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002A -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002A
KR20220009002A KR1020200087163A KR20200087163A KR20220009002A KR 20220009002 A KR20220009002 A KR 20220009002A KR 1020200087163 A KR1020200087163 A KR 1020200087163A KR 20200087163 A KR20200087163 A KR 20200087163A KR 20220009002 A KR20220009002 A KR 2022000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source
auxiliary
main bod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891B1 (ko
Inventor
용 목 박
Original Assignee
용 목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목 박 filed Critical 용 목 박
Priority to KR102020008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8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21V21/0885Clips; Clam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전원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버튼이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본체;와, 양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연결되되, 내부에 외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내장되는 조절램프;와, 상기 본체의 일단 또는 양단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램프와 상기 본체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위치 설정된 상기 조절램프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오-링;과,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조절램프의 광원부로 전송하는 전원 공급전선;과,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속 다른 사물에 고정하는 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체에 전원부와 조작버튼이 포함되는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그 본체에 대해 조절램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절램프 광원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소형의 조절램프만 단독으로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광원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휴대용 램프장치에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램프와 구분되어 구성되는 본체에 조작버튼이 형성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조절램프의 위치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램프장치의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조절램프의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전선이 조절램프의 회동에 간섭받지 않는 구조이므로 램프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램프수단을 통해 조절램프의 광원과 함께 보조로 광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시야를 더욱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어두운 야간에 사용자의 안정적인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Portable lamp device with safety of use}
본 발명은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전원부와 조작버튼이 포함되는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그 본체에 대해 조절램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절램프 광원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소형의 조절램프만 단독으로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광원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휴대용 램프장치에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램프와 구분되어 구성되는 본체에 조작버튼이 형성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조절램프의 위치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램프장치의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및 등산 등의 야외 활동을 할 때에 주간에는 태양빛으로 인해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없으나, 어두운 야간에는 태양빛의 부재로 인해 시야 확보가 곤란함으로 야간 활동시에는 시야 확보를 위한 휴대용 램프장치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용 램프장치는 손으로 파지하는 형태이므로 양손이 자유롭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소 크기가 커서 휴대가 다소 불편하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크기가 소형이며, 모자의 창이나 팔에 두르는 밴드와 같은 사물에 용이하게 연결 사용하되, 램프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실용신안 등록번호:제20-0459577호)"를 개발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는 모자 창 등의 사물에 결합되는 클립부를 기준으로 램프와 전원부 및 조작버튼이 포함되는 컨트롤러(기판)가 내장되는 본체가 회동되면서 램프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성이므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본체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램프장치가 모자 창에서 빈번하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어 램프장치의 사용이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본체의 회동을 통해 램프의 조절 각도를 조정한 후, 램프장치를 점등 또는 점멸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조작버튼을 누르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힘)에 의해 상기 본체의 각도가 빈번하게 변형되어 사용자는 다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더욱 램프장치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는 메인 램프의 광원에 의지하여 주변의 시야를 확보해야 하는 특성상, 주변의 시야를 원활하게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577호 (2012.03.2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에 전원부와 조작버튼이 포함되는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그 본체에 대해 조절램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절램프 광원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소형의 조절램프만 단독으로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광원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휴대용 램프장치에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램프와 구분되어 구성되는 본체에 조작버튼이 형성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조절램프의 위치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램프장치의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조절램프의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전선이 조절램프의 회동에 간섭받지 않는 구조이므로 램프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조 램프수단을 통해 조절램프의 광원과 함께 보조로 광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시야를 더욱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어두운 야간에 사용자의 안정적인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는 내부에 전원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버튼이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본체;와, 양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연결되되, 내부에 외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내장되는 조절램프;와, 상기 본체의 일단 또는 양단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램프와 상기 본체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위치 설정된 상기 조절램프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오-링;과,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조절램프의 광원부로 전송하는 전원 공급전선;과,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속 다른 사물에 고정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램프의 일 끝단에는 상기 본체 내부와 상기 조절램프 내부를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전선은 상기 연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조절램프의 광원부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조절램프가 회동시 상기 조절램프와 상기 전원 공급전선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연통로의 직경은 상기 전원 공급전선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상에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IR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버튼이 한번 터치되면 상기 조절램프의 광원부를 점등시켜 주변으로 광원을 공급하고, 상기 조작버튼이 다시 한번 터치되면 상기 조절램프의 광원부를 점멸시키며,
