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977A - 누액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누액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977A
KR20220011977A KR1020200090922A KR20200090922A KR20220011977A KR 20220011977 A KR20220011977 A KR 20220011977A KR 1020200090922 A KR1020200090922 A KR 1020200090922A KR 20200090922 A KR20200090922 A KR 20200090922A KR 20220011977 A KR20220011977 A KR 2022001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detection sensor
leak detection
leakage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균
정이례
Original Assignee
정성균
정이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균, 정이례 filed Critical 정성균
Priority to KR102020009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977A/ko
Publication of KR2022001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2With diagonal warps or wef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액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101)와 위사(102)가 매시 형태로 직조되되, 경사(101)가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되는 매시부(10);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액에 따른 매시부(10)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알림부(5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로 전달하는 단자부(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를 매시 형태로 직조하되, 매시부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함으로써 화학물질 등의 누액 발생 시, 전기 저항값의 변화 감지를 통해 누액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의 액체 고임 및 맺힘 현상을 억제하여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액 감지 센서{fluid leak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누액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를 매시 형태로 직조하되, 매시부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함으로써 화학물질 등의 누액 발생 시, 전기 저항값의 변화 감지를 통해 누액을 감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표면의 액체 고임 및 맺힘 현상을 억제하여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누액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는 많은 화학물질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웨이퍼의 절단 및 연마 후 세정 공정에 사용되는 세정액, 웨이퍼의 감광 공정에 사용되는 감광액, 웨이퍼의 현상 공정에 사용되는 현상액, 웨이퍼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식각액 등이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이용된다.
한편, 일반화학 또는 석유화학 및 철강제조를 위한 산업시설에도 다양한 종류의 제품 생산 및 가공에 필요한 황산, 불산, 질산, 가성소다 등의 다양한 종류의 산과 염기성 화학물질 저장시설이 옥외에 설치 및 운영된다.
이러한 화학물질들은 이송관 또는 저장 탱크의 불량, 열화, 과압 또는 조작 실수 등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의해 화학물질이 외부로 누액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누액된 화학물질은 폭발, 화재로 이어져 사람은 물론 제조 현장의 다른 장치나 부품들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여 빠르게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기 위하여 누액 감지 센서가 사용된다.
누액 감지 센서는 다양한 액체의 누액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는 용도로서 LCD, 반도체, 태양광 등 고순도 화학 공정이 필요한 전자산업 분야는 물론이고 중화학과 플랜트 및 바이오·제약 분야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누액 감지 센서는 띠 형상의 베이스층과, 베이스층 상에 베이스층의 길이 방향으로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체로 된 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누액 감지 센서는 주로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탱크가 설치된 장소의 탱크 주변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탱크에서 화학물질의 누액이 발생하여 바닥면에 화학물질이 흐르면서 감지회로에 접촉되면 설정 간격만큼 이격된 감지회로가 흘러내린 화학물질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기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기 저항값의 변화 측정을 통해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누액 감지 센서는 주로 테프론이나 합성수지 필름이 소정 폭의 띠(밴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화학물질의 초기 누액 발생 시, 누액 감지 센서의 표면에 누액 고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신속하게 닦아 청소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청소를 하지 않으면 누액된 화학물질에 의해 누액 감지 센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누액 감지 센서가 설치된 장소의 설치 환경이 높은 습도(60~88%)가 유지되는 경우에 고습도에 의한 응결로 인해 누액 감지 센서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경우에 감지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누액 감지 센서가 설치된 장소의 오염도가 심하여 청소 등을 위해 불가피하게 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청소 과정에서 바닥면에 설치된 누액 감지 센서의 표면에 물이 고이게 되면 감지 오류의 요인이 되므로 이를 일일이 닦아 내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큰 단점이 있다.
