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921A -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 Google Patents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921A
KR20220010921A KR1020200089654A KR20200089654A KR20220010921A KR 20220010921 A KR20220010921 A KR 20220010921A KR 1020200089654 A KR1020200089654 A KR 1020200089654A KR 20200089654 A KR20200089654 A KR 20200089654A KR 20220010921 A KR20220010921 A KR 2022001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ver
electronic pen
electronic
pock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효성
박정배
성해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921A/ko
Priority to PCT/KR2021/009273 priority patent/WO2022019592A1/ko
Publication of KR2022001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 및 상기 제1 구조를 감싸면서 전자 펜이 수납되는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의 커버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COVER OF ELECTRONIC DEVICE FOR STORAGE OF ELECTRONIC PEN}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커버 및 수납 가능한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대부분 전자 장치에는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대화면으로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자 장치의 비약적인 발전에 부응하여 전자 장치의 주변 기기 또한 발전하고 있다.
즉, 터치 스크린 영역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입력 장치의 일종인 전자 펜(예: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이 제안되었으며, 사용자는 전자 펜을 활용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전자 펜을 활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문자 데이터 뿐만 아니라 그림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태블릿 PC, 스마트 폰과 같이 대화면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이 활용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자 펜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전자 펜의 손상 또는 전자 펜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펜의 수납 방법이 문제되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크래들(cradle) 일 측면에 전자 펜 수납을 위한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을 활용하여 전자 펜을 수납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다만, 전자 장치가 커버에 싸여 있는 경우, 커버에서도 전자 펜을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의 일 측면 또는 후면에 전자 펜을 고정하기 위한 파우치(pouch)를 형성하여 파우치에 전자 펜을 수납하는 방안 또는 커버의 후면에 펜을 고정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고 전자 펜을 수납한 뒤 후면 플레이트로 전자 펜을 감싸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다만, 상기 방안들의 경우, 전자 펜을 커버에 수납하거나 꺼내기 불편할 수 있고, 커버에서 전자 펜이 수납되는 면이 평평하지 않아 바닥에 놓고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개시는 커버에서 전자 장치의 측면과 인접한 영역에 전자 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커버의 연결 영역에 전자 펜을 수납할 수 있는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 및 상기 제1 구조를 감싸면서 전자 펜이 수납되는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가능한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 및 상기 제1 구조를 감싸면서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자 펜은 상기 포켓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에서 전자 장치의 측면과 인접한 영역에 전자 펜이 수납될 수 있는 포켓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포켓 공간에 수납된 전자 펜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 펜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자 펜을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에서 전자 장치의 측면과 인접한 영역의 포켓 공간에 전자 펜을 수납함으로써, 전자 펜 수납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의 전면이나 후면이 굴곡지지 않도록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에 배터리, 디스플레이, 및/또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커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에 전자 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에 전자 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에 의해 전자 장치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에 의해 전자 장치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커버의 연결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자석들 및 전자 장치의 자석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커버의 연결 영역의 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커버에서 전자 펜 충전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커버에서 전자 펜 충전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커버에 수납된 전자 펜을 감지하고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커버에서 스토퍼(stopper)를 이용하여 전자 펜을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커버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전자 펜을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커버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슬라이드 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커버(100)에 전자 펜(300)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커버(100)에 전자 펜(300)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커버(100)는 전자 장치(200)의 복수 개의 면을 덮어 전자 장치(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줄일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서 전자 장치(200)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커버(100)는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110),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120), 및 전자 장치(200)의 측면을 덮으면서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의 제1 영역(110)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 중 특히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고, 