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629A -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629A
KR20220010629A KR1020200088049A KR20200088049A KR20220010629A KR 20220010629 A KR20220010629 A KR 20220010629A KR 1020200088049 A KR1020200088049 A KR 1020200088049A KR 20200088049 A KR20200088049 A KR 20200088049A KR 20220010629 A KR20220010629 A KR 2022001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bending
modulus
coating part
cov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훈
김승호
심규인
김승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629A/ko
Priority to US17/223,358 priority patent/US11871604B2/en
Priority to CN202110689509.1A priority patent/CN113948001A/zh
Publication of KR2022001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03C17/324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03C17/328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05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D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벤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평탄부 및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벤딩된 형상의 베이스층 및 벤딩부 상에 배치되고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코팅부를 포함하며 제1 모듈러스는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다. 이를 통해 강도가 개선되고 심미성이 있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COVER WINDOW}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가 개선된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평면 표시 장치 외에도 커브드 표시 장치, 벤딩형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등과 같은 곡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벤딩형 표시 장치에 포함된 벤딩 영역은 평면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약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강도 개선, 특히 벤딩 영역의 강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형 표시 장치의 강도를 개선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벤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평탄부 및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벤딩된 형상의 베이스층; 및 상기 벤딩부 상에 배치되고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러스는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중심 부분의 두께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양 끝측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부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부는 상기 벤딩부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에 상에 배치되는 제2 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와 같거나 크고,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부는 상기 제1 코팅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층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부와 상기 제2 코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코팅부를 커버하는 제3 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코팅부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와 같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부는 상기 제1 평탄부 상에 배치된 제1 서브코팅부 및 상기 제2 평탄부 상에 배치된 제2 서브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코팅부 및 상기 제2 서브코팅부는 상기 제1 코팅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코팅부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0.1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의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마주하는 제1 평면 영역 및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평탄부,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벤딩부 및 상기 제2 평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벤딩부 상에 배치된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러스는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코팅부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중심 부분의 두께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양 끝측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2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에 상에 배치되는 제2 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와 같거나 크고,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벤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마주하는 제1 평탄부 및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상기 벤딩부의 상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지지대에 삽입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벤딩부 상면에 조성물을 분사하여 상기 벤딩부에 중첩하도록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부가 형상된 상기 베이스층을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된 외곽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곽 지지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외곽 지지부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가 삽입되어, 상기 외곽 지지부가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벤딩부의 내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벤딩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상기 벤딩부의 중심 부분에 대응하도록 노즐을 배치하고, 상기 벤딩부의 중심 부분에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조성물을 분사하여 상기 코팅부의 두께가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중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코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강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은 코팅부의 두께를 조절하여 일부 영역에만 코팅시킬 수 있으며, 강도가 개선된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층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 샤르피 충격 시험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1 코팅부의 두께에 따른 흡수 에너지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복수 개의 표시면들(IS-1, IS-2, IS-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복수 개의 표시면들(IS-1, IS-2, IS-3)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동일한 표시 장치(DD)에 대한 도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제3 방향축(DR3) 방향에서 바라볼 때의 표시 장치(DD)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제4 방향축(DR4) 방향에서 바라볼 때의 표시 장치(DD)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a와 도 1b 및 이하 도면들에서는 제1 방향축(DR1) 내지 제4 방향축(DR4)을 도시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4 방향축들(DR1, DR2, DR3, DR4)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은 서로 직교하고, 제3 방향축(DR3)과 제4 방향축(DR4)은 각각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대한 법선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축(DR3)과 제4 방향축(DR4)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 장치(DD)는 제1 