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999A -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 Google Patents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999A
KR20220008999A KR1020200087085A KR20200087085A KR20220008999A KR 20220008999 A KR20220008999 A KR 20220008999A KR 1020200087085 A KR1020200087085 A KR 1020200087085A KR 20200087085 A KR20200087085 A KR 20200087085A KR 20220008999 A KR20220008999 A KR 20220008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elastic
elastic block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080B1 (ko
Inventor
류창훈
Original Assignee
류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창훈 filed Critical 류창훈
Priority to KR102020008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2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of moulding techniqu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05Mixing plastics, polymer material ingredients, monomers or olig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는, 제 1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양측 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양측 단 주변에 제 2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부착된 것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블록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벌집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 보호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에 의하면, 충격을 분산시키기 용이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탄성 블록을 구비하여 가해진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WRISTLET WITH ENHANCED IMPACT RELIEF}
본 발명은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토시에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는 보호부를 부착하여 넘어짐 또는 부딪힘 등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 분산, 흡수할 수 있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에 관한 것이다.
토시는 추위 또는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거나 업무, 작업 중 신체가 오염되는 것을 막는 목적을 가진 의류의 한 종류로서, 과거에는 팔에 착용하는 것을 의미하였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팔, 다리 모두에 착용이 가능한 것으로 의미가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토시에는 추위, 햇빛, 오염을 막는 목적에서 나아가, 착용자가 넘어지거나 어딘가에 부딪혔을 시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호구로서의 기능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토시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토시가 보호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량하는 발명에 대한 시행착오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토시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487434 호(발명의 명칭: 보호패드를 구비한 토시 어셈블리)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보호패드; 다리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다리를 감싸도록 전면부와 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부에는 보호패드가 구비되는 보관부가 형성된 토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관부는 상기 보호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된 주머니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패드에 구비되는 결착홈(과, 상기 결착홈)에 체결되도록 상기 토시의 보관부에 구비되는 통과공을 관통하는 변형볼트 및 상기 변형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결착홈에 구비되는 보조홈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결착봉을 포함하는 결착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보호패드가 상기 삽입부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패드를 구비한 토시 어셈블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보호패드가 구비된 토시를 제시하고 있으나 보호패드가 절개되거나 복수 개로 나누어져있지 않아 토시를 착용하였을 시 움직임이 제한되고 충격을 분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시에 구비된 보호 수단을 충격을 분산시키기 용이한 형태로 복수 개 구비 및 각각의 보호 수단을 일정 거리 이격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분산 시킬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토시에 충격을 분산 및 완화시킬 수 있는 보호 수단을 구비하여 착용자가 넘어지거나 어딘가에 부딪힐 때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 수단이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파손 및 변형되었을 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 수단을 보다 강하게 고정함으로써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쉽게 파손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술한 보호 수단 보다 탄성 계수가 높아 충격을 받았을 시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보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는, 제 1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양측 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양측 단 주변에 제 2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부착된 것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블록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벌집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 보호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개폐 가능한 개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탄성 블록의 상면은, 상기 커버의 내측 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의 표면 일 측에는, 상기 탄성 블록의 탄성 재질보다 탄성 계수가 높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벌집 구조의 복수 개의 탄성 블록은, 상기 탄성 패드 상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에 의하면,
1) 충격을 분산시키기 용이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탄성 블록을 구비하여 가해진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고,
2) 커버를 개폐하여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중 부러지거나 찢어진 탄성 블록을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3) 커버와 탄성 블록이 접착되어 상호 고정됨으로써 탄성 블록이 충격을 받아 옆으로 과하게 밀려 부러지거나 찢어질 수 있는 개연성을 해소했을 뿐만 아니라,
4) 탄성 블록을 본체에 부착된 탄성 패드 상에 적층하여 충격을 받았을 시 착용자의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시의 외관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에 개폐부가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탄성 블록의 상면 및 커버의 내측 면이 접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탄성 패드 상에 탄성 블록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시의 외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토시는 본체(100), 보호부(200), 커버(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로 연장된 원통형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이때, 본체(100)의 양쪽 측 단은 개방되듯 내통되어 터널과 유사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0)는 개방된 양측 단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를 통과시키듯 착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착용자의 신체라 함은 착용자의 팔 또는 다리를 의미하고, 후술할 보호부(200)가 위치하는 부위는 착용자의 팔꿈치 또는 무릎일 수 있다.
