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194A -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및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및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194A
KR20220012194A KR1020210094873A KR20210094873A KR20220012194A KR 20220012194 A KR20220012194 A KR 20220012194A KR 1020210094873 A KR1020210094873 A KR 1020210094873A KR 20210094873 A KR20210094873 A KR 20210094873A KR 20220012194 A KR20220012194 A KR 20220012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protection
mating
terminal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059B1 (ko
Inventor
그레고르 파니츠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1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분야를 위한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0)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및 그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150; 152, 154)를 갖는 커넥터(10)와, 커넥터(10)와 함께 플러그 결합되는/결합될 수 있고 축 방향(Ax)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정합 단자(250) 및 후자를 위한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을 갖는 정합 커넥터(20)를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및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은, 2개의 커넥터(10, 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때/후에,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이 이동되는/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에 의해 정합 커넥터(20)에서/내에서 초기 위치(V)로부터 최종 위치(E)로 회전되는/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및 전기 커넥터 {ELECTRICAL PLUG-TYPE CONNECTION AND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 자동차 분야를 위한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전기 정합 커넥터,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엔티티에 관한 것이다.
전기 분야(전자, 전기 공학, 전기 장치, 전기 에너지 기술)에서, 넓은 범위의 전류, 전압, 주파수 및/또는 통신 속도로 전류, 전압, 신호 및/또는 데이터 레이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전기 커넥터 수단 또는 커넥터 장치, 소켓 커넥터, 핀 커넥터 및/또는 하이브리드 커넥터 등[이하에서 (전기) 커넥터(또한, 정합 커넥터)로서 참조됨]이 공지되어 있다. 저-, 중- 및 고-전압 및/또는 저-, 중- 및 고-전류 조건에서 그리고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이러한 커넥터는, 갑작스럽게, 반복적으로 및/또는 비교적 긴 기간의 정지 후에, 기계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따뜻한 그리고 가능하게는 뜨거운, 오염된, 축축한 및/또는 화학적으로 공격적인 환경에서 전력,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보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적용 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수의 특별하게 형성된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 및 가능하게는 이의 관련된 하우징(예를 들어, 커넥터 수단 또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 또는 더 높은-레벨 하우징(예를 들어, 커넥터 장치의 경우)은 전기 라인, 케이블, 케이블 하네스 등[이하에서 미리-조립된 (전기) 케이블(또한, 전기 엔티티(electrical entity))로 참조됨] 상에 또는 예를 들어 (파워) 전기, 전기 광학적 또는 전자 컴포넌트 또는 대응 조립체 등(전기 엔티티)의 하우징 상에/내에, 리드프레임 상에,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등과 같은 전기 장치 또는 수단 상에/내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커넥터(하우징을 갖는/갖지 않음)가 케이블, 라인 또는 케이블 하네스 상에 위치된다면, 이는 또한 케이블-대-케이블(플러그-타입) 커넥터 또는 플러그, 소켓 또는 커플링으로 불리는데; 만일 이것이 전기, 전기 광학적 또는 전자 컴포넌트, 조립체 등 상에/내에 위치된다면, 이는 또한 예를 들어 (내장된/부착된) 커넥터, (내장된/부착된) 플러그 또는 (내장된/부착된) 소켓과 같은 커넥터 장치로도 불린다. 이러한 장치 상의 커넥터는 더욱이 (플러그) 홀더, 핀 커넥터, 핀 스트립 또는 헤더로서 종종 참조된다. 전기 공학(바람직하게는 3상 고압 전송으로, 전기 그리드 내부에서 고압 전류를 발전, 변환, 저장, 수송 및 중계)의 맥락에서, 그들의 비교적 복잡한 구조에 기인하여 케이블 액세사리로 종종 참조가 이뤄진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기의 결함 없는 전달을 보장하여야 하고, 여기서 상호 대응하는 그리고 부분적으로 보족하는 커넥터(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는 보통 내구성 있지만 보통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정합 커넥터에/내에 커넥터를, 그리고 그 반대로, 고정 및/또는 체결하기 위한 고정 장치 및/또는 체결 장치를 갖는다. 더욱이, 예를 들어 실제 접점 장치(단자; 보통 단일 편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접점 요소 등) 또는 접점 기구(단자; 보통 많은 부품, 2개의 부품, 단일 부품, 단일 편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일- 또는 다수-부품 (크림프) 접점 장치)를 갖거나 포함하는 커넥터를 위한 전기 연결 장치가 상기 정합 커넥터 내에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전기 커넥터 및 그들의 단자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이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개선된 전기 커넥터 및 개선된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커넥터 또는 커넥터들 및 플러그-타입 연결부가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되고 용이하게 조립되고 및/또는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 자동차 분야를 위한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에 의해서; 전기 정합 커넥터, 특히 수형 정합 커넥터에 의해서; 전기 커넥터, 특히 암형 커넥터에 의해서; 전기 엔티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발전, 추가적인 특징 및/또는 이점은 종속 청구항 및 후속 설명으로부터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타입 연결부는, 커넥터 하우징 및 그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를 갖는 커넥터와, 커넥터와 함께 플러그 결합되고(plugged)/결합될 수 있고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정합 단자 및 후자를 위한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갖는 정합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과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2개의 커넥터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때/후에,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이 이동되는/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서 정합 커넥터에서/내에서 하나의 또는 이의 초기 위치로부터 정합 커넥터에서/내에서 하나의 또는 이의 최종 위치로 회전되는/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형성된다(회전 각도, 아래 참조).