커버(100)의 제2 영역(120)은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면을 전자 장치(200)의 전면이라 하고, 이와 대응하는 반대되는 면을 전자 장치(200)의 후면이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및/또는 연결 영역(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장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실장 공간에는 자석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에 커버(100)를 씌우는 경우 상기 제2 영역(120) 및/또는 연결 영역(130)에 실장된 자석으로 인하여 커버(100)는 전자 장치(200)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110)에 실장된 자석은 전자 장치(200)의 홀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on/off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은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연결 영역(130)을 통하여 제1 영역(110)은 제2 영역(120)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영역(130)은 아치 곡선의 막대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영역(130)에서 전자 장치(200)의 측면과 맞닿는 쪽은 직사각형의 면 형상을 가지고 이와 반대되는 쪽은 아치 곡선 형상의 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영역(130)은 내부가 빈 포켓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포켓 공간은 연결 영역(130)과 마찬가지로 아치 곡선의 막대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빈 포켓 공간 내부에는 전자 펜(300)이 수납될 수 있으며, 포켓 공간에서 전자 펜(300)이 들어가는 입구의 단면(즉, 포켓 공간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자른 단면) 크기는 전자 펜(300)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켓 공간의 단면 크기는 전자 펜(300)의 단면 직경 보다 조금 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포켓 공간의 상단 영역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닫힌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단 영역에 대응하는 포켓 공간의 하단 영역은 전자 펜(300)의 수납을 위하여 뚫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영역(130)의 일 측에는 외부로 제1 개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0)가 전자 장치(200)에 씌워진 상태에서, 제1 개구부(131)에 의해 연결 영역(130)의 내부가 일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1 개구부(131)를 통해 연결 영역(130) 내부에 배치된 LED 모듈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LED 모듈을 통하여 전자 펜(300)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 변화에 따른 알림(notification)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0)의 일 영역에는 제2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00)가 전자 장치(200)에 씌워진 상태에서, 제2 개구부(121)에 의해 전자 장치(200)의 일 부분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개구부(121)를 통해 전자 장치(200) 후면의 카메라 모듈, 플래시, 심박 센서 모듈, 및/또는 TOF(time of flight) 센서 모듈이 커버(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에 커버(100)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200) 후면의 카메라 모듈, 플래시, 심박 센서 모듈, 및/또는 TOP 센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는 전자 장치(200)의 전면 및 후면의 전체를 덮어야 하므로, 제1 영역(110)(또는 제2 영역(120), 연결 영역(130))의 길이(l1)는 전자 장치(200)의 길이와 같거나 전자 장치(200)의 길이 보다 더 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는 연결 영역(130)을 통하여 제1 영역(110) 또는 제2 영역(120)이 회동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영역(110)(또는 제2 영역(120))의 폭(w1)은 전자 장치(200)의 폭(w2)과 같거나 전자 장치(200)의 폭(w2) 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은 전자 장치(200)의 측면 전체를 덮으면서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을 연결하므로, 연결 영역(130)의 높이(h1)는 전자 장치(200)의 높이(h2) 보다 더 길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커버(100)에 의해 전자 장치(200)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에서 제2 영역(120)의 구조는 변형될 수 있으며, 구조의 변형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를 응시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거치되는 각도는 제2 영역(120)의 구조 변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0)의 제2 영역(120)은 제2 영역(120)의 제1 부분(120a) 및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2 영역(120)의 제1 부분(120a)과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사이에 위치하는 힌지 구조(1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영역(120)의 제1 부분(120a)은 전자 장치(20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은 힌지 구조(122)를 통해 제2 영역(120)의 제1 부분(120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의 일단은 힌지 구조(122)에 맞닿고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의 다른 일단은 연결 영역(300)에 맞닿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은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연결 영역(130)은 전자 장치(20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 구조(122)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120)의 제1 부분(120a)과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이 연결되는 영역을 제1 부분(120a) 및/또는 제2 부분(120b)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여 힌지가 없더라도 제1 부분(120a)과 제2 부분(120b)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영역(120)의 제2 부분(120b)을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전자 장치(200)가 제1 영역(110)의 내측 면(즉, 전자 장치(200)에 커버(100)를 씌운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전면과 맞닿는 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영역(110)의 일면에는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는 마찰력 높은 재질(예: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드로 인하여 전자 장치(200)는 제1 영역(110)의 일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제1 영역(110)의 내측 면(즉, 전자 장치(200)에 커버(100)를 씌운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전면과 맞닿는 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영역(110)의 일면에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자석과 