특히, 옥외에 설치된 화학약품 저장 탱크용 누액 감지 센서는 눈, 빗물, 또는 물청소 등에 의해 물에 수분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감지 오류로 인해 사용이 곤란한 단점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7190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를 매시 형태로 직조하되, 매시부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여 화학물질 등의 누액 발생 시, 전기 저항값의 변화 감지를 통해 누액을 감지할 수 있게 한 누액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는,
경사(101)와 위사(102)가 매시 형태로 직조되되, 경사(101)가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되는 매시부(10);
상기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액에 따른 매시부(10)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알림부(5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로 전달하는 단자부(2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와 비전도성섬유(101b)가 합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외표면에 전도성코팅층(101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외표면에 방수코팅층(101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는 4 내지 20가닥으로 되되,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로 되고,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가닥은 비전도성섬유(101b)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시부(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층간 접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최하층의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만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섬유와 비전도성섬유를 매시 형태로 직조함으로써 화학물질 등의 누액 발생 시, 전기 저항값의 변화 감지를 통해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시부가 매시 형태로 직조됨으로써 누액 발생 시에도 표면에 액체 고임 및 맺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매시부의 손상이나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액 감지 센서가 설치된 주변 청소작업 중 매시부에 물이 묻더라도 물이 쉽게 흘러내릴 뿐만 아니라, 우수한 통기성을 통해 물이 쉽게 건조됨으로써 잔여 수분에 의한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시부를 바닥면과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하거나, 공중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할 때, 경량화에 따라 처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매시 구조로 되어 후크나 걸고리 등을 이용해 걸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소재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에서 매시의 크기 조절을 통해 단위 센싱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고, 다양한 폭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다양한 사용 환경에 대응 가능한 제품의 생산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경사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경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는 화학물질 등의 누액 발생 시, 전기 저항값의 변화 감지를 통해 누액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매시부(10), 단자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매시부(10)는 매시 형태로 직조되도록 경사(101), 위사(102)를 포함한다.
이때 매시부(10)를 구성하는 직조 방식, 즉 평직, 능직, 주자직, 레노직, MOCK 레노직 등 직조 방식은 한정하지 않으나,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되는 경사(101)에 의해 화학물질의 누액이 감지될 때, 매시부(10)를 구성하는 망공을 형성하는데 용이한 레노직 방식으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시부(10)의 전체 폭은 10 내지 20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는 4 내지 20가닥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로 방향으로 3 내지 19개의 망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 간의 간격은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는 한 올로 형성되거나, 다수 올이 합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시(망공)의 형상은 사각,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직조될 수 있다.
매시의 크기는 한정하지 않으나, 매시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때, 일측 내면의 길이가 2 내지 10㎜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학물질이 누액되어 한 방울로 떨어졌을 때, 그 한 방울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와 위사(102)는 내약품성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검출하고자 하는 화학물질, 즉 액체의 액성(pH)에 따라 다양한 섬유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산성 화학물질의 누액 감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매시부(10)는 산성에 강한 단백질 섬유나 합성섬유로 직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알칼리성 화학물질의 누액 감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매시부(10)는 알칼리성에 강한 셀룰로스 섬유로 직조될 수 있다.
그러나 산성과 알칼리성에 모두 강한 유리섬유, 테프론섬유, 아라미드섬유 중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는 누액의 감지를 위하여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되되,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섬유(101a)는 금속과 섬유를 결합시킨 혼합 용융방사 섬유나, 전도성/비전도성 물질의 심초구조 복합섬유 또는 전도성 물질로 섬유 피막을 형성한 섬유 등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섬유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나, 내약품성과 내식성, 전도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카본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도성섬유(101a)로 된 경사(101)에 일정한 전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매시부(10)에 누액된 화학물질이 떨어져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101)에 화학물질이 동시에 접촉되면, 화학물질이 접촉된 경사(101)의 위치에 따른 전기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를 감지하여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를 대신 위사(102)가 누액의 감지를 위하여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0)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액에 따른 매시부(10)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알림부(5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로 전달하도록 회로선(201)에 의해 제어부(40)와 연결된다.