표시면(IS-1)을 포함하는 제1 평면 영역(FA-1), 제2 표시면(IS-2)을 포함하는 제2 평면 영역(FA-2), 및 제3 표시면(IS-3)을 포함하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평면 영역(FA-1)과 제2 평면 영역(FA-2) 사이에 배치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평면 영역(FA-1)은 제2 평면 영역(FA-2)과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벤딩 영역(BA)은 곡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 영역(BA)은 제1 평면 영역(FA-1)과 제2 평면 영역(FA-2) 사이에 배치되며, 스테이플 형상("ㄷ"자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제1 평면 영역(FA-1)과 제2 평면 영역(FA-2)은 제3 방향축(DR3)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표시면(IS-1)은 제1 표시 영역(IS-DA1) 및 제1 표시 영역(IS-DA1)에 인접한 제1 주변 영역(IS-NA1)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표시면(IS-2)은 제2 표시 영역(IS-DA2)과 제2 표시 영역(IS-DA2)에 인접한 제2 주변 영역(IS-NA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표시면(IS-3)은 제3 표시 영역(IS-DA3)과 제3 표시 영역(IS-DA3)에 인접한 제3 주변 영역(IS-NA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 영역(IS-DA1, IS-DA2, IS-DA3)은 실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주변 영역(IS-NA1, IS-NA2, IS-NA3)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된다. 주변 영역(IS-NA1, IS-NA2, IS-NA3)은 인쇄층을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변 영역(IS-NA1, IS-NA2, IS-NA3)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표시면(IS-1)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평행한 것일 수 있다. 제1 표시면(IS-1)은 평면상에서 볼 때 평탄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또는 평면상에서"의 의미는 제3 방향축(DR3) 방향 또는 제4 방향축(DR4) 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층들 또는 구성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제1 표시면(IS-1)의 제1 표시 영역(IS-DA1)은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제2 표시면(IS-2)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평행한 것일 수 있다. 제2 표시면(IS-2)은 평면상에서 볼 때 평탄면일 수 있다. 제2 표시면(IS-2)은 제1 표시면(IS-1)과 평행한 것일 수 있다. 제2 표시면(IS-2)의 제2 표시 영역(IS-DA2)은 제4 방향축(DR4)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표시면(IS-3)은 제1 표시면(IS-1)과 제2 표시면(IS-2) 사이에 배치된 부분으로 제3 표시면(IS-3)을 기준으로 제1 표시면(IS-1)과 제2 표시면(IS-2)은 180° 각도로 벤딩된 부분일 수 있다. 제3 표시면(IS-3)의 제3 표시 영역(IS-DA3)은 제3 방향축(DR3)과 제4 방향축(DR4) 사이의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표시면(IS-3)을 사이에 두고 제1 표시면(IS-1)과 제2 표시면(IS-2)은 제3 방향축(DR3) 또는 제4 방향축(DR4)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1 내지 제3 표시 영역들(IS-DA1, IS-DA2, IS-DA3) 각각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들(IS-DA1, IS-DA2, IS-DA3)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은 하나의 동일한 이미지이거나, 서로 다른 이미지들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들(IS-DA1, IS-DA2, IS-DA3) 각각으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영역(IS-DA1) 및 제2 표시 영역(IS-DA2)에 각각 이미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제1 표시 영역(IS-DA1), 제2 표시 영역(IS-DA2) 및 제3 표시 영역(IS-DA3)에 각각으로부터 표시되는 연결된 시계 이미지를 표시하는 일 예의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다.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들(IS-DA1, IS-DA2, IS-DA3)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에 포함된 베이스층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 도 1a)에 포함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는 표시 장치(DD)의 최상부층 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의 내측(WP-IS)에는 표시 패널(DP, 도 14)이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의 외측(WP-OS)은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1, IS-2, IS-3, 도 1a)이 대응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 윈도우(WP)는 베이스층(BS) 및 적어도 하나의 코팅부(CM1, CM2, CM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강화 처리된 표면을 포함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도 14)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코팅부(CM1, CM2, CM3)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베이스층(BS)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에 포함되는 코팅부(CM1, CM2, CM3)는 베이스층(BS) 상에 코팅부(CM1, CM2 CM3)의 조성물을 분사하여 형성된 코팅막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층(BS) 상에 코팅 필름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WP)는 베이스층(BS) 및 제1 코팅부(CM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베이스층(BS)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층(BS)은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BX)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부(BP)와 벤딩부(BP) 양 측에 각각 배치된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는 벤딩부(BP)를 사이에 두고 이격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층(BS)에서 벤딩부(BP)는 제1 평탄부(PP-1)가 시작되는 부분과 제2 평탄부(PP-2)가 시작되는 부분 사이의 벤딩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벤딩부(BP),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에 대응하는 부분을 영역으로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벤딩부(BP)의 벤딩 각도(θ)는 제1 평탄부(PP-1)가 시작되는 지점(PP-S1)과 제2 평탄부(PP-2)가 시작되는 지점(PP-S2)이 이루는 사이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베이스층(BS)에서의 벤딩 각도(θ)는 180°일 수 있다.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평탄부의 연장면과 제2 평탄부의 연장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부(BP)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제1 평탄부(PP-1)의 연장면과 제2 평탄부(PP-2)의 연장면은 연장되는 방향인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연장되는 방향인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평탄부(PP-1)와 제2 평탄부(PP-2)의 면적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벤딩부(BP)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평탄부(PP-1)와 제2 평탄부(PP-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2 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평탄부(PP-1)와 제2 평탄부(PP-2)의 형상이 벤딩부(BP)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평탄부(PP-1)와 제2 평탄부(PP-2)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베이스층(BS)은 리지드(rigid)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은 유리(glass)를 포함할 수 있고, 유리는 표면이 강화 처리된 유리일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벤딩부(BP),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가 일체로 형성되어 벤딩된 형상일 수 있다. 벤딩부(BP)를 사이에 두고 제1 평탄부(PP-1)와 제2 평탄부(PP-2)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형태로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두께(DB)는 0.1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두께(DB)가 너무 얇으면 충격으로부터 베이스층(BS)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한다. 