위치 사양, 배향, 위치 등[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및 이러한 방향을 가리키는 유사한 것과 같은]은 정합 커넥터의 시스템(system)과 관련된다(도면 참조). 만일 위치 사양, 배향, 위치 등이 커넥터와 관련되면, 후자는 정합 커넥터와 함께 플러그 결합된 위치에 또는 축 방향으로 정합 커넥터에 대하여 약간 오프셋 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시 말해, 축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은 때, 정합 커넥터의 시스템은 커넥터의 것과 일치한다; 도면에서 축 방향(축 방향으로서 단자의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의 배향)의 사양을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정합 커넥터의 시스템과 비교한다.
기능적인 플러그-타입 연결부를 위해서, 단자 및 정합 단자는 물론 전기적 도전체(라인, 스트립 도전체, 도전성 패드)에 각 경우에서 전기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는 이로써 예를 들어 미리-조립된 전기 케이블, 이 전기 엔티티의 기판 등과 같은 제1 전기 엔티티의 구성 요소일 수 있고 정합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이 전기 엔티티의 기판, 미리-조립된 전기 케이블 등과 같은 제2 전기 엔티티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위치 또는 지정은 전환될 수 있고, 즉 커넥터가 정합 커넥터이고 정합 커넥터가 커넥터인 것을 의미한다.
커넥터의 단자는 암형(female) 또는 수형(male) 단자로서 형성될 수 있고,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는 수형 또는 암형 정합 단자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조건은 서로 관련되는 단자, 즉 단자 및 정합 단자 또는 그 반대는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보족 설계(complementary design)를 갖는 것이다. 수형 단자/정합 단자는 예를 들어 핀/탭 단자로서 형성되고, 암형 정합 단자/단자는 예를 들어 소켓 단자로서 형성된다. 플러그-타입 연결부는 신호 및/또는 에너지 연결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동축 커넥터로서 형성되지 않고 이런 이유로 단자 및 정합 단자는 바람직하게는 동축 단자로서 형성되지 않는다.
커넥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위한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자 접촉 보호 수단 및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2개의 커넥터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때/후,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이동되는/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단자 접촉 보호 수단에 의해서 정합 커넥터에서/내에서 소정의 또는 이의 초기 위치로부터 정합 커넥터에서/내에서 소정의 또는 이의 최종 위치로 회전되는/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형성될 수 있다(회전 각도, 아래 참조).
2개의 커넥터가 함께 플러그 결합되기 전에,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 및/또는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기능하는(functional)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커넥터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후에,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기본적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커넥터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후,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정합 커넥터 하우징, 특히 정합 단자 기부 칼라에 의해서, 적어도 일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완전하게 덮일 수 있다.
2개의 커넥터를 함께 플러그 결합(plugging)하기 위해,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가능한 그러나 임의의, 선택적인 또는 정해진 초기 위치로부터 불가피한 및/또는 정해진 최종 위치로 이동된다/이동될 수 있다. 이동은 여기서 병진 및/또는 회전 이동일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커넥터를 함께 플러그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 또는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에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하우징 또는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의 치형부(toothing)는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의 치형부에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정합 단자 주위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또는 선회 가능하도록 정합 커넥터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선회 가능한(pivotable)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예를 들어 0°보다 큰 각도만큼,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15°, 20°, 30°, 45°, 60°, 75°, 90°, 135° 또는 180°까지 정합 단자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회전하는 능력). 회전 가능한(rotatable)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예를 들어 75°보다 큰 각도만큼 바람직하게는 대략 90°, 135°, 180°, 225°, 270°, 315°, 360°, 450° 또는 540°까지 또는 이를 넘어서까지 정합 단자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회전하는 능력). 선회 가능한(revolvable)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대체적으로 원하는 만큼 자주 정합 단자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의 회전하는 능력과 유사한 방식으로, 단자와 정합 단자 사이에서 회전하는 능력, 즉 또한 선회 또는 공전하는 능력이 마련될 수 있고, 여기서 전기기계식 활주 접촉이 단자와 정합 단자 사이에 마련된다.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정합 단자 주위에(아래 참조) 및/또는 정합 단자 상에 완전하게 제공될 수 있다. 만일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이 정합 단자 주위 및 정합 단자 위, 둘 다에 제공된다면, 예를 들어 그 위에 착좌된다면,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아래 참조).
정합 커넥터 및/또는 커넥터는 기본적으로 둥근, 특히 원형의 정합 면(mating face)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정합 커넥터 및/또는 커넥터는 둥근 플러그 커넥터로서 형성되고, 여기서 정합 커넥터 및/또는 커넥터의 가능하게는 계단식 원통 형상(stepped cylindrical form)은 선택적이다. 더욱이 이는 정합 단자 및/또는 단자가 이것이 전기기계식으로 플러그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플러그 결합 구역 내에 둥근 단자 또는 단자들로서 설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합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정합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고(아래 참조) 및/또는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아래 참조). 물론, 정합 커넥터는 또한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커넥터는 또한 정합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정합 커넥터 및 커넥터 또는 플러그-타입 연결부는 캐치 기구, 고정 기구(베이어닛(bayonet), 트위스트, 나사, 신속-해제 고정 등 기구), 클립 기구, 마그네틱 고정 기구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정합 커넥터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정합 단자 및 정합 단자를 위한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정합 단자 주위에 배열되고 정합 단자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를 갖는다. 정합 커넥터는 물론 또한 커넥터로서 형성되고 참조될 수도 있다.
단자와 전기기계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정합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점 부분(아래 참조)은 이로써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더욱이 여기서 적어도 정합 단자의 접점 부분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정합 단자 주위에서 주로 또는 기본적으로 완전하게 또는 특히 완전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는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의 회전하는 능력, 즉 또한 선회 또는 공전하는 능력에 지원한다.