전자 장치(200) 사이 자기력으로 인해 전자 장치(20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0)의 제2 영역(120)은 겉면에 플레이트(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23)의 면적은 제2 영역(12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플레이트(123)는 힌지 구조(124)에 의하여 제2 영역(12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영역(120)은 전자 장치(20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23)는 힌지 구조(124)를 통해 제2 영역(12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23)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 플레이트(123)의 일단은 힌지 구조(124)에 맞닿고 플레이트(123)의 다른 일단은 지면에 맞닿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a에서와 달리, 커버(100)의 제2 영역(120) 및 연결 영역(130)은 전자 장치(200)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플레이트(123)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플레이트(123)가 지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지면과 맞닿는 플레이트(123)의 일단에는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는 마찰력 높은 재질(예: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드로 인하여 플레이트(123)는 지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은, 전자 장치(200)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410) 및 제1 구조(410)를 감싸면서 전자 펜(300)이 수납되는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조(410)의 내측에는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삽입될 때 전자 펜(300)을 가이드할 수 있는 리브(415a, 415b)가 배치될 수 있고, 리브(415a, 415b)에 의하여 사용자는 포켓 공간에 전자 펜(300)을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조(410)의 상단 영역(410a)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지 위하여 제2 구조(420)와 결합 시 닫힌 구조를 형성하도록 막혀 있으며, 제1 구조(410)의 하단 영역(410b)은 전자 펜(300)의 수납을 위하여 제2 구조(420)와 결합 시 개구를 형성하도록 뚫려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구조(420)는 아치형의 긴 막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구조(410)와 제2 구조(420)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 공간도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조(410) 및 제2 구조(420)는 연결 영역(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조(410)에는 포고(pogo) 모듈(411), 스토퍼(stopper)(412), 및 복수개의 자석(413a, 413b, 413c, 413d)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포고 모듈(411)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자 펜(300)과 전자 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 포고 모듈(411)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삽입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 펜(3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 전자 펜(300) 사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포고 모듈(411)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자 펜(300)의 충전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퍼(stopper)(412)는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자 펜(300)을 커버(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퍼(412)는 후크(hook)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시로, 전자 펜(300)의 수납을 위한 포켓 공간의 정위치에 전자 펜(300)이 수납되는 경우, 전자 펜(300)의 일 측에 후크 구조가 걸릴 수 있고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 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펜(300)을 포켓 공간에 삽입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토퍼(412)가 전자 펜(300)의 일 측에 걸리는 느낌을 감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의 정위치에 삽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제1 구조(4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조(4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장 공간에는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조(410)에 배치된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과 전자 장치(200)에 배치된 복수개의 자석 사이 자기력(예: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자기력으로 인하여 커버(100)의 포고 모듈(411)과 전자 장치(200)의 포고 핀이 서로 밀착될 수 있고, 연결 영역(130)이 전자 장치(200)의 측면에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은, 전자 장치(200) 측면의 정위치에 포고 모듈(411)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포고 모듈(411)의 역할(예: 전자 펜(300)의 삽입 감지, 전자 펜(300) 충전, 전자 펜(300)과 전자 장치(200) 사이 데이터 송수신) 수행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0)의 자석들(413a, 413b, 413c, 413d) 및 전자 장치(200)의 자석들(210a, 210b, 210c, 210d)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구조(410)에 배치된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은 커버(100)가 전자 장치(200)를 덮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측면에 배치된 제5 자석(210a), 제6 자석(210b), 제7 자석(210c), 및 제8 자석(210d)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 서로 간의 간격은 제5 자석(210a), 제6 자석(210b), 제7 자석(210c), 및 제8 자석(210d) 서로 간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자석(413a)과 제2 자석(413b) 사이의 간격, 제2 자석(413b)과 제3 자석(413c) 사이의 간격, 및 제3 자석(413c)과 제4 자석(413d)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다만, 도 3b에서 개시된 간격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전자 펜(300)을 포켓 공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이용하여 전자 펜(300)을 포켓 공간에 고정시키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구조(420)에는 LED 모듈(421) 및 LED 창(window)(42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구조(420)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조(420)의 개구부는 도 1에서 연결 영역(130)의 제1 개구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조(420)에 포함된 개구부에는 LED 창(window)(422)이 배치될 수 있고, LED 창(window)(422)과 인접하여 LED 모듈(421)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LED 모듈(421)이 발광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LED 모듈(421)의 발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LED 모듈(421)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자 펜(300)의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LED 모듈(421)이 발광하는 색과 깜박이지 여부는 전자 펜(300)의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모듈(421)이 붉은색 빛을 발광하는 경우 수납된 전자 펜(300)이 충전 중인 상태일 수 있고, LED 모듈(421)이 푸른색 빛을 발광하는 경우 수납된 전자 펜(300)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LED 모듈(421)이 노란색 빛을 발광하거나 또는 LED 모듈(421)이 깜박이는 경우 전자 펜(300)의 충전 중 오류가 발생한 상태일 수 있고, LED 모듈(421)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가 아닐 수 있다. 