상기 조작버튼이 길게 터치되면 상기 IR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IR센서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광원부를 점등하고, 다시 한번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광원부를 점멸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램프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원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의 시야 확보를 보다 강화하는 보조 램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램프수단은 상기 조절램프의 하부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조램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과, 내부에 외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보조 광원부가 내장되며, 상부는 상기 안내홈에 내입되어 상기 안내홈을 타고 상기 조절램프의 좌측, 우측, 중심 부분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외부에는 상기 보조 광원부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보조버튼이 형성되는 환형의 보조램프와, 상기 조절램프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보조램프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보조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램프가 상기 안내홈을 타고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지지편과, 상기 보조램프에 내장되어 상기 보조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에 의하면, 본체에 전원부와 조작버튼이 포함되는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그 본체에 대해 조절램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절램프 광원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소형의 조절램프만 단독으로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광원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휴대용 램프장치에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램프와 구분되어 구성되는 본체에 조작버튼이 형성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조절램프의 위치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램프장치의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조절램프의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전선이 조절램프의 회동에 간섭받지 않는 구조이므로 램프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램프수단을 통해 조절램프의 광원과 함께 보조로 광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시야를 더욱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어두운 야간에 사용자의 안정적인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100)는 본체(10)와, 조절램프(20)와, 오-링(30)과, 전원 공급전선(40)과, 클립(5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전원부(1)와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버튼(2)이 포함되는 컨트롤러(3)가 내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 내장되는 전원부(1)는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3)의 조작버튼(2)은 후설될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로 상기 전원부(1) 전원의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일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버튼(2)을 한번 터치하면 상기 전원부(1)의 전원이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로 공급되어 상기 조절램프(20)가 점등되게 하고, 상기 조작버튼(2)을 다시 한번 터치하면 상기 조절램프(20)로 전원부(1)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조절램프(20)가 점멸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램프(20)는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되, 내부에 외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21)가 내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21)가 내장되는 상기 조절램프(20)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의지하여 회동되는 구조임으로, 광원의 방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조절램프(20)만을 적합하게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조절하는데, 상기 본체(10)에 의지하여 상기 조절램프(20)만 회동되면서 광원의 방향이 조절되는 특성상, 종래의 휴대용 램프장치와 같이 램프와 전원부 및 컨트롤러가 형성되는 무거운 본체 전체가 회동되면서 본체가 빈번하게 이탈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램프(20)는 광원부(21)만 내장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본체(10)에 대비하여 매우 작은 크기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조절램프(20)를 회동하는데 소요되는 힘, 충격, 흔들림 등이 매우 작게 발생함으로, 더욱 안전하게 상기 본체(10)의 이탈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램프(20)와 상기 본체(10)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조작버튼(2)을 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버튼(2)이 눌러지는 힘에 영향을 받지 않아 상기 조절램프(20)가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장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21)로는 사용수명이 길고 저전력으로 우수한 휘도를 갖는 LED로 구현되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하여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링(30)은 상기 본체(10)의 일단 또는 양단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램프(20)와 상기 본체(10)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위치 설정된 상기 조절램프(2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내입 연결되는 상기 조절램프(20)의 일단 또는 양단 상에 형성되는 상기 오-링(30)은 상기 본체(10)에 의지하여 상기 조절램프(20)의 끝단을 압착하여 상기 조절램프(20)의 회동을 방해함으로, 상기 조절램프(20)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 회동되는 방식으로 적합한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오-링(30)의 압착에 의해 회동이 방지되어 상기 조절램프(20)가 안정적으로 설정된 위치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은 상기 전원부(1)의 전원을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은 상기 전원부(1)와 광원부(21)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원부(1)의 전원이 상기 광원부(21)로 안전하게 전송되도록 안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50)은 상기 본체(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위치를 