정합 단자는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단자에 의해 전기기계식으로 접촉 가능할 수 있다. 정합 커넥터 접촉 방치 장치는 더욱이 정합 단자의 자유 종방향 단부까지 또는 이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정합 단자의 자유 종방향 단부 아래에서 종결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더욱이 접촉 보호 슬리브, 접촉 보호 케이지 또는 접촉 보호 콤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접촉 보호 콤(comb)으로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프롱(prong)을 가질 수 있다. 프롱은 이로써, 콤과 같이, 특히 원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슬롯-형 갭에 걸쳐서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등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프롱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다. 접촉 보호 콤은 이로부터 프롱이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특히 환형의 기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보호 콤의 기본적으로 모든 프롱은 기부의 바닥 표면이 놓이는 평면으로부터 기본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한다. 접촉 보호 콤의 프롱은 이로써 그와 대응하는 접촉 보호 림/크라운(아래 참조)의 치형부에 비해 비교적 긴 설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역 설계, 즉 비교적 짧은 프롱 및 비교적 긴 치형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프롱 및 치형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프롱이 동일한 길이를 갖고 다른 것들이 상이한 길이를 갖는 설계가 가능하다.
프롱은 이들의 자유 축 방향 종방향 단부 부분에서 커넥터의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위한 센터링 수단(centring means)을 가질 수 있다. 센터링 수단의 종방향 단부 부분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둥근 팁(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사면을 갖는 팁, 볼 팁 등)을 갖는 화살 팁 설계를 갖는다. 기부는 특히 플러그-타입 연결부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정합 커넥터 하우징 상에/에/내에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타입 연결부는 여기서 예를 들어 언더컷(undercut) 등을 갖는 원의 적어도 부분, 특히 완전한 원의 형태를 취한다. 정합 커넥터 하우징은 이로써 특히 정합 단자 기부 칼라(collar)로서 형성된다.
정합 커넥터는 정합 단자의 종방향 단부 또는 종방향 단부 부분이 그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는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이로써 정합 단자의 종방향 단부 또는 종방향 단부 부분상에 견고하게 또는 또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접촉 보호 링 및/또는 접촉 보호 캡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단일 편으로서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정합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의 전기 정합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위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 및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 및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부분은 적어도 접점 부분의 축 방향 중심 구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접점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더욱이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단자의 정합 면을 덮은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를 갖는다. 접점 부분은 전기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의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과 전기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결 부분은 단자에 전기 라인을 전기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는 물론 또한 정합 커넥터로서 형성되고 참조될 수 있다.
연결 부분은 더욱이 접점 부분의 축 방향 단부(axial end) 또는 축 방향 양 ㄷ단부both axial ends)까지 연장되고 거기서 거기에 연결될 수 있다. 단자는 단일 편으로서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는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기본적으로 장방형 재료 층으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절곡(bent)될 수 있다. 단자는 이로써 일편의 금속 박판으로부터 펀칭되거나/다이-커트될 수 있고 그에 맞춰서 추가적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자는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뒤에서 축 방향으로 커넥터의 플러그 결합 방향으로 정합 단자에 의해 전기기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더욱이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주로 또는 기본적으로 완전히 단자의 정합 면을 따라서 및/또는 정합 면을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의 일부는 주로 또는 기본적으로 완전히, 또는 특히 완전히 단자 아래에서 축 방향으로, 즉 단자 상에 또는 플러그 결합 방향으로 이의 정면에 제공되고, 특히 그것 주위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특히 접촉 보호 링, 접촉 보호 케이지 또는 접촉 보호 림(rim)/크라운(crown)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이로써, 접촉 보호 림/크라운으로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teeth)를 가질 수 있다. 치형부는, 짧은 프롱을 갖는 콤과 같이, 특히 원의 적어도 일부분 내에서 슬롯-형 갭을 가로질러서 배열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등거리로 이격된다. 기본적으로 모든 치형부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접촉 보호 림/크라운은 이로부터 프롱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특히 환형의 지지체(annular support)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본적으로 접촉 보호 림/크라운의 모든 치형부는 기본적으로 지지체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또는 외향으로 돌출하거나, 이들이 2개의 링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여기서 하나 또는 양 링은 지지체를 구성한다. 접촉 보호 림/크라운의 치형부는 대응하는 접촉 보호 콤의 프롱에 비해 비교적 짧은 설계를 가질 수 있다(위 참조). 그러나, 역 설계, 즉 비교적 긴 치형부 및 비교적 짧은 프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치형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치형부가 동일한 길이를 갖고 다른 것이 상이한 길이를 갖는 설계가 가능하다.
치형부는 그들의 자유 축 방향 종방향 단부 부분에서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위한 센터링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센터링 수단의 종방향 단부 부분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둥근 팁(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사면을 갖는 팁, 볼 팁 등)을 갖는 화살 팁 설계를 갖는다.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또는 접촉 보호 림/크라운은 더욱이 단일 편으로서 또는 커넥터 하우징, 특히 하우징 하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은 단자의 내부 공간이 이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는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단자 내로 또는 단자를 통해서 내향으로 돌출한다.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접촉 보호 스터드 또는 접촉 보호 원통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는 단일 편으로서 또는 커넥터 하우징, 특히 하우징 상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상부 부분 및 하우징 하부 부분은 이와 같이 커넥터의 전체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의 전기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위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엔티티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정합 커넥터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를 갖는다. 엔티티는 이로써, 예를 들어 엔티티 하우징, 기판 등에 추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인, 전기적인, 전자적인, 광학적인 및/또는 유체적인 수단 또는 장치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엔티티는 예를 들어 수단, 장치, 미리-조립된 케이블, 조립체, 인쇄 회로 기판, 컴포넌트, 모듈, 기기, 기구, 유닛, 시스템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개략적이고 비례가 아닌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움으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동일한, 분명한 또는 유사한 설계 및/또는 기능을 갖는 부분, 요소, 부품, 유닛, 컴포넌트 및/또는 다이어그램은 도면의 설명(아래 참조), 참고부호의 리스트, 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가 지정된다.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는 가능한 대안(위 참조)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및/또는 완전하고, 정적이고 및/또는 운동학적 반전이 아니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유닛, 부품, 요소 또는 부분의 조합 등은 참조부호의 리스트 및/또는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추가로 파생될 수 있다.