다만, LED 모듈(421)이 발광하는 색 및 깜박이는지 여부와 전자 펜(300)의 충전 상태의 연관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LED 모듈(421)은 커버(100)가 전자 장치(200)로 덮인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알림 정보에 따라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모듈(421)이 발광하는 색과 깜박이지 여부는 전자 장치(200)의 알림(예: 메시지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푸쉬(push) 알림, 배터리 상태 알림, 및/또는 업데이트 알림)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알림 종류 및 내용에 따라 LED 모듈(421)이 발광하는 색과 깜박이지 여부가 상이하도록 셋팅(또는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셋팅을 수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의 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 내부의 포켓 공간은 제1 포켓 공간과 제2 포켓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포켓 공간에는 커버(100)의 배터리(43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포켓 공간에는 전자 펜(300)이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포켓 공간에 배치된 배터리(430)는 외부 전력과 연결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커버(100)는 배터리(430)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들을 충전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전자 펜(300)의 배터리는 전자 펜(300)이 제2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커버(100)의 배터리(4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전자 장치(200)의 배터리는 전자 장치(200)가 커버(100)로 씌워진 상태에서 배터리(4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430)가 장착된 커버(100)는, 전자 장치(200)의 보조 배터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430)가 커버(100)에 배치된 경우,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이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커버(100)의 배터리(430) 내 전력을 이용하여 포켓 공간에 수납된 전자 펜(3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430)는 커버(100)의 필수 구성품은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커버(100)에서 전자 펜(300) 충전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커버(100)에서 전자 펜(300) 충전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펜(300)의 내부에는 펜촉부에 인접하여 EMR 코일(301)이 배치될 수 있고, 커버(100)의 포고 모듈(411)은 포고 핀(411b)과 충전 코일(411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의 EMR 코일(301)은 충전 코일(411a)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급된 전력으로 전자 펜(3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의 포고 모듈(411)에 포함된 포고 핀(411b)은, 커버(100)를 전자 장치(200)에 씌웠을 때 전자 장치(200)에 배치된 포고 단자(2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00)를 전자 장치(200)에 씌운 경우, 전자 장치(200)의 포고 단자(201)와 커버(100)의 포고 핀(411b)이 접촉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 커버(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의 포고 모듈(411)에 포함된 충전 코일(411a)은, 전자 펜(300)이 포켓 영역의 정위치에 수납되었을 때 전자 펜(300)의 EMR 코일(3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와 커버(100)가 포고 모듈(41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200)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통해 커버(100)의 충전 코일(411a)과 전자 펜(300)의 EMR 코일(301) 사이 전기적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작용을 이용하여, 전자 펜(300)의 수납이 감지될 수 있고 전자 펜(300)이 충전될 수 있고 전자 펜(300)과 전자 장치(200) 사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전자 펜(300)의 수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전자 펜(300)을 충전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가 커버(100)에 수납된 전자 펜(300)을 감지하고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203)은 전자 펜(300)이 커버(100)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디지타이저 제어기(digitizer controller)(202)에서 일정 시간 주기로 Tx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Tx신호는 커버(100)의 포고 핀(411b)을 통해 충전 코일(411a)에 디텍팅 신호(detecting signal)로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펜(300)이 커버(100)의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 즉 커버(100)의 충전 코일(411a)과 전자 펜(300)의 EMR 코일(301)이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인 경우, 커버(100)의 충전 코일(411a)과 전자 펜(300)의 EMR 코일(301) 사이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 EM field)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에 의하여 전자 펜(300)의 EMR 코일(301)에서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유도 전류는 EMR 코일부의 내부에 구성된 공진탱크에 축적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 제어기(202)에서 인가하는 Tx 신호가 멈추는 경우, 공진탱크에 저장된 에너지는 EMR 코일(301)로 유입되어 전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코일(411a)에서 전류가 유도(또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디지타이저 제어기(202)는 유도된 전류(또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 내 삽입된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 내 삽입 상태라 판단한 경우, 디지타이저 제어기(202)는 일정 주기로 충전 신호(디텍팅 신호 대비 높은 진폭의 신호)를 충전 코일(411a)로 인가할 수 있다. 