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360A - 안전 가림막 - Google Patents

안전 가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360A
KR20220011360A KR1020200090148A KR20200090148A KR20220011360A KR 20220011360 A KR20220011360 A KR 20220011360A KR 1020200090148 A KR1020200090148 A KR 1020200090148A KR 20200090148 A KR20200090148 A KR 20200090148A KR 20220011360 A KR20220011360 A KR 2022001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base
disposed
ho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058B1 (ko
Inventor
최유라
Original Assignee
최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라 filed Critical 최유라
Priority to KR102020009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0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6Children's play- pens dismountabl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중인 아기들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가림막에 관한 것으로, 거치부; 상기 거치부 상의 쿠션;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쿠션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손잡이; 상기 쿠션에 배치되어, 현재 시간을 표시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음향을 출력하는 시계; 상기 쿠션에 배치된 적외선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경고음 출력부; 상기 쿠션을 마주보도록 상기 거치부 상에 배치된 조도 센서; 상기 쿠션에 배치되어, 상기 적외선 온도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조도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경고음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온도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조도 감지 센서로부터의 각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가 각 해당 센서의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음 출력부로 하여금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거치부는 침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침구의 중심부,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는 줄, 끈, 로프, 고무줄, 벨크로 및 단추 중 어느 하나의 결속 수단을 통해 상기 침구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안전 가림막{SAFETY SCREEN}
본 발명은 안전 가림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면 중인 아기들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가림막에 대한 것이다.
수면 중인 아기들은 뒤척임에 의해 서로 부딪힐 수 있으며, 이는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종래의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34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면 중인 아기들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가림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제 1 기저부; 상기 제 1 기저부 상의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1 지지부 상의 쿠션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 가림막은 상기 제 1 기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기저부; 및, 상기 제 2 기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쿠션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 가림막은 상기 제 1 기저부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기저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 1 외곽 연결부; 상기 제 1 기저부의 타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기저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 2 외곽 연결부; 및 상기 제 1 기저부의 중심부와 상기 제 2 기저부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중심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2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2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폐곡선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지지대 및 상기 제 2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을 갖는다.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쿠션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기 제 2 지지대는 상기 쿠션의 타측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상기 제 1 기저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이 상기 제 1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기저부는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하트 모양들이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안전 가림막은 상기 제 1 기저부의 하부면에 배치된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수면 중인 아이들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각종 센서들을 통해 취침 중인 아이들의 상태를 실시간은 모니터링하고 위급 상황 발생시 이를 경고음을 통해 주변에 알릴 수 있으므로 그 위급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제 1 거치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안전 가림막의 활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1 거치대(101)는 뒤집어진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제 1 기저부(111) 및 제 1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저부(111)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 기저부(111)의 하부면 상에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의 중심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와 제 1 기저부(111)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와 9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전술된 제 1 거치대(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2 거치대(102)는 뒤집어진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2 기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저부(112)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기저부(112)의 하부면 상에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의 중심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와 9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의 길이는 제 1 지지부(12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지지부(122) 및 제 1 지지부(121)의 각 길이는 Z축 방향으로의 크기를 의미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지지부(122)의 길이와 제 1 지지부(121)의 길이는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22)의 길이는 제 1 지지부(121)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또는 더 짧을 수도 있다.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와 제 2 거치대(1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거치대(102)의 제 2 지지부(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에 의해 지지된다.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쿠션(200)은 그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쿠션(200)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의 제 1 기저부(111) 및 제 2 거치대(102)의 제 2 기저부(112)와 접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거치대(101, 102) 상에 배치된 쿠션(200)은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 쿠션(200)은 뒤집어진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쿠션(200), 중심 연결부(300), 제 1 외곽 연결부(301)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은 전술된 도 1의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과 각각 동일하므로, 도 3의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1의 도 3의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중심 연결부(300), 제 1 외곽 연결부(301)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는 제 1 거치대(101)와 제 2 거치대(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연결부(300)는 제 1 기저부(111)의 중심부와 제 2 기저부(112)의 중심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외곽 연결부(301)는 제 1 기저부(111)의 일측 가장자리와 제 2 기저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 2 외곽 연결부(302)는 제 1 기저부(111)의 타측 가장자리와 제 2 기저부(112)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저부(111)의 중심부와 제 2 기저부(112)의 중심부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며, 제 1 기저부(111)의 일측 가장자리와 제 2 기저부(112)의 일측 가장자리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며, 그리고 제 1 기저부(111)의 타측 가장자리와 제 2 기저부(112)의 타측 가장자리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본다.
