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767A - 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767A
KR20220009767A KR1020200088370A KR20200088370A KR20220009767A KR 20220009767 A KR20220009767 A KR 20220009767A KR 1020200088370 A KR1020200088370 A KR 1020200088370A KR 20200088370 A KR20200088370 A KR 20200088370A KR 20220009767 A KR20220009767 A KR 20220009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foaming
recipe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015B1 (en
Inventor
송재철
송재우
류지철
김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텍
Priority to KR102020008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015B1/en
Publication of KR2022000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7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0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42B3/063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using layer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A body protection device comprises: an outer shell formed with at least partially curved; an inner shell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ll; and an adhesive film dis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to adhere the inner shell to the outer shell. The adhesive film comprises: a first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inner shell; a first foam layer dispos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foam layer and attached to the outer shel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a performance of adhesion.

Description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 및 이의 제조 방법{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 및 상기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 기능과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 및 상기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protector comprising an adhesive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ody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dy protector comprising an adhesive film hav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function and adhesive perform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ody protector .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신체 보호구는 외부 충격을 1차 적으로 흡수하는 단단한 재질의 외피, 상기 외피 내에 부착되고,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내피를 포함한다. The body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body includes an outer skin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primarily absorbs external shocks, an endothelium attached to the outer skin, and contacting the wearer's body.

이에 충격 흡수 기능이 강조된 안전모 등의 신체 보호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내피를 외피의 내측에 부착시키기 위해, 접착제, 접착부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외부 충격이 반복되는 경우, 접착제 또는 접착부의 접착력이 약해져 내피가 외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Accordingly, body protection equipment such as a hard hat with an emphasis on shock absorption is being developed. At this time, in order to attach the endothelium for absorbing the shock to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a structure for adhering using an adhesive, an adhesive, etc. is disclosed, but when the external impact is repeate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or the adhesive portion is weakened, so that the endothelium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kin Deviations happen ofte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41758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17584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흡수 기능과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 protector comprising an adhesive film hav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function and adhesive perform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효율이 향상되고, 품질이 향상된 상기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ody protector with improved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improved qualit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내부에 배치되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피를 상기 외피에 접착시키는 접착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내피에 부착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발포층, 및 상기 제1 발포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에 부착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한다. The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kin at least partly curved, the endothelium disposed inside the outer skin, and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um, wherein the endothelium is the outer skin It includes an adhesive film to adhere to. The adhesive film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endothelium, a first foam layer dispos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foam layer and attached to the outer ski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포층은 하기 (i) 또는 (ii)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aming layer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 or (ii).

(i) 발포율이 140% 내지 200 %,(i) a foaming rate of 140% to 200%,

(ii) 공극률이 40% 내지 74%,(ii) a porosity of 40% to 74%,

상기 발포율 (RE)는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The foaming ratio (RE)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1> <Equation 1>

(여기서, RE: 발포율, Tf: 발포 후 발포층의 두께, T0: 발포 전 발포층의 두께) (here, RE : foaming rate, T f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after foaming, T 0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before foaming)

상기 공극률(φ)는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The porosity φ may satisfy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2> <Equation 2>

(여기서, φ: 공극률, V: 발포층의 전체 부피, Vv: 공극의 부피, Vs: 공극 외 고체의 부피)(here, φ: porosity, V: total volume of the foam layer, Vv: volume of pores, Vs: volume of solid outside the por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제1 발포층과 접하는 제1 베이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ilm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ase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foam layer. The first base layer may include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과 접하는 제2 발포층을 더 포함하고,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oaming lay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상기 제2 발포층은 하기 (i) 또는 (ii)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고, The second foam layer ha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 or (ii),

(i) 발포율이 140% 내지 200 %,(i) a foaming rate of 140% to 200%,

(ii) 공극률이 40% 내지 74%.(ii) a porosity of 40% to 7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외피의 내측면과 동일한 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ilm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ame area a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플라스틱,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스펀지, 스티로폼, 고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lastic, fiber-reinforced plastic, acrylnitrile butadiene styrene, and polystyrene. The endothelium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ponge, styrofoam, rubber, an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머리부, 턱부 및 상기 머리부와 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상기 머리부 내측에 부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턱부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 패턴과 상기 턱부와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may include a head portion, a chin portion and a window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chin portion. The endothelium may include a first portion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head and a secon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 and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hin.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head and the first part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chin part and the first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신체 보호구는 상기 외피 또는 내피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rotector may further include a strap connected to the outer skin or endotheliu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은 외피 및 내피를 준비하는 단계,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피 또는 외피에 상기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필름 형성 단계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발포율이 140% 내지 200%이거나, 공극률이 40% 내지 74%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되도록 발포시켜 베이스층의 일면에 발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과 발포층이 접하지 않은 발포층의 일면 및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n outer skin and an endothelium, forming an adhesive film, attaching the adhesive film to the endothelium or outer skin, and and attaching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um to each other using the adhesive film. The adhesive film forming step is performed by applying a foaming agent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foaming so that the foaming rate is 140% to 200%, the porosity is 40% to 74%,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foaming layer is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forming an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foam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that are not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and the foam layer, and dry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접착 필름의 양면의 상기 접착층 상에 제1 이형 필름 및 제2 이형 필름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adhesive film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a first release film and a second release film on the adhesive layers on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film. The first release film may be removed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release film may be removed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outer shell and the endothelium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신체 보호구는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곡면을 포함하는 외피 내부에 곡면을 포함하는 내피를 별도의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양면 접착 테이프인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필름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되었으므로, 상기 신체 보호구 사용시에 있어서, 반복된 외부 충격에도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서로 탈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rotector includes an adhesive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Accordingly, the inner skin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inside the outer shell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can be simply attached using the adhesive film, which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process such as applying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film has an elongation High, since the adhesive performance is improved, when using the body protector, the outer shell and the endothelium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even after repeated external shocks, and may be firmly coupled.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접착 필름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접착 필름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dhesive film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dhesive film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약”은 제시된 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5% 수준으로 인식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약”은 측정 오차가 존재할 수 있음에 기인하여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는 그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bout” is used to indicate that a given value may vary within an error range, and is generally recognized as a level of ±5%. As used herein, “about” is used inevitably due to the presence of measurement error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본 명세서에서 “내지” 또는 “~”로 표시되는 수치의 범위는, 해당 범위 내의 모든 수치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것으로 본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ange of values indicated by “to” or “to” is deemed to b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f all values within th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상기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도 1의 (b)는 상기 신체 보호구의 측단면도, 도 1의 (c)는 상기 신체 보호구의 정단면도이다.Specifically,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rotector, Fig. 1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protector, Figure 1 (c)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body protector.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는 공장이나 공사장 등의 각종 산업현장에서 각종 물체가 작업자의 머리에 부딪힐 때, 머리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body protection device may be a safety helmet worn on the head to protect the head by minimiz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head when various objects collide with the worker's hea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ies or construction sites. have.

상기 신체 보호구는 외피(200), 내피(300) 및 상기 외피(200)와 상기 내피(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피(300)를 상기 외피(200)에 접착시키는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복수의 접착 패턴(1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rotector may include an outer shell 200, an endothelium 300, and an adhesive film dis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200 and the endothelium to adhere the endothelium 300 to the outer shell 200. .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100 .

상기 외피(200)는 사용자의 머리 모양 대로 반구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2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1차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딱딱하고 뾰족한 모서리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경질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피(200)는 플라스틱,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shell 20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curved surf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head. The outer shell 200 functions to primarily protect the user's head from external impact, and may have a hard material to protect the user from hard and sharp edges. For example, the shell 200 may be formed of plastic, fiber-reinforced plastic, acrylnitrile-butadiene styrene, polystyrene, or the like.

상기 내피(300)는 상기 외피(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외피(20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켜, 사용자의 머리를 2차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내피(300)는 상기 외피(200)의 내측 면에 대응하는 외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내피(300) 역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300)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연질의 탄성 또는 소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피(300)는 스펀지, 스티로폼, 고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ndothelium 300 is located inside the shell 200 and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head, and by attenuating the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shell 200, a function of secondary protection of the user's head. can do. The endothelium 300 may have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200, and the endothelium 300 may also include a curved surface. The endothelium 300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head and may be formed of a soft elastic or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endothelium 300 may be formed of a sponge, styrofoam, rubbe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or the like.

상기 접착 패턴(100)은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 패턴(100)은 원형의 양면 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층상 구조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착 패턴(100)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을 포함하는 상기 외피(200) 내부에 곡면을 포함하는 상기 내피(300)를 별도의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필름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되었으므로, 상기 신체 보호구 사용시에 있어서, 반복된 외부 충격에도 상기 외피(200)와 상기 내피(300)가 서로 탈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adhesive pattern 100 may b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 plurality of layered structures. For example, the adhesive pattern 100 may be in the form of a circular double-sided tape. The layer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dhesive pattern 100 may be an adhesive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Accordingly, the inner shell 300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inside the outer shell 200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can be attached simply using a double-sided adhesive tape without going through a process such as applying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Since the film has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when using the body protector, the outer shell 200 and the inner shell 300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even after repeated external impacts, and may be firmly coupl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상기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도 2의 (b)는 상기 신체 보호구의 정단면도이다.Specifically,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rotector, Figure 2 (b)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protector.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는 2륜차 등의 운행에 있어서, 안전을 위해 탑승자가 착용하는 풀페이스 헬멧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body protection device may be a full-face helmet worn by a occupant for safety in driving a two-wheeled vehicle or the like.

상기 신체 보호구는 외피(200), 내피 및 상기 외피(200)와 상기 내피(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피를 상기 외피(200)에 접착시키는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복수의 접착 패턴(1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rotector may include an outer skin 200 , an endothelium, and an adhesive film disposed between the outer skin 200 and the endothelium 300 to adhere the endothelium to the outer skin 200 .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100 .

상기 외피(200)는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머리부(200a) 및 턱 부분을 보호하는 턱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와 상기 턱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풀페이스 헬멧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신체 보호구는 상기 머리부(200a)와 상기 턱부 사이(200b)에 형성되는 윈도우부(W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200)는 플라스틱,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ell 200 may include a head 200a for protecting the head and a chin 200b for protecting the chin. The head and the chin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nstitute a full-face helmet. The body protector may further include a window part WS formed between the head part 200a and the chin part 200b. The shell 200 may be formed of plastic, fiber-reinforced plastic, acryl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styrene, or the like.

상기 내피는 상기 머리부(200a)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1 부분(310) 및 상기 제1 부분(310)과 이격되고, 상기 턱부(200b)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2 부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310)과 상기 제2 부분(320)은 서로 이격되며, 서로 다른 접착 필름에 의해 상기 외피(2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스펀지, 스티로폼, 고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dothelium includes a first portion 310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head portion 200a and a second portion 3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 310 and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chin portion 200b. can do. The first part 310 and the second part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hell 200 by different adhesive films. The endothelium may be formed of a sponge, styrofoam, rubbe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or the like.

