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269A - 강도가 개선된 소켓 및 이에 삽입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강도가 개선된 소켓 및 이에 삽입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269A
KR20220010269A KR1020200088950A KR20200088950A KR20220010269A KR 20220010269 A KR20220010269 A KR 20220010269A KR 1020200088950 A KR1020200088950 A KR 1020200088950A KR 20200088950 A KR20200088950 A KR 20200088950A KR 20220010269 A KR20220010269 A KR 20220010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ray
lower base
b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771B1 (ko
Inventor
김병석
최석진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08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7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드 수용이 가능한 트레이 및 그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결합 형상을 통해 보다 견고한 강도와 구조를 제공하고, 이 소켓에 다양한 카드가 안착된 트레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소켓과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견고하게 고정되고 자체 강도가 향상되며, 접촉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젝터에 의해 힘을 전달받는 스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개의 카드를 수용하면서도, 그 크기는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더링이 정확히 되었는지 확인 가능 하며, 트레이가 소켓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강도가 개선된 소켓 및 이에 삽입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 {Reinforced Socket and Tray Capable of Carrying Plural Card}
본 발명은 복수의 카드 수용이 가능한 트레이 및 그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결합 형상을 통해 보다 견고한 강도와 구조를 제공하고, 이 소켓에 다양한 카드가 적층 안착된 트레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소켓과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식별 카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인증, 개인정보 보관,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해 micro SD 카드와 같은 메모리 카드도 단말기에 입출방식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 및 다양화로 인해 새로운 형상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오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관은 소켓 내부에 안착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하나의 소켓에서 2~3개의 카드와의 접속,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트레이에 다수의 심 카드와 SD카드를 적층하거나 병렬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 발전의 흐름 속에서 소켓이나 트레이의 크기가 커지거나, 그 결합 상태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즉, 다수의 카드를 수용하면서도, 소켓과 트레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고, 그 크기도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소켓과 트레이의 구조에 대한 개선 사항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174580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고, 접촉 소음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젝터의 형상을 개선하여 스위치의 마찰 소음을 최소화 하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개의 카드를 수용하면서도, 그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더링이 정확히 되었는지 확인 가능한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가 소켓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의 실시예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하는 트레이(200)가 내입되는 소켓(100)에 있어서, 단자가 배치되는 하베이스(160); 상기 하베이스(160)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110); 상기 커버부(110)의 하측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하베이스(160)를 마주보며 상방 이격되며, 단자가 배치되는 상베이스(120); 상기 하베이스(160)의 내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베이스(160)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감싸는 하판부(170); 일 측방으로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이젝터(180); 및 상기 이젝터(180)의 후단측과 맞물려 트레이(200)의 후단을 밀어낼 수 있도록 내측에 배치되는 레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소켓을 제공한다.