베이스층(BS)의 두께(DB)가 너무 두꺼우면 베이스층(BS)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WP) 및 표시 장치(DD)의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자의 편의에 맞지 않을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베이스층(BS)의 벤딩부(B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벤딩부(BP) 상에 배치되는 제1 코팅부(CM1)를 베이스층(BS)과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제1 코팅부(CM1)는 베이스층(BS)의 벤딩부(BP)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 상에 배치되어 베이스층(BS)의 평탄부들(PP-1, PP-2)보다 상대적으로 충격에 약한 벤딩부(BP)를 보호할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내측(BS-IS)은 커버 윈도우(WP)의 내측(WP-IS)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층(BS)의 내측(WP-IS)에 표시 패널(DP, 도 14)이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외측(BS-OS)에는 코팅부(CM1, CM2, CM3)가 배치될 수 있다. 코팅부(CM1, CM2, CM3)의 배치에 따라 베이스층(BS)의 외측(BS-OS)이 커버 윈도우(WP) 외측(WP-OS)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는 내측(WP-IS) 또는 외측(WP-OS)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인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미도시)은 주변 영역들(IS-NA1, IS-NA2, IS-NA3, 도 1a, 도 1b)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로 베이스층(BS) 및 제1 코팅부(CM1)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WP)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윈도우(WP)의 실시예에 따라 코팅부(CM1, CM2, CM3)의 형상, 구성, 배치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도 4 내지 도 12에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였다. 베이스층(BS)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층(BS)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코팅부(CM1, CM2, CM3)를 중심으로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벤딩부(BP) 상에 배치된 제1 코팅부(CM1)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a)를 도시하였다. 도 8 내지 도 12는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된 복수의 코팅부들(CM1, CM2, CM3)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b, WP-c, WP-d)를 도시하였다.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a)는 베이스층(BS) 및 제1 코팅부(CM1)를 포함한다. 제1 코팅부(CM1)는 베이스층(BS) 상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의 전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코팅부(CM1)는 부분에 따라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 상에 직접 코팅되어 벤딩부(BP)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코팅부(CM1)는 코팅 필름 형태로 벤딩부(BP)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를 커버하여 충격에 약한 벤딩부(BP)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제1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제1 모듈러스는 베이스층(BS)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베이스층(BS)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가짐으로써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팅부(CM1)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코팅부(CM1)의 물질이 상기 예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코팅부(CM1)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 도 1a)에서 제1 코팅부(CM1)는 표시 장치(DD, 도 1a)에 포함된 제3 표시 영역(IS-DA3, 도 1a)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IS-DA3, 도 1a)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광학적으로 투명한 일 실시예의 제1 코팅부(CM1)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벤딩부(BP)에 중첩하는 베이스층(BS)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1 코팅부(CM1)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a)는 표시 패널(DP, 도 14) 상에 배치되어, 평탄부들(PP-1, PP-2)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격에 약한 벤딩부(BP)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팅부(CM1)와 비중첩하는 영역을 통해 표시 패널(DP, 도 14)이 제공하는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 상에 중첩하고,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 상에는 비중첩할 수 있다. 벤딩부(BP)와 중첩하는 커버 윈도우(WP-a)의 외측(WP-OS, 도 2)은 제1 코팅부(CM1)의 외측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에 중첩하는 커버 윈도우(WP-a)의 외측(WP-OS, 도 2)은 베이스층(BS)의 외측(BS-OS, 도 3)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 중에서도 가장 외부 충격에 약한 일부 영역만을 커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에 중첩할 수 있고,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 일부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 상면, 벤딩부(BP)와 제1 평탄부(PP-1)의 경계 및 벤딩부(BP)와 제2 평탄부(PP-2)의 경계를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다. 벤딩축(BX)에 중첩하는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 두께(DC)는 제1 코팅부(CM1)의 끝 측의 두께(DS)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 두께(DC)는 예를 들어, 50㎛ 이상일 수 있고, 5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a)에 포함된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 윈도우(WP-a)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벤딩축(BX)에 중첩하는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의 두께(DC)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코팅부(CM1)의 양 끝측의 두께(DS1, DS2)보다 클 수 있다. 벤딩부(BP)의 중심 부분에 중첩하는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의 두께(DC)를 더 두껍게 형성해서 상대적으로 충격에 취약한 벤딩부(BP)의 중심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 두께(DC)는 50㎛ 이상 일 수 있고, 5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코팅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충격 흡수량이 커져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베이스층(BS)을 잘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코팅부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고, 커버 윈도우(WP)가 표시 패널(DP, 도 14) 상에 배치되는 경우 표시 패널(DP, 도 14)에서 제공하는 이미지의 선명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중심에서 양 끝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팅부(CM1)는 베이스층(BS)과 단차없이 매끄럽게 코팅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층(BS)과 단차없이 매끄럽게 코팅하여 벤딩부(BP)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커버 윈도우(WP-a)의 심미성을 살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b, WP-c, WP-d)는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된 복수의 코팅부들(CM1, CM2, CM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제1 및 제2 코팅부들(CM1, CM2)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b)를 도시하였다. 도 10은 제1 내지 제3 코팅부들(CM1, CM2, CM3)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d)를 도시하였다. 도 11 내지 도 12는 제1 및 제2 코팅부들(CM1, CM2)을 포함하며, 제2 코팅부(CM2)가 이격된 복수의 서브코팅부들(CM2-a, CM2-b)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c)를 도시하였다.