상기 접착 필름은 복수의 접착 패턴(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패턴(100)은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 패턴(100)은 원형의 양면 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접착 패턴(100)은 상기 머리부(200a)와 상기 제1 부분(3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 패턴과 상기 턱부(200a)와 상기 제1 부분(3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100 . The adhesive pattern 100 may b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 plurality of layered structures. For example, the adhesive pattern 100 may be in the form of a circular double-sided tape. The adhesive pattern 100 includes a first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head 200a and the first part 310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jaw part 200a and the first part 320 . It may include patterns.

이에 따라, 곡면을 포함하는 상기 외피(200) 내부에 곡면을 포함하는 상기 내피(300)를 별도의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필름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되었으므로, 상기 신체 보호구 사용시에 있어서, 반복된 외부 충격에도 상기 외피(200)와 상기 내피(300)가 서로 탈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ner shell 300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inside the outer shell 200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can be attached simply using a double-sided adhesive tape without going through a process such as applying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Since the film has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when using the body protector, the outer shell 200 and the inner shell 300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even after repeated external impacts, and may be firmly coup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단면도들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는 외피(200), 내피(300) 및 상기 외피(200)와 상기 내피(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피(300)를 상기 외피(200)에 접착시키는 접착 필름(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ure 3, the body protecto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200, the endothelium 300, and the outer shell 200 and the endothelium 300, the endothelium 300, the outer shell 200 It may include an adhesive film 100 to adhere to.

상기 접착 필름(100)은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 일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100)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인 상기 내피(300)의 외측면 및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접착 필름(100)이 3차원 상에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 필름(100)은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과 동일한 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film 100 may b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 plurality of layered structures. The adhesive film 100 may be an adhesive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Accordingly,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200 of the endothelium 300, which is a curved surface, and thus the adhesive film 100 may form a curved surface in three dimensions. That is, the adhesive film 1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ame area a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200 .

상기 접착 필름(100)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되었으므로, 상기 신체 보호구 사용시에 있어서, 반복된 외부 충격에도 상기 외피(200)와 상기 내피(300)가 서로 탈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Since the adhesive film 100 has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when using the body protector, the outer shell 200 and the endothelium 300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even after repeated external impacts, and are firmly coupled can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는 외피(200) 및 상기 외피(200)의 내측에 부착되는 접착 필름(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 the body protector may include an outer skin 200 and an adhesive film 100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200 .

상기 접착 필름(100)은 발포층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층상 구조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접착 필름(100)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인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접착 필름(100)이 3차원 상에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 필름(100)은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과 동일한 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film 100 has a 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foaming layer, and the layer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adhesive film 100 may be an adhesive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Accordingly,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200, which is a curved surface, and accordingly, the adhesive film 100 may form a curved surface in three dimensions. That is, the adhesive film 1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ame area a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200 .

상기 접착 필름(100)은 그 자체로 충격 흡수 기능과 향상된 접착 성능을 가지므로, 별도의 내피 없이도, 상기 접착 필름(100)을 상기 외피(200) 내측에 부착하는 것 만으로도 상기 신체 보호구에 충분한 충격 흡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Since the adhesive film 100 itself has a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even without a separate endothelium, just attaching the adhesive film 100 to the inside of the outer shell 200 is sufficient to provide a sufficient impact to the body protection equipment. Absorption function can be given.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는 외피(200) 및 상기 외피(200)의 내측에 부착되는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복수의 접착 패턴(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보호구는 상기 접착 패턴(100)을 제외하고, 도 3의 (b)에 설명된 신체 보호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c) of FIG. 3 , the body protector may include an outer shell 200 and an adhesive film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hell 200 .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100 . The body protection equip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dy protection equipment described in (b) of FIG. 3 , except for the adhesive pattern 100 ,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접착 필름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dhesive film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접착층(PSA)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PSA)은 투명한 점착기능을 갖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PSA)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adhesive film includes an adhesive layer (PSA). The adhesive layer (PSA) may be an optical clear adhesive (OCA) film having a transparent adhesive function. The adhesive layer PSA may include an adhesive, and thus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제1 접착층(PSA1), 발포층(CU), 제2 접착층(PSA2)을 포함한다. 상기 발포층(CU)은 상기 제1 접착층(PSA1) 및 상기 제2 접착층(PS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 발포층, 상기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각 층의 특징들은 도 4의 (c)에 설명되는 층들의 특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도 4의 (c)에서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4B , the adhesive film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foaming layer (CU), and a second adhesive layer (PSA2). The foam layer CU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PSA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PSA2.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ing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yer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layers described in FIG. 4C ,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in FIG. 4C .

본 실시 예에 따른 접착층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면 테이프 대비, 향상된 접착력과 높은 연신율을 가지며, 또한, 뛰어난 충격 강도를 가진다. 예를 들면, 도 4의 (a)의 실시예와 같이 접착층 만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대비, 상기 적층 구조에 의해 향상된 접착력, 연신율 및 충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자주 노출되는 신체 보호구에 사용됨에 있어서, 제작 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신체 보호구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improved adhesion and high elongation compared to a generally used double-sided tape, and also has excellent impact strength. Fo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A , compared to an adhesive film composed of only an adhesive layer, the adhesive strength, elongation, and impact strength may be improved by the laminated structure. Accordingly, in being used for body protection equipment frequently exposed to external shocks, manufactur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the body protection equipment may be improved.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제1 접착층(PSA1), 베이스층(BS), 발포층(CU), 및 제2 접착층(PSA2)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PSA1), 상기 베이스층(BS), 상기 발포층(CU), 및 상기 제2 접착층(PSA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착층(PSA1) 상에 상기 발포층(CU), 상기 베이스층(BS), 및 상기 제2 접착층(PSA2)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C , the adhesive film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base layer BS, a foam layer CU, and a second adhesive layer PSA2. In the drawings, the first adhesive layer (PSA1), the base layer (BS), the foam layer (CU),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PSA2) are sequentially stack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oam layer CU, the base layer BS,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PSA2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PSA1.

상기 제1 접착층, 발포층, 상기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착층의 두께가 135 μm,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가 80 μm, 상기 발포층의 두께가 160 μm, 상기 제2 접착층의 두께가 125 μm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135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80 μm. , the thickness of the foam layer may be 16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125 μ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상기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는 약 100 μm 내지 약 600 μm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약 150 μm 내지 약 500 μm이다. 이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이형필름층(미도시)을 제외한 필름 전체 두께의 각각 약 25% 내지 약 32%, 약 26% 내지 약 39%, 약 10% 내지 약 15%, 및 약 25% 내지 약 32%이다. 본 발명에서 두께는 ASTM D-365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composed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100 μm to about 600 μm,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out 150 μm to about 500 μm.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25% to about 32%, about 26% to about 39%, respectively,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excluding the release film layer (not shown), from about 10% to about 15%, and from about 25% to about 3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3652.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가 약 160 μm일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40 μm, 약 62 μm, 약 18 μm, 및 약 40 μm로서, 각각 약 25%, 약 39%, 약 11%, 및 약 25%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가 약 210 μm일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55 μm, 약 73 μm, 약 27 μm, 및 약 55 μm로서, 각각 약 26%, 약 35%, 약 13%, 및 약 26%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가 약 260 μm일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75 μm, 약 83 μm, 약 27 μm, 및 약 75 μm로서, 각각 약 29%, 약 32%, 약 10%, 및 약 29%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가 약 310 μm일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85 μm, 약 97 μm, 약 43 μm, 및 약 85 μm로서, 각각 약 27%, 약 31%, 약 14%, 및 약 27%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가 약 360 μm일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110 μm, 약 97 μm, 약 43 μm, 및 약 110 μm로서, 각각 약 31%, 약 27%, 약 12%, 및 약 31%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가 약 410 μm일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130 μm, 약 107 μm, 약 43 μm, 및 약 130 μm로서, 각각 약 32%, 약 26%, 약 10%, 및 약 32%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으로 구성된 접착 필름 두께가 약 510 μm일 때, 제1 접착층, 발포층, 베이스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145 μm, 약 146 μm, 약 74 μm, 및 약 145 μm로서, 각각 약 28%, 약 29%, 약 15%, 및 약 28%를 차지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composed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160 μ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about 40 μm, about 62 μm, about 18 μm, and about 40 μm, respectively, accounting for about 25%, about 39%, about 11%, and about 25%,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hesive film thickness composed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210 μ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55 μm, about 73 μm, about 27 μm, and about 55 μm, respectively, accounting for about 26%, about 35%, about 13%, and about 26%,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composed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260 μ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75 μm, about 83 μm, about 27 μm, and about 75 μm, respectively, accounting for about 29%, about 32%, about 10%, and about 29%,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hesive film thickness consisting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310 μ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85 μm, about 97 μm, about 43 μm, and about 85 μm, respectively, accounting for about 27%, about 31%, about 14%, and about 27%,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composed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360 μ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110 μm, about 97 μm, about 43 μm, and about 110 μm, respectively, accounting for about 31%, about 27%, about 12%, and about 31%,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composed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410 μ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130 μm, about 107 μm, about 43 μm, and about 130 μm, respectively, accounting for about 32%, about 26%, about 10%, and about 32%,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composed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510 μ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oam layer,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bout 145 μm, about 146 μm, about 74 μm, and about 145 μm, respectively, accounting for about 28%, about 29%, about 15%, and about 28%,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은 동일 성분 또는 상이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비닐알킬에테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의 수소 첨가물(SEBS)계 접착제; 에틸렌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접착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실리콘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제이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 or different components,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nd/or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acrylic adhesive; epoxy adhesive; vinyl acetate-based adhesives; urethane adhesive; polyester adhesive; polyolefin-based adhesives; polyvinyl alkyl ether adhesive; rubber-based adhesives; vinyl chloride-vinyl acetate-based adhesive; styrene-butadiene-styrene (SBS) adhesives; styrene-butadiene-styrene (SEBS)-based adhesives; ethylene-based adhesives;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based adhesives and acrylic acid ester-based adhesiv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are one or more adhes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ic adhesive, an epoxy adhesive, and a silicone adhesi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아크릴 중합체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adhesive includes at least one acrylic polymer, and the acrylic polymer comprises, for example, a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a (meth)acrylic acid ester compound such as alkyl (meth)acrylat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polymer is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 t-butyl (meth)acrylate, sec-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butyl (meth)acrylate, n-octyl (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or tetradecyl (meth)acry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에폭시계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에폭시기를 가진 화합물을 폴리에폭사이드라하고, 폴리에폭사이드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와 같이 말단에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폭사이드와 같이 골격 내 옥시란 단위를 갖는 중합체,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이 에폭시 잔기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에폭시 화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환형지방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환형의 화합물일 수 있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았을 수 있으며, 단량체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y-based adhesive includes at least one epoxy compound, and the epoxy compound includes one or more epoxy groups. In particular, a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is called polyepoxide, and polyepoxide is a compound containing an epoxy group at the terminal, such as diglycidyl ether of polyoxyalkylene glycol, and a backbone such as polybutadiene polyepoxide. polymers having oxirane units within it, and polymers having an epoxy moiety, such as glycidyl methacrylate polymers or copolymer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y compound may be a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cycloaliphatic, aromatic, or heterocyclic compound, and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nd may be a monomer or a polymer.

