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524A -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524A
KR20220012524A KR1020200091394A KR20200091394A KR20220012524A KR 20220012524 A KR20220012524 A KR 20220012524A KR 1020200091394 A KR1020200091394 A KR 1020200091394A KR 20200091394 A KR20200091394 A KR 20200091394A KR 20220012524 A KR20220012524 A KR 2022001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advertisement
image
fa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846B1 (ko
Inventor
정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Priority to KR102020009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 광고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여 안면인식률을 결정하는 안면인식부와, 광고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 주파수를 조절하여 설정위치에서만 인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지향성 음성출력부와, 상기 광고영상 및 상기 광고음성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광고영상 및 상기 광고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이 설정안면인식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광고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의 음성출력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설정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광고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Imag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안면이 인식된 사용자에게만 영상정보를 전달하여 주변의 소음공해를 억제하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향성 스피커는 원하는 방향으로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되는 방향 외에 있는 사람에게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 즉 방향을 가지고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피커다. 이러한 지향성 스피커 중 초지향성 스피커는 사람의 가청주파수 영역보다 높은 주파수인 초음파를 이용해 소리를 발생시킨다.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직진성이 강해지는 특성에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성분을 예측하고 초음파로 공기를 진동시켜 예측된 주파수를 만들어내는 원리로 소리를 재생한다. 초지향성 스피커는 소리 신호를 변조한 후 초음파 신호에 실어 전달하는 특수용 스피커. 소리와 빛을 같이 방출해 특정 지역에 조준해 쏠 수 있고 조준 지역을 벗어나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보편적인 초음파를 이용한 초지향성 스피커의 구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생시키고자 하는 음악, 음성 등의 신호를 생성하고, 기준이 되는 일정 주파수의 초음파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이들을 변조기로 보낸다. 변조기는 원신호를 기준 초음파 주파수만큼 주파수 이동, 변조시키고, 기준 초음파와 함께 증폭기로 입력시켜 변조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이후, 이 초음파를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보내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된 초음파는 공기를 투과하면서 공기의 비선형성에 의하여 두 초음파의 차이 주파수 성분이 발생되며, 이 음파는 가청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므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음파가 되어 청취자가 가청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초지향성 스피커는 주변에 소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며, 버스정류장이나 횡단보도에 설치된 음성안내시스템(버스도착 알림, 횡단보도 안전방송, 키오스크 안내음 등)처럼 주변 주거지와 상가, 사무실에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피커는 행인이 안내 음성을 지나가다 듣기 때문에 소음이 아니지만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거의 하루 종일 음성안내를 듣기 때문에 소음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초지향성 스피커는 하나의 공간에서 여러 소리를 동시에 재생해도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원하는 영역에만 명료한 소리를 전달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지하철 역사, 버스정류장, 아파트 엘레베이터, 은행 등 유동인구가 많은 다양한 공공장소에 디지털 영상장치가 설치되어, 동영상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에 배경음악이나 효과음, 안내메세지 등의 소리를 부가한 광고 컨텐츠를 시간대 별로 번갈아 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영상장치는 지정된 광고만을 일방적으로 출력하며,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장치를 보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와 상관없이 광고를 지속적으로 출력하여 불필요한 전력 사용량이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를 고려한 맞춤 광고를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해당 광고에 대한 흥미를 갖지 못하거나 관심도가 떨어져 광고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장치 부근을 지나가는 사람들은 광고를 제공하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아 디지털 영상장치를 통해 광고를 보는 사용자의 수가 적어 광고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접한 설정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설정위치로만 광고음성을 출력하여 주변에 소음공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설정위치의 사용자에게만 광고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 광고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여 안면인식률을 결정하는 안면인식부와, 광고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 주파수를 조절하여 설정위치에서만 인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지향성 음성출력부와, 상기 광고영상 및 상기 광고음성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광고영상 및 상기 광고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이 설정안면인식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광고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의 음성출력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설정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광고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설정된 안면인식기준에 따라 다 수의 카테고리 별 구분된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인식된 안면인식정보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의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대기영상이 저장되며,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이 설정안면인식률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대기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의 전원을 비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인식부는, 상기 설정위치를 벗어난 설정구역 내에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가 음성출력 주파수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설정구역 내에서만 인식되는 영상안내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인식부는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하여 사용자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가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촬영영상을 