복수의 코팅부들(CM1, CM2, CM3)은 베이스층(BS) 상에 코팅부들(CM1, CM2, CM3) 각각의 조성물을 분사하여 형성된 코팅막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코팅부들(CM1, CM2, CM3) 중 적어도 일부는 코팅 필름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b)는 제2 코팅부(CM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나, 제1 코팅부(CM1)의 형상에 일부 차이가 있다.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b)에 포함된 제1 코팅부(CM1)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후 차이점을 위주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코팅부(CM1)는 제2 코팅부(CM2) 상의 벤딩부(BP)에 중첩되는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BP) 상에는 제2 코팅부(CM2) 및 제1 코팅부(CM1)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벤딩부(BP)를 보호하는 코팅부의 두께가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를 보호하는 코팅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b)는 제2 코팅부(CM)에 의해 베이스층(BS)의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 상면이 보호될 수 있고, 제1 코팅부(CM1) 및 제2 코팅부(CM2)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충격에 약한 벤딩부(BP)를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제1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고, 제2 코팅부(CM2)는 제2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제2 모듈러스는 제1 모듈러스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베이스층(BS)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모듈러스가 제1 모듈러스보다 큰 경우, 제1 코팅부(CM1)에서 흡수한 충격을 제2 코팅부(CM2)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코팅부(CM2)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팅부(CM2)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코팅부(CM2)의 물질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코팅부(CM2)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 도 1a)에서 제2 코팅부(CM2)는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IS-DA1, IS-DA2, IS-DA3, 도 1a, 도 1b)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IS-DA1, IS-DA2, IS-DA3, 도 1a, 도 1b)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광학적으로 투명한 일 실시예의 제2 코팅부(CM2)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제2 코팅부(CM2)는 제1 코팅부(CM1)와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의 하면은 제2 코팅부(CM2)에 접촉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벤딩부(BP)에 중첩하는 부분의 두께가 더 두꺼운 일체의 형상의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팅부(CM2)는 제1 코팅부(CM1)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지만 물리적 성질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물질이라도 물질의 분자 배열 구조에 따라 상대적으로 경질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제2 코팅부(CM2)는 제1 코팅부(CM1)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지만, 모듈러스가 다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영역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제1 코팅부(CM1)는 제2 코팅부(CM2) 상에 접촉하여, 제2 코팅부(CM2)와 단차없이 매끄럽게 코팅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c)는 제2 코팅부(CM2) 상에 배치된 제3 코팅부(CM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코팅부(CM3)는 제1 코팅부(CM1)와 제2 코팅부(C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팅부(CM2)는 베이스층(BS)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고, 제3 코팅부(CM3)는 제2 코팅부(CM2)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제1 코팅부(CM1)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코팅부(CM3)의 모듈러스는 제1 코팅부(CM1)의 모듈러스와 같을 수 있고 제2 코팅부(CM2)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c)는 베이스층(BS)의 전면을 커버하는 이종의 모듈러스의 코팅부들(CM1, CM2, CM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모듈러스가 작은 제1 코팅부(CM1) 및 제3 코팅부(CM3)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모듈러스가 큰 제2 코팅부(CM2)는 제1 코팅부(CM1) 및 제3 코팅부(CM3)가 흡수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벤딩부(BP) 상에는 제2 코팅부(CM2), 제3 코팅부(CM3) 및 제1 코팅부(CM1)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 상에는 제2 코팅부(CM2) 및 제3 코팅부(CM3)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BP)를 보호하는 코팅부의 두께가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를 보호하는 코팅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코팅부(CM1, CM2, CM3)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충격에 약한 벤딩부(BP)를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b, WP-c)는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된 복수의 코팅부들(CM1, CM2, CM3)에 의해 벤딩부(BP)에 중첩하는 코팅부들의 두께가 평탄부들(PP-1, PP-2)에 중첩하는 코팅부들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b, WP-c)는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된 복수의 코팅부들(CM1, CM2, CM3)에 의해 이종의 모듈러스를 갖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코팅부들(CM1, CM2, CM3)은 커버 윈도우(WP-b, WP-c)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특히, 외부 충격에 약한 벤딩부(BP)의 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WP-d)에 포함된 제2 코팅부(CM2)는 복수의 서브코팅부들(CM2-a, CM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d)는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나 제1 코팅부(CM1)의 형상에 일부 차이가 있다.