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527A - 탱크 수위 지시 장치 - Google Patents

탱크 수위 지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527A
KR20220011527A KR1020200090565A KR20200090565A KR20220011527A KR 20220011527 A KR20220011527 A KR 20220011527A KR 1020200090565 A KR1020200090565 A KR 1020200090565A KR 20200090565 A KR20200090565 A KR 20200090565A KR 20220011527 A KR20220011527 A KR 2022001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unit
tank
differential pressu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120B1 (ko
Inventor
윤창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1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8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 G01F23/185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for discrete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22Pointers, e.g. settable pointer
    • G01D13/26Pointers, e.g. settable pointer adapted to perform a further operation, e.g. making electrical contact
    • G01D13/265Pointers which conduc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수위 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상기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여 계측하는 차압식 수위계측기; 및 상기 차압식 수위계측기가 측정한 차압신호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의 수위를 지시하는 수위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 수위 지시 장치{A Level Indicator for Tanks}
본 발명은 탱크 수위 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압식 수위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차압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위지시기를 이용하여 운전원이 탱크의 수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탱크 수위 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 플랜트 공정에는 유체가 들어 있는 탱크가 사용되며, 정상 운전을 위해서 상기 탱크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장에 설치되는 수위지시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관찰부(1)를 통해 수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평형반사식 또는 평형유리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유리부의 오염 또는 증기부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수위 확인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고온 고압의 탱크의 수위를 관찰하기 위해서, 유리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수위계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에 전극봉(2)을 설치한 원격 드럼 수위표시기(Remote Drum Level Indicator(RDLI))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챔버에 여러 개의 전극봉을 설치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원리로 수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선형 특성의 연속적으로 수위 변화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고, 가격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압식 수위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차압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위지시기를 이용하여 운전원이 탱크의 수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탱크 수위 지시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상기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여 계측하는 차압식 수위계측기; 및 상기 차압식 수위계측기가 측정한 차압신호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의 수위를 지시하는 수위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위지시기는,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상기 동력제공부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유체의 수위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의 수위에 빛을 조사하는 빔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빔조사부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회전수가 가변되는 제1 모터이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단 및 하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측풀리 및 제1 하측풀리, 상기 제1 상측풀리 및 제1 하측풀리에 감겨서 상기 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재가 회전할 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위지시기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위지시기의 전면을 세정하는 세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블럭; 상기 승하강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블럭의 승강 및 하강시 상기 전면과 접촉하여 세정하는 세정부; 상기 승하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승하강블럭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빛이 조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빔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가이드부는, 상기 빛이 출사되는 출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빔조사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와 형성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빔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차압식 수위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차압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위지시기를 이용하여 운전원이 탱크의 수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빔조사부는 탱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마치 투명한 탱크의 수위를 확인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종래 어떤 방법보다도 직관적인 수위 판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종래 현장에 설치되는 수위지시계는 지시계의 전면에 사용자가 위치해야만 수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레이저빔이 조사되므로 라인레이저빔이 조사된 모든 곳에서 또는 원거리에서도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유리식, 반사식 등의 지시계는 야간이나 어두운 환경에서 수위를 확인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은 레이저빔을 이용하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환경, 또는 실외에서도 수위 판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유리식, 반사식 등의 지시계는 관찰창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붙은 경우 수위 판독에 장애가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수위지시기의 전면을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세정장치를 구비하여 레이저빔이 원할하게 투사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수위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종래 전극봉을 구비하는 타입의 수위계는 챔버에 설치된 여러 개의 전극봉이 수위를 감지하는 원리로 수위를 측정하므로 연속적인 수위 변화를 측정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차압식 수위 측정 원리를 이용하여 수위의 연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종래 전극봉을 구비하는 타입의 수위계를 제작하는 비용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 구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진 탱크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탱크 수위 지시계로써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도1은 종래 반사식 수위측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 전극봉을 구비한 수위측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4는 도3을 측면에 본 개략도,
도5는 수위지시기 및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6은 빔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차압신호가 수위지시기로 전달되는 과정을 보인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을 측면에 본 개략도이다. 도5는 수위지시기 및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6은 빔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차압신호가 수위지시기로 전달되는 과정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차압식 수위계측기(10) 및 수위지시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차압식 수위계측기(10)는, 유체가 저장된 탱크(3)의 수위를 저장된 유체의 수위에 따른 압력 차이(차압)를 이용하여 계측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압식 수위계측기(10)는, 차압전송기(11) 및 신호분배기(13)를 포함한다.
