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180A -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180A
KR20220009180A KR1020200087566A KR20200087566A KR20220009180A KR 20220009180 A KR20220009180 A KR 20220009180A KR 1020200087566 A KR1020200087566 A KR 1020200087566A KR 20200087566 A KR20200087566 A KR 20200087566A KR 20220009180 A KR20220009180 A KR 2022000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terminal
learner
content
lectu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275B1 (ko
Inventor
변노을
Original Assignee
(주)플록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록스토리 filed Critical (주)플록스토리
Priority to KR102020008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학 학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간에 화상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어학 학습 강좌를 구현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가 각각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통해 일대일로 연결되어 화상대화 기반의 어학 강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현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어민과의 외국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학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간에 화상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어학 학습 강좌를 구현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전 및 국제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외국어, 특히 영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형태의 IT 기반 외국어 학습 방법과 학습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외국어 학습은, 외국어 국제 공인 평가 시험뿐만 아니라, 개인의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특히 말하기와 쓰기 능력 향상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나, 공지의 어학 학습 방법에 의하면, 외국어의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개발 및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시험들에 대하여 세분화된 평가 요소에 따라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강의자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가 단순 시청 또는 문장을 단순히 따라 읽는 형태로 진행되거나, 학원이나 해외 연수 등의 과정을 통하여 원어민과의 계속적으로 대화를 연습하는 형태에서 크게 바뀌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특히, 종래 학원을 통한 어학 학습은 정형화된 교재의 틀을 벗어나기 어렵고 여러 학습자가 일인의 원어민 강의자로부터 주입식으로 배우게 됨에 따라 자신의 능력과 수준, 특히 부족한 부분에 대한 학습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어학연수의 경우 원어민과 생활하면서 해당 외국어를 습득하게 되므로 학습효과는 증가하게 되지만, 외국에서의 체류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체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외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현지 원어민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부여된다 하더라도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그 학습 효과의 편차가 상당하며, 어학연수의 장기체류 및 고비용 외화 유출 등 부작용이 있는 문제 및 학습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금까지의 어학 학습 방법에 의하면, 현지로의 어학연수 형태가 아니라면, 강의자에 의한 일방적인 읽기, 강의 듣기 위주의 수동적 교육방식을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학습자의 외국어 말하기 실력의 향상이 어려우며 학습한 내용을 바로 말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없는 환경으로 인하여 학습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지의 학습 기기, 전화 수업 등을 방식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개인의 정확한 말하기 레벨 측정이 불가하며, 결국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하는 정도의 강의만이 제공될 수 밖에 없으며, 실시간 학습 전용 미디어의 부재에 따라 비효율적인 학습환경이 한정적으로 제공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39023호(공고일자: 2017.05.2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형PC와 같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자와 원격지의 강의자를 일대일로 연결하여 화상대화 기반으로 어학 강의를 진행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화상대화 기반 어학 강의시, 학습 콘텐츠의 실시간 추가, 갱신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인공지능 기반으로 학습자의 말하기 레벨을 실시간으로 분석함으로써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은, 어학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어학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의 학습 방식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 연결되어 온라인 방식으로 강의자에 의한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강의자 단말 및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스탠드 얼론 방식의 어학 학습 콘텐츠의 진행을 위한 실행 파일을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원격지 강좌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 상기 학습자 단말을 일대일로 매칭하여 동기화하는 학습 플랫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 통신부, 학습자로부터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을 선택 받는 학습 선택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 저장소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 온라인 방식에 따른 학습시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의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1 동기화부, 상기 저장소에 저장된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자기주도 학습부 및 실시간으로 학습자를 촬영한 학습자 화상을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고, 통신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이 제공하는 강의자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습절차를 실행하는 화상 학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의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 통신부,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강좌건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 하는 강의 생성부, 상기 학습자 단말에 의한 상기 강좌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2 동기화부, 실시간으로 강의자를 촬영한 강의자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통신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화상 강의부,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영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콘텐츠 애드온부 및 정상적으로 진행 완료된 강좌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보고하여 일, 주 또는 월 단위로 비용 정산을 요청하는 비용 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학습자 단말 또는 강의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회원 