에폭시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옥타데실렌 옥사이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스티렌 옥사이드, 비닐시클로헥센 옥사이드, 글리시돌,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시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닐시클로헥산 다이옥사이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헤겐 카르복실레이트, 2-(3,4-에폭시시클로헥실-5,5-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산-메타다이옥산,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 아디페이트, 디펜텐 다이옥사이드, 에폭시화된 폴리부타다이엔, 베타-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 실란 및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과 같은 에폭시 실란, 난연성 에폭시 수지, 1,4-부탄다이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수소화된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하이드린 기반 에폭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하이드 노보락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일 수 있다. Epoxy compound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octadecylene oxide, epichlorohydrin, styrene oxide, vinylcyclohexene oxide, glycidol, glycidyl methacrylate,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 diglycidyl ether of cisphenol F, vinylcyclohexane dioxide,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gen carboxylate, 2- (3,4-epoxycyclohexyl-5,5 -spiro-3,4-epoxy) cyclohexane- metadioxane, bis (3,4-epoxycyclohexyl adipate, dipentene dioxide, epoxidized polybutadiene, beta-3,4-epoxycyclohexylethyltri Epoxy silanes such as methoxy silane and 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 silane, flame retardant epoxy resins,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hydrogenated bisphenol A-epichlorohydrin based epoxy resins, and polyglycidyl ether of phenol-formaldehyde novolac.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접착제는 감압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이고, 분자량은 약 700000 내지 약 800000이며, 유리 전이 온도 (Tg)는 약 -25℃ 내지 약 -20℃인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The adhesiv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the molecular weight is about 700000 to about 800000,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about -25 ℃ to about -20 ℃ polymer was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접착층에 사용되는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NMP), 디메틸 설폭사이드 (DMSO), 에틸 락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MEK),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아세테이트 (PGMEA), 톨루엔, 자일렌, 아세톤, 시클로펜테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 디메틸 아세트아마이드, 하이드로카본, 시클로헥사논, 또는 에테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요망되는 시간 동안 용액 내 성분을 안정하게 균질하거나 분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용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used for the first or second adhesive layer is n-methylpyrrolidone (NMP),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 lac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methyl ethyl ketone ( MEK), propylene glycol ethylene acetate (PGMEA), toluene, xylene, acetone, cyclopentenone, tetrahydrofuran (THF), dimethyl acetamide, hydrocarbon, cyclohexanone, or e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s long as it can keep the components in a solution in a stable, homogeneous or dispersed state for a desired period of time can be used.

사용하는 발포제는 형성하고자 하는 포움의 형태, 증기압, 사용 용이성, 및/또는 사용되는 중합체에 관한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선택할 수 있다. The foaming agent to be used may be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foam to be formed, vapor pressure, ease of use, and/or solubility with respect to the polymer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필름 내 발포층은 물리적 발포제 또는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로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를 물리적 발포제라하고, 화학적으로 분해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를 화학적 발포제라 한다. 필요에 따라 핵제(nucleating agent)를 용해된 발포제에 첨가하여 공극 크기를 키우고 공극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The foaming layer in 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using a physical foaming agent or a chemical foaming agent. A case of using a gas as the blowing agent is called a physical blowing agent, and a case of using a chemically decomposed material is called a chemical blowing agent. If necessary, a nucleat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dissolved foaming agent to increase the pore size and uniformly form the por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물리적 발포제는 액상의 용매에 용해된 휘발성 액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부탄, 펜탄, 네오펜탄, 헵탄, 이소헵탄, 벤젠, 톨루엔, 메틸글로라이드, 트리클로에틸렌, 디클로에탄,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트리클로로플로우로메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적 발포제는 화학 반응에 의하여 기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아조디카본아미드, 또는 활성아조디카본아미드와 같은 아조화합물; 5-페닐테트라졸 또는 나트륨 중탄산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ysical blowing agent includes a volatile liquid dissolved in a liquid solvent, for example, butane, pentane, neopentane, heptane, isoheptane, benzene, toluene, methylgloride, trichlorethylene. , dichloroethane, methylene chloride, or trichlorofluoromethan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hemical blowing agent is one that causes bubbles to be formed by a chemical reaction, for example, an azo compound such as azodicarbonamide or activated azodicarbonamide; 5-phenyltetrazole or sodium bicarbon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예를 들어, 캡슐화된 형태로서 열경화성 레진으로 둘러싸인 구형으로 제형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레진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레진, 스티렌계 레진,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레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및 시트르산 혼합물,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p-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 아조디카본아마이드 (1,1’-아조비스포름아마이드), p-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5’-페닐테트라졸, 5’-페닐테트라졸 유사체, 디이소프로필하이드라조디카복실레이트, 5’-페닐-3,6-디하이드로-1,3,4-옥사디아진-2-온, 또는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hysical foaming agent may be formulated in a spherical shape surrounded by a thermosetting resin in an encapsulated form, for example. The thermosetting resin may include, for example, a polyolefin-based resin, a styrene-based resin, a thermosetting polyurethane resi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a mixture of sodium bicarbonate and citric acid, 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 p-toluenesulfonyl hydrazide, 4-4'-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azodicarbonamide (1,1'-azobisformamide), p-toluenesulfonyl semicarbazide, 5'-phenyltetrazole, 5'-phenyltetrazole analog, diisopropylhydrazodicarboxylate, 5'-phenyl-3,6-dihydro-1,3,4-oxadiazin-2-one, Or sodium borohydride,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발포제는 입자 또는 비드 형태로 발포제 조성물에 존재한다. 상기 입자 또는 비드의 입자 크기는 1종, 또는 적어도 2종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자 크기는 약 1 μm 내지 약 15 μm, 약 2 μm 내지 약 14 μm, 약 3 μm 내지 약 13 μm, 약 4 μm 내지 약 12 μm, 또는 약 4 μm 내지 약 11 μ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자 크기가 약 4 μm 내지 약 5 μm 및 약 6 μm 내지 약 11 μm인 발포제를 각각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다. The blowing agent is present in the blowing agent composition in the form of particles or beads.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or beads may be used alone,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kinds.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article size is from about 1 μm to about 15 μm, from about 2 μm to about 14 μm, from about 3 μm to about 13 μm, from about 4 μm to about 12 μm, or from about 4 μm to about 11 μ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ion comprising a blow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4 μm to about 5 μm and about 6 μm to about 11 μm, respectively, is used.

발포층의 골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다양한 열가소성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및 플루오로중합체, 더욱 구체적으로, 스티렌-이소프린-스티렌 (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같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또는 이의 공중합체, 및 내충격성 폴리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레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와 같은 폴리(메트)아크릴계 화합물; 엘라스토머; 폴리부타다이엔; 폴리이소프린; 폴리클로로프린;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다이엔 고무(SRB)와 같은 스티렌 및 다이엔(diene)의 무작위 및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단량체 고무와 같은 올레핀계 수지; 비결정질 폴리올레핀;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결정질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 방향성 에폭시; 폴리아마이드 (나일론), 전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아라마이드) 및 비결정형 폴리아마이드와 같은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 케톤) (PEEK); 아크릴로니트릴-부타다이엔-스티렌 (ABS) 공중합체; 플루오르화된 엘라스토머; 비결정질 플루오로중합체; 폴리디메틸 실록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폴리스티렌과 같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혼합물; 하나 이상의 비결정질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분자량이 10만 내지 15만인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 또는 분자량이 10만 내지 30만인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의 조합이 사용된다. Various thermoplastic polymers can be used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foam layer, for exampl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ester, and fluoropolymers, more specifically, styrene-isophine-styrene (SIS); styrenic block copolymers such as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s (SEBS), and acrylic copolymers, for example, polystyrene, or copolymers thereof, and styrene resins such as impact-resistant polystyrene; polycarbonate; poly(meth)acrylic compound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elastomer; polybutadiene; polyisoprine; polychloroprine; caoutchouc; random and block copolymers of styrene and dienes, such as styrene-butadiene rubber (SRB); olefin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rubber; amorphous polyolefin; vinyl acetate resin;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tra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amorphous polyester; polystyrene-polyethylene copolymers; polyvinylcyclohexane; polyacrylonitrile; vinyl chloride resins such as polyvinyl chloride; urethane resins includ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s; aromatic epoxy; polyamides such as polyamide (nylon), wholly aromatic polyamide (aramid) and amorphous polyamide; polyetherimide; poly(ether ketone) (PEEK);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copolymers; fluorinated elastomers; amorphous fluoropolymers; polydimethyl siloxa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henylene oxide; polyphenylene oxide-polyphenylene oxide mixtures such as polystyrene; copolymers containing one or more amorphou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rethane resin including a polyuretha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150,000, or a polyethylene copoly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300,000, or a combination thereof is used.

상기 발포층은 발포체 및 열가소성 중합체 외에도 실란커플링제, 산화 방지제, 경화 지연제, 촉매제, 착색제, 라벨링제, 및/또는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am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an antioxidant, a curing retardant, a catalyst, a colorant, a labeling agent, and/or a solvent in addition to the foam and the thermoplastic polymer.

실란커플링제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화학식과 같은 화합물을 의미한다:A silane coupling agent generally refers to a compound of the formula:

YR-Si-(X)3YR-Si-(X)3

상기 X는 알콕시와 같은 수화가능한 기를 의미하고, Y는 아미노, 메타크릴록시 또는 에폭시와 같은 작용성 유기기이며, R은 (CH2)n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링커(n=0 내지 3)이다. wherein X denotes a hydratable group such as alkoxy, Y is a functional organic group such as amino, methacryloxy or epoxy, and R is an aliphatic hydrocarbon linker such as (CH2)n (n=0 to 3).

실란 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비닐벤질 양이온성 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베타-머캅토에틸트리에톡시실란, 감마-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 (베타-메톡시-에톡시)실란,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베타-(3,4 에폭시시클로헥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또는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Silane coupling agents includ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vinylbenzyl cationic silane, 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gamma-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beta-mercaptoethyltriethoxy Silane, gamma-chloropropyltrimethoxysilane, n-beta-(aminoethyl) gamma-aminopropyl-trimethoxysilane, gamma-aminopropyltri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s (beta- Methoxy-ethoxy)silane, gamma-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beta-(3,4 epoxycyclohexy)ethyltrimethoxysilane, 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nd/or Vinyltriacetoxysilane may be used.