상기 차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포트(12)에서 응축된 물의 압력과 탱크(3) 내부의 수압의 압력차를 의미하며, 두 수두의 차이는 상기 차압전송기(11)에 의해 계산된 후 차압신호(예컨대, 4~20mA 범위의 전류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차압신호는 신호분배기(13)(Signal Distributor)를 통해 분배된다. 상기 신호분배기(13)는 상기 차압신호를 분산제어설비(DCS:Distribured Control System)및 신호처리장치(40)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처리장치(40)는 상기 차압신호를 전송받아서 받아서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제1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회전수신호로 생성한다. 상기 회전수신호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수위지시기(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처리장치(40)로 상기 차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압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컨트롤 CPU로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제1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회전수신호로 변환 처리된다. 상기 회전수신호는 상기 신호처리장치(40) 내에 마련된 마이컴,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등의 소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장치(40)는 외부의 전원공급라인(4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신호처리장치(40)로 공급되는 전원은 후술하는 수위지시기(20)의 동작에도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위지시기(20)는, 상기 차압식 수위계측기(10)가 측정한 차압신호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의 수위를 지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위지시기(20)는, 동력제공부(21), 동력전달부(22), 이동부(23), 및 빔조사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제공부(21), 동력전달부(22), 이동부(23) 및, 빔조사부(24)는 본체(25)에 수용된다.
상기 동력제공부(21)는,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제공부(21)는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회전수가 가변되는 제1 모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압신호는 상기 신호처리장치(40)에 의해 제1 모터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회전수신호로 변환 처리되고, 상기 회전수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모터가 동작한다.
예컨대, 차압신호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탱크(3)의 수위가 낮아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수신호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제공된다. 반대로, 상기 차입신호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탱크(3)의 수위가 비교적 높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수신호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가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제공된다. 상기 차압신호가 상기 회전수신호로 제공되는 메커니즘은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제1 모터의 회전수가 선형적으로 증감하도록 미리 설정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2)는, 상기 동력제공부(21)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위지시기(20)의 본체(25) 상단에 설치되는 제1 상측풀리(221)와, 상기 본체(25)의 하단에 상기 제1 상측풀리(221)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하측풀리와, 상기 제1 상측풀리(221) 및 제1 하측풀리에 감겨서 상기 제1 모터의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재(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측풀리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하측풀리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으로, 동력 전달을 위해서 통상의 기계적 수단, 예컨대, 기어, 랙피니언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223)의 일단이 상기 제1 하측풀리를 감싸며 결합된다. 상기 제1 하측풀리의 외주면은 톱니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부재(2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풀리(221)는 상기 본체(25)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223)의 타단이 결합된다. 상기 제1 하측풀리 및 상기 제2 상측풀리(341)(222)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상기 이동부(23)는, 상기 동력전달부(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유체의 수위 위치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23)는 상기 제1 회전부재(223)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재(223)가 회전할 때 상하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23)는, 이동블럭(232)과 가이드레일(231)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럭(232)은 상기 제1 회전부재(223)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재(223)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블럭(232)은 육면체로 형성된 블럭이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블럭(232)은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 이동을 고려하여 비교적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이동블럭(232)의 형상 및 재질은 상기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레일(231)은 상기 이동블럭(2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블럭(232)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31)은 상기 본체(2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럭(232)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232)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31)을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31)은,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동블럭(232)이 상승 및 하강할 때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빔조사부(24)는, 상기 이동부(23)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의 수위에 빛을 조사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빔조사부(24)는 상기 이동부(23)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23)와 함께 상승 및 하강된다.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회전수신호에 따라 상기 탱크(3)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이동부(23)가 이동하면, 상기 빔조사부(24)는 상기 이동부(23)와 함께 상기 유체의 수위로 이동하고, 상기 수위에 빛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빔조사부(24)는,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상기 빔조사부(24)는 상기 본체(25)의 내부에 마련된 레이저모듈전원장치(26)로부터 케이블(27)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케이블(27)은 상기 이동부(23)가 반복적으로 승하강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반복적 구부러짐에도 단선되지 않도록 적당한 길이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모듈전원장치(26)은 상기 신호처리장치(40)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탱크(3)에서 수위를 관찰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빔가이드부(233)가 마련된다. 상기 빔가이드부(233)는, 상기 레이저빔이 출사되는 출사공(234)이 형성되고 상기 빔조사부(24)의 전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35)와, 상기 결합부(235)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235)와 형성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빔조절부(236)를 포함한다. 