잔류하는 내와(5)에 매몰될 정도의 형성 길이로 갖추어지며,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고, 열교환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관(도시안함)이 유로에 삽입될 수 있다. 냉각몸체(10)는 순동(Cu :99.9%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냉각반(100)이 내벽에 삽입되는 냉각몸체(10)의 선단부는 취외시 작업성이 용이하면서 장입물의 하강충격을 흡수하고, 가스의 상승흐름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라운딩(rounding) 형태로 갖추어질 수 있다.
냉각몸체(10)는 노벽의 두께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유로들이 형성된다. 유로는 상부 냉각유로(20), 하부냉각유로(40) 및 연장 냉각유로(30)로 구성되며, 상부 냉각유로(20)는 냉각몸체의 내측 상부에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23, 27)와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23, 27)를 연결하는 반원형상의 상부 냉각곡선유로(25)로 구비된다.
하부 냉각유로(40)는 상부 냉각유로(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냉각몸체(1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다. 하부 냉각유로(40)는 상부 냉각유로(20)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43, 47) 및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43, 47)를 연결하는 하부 냉각곡선유로(45)를 구비한다.
연장 냉각유로(30)는 상부 냉각유로(20)와 하부 냉각유로(40) 사이에 형성되며, 냉각몸체(10) 내측 중앙부에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33, 37) 및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33, 37)를 연결하는 연장 냉각곡선유로(35)로 구비된다. 연장 냉각곡선유로(35)는 상부냉각유로(20) 및 하부냉각유로(40)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냉각몸체(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몸체(10)의 일측에 연결된 플렌지(50)는 냉각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20, 30, 4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된다. 상부유입홀(63) 및 상부배출홀(52)은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23, 27)의 외측과 연통되며, 연장유입홀(54) 및 연장배출홀(56)은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33, 37)와 연통된다. 또한, 하부유입홀(58) 및 하부배출홀(67)은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43, 47)와 연통된다.
상부유입관(60)은 상부유입홀(63)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제1 냉각직선유로(23)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외측연결관(70)은 상부배출홀(52)과 연장유입홀(54)에 연결되며, 제2 외측연결관(80)은 연장배출홀(56)과 하부유입홀(58)에 연결된다. 또한, 하부 배출관(65)은 하부배출홀(67)에 연결되며,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47)에 흐르는 냉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상부유입관(60)을 통해 공급된 냉각수는 상부 냉각유로(20), 제1 외측연결관(70), 연장 냉각유로(30), 제2 외측연결관(80), 하부 냉각유로(4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하부배출관(6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1 외측연결관(70) 및 제2 외측연결관(80)은 각각 상부배출홀(52)과 연장유입홀(54) 및 연장배출홀(56)과 하부유입홀(58)에 각각 탈착이 가능한 구조이며,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와(5)가 마모됨으로써 냉각몸체(10)가 고로(F) 내에 노출될 수 있으며, 냉각몸체(10)의 선단부가 마모됨에 따라 냉각유로 중 가장 먼저 연장 곡선유로(35)가 고로(F)의 내부에 노출되어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및 제2 외측연결관(70, 80)을 각각의 홀들로부터 이탈시킨 후, 밀폐부재(95)를 연장유입홀(54) 및 연장 배출홀(56)에 각각 삽입하여 연장유입홀(54) 및 연장배출홀(56)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또한, 제3 외측연결관(90)을 상부배출홀(52)과 하부유입홀(58)에 삽입하여 상부배출홀(52)과 하부유입홀(58)을 연결하여 상부 냉각유로(20)와 하부냉각유로(40)를 직접연결하여 냉각수가 순환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냉각반(100)의 파손에 따른 냉각반(100)의 유로변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냉각반의 유로변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벽에 삽입된 냉각반(100)은 상부 냉각유로(20), 연장 냉각유로(30), 하부 냉각유로(40)를 통해 냉각수가 흐름으로써 철피(3)와 연와(5)를 보호한다. 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F)의 철피(3) 내측의 연와(5)가 일부 탈락하면 고로(F) 내부에서 냉각몸체(10)가 노출된다. 노출된 냉각몸체(10)는 고로(F) 안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선단부가 열 부하를 집중적으로 받게 되어 냉각몸체(10)가 용손된다.
또한, 냉각몸체(10) 내의 냉각수가 고온의 열에 의해 기화되면 냉각 능력이 저하됨에 따라 냉각몸체(10)의 손상이 가중됨과 함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마모 및 주조결함 등으로 인해 냉각몸체(10)의 선단부부터 용손된다. 즉, 가장 깊은 위치에 배치되는 연장 곡선유로(35)가 고로(F) 내부에 노출되어 본래의 냉각반(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측연결관(70) 및 제2 외측연결관(80)을 상부배출홀(52)과 연장유입홀(54) 및 연장배출홀과(56) 하부유입홀(58)로부터 이탈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부재(95)를 각각 연장유입홀(54) 및 연장배출홀(46)에 삽입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제3 외측연결관(90)을 상부배출홀(52)과 하부유입홀(58)에 연결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냉각유로(20)와 하부 냉각유로(40)를 통해 냉각수의 순환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연속하여 계속된 고로 조업에 의하여 냉각몸체(10)의 선단부가 고노(F) 내로 노출될 경우, 냉각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연와(5) 및 철피(3)를 지속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가 노벽 내부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냉입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업을 할 수 있으며, 고로(F) 및 냉각반(100)의 수명을 연장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3 : 철피 5 : 내와
10 : 냉각몸체 20 : 상부 냉각유로
30 : 연장 냉각유로 40 : 하부 냉각유로
50 : 플랜지 60 : 상부유입관
65 : 하부유입관 70 : 제1 외측연결관
80 : 제2 외측연결관 90 : 제3 외측연결관
95 : 밀폐부재 100 : 냉각반
F : 고로(furnace)