중심 연결부(300), 제 1 외곽 연결부(301)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는 제 1 거치대(101) 및 제 2 거치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연결부(300)는 제 1 기저부(111)의 중심부와 제 2 기저부(112)의 중심부에 연결되며, 제 1 외곽 연결부(301)는 제 1 기저부(111)의 일측 가장자리와 제 2 기저부(112)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그리고 제 2 외곽 연결부(302)는 제 1 기저부(111)의 타측 가장자리와 제 2 기저부(112)의 타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외곽 연결부(301), 중심 연결부(300)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는 X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외곽 연결부(301), 중심 연결부(300)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외곽 연결부(301), 중심 연결부(300)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외곽 연결부(301), 중심 연결부(300)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의 각 길이는 Y축 방향으로의 크기를 의미한다.
한편, 중심 연결부(300)를 기준으로 그 중심 연결부(300)의 일측에 배치된 제 1 기저부(111)의 일부분을 그 제 1 기저부(111)의 일측면으로 정의하고, 그 중심 연결부(300)의 타측에 배치된 제 1 기저부(111)의 일부분을 그 제 1 기저부(111)의 타측면으로 정의하고, 그 중심 연결부(300)의 일측에 배치된 제 2 기저부(112)의 일부분을 그 제 2 기저부(112)의 일측면으로 정의하고, 그리고 그 중심 연결부(300)의 타측에 배치된 제 2 기저부(112)의 일부분을 그 제 2 기저부(112)의 타측면으로 정의하자. 이때, 중심 연결부(300), 제 1 외곽 연결부(301), 제 1 기저부(111)의 일측면 및 제 2 기저부(112)의 일측면은 안전 가림막의 제 1 홀(401)을 정의한다. 또한, 중심 연결부(300), 제 2 외곽 연결부(302), 제 1 기저부(111)의 타측면 및 제 2 기저부(112)의 타측면은 안전 가림막의 제 2 홀(402)을 정의한다. 다시 말하여, 제 1 홀(401)은 중심 연결부(300), 제 1 외곽 연결부(301), 제 1 기저부(111)의 일측면 및 제 2 기저부(112)의 일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하며, 그리고 제 2 홀(402)은 중심 연결부(300), 제 2 외곽 연결부(302), 제 1 기저부(111)의 타측면 및 제 2 기저부(112)의 타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한편,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 및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 중 하나는 중심 연결부(300), 제 1 외곽 연결부(301)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제 1 기저부(111) 및 제 1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저부(111)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 기저부(111)의 하부면 상에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의 중심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21)는 갈고리(또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 제 1 지지부(121)는 소용돌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지지부(121)와 제 1 기저부(111)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전술된 제 1 거치대(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2 기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저부(112)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기저부(112)의 하부면 상에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의 중심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22)는 갈고리(또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 제 2 지지부(122)는 소용돌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지지부(122)와 제 2 기저부(11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와 제 2 거치대(1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거치대(102)의 제 2 지지부(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에 의해 지지된다.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에 의해 정의된 그 제 1 지지부(121)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200)은 그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쿠션(200)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의 제 1 기저부(111) 및 제 2 거치대(102)의 제 2 기저부(112)와 접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제 1 기저부(111) 및 제 1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저부(111)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 기저부(111)의 하부면 상에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의 중심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21)는 제 1 만곡부(121a) 및 제 2 만곡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만곡부(121a)와 제 2 만곡부(121b)는 이들 사이를 지나며 Z축에 평행한 가상의 선(또는 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의 제 1 만곡부(121a) 및 제 2 만곡부(121b)는 각각 갈고리(또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 제 1 지지부(121)의 제 1 만곡부(121a) 및 제 2 만곡부(121b)는 각각 소용돌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지지부(121)와 제 1 기저부(111)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전술된 제 1 거치대(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2 기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저부(112)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기저부(112)의 하부면 상에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의 중심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22)는 제 3 만곡부(122a) 및 제 4 만곡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만곡부(122a)와 제 4 만곡부(122b)는 이들 사이를 지나며 Z축에 평행한 가상의 선(또는 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의 제 3 만곡부(122a) 및 제 4 만곡부(122b)는 각각 갈고리(또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 제 2 지지부(122)의 제 3 만곡부(122a) 및 제 4 만곡부(122b)는 각각 소용돌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지지부(122)와 제 2 기저부(11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와 제 2 거치대(1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거치대(102)의 제 2 지지부(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에 의해 지지된다.