상기 회로선(201)에는 경사(101)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 측정을 위하여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에 일정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부(3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에 일정한 전류가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경사(101)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회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림부(50)는 빛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누액 발생을 인지시키기 위한 경광등, 소리로서 관리자로 하여금 누액 발생을 인지시키기 위한 사이렌 등 화학물질의 사용과 유지, 보수를 책임지는 작업자나 관리자가 화학물질의 누액 발생을 즉각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화학물질의 누액 발생 지점에서 원거리에 있는 작업자나 관리자가 화학물질의 누액 발생을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나 관리자가 휴대한 휴대용 단말기로 누액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통신수단은 주지된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이나 LTE 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는 불산, 황산, 염산, 질산 등과 같이 액체 상태이면서 유독성이 강한 화학물질이 보관되는 탱크 주변이나, 화학물질이 이송되는 배관 주변, 또는 배관의 플랜지 주변 등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탱크나 배관 이음부, 플랜지 등에서 화학물질의 누액이 발생하여 그 액상물이 매시부(10)를 구성하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두 가닥 이상의 경사(101)에 동시에 접촉되면, 액상물이 접촉된 경사(101)의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고, 그 변화는 단자부(20)와 회로선(201)을 통해 제어부(4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경사(101)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고, 사전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경사(101)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가 기준값의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화학물질이 누액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부(50)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알림부(50)가 동작하게 되고, 그로 인해 화학물질의 사용과 유지, 보수를 책임지는 작업자나 관리자가 화학물질의 누액 발생을 즉각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화학물질의 누액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케 됨으로써 화학물질의 누액 및 누설에 따른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는 매시부(10)를 구성하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를 이용해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기 때문에 평탄한 면이 최소화됨으로써 화학물질의 누액 발생 시, 경사(101)의 표면에 누액이 고이는 현상이 방지되어 화학물질에 의한 경사(10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가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수분이 경사(101)의 표면에 고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분이 경사(101)에 맺히더라도 매시가 가지는 우수한 통기성에 의해 수분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수분에 의한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사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와 비전도성섬유(101b)가 합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소정 직경으로 된 전도성섬유(101a)와 소정 직경으로 된 비전도성섬유(101b)를 합사하는 경우에, 섬유와 섬유가 합사되는 과정에서 상호 접촉된 소정의 접촉면(101c)이 형성되는데, 이 접촉면(101c)은 복수의 섬유가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외부 이물질이 접촉면(101c)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합사에 의해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된 경사(101)로 구성된 매시부(10)에 누액된 화학물질이 떨어져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101)에 화학물질이 동시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화학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경사(101)의 외표면이 손상되더라도, 합사 과정에서 형성된 전도성섬유(101a)와 비전도성섬유(101b)의 접촉면(101c)에는 화학물질의 침투가 방지되면서 전기적 안정성이 유지됨으로써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c)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사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외표면에 전도성코팅층(10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코팅층(101d)은 전도성카본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전도성코팅층(101d)은 매시부(10)의 직조 전에 형성하거나, 직조 후에 형성할 수 있다.
즉, 경사(101)와 위사(102)를 직조하기에 앞서, 경사(101)의 외표면에 전도성카본페이스트를 먼저 도포하여 경사(101)의 외표면에 전도성코팅층(101d)이 형성되게 한 후 매시부(10)를 직조하거나, 비전도성섬유(101b)로 된 경사(101)와 위사(102)를 매시 형태로 직조하여 매시부(10)를 먼저 형성한 후,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의 외표면에 전도성카본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전도성코팅층(101d)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전도성섬유(101b)로 된 경사(101)의 표면에 전도성코팅층(101d)을 형성함으로써 경사(101)가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하는 경우 매시부(10)의 제조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전도성코팅층(101d)이 손상되면, 전도성카본페이스트의 재도포를 통해 전도성코팅층(101d)의 재형성도 가능케 됨으로써 누액 감지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손상과 그에 따른 교체가 불필요하게 되어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d)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사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의 (d)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101)는 외표면에 방수코팅층(101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수코팅층(101e)은 물에 대해서만 방수성을 가지되,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류 등에 의해 용해되는 특성을 가진 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의 표면에 물이 묻더라도 방수코팅층(101e)에 의해, 전기전도성을 띠는 경사(101)에는 물에 의한 전기적 영향에 따른 전기 저항값의 변화가 배제되어 물에 의한 감지 오류가 방지된다.
반면,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의 외표면에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류 등의 액상물이 묻으면 그 액상물에 의해 방수코팅층(101e)이 용해되면서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의 외표면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액상물이 접촉된 경사(101)의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게 됨으로써 화학물질 액상물의 누액이 감지된다.
