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295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295A
KR20220011295A KR1020200089996A KR20200089996A KR20220011295A KR 20220011295 A KR20220011295 A KR 20220011295A KR 1020200089996 A KR1020200089996 A KR 1020200089996A KR 20200089996 A KR20200089996 A KR 20200089996A KR 20220011295 A KR20220011295 A KR 2022001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teering
valve
hydraulic oi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홍섭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0008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295A/ko
Priority to EP21186988.8A priority patent/EP3943673A1/en
Publication of KR2022001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Control of steering, e.g. for hydraulic motors driving the vehi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77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superstructure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을 승강시키는 캐빈 승강 실린더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 방향을 바꾸는 조향 장치와, 작동유를 토출하는 조향 펌프와, 상기 조향 펌프가 토출한 작동유를 상기 조향 장치 또는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로 공급하는 조향 우선 밸브, 그리고 상기 조향 우선 밸브가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로 공급하는 작동유의 이동 방향을 절환시켜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의 상승 동작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캐빈 승강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의 승강 가능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는 크게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 또는 산업 현장에 사용되는 모든 기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는 엔진과 엔진의 동력으로 동작하는 유압 펌프를 가지며, 엔진과 유압 펌프를 통해 발생한 동력으로 주행을 하거나 각종 작업 장치를 구동한다. 또한, 유압 펌프는 일부 작업 장치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복수개가 추가되고 있다.
또한, 건설 기계가 수행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승강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캐빈 승강 기능을 갖춘 종래의 건설 기계는 캐빈의 승강을 위한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압 펌프를 별도로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단지 캐빈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유압 펌프를 추가하는 것은 생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의 대상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승강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기계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을 승강시키는 캐빈 승강 실린더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 방향을 바꾸는 조향 장치와, 작동유를 토출하는 조향 펌프와, 상기 조향 펌프가 토출한 작동유를 상기 조향 장치 또는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로 공급하는 조향 우선 밸브, 그리고 상기 조향 우선 밸브가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로 공급하는 작동유의 이동 방향을 절환시켜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의 상승 동작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캐빈 승강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한 건설 기계는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와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의 헤드측을 연결하는 제1 캐빈 승강 라인과,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와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의 로드측을 연결하는 제2 캐빈 승강 라인, 그리고 상기 제1 캐빈 승강 라인에 설치된 락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건설 기계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오일 탱크와, 상기 락 밸브와 상기 오일 탱크를 연결하는 드레인 라인, 그리고 상기 드레인 라인에 설치된 비상 하강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하강 밸브는 상기 캐빈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 비상 하강 밸브와, 상기 캐빈의 외부에 마련된 외부 비상 하강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건설 기계는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파일럿 펌프와, 상기 파일럿 펌프가 생성한 파일럿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캐빈 승강 조작 신호를 전달하는 캐빈 승강 조작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 장치는 상기 조향 우선 밸브를 통해 공급받은 작동유로 동작하며, 제1 수압부와 제2 수압부를 갖는 조향 실린더와, 상기 조향 실린더와 상기 조향 우선 밸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향 실린더의 상기 제1 수압부 또는 상기 제2 수압부 중 하나로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조향 제어 밸브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향 조작 장치, 그리고 상기 조향 조작 장치의 조향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 제어 밸브를 절환 동작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 우선 밸브는 상기 조향 조작 장치의 미동작시 작동유를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기계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 기계에 사용된 조향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설 기계의 캐빈 상승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설 기계의 캐빈 상승 동작을 나타낸 유압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건설 기계의 캐빈 하강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건설 기계의 캐빈 하강 동작을 나타낸 유압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건설 기계의 비상 하강 동작을 나타낸 유압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캐빈(700), 캐빈 승강 실린더(800), 조향 장치(500), 조향 펌프(350), 조향 우선 밸브(450), 및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제1 캐빈 승강 라인(681), 제2 캐빈 승강 라인(682), 락 밸브(470), 오일 탱크(900), 드레인 라인(690), 비상 하강 밸브(490), 파일럿 펌프(370), 솔레노이드 밸브(460), 및 캐빈 승강 조작 장치(7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빈(700)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각종 조작 장치를 조작하는 공간이다. 즉, 캐빈(700)의 내부에는 후술할 조향 조작 장치(530), 캐빈 승강 조작 장치(780), 및 내부 비상 하강 밸브(49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캐빈 승강 실린더(800)는 캐빈(700)을 승강시킨다. 즉, 캐빈 승강 실린더(800)가 구동하여 캐빈(700)이 위치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빈 승강 실린더(800)는 헤드측과 로드측으로 구분되며, 헤드측으로 작동유가 유입되고 헤드측에서 작동유가 배출되면 캐빈 승강 실린더(800)가 신장하여 캐빈(700)을 상승시키고, 로드측으로 작동유가 유입되고 헤드측으로 작동유가 배출되면 캐빈 승강 실린더(800)가 수축하여 캐빈(700)을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캐빈 승강 실린더(80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캐빈 승강 실린더(800)는 제1 캐빈 승강 실린더(810)와 제2 캐빈 승강 실린더(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캐빈 승강 실린더(800)를 사용함으로써, 캐빈(700)을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소용량의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향 장치(5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 방향을 바꾸는 장치이다. 조향 장치(500)는 이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향 펌프(350)는 조향 장치(500) 및 캐빈 승강 실린더(80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작동유를 토출한다.