발명에서, 특징(부분, 요소, 부품, 유닛, 컴포넌트, 기능, 크기)은 적극적으로, 즉 존재하는 것으로 또는 소극적으로, 즉 부재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명세서(설명(본 발명의 설명(위 참조), 도면의 설명(아래 참조)), 참조부호의 리스트, 특허 청구범위, 도면)에서, 소극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 부재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 때 특징으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에 따라 구성된 것보다는 실제로 창작된 발명은 이러한 특징을 제외하는 것에 있다.
이 명세서의 특징은 기술된 방식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고립된, 결합된, 교체된, 부가된, 독립적으로 고려된, 생략된 등)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세한 설명, 참조부호의 리스트, 청구범위 및/또는 도면에서, 참조부호 및 이와 관련된 특징의 도움을 갖는 청구범위 및/또는 상세한 설명 내의 특징을 교체, 부가 또는 생략하는 것, 또는 그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특징은 결과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자세히 설명되거나 및/또는 규정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의 특징((초기에는 크게 알려지지 않은) 종래 기술로서 주어진)은 또한 선택적인 특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임의의 특징은 선택적인, 임의의 또는 바람직한, 즉 구속력이 없는 특징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가능하게는 이의 주변부를 포함한 특징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이 특징은 일반화된 발명 개념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징의 부재(소극적인 특징)는 특징이 발명에 관해 선택적인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특징에 대한 기술 용어는 또한 특징에 대한 일반 용어로서 해석될 수 있고(가능하게는 추가로 더 낮은-수준 용어 등으로 계층적으로 세분화), 그 결과 특징은 예를 들어 등가의 효과 및/또는 목적을 고려할 때 일반화될 수 있다.
오직 예로서 제공된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를 위한 5-부품 접촉 보호 수단의 사시도(도 1) 및 측단면도(도 2)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부품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의 사시도(도 3 및 도 4) 및 저면도(도 5)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부품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정합 커넥터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커넥터 및 도 6에 따른 정합 커넥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타입 연결부를 위한 4-파트 접촉 보호 수단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의 치형부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장치의 프롱의 2차원 상세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분야를 위한, 본 발명의 변형의 커넥터(도 3 내지 도 5 및 도 7), 정합 커넥터(도 6 및 도 7) 및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로 이루어진 플러그-타입 연결부(도 7)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움으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비록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 및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대신에 더욱 본질적인 성질을 띠고 있다.
다른 변형예가 그로부터 및/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위(발명의 설명)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분야에서 전기 엔티티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위 참조). 여기서 예외는 그라운드-기반 에너지 기술이다.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본 발명의 주제의 이들 공간적인 부분만이 도면에 도시된다. 이러한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의어로서 해석되어야만 하고, 즉 서로 교환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 보호 수단을 갖는 플러그-타입 연결부(0)를 위한 접촉 보호 수단을 갖는 커넥터(10) 및 접촉 보호 수단을 갖는 정합 커넥터(20)를 도시한다. 이 방식으로 구성된 플러그-타입 연결부(0)에서, 커넥터(10)는 정합 커넥터(20)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 상부 부분으로부터 별개로, 커넥터(10)의 암형 단자(195)를 위한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90)는 하우징 하부 부분 및 단자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 접촉 보호 링을 포함한다. 정합 커넥터(20)의 수형 정합 단자를 위한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90)는 정합 커넥터(20)의 원주 방향(Um)으로 폐쇄된 슬리브, 및 정합 단자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 접촉 보호 캡을 포함한다.
커넥터(10) 및 정합 커넥터(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후, 정합 커넥터(20)의 슬리브는 정합 커넥터(20)의 반경 방향(Ra)으로 커넥터(10)의 단자(195) 외측에 배열된다. 그 결과, 단자(195)의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197)은 오직 단자(195)의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196)의, 단자(195)의 정합 면에 대향하는 축 방향(Ax) 단부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연결 부분(197)으로부터 접점 부분(196)까지의 전이 영역 내에 오직 작은 단면만을 갖는다. 축 방향(Ax)으로 긴 플러그-타입 연결부(0)는 게다가 정합 단자의 접촉 보호 캡 및 단자(195)의 접촉 보호 링으로부터 기인한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8의 도움으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커넥터(10)(도 3 내지 도 5 및 도 7)는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152) 및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154)을 갖는 암형 단자(150)를 포함한다. 연결부분(154)은 이로써 반경 방향(Ra)으로 접점 부분(15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여기서 연결 부분(154) 및 접점 부분(152)의 축 방향(Ax) 크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이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위 참조).
