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775A - 당구대용 로봇청소기 - Google Patents

당구대용 로봇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775A
KR20220009775A KR1020200088386A KR20200088386A KR20220009775A KR 20220009775 A KR20220009775 A KR 20220009775A KR 1020200088386 A KR1020200088386 A KR 1020200088386A KR 20200088386 A KR20200088386 A KR 20200088386A KR 20220009775 A KR20220009775 A KR 2022000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head
billiard
main body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로
Original Assignee
김형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로 filed Critical 김형로
Priority to KR102020008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775A/ko
Publication of KR2022000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당구대용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당구대의 라사지 표면에 떨어진 각종 이물질, 특히 쵸크가루를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로 복원함으로써 당구 플레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자동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의 당구대 로봇청소기는,
진공발생수단(110); 상기 진공발생수단(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되, 진공발생수단(110)과 흡입관(120)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통공이 구비되는 흡입헤드(200); 상기 흡입헤드(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해서 소정간격 왕복운동하도록 왕복동구동수단;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당구대용 로봇청소기{A ROBOTIC VACUUM CLEANER FOR A SPECIALIZED BILLIARD TABLE}
본원 발명은 당구대용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당구대의 라사지 표면에 떨어진 각종 이물질, 특히 쵸크가루를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로 복원함으로써 당구 플레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자동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과거 당구는 청년 장년 남성들의 오락으로 활용되었지만, 당구장 금연구역 지정과 더불어 최근에 와서는 당구는 남녀노소 관계없이 다양한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스포츠가 되었다.
또한 당구가 단순한 오락을 넘어서 세계적인 스포츠로 크게 각광을 받으며서 당구장의 관리에 대한 요구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특히, 깨끗한 당구대는 당구 플레이들에게 신선한 기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당구공의 구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당구대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말끔하게 청소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구장관리를 위한 인건비의 증가로 인해서 당구대를 자동으로 청소해주는 당구대 전용 자동로봇 청소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물론 일반용 로봇청소기는 이미 상용화가 많이 이루어져 있고, 당구대용 청소도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당구대 라사지의 경우 먼지 청소에 적합한 청소기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당구대 라사지는 초크분말이 포함되어 강력한 흡입력이 있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흡입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당구대 라사지를 위한 최적화된 로봇청소기의 개발이 요구됨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당구대용 로봇청소기를 고안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0507928호 (2005. 08. 04. 등록)
본 발명은 당구대 라사지에 포함된 초크가루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당구대의 구조에 최적화된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구대 로봇청소기는,
진공발생수단(110); 상기 진공발생수단(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되, 진공발생수단(110)과 흡입관(120)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통공이 구비되는 흡입헤드(200); 상기 흡입헤드(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해서 소정간격 왕복운동하도록 왕복동구동수단;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왕복동구동수단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왕복동구동수단의 구동력은 전달축(320)에 의해서 상기 흡입헤드(200)에 전달되고, 상기 흡입관(120)은 주름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전달축(320)에 의해서 왕복동운동하는 상기 흡입헤드(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주름관이 신축된다.
한편, 상기 흡입헤드(200)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향 경사면(211)이 형성되어 당구대 쿠션헤드의 하향 경사면(211)에 대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흡입헤드(200)의 측부를 통해서 당구대의 측면부에 위치한 먼지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흡입헤드(200)는 당구대 라사지 표면에 대해서 왕복동운동을 하면서 라사지 표면의 틈새에 끼인 초크분말을 정밀하게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당구대 사라지표면 청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흡입헤드(200)는 측면에 경사면(211) 형성되어 있어서 당구대의 쿠션헤드의 경사면(211)에 대응하여 당구대의 측면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외관 개념도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하면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단면도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원 발며에 따른 흡입헤드의 단면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외관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중앙부에 본체(100)이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흡입헤드(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진공발생수단(110)이 구비되어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헤드(200)의 흡입구(212)를 통해서 바닥면의 오염물질을 흡입하게 되되, 특히 상기 흡입헤드(200)는 전달축(32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0)에 대해서 전후로 왕복동운동을 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하면에는 이동수단(130)이 구비되며, 본체의 전후방에 각각 흡입헤드(200)가 구비된다. 흡입헤드의 하면에는 흡입구(212)가 구비되며 흡입구 내부에는 롤러브러쉬(2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흡입구 양측에는 고정브러쉬(220)가 구비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당구대 로봇청소기는 구체적으로
진공발생수단(110), 상기 진공발생수단(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되, 진공발생수단(110)과 흡입관(120)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통공이 구비되는 흡입헤드(200), 상기 흡입헤드(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해서 전후방으로 소정간격 왕복운동하도록 가동부(300)가 구비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동부(3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왕복동 구동수단(310)과, 상기 왕복동 구동수단(310)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전달축(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달축(320)은 흡입헤드에 결합된다. 상기 왕복동 구동수단(310)에 의해서 왕복운동을 하는 상기 전달축(320)은 결합된 흡입헤드를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하게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흡입관(120)은 주름관으로 이루짐으로써 상기 전달축(320)에 의해서 왕복동운동하는 상기 흡입헤드(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주름관이 신축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헤드(200)는 본체(100)의 전방과 후방에 함께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방향에 구비됨으로 인해서 동시에 왕복동 운동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왕복동 구동수단은 매우 빠른 속도로 흡입헤드를 왕복운동시켜 테이블 바닥의 사라지면을 진동시키면서 쵸크분말들을 체거할 수 있게 된다.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 흡입헤드(200)와 연결되는 각각의 흡입관(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자밸브가 구비되어서 제어수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 제어된다. 선택적인 흡입구(212)를 통한 흡입으로 흡입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한된 흡입압을 이용하여 먼지를 흡입해야 할 경우, 두개의 흡입헤드(200)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하나의 흡입헤드(200)만을 작동함으로써 좀 더 강한 흡입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헤드(200)는 본체(100)의 전방 후방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하면에는 흡입구(212)가 구비되는 케이스(2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210)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향 경사면(211)이 형성되어 당구대 쿠션헤드의 하향 경사면(211)에 대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흡입헤드(200)의 측부를 통해서 당구대의 측면부에 위치한 쵸크분말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헤드(200)의 하면에 구비되는 흡입구(212)는 흡입헤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구비되되, 흡입헤드(200)의 양측으로부터 당구대의 측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헤드(200)의 길이방향으로 흡입구(212)가 구비되되, 상기 흡입구(212)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쪽으로 롤러브러쉬(230)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212) 양측 하면에는 흡입구(212)의 양측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브러쉬(220)가 구비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는 당구대 라사지 표면에 대해서 왕복동운동을 하면서 라사지 표면의 틈새에 끼인 초크분말을 정밀하게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당구대 사라지표면 청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성들, 즉 이동수단(130) 및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서 로봇청소기가 청소구역을 합리적으로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것은 로봇청소기 기술분야의 공지기술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들이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진공발생수단
120 : 흡입관
130 : 이동수단
200 : 흡입헤드
210 : 케이스
220 : 고정브러쉬
230 : 롤러브러쉬
300 : 가동부
310 : 왕복동 구동수단
320 : 전달축