본체(100)의 직경은 착용자의 신체가 통과 및 착용될 수 있는 적절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체(100)의 길이는 착용자의 신체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다양한 길이인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팔에 착용되는 본체(100)의 길이는 착용자의 손목부터 팔꿈치를 넘어 위팔에 이를 수 있는 길이일 수 있다.
더불어, 본체(100)는 신축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스판(고무사) 등의 신축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자에 따라 천차만별인 신체의 두께에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신축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100)는 착용자의 신체가 통과될 시 착용자의 신체 두께에 상응하도록 직경이 늘어나는 것이 가능한바, 본 발명에서 본체(100)를 이루는 신축성 섬유 재질을 '제 1 신축성 재질'로 칭한다.
이러한 본체(100)의 개방된 양측 단 주변에는 밴드(110)가 포함된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밴드(110)는 양측 단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밴드(110)는 상술한 제 1 신축성 재질보다 신축성이 강한 재질인 '제 2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신축성 재질은 신축성 섬유인 제 1 신축성 재질보다 강한 신축성을 가지는 라텍스, 합성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110)는 착용자의 신체가 통과되면서 늘어난 다음 원래의 둘레 길이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본체(100)보다 강하므로, 본체(100)를 착용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밴드(110)는 본체(100)의 양측 단에 오버로크 처리 되거나, 양측 단을 접어 밴드(110)를 수용한 다음 박음질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부(200)는 본체(100)의 측면 일 측,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외측 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탄성 블록(2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00) 일 측에서 보호부(200)가 부착되는 위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시를 착용하였을 시 착용자의 팔꿈치 또는 무릎에 대응되는 부위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관절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탄성 블록(210)의 형상은 육각기둥과 같을 수 있는바, 이러한 탄성 블록(210)이 복수 개로 조합된 보호부(200)는 벌집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벌집 구조는 육각기둥의 여섯 개의 측면을 통해 충격, 하중 등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로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진 탄성 블록(210)은 심미적인 효과도 부가할 수 있다.
더불어, 각각의 탄성 블록(210)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밀착하지 않도록 조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일정 거리라 함은 탄성 블록(210)이 충격을 받았을 시 옆으로 밀려날 수 있고 주위에 위치한 탄성 블록(210)에 충격을 전달 시켜 충격을 분산 시킬 수 있는 적절한 거리를 의미한다.
탄성 블록(210)의 재질은 외부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바, 즉 탄성 재질은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티오콜(Thiocol), 하이파론 고무(Hypalon rubber) 등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 재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탄성 블록(210)은 본체(100)에 접착제, 박음질 등으로 부착되거나 벨크로 테이프 등의 탈착 수단을 매개로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커버(300)는 본체(100)에 부착된 보호부(200)를 덮는 것으로서, 마치 시트와 같이 얇은 두께와 일정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바, 커버(300)의 둘레 측은 본체(100)와 결합(연결)되어 커버(300) 내측에 스페이스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커버(300)의 스페이스는 보호부(200)의 체적에 상응하는 체적을 보유하여 보호부(200)를 타이트하게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300)에서 본체(100)에 결합되는 부위는 본체(100)에서 보호부(200)가 부착된 부위에 오버로크, 휘갑치기 등의 섬유 결합 방법을 통해 양자(커버(300) 및 본체(100))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커버(300)의 재질은 본체(100)와 같이 신축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데, 신축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300)는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여 보호부(200)가 벌어지게 될 때 함께 늘어나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보호부(200)가 충격을 받을 시 옆으로 과하게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어 충격 완화를 보조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토시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토시의 기능 및 작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탄성 블록(210)이 부착된 가상(공지)의 토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독특한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공지의 토시가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탄성 블록(210)만 구비한 경우,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상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일 시 탄성 블록(210)이 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토시는 탄성 블록(210)이 복수 개로 분할되어 구비됨으로써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일 때 탄성 블록(210)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유연하게 굽어져 인체 구조에 알맞게끔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다음, 공지의 토시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탄성 블록(210)을 구비한 경우, 각각의 탄성 블록(210)이 네 방향으로만 휘어질 수 있어 탄성 블록(210)에 가해진 충격을 