본 실시예에서(특히 도 3 참조), 암형 단자(150)는 일체로 형성되고 기본적으로 장방형 재료 층으로부터 절곡된다(일편의 금속 박판으로부터 펀칭되고/다이-커트되고 가능하게는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다); 그러나, 물론 다른 설계도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장방형 재료 층의 중심부(지금 원주부)는 기본적으로 중공 원통형 내부 설계를 갖는 접점 부분(152)을 형성하고 장방형 재료 층의 2개의 종방향 단부 부분은 전기 라인(12)의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13)이 그 사이에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되는 2개의 대향하는 러그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크림프 단자와 같은 다양한 암형 단자(150)가 물론 사용될 수 있다.
암형 단자(150) 및 라인(12)의 종방향 단부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될 수 있거나 수용된다(특히 도4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10)는 오직 암형 단자(150) 및 커넥터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커넥터(10) 및 이에 연결된 라인(12)은 미리-조립된 전기 케이블(1)로서 형성된 전기 엔티티(1)를 구성한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하우징 상부 부분(103) 및 하우징 하부 부분(102)을 갖는다. 적어도 하우징 하부 부분(102)은 암형 단자(150)를 위한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으로서 형성된 (제1)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를 갖는다(특히 도 4 및 도 5 참조).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는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보호 링, 접촉 보호 케이지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가 물론 사용될 수 있다.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은 링으로서 형성되고 반경 방향(Ra)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교적 짧은 치형부(124)가 이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122)를 포함한다(아래 및 도 8 참조).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122)는 이러한 치형부(124)가 그 사이에 배열되는 2개의 동심 링인 내측 링과 외측 링을 포함한다. 치형부(124)는 특히 화살 팁 설계를 갖는 센터링 수단(125)을 갖는다(위 참조). 치형부(124)는 접촉 보호 콤(220)의 프롱(224)(아래에서 설명함)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은 지지체(122)의 내측 링이 암형 단자(150)의 접점 부분(152)의 자유 단부를, 정합 면을 갖는 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이로써 예를 들어 도구나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해 암형 단자(150)의 자유 림(free rim)이 접촉되는 것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도 5). 2개의 바람직하게는 직접 인접하는 치형부(124)가 암형 단자(150)의 접점 부분(152)으로부터 연결 부분(154)까지의 2개의 전이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이로써 암형 단자(150)의 자유 림을 비슷하게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합 커넥터(20)의 제1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롱(224)은 이들 치형부(1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거나 결합할 수 있다(아래 참조). 그것과 별도로, 연결 부분(154)은 (도 5의 우측 상의) 하우징 하부 부분(102) 아래/뒤에서 "사라진다(disappears)."
축 방향(Ax)으로 바깥쪽에, 지지체(122)의 외측 링은 예를 들어 하우징 상부 부분(103)의 원통부와 바람직하게는 평평하고, 여기서 외측 링 및 이로써 또한 하우징 하부 부분(102)은 하우징 상부 부분(103)에 바람직하게는 견고하게 연결되고, 특히 고정될 수 있다. 이 연결과는 별도로, 하우징 상부 부분(103)은 추가로 하우징 하부 부분(102)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특히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라인(12)의 종방향 단부 부분이 그 내에 유지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구역 내에서의 경우일 수 있다(도 4).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은 또한 이에 의해 암형 단자(150)의 접점 부분(152)의 내측 벽이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30)는 중공 접점 부분(152) 내로 또는 이를 통해 돌출하는 접촉 보호 스터드(130)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보호 원통부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가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30) 또는 접촉 보호 스터드(130)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상부 부분(103)과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 상부 부분(103)은 이와 같이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된 정합 커넥터(20)(도 6 및 도 7)는 암형 단자(150)의 접점 부분(152)과 함께 플러그 결합하기 위한 전기기계식 접점 부분 및 수형 정합 단자(250)에 더 접촉하기 위한 전기기계식 연결 부분을 갖는 수형 정합 단자(250)를 포함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 부분은 기판(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형 정합 단자(250)는 일체로 형성되지만(예를 들어, 일편의 금속 박판으로부터 다이-커트됨), 다양한 설계도 또한 당연히 가능하다. 수형 정합 단자(250)는 더욱이 중실 또는 가능하게는 종방향 슬롯 등을 갖고 내부에서 중공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형 정합 단자(250)의 중심 또는 종방향 구역은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 내에 유지/보유될 수 있거나 유지/보유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은 기판(22) 상에 제공/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제공/배열되는 정합 단자 기부 칼라(200)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합 커넥터(20)는 오직 수형 정합 단자(250) 및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정합 커넥터(20) 및 예를 들어 기판(22)은 함께 전기 엔티티(2)를 형성한다.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은 바람직하게는 수형 정합 단자(250)를 위한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으로서 형성된 (제1)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는 접촉 보호 콤(220)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보호 슬리브, 접촉 보호 케이지, 접촉 보호 링 등과 같은 다른 설계가 물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판(22)이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이 생략될 수 있다.