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d)에 포함된 제1 코팅부(CM1)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후 차이점을 위주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코팅부(CM2)는 제1 평탄부(PP-1) 상에 배치된 제1 서브코팅부(CM2-a) 및 제2 평탄부(PP-2) 상에 배치된 제2 서브코팅부(CM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코팅부(CM2-a)와 제2 서브코팅부(CM2-b)는 제1 코팅부(CM1)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서브코팅부(CM2-a)는 제1 코팅부(CM1)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고, 제2 서브코팅부(CM2-b)는 제1 코팅부(CM1)의 다른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의 두께(DC)는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의 두께(D2-a, D2-b) 각각과 동일 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 제1 서브코팅부(CM2-a) 및 제2 서브코팅부(CM2-b)는 일체의 형상일 수 있고, 평면상 동일한 층상일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제1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고, 제2 코팅부(CM2)는 제2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팅부(CM2)에 포함된 제1 서브코팅부(CM2-a) 및 제2 서브코팅부(CM2-b) 각각은 동일하게 제2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제2 모듈러스는 제1 모듈러스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2 모듈러스는 베이스층(BS)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코팅부(CM1), 제1 서브코팅부(CM2-a) 및 제2 서브코팅부(CM2-b)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모듈러스가 제1 모듈러스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코팅부(CM1)에서 흡수한 충격을 제1 서브코팅부(CM2-a) 및 제2 서브코팅부(CM2-b) 각각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은 각각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의 물질의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코팅부(CM1),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CM2-a, CM2-b)들 각각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 도 1a)에서 제1 코팅부(CM1)는 제3 표시 영역(IS-DA3, 도 1a)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1 서브코팅부(CM2-a)는 제1 표시 영역(IS-DA1, 도 1a)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서브코팅부(CM2-b)는 제2 표시 영역(IS-DA2, 도 1b)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IS-DA1, IS-DA2, IS-DA3, 도 1a, 도 1b)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광학적으로 투명한 일 실시예의 제1 코팅부(CM1), 제1 내지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 각각은 제1 코팅부(CM1)와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 각각은 제1 코팅부(CM1)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지만 물리적 성질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서브코팅부들(CM2-a, CM2-b) 각각은 제1 코팅부(CM1)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지만, 모듈러스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다른 코팅부는 일체의 형상을 갖지만 영역에 따라 모듈러스가 다른 코팅부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영역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의 두께(DC)는 제1 서브코팅부(CM2-a)에 접촉하는 제1 코팅부(CM1) 일측의 두께(DS1) 및 제2 서브코팅부(CM2-b) 에 접촉하는 제1 코팅부(CM1) 타측의 두께(DS2)와 상이할 수 있고, 그 값이 더 클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벤딩축(BX)에 중첩하는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의 두께(DC)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코팅부(CM1)의 양 끝측의 두께(DS1, DS2)와 상이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의 두께(DC)는 제1 서브코팅부(CM2-a)와 접촉하는 제1 코팅부(CM1) 일측의 두께(DS1) 및 제2 서브코팅부(CM2-b)와 접촉하는 제1 코팅부(CM1) 타측의 두께(DS2)보다 클 수 있다. 제1 코팅부(CM1) 일측의 두께(DS1)는 제1 서브코팅부(CM2-a)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고, 제1 코팅부(CM1) 타측의 두께(DS2)는 제2 서브코팅부(CM2-b)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부는 일체의 형상을 가지면서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영역에 따라 모듈러스가 다른 코팅부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 평가 방법인 샤르피 충격 시험(Charpy impact test)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 첫 단계로, 커버 윈도우(WP)의 굴곡부(BP) 상에 배치된 코팅부(CM1)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도록 금속 추(ME)를 고정한다. 해당 평가에서는 굴곡부(BP)의 중심과 금속 추(ME)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10°가 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그 후 금속 추(ME)의 고정을 해제하여 코팅부(CM1)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해당 평가는 금속 추(ME)의 하중과 코팅부(CM1)의 두께를 변경하여 코팅부(CM1)의 두께에 따른 흡수 에너지를 측정한다. 본 평가에서는 0.02초의 충격 시간 동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하는 코팅부(CM1)가 흡수하는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은 커버 윈도우의 샤르피 충격 시험(Charpy impact test)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강도 개선 정도"는 제1 코팅부가 없는 커버 윈도우의 충격 흡수 정도와 제1 코팅부가 포함된 커버 윈도우의 충격 흡수 정도를 비교하여 제1 코팅부가 포함된 커버 윈도우의 강도가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14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제1 코팅부의 두께에 따른 흡수에너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1 코팅부 두께(㎛) 300 250 200 150 100 50 0