Claims (10)

  1. 고로의 노벽에 설치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벽의 두께방향으로 삽입설치되는 냉각몸체;
    상기 노벽의 두께?향을 따라 상기 냉각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상부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상부 냉각유로;
    상기 노벽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하부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하부 냉각유로;
    상기 상부 냉각유로와 상기 하부 냉각유로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연장 냉각곡선유로를 가지는 연장 냉각유로;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연장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제1 외측연결관; 및
    상기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하부 냉각직선유로를 연결하는 제2 외측연결관을 포함하는, 고로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측연결관은 각각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연장 냉각직선유로 및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하부 냉각직선유로로부터 탈착가능한, 고로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냉각곡선유로는 상기 상부냉각유로 및 상기 하부냉각유로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 원형으로 형성된, 고로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냉각장치는,
    상기 냉각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노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서로 연통되는 상부유입홀 및 상부배출홀;
    상기 제1 및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와 서로 연통되는 연장유입홀 및 연장배출홀;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와 서로 연통되는 하부유입홀 및 하부배출홀을 더 구비하는, 고로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냉각장치는,
    상기 상부유입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상기 제1 상부 냉각직선유로에 공급하는 상부유입관; 및
    상기 하부배출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하부 냉각직선유로에 흐르는 상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고로 냉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측연결관은 각각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에 각각 삽입가능한, 고로 냉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측연결관은 각각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로부터 각각 탈착가능한, 고로 냉각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냉각장치는,
    상기 연장유입홀 및 연장배출홀에 각각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을 외부로부터 차단가능한 밀폐부재; 및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에 각각 삽입설치되어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을 연결가능한 제3 외측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고로 냉각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연결관을 상기 제2 상부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연장 냉각직선유로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 외측연결관을 상기 제2 연장 냉각직선유로와 상기 제1 하부 냉각직선유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외측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배출홀과 상기 하부유입홀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 변경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밀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장유입홀 및 상기 연장배출홀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 변경방법.
KR20130066718A 2013-06-11 2013-06-11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KR10148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718A KR101481610B1 (ko) 2013-06-11 2013-06-11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718A KR101481610B1 (ko) 2013-06-11 2013-06-11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580A true KR20140144580A (ko) 2014-12-19
KR101481610B1 KR101481610B1 (ko) 2015-01-12

Family

ID=5258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718A KR101481610B1 (ko) 2013-06-11 2013-06-11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27B1 (ko) * 2015-07-02 2016-07-2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705B1 (ko) 2015-06-30 2016-04-26 뉴클리어솔루션(주) 유리화 저온용융로 금속섹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004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용손 스테이브의 보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27B1 (ko) * 2015-07-02 2016-07-2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610B1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565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EP1069389A1 (en) Water-cooling panel for furnace wall and furnace cover of arc furnace
KR101481610B1 (ko)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JP5407460B2 (ja) 内部水冷式高炉羽口
CN207002769U (zh) 一种高炉冷却装置
KR100665514B1 (ko) 고로 대탕도의 수랭식 커버
CN107151719A (zh) 一种高炉炉缸
CN103468845B (zh) 带有内嵌水冷却系统的高炉出渣沟
EA036881B1 (ru) Холодильная плита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печи
KR101597464B1 (ko) 고로 냉각장치
KR20130034507A (ko) 고로 슬래그의 폐열 회수 장치
KR100665512B1 (ko) 고로 대탕도의 수랭식 커버
KR101076189B1 (ko) 고로 대탕도용 수냉커버
KR101229273B1 (ko) 열전도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로 냉각반 및 그 제조방법
CN203487167U (zh) 一种带有水冷却系统的高炉出渣沟系统
KR100868435B1 (ko) 고로 스테이브 냉각장치
KR101210864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RU196503U1 (ru) Плит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печи
EA036919B1 (ru) Холодильная плита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печи
KR100896604B1 (ko) 고로의 철피 냉각장치
KR101291961B1 (ko) 분사 냉각방식의 고로 대탕도 커버
WO2014129921A1 (ru)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корпуса плави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и плавильный агрегат
US1759114A (en) Tuyere for blast furnaces
KR100435496B1 (ko) 고로 노저부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고로노저부 냉각장치
CN202229603U (zh) 用于冷却电炉中电极的水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