가입 절차 진행하여 이용형태에 따른 권한을 부여하고, 회원 등록된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등록부, 시스템 측 또는 등록된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되면, 상기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자의 어학능력을 판단하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상기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고,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 변경을 요청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요청하는 레벨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상기 강의자 단말에 실시간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작 환경을 제공하는 강의툴 제공부 및 등록된 학습자 및 강의자의 정보 및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툴을 이용하여 제작 및 업로드한 강좌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 환경은, 모바일 Web RTC 표준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링크를 상기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하나 이상의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방법은, 학습자 단말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학습 플랫폼 서버가 등록된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이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이 상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여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갱신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이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상기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이 상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매칭된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이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이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가 각각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통해 일대일로 연결되어 화상대화 기반의 어학 강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현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어민과의 외국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고 원어민과 바로 화상 대화를 수행할 수 있어 체험 위주의 고효율 학습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어학 강의 중 WebRTC 기반으로 하여 화상, 음성, 배경 및 문서 등의 이종 콘텐츠를 제어 및 합성함으로써 보다 역동적인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이고, 도 4b는 도 4a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콘텐츠 제공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 의한 어학 학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 및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어학 학습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학습자 권한을 갖는) 어학 학습 단말" 및 "(강의자 권한을 갖는) 어학 학습 단말"은 각각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로 혼용되어 표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은, 어학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어학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100), 학습자 단말(100)의 학습 방식에 따라, 학습자 단말(100)과 일대일 연결되어 온라인 방식으로 강의자에 의한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강의자 단말(200) 및,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연결되고, 학습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단말(100)에 스탠드 얼론 방식의 어학 학습 콘텐츠의 진행을 위한 실행 파일을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원격지 강좌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강의자 단말(200)과 학습자 단말(100)을 일대일로 매칭하여 동기화하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학습자가 원격지에 위치한 강의자와의 온라인 방식 어학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자 측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및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 및/또는 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학습자 단말(100)은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하여 학습자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회원 등록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영어, 일본어 등 외국어 학습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스탠드 얼론(Standalone)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거나, 혹은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와의 매칭을 통한 일대일 연결에 따라 온라인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탑재된 딥 러닝 기반 학습자의 어학 능력 분석 기능에 따라, 스탠드 얼론 방식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분석하여 적합한 레벨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아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온라인 방식에서는 원격자의 강의자 단말(200)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실시간 강의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강할 수 있다.
강의자 단말(200)은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하여 강의자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회원 등록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강의자 자신의 개설할 하나 이상의 강좌를 개설하여 등록하며, 이후 학습 플랫폼 서버(300)의 매칭을 통해 학습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강좌정보에는 강의자 단말(200)이 접속하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해당 시간에 온라인 방식 학습을 요청한 학습자 단말(100)과의 일대일 강의가 이루어지도록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강의자 단말(200)은 학습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강의 툴을 이용하여 자신의 강좌를 위한 학습 콘텐츠를 제작 및 준비할 수 있고, 학습자 단말(100)과 매칭되면 학습자 단말(100)의 IP주소를 학습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특히, 강의자 단말(200)은 강의 중 강의자를 촬영한 화상을 학습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강의자가 입력한 다양한 형태의 강의자료를 삽입할 수 있고, 외부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학습 콘텐츠를 추가 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자 단말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서로를 매칭함으로써 원격지 온라인 방식 강의가 수행되도록 중개함과 아울러, 학습자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 방식으로 자체적인 자기주도 학습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요청에 따라 다수의 학습자 및 강의자를 회원 등록하고, 학습자의 강의 방식 선택에 대응하여 미리 준비된 자기 주도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강좌를 개설한 원격지의 강의자와의 매칭을 통해 동화상 기반 대화 형식의 일대일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탑재된 