한편, 방수코팅층(101e)은 방수코팅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며, 화학물질의 누액에 의해 방수코팅층(101e)이 용해되면, 방수코팅액의 재도포를 통해 방수코팅층(101e)의 재형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습도가 높고 물에 대한 노출이 잦은 사용 환경에서도 물에 의한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눈이나 빗물에 쉽게 노출되는 옥외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물청소 등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작업장에도 설치가 가능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는 4 내지 20가닥으로 되되,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로 되고,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가닥은 비전도성섬유(101b)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시부(10)를 구성하는 다수의 경사(101)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가닥의 경사(101)만 비전도성섬유(101b)로 형성하는 경우에, 매시부(10)의 제조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매시부(10)를 화학물질이 이송되는 배관의 플랜지 등의 측면에 감는 형태와 같이 세워서 설치하는 경우에 매시부(10)를 설치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비전도성섬유(101b)로 되어 전기적 영향이 배제되기 때문에 경사(101)를 후크나 걸고리, 볼트 등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설치가 가능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누액 감지 센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매시부(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층간 접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최하층의 매시부(10)를 구성하는 경사(101)만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매시부(10)가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게 되고, 상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매시부(11)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최하층에 위치하는 매시부(10)를 보호함으로써 화학물질의 누액을 감지하는 최하층의 매시부(1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화학물질의 누액 감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매시부(10, 11)의 층간 접합은 열접합, 초음파접합, 접착제접합 등 주지된 다양한 접합 방식 중 선택되는 한 가지 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11: 매시부 101: 경사
101a: 전도성섬유 101b: 비전도성섬유
101c: 접촉면 101d: 전도성코팅층
101e: 방수코팅층 102: 위사
20: 단자부 201: 회로선
30: 전원부 40: 제어부
50: 알림부

Claims (5)

  1. 경사(101)와 위사(102)가 매시 형태로 직조되되, 경사(101)가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형성되는 매시부(10);
    상기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경사(101)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액에 따른 매시부(10)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알림부(5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로 전달하는 단자부(20); 를 포함하는 누액 감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101)는, 전도성섬유(101a)와 비전도성섬유(101b)가 합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101)는, 외표면에 전도성코팅층(101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101)는, 외표면에 방수코팅층(101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KR1020200090922A 2020-07-22 2020-07-22 누액 감지 센서 KR20220011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22A KR20220011977A (ko) 2020-07-22 2020-07-22 누액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22A KR20220011977A (ko) 2020-07-22 2020-07-22 누액 감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77A true KR20220011977A (ko) 2022-02-03

Family

ID=8026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922A KR20220011977A (ko) 2020-07-22 2020-07-22 누액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9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90B1 (ko) 2015-07-28 2018-10-11 심충식 누설 감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90B1 (ko) 2015-07-28 2018-10-11 심충식 누설 감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143B1 (ko)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JP2012501461A (ja) 弾性層と脆弱層の積層ハイブリッド構造を用いたヘルスセンサ
KR101346381B1 (ko) 플렉시블 누설센서
CA2805351A1 (en) Component for conducting or receiving a fluid and method for testing the component
US20170227415A1 (en) Flexible sheet-type physical property detecting leak sensor device
KR20220011977A (ko) 누액 감지 센서
KR20200005851A (ko) 누액 감지 센서 및 누액 감지 장치
KR101505439B1 (ko) 누설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6006B1 (ko)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KR102063750B1 (ko)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누액 감지 센서
US20060011475A1 (en) In-situ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for chemical vessels or tanks
US11821583B2 (en) Monitoring system
KR20190042453A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2021427B1 (ko) 강우 구분형 누액 감지 장치
KR102087562B1 (ko) 누액센서장치와 누액감지시스템
KR102136274B1 (ko) 공기압을 이용한 누액감지시스템
US20180149549A1 (en) Leak Detection System
KR101799834B1 (ko) 다중 누설 감지 센서
KR101693761B1 (ko) 상면 및 측면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KR102084721B1 (ko)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KR102064606B1 (ko) 저전도성 액체 누설 감지 센서
KR20200041009A (ko) 노즐용 누설 감지 센서
KR102078094B1 (ko) 복합형 누액 감지 센서
KR101538504B1 (ko) 거리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