충전 코일(411a)에 인가된 충전 신호에 의하여 전자 펜(300)의 EMR 코일(301)에서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유도 전류는 디텍팅 신호 대비 높은 전압 값을 가진 에너지로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는 EMR 코일부의 내부에 구성된 공진탱크로 전달될 수 있고 공진탱크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정류기(rectifier)(302)를 통해 직류 전류로 정류될 수 있다. 정류기(302)에 의해 정류된 에너지는 정류기(302)와 연결된 전압 감지기(voltage detector)(303)로 전달될 수 있고, 전압 감지기(303)는 일정 임계 값 이상의 전압을 가진 신호의 수신 응답하여 충전 스위치(304)가 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304)가 ON되는 경우, 회로적으로 배터리(305)가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가 배터리(305)로 전달될 수 있고 배터리(305)가 충전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커버(100)에서 스토퍼(stopper)(412)를 이용하여 전자 펜(300)을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100)의 포켓 공간에 전자 펜(300)이 수납된 경우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서 빠져나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 펜(300)의 충전이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버(100)는 전자 펜(300)을 포켓 공간에 고정시키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에는 수납된 전자 펜(3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토퍼(stopper)(41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퍼(412)는 전자 펜(300)의 일 측면에 걸릴 수 있는 후크(hook)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크 형상의 스토퍼(412)가 전자 펜(300)의 일 측면에 걸리는 경우 전자 펜(300)은 포켓 공간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은 전자 펜(300)을 커버(100)의 포켓 공간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버튼(30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의 말단부에 배치된 버튼(308)은 스토퍼(412)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전자 펜(300)의 말단부에 배치된 버튼(308)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버튼(308)을 이용하여 스토퍼(412)에 걸려 고정된 전자 펜(300)의 고정을 풀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의 버튼(308)을 누르면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들어가 스토퍼(4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다시 한번 더 버튼(308)을 누르면 포켓 공간에서 전자 펜(300)이 튀어나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308)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예: 스프링)에 의한 반발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포켓 공간으로부터 전자 펜(300)이 탈착될 수 있다. 즉,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 내 수용된 상태에서 버튼(308)을 누르는 경우, 전자 펜(300)이 당겨지는 힘이 전자 펜(300)이 스토퍼(412)에 걸려 고정된 힘보다 크므로, 포켓 공간으로부터 전자 펜(300)이 탈착될 수 있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커버(100)에서 자석(413c, 413d)을 이용하여 전자 펜(300)을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a에서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과 전자 장치(200)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배치된 제1 자석(413a), 제2 자석(413b), 제3 자석(413c), 및 제4 자석(413d)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전자 펜(300)을 포켓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309a, 309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펜(300)에 배치된 자석과 연결 영역(130)에 배치된 자석 사이 자기력(예: 인력)이 작용하여 전자 펜(300)을 포켓 공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의 제9 자석(309a)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커버(100)의 제3 자석(413c)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전자 펜(300)의 제10 자석(309b)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커버(100)의 제4 자석(413d)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에 배치된 제9 자석(309a)의 극성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의 정위치에 수납된 상태에서 연결 영역(130)에 배치된 제3 자석(413c)의 극성과 서로 상이하여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펜(300)에 배치된 제10 자석(309b)의 극성은,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의 정위치에 수납된 상태에서 연결 영역(130)에 배치된 제4 자석(413d)의 극성과 서로 상이하여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300)의 말단부에는 버튼(308)을 포함할 수 있고 도 8a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자 펜(300)의 용이한 탈착을 위하여 반발 메커니즘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자 펜(300)이 포켓 공간 내 수용된 상태에서 버튼(308)을 누르는 경우, 전자 펜(300)이 당겨지는 힘이 전자 펜(300)과 커버(100) 사이 자기력(즉, 인력) 보다 크므로, 포켓 공간으로부터 전자 펜(300)이 탈착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25)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모듈(111)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 커버(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 커버(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120)은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전자 장치(200)가 커버(100)로 씌워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보조 출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5)의 사이즈(즉,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제2 영역(120) 내부에 배치되기 위하여, 커버(100)의 제2 영역(120)의 사이즈(즉,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와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제2 영역(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사용되는 경우, 제2 영역(120) 내부에 수납된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제2 영역(120)에 삽입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가이드할 수 있는 리브가 배치될 수 있고, 리브에 의하여 사용자는 제2 영역(120)에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커버(100)로 씌워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측면은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즉, 전자 장치(200)의 포고 단자(201)와 