Claims (4)

  1. 진공발생수단(110);
    상기 진공발생수단(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되, 진공발생수단(110)과 흡입관(120)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통공이 구비되는 흡입헤드(200);
    상기 흡입헤드(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해서 소정간격 왕복운동하도록 왕복동구동수단;를 구비하는
    당구대 로봇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구동수단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왕복동구동수단의 구동력은 전달축(320)에 의해서 상기 흡입헤드(200)에 전달되고,
    상기 흡입관(120)은 주름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전달축(320)에 의해서 왕복동운동하는 상기 흡입헤드(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주름관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로봇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200)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향 경사면(211)이 형성되어 당구대 쿠션헤드의 하향 경사면(211)에 대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흡입헤드(200)의 측부를 통해서 당구대의 측면부에 위치한 먼지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로봇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200)의 길이방향으로 흡입구(212)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212)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쪽으로 롤러브러쉬(230)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212) 양측 하면에는 고정브러쉬(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로봇청소기.
KR1020200088386A 2020-07-16 2020-07-16 당구대용 로봇청소기 KR20220009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86A KR20220009775A (ko) 2020-07-16 2020-07-16 당구대용 로봇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86A KR20220009775A (ko) 2020-07-16 2020-07-16 당구대용 로봇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75A true KR20220009775A (ko) 2022-01-25

Family

ID=8004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386A KR20220009775A (ko) 2020-07-16 2020-07-16 당구대용 로봇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7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928B1 (ko) 2003-07-24 2005-08-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928B1 (ko) 2003-07-24 2005-08-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3531B2 (en) Dual-purpose vacuum cleaner
US9737184B2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20140208527A1 (en) Automatic floor sweeping and mopping device
CN101953665A (zh) 表面处理头
CN208693159U (zh) 手持式吸尘器
ATE365018T1 (de) Bodendüse für einen staubsauger
CN105266714A (zh) 表面处理头
US20220061610A1 (en) Surface cleaning utensil
KR20220009775A (ko) 당구대용 로봇청소기
JP2002369773A (ja) パワーブラシを備えた真空清掃機の吸入ヘッド
US20160100725A1 (en) Vacuum portals to alleviate strains and stresses of vacuum cleaning
US8196258B2 (en) Brush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20060248679A1 (en) Precision vacuum cleaner head
US20220408993A1 (en) Air agitator nozzle system
JP662311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KR100775548B1 (ko) 사용이 편리한 양면 유리창 청소기.
KR102261799B1 (ko) 당구대 초음파 청소장치
JP2017131440A (ja) 電気掃除機用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23028212A (ja) 電気掃除機
JP2003079540A (ja) 集塵装置及び集塵システム
JPH0811105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WO2019166761A1 (en) A cleaner head
CN217447636U (zh) 一种具有软胶刷毛的清洗机
CN216914619U (zh) 一种聚氨酯发泡装置
KR102280194B1 (ko) 로봇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9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123

Effective date: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