상기 빔조절부(236)는 상기 결합부(235)에 대하여 접히는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범위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세정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장치(30)는, 수위지시기(2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위지시기(20)의 전면을 세정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수위지시기(20)의 전면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정장치(30)는 상기 전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장치(30)는, 가이드봉(31), 승하강블럭(32), 세정부(33), 및 구동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봉(31), 승하강블럭(32), 세정부(33), 및 구동부(34)는, 외부케이스(35)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35)는 상기 수위지시기(20)의 본체(25)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봉(31)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봉(31)은 상기 외부케이스(35)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블럭(32)은, 상기 가이드봉(31)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하강블럭(32)은 상기 가이드봉(31)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블럭(32)은 상기 가이드봉(3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블럭(32)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복되는 승하강시 하중을 경감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승하강블럭(32)의 형태 및 소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정부(33)는, 상기 승하강블럭(32)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블럭(32)의 승강 및 하강시 상기 전면과 접촉하여 세정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예컨대, 상기 세정부(33)는 상기 전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면이 유리로 이루어지는 경우, 유리의 세정이 가능하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34)는, 상기 승하강블럭(32)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34)는, 제2 상측풀리(341)(222), 제2 하측풀리(342), 제2 회전부재(343), 및 제2 모터(34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측풀리(341)(222)는 상기 외부케이스(35)의 내부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하측풀리(342)는 상기 외부케이스(35)의 내부 하단에 마련된다. 상기 제2 회전부재(343)는 상기 제2 상측풀리(341)(222) 및 제2 하측풀리(342)에 감겨서 배치된다. 상기 제2 하측풀리(342)는 상기 제2 모터(344)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상측풀리(341)(222) 및 상기 제2 하측풀리(342)는 외주면이 톱니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부재(343)는 상기 톱니구조에 맞물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344)의 회전축은 상기 제2 하측풀리(342)와 별개의 동력 전달 수단, 예컨대 기어, 랙 피니언 등의 구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블럭(32)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승강 및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344)가 동작하는 시간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상기 승하강블럭(32)이 동작하여 수위지시기(20)의 전면을 세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탱크(3)의 수위에 따른 차압을 차입식 수위계측기(10)가 계측하여 차압에 따른 차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압신호는 신호처리장치(40)로 제공되어 상기 차압신호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회전수신호에 기초하여 수위지시기(20)는 상하로 이동하고, 빔조사부(24)는 레이저빔을 탱크(3)의 수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조사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수위 지시 장치는, 차압식 수위계측기(10)에 의해 계측된 차압신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위지시기(20)를 이용하여 운전원이 탱크(3)의 수위를 직관적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한다. 또한, 상기 수위지시기(20)는 탱크(3)의 수위를 추종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탱크(3)의 수위를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차압식 수위계측기 11... 차압전송기
12... 응축포트 13... 신호분배기
20... 수위지시기 21... 동력제공부
22... 동력전달부 221... 제1 상측풀리
222... 제1 하측풀리 223...제1 회전부재
23... 이동부 231... 가이드레일
232... 이동블럭 233... 빔가이드부
234... 출사공 235... 결합부
236... 빔조절부 24.... 빔조사부
25... 본체 26... 레이저모듈전원장치
27... 케이블 30... 세정장치
31... 가이드봉 32... 승하강블럭
33... 세정부 34... 구동부
341... 제2 상측풀리 342... 제2 하측풀리
343... 제2 회전부재 344... 제2 모터
35... 케이스 40... 신호처리장치
41... 전원공급라인 3... 탱크

Claims (7)

  1.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상기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여 계측하는 차압식 수위계측기; 및
    상기 차압식 수위계측기가 측정한 차압신호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의 수위를 지시하는 수위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수위 지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지시기는,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상기 동력제공부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유체의 수위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의 수위에 빛을 조사하는 빔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수위 지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조사부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수위 지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차압신호에 따라 회전수가 가변되는 제1 모터이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단 및 하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측풀리 및 제1 하측풀리, 상기 제1 상측풀리 및 제1 하측풀리에 감겨서 상기 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재가 회전할 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수위 지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지시기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위지시기의 전면을 세정하는 세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하강블럭;
    상기 승하강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블럭의 승강 및 하강시 상기 전면과 접촉하여 세정하는 세정부;
    상기 승하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수위 지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승하강블럭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수위 지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빛이 조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빔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가이드부는, 상기 빛이 출사되는 출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빔조사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와 형성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빔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수위 지시 장치.