산화 방지제는 제조된 필름이 향상된 열 저항성, 빛 저항성과 같이 향상된 성질을 갖도록 하는 성분으로서,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아민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스프(BASF)에서 판매되는 IRGANOX 1330, IRGANOX 259, IRGANOX 3114, IRGANOX 565 및 CHIBASSORB 119FL; 및 아데카(Adeka)에서 판매되는 ADEKASTAB AO-60를 사용할 수 있다. 아민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BASF에서 판매되는 CHIMASSORB 2020FDL, CHIMASSORB 944FDL 및 CHIMASSORB 119FL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ntioxidant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prepared film to have improved properties such as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and a phenol-based antioxidant or an amine-based antioxidant may be used. Phenolic antioxid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RGANOX 1330, IRGANOX 259, IRGANOX 3114, IRGANOX 565 and CHIBASSORB 119FL sold by BASF; and ADEKASTAB AO-60 sold by Adeka. As the amine-based antioxidant, for example, CHIMASSORB 2020FDL, CHIMASSORB 944FDL and CHIMASSORB 119FL sold by BASF can be used.

경화 지연제는 필름의 경화를 늦추기 위해 사용되며, 예를 들어, 4-메톡시페놀, 4-에톡시페놀, 3-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 2-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 및 3,5-디-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과 같은 알콕시페놀; 2-메틸하이드로퀴논, 2,5-디메틸하이드로퀴논, 2-t-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t-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t-아밀하이드로퀴논, 2,5-비스(1,1-디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 및 2,5-비스(1,1-디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 및 2,5-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과 같은 하이드로퀴논; 카테콜, 4-t-부틸카테콜 및 3,5-디-t-부틸카테콜과 같은 카테콜; 및 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및 메틸벤조퀴논과 같은 벤조퀴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ure retarders are used to slow the curing of the film, for example, 4-methoxyphenol, 4-ethoxyphenol, 3-t-butyl-4-hydroxyanisole, 2-t-butyl-4- hydroxyanisole, and alkoxyphenols such as 3,5-di-t-butyl-4-hydroxyanisole; 2-methylhydroquinone, 2,5-dimethylhydroquinone, 2-t-butylhydroquinone, 2,5-di-t-butylhydroquinone, 2,5-di-t-amylhydroquinone, 2,5- bis(1,1-dimethylbutyl)hydroquinone, and 2,5-bis(1,1-dimethylbutyl)hydroquinone, and 2,5-bis(1,1,3,3-tetramethylbutyl)hydroquinone hydroquinones such as rice; catechols such as catechol, 4-t-butylcatechol and 3,5-di-t-butylcatechol; and benzoquinones such as benzoquinone, naphthoquinone, and methylbenzoquin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촉매제는 산 촉매, 염 촉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촉매제는, 예를 들어, KOH, NaOH, LiOH, 유기리튬 시약, 그리나드 시약, 메탄설폰산, 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 트리부틸아민과 같은 아민; 메틸이미다졸 및 페닐이미다졸과 같은 이미다졸; 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인 기반 촉매; 주석, 티타늄, 알루미늄, 비스무스, 백금, 로듐, 팔라듐과 같은 금속의 유기금속염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alyst may use an acid catalyst, a salt catalyst, or a mixture thereof. Catalysts include, for example, KOH, NaOH, LiOH, organolithium reagent, Grignard reagent, methanesulfonic acid, 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or mixtures thereof; amines such as triethylamine, pyridine, and tributylamine; imidazoles such as methylimidazole and phenylimidazole; phosphorus based catalysts such as triphenylphosphine; It may be an organometallic salt of a metal such as tin, titanium, aluminum, bismuth, platinum, rhodium, or palladium.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발포율”은 발포 전 발포층의 두께에 대한 발포 후 발포층의 두께의 백분율을 의미한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aming rate" means the percentage of the thickness of the foamed layer after foaming to the thickness of the foamed layer before foaming.

Figure pat00003
<수학식1>
Figure pat00003
<Equation 1>

(여기서, RE: 발포율, Tf: 발포 후 발포층의 두께, T0: 발포 전 발포층의 두께) (here, RE : foaming rate, T f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after foaming, T 0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before foaming)

발포율은 발포 시의 온도 및 발포 시간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접착 필름 내 발포층의 발포율은 약 120% 내지 약 2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약 140% 내지 약 2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약 160% 내지 약 2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약 180% 내지 약 200%이다. 발포율이 120%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이 요망하는 수준으로 달성할 수 없고, 발포율이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포층의 강도가 낮아져 발포층이 부서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 foaming rate will be adjustabl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aming temperature and foaming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ing rate of the foaming layer in the adhesive film is about 120% to about 20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out 140% to about 20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out 160% to about 200%, in another embodiment from about 180% to about 200%. When the foaming rate is less than 120%, the shock-absorbing property cannot be achieved at a desired level, and when the foaming rate exceeds 200%, the strength of the foaming layer is lowered and the foaming layer may be broken. .

발포층의 발포율과 함께 공극률 역시 충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인자이다. 공극률은 발포 시트에 포함되는 기체의 밀도, 또는 시트의 기상 점유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체 발포층의 부피에 대한 공극이 차지하는 부피를 의미한다:In addition to the foaming rate of the foam layer, the porosity is also a factor that can increase the impact strength. The porosity is a value indicating the density of gas contained in the foam sheet or the gas phase occupancy rate of the sheet, and means the volume occupied by the pores with respect to the volume of the entire foam layer:

Figure pat00004
<수학식2>
Figure pat00004
<Equation 2>

φ: 공극률φ: porosity

(여기서, φ: 공극률, V: 발포층의 전체 부피, Vv: 공극의 부피, Vs: 공극 외 고체의 부피)(here, φ: porosity, V: total volume of the foam layer, Vv: volume of pores, Vs: volume of solid outside the por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발포층의 공극률은 40% 내지 80%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공극률은 40% 내지 74%이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공극률은 50% 내지 74%이다. 발포층의 공극률이 40% 미만인 경우에는 요망하는 정도의 충격 흡수율을 달성하지 못하고, 발포층의 공극률이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요망하는 정도의 필름 강도를 갖지 못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sity of the foam layer is 40% to 80%,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sity is 40% to 74%,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sity is 50% to 74 %to be. When the porosity of the foamed layer is less than 40%, the desired degree of shock absorption cannot be achieved, and when the porosity of the foamed layer exceeds 80%, the film strength cannot be obtained to the desired degree.

본 발명자는 발포층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일정 수준까지는 발포율이 높아질 때 충격 흡수율이 커지고, 발포층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일정 수준까지는 공극률이 낮아질 때 충격 흡수율이 커짐을 확인하였다. 즉, 발포층의 발포율이 높으면서 공극의 크기가 다양한 경우에 충격 흡수율이 높아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when the foam layer has the same thickness, the shock absorption rate increases when the foaming rate is increased up to a certain level, and when the foam layer has the same thickness, the impact absorption rate increases when the porosity decreases up to a certain leve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impact absorption rate was increased when the foaming layer had a high foaming rate and various pore sizes.

접착력은 접착 필름이 피착제에 부착되어 있는 정도를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며, 반발 저항력을 힘의 단위로 나타내고, 180º 방향으로 당기거나 90º 방향으로 당겨서 피착제로부터 벗겨지는 데에 필요한 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접착력은 스테인레스 스틸(SUS)에 대하여 ASTM D3330에 따라 측정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180º 접착력 측정을 위해 SUS 표면을 알코올로 세척하고, 일면에 50 μm 두께의 PET 필름을 부착시킨 폭 25 mm, 길이 250 mm의 접착 필름을 준비된 SUS에 부착시키고 2 kg의 압착 롤러로 300 mm/min의 속도로 1회 왕복하여 압착하고 30분 후에 시험편의 끝 부분을 180º 로 접어 300 mm/min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50 mm까지 박리하였을 때의 값을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 후 평균치를 결과로 하였다. Adhesive force measures the degree to which the adhesive film adheres to the adherend by a prescribed method, expresses the resistance to repulsion in units of force, and refers to the force required to peel off the adherend by pulling it in the 180º direction or pulling it in the 90º direction.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ce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3330 with respect to stainless steel (SUS). More specifically, for 180º adhesion measurement, the surface of the SUS was washed with alcohol, and an adhesive film with a width of 25 mm and a length of 250 mm with a 50 μm thick PET film attached to one side was attached to the prepared SUS and pressed with a 2 kg pressing roller. It was compressed by reciprocating once at a speed of 300 mm/min, and after 30 minutes, the tip of the test piece was folded 180º and measured at a speed of 300 mm/min. The value when peeled to 50 mm was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after 3 repetitions.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필름은 3000 gf/in 이상의 접착력을 보였고, 특히 3400 gf/in 내지 3700 gf/in의 접착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필름이 발포층을 포함하는 경우, 발포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약 10% 이상, 약 15% 이상, 약 17%이상, 약 20%이상, 또는 약 25% 접착력이 향상되었다. 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n adhesive strength of 3000 gf/in or more, and was particularly found to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3400 gf/in to 3700 gf/in. When 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aming layer, the adhesive strength is improved by about 10% or more, about 15% or more, about 17% or more, about 20% or more, or about 25%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oaming layer is not included. became

충격 강도는 듀폰 충격 시험(Dupont test)으로 평가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50 mm x 50 mm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Mg 피착제에 접착 테이프를 폭 0.7 mm, 12 mm x 12 mm 타발 후 부착하여, 외부에서 충격을 가할 때 발포층이 파괴되어 분리될 때의 에너지 값 (mJ)을 측정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50 g의 추를 5 cm, 10 cm, 15 cm, 및 20 cm 등의 높이에서 떨어트려 충격을 가함으로써 쿠션층이 분리될 때의 에너지를 측정하였으며, 3회 측정된 값의 평균값을 충격 강도로 나타내었다. Impact strength was evaluated by the Dupont impact test (Dupont test). More specifically, when an adhesive tape is punched and attached to a polycarbonate having a size of 50 mm x 50 mm or Mg adherend with a width of 0.7 mm and 12 mm x 12 mm, when the foam layer is destroyed and separated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energy value (mJ) of was measured. More specifically, the energy when the cushion layer is separated by dropping a 50 g weight from a height of 5 cm, 10 cm, 15 cm, and 20 cm, etc. was expressed as the impact strength.

이와 같이 측정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필름의 충격 강도는 발포층이 없는 접착 필름에 비하여 향상된 충격 강도를 나타내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포층이 없는 접착 필름의 경우, 약 100 mJ 미만의 충격 강도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필름은 100 mJ 이상, 150 mJ 이상, 200 mJ 이상, 250 mJ 이상, 및 300 mJ 이상의 충격 강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impact strength of 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d as described above showed improved impact strength compared to the adhesive film without a foam layer.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n adhesive film without a foaming layer, an impact strength of less than about 100 mJ was exhibited, but 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100 mJ or more, 150 mJ or more, 200 mJ or more, 250 mJ or more, and 300 mJ It was confirmed to have an impact str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mpact strength.