접촉 보호 콤(220)은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교적 긴 프롱(224)이 이로부터 돌출하는 단일의, 특히 환형 또는 원형 기부(222)를 포함한다(위 및 도 8 참조). 기부(222)는 이로써 부분적으로 환형 또는 부분적으로 원형이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프롱(2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환형 또는 부분적으로 원형으로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Um)으로 완전하게 수형 정합 단자(250)를 둘러싼다. 자유 종방향 단부 부분에서, 프롱(224)은 특히 화살 팁의 형태를 갖는 센터링 수단(225)을 갖는다(위 참조). 프롱(224)은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의 상술된 치형부(124)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접촉 보호 콤(220)은 예를 들어 기판(22) 또는 기판(22)의 장치 상에/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회전하는 능력의 정의에 대해 위를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접촉 보호 콤(220)은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 또는 정합 단자 기부 칼라(200) 상에서/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후자와 단일 부품을 형성한다. 접촉 보호 콤(220) 및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 또는 정합 단자 기부 칼라(200)는 그에 의해서 단일 부품으로서(예를 들어, 2K 사출 성형 공정으로) 미리 만들어질 수 있거나 예를 들면 플러그-타입 연결부에 의해 서로 플러그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접촉 보호 콤(220)의 조립된 상태에서, 이는 임의의 초기 위치(V) 또는 소정의 요구되는 양만큼 회전된 위치에 위치된다(도 6, 도 7 및 도 8에서 좌측). 다시 말해,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 또는 정합 단자 기부 칼라(200), 또는 축 방향(Ax)에 대한 접촉 보호 콤(220)의 회전된 위치, 즉 원주 방향(Um)으로의 위치는 상세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접촉 보호 콤(220)의 정해진 초기 위치(V)가 또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직 일단 커넥터(10) 및 정합 커넥터(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되면 접촉 보호 콤(220)은 정해진 최종 위치(E)를 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러한 최종 위치(E)가 가능하고, 커넥터(10) 및 정합 커넥터(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때 이들 중 단지 하나가 달성된다. 이는 결국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은 게다가 수형 단자(250)의 종방향 단부 또는 종방향 단부 부분이 이에 의해서 접촉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30)는 수형 단자(250)의 상부에 놓여서 특히 이에 고정되는 접촉 보호 장치(230)로서 형성된다. 수형 단자(250)는 이로써 내부가 중공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암형 단자(150)의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30) 또는 접촉 보호 스터드(130)를 유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보호 캡(내측이 중공이 아닌 수형 단자(250))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가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10)와 정합 커넥터(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되어 플러그-타입 연결부(0)를 형성할 때(도 7 및 도 8 참조), 예를 들어 2개의 제2 접촉 보호 장치(130, 230), 즉 예를 들어 접촉 보호 스터드(130) 및 접촉 보호 링(230)은 먼저 중심 맞춰질 수 있다. 전에, 동시에, 후에 또는 교대로,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의 치형부(124)는 접촉 보호 콤(220)의 프롱(224)에 또는 그 내에 결합되게 된다(도 8의 좌측). 보통 이로써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의 치형부(124)(접촉 보호 콤(220)은 보통 이의 가능한 최종 위치(E) 중 하나 내에 놓여있지 않다)는 원주 방향(Um)으로 회전하는 접촉 보호 콤(220)의 프롱(224)을 변위시키고 접촉 보호 콤(220)을 이의 초기 위치(V)로부터 이의 최종 위치(E)까지 회전시킨다.
암형 단자(150)와 수형 단자(250) 또는 이들의 접점 부분은 이로써 또한 전기기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접촉 보호 콤(220)의 프롱(224)은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암형 정합 커넥터(10)의 커넥터 하우징(100), 특히 하우징 상부 부분(103) 내부에 반경 방향(Ra)으로 위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성된 커넥터(10) 및 정합 커넥터(20)를 포함한 플러그-타입 연결부(0)는 게다가 추가의 고정 기구를 가질 수 있다(위 참조).
정합 커넥터(20)에서/내에서 커넥터(10)의, 즉 구성된 플러그-타입 연결부(0)의 최종 위치(E)에서, 적어도 또는 정확하게는 접촉 보호 콤(220)의 하나의 프롱(224)은 연결 부분(154)의 2개의 아암 사이에 및/또는 단자(150)에 연결된 라인(12)의 연결 부분(13)의 자유 종방향 단부에서의 구역 상에 또는 그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조건은 적어도 또는 정확하게는 하나의 프롱(224)이 연결 부분(13)의 자유 종방향 단부 및/또는 연결 부분(154)의 2개의 아암 중 하나와, 이를 손상시킬 수 있는 기계적인 충돌을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0 :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1 : 커넥터(10/20)를 갖는 전기 엔티티
2 : 정합 커넥터(20/10)를 갖는 전기 엔티티
5 : 접촉 보호를 위한 시험 도구
10 : (전기, 수형/암형) 커넥터/정합 커넥터
12 : (전기) 라인
13 :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
20 : (전기, 암형/수형) 정합 커넥터/커넥터 (기준계는 이를 참조한다)
22 : 전기 엔티티(2)의 기판
100 : 커넥터 하우징
102 : 하우징 하부 부분
103 : 하우징 상부 부분
110 : 단자 접촉 보호 수단
120 : (제1)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122 : 지지체
124 : (비교적 짧은/긴) 치형부
125 : 센터링 수단
130 :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150 : (암형/수형) 단자
152 :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
154 :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
190 :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195 : 종래 기술에 따른 (암형) 정합 단자
196 :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
197 :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
200 : 정합 커넥터 하우징
210 :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
220 : (제1)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222 : 기부
224 : (비교적 긴/짧은) 프롱
225 : 센터링 수단
230 :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250 : (수형/암형) 정합 단자
290 : 종래 기술에 따른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
Ax : 정합 커넥터(20)의 플러그-타입 연결부(0)의 축 방향
Ra : 정합 커넥터(20)의 플러그-타입 연결부(0)의 반경 방향
Um : 정합 커넥터(20)의 플러그-타입 연결부(0)의 원주 방향

Claims (15)

  1.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분야를 위한,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0)로서,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및 그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150; 152, 154)를 갖는 커넥터(10), 및 상기 커넥터(10)와 함께 플러그 결합되고/결합될 수 있고 축 방향(Ax)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정합 단자(250) 및 상기 전기 정합 단자(250)를 위한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을 갖는 정합 커넥터(20)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및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은, 2개의 커넥터(10, 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때/후에,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이 이동되고/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에 의해 정합 커넥터(20)에서/내에서 초기 위치(V)로부터 최종 위치(E)로 회전되는/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형성되는,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은 적어도 하나의 단자(150: 152, 154)를 위한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을 갖고,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 및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은, 상기 2개의 커넥터(10, 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때/후에,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이 이동되거나/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에 의해 상기 정합 커넥터(20)에서/내에서 초기 위치(V)로부터 최종 위치(E)로 회전되는/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형성되는,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커넥터(10, 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 및/또는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은 가동되고,