상기 하베이스(160)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66)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140)에 형성된 회전공(142)은 상기 회전축(166)에 삽입되며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166) 내에는, 상기 하판부(170)로부터 일체로 상방 연장되어 돌출되는 보강심(17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베이스(160)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66)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140)에 형성된 회전공(142)은 상기 회전축(166)에 삽입되며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상베이스(129)의 상기 회전축(166)을 대면하는 위치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되는 삽입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66)의 상단부는 상기 삽입홈(124) 내에 인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140)는 걸림부(144)가 상기 이젝터(180)의 맞물림홈(186) 내에 안착되어 힘이 전달되는데, 상기 맞물림홈(186)은 상측이 막혀있고, 하측의 하베이스(160)를 향해 개방된 형상이고, 상기 걸림부(144)는 하측으로는 상기 하베이스(160)의 상면 상측에 대면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이젝터(180)의 맞물림홈(186) 내측 하면에 대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부(170)는 상기 하베이스(160)의 측방을 감싸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부(174)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110)는 상기 측면부(174)를 마주보는 측벽부(115)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174)와 상기 측벽부(115)에는, 어느 한 쪽에는 돌기, 어느 한 쪽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홀에 맞물리며 내입되며, 상기 하판부(170)와 상기 커버부(11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베이스(160)에는 관통구(167)가 형성되고, 상기 상베이스(120)에는 상개방구(127)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110)에는 점검창(11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67), 상기 상개방구(127) 및 상기 점검창(117)이 상하로 중첩 위치되는 공간에는, 기판에 접합되기 위한 단자의 솔더링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방에서 상기 솔더링부의 상태가 관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카드를 수용하여 소켓에 삽입되기 위한 트레이에 있어서, 외면부(210); 상기 외면부(210)로부터 내측의 양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측부(220); 및 상기 슬라이딩측부(220)의 단부를 상호 가로 연결하는 내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측부(220)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내입부(228)가 형성되고, 상기 내입부(228)와 연결되는 상기 내면부(230)에는 단차부(232)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베이스(120)의 폭이 상기 슬라이딩측부(220)들의 사이 폭과 대응되도록 하고, 상기 트레이(200)가 상기 소켓(100)에 인입될 때, 상기 상베이스(120) 양 측방의 상측면부(126)는 상기 단차부(232) 및 상기 내입부(228)와 순차적으로 마주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카드를 수용하여 소켓에 삽입되기 위한 트레이에 있어서, 외면부(210); 상기 외면부(210)로부터 내측의 양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측부(220); 및 상기 슬라이딩측부(220)의 단부를 상호 가로 연결하는 내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면부(210)의 내측으로는 하나의 외가로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외가로부(240)로부터 양측 연장되는 상기 슬라이딩측부(220)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측부(220)에는, 상기 외가로부(220)와 바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광측단부(221); 상기 광측단부(221)에서 내측으로 경사 돌출되는 제1경사지지부(222); 상기 제1경사지지부(222)에서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측단부(223); 상기 중측단부(223)에서 내측으로 다시 경사 돌출되는 제2경사지지부(224); 및 상기 제2경사지지부(224)에서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는 협측단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딩측부(220)의 외측으로는 상방 또는 하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내측 인입되는 측인입부(226)를 형성하고, 상기 측인입부(226)는 소켓(100)의 커버부(110) 인입구 측의 상방 또는 하방 중 어느 한 위치에서 내측으로 절곡 인입되는 인입부(118)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견고하게 고정되고 자체 강도가 향상되며, 접촉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젝터에 의해 힘을 전달받는 스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개의 카드를 수용하면서도, 그 크기는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더링이 정확히 되었는지 확인 가능 하며, 트레이가 소켓에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켓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젝터와 스위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소켓을 분해하여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켓 상면과 내면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및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소켓에 트레이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소켓에 트레이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 수용이 가능한 트레이 및 그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소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소켓(100)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각종 카드가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소켓(100)의 저면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기판에 납땜 등으로 고정, 접속되고, 내측으로는 트레이(200; 도 8)가 삽입되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하베이스(160)와, 하베이스(160)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110)를 포함한다. 하베이스(160)와 커버부(110) 사이의 이격된 빈 공간으로는 트레이(200)가 수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소켓(100)은 기본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되는 하베이스(160)와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절곡하여 형성되는 커버부(110)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하베이스(160)의 내면 또는 하방에 하판부(170)를 더 구비하고, 커버부(110)하 저면에 상베이스(120)를 더 구비한다.