충격체 하중(Kgf) 2.70 2.57 2.65 2.60 2.31 1.86 1.51
흡수에너지(J) 1.04 0.99 1.02 1.00 0.89 0.71 0.58
강도 개선 정도(%) 179 171 176 173 154 123 -
표 1을 참조하면, 제1 코팅부가 미포함된 커버 윈도우보다 제1 코팅부가 포함된 커버 윈도우가 흡수에너지가 크고, 강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코팅부의 두께가 50㎛ 이상인 경우 제1 코팅부가 없을 때보다 123% 강도가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50㎛에서 150㎛의 두께에서는 두께 증가에 따라 커버 윈도우의 흡수에너지 및 강도 개선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1 코팅부의 두께는 50㎛ 이상일 수 있다. 강도가 개선된 커버 윈도우를 제공함으로써, 커버 윈도우 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4 및 표 1을 참조하면, 제1 코팅부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흡수에너지와 강도 개선 정도가 증가하다가 150㎛ 이상 두께에서는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150㎛ 이상 두께에서는 흡수에너지는 1 내외로 비슷하며, 강도 개선 정도는 170% 이상 180% 이하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1 코팅부의 두께는 커버 윈도우의 강도 개선을 위해 50㎛ 이상일 수 있고, 커버 윈도우의 박막화, 심미성, 코팅부 재료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제1 코팅부의 두께는 30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점착층(AD) 및 커버 윈도우(W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점착층(AD)을 사이에 두고 커버 윈도우(WP)의 내측(WP-IS, 도 3)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는 베이스층(BS) 및 적어도 하나의 코팅부(CM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부(CM1)는 커버 윈도우(WP)의 강도를 개선시켜주며 커버 윈도우(WP) 내측에 배치된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커버 윈도우(WP)는 도 2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커버 윈도우의 일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장치(DD)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고 따라서 벤딩된 형상일 수 있다.
점착층(AD)은 표시 패널(DP)과 커버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되어서 표시 패널(DP) 상에 커버 윈도우(WP)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점착층(AD)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점착층(AD)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 패널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II-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BX)을 중심으로 벤딩된 벤딩 영역(BA)과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 평면 영역(FA-1) 및 제2 평면 영역(FA-2)을 포함한다. 제1 평면 영역(FA-1)은 제2 평면 영역(FA-2)과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에 점착층(AD)이 배치될 수 있다. 점착층(AD)은 표시 패널(DP) 상에 일체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는 점착층(AD)을 사이에 두고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는 베이스층(BS) 및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되는 코팅부(CM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WP)는 도 1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WP)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벤딩부(BP),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BP)는 벤딩 영역(BA)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평탄부(PP-1)는 제1 평면 영역(FA-1)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평탄부(PP-2)는 제2 평면 영역(FA-2)에 대응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6 및 도 18a 내지 도 18d에는 벤딩부(BP),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를 베이스층(BS)의 부분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벤딩부(BP),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부(B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벤딩 영역(BA)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팅부(CM1)는 일 실시예에 따라 두께가 일정할 수 있고, 두께가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팅부(CM1)의 두께는 양 끝측에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팅부(CM1)의 중심 부분의 두께(DC)는 제1 코팅부(CM1) 양 끝측의 두께(DS1, DS2)보다 클 수 있고, 제1 코팅부(CM1)에서 중심 부분의 두께(DC)가 가장 클 수 있다.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은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코팅부(CM1)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및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주변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OLED)에 복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회로 소자층(DP-CL)에 배치된 트랜지스터 및 표시 소자층(DP-OLED)에 배치되어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덮도록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들 및 무기층들 사이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은 평탄부 및 벤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평탄부는 커버하고 벤딩부 상면은 노출시키는 지지대에 삽입하는 단계(S1), 노출된 벤딩부 상면에 조성물을 분사하고 벤딩부에 중첩하는 부분에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S2) 및 코팅부가 형성된 베이스층을 지지대에서 분리하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는 평탄부 및 벤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평탄부는 커버하고 벤딩부 상면은 노출시키는 지지대에 삽입하는 단계(S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베이스층(BS)은 벤딩부(BP),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에 삽입되는 베이스층(BS)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층(BS)과 동일할 수 있다.