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쿠션(200)은 제 1 지지부(121)의 제 1 만곡부(121a)에 의해 정의된 그 제 1 만곡부(121a)의 제 1 내측 공간 및 제 2 내측 공간, 그리고 제 2 만곡부(121b)에 의해 정의된 그 제 2 만곡부(121b)의 제 3 내측 공간 및 제 4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200)은 그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쿠션(200)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의 제 1 기저부(111) 및 제 2 거치대(102)의 제 2 기저부(112)와 접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 및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00)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거치대(100)는 뒤집어진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거치대(100)는 기저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00)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기저부(110)의 하부면 상에 미끄럼 방지 패드(1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미끄럼 방지 패드(130)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기저부(11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는 기저부(110)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는 기저부(110)의 중심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20)와 기저부(11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0)는 기저부(110)와 9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쿠션(200)은 거치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200)은 거치대(100)의 지지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200)은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쿠션(200)은 지지부(120)를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쿠션(200)은 그 지지부(12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쿠션(200)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쿠션(200)은 거치대(100)의 기저부(110)와 접촉할 수 있다. 거치대(120) 상에 배치된 쿠션(200)은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 쿠션(200)은 뒤집어진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I-I'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제 1 기저부(111) 및 제 1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저부(111)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기저부(111)는 제 1 결합 홀(501) 및 제 2 결합 홀(502)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 기저부(111)의 하부면 상에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131)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 상에 배치된다. 제 1 지지부(121)는, 예를 들어, 고리와 같은 폐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제 1 기저부(111)의 제 1 결합 홀(501) 및 제 2 결합 홀(502)을 통과한다. 이때, 제 1 지지부(121)의 일부는 그 제 1 결합 홀(501)과 제 2 결합 홀(502) 사이의 제 1 기저부(111) 부분에 매듭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는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제 1 지지부(121)는 고무줄일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1 거치대(10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전술된 제 1 거치대(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2 기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저부(112)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기저부(112)는 제 3 결합 홀(503) 및 제 4 결합 홀(504)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기저부(112)의 하부면 상에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132)는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 상에 배치된다. 제 2 지지부(122)는, 예를 들어, 고리와 같은 폐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제 2 기저부(112)의 제 3 결합 홀(503) 및 제 4 결합 홀(504)을 통과한다. 이때, 제 2 지지부(122)의 일부는 그 제 3 결합 홀(503)과 제 4 결합 홀(504) 사이의 제 2 기저부(112) 부분에 매듭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는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제 1 지지부(121)는 고무줄일 수 있다.
쿠션(200)은 제 1 거치대(101)의 제 1 기저부(111) 및 제 2 거치대(102)의 제 2 기저부(11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20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 1 기저부(111)에 삽입되며, 쿠션(200)의 타측 가장자리는 제 2 기저부(112)에 삽입될 수 있다.