결속 다른 사물에 고정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램프장치는 낚시나 등산 등의 야외 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5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 창이나 팔에 착용하는 밴드 등과 같은 사물에 간편히 연결 고정되어 상기 본체(10)와 함께 상기 조절램프(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50)은 모자의 창 등이 간편히 억지끼움될 수 있는 집게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램프(20)의 일 끝단에는 상기 본체(10) 내부와 상기 조절램프(20) 내부를 연통되는 연통로(60);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1)와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은 상기 연통로(60)를 통과하여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조절램프(20)가 회동시 상기 조절램프(20)와 상기 전원 공급전선(40)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연통로(60)의 직경은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램프(20)의 회동 기준이 되는 상기 조절램프(20)의 일 끝단에 상기 연통로(60)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이 상기 조절램프(20)로 내입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조절램프(20)의 회동에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의 이동(움직임)이 요구되지 않아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로(60)가 상기 전원 공급전선(40)보다 크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조절램프(20) 회동시 상기 연통로(60) 내측과 상기 전원 공급전선(40) 간의 접촉 마찰이 방지되므로 상기 조절램프(20)의 회동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에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IR센서(Infrared Ray Sensor: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버튼(2)이 한번 터치되면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를 점등시켜 주변으로 광원을 공급하고, 상기 조작버튼(2)이 다시 한번 터치되면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를 점멸시키며,
상기 조작버튼(2)이 길게 터치되면 상기 IR센서(70)을 작동시켜 상기 IR센서(70)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광원부(21)를 점등하고, 다시 한번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광원부(21)를 점멸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부(2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러(3)의 조작버튼(2)을 터치 및 재터치하는 수동 방식으로 상기 조절램프(20)의 점등 및 점멸 작동을 간편히 제어할 뿐만 아니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버튼(2)을 길게 터치한 후에 상기 IR센서(70)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램프(20)의 점등 및 점멸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상기 조절램프(20)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버튼(2)을 길게 터치하여 상기 IR센서(70)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IR센서(70) 측으로 손을 한번 휘젓는 동작으로 상기 조절램프(20)를 점등시키고, 다시 한번 손을 휘젓는 동작으로 상기 조절램프(20)를 점멸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조절램프(20)의 온-오프(ON-OFF)를 매우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램프(20)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원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의 시야 확보를 보다 강화하는 보조 램프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램프수단(80)은 상기 조절램프(20)의 하부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조램프(8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81)과, 내부에 외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보조 광원부(82a)가 내장되며, 상부는 상기 안내홈(81)에 내입되어 상기 안내홈(81)을 타고 상기 조절램프(20)의 좌측, 우측, 중심 부분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외부에는 상기 보조 광원부(82a)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보조버튼(82b)이 형성되는 환형의 보조램프(82)와, 상기 조절램프(20)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보조램프(82)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보조램프(82)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램프(82)가 상기 안내홈(81)을 타고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지지편(83)과, 상기 보조램프(82)에 내장되어 상기 보조 광원부(82a)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 램프수단(80)은 보조램프(82)를 통해 상기 조절램프(20)와 함께 주변으로 광원을 조사함으로 사용자는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램프(82)의 광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주변의 시야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어두운 장소에서 안정적인 활동을 보장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보조 램프수단(80)은 상기 보조램프(82)에 형성되는 보조버튼(82b)을 통해 상기 보조램프(82)의 사용을 간편히 선택할 수 있어 상기 보조램프(82)의 사용이 필요시에 간편히 선택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100)는 사용자의 모자 창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보조 램프수단(80)의 보조램프(82)는 상기 안내홈(81)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사용자가 좌측을 바라보면 상기 보조램프(82)가 상기 안내홈(81)을 타고 좌측으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좌측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우측을 바라보면 상기 보조램프(82)가 상기 안내홈(81)을 타고 우측으로 이동되어 우측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특성상, 사용자는 자신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시야 확보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100)는 본체(10)에 전원부(1)와 조작버튼(2)이 포함되는 컨트롤러(3)를 내장하고, 그 본체(10)에 대해 조절램프(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절램프(20) 광원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소형의 상기 조절램프(20)만 단독으로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광원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휴대용 램프장치에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절램프(20)와 구분되어 구성되는 상기 본체(10)에 조작버튼(2)이 형성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상기 조작버튼(2)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절램프(20)의 위치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램프장치의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이 상기 조절램프(20)의 회동에 간섭받지 않는 구조이므로 램프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램프수단(80)을 통해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과 함께 보조로 광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시야를 더욱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어두운 야간에 사용자의 안정적인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형성되는 클립(50)을 통해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의 창에 간편히 결속 고정한 상태에서, 조절램프(20)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상기 본체(10)에 결속된 상기 조절램프(20)만을 간편히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절램프(20)의 각도를 적합하게 설정 고정한다.