KR1020200090565A 2020-07-21 2020-07-21 탱크 수위 지시 장치 KR10241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65A KR102412120B1 (ko) 2020-07-21 2020-07-21 탱크 수위 지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65A KR102412120B1 (ko) 2020-07-21 2020-07-21 탱크 수위 지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527A true KR20220011527A (ko) 2022-01-28
KR102412120B1 KR102412120B1 (ko) 2022-06-22

Family

ID=8005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565A KR102412120B1 (ko) 2020-07-21 2020-07-21 탱크 수위 지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48B1 (ko) 2023-07-14 2024-02-01 (주)유니콘 압력변환식 수위지시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22A (ja) * 1984-07-02 1986-01-25 Toshiba Corp 液面計指示値の自動読取装置
KR20000058584A (ko) * 2000-02-19 2000-10-05 정현오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
KR100985209B1 (ko) * 2009-11-03 2010-10-05 서흥이엔지 주식회사 무선 자동 수위 제어 장치
JP2013246061A (ja) * 2012-05-25 2013-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差圧式液面位置計測装置
KR20150094356A (ko) * 2014-02-11 2015-08-19 아몽솔루션(주) 수위표 오토클리너
KR20180050963A (ko) * 2016-11-07 2018-05-1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전반사 프리즘을 이용한 지시형 수위계
WO2020060694A1 (en) * 2018-09-21 2020-03-26 Ecolab Usa Inc. Portable fluid leve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11069929B1 (en) * 2016-05-24 2021-07-20 NDSL,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tically monitoring fluid level in a container, such as a battery, using a non-contact optical detector on an out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22A (ja) * 1984-07-02 1986-01-25 Toshiba Corp 液面計指示値の自動読取装置
KR20000058584A (ko) * 2000-02-19 2000-10-05 정현오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
KR100985209B1 (ko) * 2009-11-03 2010-10-05 서흥이엔지 주식회사 무선 자동 수위 제어 장치
JP2013246061A (ja) * 2012-05-25 2013-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差圧式液面位置計測装置
KR20150094356A (ko) * 2014-02-11 2015-08-19 아몽솔루션(주) 수위표 오토클리너
US11069929B1 (en) * 2016-05-24 2021-07-20 NDSL,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tically monitoring fluid level in a container, such as a battery, using a non-contact optical detector on an out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KR20180050963A (ko) * 2016-11-07 2018-05-1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전반사 프리즘을 이용한 지시형 수위계
WO2020060694A1 (en) * 2018-09-21 2020-03-26 Ecolab Usa Inc. Portable fluid leve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48B1 (ko) 2023-07-14 2024-02-01 (주)유니콘 압력변환식 수위지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120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807B2 (en) Level gage
CN101509801B (zh) 智能化光源线阵ccd液位测量方法及测量装置
JP2008145432A (ja) 超音波検査クローラおよび原子炉ベセルにおけるジェットポンプ溶接部の検査方法
KR102412120B1 (ko) 탱크 수위 지시 장치
CN108414057A (zh) 一种非接触式水位计检测校准装置
US4947692A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al changes in relation to a vertical reference direction in buildings or in building subsoil
CN108981855A (zh) 一种基于塑料光纤光时域反射的水位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1832808A (zh) 基于反射光谱带宽检测的锥形啁啾光纤光栅液位传感装置
JP5327609B2 (ja) 検査用台車
EP2924431B1 (en) Device for measuring volumetric changes in a substance
CN107063923B (zh) 一种检测液体密度的系统、方法及应用
US20230112119A1 (en) Level indicating device for tank
CN110530451A (zh) 多功能储罐液位仪
CN110596047A (zh) 一种能见度传感器及其自清洁方法和标定方法
CN102445254A (zh) 跟踪式测液位的装置
KR20160061224A (ko) 내경 동심도 측정장치
CN205333056U (zh) 一种连通管式沉降及变形监测装置
CN2387521Y (zh) 光纤位移传感器
CN218994475U (zh) 一种液位测量装置
CN219244744U (zh) 一种精密液位测量装置
KR200431207Y1 (ko) 자동식 방사선 측정장치
CN205450270U (zh) 一种应用于放射环境的激光测距系统
JPS61269024A (ja) レベル計
CN217349213U (zh) 盛水容器水位检测装置
CN113295632B (zh) 一种基于大数据及人工智能的环境污染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