딥 러닝 엔진을 통해, 자기 주도로 학습하는 학습자의 어학 능력을 분석하여 현재 레벨을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강의자가 온라인 상에서 강좌를 위한 학습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는 강의 툴을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강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고, 시스템 운영측에서 자체적으로 준비한 학습 콘텐츠에 따른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 및 강의자측에서 제작한 학습 콘텐츠에 따른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의도에 적절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학습 플랫폼 서버(300)와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 또는,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간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정보통신망으로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서로 원격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학습자 및 강의자를 온라인 상에서 매칭 및 연결하여 실시간 동화상 기반 강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학습자가 해당 국가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언어민과의 말하기 위주의 어학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학 학습 단말 및 이를 이루는 각 구성부들은 공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단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 즉, 학습자 단말(10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110), 학습자로부터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을 선택 받는 학습 선택부(120),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160),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 저장소(160)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 온라인 방식에 따른 학습시 학습자 단말(100)과 선택된 강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의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1 동기화부(130), 저장소(160)에 저장된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자기주도 학습부(140) 및 실시간으로 학습자를 촬영한 학습자 화상을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고, 통신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200)이 제공하는 강의자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습절차를 실행하는 화상 학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통신부(1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특히 온라인 방식의 학습에서는 강의자 단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서로의 화상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학습 선택부(120)는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시스템에 등록된 복수의 강좌가 등록된 강좌 리스트를 수신하고, 학습자로부터 강좌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강좌를 선택받아 해당 강좌를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동기화부(130)는 학습 진행을 위한 학습 콘텐츠의 동기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행하고자 하는 강좌가 스탠드 얼론 방식 강좌인 경우 제1 동기화부(130)는 해당 강좌의 학습 콘텐츠의 최신 버전이 저장소(16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이전 버전이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요청하여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하여 저장소(170)에 저장 또는 이전 버전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실행하고자 하는 강좌가 온라인 방식 강좌인 경우, 상대방인 강의자 단말의 IP주소를 통해 접속을 시도하고, 서로간의 화상이 실시간으로 송수신되도록 통신 채널을 동기화할 수 있다.
자기주도 학습부(140)는 학습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 혼자서 학습을 수행하는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를 수행할 수 있다. 학습 플랫폼 서버와 동기화된 학습 콘텐츠의 실행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레벨에 적합한 다양한 말하기, 읽기 및 쓰기 등의 외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말하기 학습의 경우, 학습자가 학습 콘텐츠가 제공하는 지문 또는 질문을 소리내어 말하면 자기주도 학습부(140)가 그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발음 및 내용이 정확한지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학습자 단말(100) 측에 회신하여 학습자가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화상 학습부(150)는 원어민과의 일대일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방식 강좌를 수행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00)은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학습자의 모습을 실시간을 촬영할 수 있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과의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강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강의자는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준비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소(160)는 스탠드 얼론 방식 학습을 위한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고, 저장소(160)에 저장되는 각종 정보들은 필요시 학습자 단말(100)의 각 구성부에 의해 생성, 갱신, 참조 및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저장소(160)는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단말(20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 통신부(210),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강좌건을 생성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 하는 강의 생성부(220), 학습자 단말에 의한 강좌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2 동기화부(230), 실시간으로 강의자를 촬영한 강의자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통신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화상 강의부(240),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콘텐츠 애드온부(250) 및 정상적으로 진행 완료된 강좌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보고하여 일, 주 또는 월 단위로 비용 정산을 요청하는 비용 정산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 통신부(2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학습자 단말과의 온라인 방식의 학습에서 해당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서로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강의 생성부(220)는 강의자가 자신의 준비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강좌를 학습 플랫폼 서버에 개설할 수 있다. 강의자는 실시간 화상 통신 강의를 진행함과 동시에 학습 내용을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작성하여 강의화면에 삽입할 수 있고, 강의 생성부(220)는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강의툴과 연동하여 강의자 학습 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동기화부(230)는 학습자와의 매칭에 따라 학습 플랫폼 서버로부터 학습자 단말의 IP주소를 수신하여 연결을 시도할 수 있고, 통신 채널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200)간 화상이 실시간으로 송수신되어 표시되게 된다.
