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864B1 - 제철공업로용 풍구 - Google Patents

제철공업로용 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864B1
KR101210864B1 KR1020110004393A KR20110004393A KR101210864B1 KR 101210864 B1 KR101210864 B1 KR 101210864B1 KR 1020110004393 A KR1020110004393 A KR 1020110004393A KR 20110004393 A KR20110004393 A KR 20110004393A KR 101210864 B1 KR101210864 B1 KR 101210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yere
tip
cooling
body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999A (ko
Inventor
이해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0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8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8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foot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송풍라인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바디 냉각유로가 형성된 반원뿔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외곽 냉각유로가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구 외곽부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외곽부 유로의 냉각수 공급을 중단하고 남아있는 외곽부와 바디부만으로도 풍구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수명을 갖는 풍구를 제공할 수 있고, 냉각수가 풍구 선단까지 전체적으로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냉각효율이 우수하며, 조업시간이 연장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철공업로용 풍구{TUYERE FOR IRON MAKING FURNACE}
본 발명은 제철공업로용 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공업로의 내부로 공기나 산소를 공급하거나, 미분탄 등의 연료를 불어 넣어 장입된 연료를 연소시켜 철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장수명을 갖는 제철공업로용 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정은 장입구를 통해서 연료인 코크스와 원료인 철광석을 장입하고, 제철공업로의 하부에 있는 풍구(tuyere)를 통하여 열풍을 송풍하여 장입된 코크스를 연소시키면서 철광석을 용융시키고 환원시켜 고온의 용융물인 용선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철공업로의 내부로 열풍을 불어넣는 풍구는 순동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순동은 용융점이 1,083℃로 비교적 낮지만 그 내부는 고속의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제철공업로로 송풍되는 약 1,200℃ 정도의 고열로부터 견딜 수 있게 제작된다.
이러한 풍구는 로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서 제철공업로의 벽체에 설치되고, 그 설치 구조상 내부압력으로부터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풍구와 접합된 후, 로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내부의 고열에 의해 용융,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구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냉각유로를 통해 순환되면서 풍구를 냉각시키고, 가열된 냉각수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냉방식이 채택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풍구(1)는 바디부(2)와 상기 바디부(2)의 선단에 결합된 선단부(3)로 이루어지는데, 제철공업로 내부의 벽체를 따라 강하하는 고온 용융물이 풍구(1)의 선단부(3)와 접촉하거나, 선단 레이스 웨이(raceway)의 역류로 인한 연소 또는 침식에 의해 선단부(3)가 손상되는 바, 이와 같이 풍구(1)의 선단부(3)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냉각수의 로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선단부(3)로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하고 바디부(2)만 가동함으로 인하여 풍구의 냉각되는 부분이 축소되어 냉각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선단부(3)는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 풍구(10)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풍구 외곽부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외곽부의 유로의 냉각수 공급을 중단하고 남아있는 외곽부와 바디부만으로도 풍구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수명을 갖는 풍구를 제공할 수 있고, 냉각수가 풍구 선단까지 전체적으로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냉각효율이 우수하며, 조업시간이 연장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앙에 송풍라인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바디 냉각유로가 형성된 반원뿔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외곽 냉각유로가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외곽부의 외측에 1개 이상의 또 다른 외곽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바디부는 몸체와,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곽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되, 선단의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곽 냉각유로는 상기 몸체와 외곽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선단부는 상기 외곽 냉각유로의 최하류가 되는 유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 냉각유로는 나선형이거나 리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외곽 냉각유로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과 상기 외곽부의 상부, 하부 및 선단면에 하드페이싱이 부설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드페이싱은 외곽부의 상부는 선단으로부터 150~250mm까지의 범위에, 외곽부의 하부는 선단으로부터 100~150mm까지의 범위에 부설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구 외곽부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외곽부 유로의 냉각수 공급을 중단하고 남아있는 외곽부와 바디부만으로도 풍구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수명을 갖는 풍구를 제공할 수 있고, 냉각수가 풍구 선단까지 전체적으로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냉각효율이 우수하며, 조업시간이 연장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구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페이싱이 부설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공업로용 