커버부(110)는 기존의 카드 소켓에 적용된 것과 전체적으로 유사한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점검창(117)을 관통 형성하고, 트레이(200)가 삽입되는 방향 단부에 인입부(118)가 측벽부(115)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인입되도록 형성하여, 트레이(200)가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커버부(110)의 바로 하측으로는 상베이스(120)가 밀착 배치된다. 다수의 카드를 적층 배치하기 위해, 소켓(100) 내의 하측 방향 하베이스(160)를 대면하며 2개의 카드가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측에 상베이스(120)를 더 구비하여, 상측 방향 상베이스(120)를 대면하며 1개의 카드가 접속 가능하도록 한다. 상베이스(120)에는 다수의 상단자(130)들이 사출결합되어 배치되며, 상단자(130)들이 위치되어 있는 공간에는 상개방구(127)가 보다 폭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베이스(120)의 하방으로는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 하베이스(160)가 수평 배치되며, 다수의 관통구(167)가 형성된다. 관통구(167)로는 하베이스(160)에 사출결합된 제1하단자(177)와 제2하단자(178)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한다.
하베이스(160)의 하단 외면 또는 하베이스(160)의 내부에는, 금속 플레이트인 하판부(170)가 결합되어, 하베이스(16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강성을 높이도록 한다.
하베이스(160)에는 레버(140)가 결합되고, 레버(140)의 일측에는 이젝터(180)가 연결된다. 이젝터(180)를 소켓(100)의 외측 전방부에서 누르면, 이젝터(180)가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며 레버(140)를 일단을 밀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내측에 삽입된 트레이(200)를 외부로 꺼내게 된다. 하베이스(160)의 후방 측으로는 스위치(150)가 배치되어, 트레이(200) 또는 카드의 내입을 감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켓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베이스(160), 제1하단자(177), 제2하단자(178) 및 하판부(170)와, 레버(140)를 나타낸다.
레버(140)는 중앙에 회전공(142)이 형성되어, 회전공(142)을 하베이스(160)의 회전축(166)에 삽입하여 회동되도록 하고, 회전축(166)을 중심으로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146)와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44)를 구비한다. 이젝터(180)로 걸림부(144)를 밀게 되면, 가압부(146)가 외측으로 회동하게 되며, 내입된 트레이(미도시)를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하베이스(160)는 전방측의 외면부(16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62)를 구비하고, 후방측으로는 내면부(163)가 형성되며, 내면부(163) 일측의 상방으로는 회전축(166)이 상방 돌출 형성된다. 내면부(163)의 후방으로는 걸림돌기(164)가 돌출 형성되는데, 걸림돌기(164)를 통해 커버부(110)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하베이스(160)의 사출시에, 제1하단자(177), 제2하단자(178)가 동시에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 지지되는데 상방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1하단자(177)는 Micro SD 카드의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 전방부에 위치되는 3쌍의 제2하단자(178)는 양측으로 상방 경사 형성되는, 막혀있는 삼각형 형태로서, Micro Sim, Nano Sim 카드의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트레이(200)에는 하방을 향해 Micro SD 카드나, Sim 카드가 선택 또는 중첩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2종의 단자를 전후방에 배치하도록 한다.
하베이스(160)에는 좁은 면적에 다수의 단자들이 결합되므로, 고정 및 지지 강도의 보강을 위해 하판부(170)를 추가하도록 한다. 하판부(170)는 금속제 플레이트를 프레스, 절곡하여 형성하며, 이를 하베이스(160)의 내부 또는 하단면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판부(170)는 하베이스(160)의 내부 또는 저면을 감싸 보강하면서, 동시에 측방 단부에서 상방 절곡 연장되는 측면부(174)를 형성하고, 측면부(174)에는 측면돌기(175)를 형성하여, 커버부(110)와 직접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부(110)는 후방 측에서는 하베이스(160)의 걸림돌기(164)와 맞물려 결합되고, 동시에 양 측방 측에서는 하판부(170)의 측면돌기(175)와 맞물려 결합되는데, 특히 금속제인 커버부(110)와 하판부(170)가 직접 상호 맞물리게 되므로, 상호 견고한 고정력, 지지력을 갖게 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견고한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레버(140)가 결합되는 회전축(166)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그 부분의 단면을 후방 측에서 바라보는 도면이다.