지지대(MD)는 베이스부(MD-B), 돌출부(MD-E), 및 외곽 지지부(MD-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돌출부(MD-E)는 베이스부(MD-B) 상에 배치되며, 베이스층(BS)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돌출부(MD-E)의 형상은 돌출부(MD-E)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층(BS)의 내측(BS-IS) 형상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층(BS)의 형상에 따라 돌출부(MD-E)의 높이는 외곽 지지부(MD-S)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외곽 지지부(MD-S)는 베이스부(MD-B) 상에 배치되고 돌출부(MD-E)를 기준으로 베이스부(MD-B)의 양 측 말단에 각각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곽 지지부(MD-B)는 베이스부(MD-B)의 주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곽 지지부(MD-S)와 돌출부(MD-E) 사이의 공간에 베이스층(BS)에 포함된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 각각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가 삽입됨으로써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 각각의 상면이 외곽 지지부(MD-S)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즉, 베이스층(BS)을 지지대(MD)에 삽입함으로써, 베이스층(BS)에 포함된 벤딩부(BP)의 상면만 노출될 수 있다.
도 18a에서는 외곽 지지부(MD-S)와 베이스부(MD-B)가 일체로 제공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것과 달리, 외곽 지지부(MD-S)는 베이스부(MD-B)와 분리된 구성으로 베이스층(BS)이 돌출부(MD-E) 상에 배치되어 지지된 후에 제1 평탄부(PP-1) 및 제2 평탄부(PP-2)의 상면을 커버할 수도 있다.
도 18b 및 도 18c는 노출된 벤딩부 상면에 조성물을 분사하고 벤딩부에 중첩하도록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S2)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8b는 단면도이고 도 18c는 사시도이다.
베이스층(BS)은 지지대(MD)에 삽입됨으로써 벤딩부(BP)의 상면만 노출될 수 있다. 벤딩부(BP) 상면만 노출시킴으로써 코팅부(CM1)를 원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코팅부(CM1)의 조성물(CM1-1)이 분사되는 노즐(NH)을 벤딩부(BP)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노즐에서 분사되는 조성물의 점도, 조성물의 양, 조성물 분사 시간 등을 조절하여 코팅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노즐(NH)은 벤딩축(BX)에 중첩하는 벤딩부(BP)의 중심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중심에서 양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코팅부(CM1)를 형성할 수 있다.
조성물(CM1-1)은 코팅부(CM1)에 포함되는 물질이며 코팅부(CM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CM1-1)은 유기물일 수 있고, 유기물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d는 코팅부가 형성된 베이스층을 지지대에서 분리하는 단계(S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노즐의 배치, 조성물의 성질, 조성물 분사 시간 등을 조절하여 코팅부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18b 및 도 18c에 도시된 단계를 거친 후, 코팅부(CM1) 중심 부분의 두께가 가장 크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코팅부(CM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은 커버 윈도우에 포함된 벤딩된 베이스층 상면의 일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코팅하거나, 일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두껍게 코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은 베이스층에 벤딩부의 상면만을 선택적으로 코팅할 수 있고 베이스층과 코팅부의 경계에 단차가 없도록 매끄러운 형상으로 코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은 베이스층의 일 부분만 선택적으로 코팅함으로써 강도가 개선되고 심미성이 있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 상에 직접 코팅시킴으로써 점착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포함된 코팅부는 모듈러스가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으면서 이종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부의 모듈러스는 벤딩부에 중첩되는 영역의 모듈러스가 평탄부에 중첩되는 영역의 모듈러스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부는 일부 영역의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부의 두께는 벤딩부에 중첩되는 영역의 두께가 평탄부에 중첩되는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 윈도우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동시에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 표시 장치 DP : 표시 패널
AD : 점착층 BS : 베이스층
WP, WP-a, WP-b, WP-c, WP-d : 커버 윈도우
CM1, CM1 : 제1 코팅부 CM2 : 제2 코팅부
CM2-a : 제1 서브코팅부 CM2-b : 제2 서브코팅부
BA : 벤딩 영역 FA-1 : 제1 평면 영역
FA-2 : 제2 평면 영역 BP : 벤딩부
PP-1 : 제1 평탄부 PP-2 : 제2 평탄부
MD : 지지대 MD-B : 베이스부
MD-E : 돌출부 MD-S : 외곽 지지부
CM1-1 : 조성물 NH : 노즐
BX : 벤딩축

Claims (20)

  1.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벤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평탄부 및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벤딩된 형상의 베이스층; 및
    상기 벤딩부 상에 배치되고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러스는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커버 윈도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중심 부분의 두께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양 끝측의 두께보다 큰 커버 윈도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부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인 커버 윈도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부는 상기 벤딩부에 접촉하는 커버 윈도우.