설정된 안면인식기준에 따라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촬영영상과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성별과 사용자 연령 정보를 설정하도록 표시되는 사용자설정 입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사용자설정 입력버튼에서 설정된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 정보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의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접한 설정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여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설정위치로만 광고음성을 출력하여 주변에 소음공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설정위치의 사용자에게만 광고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면인식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안면인식률이 높을수록, 즉 사용자가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시간이 길수록 사용자가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가능성이 크므로 사용자에 대한 광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안면이식부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이 설정안면인식률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사용자에게 출력되며, 안면이식부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이 설정안면인식률 이하인 경우 대기영상이 음성없이 흑백처리되거나 광고 안내표시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광고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전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면인식부에서 결정된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과 매칭되는 카테고리 별 구분된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을 디스플레이부와 지향성 음성출력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사용자의 지속적인 시청으로 마케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구역 내에서 사용자의 안면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만 영상안내 알림음이 출력되어 영상정보가 안내됨으로써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부근을 지나치면서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가 광고영상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구역 내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성출력 주파수의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인식부에서 결정된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설정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고영상, 광고음성 및 대기영상의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면인식정보에 따라 선택된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의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설정 입력버튼에서 설정된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 정보에 따라 선택된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의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구역에서 감지된 사용자에게 영상안내 알림음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관공서, 학교, 복합상가, 지하철 등의 인구가 밀집된 다중이용시설과 미술관, 박물관, 전시물이 설치되는 전시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시설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면이 인식된 사용자에게만 영상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정 방향으로 소리를 전달하여 주변에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갖추어진다.
이와 같은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0), 안면인식부(200), 지향성 음성출력부(300), 저장부(400),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고영상, 광고음성 및 대기영상의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 광고영상(410)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0), 사용자(10)의 안면을 감지하여 안면인식률(202)을 결정하는 안면인식부(200), 설정위치(A)에서만 인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지향성 음성출력부(300),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이 저장되는 저장부(400),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을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외부로 광고영상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저장부(400)에 저장된 광고영상(410)이나 대기영상(430)과 같은 영상물이 제어부(5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00)는 광고영상(410)을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인식 화면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되면 대기영상(430)이 광고영상(410)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안면인식부(200)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정위치(A)에 있는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여 안면인식률을 결정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이때, 안면인식부(200)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와 거리가 가까운 지점에 설정위치(A)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설정위치(A)를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위치(A)를 지면에 표기하여 사용자가 설정위치(A)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안면인식부(200)는 설정위치(A)에서 사용자의 안면 전체가 인식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사용자의 눈, 코, 입, 헤어 등의 인식 유무로 안면인식률(202)이 판단되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위치(A)에 근접할수록 사용자의 안면인식률(202)이 높아지며, 사용자가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광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저장부(400)에 저장된 광고음성(420)을 설정위치(A)로 출력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상세히,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는 광고음성(420)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 주파수를 조절하여 설정위치(A)로 광고음성(420)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는 설정위치(A)에서만 인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초지향성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방향에서만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청음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초지향성 스피커에 의해 설정위치(A)에서 안면이 감지된 사용자에게만 광고음성(420)이 출력되어 주변으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사람이 많은 공공시설에서도 소음공해없이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400)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광고영상(410), 광고음성(420), 대기영상(430)이 저장된다.
이때, 저장부(400)에 저장된 광고영상(410)과 광고음성(420)은 사용자가 설정위치(A)에서 안면인식부(200)를 통해 안면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500)의 판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로 송출된다.