레버(140)를 고정, 지지하는 회전축(166)의 강도,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2가지 구성을 개선하였는데, 금속제 하판부(170)의 하판본체(172)로부터 일부 연장되고 상방 절곡 돌출되는 보강심(176)이 회전축(166)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보강심(176)이 회전축(166)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사출되며 회전축(166)이 형성되므로, 금속제 중심이 회전축(166)의 측방 가압력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젝터(180)에 의해 레버(140)에 힘이 가해질때, 회전축(166)이 보강심(176)과 함께 견고하게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166)의 상단부가 중간에 끊기는 것이 아니고, 상방으로 더욱 연장되도록 하고, 그 상단부가 상베이스(120)의 상본체부(122) 후단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24)에 맞물려 삽입되도록 한다. 하베이스(160)에 형성된 회전축(166)의 상단이 커버부(110)의 상판부(112) 하방 상베이스(120)에 형성된 삽입홈(124)에 암수결합됨으로써, 회전축(166)은 하방 및 상단에서 모두 지지력을 제공받게 되고, 상베이스(120) 및 하베이스(160) 사이의 결합력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젝터와 스위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소켓을 분해하여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하베이스(160)의 회전축(166)에 삽입되는 레버(140)의 걸림부(144)는 이젝터(180)와 맞물리게 된다.
이젝터(180)는 전방측은 누름부(182), 후방측은 걸림단부(188)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장형의 슬라이딩부(184)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184)는 측방에 위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을 돕게 되는데, 걸림단부(188)에는 걸림부(144)가 안착되어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홈(186)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맞물림홈(186)이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그 상측으로 걸림부(144)가 하방 내입되는 형태여서, 걸림부(144)의 상방으로 커버부(110)의 상판부(112)를 대면하게 되었다. 이 경우 레버(140)의 동작시 걸림부(144)가 상판부(112)와 접촉되면서 이음,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고, 직접적인 충격 전달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140)의 걸림부(144)에 직접적인 접촉과 이음 발생이 없도록 하기 위해, 걸림부(144)가 직접적으로 상판부(112)를 대면하지 않고, 이젝터(180)의 하방 및 하베이스(160)의 상방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젝터(180)의 맞물림홈(186)은 상방이 아닌 하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맞물림홈(186)은 이젝터(180)의 하방을 향하는 동시에, 후방 단부쪽 걸림단부(188) 측이 막히도록 형성하여, 혹 레버(140)의 비정상 동작시 레버(180)를 누르는 동작 뿐만 아니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한 레버(140) 조정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측이 개방되는 경우, 후방측으로의 레버(140) 이탈이나, 불필요한 접촉이 있을 수 있는데, 걸림단부(188)는 이를 차단하도록 한다. 레버(140)의 걸림부(144)는 하베이스(160)측을 대면하고, 상판부(112)와는 이격되므로, 직접적인 접촉이나 이음 발생은 사라지게 된다.
(b)를 참조하면, 금속제의 커버부(110)는 레버(140)의 걸림부(144) 근방을 상측에는 상판부(112)로, 후방에는 후벽부(113)로, 측방에는 측벽부(115)로 감싸게 되므로, 상호 접촉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데, 걸림부(144)를 상판부(112)로부터 하방 이격시키고, 이젝터(180)의 맞물림홀(186)을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상방이 막히도록 하여, 이러한 접촉, 마찰을 차단하게 된다.
이젝터(180)의 슬라이딩부(184)는 외측이 측벽부(115) 및 측벽가이드부(115a)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측은 상가이드부(112a)에 의해 지지되며, 그 내측으로는 이격되어 하방 연장 돌출되는 내가이드부(112b)에 의해 지지된다. 슬라이딩부(184)는 측벽가이드(115a), 상가이드부(112a), 내가이드부(112b)의 ∩형 배치 사이에 위치되는데, 하방을 향하는 맞물림홈(186)은 이 부분들에 걸림부(144)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걸림단부(188)는 맞물림홈(186)의 후방 측을 감싸며 폐쇄하도록 한다. 걸림부(144)는 상방으로는 금속 재질의 커버부(110)와 대면하지 않게 되며, 하방으로는 합성수지 재질의 하베이스(160)와 대면하므로, 접촉에 따른 이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커버부(110)의 후방 후벽부(113)에 형성되는 걸림홀(114)에는 하베이스(160)의 후방측 걸림돌기(164)가 인입되어 상호 고정되고, 측방 측벽부(115)에 형성되는 측걸림홀(116)에는 하판부(170)의 측면부(174)에 형성된 측면돌기(175)가 인입되어 상호 고정된다.