  6. 제1 항에 있어서,
    제2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에 상에 배치되는 제2 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와 같거나 크고,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커버 윈도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부는 상기 제1 코팅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층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부와 상기 제2 코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코팅부를 커버하는 제3 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코팅부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와 같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 보다 큰 커버 윈도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부는 상기 제1 평탄부 상에 배치된 제1 서브코팅부 및 상기 제2 평탄부 상에 배치된 제2 서브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코팅부 및 상기 제2 서브코팅부는 상기 제1 코팅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커버 윈도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코팅부의 두께와 동일한 커버 윈도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코팅부의 두께보다 큰 커버 윈도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유리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0.1mm 이상 1.0mm 이하인 커버 윈도우.
  14.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의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마주하는 제1 평면 영역 및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평탄부,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벤딩부 및 상기 제2 평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벤딩부 상에 배치된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러스는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부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인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중심 부분의 두께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코팅부의 양 끝측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제2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에 상에 배치되는 제2 코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모듈러스와 같거나 크고, 상기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표시 장치.
  18.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벤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마주하는 제1 평탄부 및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상기 벤딩부의 상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지지대에 삽입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벤딩부 상면에 조성물을 분사하여 상기 벤딩부에 중첩하도록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부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층을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된 외곽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곽 지지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외곽 지지부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가 삽입되어, 상기 외곽 지지부가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벤딩부의 내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벤딩부를 지지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상기 벤딩부의 중심 부분에 대응하도록 노즐을 배치하고, 상기 벤딩부의 중심 부분에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조성물을 분사하여 상기 코팅부의 두께가 상기 벤딩축에 중첩하는 중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코팅부를 형성하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KR1020200088049A 2020-07-16 2020-07-1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10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49A KR20220010629A (ko) 2020-07-16 2020-07-1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7/223,358 US11871604B2 (en) 2020-07-16 2021-04-06 Cover window,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2110689509.1A CN113948001A (zh) 2020-07-16 2021-06-22 盖窗、盖窗的制造方法以及包括盖窗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49A KR20220010629A (ko) 2020-07-16 2020-07-1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629A true KR20220010629A (ko) 2022-01-26

Family

ID=7929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49A KR20220010629A (ko) 2020-07-16 2020-07-1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71604B2 (ko)
KR (1) KR20220010629A (ko)
CN (1) CN1139480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202A (ko) * 2022-08-30 2024-03-12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211B1 (ko) 2012-03-27 2014-01-29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윈도우 패널
WO2015017376A1 (en) * 2013-08-01 2015-02-05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a substrate having a coating with an elastic modulus gradient
US10101772B2 (en) 2014-09-24 2018-10-16 Dell Products, Lp Protective cover and display position detection for a flexible display screen
KR102305922B1 (ko) 2015-02-0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1900B1 (ko) 2015-12-31 2023-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299390B2 (en) * 2015-12-31 2019-05-21 L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99305B1 (ko) 2016-01-11 2017-01-2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강도가 강화된 복층 강화글라스
KR102554620B1 (ko) * 2016-09-21 2023-07-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유리를 갖는 보호 디스플레이 필름
KR20180051695A (ko) * 2016-11-07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리 기판,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95305B1 (ko) * 2017-12-21 2023-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07096B1 (ko) 2018-01-05 2023-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211207B1 (ko) 2020-02-26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202A (ko) * 2022-08-30 2024-03-12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48001A (zh) 2022-01-18
US20220022334A1 (en) 2022-01-20
US11871604B2 (en)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30185B (zh) 一种折叠组件、折叠显示终端
US20200183215A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20200154581A1 (en)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US11114632B2 (en) Display pane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682307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18578B1 (ko)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N108962029B (zh) 柔性显示屏、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KR102206376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3632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90056474A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8622354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18674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20124812A1 (zh) 覆盖窗结构及柔性显示装置
US10347864B2 (en) Display device
CN111314512B (zh) 柔性屏模组及移动终端
KR2020002157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US20150220120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nel
KR2020005262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10049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396960A (zh) 缓冲层及显示装置
KR20210086844A (ko) 표시 장치
KR20220010629A (ko)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824190B1 (en) Tiled display
KR20220106258A (ko) 전자 장치
KR20220003688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