조향 우선 밸브(450)는 조향 펌프(350)가 토출한 작동유를 조향 장치(500) 또는 캐빈 승강 실린더(800)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조향 우선 밸브(450)는 조향 장치에(500) 우선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조향 우선 밸브(450)는 후술할 조향 조작 장치(530)의 동작 시에는 작동유를 조향 장치(500)로 공급하고, 후술할 조향 조작 장치(530)의 미동작시 작동유를 후술할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로 공급하게 된다.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는 조향 우선 밸브(450)가 캐빈 승강 실린더(800)로 공급하는 작동유의 이동 방향을 절환시켜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상승 동작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한다. 즉,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절환 동작에 따라 작동유가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공급되거나 로드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캐빈 승강 라인(681)은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와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을 연결한다.
제2 캐빈 승강 라인(682)은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와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을 연결한다.
이에,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는 절환 동작하여 제1 캐빈 승강 라인(681)을 통해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작동유를 공급하거나, 제2 캐빈 승강 라인(682)을 통해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으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 또는 로드측으로 작동유가 공급될 때,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 또는 헤드측에서 배출된 작동유는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 또는 후술할 락 밸브(470)를 거쳐 후술할 오일 탱크(900)로 배출될 수 있다.
락 밸브(470)는 캐빈(700)의 추락이나 누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락 밸브(470)는 제1 캐빈 승강 라인(681)에 설치되며, 제1 캐빈 승강 라인(681)이 파손되어 캐빈(700)이 자중에 의해 추락하거나 누유가 발생되어 상승된 캐빈(700)이 서서히 침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락 밸브(470)는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 방향으로만 작동유를 통과시키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락 밸브(470)는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작동유가 배출되는 것을 막아 캐빈(7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락 밸브(470)에 내장된 체크 밸브는 제어 신호에 따라 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락 밸브(470)에 내장된 체크 밸브가 열리면 작동유는 양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작동유가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캐빈(900)이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락 밸브(470)는 제1 캐빈 승강 실린더(810)의 헤드측과 연결된 제1 락 밸브(471)와 제2 캐빈 승강 실린더(820)의 헤드측과 연결된 제2 락 밸브(472)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탱크(900)는 작동유를 저장하며, 각종 밸브를 통해 배출된 작동유를 회수한다. 예를 들어, 조향 우선 밸브(450),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 락 밸브(470), 및 후술할 비상 하강 밸브(490)를 통해 작동유가 오일 탱크(900)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 라인(690)은 락 밸브(470)와 오일 탱크(900)를 연결한다.
비상 하강 밸브(490)는 드레인 라인(690)에 설치된다. 따라서, 비상 하강 밸브(490)가 열리면, 락 밸브(470) 내부의 유로를 통해 작동유가 드레인 라인(690)으로 이동하여 비상 하강 밸브(490)를 거쳐 오일 탱크(90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비상 하강 밸브(490)는 비상 상황 시 상승 상태의 캐빈(700)을 하강시킬 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상 하강 밸브(490)는 캐빈(700) 내부에 설치된 내부 비상 하강 밸브(491)와, 캐빈(700) 외부에 설치된 외부 비상 하강 밸브(4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비상 상황 발생 시 캐빈(700)에 탑승한 사용자가 내부 비상 하강 밸브(49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캐빈(700)에 탑승한 사용자가 내부 비상 하강 밸브(491)를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외부 비상 하강 밸브(492)를 조작하여 캐빈(9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파일럿 펌프(370)는 파일럿 압력을 생성할 수 있다. 파일럿 펌프(370)가 생성한 파일럿 압력은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로 공급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60)는 파일럿 펌프(370)가 생성한 파일럿 압력을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460)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461)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4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솔레노이드 밸브(461)가 동작하면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를 절환 동작시켜 작동유를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작동유를 공급하게 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462)가 동작하면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를 반대로 절환 동작시켜 작동유를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으로 작동유를 공급하게 된다.
캐빈 승강 조작 장치(780)는 솔레노이드 밸브(460)에 캐빈 승강 조작 신호를 전달한다. 즉, 캐빈 승강 조작 장치(78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밸브(461) 또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462)가 파일럿 압력을 제어하여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조향 장치(5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장치(500)는 조향 실린더(550), 조향 제어 밸브(570), 조향 조작 장치(530), 및 조향 모터(520)를 포함한다.