주변으로 분산시킬 때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만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신체의 움직임에 유연성을 부가하지 못하거나 충격이 특정 방향으로만 집중되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토시는 탄성 블록(210)이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변을 맞댈 수 있는 벌집 구조를 이루는바, 탄성 블록(210)에 가해진 충격을 여섯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다 방향으로 분산 및 완화할 뿐 아니라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가변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어서, 공지의 토시가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탄성 블록(210)을 구비하되 각각의 탄성 블록(210)이 이격되지 않고 밀착한 경우, 탄성 블록(210)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옆으로 쉽게 밀리지 않으므로 충격을 주변으로 분산 및 완화 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따른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토시는 복수 개의 탄성 블록(210)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탄성 블록(210)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탄성 블록(210)이 각각의 탄성 블록(210) 사이의 공간을 매개로 충분히 휘어져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각 탄성 블록(210) 사이의 공간 자체가 충격 흡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주변의 탄성 블록(210)으로 충격을 원활하게 분산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토시는 복수 개의 탄성 블록(210)이 일정 거리 이격된 벌집 구조를 이루어져 탄성 블록(210)에 가해진 충격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 및 완화시킴으로써, 착용자에게 충격이 쉽사리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일 때 탄성 블록(210)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유연하게 굽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활동의 용이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에 개폐부가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커버(300)의 일 측에는 개폐부(310)가 구비되어 커버(300) 내부 공간인 스페이스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310)는 본체(100)와 커버(300)가 연결된 부위를 따라 구비되는 것이 가능한데 도 2에서는 지퍼로 이루어진 개폐부(310)가 본체(100) 및 커버(300)의 연결 부위를 따라 형성되어 스페이스를 개폐할 수 있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물론 개폐부(310)의 구조 및 구성은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페이스를 개폐할 수 있는 스냅 버튼, 벨크로, 자석 등의 다양한 개폐 수단이 커버(300)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개폐부(310)를 포함한 커버(300)는 탄성 블록(210)이 파손되었거나 다른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블록(210)을 부착해야 하는 경우, 개폐부(310)를 통해 스페이스를 개방하여 탄성 블록(210)을 교체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탄성 블록의 상면 및 커버의 내측 면이 접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탄성 블록(210)의 상면(육각형 면)과 커버(300)의 내측 면은 접착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블록(210)의 상면과 커버(300)의 내측 면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상면과 내측 면 사이에 접착 시트를 끼우고 가열하거나 상면과 내측 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 방법으로 접착된 탄성 블록(210)의 상면 및 커버(300)의 내측 면은 탄성 블록(210)이 충격을 받았을 시 옆으로 과하게 밀려 부러지거나 찢어지는 식으로 변형 내지 파손될 수 있는 개연성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탄성 블록(210)과 커버(300)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 발생을 차단하여 외력이 곧바로 탄성 블록(21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탄성 패드 상에 탄성 블록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0)의 표면에는 탄성 패드(220)가 부착되고, 탄성 패드(220) 상에는 탄성 블록(210)이 적층되듯 구비될 수 있다.
탄성 패드(220)는 본체(100)의 표면에서 보호부(200)가 구비되는 위치에 보호부(200)와 상응하는 넓이로 부착되는 것으로서, 탄성 블록(210)에 가해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두께를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 패드(220)의 재질은 탄성 블록(210)의 탄성 재질보다 높은 탄성 계수를 가지는 탄성 재질일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메타크릴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와 같은 재질인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패드(220)는 탄성 블록(210)에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진 경우 탄성 블록(210)이 우선적으로 압축되면서 충격이 완화되고, 압축된 탄성 블록(210)이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힘을 탄성 패드(220)가 상쇄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질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토시는 본체(100)의 표면에 탄성 패드(220)를 부착함으로써 탄성 블록(210)의 충격 분산 기능에 더해 탄성 패드(220)의 충격 흡수 기능을 부가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탄성 블록(210)을 이루는 탄성 재질은 잘 늘어나고 휘어지는 물성을 보유한 물질을 포함하여 탄성 블록(210)에 가해진 충격을 용이하게 완화 및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탄성 블록(2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물성을 보유한 클로로프렌 고무(Neopren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티오콜(Thiocol)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클로로프렌 고무는 200 내지 600%의 신장률을 가지는 합성 고무로서, 실리콘 고무(200 내지 500%) 및 티오콜(100 내지 300%) 보다 높은 신장률을 보유하는 재질이다.