이때, 상기 조절램프(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전선(40)과 상기 조절램프(20)는 서로 간섭되지 않아 상기 조절램프(20)의 안정적인 각도 조절이 수행됨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조작버튼(2)을 터치하여 상기 조절램프(20)의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10)와 조절램프(20)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조작버튼(2)을 누르는 힘(충격)이 상기 조절램프(20)로 전달되지 않아 상기 조절램프(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이 유도된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버튼(2)을 길게 눌러 IR센서(70)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램프(20)의 점등 및 점멸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100)를 모자의 창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모자의 창 하부에 위치시켜 비가 오는 환경에서 전기적인 장치의 안정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전원부 2. 조작버튼
3. 컨트롤러
10. 본체 20. 조절램프
21. 광원부 30. 오-링
40. 전원 공급전선 50. 클립
60. 연통로 70. IR센서
80. 보조 램프수단 81. 안내홈
82. 보조램프 82a. 보조 광원부
82b. 보조버튼 83. 지지편
84. 보조 전원부
100.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Claims (4)

  1. 내부에 전원부(1)와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버튼(2)이 포함되는 컨트롤러(3)가 내장되는 본체(10);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되, 내부에 외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21)가 내장되는 조절램프(20);
    상기 본체(10)의 일단 또는 양단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램프(20)와 상기 본체(10)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위치 설정된 상기 조절램프(2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오-링(30);
    상기 전원부(1)의 전원을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로 전송하는 전원 공급전선(40); 및
    상기 본체(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위치를 결속 다른 사물에 고정하는 클립(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램프(20)의 일 끝단에는 상기 본체(10) 내부와 상기 조절램프(20) 내부를 연통되는 연통로(60);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1)와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은 상기 연통로(60)를 통과하여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조절램프(20)가 회동시 상기 조절램프(20)와 상기 전원 공급전선(40)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연통로(60)의 직경은 상기 전원 공급전선(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상에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IR센서(Infrared Ray Sensor: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버튼(2)이 한번 터치되면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를 점등시켜 주변으로 광원을 공급하고, 상기 조작버튼(2)이 다시 한번 터치되면 상기 조절램프(20)의 광원부(21)를 점멸시키며,
    상기 조작버튼(2)이 길게 터치되면 상기 IR센서(70)을 작동시켜 상기 IR센서(70)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광원부(21)를 점등하고, 다시 한번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광원부(21)를 점멸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부(2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램프(20)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원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의 시야 확보를 보다 강화하는 보조 램프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램프수단(80)은,
    상기 조절램프(20)의 하부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조램프(8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81)과,
    내부에 외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보조 광원부(82a)가 내장되며, 상부는 상기 안내홈(81)에 내입되어 상기 안내홈(81)을 타고 상기 조절램프(20)의 좌측, 우측, 중심 부분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외부에는 상기 보조 광원부(82a)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보조버튼(82b)이 형성되는 환형의 보조램프(82)와,
    상기 조절램프(20)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보조램프(82)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보조램프(82)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램프(82)가 상기 안내홈(81)을 타고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지지편(83)과,
    상기 보조램프(82)에 내장되어 상기 보조 광원부(82a)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8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KR1020200087163A 2020-07-15 2020-07-15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KR10243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63A KR102439891B1 (ko) 2020-07-15 2020-07-15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63A KR102439891B1 (ko) 2020-07-15 2020-07-15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02A true KR20220009002A (ko) 2022-01-24
KR102439891B1 KR102439891B1 (ko) 2022-09-01

Family

ID=8004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163A KR102439891B1 (ko) 2020-07-15 2020-07-15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8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77Y1 (ko) 2010-08-30 2012-04-04 용 목 박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
KR101144735B1 (ko) * 2011-03-17 2012-05-24 차성환 조사 각도 조절 및 센서 역할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센서등
KR20170129003A (ko) * 2016-05-16 2017-11-24 김성영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KR20180006210A (ko) * 2016-07-08 2018-01-17 손대업 회전형 발광장치
KR101953239B1 (ko) * 2018-02-26 2019-02-28 주식회사 프리즘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77Y1 (ko) 2010-08-30 2012-04-04 용 목 박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
KR101144735B1 (ko) * 2011-03-17 2012-05-24 차성환 조사 각도 조절 및 센서 역할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센서등
KR20170129003A (ko) * 2016-05-16 2017-11-24 김성영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KR20180006210A (ko) * 2016-07-08 2018-01-17 손대업 회전형 발광장치
KR101953239B1 (ko) * 2018-02-26 2019-02-28 주식회사 프리즘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891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6094A1 (en) Head-mounted front illumination device
KR101024191B1 (ko)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US6575587B2 (en) Light with clamp that fits into a headband
WO2017126512A1 (ja) 医療従事者用ヘッドライト
WO2016082770A1 (zh) 云台手持架
WO2018176574A1 (zh) 手持云台
CN102597615A (zh) 照明系统
EP3805080B1 (en) Multi-functional lighting device integrated with bicycle
US9263718B2 (en) Battery kit for use with headset
KR102439891B1 (ko) 사용 안전성을 갖는 휴대용 램프장치
CN205842302U (zh) 磁控开关手电筒
CN207950655U (zh) 航模遥控器及航模控制系统
KR101605611B1 (ko) 휴대용 랜턴
KR20046313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CN202059553U (zh) 耳挂式led蓝牙耳机
KR101823969B1 (ko)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
KR102246260B1 (ko) 발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포켓형 led 렌턴
CN210383032U (zh) 一种可旋转的led化妆镜
CN211040408U (zh) 一种新媒体用自动定位的手持云台
CN216556650U (zh) 一种学习用定时功能的护眼台灯
TWM484668U (zh) 固定用頭燈裝置
CN205610706U (zh) 一种带多功能手柄的便携式电子读报机
KR200476374Y1 (ko) 바형 블루투스 리모콘
CN211925441U (zh) 便携式工作灯
CN214275404U (zh) 一种便携式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