조향 실린더(550)는 조향 우선 밸브(450)를 통해 공급받은 작동유로 동작한다. 그리고 조향 실린더(550)는 제1 수압부(551)와 제2 수압부(552)를 갖는다. 일례로, 조향 실린더(550)의 제1 수압부(551)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조향 실린더(550)의 피스톤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주행 휠의 조향각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조향 실린더(550)의 제2 수압부(552)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조향 실린더(550)의 피스톤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주행 휠의 조향각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조향 제어 밸브(570)는 조향 실린더(550)와 조향 우선 밸브(450) 사이에 마련되어 조향 실린더(550)의 제1 수압부(551) 또는 제2 수압부(552) 중 하나로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조향 제어 밸브(570)의 절환 동작에 따라 조향 우선 밸브(45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조향 실린더(550)의 제1 수압부(551) 또는 제2 수압부(552) 중 하나로 이동하게 된다.
조향 조작 장치(5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 조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조향 모터(520)는 조향 조작 장치(530)의 조향 조작 신호에 따라 조향 제어 밸브(570)를 절환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7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조향 펌프(350)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활용하여 캐빈(700)을 승강시키므로 캐빈(700)의 승강을 위한 별도의 펌프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캐빈(700)이 승강 중인 상황에서는 조향 장치(50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건설 기계(101)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조향 장치(500)에 주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조향 펌프(350)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을 가지므로, 캐빈(700)의 승강 시에도 충분한 작동유를 공급하여 캐빈(700)의 승강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캐빈 상승 동작을 살펴본다.
도 3은 건설 기계(101)에서 캐빈(700)의 상승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건설 기계(101)의 본체와 캐빈(700)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양한 작업 장치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700)의 상승 동작 시에는, 조향 우선 밸브(450)가 작동유를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조향 우선 밸브(450)의 P포트와 EF포트가 연결된다.
그리고,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는 조향 우선 밸브(450)로부터 공급받은 작동유를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P포트와 B포트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캐빈 승강 라인(681)은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B포트와 락 밸브(470)의 V포트를 연결하고, 락 밸브(470)의 C포트는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과 연결된다. 이에, 작동유는 제1 캐빈 승강 라인(681)을 따라 이동하여 락 밸브(470)를 거쳐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유입된다.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캐빈 승강 실린더(800)가 신장되면서 캐빈(700)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락 밸브(470)에 내장된 체크 밸브는 작동유가 캐빈 승강 실린더(800)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한한다. 따라서, 조향 펌프(350),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 및 제1 캐빈 승강 라인(681) 등이 손상되더라도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 작동유가 배출되면서 캐빈(7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캐빈(700)의 추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락 밸브(470)는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캐빈 하강 동작을 살펴본다.
도 5는 건설 기계(101)에서 캐빈(700)의 하강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700)의 하강 동작 시에는, 조향 우선 밸브(450)가 작동유를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조향 우선 밸브(450)의 P포트와 EF포트가 연결된다.
그리고,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는 조향 우선 밸브(450)로부터 공급받은 작동유를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P포트와 A포트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캐빈 승강 라인(682)은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A포트와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을 연결한다. 이에, 작동유는 제2 캐빈 승강 라인(682)을 따라 이동하여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으로 유입된다.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로드측으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캐빈 승강 실린더(800)가 수축되면서 캐빈(700)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는 작동유가 배출되며, 락 밸브(470)에 내장된 체크 밸브는 열리게 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비상 하강 동작을 살펴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 상황 시 상승 상태의 캐빈(700)을 하강시킬 때에는, 내부 비상 하강 밸브(491) 또는 외부 비상 하강 밸브(492)가 열리면서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으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고, 캐빈(70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락 밸브(470)의 C포트와 E포트가 연결되어 캐빈 승강 실린더(800)의 헤드측에서 배출된 작동유가 락 밸브(470)를 통과하게 되고, 락 밸브(470)를 통과한 작동유는 비상 하강 밸브(490)를 거쳐 오일 탱크(900)로 배출된다.