풍구는 반원뿔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1개 이상의 외곽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와 외곽부에 냉각유로가 형성된 풍구를 제공함으로써, 풍구 외곽부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외곽부 유로의 냉각수 공급을 중단하고 남아있는 외곽부와 바디부만으로도 풍구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수명을 갖는 풍구를 제공할 수 있고, 냉각수가 풍구 선단까지 전체적으로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냉각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철공업로용 풍구(10)는 크게 바디부(20)와 상기 바디부(2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외곽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외곽부(30)의 외측에 1개 이상의 또 다른 외곽부가 결합되어 풍구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제철공업로는 고로, 파이넥스(FINEX) 용융로, 코렉스(COREX) 용융로가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20)는 반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20)의 중앙으로 로 내부로 공기나 산소를 공급하거나 미분탄 등의 연료를 공급하면서 상기 바디부(20)의 내부에는 바디 냉각유로(23)가 형성되어 냉각수 공급관(미도시)을 통해 바디 유입구(24)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바디 냉각유로(23)를 거쳐 순환되어 제철공업로(10) 내부의 고온으로 가열된 풍구의 온도를 강하시키고 바디 유출구(25)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유입시보다 상승하게 되어 제철공업로의 에너지의 상당부분이 상기 냉각수를 통해 손실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냉각유로(23)는 나선형이거나 리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로 인하여 풍구 내에서 나선형이나 리브형으로 냉각수를 관류토록 함으로써 풍구 전체에 대한 냉각 능력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20)는 반원뿔 형상의 몸체(21)를 갖지만, 상기 몸체(21)의 선단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1개 이상의 외곽부의 선단부를 바디부(20)에 결합하기 위함이다.
외곽부(30)는 링 형상이고 상기 바디부(20)의 외측에 결합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바디부(20)와 외곽부(30)가 결합될 때 상기 외곽부(30)의 내측인 상기 몸체(21)와 외곽부(30)의 사이에는 외곽 냉각유로(32)가 형성되도록 하여 풍구의 외측과 풍구의 선단을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외곽 냉각유로(32)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 바, 이로 인하여 풍구의 외측에서 나선형으로 냉각수를 관류토록 하여 냉각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냉각유로(32)의 경우 외곽 유입구(34)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냉각수는 외곽 냉각유로(32)를 관류하여 순환한 후에 외곽 유출구(35)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외곽부(30)는 선단의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22)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선단부(31)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선단부(31)는 상기 외곽 냉각유로(32)의 최하류가 되는 유로홈(33)이 형성되어 있어 풍구의 외곽을 비롯한 풍구의 선단까지 냉각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부(30)의 외주면에 또 다른 제2외곽부(40)가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외곽부(30)와 제2외곽부(40) 사이에는 냉각수가 관류되는 제2 외곽 냉각유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외곽부(40)는 선단의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22)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제2선단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선단부(41)는 상기 제2 외곽 냉각유로(42)의 최하류가 되는 제2유로홈(43)이 형성됨으로써 풍구의 외곽을 비롯한 풍구의 선단까지 냉각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외곽 냉각유로(42)는 풍구의 외측에서 나선형으로 냉각수를 관류토록 하여 냉각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외곽부의 외측에 또 다른 외곽 냉각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또 다른 외곽부를 연속으로 결합하여 풍구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풍구의 수명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부(30)의 선단면에는 하드페이싱(50)이 부설되는데, 이는 제철공업로의 상부로부터 장입되어 낙하되는 연료 및 원료와의 충돌에 의한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하드페이싱(50)은 고온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Fe-Cr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곽부의 상부(30a)는 선단으로부터 150~250mm까지의 범위에, 상기 외곽부의 하부(30b)는 선단으로부터 100~150mm까지의 범위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외곽부의 상부(30a)는 내부의 고열 및 낙하물에 의해 영향받는 범위가 커서 용융 및 손상이 심한 부분이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곽부의 상부(30a)는 선단으로부터 150~250mm까지의 범위에 하드페이싱(50)이 구비되도록 하지만, 외곽부의 하부(30b)는 외곽부의 상부(30a)에 비하여 그 영향받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선단으로부터 100~150mm까지의 범위에 하드페이싱(50)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철공업로용 풍구는 바디부(20)에 냉각유로가 형성된 외곽부(30)를 1개 이상 결합시켜, 최외각측의 외곽부가 고온의 용융물과 접촉하거나, 선단 레이스 웨이(raceway)의 역류로 인한 연소 또는 침식에 의해 파손되어 냉각수의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누수되는 외곽부로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하고, 남아 있는 외곽부와 바디부만으로도 풍구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수명을 갖는 풍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냉각수가 풍구 선단까지 전체적으로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냉각효율이 우수하며, 조업시간이 연장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종래의 풍구 2. 바디부
3. 선단부 5. 냉각수
10. 풍구 20. 바디부
21. 몸체 22. 돌출부
23. 바디 냉각유로 24. 바디 유입구
25. 바디 유출구 26. 바디 유로홈
30. 외곽부 30a. 외곽부 상부
30b. 외곽부 하부 31. 선단부
32. 외곽 냉각유로 33. 유로홈
34. 외곽 유입구 35. 외곽 유출구
40. 제2외곽부 41. 제2선단부
42. 제2 외곽 냉각유로 43. 제2유로홈
44. 제2 외곽 유입구 45. 제2 외곽 유출구
50. 하드페이싱