하판부(170)는 사각형의 외곽 테두리를 갖는 금속제 플레이트이며, 양 측방은 상측으로 절곡 돌출되는 측면부(174)를 구비하고, 이에 형성된 측면돌기(175)가 마찬가지로 금속제인 커버부(110)의 측벽부(115)에 형성된 측걸림홀(116)에 직접 맞물려, 금속 재질끼리의 강한 체결력 및 지지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동시에 커버부(110)의 후단 후벽부(113)에 형성된 걸림홀(114)이 이번에는 하베이스(160)의 내면부(163)에 형성된 걸림돌기(164)와 맞물리도록 하여, 복합적인 결합 관계 및 상호 체결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켓 상면과 내면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켓(100) 및 트레이(200)는 카드를 상하 적층형으로 배치하여 인입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에 대응되는 단자들과 같은 프레스 부품이 상하측으로 겹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서, 각 단자의 납땜부의 솔더링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커버부(110)에는 다수의 점검창(117)을 형성하고, 상베이스(120)에도 이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 상개방구(127)를 형성하고, 하베이스(160)에도 이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 관통구(167)를 형성한다.
점검창(117), 상개방구(127) 및 관통구(167)가 겹치는 위치로는 각 단자의 솔더링부(177a, 178a)가 위치되는데, 상측에서 이러한 솔더링부(177a, 178a)를 육안 관찰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의 솔더링이 제대로 되었는지 육안, 카메라 등으로 검수할 수 있게 된다. 하판부(170)는 중앙이 비어 있는 사각 테두리 형태이므로, 중앙 부분이 비어 있어 이러한 개방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이(200)를 상방에서 바라보는 상태로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면부(210)와 내측으로 연장되며 카드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카드가 상하 적층되므로 해당 위치의 중간 부분은 보강플레이트(201)를 배치하여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와 같이 보강플레이트(201)를 제거한 상태로 보면, 양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측부(220)가 장형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는 내면부(230)가 가로지르며 연결된다. 슬라이딩측부(220)의 상측 마주보는 방향으로는 일부 내입 형성되는 내입부(228)가 장형으로 형성되며, 내면부(230) 측에는 내입부(228)에 대응되도록 하방 내입 개방되도록 단차부(232)가 형성된다.
외면부(210)와 내면부(230)의 사이에는 양 슬라이딩측부(220)를 가로지르는 탄성제공부(250)가 연결 배치된다. 양 슬라이딩측부(220)와 내면부(230) 및 탄성제공부(250)로 둘러싸인 공간으로는 SIM 카드가 내입 안착될 수 있다.
도 9는 종래 및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도 8의 트레이(200)를 하측에서 평면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트레이(200)의 상층에 도 8와 같이 1개의 SIM 카드가 안착될 수 있다면, 하층에는 1개의 SIM 카드와 1개의 Micro SD 카드가 선택 또는 중첩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9의 (a)는 종래 방식에 따른 트레이(200)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인데, 가로 방향으로 SIM 카드(C2)를 수용하는 동시에, 세로 방향으로 Micro SD 카드(C1)를 수용하는 점은 동일하나, 이를 위해 탄성제공부(250)를 C1 카드와 대면되는 위치에 1개, 또한 C2 카드와 대면되는 위치에 또 다른 탄성제공부(250a)를 1개 형성하여야 한다. 이 때 각 카드의 크기 차이로 인해, 외가로부(240)에는 외측단부(242)의 홈 부분과, 그로부터 일부 이격되어 더 넓은 형태의 제2단부(242a)로 2단 형성되도록 하여야 했다.