화상 강의부(240)는 강의자 단말(200)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강의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과의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강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강의자는 준비한 학습 콘텐츠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실시간 대화 형식으로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콘텐츠 애드온부(250)는 강의자가 준비한 데이터 이외에도,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에 필요한 외부 콘텐츠를 강의 내용에 삽입할 수 있다. 일례로서, 포털 사이트와 같은 외부 시스템에서는 영어단어사전, 뉴스 동영상 및 영어기사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강의자는 강의 도중 강의에 도움이 되는 외부 콘텐츠가 존재하면, 그 외부 시스템의 URL를 학습 콘텐츠에 애드온(add-on)하여 학습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학습자가 해당 링크를 선택하면 연계된 외부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비용 정산부(26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한 강좌에 따른 강의를 수행함에 따른 강의자의 비용에 대한 정산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강의자는 수행된 강좌 이력에 대한 비용정산을 월 단위로 학습 플랫폼 서버에 청구할 수 있고, 이에 학습 플랫폼 서버는 정책에 따라 해당 강의자에게 비용을 지급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강의자 단말(200)에는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소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콘텐츠 제공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310), 학습자 단말(100) 또는 강의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회원 가입 절차 진행하여 이용형태에 따른 권한을 부여하고, 회원 등록된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등록부(320), 시스템 측 또는 등록된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330),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390)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340),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되면, 학습자 단말(100)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200)을 매칭하는 매칭부(350), 학습자의 어학능력을 판단하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360),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고,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 변경을 요청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요청하는 레벨 분석부(370), 강의자 단말(200)에 실시간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작 환경을 제공하는 강의툴 제공부(380) 및 등록된 학습자 및 강의자의 정보 및 강의자 단말(200)이 강의툴을 이용하여 제작 및 업로드한 강좌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390) 및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 단말(200)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링크를 강의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회원 등록부(320)는 학습 플랫폼 서버에 최초 접속한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등록부(320)는 서비스 이용양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학습자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거나, 강의자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권한 부여에 따라 각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구현되는 기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게 된다.
리스트 제공부(330)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된 복수의 강좌에 대한 리스트를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강좌는 스탠드 얼론 방식의 학습을 위한 시스템 운영측에서 준비한 학습 콘텐츠와, 온라인 방식의 학습을 위한 강의자 권한으로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준비한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의한 강좌일 수 있고, 시스템에 등록된 강좌들의 리스트는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됨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이 의도한 방식의 강좌를 선택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제공부(340)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된 강좌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학습자 단말(100)에 의해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된 경우, 콘텐츠 제공부(340)는 선택된 강좌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가 학습자 단말(100)에 저장되었는지 여부 또는 저장된 콘텐츠의 버전을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버전이 다른 경우, 서버 데이터베이스(390)에서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100)에 전송 또는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부(340)는 연령대, 레벨, 관심사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학습자의 연령대를 4세부터 60세 이상 7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학습자의 레벨은 1부터 8까지 분류하고, 학습자의 관심사를 4개의 자기관리, 4개의 자연, 4개의 취미, 9개의 자기개발, 5개의 사람, 3개의 행복 및 5개의 기타로 분류하면, 학습자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피드(feed)는 7×8×42=2352 로서, 총 2352개의 콘텐츠 피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부(340)는 학습 후 퀴즈를 풀고 관련된 화상 수업을 진행하는 형식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모듈 및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3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매칭부(350)는 학습자 단말(100)이 온라인 방식의 학습을 선택한 경우, 등록된 강좌 중, 강의 일정이 부합하는 강좌와 학습자를 매칭할 수 있다. 또는, 해당 학습자가 이미 수강중인 강좌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강좌의 강의자 단말(200)의 온라인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학습자 단말(100)과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특히, 매칭부(350)는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의 연결 시도시,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서로의 IP주소를 상대방에 전송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베이스(36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딥 러닝 모델(deep learning model)의 생성을 위한 다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데이터는 시스템 운영측에서 준비한 학습 콘텐츠의 진도, 콘텐츠에 포함된 연습문제의 정답률, 말하기에 대한 응답에 따른 학습자의 레벨에 관한 것으로,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탑재된 딥 러닝 엔진에 학습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각 학습자들의 현재 레벨을 판단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레벨 분석부(370)는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학습자가 수강한 학습 콘텐츠에 대한 회신, 즉 문제풀이 및 말하기 결과 등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현재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강의툴 제공부(380)는 강의자 단말(200)에 온라인 상에서 콘텐츠 작업이 가능한 작업 환경인 강의툴을 제공할 수 있다. 강의자는 강의툴을 이용하여 강의에 포함될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입력하여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390)는 회원 등록된 학습자, 강의자들의 회원정보와, 매칭시 연결을 위한 IP주소와 같은 연결정보와,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 콘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데이터베이스(390)에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방식의 강의를 수행하는 경우, 강의자가 강의 중 외부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영어기사, 영상 등의 외부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으며,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그 외부 콘텐츠를 학습자와 공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는 강의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외부 시스템(400)이 운영하는 타 웹 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강의자가 어느 하나의 웹 사이트 또는 그에 포함되는 외부 콘텐츠를 강의화면에 가져오고자 할 때, 강의화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웹 사이트, 외부 콘텐츠의 URL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는 강의화면에 표시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하여 URL 텍스트 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해당 URL를 통해 접속시 표시되는 초기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생성하여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강의와 더불어 그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는 도 4a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콘텐츠 제공부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부(340)는 하나 이상의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341) 및 하나 이상의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345)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341)은 어휘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Vocab(3411), 어휘 패턴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Pattern Pratice(3412), 대화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Dialogue(3413) 및 질문/답변 형식의 학습 콘텐츠인 QA(3414)를 제공할 수 있다.