Claims (9)

  1. 중앙에 송풍라인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바디 냉각유로가 형성된 반원뿔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외곽 냉각유로가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몸체와,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곽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되,
    선단의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2. 중앙에 송풍라인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바디 냉각유로가 형성된 반원뿔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외곽 냉각유로가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부의 외측에 1개 이상의 또 다른 외곽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몸체와,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곽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되,
    선단의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냉각유로는 상기 몸체와 외곽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외곽 냉각유로의 최하류가 되는 유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냉각유로는 나선형이거나 리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냉각유로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과 상기 외곽부의 상부, 하부 및 선단면에 하드페이싱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페이싱은 외곽부의 상부는 선단으로부터 150~250mm까지의 범위에, 외곽부의 하부는 선단으로부터 100~150mm까지의 범위에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공업로용 풍구.
KR1020110004393A 2011-01-17 2011-01-17 제철공업로용 풍구 KR101210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393A KR101210864B1 (ko) 2011-01-17 2011-01-17 제철공업로용 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393A KR101210864B1 (ko) 2011-01-17 2011-01-17 제철공업로용 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999A KR20120082999A (ko) 2012-07-25
KR101210864B1 true KR101210864B1 (ko) 2012-12-11

Family

ID=4671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393A KR101210864B1 (ko) 2011-01-17 2011-01-17 제철공업로용 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7037B2 (ja) * 2017-05-26 2021-08-11 株式会社戸畑製作所 高炉用羽口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9306U (ko) 1973-10-09 1975-06-02
JP2010215993A (ja) 2009-03-18 2010-09-30 Jfe Steel Corp 内部水冷式高炉羽口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9306U (ko) 1973-10-09 1975-06-02
JP2010215993A (ja) 2009-03-18 2010-09-30 Jfe Steel Corp 内部水冷式高炉羽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999A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565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JP5726614B2 (ja) 転炉の耐火レンガの冷却構造及びその方法
JP5407460B2 (ja) 内部水冷式高炉羽口
KR101210864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KR101103304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CN202836150U (zh) 一种深炉缸岩棉冲天炉
CN101693931A (zh) 一种高炉风口部位的冷却装置
KR101481610B1 (ko) 고로 냉각장치 및 고로 냉각장치의 유로변경방법
CN207267883U (zh) 一种清洁节能型冶炼高炉
KR100803990B1 (ko) 용융가스화로의 취입풍구
CN112522462A (zh) 一种铁材冶炼用高炉
CN206875981U (zh) 氧枪砖
KR101548535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KR101370929B1 (ko) 제철공업로용 풍구
CN220132252U (zh) 一种高炉炉腹炉腰结构
AU2017266791B2 (en) Side-submerged combustion smelting apparatus for spraying oxygen-enriched air and pulverized coal
CN110747303B (zh) 一种高炉
KR101076164B1 (ko) 용광로의 풍구 개방장치
CN205077081U (zh) 新型高炉炉腹炉缸冷却壁衔接结构
KR101642816B1 (ko) 미분탄 취입용 랜스
CN104630498A (zh) 烟化炉及用烟化炉提取氧化锌的工艺
CN203728906U (zh) 烟化炉
EA041677B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внутренней стенки шахтной печи
KR101300180B1 (ko) 미분탄 취입용 랜스
CN107014207A (zh) 氧枪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