탄성제공부(250, 250a)는 내측에 빈공간 또는 금속스프링을 내입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카드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공지의 구성인데, 종래에는 2개 카드 각각을 가압하기 위해, 가로 방향에 C2 카드 가압용 1개, 세로 방향에 C1 카드 가압용 1개의 탄성제공부(250, 250a)를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도 9의 (b)와 같이 세로 방향(전후 방향)에 1개의 탄성제공부(250) 만으로 2개의 카드를 모두 탄성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필요로 했던 가로 방향의 탄성제공부(250a)를 제거하게 되고, 이에 트레이(200)의 전체 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a)에 있던 탄성제공부(250a)가 없어지면서, 좌우의 폭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가로 방향의 탄성제공부(250a)를 제거하면서도, 가로 방향의 SIM 카드(C2)를 세로 방향의 탄성제공부(250) 만으로 가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단부(242a)를 없애고, 단일한 하나의 외측단부(242)만으로 Micro SD 카드(C1)와 SIM 카드(C2)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하나의 외측단부(242) 및 탄성제공부(250)에 서로 크기가 다른 Micro SD 카드(C1)와 SIM 카드(C2)가 동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그 반대 측으로는 SIM 카드(C2)를 외측으로 더욱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입하였다. 양 슬라이딩측부(220)에 형성된 광측단부(221)로부터 후방(도면상 상방)으로 갈수록 3단 구조가 되도록, 제1경사지지부(222), 중측단부(223), 제2경사지지부(224), 협측단부(225)를 형성한다.
광측단부(221)는 가로 방향의 SIM 카드(C2)의 크기에 맞도록 형성되는 측방 제한 요소이며, 그 후방에는 SIM 카드(C2)의 경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경사지지부(222)가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인입 형성된다.
제1경사지지부(222)의 끝 부분부터는 다시 후방을 향해 평행 연장되는 중측단부(223)가 형성되는데, 이는 Micro SD 카드(C1)의 측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중측단부(223)는 후방으로 향하다 다시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2경사지지부(224)로 연결되는데, 이를 통해 Micro SD 카드(C1)의 경사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제2경사지지부(224)의 단부에서 다시 후방으로 평행하게 협측단부(225)가 형성되는데, 이는 Micro SD 카드(C1)의 좁은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한 요소이다.
기존에는 단일한 1개의 경사지지부에 Micro SD 카드(C1)와 SIM 카드(C2)의 경사부분이 동시 지지되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경사지지부를 제1경사지지부(222)와 제2경사지지부(224)로 2단 구성하고, 각각의 경사지지부에서 각각의 Micro SD 카드(C1)와 SIM 카드(C2)의 경사면부를 개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외측단부(242)만으로도 2개의 카드를 지지, 수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하나의 탄성제공부(250)가 2개의 카드에 호환되며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이(200)의 양측 슬라이딩측부(220)에는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곳에만 측인입부(226)를 구비하도록 한다. 측인입부(226)는 커버부(110)의 인입부(118)와 대응되는 형상인데, 트레이(200)의 상하를 바꾸어 역삽입하게 되면, 커버부(110)의 인입부(118)가 측인입부(226)와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삽입이 차단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소켓에 트레이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소켓에 트레이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트레이(100)는 하베이스(160)가 아닌 상베이스(120)의 양측 상측면부(126) 외측에 슬라이딩측부(220)가 지지되며 레일 형태로 슬라이딩 내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트레이(100)의 슬라이딩측부(220)의 내측 사이 공간에 상베이스(120)가 인입, 안착되며, 양측의 상측면부(126)가 가이드를 하게 되므로, 트레이(100) 삽입시 및 안착 후의 하중 전달이, 종래에는 하베이스(160)에 집중되던 것이, 이제는 상베이스(120)에도 일부 분산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을 확대한 것으로서, 슬라이딩측부(220)의 내입부(228)와 상본체부(122)의 상측면부(126)가 대면하여 맞물리면서, 상호 가이드되는 동시에, 상하를 바꾸어 역삽입시에는 이러한 맞물림 안착이 불가능해져 삽입을 차단하게 된다. 동시에 측인입부(226)도 인입부(118)와 맞물리며 상호 인입되는데, 마찬가지로 역삽입시에는 맞물림이 불가능하므로, 삽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소켓