*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제 1 기저부(111) 및 제 1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제 2 기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거치대(102)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제 1 지지부(121), 제 2 지지부(122) 및 쿠션(200)은 전술된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제 2 지지부(122) 및 쿠션(200)과 동일하므로, 도 11의 제 1 지지부(121), 제 2 지지부(122) 및 쿠션(200)에 관한 설명은 전술된 도 9의 제 1 지지부(121), 제 2 지지부(122) 및 쿠션(2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1의 제 1 기저부(111)는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하트 모양들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의 제 2 기저부(112)는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하트 모양들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은 전술된 도 1의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및 쿠션(200)과 동일하다. 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 및 제 2 거치대(102)는 복수의 홀을 갖는 매쉬(ma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거치대(101)의 제 1 기저부(111) 및 제 1 지지부(121), 제 2 거치대(102)의 제 2 기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는 각각 매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된 다른 모든 실시예의 제 1 기저부(111), 제 1 지지부(121), 제 2 기저부(112) 및 제 2 지지부(122) 역시 매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제 1 거치대(101)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거치대(101)는 제 1 기저부(111)의 일측면 및 제 2 기저부(112)의 타측면은 제 1 지지부(121)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그 제 1 지지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기저부(11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제 1 지지부(121)와 0도 내지 9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제 1 거치대(10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거치대(101)의 보관이 용이하다.
제 2 거치대(102) 역시 전술된 제 1 거치대(101)와 같은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제 1 및 제 2 거치대(102), 도 8의 안전 가림막,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의 제 1 및 제 2 거치대(102) 역시 도 13의 제 1 거치대(101)와 같은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안전 가림막의 활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안전 가림막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침구(601)와 제 1 침구(6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거치대(101)에 포함된 제 1 기저부(111)의 일측면은 바닥과 제 1 침구(601)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그 제 1 거치대(101)에 포함된 제 1 기저부(111)의 타측면은 바닥과 제 2 침구(602)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거치대(102)에 포함된 제 2 기저부(112)의 일측면은 바닥과 제 1 침구(601)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그 제 2 거치대(102)에 포함된 제 2 기저부(112)의 타측면은 바닥과 제 2 침구(602)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200)은 제 1 침구(601)와 제 2 침구(602) 사이에서 제 1 거치대(101) 및 제 2 거치대(102)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침구(601) 상의 아기(701)와 제 2 침구(602) 상의 아기(702)가 안전 가림막에 의해 서로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중 아이들(701, 702)이 서로 충돌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전술된 모든 실시예의 안전 가림막들은 도 14의 가림막과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입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200) 및 거치부(101, 102, 300, 301, 3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손잡이(50, 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손잡이(50)는 쿠션(2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손잡이(60)는 거치대의 중심 연결부(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2개의 제 1 손잡이(50)들 중 어느 하나는 제 1 지지대(121)와 중첩하도록 쿠션(2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2개의 제 1 손잡이(50)들 중 다른 하나는 제 2 지지대(122)와 중첩하도록 쿠션(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 2 손잡이(60)들 중 어느 하나는 제 1 지지대(121)에 근접하도록 중심 연결부(3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2개의 제 2 손잡이(60)들 중 다른 하나는 제 2 지지대(122)에 근접하도록 중심 연결부(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는 전술된 제 1 거치대(101), 제 2 거치대(102), 중심 연결부(300), 제 1 외곽 연결부(301) 및 제 2 외곽 연결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는 후술될 침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는 이불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50, 60)를 활용하여 쿠션(200) 및 거치부를 용이하게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 가림막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600), 그 침구(600)에 결합 가능한 쿠션(200), 그 침구(60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손잡이(66), 그리고 그 쿠션(20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손잡이(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구(600)의 제 1 손잡이(66)와 그 제 1 손잡이(66)에 대응되게 배치된 쿠션(200)의 제 2 손잡이(55)는 결합 수단(또는 체결 수단, 또는 결속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과 같은 결속 수단을 통해,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 제 1 손잡이(66)와 제 2 손잡이(55)가 매듭 방식으로 서로 결속됨으로써 침구(600) 상에 쿠션(200)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된 결속 수단으로서 벨크로(Velcro) 또는 단추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제 1 손잡이(66) 및 제 2 손잡이(55) 대신 그 위치에 각각 벨크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제 1 손잡이(66) 및 제 2 손잡이(55) 대신 그 위치에 각각 단추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침구 상의 단추는 돌기를 포함하고, 