Vocab(3411)는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단어를 듣고 따라 음성으로 말해보도록 하는 콘텐츠로서, 해당 단어와 관련된 사진, 재생되는 문장, 예문 및 말하기 녹음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Pattern Pratice(3412)는 전술한 Vocab(3411)에서 학습자가 학습한 단어들에 대하여 그 패턴을 말해보도록 하는 콘텐츠로서, 학습한 단어를 활용한 문장에 대한 예문 및 말하기 녹음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ialogue(3413)는 예시된 상황에 적절한 대화를 듣고 따라 음성으로 말해보도록 하는 콘텐츠로서, 현재 상황이 묘사된 사진, 대화 듣기, 텍스트 형태의 대화 내용 표시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QA(3414)는 질문 및 답변 콘텐츠로서, 현재 상황이 묘사된 사진, 텍스트 형태의 예문 및, 예문에 대한 답변 입력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345)은 어휘 선택과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Select Vocab 1/2(3451), 단어와 의미를 함께 제공하는 형식의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3451), 4개의 예시 중 어느 하나의 정답을 선택하는 Select Vocab 1/4(3453), 질문에 적합한 정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QA(3454), 사진 및 매칭된 단어가 적절하게 매칭되었는지 O, X로 선택하도록 하는 OX(3455), 사진과 문장을 제시하여 문장내 빈칸에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는 Blank(3456), 국어 예문과 복수의 영문 단어를 제시하여 국어 예문에 맞도록 그 복수의 영문 단어를 조합하도록 하는 Dictation with Translation(3457) 및 예문에 대한 듣기를 제공하고, 복수의 영문단어를 제시하여 예문에 맞게 조합하도록 하는 Dictation with listening(3458)을 제공할 수 있다.
Select Vocab 1/2(3451)는 학습 모듈(341)에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학습 이후, 두 개의 사진 예시 중 학습자가 배운 단어가 의미하는 바에 일치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3451)는 두 개의 사진 예시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가장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Select Vocab 1/4(3453)는 4 개의 사진 예시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가장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QA(3454)는 사진을 제시하고, 영어로 된 질문을 통해 질문에 알맞은 응답을 선택하는 방식의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OX(3455)는 사진 및 지문은 제시하고, 제시된 사진과 지문의 뜻이 부합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O, X로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Blank(3456)는 사진 및 사진에 대한 빈칸을 갖는 지문을 제시하고, 빈칸에 알맞은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Dictation with Translation(3457)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로서, 국어지문과 해당 지문에 대한,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고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Dictation with listening(3458)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로서, 국어 지문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 의한 어학 학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 의한 어학 학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속하는 학습자 단말, 강의자 단말 및 학습 플랫폼 서버와, 그 구성부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방법은, 학습자 단말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학습 플랫폼 서버가 등록된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고(S100), 이에 학습자 단말은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110).
먼저, 학습자 단말이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를 선택하는 경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선택된 강좌에 따라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여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갱신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S120).
다음으로, 이러한 데이터 동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은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여 자기 주도형의 학습절차를 진행한다(S130).
이후,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고(S140), 가 판단결과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의 학습에서는 변경된 난이도에 따른 학습 콘텐츠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S110 단계에서 학습자 단말이 강좌 리스트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를 선택하는 경우,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 및 연결한다(S150).