또한, 비상 상황 발생 시 캐빈(700)에 탑승한 사용자가 내부 비상 하강 밸브(49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캐빈(700)에 탑승한 사용자가 내부 비상 하강 밸브(491)를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외부 비상 하강 밸브(492)를 조작하여 캐빈(9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황 시에 조향 펌프(350)가 계속 가동 중이라면,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의 P포트와 T포트가 연결되면서 조향 펌프(350)에서 토출된 작동유는 캐빈 승강 제어 밸브(480)를 통해 오일 탱크(900)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700)을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 시에도 상승 상태의 캐빈(700)을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건설 기계
350: 조향 펌프
370: 파일럿 펌프
450: 조향 우선 밸브
460: 솔레노이드 밸브
461: 제1 솔레노이드 밸브
462: 제2 솔레노이드 밸브
470: 락 밸브
471: 제1 락 밸브
472: 제2 락 밸브
480: 캐빈 승강 제어 밸브
490: 비상 하강 밸브
491: 내부 비상 하강 밸브
492: 외부 비상 하강 밸브
500: 조향 장치
520: 조향 모터
530: 조향 조작 장치
550: 조향 실린더
570: 조향 제어 밸브
681: 제1 캐빈 승강 라인
682: 제2 캐빈 승강 라인
690: 드레인 라인
700: 캐빈
780: 캐빈 승강 조작 장치
900: 오일 탱크

Claims (7)

  1.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
    상기 캐빈을 승강시키는 캐빈 승강 실린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 방향을 바꾸는 조향 장치;
    작동유를 토출하는 조향 펌프;
    상기 조향 펌프가 토출한 작동유를 상기 조향 장치 또는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로 공급하는 조향 우선 밸브; 및
    상기 조향 우선 밸브가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로 공급하는 작동유의 이동 방향을 절환시켜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의 상승 동작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캐빈 승강 제어 밸브
    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와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의 헤드측을 연결하는 제1 캐빈 승강 라인;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와 상기 캐빈 승강 실린더의 로드측을 연결하는 제2 캐빈 승강 라인; 및
    상기 제1 캐빈 승강 라인에 설치된 락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작동유를 저장하는 오일 탱크;
    상기 락 밸브와 상기 오일 탱크를 연결하는 드레인 라인; 및
    상기 드레인 라인에 설치된 비상 하강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하강 밸브는,
    상기 캐빈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 비상 하강 밸브와;
    상기 캐빈의 외부에 마련된 외부 비상 하강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파일럿 펌프;
    상기 파일럿 펌프가 생성한 파일럿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캐빈 승강 조작 신호를 전달하는 캐빈 승강 조작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장치는,
    상기 조향 우선 밸브를 통해 공급받은 작동유로 동작하며, 제1 수압부와 제2 수압부를 갖는 조향 실린더;
    상기 조향 실린더와 상기 조향 우선 밸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향 실린더의 상기 제1 수압부 또는 상기 제2 수압부 중 하나로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조향 제어 밸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향 조작 장치; 및
    상기 조향 조작 장치의 조향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 제어 밸브를 절환 동작시키는 조향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우선 밸브는 상기 조향 조작 장치의 미동작시 작동유를 상기 캐빈 승강 제어 밸브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200089996A 2020-07-21 2020-07-21 건설 기계 KR20220011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96A KR20220011295A (ko) 2020-07-21 2020-07-21 건설 기계
EP21186988.8A EP3943673A1 (en) 2020-07-21 2021-07-21 Construction 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96A KR20220011295A (ko) 2020-07-21 2020-07-21 건설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295A true KR20220011295A (ko) 2022-01-28

Family

ID=7702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96A KR20220011295A (ko) 2020-07-21 2020-07-21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943673A1 (ko)
KR (1) KR20220011295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2511B2 (ja) * 2000-06-07 2007-05-30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式作業機
JP2004131006A (ja) * 2002-10-11 2004-04-3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キャビン可動式作業機械
JP2009197439A (ja) * 2008-02-20 2009-09-03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における干渉防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3673A1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159B2 (ja)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US20060277905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JP2008014468A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KR102403991B1 (ko) 건설기계의 붐 증속 유압 시스템
KR100665113B1 (ko) 중장비의 유압회로
JP2012229777A (ja) ブームシリンダ昇降用油圧回路
WO2016169939A1 (en) Hydraulic circuit and working machine
KR101532783B1 (ko) 건설기계의 작업기 구동장치
JP4693708B2 (ja) 可動式運転室を有する作業機
KR20220011295A (ko) 건설 기계
JP4753307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US10415214B2 (en) Hydraulic circuit and working machine
WO2016169950A1 (en) Hydraulic circuit and working machine
JP4756600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JP2013083293A (ja) 作業機械の油圧装置
JP7365101B2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回路
JP2015048857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及び建設機械
CN210799541U (zh) 液压系统及工程机械
KR19990060980A (ko) 아웃트리거 장치의 제어시스템
JP2005315312A (ja) 建設機械の油圧シリンダ駆動装置
WO2016169938A1 (en) Hydraulic circuit and working machine
KR101551057B1 (ko) 굴삭기의 전기-유압 엑추에이터 제어시스템
KR19990017303U (ko) 건설기계용 유압장치
KR20240069690A (ko) 작업기계
JP2007032789A (ja) 流体圧制御装置及び流体圧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