    상기 2개의 커넥터(10, 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후,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에 의해 덮이고, 및/또는
    상기 2개의 커넥터(10, 20)가 함께 플러그 결합된 후,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은, 적어도 일 측면에서,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 특히 정합 단자 기부 칼라(200)에 의해 덮이는,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커넥터(10, 20)를 함께 플러그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은 가능한 그러나 임의의, 선택적인 또는 정해진 초기 위치(V)로부터 불가피한 및/또는 정해진 최종 위치(E)로 이동되고/이동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또는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은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에서 결합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또는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의 치형부(124, 124, …)는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의 치형부(224, 224, …) 내에서 결합 가능한,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은 정합 단자(250) 주위로 선회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선회 가능하도록 정합 커넥터(20)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은 정합 단자(250) 주위에 완전하게 제공되고 및/또는 정합 단자(250) 상에 제공되고, 및/또는
    상기 정합 커넥터(20)는 상기 전기 정합 커넥터(20)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10)는 후속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10)로서 형성되는,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6. 바람직하게 자동차 분야를 위한, 특히 수형 정합 커넥터(20)인, 전기 정합 커넥터(20)로서,
    축 방향(Ax)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정합 단자(250) 및 정합 단자(250)를 위한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을 갖고,
    상기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 230)은 상기 정합 단자(250) 주위에 배열되고 상기 정합 단자(250)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를 갖는,
    전기 정합 커넥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 내부에서 반경 방향(Ra)으로, 상기 정합 단자(250)는 단자(150; 152, 154)에 의해 전기기계식으로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는 상기 정합 단자(250)의 자유 종방향 단부까지 또는 이를 지나서 연장하고, 및/또는
    상기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는 접촉 보호 슬리브, 접촉 보호 케이지 또는 접촉 보호 콤(220)으로서 형성되는,
    전기 정합 커넥터.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는 접촉 보호 콤(220)으로서 축 방향(Ax)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프롱(224)을 갖고,
    상기 접촉 보호 콤(220)은 이로부터 프롱(224)이 축 방향(Ax)으로 연장하는 특히 환형의 기부(222)를 갖고,
    상기 프롱(224)은 이들의 자유 축 방향(Ax) 종방향 단부 부분에서 커넥터(10)의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을 위한 센터링 수단(225)을 갖고, 및/또는
    상기 기부(222)는 플러그-타입 연결부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정합 커넥터 하우징(200) 상에/정합 커넥터 하우징(200)에/정합 커넥터 하우징(200) 내에 제공되는,
    전기 정합 커넥터.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커넥터(20)는 이에 의해서 상기 정합 단자(250)의 종방향 단부 또는 종방향 단부 부분이 차폐될 수 있는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30)를 갖고,
    상기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30)는 접촉 보호 링(230) 및/또는 접촉 보호 캡(230)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정합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220, 230)는 단일 편으로서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정합 커넥터(10)는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0)의 전기 정합 커넥터(10)로서 형성되는,
    전기 정합 커넥터.
  10.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분야를 위한, 특히 암형 커넥터(10)인, 전기 커넥터(10)로서,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내에 수용되고 전기기계적 접점 부분(152) 및 전기기계적 연결 부분(154)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150; 152, 154)와,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을 갖고,
    상기 연결 부분(154)은 적어도 접점 부분(152)의 축 방향(Ax) 중심 구역에서 반경 방향(Ra)으로 접점 부분(15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게다가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은 상기 단자(150; 152, 154)의 정합 면을 덮은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를 갖는,
    전기 커넥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154)은 더욱이 접점 부분(152)의 축 방향(Ax) 단부 또는 축 방향(Ax) 양 단부까지 연장하고,
    상기 단자(150; 152, 154)는 단일 편으로서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단자(150; 152, 154)는 바람직하게는 기본적으로 장방형 재료 층으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50; 152, 154)는 상기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 뒤에서 축 방향(Ax)으로 커넥터의 플러그 결합 방향으로 정합 단자(250)에 의해 전기기계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는 상기 단자(150; 152, 154)의 정합 면을 따라 및/또는 정합 면 위로 주로 또는 기본적으로 완전하게 연장하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는 접촉 보호 링, 접촉 보호 케이지 또는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으로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는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으로서 축 방향(Ax)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124)를 갖고,
    상기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은 이로부터 치형부(124)가 반경 방향(Ra)으로 돌출하는 특히 환형의 지지체(122)를 갖고,
    상기 치형부(124)는 이들의 자유 축 방향(Ax) 종방향 단부 부분에서 정합 커넥터(10)의 정합 단자 접촉 보호 수단(210; 220)을 위한 센터링 수단(125)을 갖고, 및/또는
    상기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20) 또는 상기 접촉 보호 림/크라운(120)은 단일 편으로서 또는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특히 하우징 하부 부분(102)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촉 보호 수단(110; 120, 130)은 이에 의해서 상기 단자(150; 152, 154)의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 있는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30)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30)는 접촉 보호 스터드(130) 또는 접촉 보호 원통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 접촉 보호 장치(130)는 단일 편으로서 또는 커넥터 하우징(100; 102, 103), 특히 하우징 상부 부분(103)과 일체로 형성되고, 및/또는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0)의 전기 커넥터(10)로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15.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분야를 위한, 전기 엔티티(1, 2)로서,
    상기 엔티티(1, 2)는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10), 전기 정합 커넥터(20) 및/또는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0)를 갖는,
    전기 엔티티.