상기 발포층 및/또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층의 일면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가열, 및 건조를 통해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하거나, 별도의 지지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열 및 건조를 통해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 층을 발포층의 표면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A method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foam layer and/or the base layer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layer obtained by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foam layer and curing it through heating and drying, or applying an adhesive to a separate support and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hrough heating and dry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oam layer. It can be prepared by placing it 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층은 접착 테이프의 요망되는 연신율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으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프탈레이트(PCT) 필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필름, 폴리이미드(PI) 필름,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폴리에테르 설폰 (PES)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필름,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필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CV)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layer may be selectively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a desired elongation of the adhesive tape. As the base layer, for exampl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cyclohexylene dimethylphthalate (PCT) film, 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film, a polyimide (PI) film, a polypropylene (OPP) film,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film, unstretched polypropylene (CPP) film, polyether sulfone (PES) film, polyetherimide (PEI) film, polyphenylene sulfide (PPS) film, polyvinyl chloride (PCV) film, and a polycarbonate (PC) film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필름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망하는 연신율을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프라이머 표면처리 또는 코로나 표면처리를 하여 발포층 및/또는 제2 접착층과 베이스층 사이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다. 상기 표면처리된 베이스층의 일면에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고 숙성하여 발포층을 형성시킨다. 상기 발포층의 형성과 동시,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발포층이 형성된 기저층의 이면에 제2 접착층을 코팅하고, 상기 발포층의 일면에 제1 접착층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킨다. 이후, 제1 및 제2 접착층의 일면에 이형필름층(미도시)을 도포한다. 그러나 상기의 제조 방법은 다양한 제조 방법의 일 예로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primer surface treatment or corona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having a desired elongation to enhanc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oam layer and/or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base layer.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is coated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a foaming agent and aged to form a foaming layer. Simultaneously with,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foam layer, a second adhesive layer is co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layer on which the foam layer is formed,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foam layer and dri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to form Thereafter, a release film layer (not shown)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However,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s an example of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and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기 접착 필름을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the adhesive film will be described through specific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Example

제조례 1Recipe 1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8 중량부의 6 내지 11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발포제,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0.1 중량부의 에폭시 경화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및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11.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공극률 40%의 6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발포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및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6m/min의 속도로 이동시키며 건조하여 각각 120 μm 두께 및 127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각각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about 0.8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11 μm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weight A blow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parts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ic antioxida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is applied, and one drying zone is 4 m, 50, 70, 80, 110, 150 , 150, 155, and 150 ℃, a foam layer having a thickness of 60 μm with a porosity of 40%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ing at a speed of 11.5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eight stages.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foam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and 140 ℃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respectively 120 μm thick and 127 μm thick by drying while moving at a speed of 6 m/min in a dryer, and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 layers of 50 μm and 75 μm thick were applied, respectively. A 350 μm thick adhesive tape was prepared.

제조례 2Recipe 2

제조례 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10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8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10 μm 및 11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10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10 μm and 117 μm, respectively.

제조례 3Recipe 3

제조례 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9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05 μm 및 112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9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05 μm and 112 μm, respectively.

제조례 4recipe 4

제조례 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10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00 μm 및 10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m and 107 μm, respectively.

제조례 5recipe 5

제조례 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12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90 μm 및 9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 a foam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90 μm and 97 μm, respectively.

제조례 6recipe 6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 중량부의 6 내지 11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발포제,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0.1 중량부의 에폭시 경화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및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11.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공극률 50%의 6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발포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및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6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20 μm 두께 및 127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about 1.0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11 μm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weight A blow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parts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ic antioxida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is applied, one drying zone is 4 m and 50, 70, 80, 110, 150, A foamed layer having a porosity of 50% and a thickness of 6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ing at a speed of 11.5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8 stages at 150, 155, and 150°C.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foam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and 140 ℃ Transported at a speed of 6 m/min in a dryer and dried to form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ith a thickness of 120 μm and 127 μm, respectively, and a release film layer of 50 μm and 75 μm was applied to an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350 μm. was prepared.

이 때 쿠션의 두께는 ASTM D-3652에 따라 측정하였다.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3652.

제조례 7recipe 7

제조례 6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10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8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10 μm 및 11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6, a foam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10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6,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10 μm and 117 μm, respectively.

제조례 8recipe 8

제조례 6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8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10 μm 및 11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6,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6,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10 μm and 117 μm, respectively.

제조례 9recipe 9

제조례 6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8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10 μm 및 11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6, a foam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6,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10 μm and 117 μm, respectively.

제조례 10Recipe 10

제조례 6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8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10 μm 및 11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6,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5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6,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10 μm and 117 μm, respectively.

제조례 11recipe 11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2 중량부의 6 내지 11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발포제,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0.1 중량부의 에폭시 경화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11.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공극률 60%의 6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발포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6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20 μm 두께 및 127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about 1.2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11 μm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weight A blow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parts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ic antioxida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is applied, one drying zone is 4 m and 50, 70, 80, 110, 150, A foam layer having a porosity of 60% and a thickness of 6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ing at a speed of 11.5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a total of 8 stages at 150, 155, and 150°C.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foam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ryer is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140 ° C.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of 120 μm and 127 μm thickness were formed by drying while transported at a speed of 6 m/min in prepared.

제조례 12recipe 12

제조례 1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10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8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10 μm 및 11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1, a foam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10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10 μm and 117 μm, respectively.

제조례 13Recipe 13

제조례 1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9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05 μm 및 112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1,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9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05 μm and 112 μm, respectively.

제조례 14Recipe 14

제조례 1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10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00 μm 및 10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1,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m and 107 μm, respectively.

제조례 15Recipe 15

제조례 11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12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90 μm 및 9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1, a foam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5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1,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90 μm and 97 μm, respectively.

제조례 16Recipe 16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4 중량부의 6 내지 11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발포제,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0.1 중량부의 에폭시 경화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공극률 68%의 9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발포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05 μm 두께 및 112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about 1.4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11 μm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weight A blow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parts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ic antioxida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is applied, one drying zone is 4 m and 50, 70, 80, 110, 150, A foaming layer having a porosity of 68% and a thickness of 9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ing at a speed of 9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8 stages at 150, 155, and 150°C.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foam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ryer is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140 ° C.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of 105 μm and 112 μm thickness were formed by drying while transported at a speed of 8 m/min in prepared.

제조례 17recipe 17

제조례 16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10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00 μm 및 10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6,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was formed by foaming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6,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m and 107 μm, respectively.

제조례 18recipe 18

제조례 16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7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12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 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90 μm 및 9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6,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7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dri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5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6, except that it was transported and dried to form a thickness of 90 μm and 97 μm, respectively.

제조례 19recipe 19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4 중량부의 6 내지 11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발포제,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0.5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0.1 중량부의 에폭시 경화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공극률 74%의 9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발포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05 μm 두께 및 112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about 1.4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11 μm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weight A blow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parts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inorganic coupling agent, 0.5 parts by weight phenolic antioxidant, and 0.1 parts by weight epoxy curing agent is applied, one drying zone is 4 m and 50, 70, 80, 110, 150, A foam layer having a porosity of 74% and a thickness of 9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ing at a speed of 9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8 stages at 150, 155, and 150°C.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foam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ryer is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140 ° C.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of 105 μm and 112 μm thickness were formed by drying while transported at a speed of 8 m/min in prepared.

제조례 20recipe 20

제조례 19에서 동일한 건조온도에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서 10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킨 것 및 제1 및 제2 접착층을 동일한 건조온도에 9.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시켜 각각 100 μm 및 107 μm 두께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n Preparation Example 19, a foam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8 m/min,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transported at the same drying temperature at a speed of 9.5 m/min.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9, except that it was dried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m and 107 μm, respectively.

제조례 21recipe 21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 중량부의 6 내지 11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발포제와 약 1.0 중량부의 4~5μm 비드,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및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공극률 50%의 9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발포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05 μm 두께 및 112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id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about 1.0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11 μm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and about 1.0 parts by weight of 4-5 μm beads ,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ic antioxidant is applied and one drying zone is 4M and 50, 70, 80, 110 , 150, 150, 155, 150 ℃, a foam layer having a thickness of 90 μm with a porosity of 50%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ing at a speed of 9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8 stages at a total of 8 stages.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foam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ryer is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140 ° C.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of 105 μm and 112 μm thickness were formed by drying while transported at a speed of 8 m/min in prepared.

제조례 22recipe 22

제조례 21에서 페놀계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대신 에폭시 경화제 0.1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1, except that 0.1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was added instead of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based antioxidant in Preparation Example 21.

제조례 23recipe 23

제조례 21에서 페놀계산화방지제 0.1 중량부를 0.2 중량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1, except that 0.1 parts by weight of the phenolic antioxidant was added in an amount of 0.2 parts by weight in Preparation Example 21.

제조례 24Recipe 24

제조례 21에서 페놀계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대신 촉매제 0.2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1, except that 0.2 parts by weight of the catalyst was added instead of 0.1 parts by weight of the phenolic antioxidant in Preparation Example 21.

제조례 25recipe 25

제조례 21에서 에폭시 경화제 0.1 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1, except that 0.1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uring agent was further added in Preparation Example 21.

제조례 26recipe 26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 중량부의 6 내지 11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발포제와 약 1.0 중량부의 4~5μm 비드,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및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발포시킴으로써 공극률 50%의 100 μm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발포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00 μm 두께 및 107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id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about 1.0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11 μm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and about 1.0 parts by weight of 4-5 μm beads ,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ic antioxidant is applied and one drying zone is 4 m, 50, 70, 80, 110 , 150, 150, 155, 150 ℃, a foam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with a porosity of 50% was formed by foaming while transporting at a speed of 9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eight stages.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foam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ryer is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140 ° C. Transported at a speed of 9 m/min and dried to form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ith a thickness of 100 μm and 107 μm, respectively, and a release film layer of 50 μm and 75 μm was applied to form a 350 μm thick adhesive tape. prepared.

제조례 27recipe 27

제조례 26에서 페놀계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대신 에폭시 경화제 0.1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6, except that 0.1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uring agent was added instead of 0.1 parts by weight of the phenolic antioxidant in Preparation Example 26.

제조례 28recipe 28

제조례 26에서 페놀계산화방지제 0.1 중량부를 0.2 중량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6, except that 0.1 parts by weight of the phenolic antioxidant was added in an amount of 0.2 parts by weight in Preparation Example 26.

제조례 29Recipe 29

제조례 26에서 페놀계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대신 에폭시 경화제 0.2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6, except that 0.2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was added instead of 0.1 parts by weight of a phenolic antioxidant in Preparation Example 26.