매칭과정이 완료되면, 학습 플랫폼 서버는 매칭된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하며, 이에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은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게 된다(S160). 여기서, 학습절차의 진행시,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할 수 있고, 이는 강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S17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학 학습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을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 및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100)은 자기 주도형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 얼론 방식에서는 학습 플랫폼 서버가 배포한 학습 콘텐츠를 통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그 학습내용에 따른 일 화면으로서 이미지, 텍스트를 화면상에 제공하고, 화자의 말을 듣고 따라하는 말하기 화면(W100)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 얼론 방식의 학습시, 시스템은 탑재되는 딥 러닝 엔진에 의해 학습자의 말하기에 대한 음성분석을 통해 학습자 레벨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강의자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화상 기반 온라인 방식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과 강의자 단말(200)간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이 생성되면, 학습자의 현재 화상 화면(W210)이 실시간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강의자의 화상의 학습자 단말측에서 표시될 수 있다. 화상 화면(W210) 내에는 PIP화면을 통해 강의자 자신의 얼굴도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화면(W210)의 하부창(W220)에는 강의자가 준비한 강의 내용이 화면 내에 함께 표시될 수 있고, 이에 학습자는 강의내용에 포함되는 주요 단어, 예시문장, 발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화상 화면(W210)은 둘 이상의 모바일 장치간 콘텐츠 제어 합성이 가능한 WebRTC 기반으로 구현됨에 따라 초저지연의 화상 대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창(W220)과 더불어 강의자는 강의화면에 강의와 관련된 외부 콘텐츠를 반영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콘텐츠 화면(W230)에는 강의가 추가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 및 외부 웹 사이트의 링크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서로 원격지에 위치하는 강의자 및 학습자는 각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대화형의 어학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Vocab 콘텐츠(W300)로써 문장을 설명하는 그림 데이터인 사진(W310)을 제공하고 사진 내용에 대한 영어설명을 음성을 재생하여 학습자가 해당 문장을 듣고,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선택시 문제와 관련된 예문을 제공하는 예문 아이콘(W320), 문장에 대한 번역문을 제공하는 선택버튼(W333), 영어 예문 또는 패턴(W340),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문장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읽기기능(W350) 및 학습자의 학습을 위한 말하기를 녹음하는 녹음버튼(W3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어휘 패턴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Pattern Pratice 콘텐츠(W400)로서, 학습한 단어 또는 단어 패턴에 대하여 말하기 학습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어 또는 단어패턴에 대응하는 사진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해당 문장에 대한 말하기 녹음 기능(W410)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대화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Dialogue 콘텐츠(W500)로서 대화에 관련된 사진(W510)을 제공함과 아울러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대화내용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대화듣기(W520)를 제공하여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특히, Dialogue 콘텐츠(W500)는 제1 화자의 대화내용(W530) 및 제2 화자의 대화내용(W540)을 텍스트로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음성과 함께 대화내용을 확인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대화듣기(W520) 기능은 챈트(chant) 방식으로 반복 청취가 가능하다.
도 8d를 참조하면, 질문/답변 형식의 학습 콘텐츠인 QA 콘텐츠(W600)로서, 예문에 해당하는 사진(W610)을 제공하고, 텍스트 형식의 질문(W620)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문제를 푸는 방식의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QA 콘텐츠는 화상 수업 시 활용 가능하고, 영작 첨삭 서비스로의 확장도 가능하다.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퀴즈 모듈이 제공하는 퀴즈 형식의 콘텐츠인 Select Vocab 1/2(W700)로서, 두 개의 사진(W700)을 제공하고, 두 사진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된 영어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어느 사진(W700)과 관련된 단어인지 맞추는 퀴즈를 진행하게 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의 Select Vocal 1/2와 유사한 방식의 퀴즈 콘텐츠로서,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W800)는 두 개의 사진(W800)을 각 사진의 의미하는 바를 국어로 함께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제시된 영어단어와 관련된 어느 하나의 사진(W800)을 맞추는 퀴즈를 진행하게 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Select Vocab 1/4(W900)는 상기의 두 퀴즈 콘텐츠와 유사한 방식의 콘텐츠로서, 4개의 예시된 사진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가장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학습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QA(W1000)는 사진을 제시하고, 영어로 작성된 질문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질문에 알맞은 응답 특히, 올바른 문법에 따른 해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의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 콘텐츠이다.