110: 커버부 111: 전단부 112: 상판부
112a: 상가이드부 112b: 내가이드부 113: 후벽부
114: 걸림홀 115: 측벽부 115a: 측벽가이드부
116: 측걸림홀 117: 점검창 118: 인입부
120: 상베이스 122: 상본체부 124: 삽입홈
126: 상측면부 127: 상개방구 130: 상단자
140: 레버 142: 회전공 144: 걸림부
146: 가압부 150: 스위치 160: 하베이스
161: 외면부 162: 본체부 163: 내면부
164: 걸림돌기 166: 회전축 167: 관통구
170: 하판부 172: 하판본체 174: 측면부
175: 측면돌기 176: 보강심 177: 제1하단자
177a: 솔더링부 178: 제2하단자 178a: 솔더링부
180: 이젝터 182: 누름부 184: 슬라이딩부
186: 맞물림홈 188: 걸림단부
200: 트레이
201: 보강플레이트 210: 외면부 220: 슬라이딩측부
221: 광측단부 222: 제1경사지지부 223: 중측단부
224: 제2경사지지부 225: 협측단부 226: 측인입부
228: 내입부 230: 내면부 232: 단차부
240: 외가로부 242: 외측단부 242a: 제2단부
244: 상측가로부 250, 250a: 탄성제공부

Claims (9)

  1. 복수의 카드를 수용하는 트레이가 내입되는 소켓에 있어서,
    단자가 배치되는 하베이스;
    상기 하베이스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하베이스를 마주보며 상방 이격되며, 단자가 배치되는 상베이스;
    상기 하베이스의 내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베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감싸는 하판부;
    일 측방으로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의 후단측과 맞물려 트레이의 후단을 밀어낼 수 있도록 내측에 배치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베이스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 형성된 회전공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며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 내에는, 상기 하판부로부터 일체로 상방 연장되어 돌출되는 보강심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베이스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 형성된 회전공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며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상베이스의 상기 회전축을 대면하는 위치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는 상기 삽입홈 내에 인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걸림부가 상기 이젝터의 맞물림홈 내에 안착되어 힘이 전달되는데,
    상기 맞물림홈은 상측이 막혀있고, 하측의 하베이스를 향해 개방된 형상이고,
    상기 걸림부는 하측으로는 상기 하베이스의 상면 상측에 대면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이젝터의 맞물림홈 내측 하면에 대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는 상기 하베이스의 측방을 감싸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면부를 마주보는 측벽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와 상기 측벽부에는, 어느 한 쪽에는 돌기, 어느 한 쪽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홀에 맞물리며 내입되며, 상기 하판부와 상기 커버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소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베이스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베이스에는 상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점검창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 상기 상개방구 및 상기 점검창이 상하로 중첩 위치되는 공간에는, 기판에 접합되기 위한 단자의 솔더링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방에서 상기 솔더링부의 상태가 관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개선된 소켓.