KR1020210094873A 2020-07-22 2021-07-20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및 전기 커넥터 KR102624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9321.1 2020-07-22
DE102020119321.1A DE102020119321A1 (de) 2020-07-22 2020-07-22 Elektrische Steckverbindung sowie elektrischer Verbinder und Gegen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194A true KR20220012194A (ko) 2022-02-03
KR102624059B1 KR102624059B1 (ko) 2024-01-10

Family

ID=7702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73A KR102624059B1 (ko) 2020-07-22 2021-07-20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및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29340A1 (ko)
EP (1) EP3944424A1 (ko)
JP (2) JP7439022B2 (ko)
KR (1) KR102624059B1 (ko)
CN (1) CN113972537A (ko)
DE (1) DE102020119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61395A1 (en) * 2022-02-11 2023-08-17 Murat Yildirim Cable connector
EP4274033A1 (en) * 2022-05-06 2023-11-08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power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9678A (ja) * 1988-02-17 1989-08-23 Nec Corp ドッキング宇宙機用コネクタ
JPH08163813A (ja) * 1994-12-07 1996-06-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024A (en) 1982-09-03 1985-04-30 Automation Industries,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H08138785A (ja) 1994-11-10 1996-05-31 Yazaki Corp シャッター機構付コネクタ
JP3506355B2 (ja) 1997-06-16 2004-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開閉扉付き電気コネクタ
US7033195B2 (en) 2004-05-14 2006-04-25 Woodhead Industries, Inc.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for hazardous locations
DE102006006845B3 (de) * 2006-02-15 2007-07-19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Außenleiterhülse für einen koaxialen Steckverbinder
US8192212B2 (en) 2008-08-04 2012-06-05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temporarily blocking during unmating of two connectors
GB2477987B (en) * 2010-02-22 2014-01-08 Itt Mfg Entpr Llc Electrical connector
FR2975231B1 (fr) 2011-05-10 2014-08-22 Souriau Ensemble de connexion etanche
US8734191B2 (en) * 2011-10-06 2014-05-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connector system
CN105932468B (zh) * 2016-06-12 2018-12-04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电连接器
CN110462944A (zh) * 2017-01-20 2019-11-15 沃尔特里克斯有限公司 电气连接器系统
EP3389146B1 (en) 2017-04-11 2020-08-05 Yazaki Europe Ltd. Electric connection arrangement
DE102017210425A1 (de) * 2017-06-21 2018-12-2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odulverbinder
DE102017218326A1 (de) * 2017-10-13 2019-04-18 Robert Bosch Gmbh Hochstromverbindung
DE102017126546A1 (de) 2017-11-13 2019-05-16 Voith Patent Gmbh Elektrische Zugkupplung
JP6691098B2 (ja) * 2017-12-20 2020-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電線
JP6616815B2 (ja) * 2017-12-20 2019-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電線
DE102021100997B3 (de) * 2021-01-19 2022-04-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odulverbinder mit wenigstens einer verschieblichen Kontaktanordnung
DE102021107713A1 (de) * 2021-03-26 2022-09-2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 isolierende berührungsschutzvorrichtung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r solchen berührungsschutz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9678A (ja) * 1988-02-17 1989-08-23 Nec Corp ドッキング宇宙機用コネクタ
JPH08163813A (ja) * 1994-12-07 1996-06-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20463A (ja) 2024-02-14
JP2022022146A (ja) 2022-02-03
JP7439022B2 (ja) 2024-02-27
CN113972537A (zh) 2022-01-25
US20220029340A1 (en) 2022-01-27
EP3944424A1 (en) 2022-01-26
DE102020119321A1 (de) 2022-01-27
KR102624059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3371B1 (en) Power-electric connector
CN111710998B (zh) 模块连接器
US10153595B2 (en) Plug connector part, shielded plug connector unit and locking sleeve therefor
US7942588B2 (en) Hybrid multi-contact connector
JP5722440B2 (ja) 回転自在のプラグ型コネクタ
EP2790273B1 (en) Female connector, ma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onnectable in a straight or right angle configuration
CN104953317B (zh) 具有触点保护的电连接器
US9437970B2 (en) Multi-pole plug connection unit for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systems
KR102624059B1 (ko) 전기 플러그-타입 연결부 및 전기 커넥터
US11336047B2 (en) High-current connector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JP2009530760A (ja) プラグ型電気コネクタ
US10873153B2 (en) Plug-in connector
JP2016538687A (ja) プラグコネクタ
CN112005442B (zh) 用于模块化工业插接连接器的屏蔽插接连接器模块
EP3220487B1 (en) Connector device for a waterproof connector, waterproof connector as well as assembled cable
JP7061656B2 (ja) 適合性コネクタ
CN109792118B (zh) 连接器
KR101496574B1 (ko) 자동차 분야에서 고전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장치
CN110121816B (zh) 具有沿轴向布置在接触元件之前的屏蔽触头舌片的插头
EP4283789A1 (en) Electrical safety connector
US20090318020A1 (en) Adapter for a coaxial cable connector
CN116897473A (zh) 用于电蓄能器的充电插座
JP2018098042A (ja) 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