도 9e를 참조하면, OX(W1100)는 사진 및 지문은 제시하고, 학습자가 제시된 사진과 지문의 뜻이 부합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O, X로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 콘텐츠이다.
도 9f를 참조하면, Blank(W1200)는 사진 및 사진과 관련된 지문을 제공하되, 지문에 빈칸을 생성하여 학습자가 빈칸에 알맞은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 콘텐츠이다. 특히 Blank(W1200)는 학습자가 음성을 듣고 알맞은 답안을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난이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저난이도보다 상대적으로 긴 문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lank(W1200)는 번역 아이콘 클릭시 해당 지문의 국어번역문을 제공할 수 있고, 반복 듣기 기능 및, Diglogue 또는 문장을 별도의 학습카드에 설정하고 불러오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g를 참조하면, Dictation with Translation(W1300)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 콘텐츠로서, 국어지문과 해당 지문에 대한,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Dictation with Translation(W1300)에서 제시되는 지문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어 단어는 학습자의 학습카드에 저장된 단어를 읽어드려 해당 단어를 지문의 단어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학습자는 이전 학습시 학습카드에 저장해놓은 단어를 재 학습할 수 있는 복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g를 참조하면, Dictation with listening(W1400)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 콘텐츠로서, 영어 지문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받아쓰기와 같은 퀴즈 콘텐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ictation with listening(W1400)는 상기의 퀴즈 콘텐츠와 같이 학습카드에 저장된 단어를 읽어드려 해당 단어를 예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학습자 단말 110 : 제1 단말 통신부
120 : 학습 선택부 130 : 제1 동기화부
140 : 자기주도 학습부 150 : 화상 학습부
160 : 저장소 200 : 강의자 단말
210 : 제2 단말 통신부 220 : 강의 생성부
230 : 제2 동기화부 240 : 화상 강의부
250 : 콘텐츠 애드온부 260 : 비용정산부
300 : 학습 플랫폼 서버 310 : 서버 통신부
320 : 회원 등록부 330 : 리스트 제공부
340 : 콘텐츠 제공부 350 : 매칭부
360 : 학습 데이터베이스 370 : 레벨 분석부
380 : 강의툴 제공부 390 : 서버 데이터베이스
395 : 외부시스템 연계부 400 : 외부 시스템

Claims (15)

  1. 어학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어학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의 학습 방식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 연결되어 온라인 방식으로 강의자에 의한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강의자 단말; 및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스탠드 얼론 방식의 어학 학습 콘텐츠의 진행을 위한 실행 파일을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원격지 강좌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 상기 학습자 단말을 일대일로 매칭하여 동기화하는 학습 플랫폼 서버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 통신부;
    학습자로부터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을 선택 받는 학습 선택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 저장소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 온라인 방식에 따른 학습시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의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1 동기화부;
    상기 저장소에 저장된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자기주도 학습부; 및
    실시간으로 학습자를 촬영한 학습자 화상을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고, 통신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이 제공하는 강의자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습절차를 실행하는 화상 학습부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 통신부;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강좌건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 하는 강의 생성부;
    상기 학습자 단말에 의한 상기 강좌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2 동기화부;
    실시간으로 강의자를 촬영한 강의자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통신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화상 강의부;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영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콘텐츠 애드온부; 및
    정상적으로 진행 완료된 강좌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보고하여 일, 주 또는 월 단위로 비용 정산을 요청하는 비용 정산부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학습자 단말 또는 강의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회원 가입 절차 진행하여 이용형태에 따른 권한을 부여하고, 회원 등록된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등록부;
    시스템 측 또는 등록된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되면, 상기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하는 매칭부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자의 어학능력을 판단하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상기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고,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 변경을 요청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요청하는 레벨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상기 강의자 단말에 실시간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작 환경을 제공하는 강의툴 제공부; 및
    등록된 학습자 및 강의자의 정보 및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툴을 이용하여 제작 및 업로드한 강좌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환경은, 모바일 Web RTC 표준을 만족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링크를 상기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하나 이상의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
    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11. 청구항 1에 기재된 어학 학습 시스템에 의한 어학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단말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학습 플랫폼 서버가 등록된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이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이 상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여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갱신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이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상기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이 상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매칭된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이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이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 방법.