또한, 저장부(400)에 저장된 대기영상(430)은 사용자가 설정위치(A)에서 안면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나 안면이 감지되더라도 제어부(500)의 판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로 광고영상(410)과 광고음성(420)이 송출되지 않는 경우, 저장부(400)에 저장된 대기영상(430)은 제어부(5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로 송출된다. 이때, 대기영상(430)은 음성없이 흑백처리되거나 광고 안내표시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광고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전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500)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를 제어하여 저장부(400)에 저장된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이 출력되게 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안면인식부(20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안면인식률(202)과 기설정된 설정안면인식률(501)을 비교 판단하며, 저장부(400)의 광고영상(410), 광고음성(420) 및 대기영상(430)이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세히, 제어부(500)는 안면인식부(200)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202)이 설정안면인식률(501)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0)가 광고영상(410)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지향성 음성출력부(300)의 음성출력 주파수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설정위치(A)와 대응되는 위치로 광고음성(420)을 출력한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500)는 안면인식부(200)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202)이 설정안면인식률(501) 이하인 경우, 즉, 사용자의 얼굴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00)가 대기영상(430)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지향성 음성출력부의 전원이 비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안면인식률(202)에 따라 광고영상(410), 광고음성(420), 대기영상(430)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면인식정보에 따라 선택된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의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0)는 안면인식부(200)의 안면인식정보(201)에 따라 매칭되는 저장부(400)의 광고영상(410)이 제어부(500)에 의해 설정위치(A)로만 출력하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도 1과 2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안면인식부(200)는 인구가 밀집된 공간 중에서 설정위치(A)에 있는 사용자(10)의 안면만 카메라(210)로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촬영영상(201a)을 기준으로 사용자 성별(201b)과 사용자 연령(201c)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안면인식부(200)는 사용자 성별(201b)과 사용자 연령(201c)을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안면인식부(200)는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된 사용자 촬영영상(201a)과, 사용자 촬영영상(201a)을 기준으로 결정된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에 대한 안면인식정보(201)를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는 안면인식부(200)의 안면인식정보(201)에 따라 매칭되는 저장부(400)의 광고음성(420)이 제어부(500)에 의해 설정위치(A)로만 출력하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도 1과 2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400)는 광고영상(410)과 광고음성(420)이 다 수의 카테고리 별 구분되어 저장된다. 이때, 다 수의 카테고리는 설정된 안면인식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400)는 안면인식기준인 사용자 성별(201b)과 사용자 연령(201c)에 따라 20대 여자 의류.화장품광고, 20대 남자 오락광고, 30대 여자 가방광고, 30대 남자 자동차광고, 40대 여자 건강식품광고, 40대 남자 아파트광고 등을 기준으로 카테고리 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관리자는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을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매칭하여 저장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저장부(400)를 제어하여 카테고리 별 구분된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 중 사용자의 안면인식정보(201)와 일치되는 카테고리에 저장된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안면인식부(200)의 안면인식정보(201)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의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안면인식부(200)에서 결정된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이 매칭되는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을 각각 디스플레이부(100)와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로 송출하여 설정위치(A)에 있는 사용자(10)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성별(201b)과 사용자 연령(201c)에 매칭된 광고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지속적인 시청으로 광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설정 입력버튼에서 설정된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 정보에 따라 선택된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의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10)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모니터(110)와 사용자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설정 입력버튼(120)이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110)는 안면인식부(200)에서 사용자(10)의 안면이 촬영된 사용자 촬영영상(201a)과, 사용자 성별(201b), 사용자 연령(201c)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자(10)가 자신의 안면사진과 성별 및 나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설정 입력버튼(120)은 모니터(110)로 출력된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직접 수정하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 설정이 포함될 수 있다.
안면인식부(200)는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된 사용자 촬영영상(201a)과, 사용자 촬영영상(201a)을 기준으로 결정된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에 대한 안면인식정보(201)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사용자설정 입력버튼(120)에서 설정된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 정보와 매칭되는 카테고리의 광고음성(420)을 제어부(500)에 의해 설정위치(A)로 출력하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도 1과 2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400)는 설정된 안면인식기준에 따라 광고영상(410)과 광고음성(420)이 다 수의 카테고리 별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도 3의 설명과 같이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에 따라 카테고리별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안면인식부(200)로부터 안면인식정보(201)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00)의 모니터(110)로 전달하고, 모니터(110)로 확인된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을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부(100)의 사용자설정 입력버튼(120)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0)의 사용자설정 입력버튼(120)에서 설정된 사용자 성별(201b) 및 사용자 연령(201c) 정보와 매칭되는 카테고리의 광고영상(410) 및 광고음성(420)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0) 및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구역에서 감지된 사용자에게 영상안내 알림음 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면인식부(200)는 설정위치(A)를 벗어난 설정구역(B) 내에 있는 사용자(1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카메라(2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안면인식부(200)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와 거리가 먼 지점에 설정구역(B)을 지정하며, 설정구역(B) 내에서 동작이 감지된 사용자(10)가 제어부(500)에 의해 청각적으로 유도되어 사용자(10)의 위치에서 떨어진 디스플레이부(100)를 볼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는 음성출력 주파수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정구역(B) 내에서만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지향성 음성출력부(300)의 초지향성 스피커는 직진성을 가지고 있어 설정구역(B)의 범위로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갖추어지거나, 복수 개를 다각도로 설치하여 설정구역(B) 내에서 동작이 감지된 사용자에게만 출력되게 한다.