제조례 30recipe 30

제조례 26에서 에폭시 경화제 0.1 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례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6, except that 0.1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uring agent was further added in Preparation Example 26.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0.1 중량부의 에폭시 경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후,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90 μm의 두께를 갖는 쿠션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쿠션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05 μm 두께 및 112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0.1 parts by weight After apply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phenolic antioxida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one drying zone is 4 m and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50, 70, 80, 110, 150, 150, 155, 150 ° C. It was transported at a speed of 9 m/min in a thermal dryer and dried to form a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90 μm.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cushion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and the heat dryer is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140 ℃.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of 105 μm and 112 μm thickness were formed by drying while transported at a speed of 8 m/min in prepar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하고,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의 남색 잉크, 0.6 중량부의 레벨링제, 0.6 중량부의 무기 커플링제, 0.1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0.1 중량부의 에폭시 경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후,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50, 70, 80, 110, 150, 150, 155, 15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8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100 μm의 두께를 갖는 쿠션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및 쿠션층의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 건조기에서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9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00 μm 두께 및 107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Polyurethane i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bas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3 μm, a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1.0 parts by weight of indigo ink, 0.6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coupling agent, 0.1 parts by weight After apply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phenolic antioxidant and 0.1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one drying zone is 4 m and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50, 70, 80, 110, 150, 150, 155, 150 ° C. It was transported at a speed of 8 m/min in a thermal dryer and dried to form a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After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one side of the cushion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of 60, 70, 75, 100, 120, 140, 145, 140 ℃ in a 4m dryer. Transported at a speed of 9 m/min in a dryer and dried to form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ith a thickness of 100 μm and 107 μm, respectively, and a release film layer of 50 μm and 75 μm is applied to an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350 μm. was prepar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표면처리된 43 μ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층의 상단 일면 및 하단 일면에 코팅하고 1개의 건조 존이 4m이고 60, 70, 75, 100, 120, 140, 145, 140℃의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열 건조기에서 3.5m/min의 속도로 운반하며 건조하여 각각 150 μm 두께 및 157 μm 두께의 제1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50 μm 및 75 μm 두께의 이형필름층을 도포하여 350 μm 두께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having a surface-treated 43 μm thicknes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layer, and one drying zone is 4 m, 60, 70, 75, 100, 120, 140, 145, It was transported and dried at a speed of 3.5 m/min in a thermal dryer divided into a total of 8 steps at 140°C to form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ith a thickness of 150 μm and 157 μm, respectively, and release with a thickness of 50 μm and 75 μm A film layer was applied to prepare an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350 μm.

제조례 1 내지 30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하기 표 1 내지 표 7에, 제조례 1 내지 30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구조는 표 8 내지 14에 기재하였다.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s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s 1 to 30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in Tables 1 to 7, and the structures of the films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s 1 to 30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Tables 8 to 14.

제조례
1
recipe
One
제조례
2
recipe
2
제조례
3
recipe
3
제조례 4recipe 4 제조례 5recipe 5
비드(carbon black으로 코팅된 PU 미립자)Beads (PU particles coated with carbon blac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발포제blowing agen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0.80.8 0.80.8 0.80.8 0.80.8 0.80.8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6~116-11 6~116-11 6~116-11 6~116-11 6~116-11 발포율(%)Foaming rate (%) 140140 140140 140140 140140 140140 Cushion 두께Cushion thickness 두께(㎛)Thickness (㎛) 6060 8080 9090 100100 120120 공극률(%)Porosity (%) 4040 4040 4040 4040 4040 남색 잉크blue in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첨가제(중량부)Additives (parts by weight) 레벨링제(폴리실록산)Leveling agent (polysiloxane) 0.60.6 0.60.6 0.60.6 0.60.6 0.60.6 무기 커플링제(에폭시 실란커플링제)Inorganic coupling agen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0.60.6 0.60.6 0.60.6 0.60.6 0.60.6 페놀계산화방지제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phenolic antioxidant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 0.10.1 0.10.1 0.10.1 0.10.1 0.10.1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ener 0.10.1 0.10.1 0.10.1 0.10.1 0.10.1

*함량(중량부)는 발포제 조성물의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값임. * Content (parts by weight) is a val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of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제조례 6recipe 6 제조례 7recipe 7 제조례 8recipe 8 제조례 9recipe 9 제조례 10Recipe 10 비드(carbon black 으로 코팅된 PU 미립자)Beads (PU particles coated with carbon blac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발포제blowing agen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6~116-11 6~116-11 6~116-11 6~116-11 6~116-11 발포율(%)Foaming rate (%) 160160 160160 160160 160160 160160 Cushion 두께Cushion thickness 두께(㎛)Thickness (㎛) 6060 8080 9090 100100 120120 공극률(%)Porosity (%) 5050 5050 5050 5050 5050 남색 잉크blue in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첨가제(중량부)Additives (parts by weight) 레벨링제
(폴리실록산)
leveling agent
(polysiloxane)
0.60.6 0.60.6 0.60.6 0.60.6 0.60.6
무기 커플링제
(에폭시 실란커플링제)
inorganic coupling agen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0.60.6 0.60.6 0.60.6 0.60.6 0.60.6
페놀계산화방지제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Phenolic antioxidant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 0.10.1 0.10.1 0.10.1 0.10.1 0.10.1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ener 0.10.1 0.10.1 0.10.1 0.10.1 0.10.1

*함량(중량부)는 발포제 조성물의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값임. * Content (parts by weight) is a val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of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제조례 11recipe 11 제조례 12recipe 12 제조례 13Recipe 13 제조례 14Recipe 14 제조례 15Recipe 15 비드(carbon black 으로 코팅된 PU 미립자)Beads (PU particles coated with carbon blac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발포제blowing agen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21.2 1.21.2 1.21.2 1.21.2 1.21.2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6~116-11 6~116-11 6~116-11 6~116-11 6~116-11 발포율(%)Foaming rate (%) 180180 180180 180180 180180 180180 Cushion 두께Cushion thickness 두께(㎛)Thickness (㎛) 6060 8080 9090 100100 120120 공극률(%)Porosity (%) 6060 6060 6060 6060 6060 남색 잉크blue in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첨가제(중량부)Additives (parts by weight) 레벨링제
(폴리실록산)
leveling agent
(polysiloxane)
0.60.6 0.60.6 0.60.6 0.60.6 0.60.6
무기 커플링제
(에폭시 실란커플링제)
inorganic coupling agen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0.60.6 0.60.6 0.60.6 0.60.6 0.60.6
페놀계산화방지제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Phenolic antioxidant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 0.10.1 0.10.1 0.10.1 0.10.1 0.10.1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ener 0.10.1 0.10.1 0.10.1 0.10.1 0.10.1

*함량(중량부)는 발포제 조성물의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값임. * Content (parts by weight) is a val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of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제조례 16Recipe 16 제조례 17recipe 17 제조례 18recipe 18 제조례 19recipe 19 제조례 20recipe 20 비드(carbon black 으로 코팅된 PU 미립자)Beads (PU particles coated with carbon blac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발포제blowing agen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41.4 1.41.4 1.41.4 1.41.4 1.41.4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6~116-11 6~116-11 6~116-11 6~116-11 6~116-11 발포율(%)Foaming rate (%) 200200 200200 200200 200200 200200 Cushion 두께Cushion thickness 두께(㎛)Thickness (㎛) 9090 100100 120120 9090 100100 공극률(중량부)Porosity (parts by weight) 6868 6868 6868 7474 7474 남색 잉크blue ink 함량(%)content(%) 1One 1One 1One 1One 1One 첨가제(중량부)Additives (parts by weight) 레벨링제
(폴리실록산)
leveling agent
(polysiloxane)
0.60.6 0.60.6 0.60.6 0.60.6 0.60.6
무기 커플링제
(에폭시 실란커플링제)
inorganic coupling agen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0.60.6 0.60.6 0.60.6 0.60.6 0.60.6
페놀계산화방지제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Phenolic antioxidant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 0.10.1 0.10.1 0.10.1 0.50.5 0.50.5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ener 0.10.1 0.10.1 0.10.1 0.10.1 0.10.1

*함량(중량부)는 발포제 조성물의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값임. * Content (parts by weight) is a val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of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제조례 21recipe 21 제조례 22recipe 22 제조례 23recipe 23 제조례 24Recipe 24 제조례 25recipe 25 비드(carbon black 으로 코팅된 PU 미립자)Beads (PU particles coated with carbon blac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4~54-5 4~54-5 4~54-5 4~54-5 4~54-5 발포제blowing agen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발포율(%)Foaming rate (%) 160160 160160 160160 160160 160160 Cushion 두께Cushion thickness 두께(㎛)Thickness (㎛) 9090 9090 9090 9090 9090 공극률(중량부)Porosity (parts by weight) 5050 5050 5050 5050 5050 남색 잉크blue ink 함량(%)content(%) 1One 1One 1One 1One 1One 첨가제(중량부)Additives (parts by weight) 레벨링제
(폴리실록산)
leveling agent
(polysiloxane)
0.60.6 0.60.6 0.60.6 0.60.6 0.60.6
무기 커플링제
(에폭시 실란커플링제)
inorganic coupling agen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0.60.6 0.60.6 0.60.6 0.60.6 0.60.6
페놀계산화방지제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Phenolic antioxidant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 0.10.1 0.20.2 0.10.1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ener 0.10.1 0.20.2 0.10.1

*함량(중량부)는 발포제 조성물의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값임. * Content (parts by weight) is a val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of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제조례 26recipe 26 제조례 27recipe 27 제조례 28recipe 28 제조례 29Recipe 29 제조례 30recipe 30 비드(carbon black 으로 코팅된 PU 미립자)Beads (PU particles coated with carbon blac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4~54-5 4~54-5 4~54-5 4~54-5 4~54-5 발포제blowing agen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6~116-11 6~116-11 6~116-11 6~116-11 6~116-11 발포율(%)Foaming rate (%) 160160 160160 160160 160160 160160 Cushion 두께Cushion thickness 두께(㎛)Thickness (㎛)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공극률(%)Porosity (%) 5050 5050 5050 5050 5050 남색 잉크blue in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1One 1One 1One 첨가제(중량부)Additives (parts by weight) 레벨링제
(폴리실록산)
leveling agent
(polysiloxane)
0.60.6 0.60.6 0.60.6 0.60.6 0.60.6
무기 커플링제
(에폭시 실란커플링제)
inorganic coupling agen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0.60.6 0.60.6 0.60.6 0.60.6 0.60.6
페놀계산화방지제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Phenolic antioxidant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 0.10.1 0.20.2 0.10.1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ener 0.10.1 0.20.2 0.10.1

*함량(중량부)는 발포제 조성물의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값임. * Content (parts by weight) is a val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of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드(carbon black 으로 코팅된 PU 미립자)Beads (PU particles coated with carbon blac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발포제blowing agen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입자 크기(㎛)Particle size (μm) 발포율(%)Foaming rate (%) Cushion 두께Cushion thickness 두께(㎛)Thickness (㎛) 9090 100100 00 공극률(%)Porosity (%) 5050 5050 00 남색 잉크blue ink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One 1One 첨가제(중량부)Additives (parts by weight) 레벨링제
(폴리실록산)
leveling agent
(polysiloxane)
0.60.6 0.60.6
무기 커플링제
(에폭시 실란커플링제)
inorganic coupling agent
(Epoxy Silane Coupling Agent)
0.60.6 0.60.6
페놀계산화방지제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Phenolic antioxidant (pentaerythritol tetrakis propionate) 0.10.1 0.10.1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ener 0.10.1 0.10.1