KR1020200087566A 2020-07-15 2020-07-15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53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66A KR102534275B1 (ko) 2020-07-15 2020-07-15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66A KR102534275B1 (ko) 2020-07-15 2020-07-15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180A true KR20220009180A (ko) 2022-01-24
KR102534275B1 KR102534275B1 (ko) 2023-05-19

Family

ID=8004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566A KR102534275B1 (ko) 2020-07-15 2020-07-15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06B1 (ko) * 2022-12-20 2023-06-30 정하진 온라인 쌍방향 실시간 영어 스피킹 강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4916B1 (ko) * 2023-05-30 2023-09-06 주식회사 골드앤에스 의사소통중심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영어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학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3A (ko) * 2003-03-25 2003-07-02 (주)오투라인 원격 학습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87885A (ko) * 2006-01-17 2007-08-29 문상주 학습관리시스템
KR20110058419A (ko) * 2009-11-26 2011-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오프라인 연계 기반의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739023B1 (ko) 2015-09-14 2017-05-23 한호연 참여형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73187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차세대 이러닝 실시간 쌍방향 화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3650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그린키위 사용자 맞춤형 강의 제공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3A (ko) * 2003-03-25 2003-07-02 (주)오투라인 원격 학습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87885A (ko) * 2006-01-17 2007-08-29 문상주 학습관리시스템
KR20110058419A (ko) * 2009-11-26 2011-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오프라인 연계 기반의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739023B1 (ko) 2015-09-14 2017-05-23 한호연 참여형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73187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차세대 이러닝 실시간 쌍방향 화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3650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그린키위 사용자 맞춤형 강의 제공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06B1 (ko) * 2022-12-20 2023-06-30 정하진 온라인 쌍방향 실시간 영어 스피킹 강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4916B1 (ko) * 2023-05-30 2023-09-06 주식회사 골드앤에스 의사소통중심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영어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275B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fakis et al. ELF-awareness in ELT: Bringing together theory and practice
Orlando Training 21st century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At the crossroads of practice, research and pedagogy
McCarty et al. Implementing mobile language learning technologies in Japan
US20050084830A1 (en) Method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of a multi-user network requiring materials to be presented in audio and digital text format
US20150206448A1 (en) On-line education system with synchronous lectures
Dang Exploring CALL options for teaching EFL in Vietnam
KR102534275B1 (ko)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817B1 (ko) 인터넷 상에 공개된 동영상을 이용한 어학 학습 지원 장치
CN114048299A (zh) 对话方法、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0997682B1 (ko) 인터넷 기반의 영자신문기사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재에 의한 전화 및 화상 수업 방법
TWI591501B (zh) The book content digit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Ockey et al. Evaluating technology-mediated second language oral communication assessment delivery models
Jimola Undergraduate students’ exploration of Instagram and TikTok in learning language skills contents: A leverage to digital literacy
Clegg Unheard complaints: Integrating captioning into business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presentations
Ismailia et al. Implementing a video project for assessing students’ speaking skills: A case study in a non-English department context
Vigil Quick response (QR) codes for audio suppor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KR20000036950A (ko)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Fachal et al. Dictionary of Computer Terms in LSA With Operational Signs Proposed by and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KR101011773B1 (ko) 교육컨텐츠 개발 및 분류를 통한 수준별 교육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0276A (ko) 영어 에세이 첨삭을 통한 온라인 멀티미디어 학습 서비스제공방법
KR100613899B1 (ko) 통신 매체를 이용한 학습 진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NNISA THE EFFECTIVENESS OF USING VIDEO BLOG (VLOG) ON STUDENTS’SPEAKING ABILITY IN EXPRESSING DAILY ACTIVITIE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ELEVENTH GRADE OF MA UNWANUL FALAH PESAWARAN IN THE ACADEMIC YEAR OF 2020/2021
KR101739023B1 (ko) 참여형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8293B1 (ko)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지원 통합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과제 처리 방법
KR100891386B1 (ko) 역학원 방식의 외국어 회화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