저장부(400)는 영상안내 알림음(440)이 저장될 수 있으며, 설정구역(B) 내에서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500)에 의해 지향성 음성출력부(300)로 송출된다. 이때, 영상안내 알림음(440)은 사용자(10)와 근접한 곳에 설치된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치안내 음성과 광고영상을 안내하는 광고안내 음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안내 알림음(440)에 의해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 부근을 지나치면서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10)가 광고영상(410)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구역(B) 내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성출력 주파수의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설정구역(B) 내에서 사용자(10)의 동작이 감지되면 지향성 음성출력부(300)가 음성출력 주파수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정구역(B) 내에서만 인식되는 영상안내 알림음(440)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설정구역(B) 범위로 영상안내 알림음(440)이 출력될 수 있도록 복수의 초지향성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각도로 음성출력 주파수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정구역(B) 범위로 출력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접한 설정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여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설정위치로만 광고음성을 출력하여 주변에 소음공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설정위치의 사용자에게만 광고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A : 설정위치
B : 설정구역
10: 사용자
100 : 디스플레이부
110 : 모니터
120 : 사용자설정 입력버튼
200 : 안면인식부
201 : 안면인식정보
201a : 사용자 촬영영상
201b : 사용자 성별
201c : 사용자 연령
202 : 안면인식률
210 : 카메라
300 : 지향성 음성출력부
400 : 저장부
410 : 광고영상
420 : 광고음성
430 : 대기영상
440 : 영상안내 알림음
500 : 제어부
501 : 설정안면인식률

Claims (6)

  1. 외부로 광고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여 안면인식률을 결정하는 안면인식부;
    설정위치에서만 인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지향성 음성출력부;
    상기 광고영상 및 상기 광고음성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광고영상 및 상기 광고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결정된 안면인식률이 설정안면인식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광고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가 사용자의 설정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광고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설정된 안면인식기준에 따라 다 수의 카테고리 별 구분된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인식된 안면인식정보와 상기 안면인식기준을 매칭하여 결정된 카테고리의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면인식기준에 따라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촬영영상과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대기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안면인식률이 설정안면인식률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대기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의 전원이 비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인식부가 상기 설정위치를 벗어난 설정구역 내에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하여 음성출력 주파수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설정구역 내에서만 인식되는 영상안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성별과 사용자 연령 정보를 설정하도록 표시되는 사용자설정 입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사용자설정 입력버튼에서 설정된 사용자 성별 및 사용자 연령 정보에 따라 매칭된 카테고리의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향성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91394A 2020-07-23 2020-07-23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3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94A KR102453846B1 (ko) 2020-07-23 2020-07-23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94A KR102453846B1 (ko) 2020-07-23 2020-07-23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24A true KR20220012524A (ko) 2022-02-04
KR102453846B1 KR102453846B1 (ko) 2022-10-12

Family

ID=8026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94A KR102453846B1 (ko) 2020-07-23 2020-07-23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8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333A (ja) * 2008-08-07 2010-02-18 Seiko Epson Corp 広告装置、広告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7123505A (ja) * 2016-01-04 2017-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333A (ja) * 2008-08-07 2010-02-18 Seiko Epson Corp 広告装置、広告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7123505A (ja) * 2016-01-04 2017-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46B1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4066A1 (en) Devices with enhanced audio
US6275258B1 (en) Voice responsive image tracking system
JP5163796B1 (ja) 音響再生装置
US20080180519A1 (en) Presentation control system
JP2010039333A (ja) 広告装置、広告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303216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20200074960A1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21136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672012B (zh) 互動式指向性聲音顯示系統及互動式指向性聲音顯示方法
CN109061903A (zh) 数据显示方法、装置、智能眼镜及存储介质
JP4501037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と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453846B1 (ko)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US10469800B2 (en) Always-on telepresence device
EP3113505A1 (en) A head mounted audio acquisition module
WO2018209566A1 (zh) 广告播放系统及广告播放方法
WO201804311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159446A (ja) 指向性音響システム
WO202109070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86056B1 (ko)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99380A1 (en) Virtual space connection device
JP2010004355A (ja) 音声・映像情報報知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S62209985A (ja) テレビ会議装置
GB2240233A (en) Interactive marketing apparatus including concealed television surveillance
KR101771974B1 (ko) 초지향성 스피커와 일반 스피커가 결합된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
JP2020025156A (ja) 音量制御方法、音量制御プログラム、及び音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