쿠션(200) 상의 단추는 그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침구(600) 및 쿠션(200) 중 어느 하나에 단추가 부착되고, 그 침구(600) 및 쿠션(200) 중 다른 하나에 그 단추가 삽입될 수 있는 홀(또는 절개부, 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 가림막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600) 및 그 침구(600)의 중심부 상에 배치된 쿠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구(600)와 쿠션(200)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 가림막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600), 그 침구(6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1 쿠션(201) 및 그 침구(6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2 쿠션(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구(600)와 제 1 쿠션(201)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구와 제 2 쿠션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 가림막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600), 그 침구(600)의 상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1 쿠션(203) 및 그 침구(600)의 하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2 쿠션(2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구와 제 1 쿠션(203)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구(600)와 제 2 쿠션(204)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 가림막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600), 그 침구(6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1 쿠션(201), 그 침구(6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2 쿠션(202), 그 침구의 상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3 쿠션(203) 및 그 침구의 하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4 쿠션(2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구와 제 1 쿠션(201)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구와 제 2 쿠션(202)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구와 제 3 쿠션(203)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구와 제 4 쿠션(204)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 가림막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600), 그 침구(6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1 쿠션(201) 및 그 침구(6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2 쿠션(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구(600)와 제 1 쿠션(201)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구(600)와 제 2 쿠션(202)은 전술된 도 9 및 도 10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와 같은 결속 수단(75; 예를 들어, 줄, 끈, 로프 또는 고무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수단(75)은 사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22의 실시예에서, 결속 수단(7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와 같이, 침구(600)를 관통하는 홀에 삽입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속 수단(75)은 침구(600)의 표면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홀(즉, 침구(600)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그 침구(600)의 표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림막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가림막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200) 내에 배치된 시계(10), 적외선 온도 센서(30), 이산화탄소 센서(40), 경고음 출력부(80) 및 제어부(500)와, 그리고 그 쿠션을 마주보도록 거치부(예를 들어, 그 거치부의 제 1 지지부(121)) 상에 배치된 조도 센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계(10)는 현재 시간을 표시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온도 센서(30)는 쿠션(20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구(600) 상에 취침 중인 아기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이 적외선 온도 센서(30)는 그 감지된 온도를 전기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전기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술된 제어부(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적외선 온도 센서(30)와 제어부(5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40)는 쿠션 주변의 이산화탄소(CO2)의 양을 측정한다. 이산화탄소 센서(40)는 쿠션(200) 주변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구(600) 상에 취침 중인 아기의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센서(40)는, 예를 들어, 적외선 가스 센서 및 화학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산화탄소 센서(40)는 그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전기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전기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술된 제어부(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이산화탄소 센서(40)와 제어부(500)는 전술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조도 센서(20)는 쿠션(2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 쿠션(200)이 거치부(예를 들어, 그 거치부의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 상에 정상적으로 거치되어 있을 때, 조도 센서(20)는 쿠션(200)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쿠션(200)이 거치부 상에 정상적으로 거치된 상태일 때, 조도 센서(20)로부터의 감지값(즉, 조도값)은 0에 근접한다. 