커버(100)의 포고 핀(411b)이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포고 단자(201)와 커버(100)의 포고 핀(411b)이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영역(120) 내부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꺼내어 전자 장치(200)의 보조 출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커버(100)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함께 듀얼(dual)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커버(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슬라이드 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의 (a)는 전자 장치(200) 커버(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제2 영역(120)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b)는 전자 장치(200) 커버(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0)는 도 2a 또는 도 2b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200)를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와 커버(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영역(120) 내부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슬라이드로 꺼낼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모듈(125)을 통해 전자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제2 영역(12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포고 모듈(411)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커버(100)에 배치된 배터리(430)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5)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포고 모듈(411), 블루투스 통신,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5)은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전자 펜(300)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패널과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입력과 전자 펜(300)에 의한 입력을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1 패널은, 전자 펜(300)이 제1 패널에 접근할 때 생기는 전자기 공명의 변화를 이용하는 EMR(eletro magnetic resonance) 방식으로 전자 펜(300)에 의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1 패널은, 전자 펜(30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으로 전자 펜(300)에 의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도 9a를 참조하면, 커버(100)의 제1 영역(110) 또는 제2 영역(120)은 내부에 모바일 결제를 위한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모듈(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듈(111)은 마그네틱 신용카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시켜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듈(111)은 전자 장치(200)가 커버(100)로 씌워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와 연결되어 모바일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커버(100)로 씌워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측면은 커버(100)의 연결 영역(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즉, 전자 장치(200)의 포고 단자(201)와 커버(100)의 포고 핀(411b)이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포고 단자(201)와 커버(100)의 포고 핀(411b)이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듈(111)이 포함된 전자 장치(200)의 커버(100)를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에 대는 경우, 단말기는 신용카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의 커버(예: 도 1의 커버(100))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 및 상기 제1 구조를 감싸면서 전자 펜이 수납되는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켓 공간은, 상기 커버의 배터리가 배치되는 제1 포켓 공간 및 상기 전자 펜이 수납되는 제2 포켓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포고(pogo)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고 모듈은 포고 핀(pogo fin) 및 충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고 모듈의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에는 스토퍼(stopper)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전자 펜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조에는 LED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연결 영역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은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영역 내부에서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모바일 결제를 위한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켓 공간의 상단 영역은 이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닫힌 구조를 가지고, 상기 상단 영역에 대응하는 하단 영역은 상기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측면이 가지는 높이보다 더 긴 제1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측면이 가지는 길이와 같거나 더 긴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가능한 전자 펜(예: 도 1의 전자 펜(30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의 커버(예: 도 1의 커버(100))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 및 상기 제1 구조를 감싸면서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자 펜은 상기 포켓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켓 공간은 상기 커버의 배터리가 배치되는 제1 포켓 공간 및 상기 전자 펜이 수납되는 제2 포켓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포고(pogo)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포고 모듈은 포고 핀(pogo fin) 및 충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고 모듈의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조에는 스토퍼(stopper)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전자 펜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조에는 LED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연결 영역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 및 상기 제1 구조를 감싸면서 전자 펜이 수납되는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를 포함하는,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 공간은, 상기 커버의 배터리가 배치되는 제1 포켓 공간 및 상기 전자 펜이 수납되는 제2 포켓 