*함량(중량부)는 발포제 조성물의 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값임. * Content (parts by weight) is a val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material of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ㅈ구조(㎛)Structure (㎛) 제조례 1Recipe 1 제조례 2Recipe 2 제조례 3Recipe 3 제조례 4recipe 4 제조례 5recipe 5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5050 5050 5050 5050 5050 접착층adhesive layer 120120 110110 105105 100100 9090 쿠션층cushion layer 6060 8080 9090 100100 120120 기재층base layer 4343 4343 4343 4343 4343 접착층adhesive layer 127127 117117 112112 107107 9797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7575 7575 7575 7575 7575 총 두께total thickness 350350 350350 350350 350350 350350

구조(㎛) Structure (㎛) 제조례 6recipe 6 제조례 7recipe 7 제조례 8recipe 8 제조례 9recipe 9 제조례 10Recipe 10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5050 5050 5050 5050 5050 접착층adhesive layer 120120 110110 105105 100100 9090 쿠션층cushion layer 6060 8080 9090 100100 120120 기재층base layer 4343 4343 4343 4343 4343 접착층adhesive layer 127127 117117 112112 107107 9797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7575 7575 7575 7575 7575 총 두께total thickness 350350 350350 350350 350350 350350

구조(㎛) Structure (㎛) 제조례 11recipe 11 제조례 12recipe 12 제조례 13Recipe 13 제조례 14Recipe 14 제조례 15Recipe 15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5050 5050 5050 5050 5050 접착층adhesive layer 120120 110110 105105 100100 9090 쿠션층cushion layer 6060 8080 9090 100100 120120 기재층base layer 4343 4343 4343 4343 4343 접착층adhesive layer 127127 117117 112112 107107 9797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7575 7575 7575 7575 7575 총 두께total thickness 350350 350350 350350 350350 350350

구조
(㎛)
structure
(μm)
제조례 16Recipe 16 제조례 17recipe 17 제조례 18recipe 18 제조례 19recipe 19 제조례 20recipe 20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5050 5050 5050 5050 5050 접착층adhesive layer 105105 100100 9090 105105 100100 쿠션층cushion layer 9090 100100 120120 9090 100100 기재층base layer 4343 4343 4343 4343 4343 접착층adhesive layer 112112 107107 9797 112112 107107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7575 7575 7575 7575 7575 총 두께total thickness 350350 350350 350350 350350 350350

구조
(㎛)
structure
(μm)
제조례 21recipe 21 제조례 22recipe 22 제조례 23recipe 23 제조례 24Recipe 24 제조례 25recipe 25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5050 5050 5050 5050 5050 접착층adhesive layer 105105 105105 105105 105105 105105 쿠션층cushion layer 9090 9090 9090 9090 9090 기재층base layer 4343 4343 4343 4343 4343 접착층adhesive layer 112112 112112 112112 112112 112112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7575 7575 7575 7575 7575 총 두께total thickness 350350 350350 350350 350350 350350

구조
(㎛)
structure
(μm)
제조례 26recipe 26 제조례 27recipe 27 제조례 28recipe 28 제조례 29Recipe 29 제조례 30recipe 30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5050 5050 5050 5050 5050 접착층adhesive layer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쿠션층cushion layer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기재층base layer 4343 4343 4343 4343 4343 접착층adhesive layer 107107 107107 107107 107107 107107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7575 7575 7575 7575 7575 총 두께total thickness 350350 350350 350350 350350 350350

구조(㎛)Structure (㎛)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5050 5050 5050 접착층adhesive layer 105105 100100 150150 쿠션층cushion layer 9090 100100 00 기재층base layer 4343 4343 4343 접착층adhesive layer 112112 107107 157157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7575 7575 7575 총 두께total thickness 350350 350350 350350

실시 예 1Example 1

SUS 피착제에 대하여 ASTM-D3330에 준하여 접착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Adhes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D3330 with respect to the SUS adheren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5 below.

접착력(gf/in)Adhesion (gf/in) 접착력(gf/in)Adhesion (gf/in) 접착력(gf/in)Adhesion (gf/in) 제조례 1Recipe 1 3,4003,400 제조례 12recipe 12 3,5003,500 제조례 23recipe 23 3,5003,500 제조례 2Recipe 2 3,4003,400 제조례 13Recipe 13 3,5003,500 제조례 24Recipe 24 3,5003,500 제조례 3Recipe 3 3,4003,400 제조례 14Recipe 14 3,5003,500 제조례 25recipe 25 3,5003,500 제조례 4recipe 4 3,4003,400 제조례 15Recipe 15 3,4003,400 제조례 26recipe 26 3,5003,500 제조례 5recipe 5 3,4003,400 제조례 16Recipe 16 3,4003,400 제조례 27recipe 27 3,5003,500 제조례 6recipe 6 3,4003,400 제조례 17recipe 17 3,4003,400 제조례 28recipe 28 3,5003,500 제조례 7recipe 7 3,5003,500 제조례 18recipe 18 3,5003,500 제조례 29Recipe 29 3,5003,500 제조례 8recipe 8 3,5003,500 제조례 19recipe 19 3,5003,500 제조례 30recipe 30 3,5003,500 제조례 9recipe 9 3,5003,500 제조례 20recipe 20 3,4003,40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8002,800 제조례 10Recipe 10 3,4003,400 제조례 21recipe 21 3,5003,50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8002,800 제조례 11recipe 11 3,4003,400 제조례 22recipe 22 3,5003,50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9002,900

상기 표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한 성분의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발포층이 부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접착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15, it was confirmed that, even if the adhesive of the same component was used, when the foaming layer was absent, the adhesive strength was relatively low.

실시 예 2Example 2

ASTM D1794에 준하여 충격 강도를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표 16에 기재하였다. Impact strength was measured three times in accordance with ASTM D1794,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sults is shown in Table 16.

충격 강도(mJ)Impact strength (mJ) 충격 강도(mJ)Impact strength (mJ) 충격 강도(mJ)Impact strength (mJ) 제조례 1Recipe 1 112112 제조례 12recipe 12 256256 제조례 23recipe 23 288288 제조례 2Recipe 2 168168 제조례 13Recipe 13 296296 제조례 24Recipe 24 312312 제조례 3Recipe 3 176176 제조례 14Recipe 14 304304 제조례 25recipe 25 336336 제조례 4recipe 4 200200 제조례 15Recipe 15 312312 제조례 26recipe 26 280280 제조례 5recipe 5 208208 제조례 16Recipe 16 288288 제조례 27recipe 27 280280 제조례 6recipe 6 160160 제조례 17recipe 17 296296 제조례 28recipe 28 288288 제조례 7recipe 7 224224 제조례 18recipe 18 288288 제조례 29Recipe 29 312312 제조례 8recipe 8 312312 제조례 19recipe 19 256256 제조례 30recipe 30 312312 제조례 9recipe 9 336336 제조례 20recipe 20 27227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9696 제조례 10Recipe 10 312312 제조례 21recipe 21 272272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8080 제조례 11recipe 11 200200 제조례 22recipe 22 28028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4040

상기 표 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발포층이 없는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층격 강도가 100 mJ 미만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일한 두께의 발포층인 경우, 발포율이 높고/거나 공극률이 높을수록 층격 강도가 증가하였고, 동일한 두께의 발포층을 갖는 경우, 68%의 공극률을 갖는 발포층이 74%의 공극률을 갖는 발포층에 비하여 더 높은 층격 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접착 필름은 제1 접착층(PSA1), 제1 발포층(CU1), 베이스층(BS), 제2 발포층(CU2) 및 제2 접착층(PSA2)을 포함한다. 도 4의 (e)를 참조하면, 접착 필름은 제1 접착층(PSA1), 제1 발포층(CU1), 제2 접착층(PSA2), 제2 발포층(CU2) 및 제3 접착층(PSA3)을 포함한다. 도 4의 (f)를 참조하면, 접착 필름은 제1 접착층(PSA1), 제1 베이스층(BS1), 제1 발포층(CU1), 제2 접착층(PSA2), 제2 베이스층(BS2), 제2 발포층(CU2) 및 제3 접착층(PSA3)을 포함한다. As shown in Table 16,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ithout the foam layer, the interlayer strength was less than 100 mJ.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oamed layer having the same thickness, the interlayer strength increased as the foaming rate and/or porosity was higher, and when the foamed layer had the same thickness, the foamed layer having a porosity of 68% had a porosity of 74%. It was found to have a higher interlayer strength than that of the foam layer. 4 (d), the adhesive film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first foam layer (CU1), a base layer (BS), a second foam layer (CU2) and a second adhesive layer (PSA2) do. Referring to Figure 4 (e), the adhesive film is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first foam layer (CU1), a second adhesive layer (PSA2), a second foam layer (CU2) and a third adhesive layer (PSA3) include 4 (f), the adhesive film is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first base layer (BS1), a first foam layer (CU1), a second adhesive layer (PSA2), a second base layer (BS2) , a second foam layer (CU2) and a third adhesive layer (PSA3).

한편, 도 4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접착 필름의 일 예시들이며, 적층 구조 및 적층 순서, 각 층의 구체적인 물질 및 두께의 범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Meanwhil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 4 are examples of an adhesive film, and the lamination structure and the lamination order, and the specific material and thickness ranges of each layer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eded, and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접착 필름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dhesive film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접착층(PSA) 및 발포층(CU)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PSA) and a foam layer (CU)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접착층(PSA), 베이스층(BS) 및 발포층(CU)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PSA), a base layer (BS), and a foam layer (CU)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도 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접착층(PSA1), 제1 발포층(CU1), 베이스층(BS) 및 제2 발포층(CU2)을 포함할 수 있다. 5 (c),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first foam layer (CU1), a base layer (BS) and a second foam layer (CU2)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have.

도 5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접착층(PSA1), 제1 발포층(CU1), 제2 접착층(PSA2) 및 제2 발포층(CU2)을 포함할 수 있다. 5 (d), the adhesive film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first foam layer (CU1), a second adhesive layer (PSA2) and a second foam layer (CU2)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can

도 5의 (e)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 필름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접착층(PSA1), 제1 베이스층(bs1), 제1 발포층(CU1), 제2 접착층(PSA2), 제2 베이스층(BS2) 및 제2 발포층(CU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e) of Figure 5, the adhesive film is a first adhesive layer (PSA1), a first base layer (bs1), a first foam layer (CU1), a second adhesive layer (PSA2), the second are sequentially stacked It may include a base layer (BS2) and a second foam layer (CU2).

도 5에 나타나는 접착 필름들은 최상층에 접착층이 위치하고, 최하층에 발포층이 위치하여, 신체 보호구의 외피 내측에 부착하는 것 만으로 별도의 내피 없이 신체 보호구를 완성할 수 있다. The adhesive films shown in FIG. 5 have an adhesive layer on the top layer and a foam layer on the bottom layer, so that body protection equipment can be completed without a separate endothelium just by attaching it to the inside of the skin of the body protection device.