반면, 예를 들어, 취침 중인 아이들의 뒤척임에 의해 쿠션(200)이 거치부로부터 이탈한 경우, 그 거치부 상의 조도 센서(20)로 공급되는 광의 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쿠션이 거치부로부터 이탈한 경우, 조도 센서(20)로부터의 감지값(즉, 조도값)은 0보다 큰 일정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조도 센서(20)는 그 감지된 주변광의 크기를 전기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전기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술된 제어부(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조도 센서(20)와 제어부(500)는 전술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쿠션(200)의 이탈 여부가 더욱 정밀하게 판단될 수 있도록 전술된 조도 센서(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로서, 이 복수의 조도 센서(20)들 중 과반수 이상의 조도 센서(20)들로부터 감지된 각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더 클 때, 제어부(500)는 그 쿠션(200)이 침구(600)의 정상 위치로부터 이탈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전술된 적외선 온도 센서(30), 이산화탄소 센서(40) 및 조도 센서(20)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경고음 출력부(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 센서(30), 이산화탄소 센서(40) 및 조도 센서(20)로부터의 각 감지값 중 적어도 하나가 각 해당 센서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제어부(500)는 경고음 출력부(80)로 경고 활성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 센서(30)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 온도보다 더 작거나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 온도보다 더 클 때, 제어부(500)는 전술된 경고 활성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산화탄소 센서(40)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량보다 더 작을 때, 제어부(500)는 전술된 경고 활성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20)로부터 측정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더 클 때, 제어부(500)는 경고 활성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1: 제 1 거치대 102: 제 2 거치대
111: 제 1 기저부 112: 제 2 기저부
121: 제 1 지지부 122: 제 2 지지부
131: 제 1 미끄럼 방지 패드 132: 제 2 미끄럼 방지 패드
200: 쿠션

Claims (1)

  1. 거치부;
    상기 거치부 상의 쿠션;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쿠션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손잡이;
    상기 쿠션에 배치되어, 현재 시간을 표시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음향을 출력하는 시계;
    상기 쿠션에 배치된 적외선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경고음 출력부;
    상기 쿠션을 마주보도록 상기 거치부 상에 배치된 조도 센서;
    상기 쿠션에 배치되어, 상기 적외선 온도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조도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경고음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온도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조도 감지 센서로부터의 각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가 각 해당 센서의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음 출력부로 하여금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거치부는 침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침구의 중심부,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는 줄, 끈, 로프, 고무줄, 벨크로 및 단추 중 어느 하나의 결속 수단을 통해 상기 침구에 결합되는 안전 가림막.
KR1020200090148A 2020-07-21 2020-07-21 안전 가림막 KR102397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48A KR102397058B1 (ko) 2020-07-21 2020-07-21 안전 가림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48A KR102397058B1 (ko) 2020-07-21 2020-07-21 안전 가림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60A true KR20220011360A (ko) 2022-01-28
KR102397058B1 KR102397058B1 (ko) 2022-05-12

Family

ID=8005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48A KR102397058B1 (ko) 2020-07-21 2020-07-21 안전 가림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0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611A (ko) * 2015-10-30 2017-05-11 이소희 침대 측부 틈새 설치용 다기능 범퍼 쿠션
KR20180086083A (ko) * 2017-01-20 2018-07-30 (주)퍼니스템 스마트 레스트 기능이 구비된 IoT형 침대
KR20200068408A (ko) * 2018-12-05 2020-06-15 최유라 안전 가림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611A (ko) * 2015-10-30 2017-05-11 이소희 침대 측부 틈새 설치용 다기능 범퍼 쿠션
KR20180086083A (ko) * 2017-01-20 2018-07-30 (주)퍼니스템 스마트 레스트 기능이 구비된 IoT형 침대
KR20200068408A (ko) * 2018-12-05 2020-06-15 최유라 안전 가림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058B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0168A1 (en) Portable Vibrating Baby Soothing Mat
JP6564465B2 (ja) 乳幼児用支持パッド
ES2891327T3 (es) Monitor inalámbrico para salud infantil
US9554659B2 (en) Infant sleep pod
KR10236625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7339463B2 (en) Infant alert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2013009991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tus for monitoring and transmitt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US6975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movement patterns of human beings
US20170231555A1 (en) Device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JP2019508599A (ja) 個人衝撃保護システム用のカスタムバックルに取り付けられるエアバッグアクチュエータ
US20170305340A1 (en) Safety alert system
US20180082563A1 (en) Car seat monitor
US20160310085A1 (en) Multiple Sensor Wireless Wearable Pulse Oximeter-Based Device
JP2004154242A (ja) 線状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ベッド用センサーシート、並びに介護用ベッドの支援装置
KR102397058B1 (ko) 안전 가림막
KR20130072428A (ko) 유아 급사 방지구 및 유아 급사 방지구를 포함하는 유아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41543B1 (ko) 수면베개
US20180361887A1 (en) Car Seat Child Safety Alert Device
JP2008505674A (ja) 乳児の突然死防止警告装置
KR20170078481A (ko)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ES2308828T3 (es) Metodo y dispositivo destinados al registro de datos de movilidad humana.
JP7477749B2 (ja) 乗物用シート及び家具
US20080136633A1 (en) Alarm apparatus
US20180144596A1 (en) Clippable air condition monitor device
JP3220895U (ja) 車いすタグ及び該車いすタグを用いた徘徊者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