공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포고(pogo) 모듈이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고 모듈은, 포고 핀(pogo fin) 및 충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포고 모듈의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자석이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에는 스토퍼(stopper)가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전자 펜을 고정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는 LED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연결 영역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영역 내부에서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모바일 결제를 위한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 공간의 상단 영역은 이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닫힌 구조를 가지고, 상기 상단 영역에 대응하는 하단 영역은 상기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측면이 가지는 높이보다 더 긴 제1 높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커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측면이 가지는 길이와 같거나 더 긴 제1 길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커버.
  15. 수납 가능한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제1 영역;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구조; 및 상기 제1 구조를 감싸면서 포켓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펜은, 상기 포켓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수납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켓 공간은, 상기 커버의 배터리가 배치되는 제1 포켓 공간 및 상기 전자 펜이 수납되는 제2 포켓 공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포고(pogo)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포고 모듈은, 포고 핀(pogo fin) 및 충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포고 모듈의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된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에는 스토퍼(stopper)가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전자 펜을 고정하는, 전자 장치의 커버.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는 LED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연결 영역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포켓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 장치의 커버.
KR1020200089654A 2020-07-20 2020-07-20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KR20220010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54A KR20220010921A (ko) 2020-07-20 2020-07-20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PCT/KR2021/009273 WO2022019592A1 (ko) 2020-07-20 2021-07-19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54A KR20220010921A (ko) 2020-07-20 2020-07-20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921A true KR20220010921A (ko) 2022-01-27

Family

ID=7972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654A KR20220010921A (ko) 2020-07-20 2020-07-20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0921A (ko)
WO (1) WO20220195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40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솔레노이드 타입 감지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5038B1 (en) * 1998-04-16 2001-09-25 Carlton S. Rebeske Laptop computer
US8766921B2 (en) * 2011-10-11 2014-07-0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ver with keyboard
US9149100B2 (en) * 2013-08-07 2015-10-06 ACCO Brands Corporatio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33633A (ko) * 2015-09-17 201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펜과,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01718B1 (ko) * 2015-12-21 2022-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40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솔레노이드 타입 감지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592A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271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388116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idable body
ES2919675T3 (es) Dispositivo de soporte, dispositivo de carga y sistema de controlador
CN204229389U (zh) 封套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2706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196979B2 (en) Cable connector device
EP3252916B1 (en) Apparatus for charg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367932B1 (ko) 전자 장치의 레이어드 액세사리 케이스 및 그의 거치 장치
KR102661583B1 (ko)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70372286A1 (en) Pos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403625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553585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타일러스 펜 충전 방법
US20160343264A1 (en) Interactive Book with Proximity, Touch, and/or Gesture Sensing
EP325296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33633A (ko) 펜과,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20010921A (ko)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KR101361845B1 (ko) 휴대폰 후면용 덮개
US1099019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JP4632067B2 (ja) 携帯型決済端末の充電装置
KR20160112145A (ko)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EP324686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64458B1 (en) Spring connector and corresponding guide element
KR102580884B1 (ko) 식별한 커버들의 종류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330592B2 (ja) 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