  7. 다수의 카드를 수용하여 소켓에 삽입되기 위한 트레이에 있어서,
    외면부;
    상기 외면부로부터 내측의 양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측부; 및
    상기 슬라이딩측부의 단부를 상호 가로 연결하는 내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측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내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입부와 연결되는 상기 내면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베이스의 폭이 상기 슬라이딩측부들의 사이 폭과 대응되도록 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소켓에 인입될 때, 상기 상베이스 양 측방의 상측면부는 상기 단차부 및 상기 내입부와 순차적으로 마주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
  8. 다수의 카드를 수용하여 소켓에 삽입되기 위한 트레이에 있어서,
    외면부;
    상기 외면부로부터 내측의 양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측부; 및
    상기 슬라이딩측부의 단부를 상호 가로 연결하는 내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면부의 내측으로는 하나의 외가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가로부로부터 양측 연장되는 상기 슬라이딩측부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측부에는,
    상기 외가로부와 바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광측단부;
    상기 광측단부에서 내측으로 경사 돌출되는 제1경사지지부;
    상기 제1경사지지부에서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측단부;
    상기 중측단부에서 내측으로 다시 경사 돌출되는 제2경사지지부; 및
    상기 제2경사지지부에서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는 협측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측부의 외측으로는 상방 또는 하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내측 인입되는 측인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인입부는 소켓의 커버부 인입구 측의 상방 또는 하방 중 어느 한 위치에서 내측으로 절곡 인입되는 인입부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드 수용 트레이.
KR1020200088950A 2020-07-17 2020-07-17 강도가 개선된 소켓 KR10239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50A KR102398771B1 (ko) 2020-07-17 2020-07-17 강도가 개선된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50A KR102398771B1 (ko) 2020-07-17 2020-07-17 강도가 개선된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69A true KR20220010269A (ko) 2022-01-25
KR102398771B1 KR102398771B1 (ko) 2022-05-17

Family

ID=8004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950A KR102398771B1 (ko) 2020-07-17 2020-07-17 강도가 개선된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7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206A (ja) * 1995-05-30 1996-12-13 Maxell Seiki Kk Icユニットホルダーおよびicカード
CN105261854A (zh) * 2015-11-06 2016-01-2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卡用连接器
KR101740182B1 (ko) * 2015-12-31 2017-05-25 몰렉스 엘엘씨 카드 소켓,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45807B1 (ko) 2015-12-31 2017-06-12 몰렉스 엘엘씨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KR20170123013A (ko) * 2016-04-28 2017-11-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측방출입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046348B1 (ko) * 2018-10-16 2019-11-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206A (ja) * 1995-05-30 1996-12-13 Maxell Seiki Kk Icユニットホルダーおよびicカード
CN105261854A (zh) * 2015-11-06 2016-01-2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卡用连接器
KR101740182B1 (ko) * 2015-12-31 2017-05-25 몰렉스 엘엘씨 카드 소켓,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45807B1 (ko) 2015-12-31 2017-06-12 몰렉스 엘엘씨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KR20170123013A (ko) * 2016-04-28 2017-11-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측방출입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046348B1 (ko) * 2018-10-16 2019-11-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771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570B1 (ko) 메모리 카드용 어댑터
US9190788B2 (en) Dual memory card socket
US8376764B1 (en) Card connector
US7713093B2 (en) Connect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US7112075B1 (en) Drawer SIM card connector
US7409225B2 (en) Dual connection device for memory medium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the same
KR102042082B1 (ko) 적층형 트레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20140099805A1 (en) Electronic connector capable of accepting a single subscriber identity mopdule or a memory card
JP2000029583A (ja) パソコン周辺装置アダプタ
US20150011118A1 (en) Connector
US8747165B2 (en) Conn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US20060025019A1 (en) Card connector
KR101627697B1 (ko)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US7896670B1 (en) Card connector
US20120134119A1 (en) Chip card h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333444A1 (en) Quick ejecting card connector
US20080194148A1 (en) Card connector
KR1020463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CN104600490B (zh) 具有固定装置的移动终端
KR101745807B1 (ko)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KR101666851B1 (ko) 트레이의 혼용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2398771B1 (ko) 강도가 개선된 소켓
KR101574726B1 (ko) 수동 카드 이젝터를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1741436B1 (ko) 카드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