도 5에 나타나는 적층 구조들의 각 층의 특징들은 도 4의 (b)에 설명되는 층들의 특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Characteristics of each layer of the stacked structures shown in FIG. 5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yers described in FIG. 4B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는 외피(500), 내피(600),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필름(100) 및 상기 외피(500) 또는 내피(600)에 연결되는 스트랩(S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100)은 하나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도 6의 (c) 참조), 복수의 접착 패턴(100)을 포함할 수 있다(도 6의 (b) 참조). Referring to FIG. 6 , the body protector includes an outer skin 500 , an endothelium 600 , an adhesive film 100 positioned therebetween, and a strap ST connected to the outer skin 500 or the endothelium 600 . can do. The adhesive film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film (refer to FIG. 6(c))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100 (refer to FIG. 6(b)).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신체 보호구가 무릎 보호대 또는 팔꿈치 보호대로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body protector is applied as a knee protector or an elbow protector is illustra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는 외피(500), 내피(60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필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보호구의 상기 외피(500), 상기 접착 필름(100) 및 상기 내피(600)를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OP)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필름(100)은 하나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도 7의 (c) 참조), 복수의 접착 패턴(100)을 포함할 수 있다(도 7의 (b) 참조).Referring to FIG. 7 , the body protector may include an outer shell 500 , an endothelium 600 , and an adhesive film 100 position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openings (OP) penetrating the outer skin 500, the adhesive film 100, and the endothelium 600 of the body protector may be formed, and the adhesive film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film. or (refer to (c) of FIG. 7)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100 (refer to (b) of FIG.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은 외피 및 내피를 준비하는 단계(S100),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200),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300) 및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외피와 내피를 부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ody protector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n outer skin and an endothelium (S100), forming an adhesive film (S200), attaching an adhesive film (S300), and an outer skin using an adhesive film and attaching the endothelium (S400).

상기 외피 및 내피를 준비하는 단계(S100)에서는, 신체 보호구에 사용되는 외피 및 내피를 준비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outer skin and endothelium (S100), it is possible to prepare the outer skin and endothelium used in body protection equipment.

상기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신체 보호구의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forming the adhesive film (S200), in order to bond the outer shell and the endothelium of the body protector to each other, an adhesive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may be formed.

상기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내피 또는 외피에 상기 접착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adhesive film (S300), the adhesiv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endothelium or the outer skin.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외피와 내피를 부착하는 단계(S400)에서는,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um using the adhesive film (S400),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um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the adhesive film.

상기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발포율이 140% 내지 200%이거나, 공극률이 40% 내지 74%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되도록 발포시켜 베이스층의 일면에 발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과 발포층이 접하지 않은 발포층의 일면 및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상기 접착 필름의 양면의 상기 접착층 상에 제1 이형 필름 및 제2 이형 필름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S200) of forming the adhesive film, the foaming agent composition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foaming rate is 140% to 200%, or the porosity is 40% to 74%, or a combination thereof. Forming a foaming layer on one surface of, and applying an adhesive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foaming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not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and the foaming layer, and drying to form an adhesive layer. Forming the adhesive film ( S200 )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a first release film and a second release film on the adhesive layers on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film.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한 이형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나트탈레이트, 또는 이의 조합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일 수 있다. The release film selectively applic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lm prepared u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olybutyrene terephthalate or polypropylene naphtha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1 이형필름층 및 제2 이형필름층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 필름을 보호하고, 이동이나 작업을 용이하게 해 준다. 상기 제1 이형필름층은 상기 제2 이형필름층의 두께와 비교하여 얇거나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생산 공정 중에 필름을 감거나 푸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거나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release film layer and the second release film layer protect the adhesive film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from external physical/chemical stimuli, and facilitate movement or operation. The first release film layer has a thickness equal to or thinner than that of the second release film layer, there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winding or unwinding the film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 or preventing damage to the film .

상기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The first release film may be removed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release film may be removed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outer shell and the endothelium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신체 보호구는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된 접착 필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곡면을 포함하는 외피 내부에 곡면을 포함하는 내피를 별도의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양면 접착 테이프인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필름은 연신율이 높고, 접착 성능이 향상되었으므로, 상기 신체 보호구 사용시에 있어서, 반복된 외부 충격에도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서로 탈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rotector includes an adhesive film having a high elongation and improved adhesive performance. Accordingly, the inner skin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inside the outer skin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can be attached simply by using the adhesive film, which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process such as applying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film has an elongation High, since the adhesive performance is improved, when using the body protector, the outer shell and the endothelium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even after repeated external shocks, and may be firmly coupled.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100: 접착 필름 200: 외피
300: 내피
100: adhesive film 200: outer shell
300: endothelium

Claims (11)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내부에 배치되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피를 상기 외피에 접착시키는 접착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내피에 부착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발포층; 및
상기 제1 발포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에 부착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hell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an endothelium disposed inside the outer skin;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um, comprising an adhesive film for adhering the endothelium to the outer skin,
The adhesive film
a first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endothelium;
a first foam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Disposed on the first foam layer, body protection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outer ski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포층은 하기 (i) 또는 (ii)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고,
(i) 발포율이 140% 내지 200 %,
(ii) 공극률이 40% 내지 74%,
상기 발포율 (RE)는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고,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수학식1>
(여기서, RE: 발포율, Tf: 발포 후 발포층의 두께, T0: 발포 전 발포층의 두께)
상기 공극률(φ)는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수학식2>
(여기서, φ: 공극률, V: 발포층의 전체 부피, Vv: 공극의 부피, Vs: 공극 외 고체의 부피)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oamed layer has at least one characteristic of (i) or (ii) below,
(i) a foaming rate of 140% to 200%,
(ii) a porosity of 40% to 74%,
The foaming rate (RE) satisfies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Equation 1>
(here, RE : foaming rate, T f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after foaming, T 0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before foaming)
The porosity (φ) is body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Equation 2>
(here, φ: porosity, V: total volume of the foam layer, Vv: volume of pores, Vs: volume of solid outside the por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제1 발포층과 접하는 제1 베이스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hesive film
Further comprising a first base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foam layer,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comprises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과 접하는 제2 발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발포층은 하기 (i) 또는 (ii)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고,
(i) 발포율이 140% 내지 200 %,
(ii) 공극률이 40% 내지 74%,
상기 발포율 (RE)는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고,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수학식1>
(여기서, RE: 발포율, Tf: 발포 후 발포층의 두께, T0: 발포 전 발포층의 두께)
상기 공극률(φ)는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수학식2>
(여기서, φ: 공극률, V: 발포층의 전체 부피, Vv: 공극의 부피, Vs: 공극 외 고체의 부피)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oaming lay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second foam layer ha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 or (ii),
(i) a foaming rate of 140% to 200%,
(ii) a porosity of 40% to 74%,
The foaming rate (RE) satisfies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Equation 1>
(here, RE : foaming rate, T f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after foaming, T 0 : thickness of the foaming layer before foaming)
The porosity (φ) is body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Equation 2>
(here, φ: porosity, V: total volume of the foam layer, Vv: volume of pores, Vs: volume of solid outside the por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외피의 내측면과 동일한 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film is body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ame area a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착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film
Body protection equip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adhesive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플라스틱,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는 스펀지, 스티로폼, 고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hell is formed of any one of plastic, fiber-reinforced plastic, acrylnitrile butadiene styrene, and polystyrene,
The endothelium is a sponge, styrofoam, rubber, body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머리부, 턱부 및 상기 머리부와 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머리부 내측에 부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턱부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은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 패턴과 상기 턱부와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착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shell includes a head, a chin, and a window positioned between the head and the chin,
The endothelium includes a first portion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head and a secon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 and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hin,
wherein the adhesive film includes a first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head and the first part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chin and the first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또는 내피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Body protection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p connected to the outer skin or endothelium
외피 및 내피를 준비하는 단계;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피 또는 외피에 상기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 형성 단계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발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발포율이 140% 내지 200%이거나, 공극률이 40% 내지 74%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되도록 발포시켜 베이스층의 일면에 발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과 발포층이 접하지 않은 발포층의 일면 및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
preparing the integument and endothelium;
forming an adhesive film;
attaching the adhesive film to the endothelium or outer skin; and
and attaching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um to each other using the adhesive film,
The adhesive film forming step is
Forming a foaming layer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by applying a foaming agent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foaming so that the foaming rate is 140% to 200%, the porosity is 40% to 74%,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protecto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the foam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that are not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and the foam lay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접착 필름의 양면의 상기 접착층 상에 제1 이형 필름 및 제2 이형 필름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보호구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dhesive film forming step further comprises applying a first release film and a second release film on the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of the adhesiv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removing the first release film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adhesive film, and removing the second release film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um to each other.
KR1020200088370A 2020-07-16 2020-07-16 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82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70A KR102482015B1 (en) 2020-07-16 2020-07-16 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70A KR102482015B1 (en) 2020-07-16 2020-07-16 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67A true KR20220009767A (en) 2022-01-25
KR102482015B1 KR102482015B1 (en) 2022-12-27

Family

ID=8004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370A KR102482015B1 (en) 2020-07-16 2020-07-16 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0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273A (en) *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휴먼텍 Patch with adhesiv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044A (en) * 2008-03-04 2009-09-09 영보화학 주식회사 Sheet for synthetic lea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17584B1 (en) 2013-01-21 2014-07-09 이상민 Safety helmet ventilation and shock absorption
KR200477060Y1 (en) * 2014-10-28 2015-05-04 정진열 Safety c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044A (en) * 2008-03-04 2009-09-09 영보화학 주식회사 Sheet for synthetic lea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17584B1 (en) 2013-01-21 2014-07-09 이상민 Safety helmet ventilation and shock absorption
KR200477060Y1 (en) * 2014-10-28 2015-05-04 정진열 Safety c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273A (en) *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휴먼텍 Patch with adhesiv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015B1 (en)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573B1 (en) Impact-absorbing sheet
KR100257955B1 (en) Adhesive sheet
CN106471276B (en) Impact absorbing sheet, impact absorbing adhesive sheet, front plate, back plate, and impact absorbing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fixing backlight unit
KR100721462B1 (en) Adhesive radiation sheet
WO2018181336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JP4850421B2 (en) Masking film adhered to solid electrolyte membrane of fuel cell
JP4405986B2 (en) Protection sheet for injury prevention
JP6322469B2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CN110691828B (en) Adhesive sheet
KR102482015B1 (en) Body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16194093A1 (en) Adhesive sheet
US20180117885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295036B1 (en) Adhesive sheet with release liner
TW201840687A (en)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30139520A (en) Patch for blocking UV with adhes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138014A (en) For the flex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structural bonding
KR102640512B1 (en) Patch with adhesiv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81023B1 (en) Adhesive film comprising foamed layer
US20220073791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d on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and adhesive tape comprising said adhesive
KR101802951B1 (en) Metal tape for absorbing impact
JP5432764B2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fixing abrasive cloth and pad for fixing abrasive cloth
KR102656523B1 (en) Adhesive sheet
JP6204132B2 (en) Release sheet and adhesive sheet
JP2005035545A5 (en)
JP7497217B2 (en) Adhesive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