또한, 클로로프렌 고무는 300 내지 700kg/cm2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바, 클로로프렌 고무의 인장 강도는 실리콘 고무(40 내지 80kg/cm2) 및 티오콜(70 내지 130kg/cm2)의 인장 강도 보다 높다.
다시 말해, 클로로프렌 고무는 우수한 신장률 및 인장 강도를 통해 탄성 블록(210)의 충격 완화 기능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물질로서, 하기에서는 이러한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블록(2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탄성 블록(210)은 클로로프렌 고무의 단량체인 2-클로로부타디엔(2-Chloro butadiene)을 기본적인 물질로 하여 제조될 수 있는바, 이에 더해 베이스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베이스가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가공성을 증진시키는 디옥틸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블록(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물질 제조 단계(S100), 탄성 블록 성형 단계(S11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기초 물질 제조 단계(S100)는 2-클로로부타디엔(2-Chloro butadiene) 70 내지 80 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10 내지 20 중량부,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여 기초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2-클로로부타디엔은 상술하였듯이 중합되어 클로로프렌 고무를 제조하는 단량체이고, 몬모릴로나이트는 실리카(SiO2)와 알루미나(Al2O3)가 층상 구조를 이루는 물질로서 클로로프렌 고무의 염소기를 끌어당겨 밀집되어 탄성 블록(210)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바, 몬모릴로나이트는 클로로프렌 고무의 중합 성장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1 내지 50㎛의 입자크기로 분쇄된 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파라핀 왁스는 혼합의 용이성을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다음, 탄성 블록 성형 단계(S110)는 1차 물질 60 내지 80 중량부, 디옥틸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10 내지 30 중량부, 산화마그네슘(MgO)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한 다음 성형하는 과정이다.
이때, 산화마그네슘은 촉매 및 가교제로서 기초 물질의 중합을 유도하고, 디옥틸세바케이트는 가소제로서 탄성 블록(210)이 중합될 시 적절한 유연함을 부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탄성 블록(210)의 성형은 혼합된 물질을 육각기둥 형상의 틀에서 안정시키거나, 완전히 안정되어 탄성 재질에 요구되는 물성을 보유한 탄성 블록(210)을 육각기둥 모양으로 커팅하는 등의 다양한 성형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탄성 블록(210)은 우수한 신축성 및 인장 강도를 보유한 클로로프렌 고무에 강도를 증진시키는 몬모릴로나이트가 첨가되어 내마모성을 증진시키고 유연성을 부가하는 디옥틸세바케이트가 첨가되어 충격 완화 기능이 증진된 특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술한 탄성 블록 성형 단계(S110)에는 TESPT((Triethoxy silylpropyl) tetrasulfide)를 포함한 보조제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제가 포함된 탄성 블록 성형 단계(S110)는 1차 물질 60 내지 70 중량부, TESPT((Triethoxy silylpropyl) tetrasulfide)를 포함하는 보조제 10 내지 20 중량부, 디옥틸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10 내지 20 중량부, 산화마그네슘(MgO)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한 다음 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보조제에 포함되는 TESPT는 극성과 비극성 작용기를 모두 보유한 커플링제로서 유기 물질인 클로로프렌 고무와 무기 물질인 몬모릴로나이트 사이를 보다 강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더불어, 보조제는 TESPT 외에도 가황 반응을 통해 물성을 보강할 수 있는 황 및 가황 반응 촉진제인 TMTM(Tetramethyl thiuram monosulfide) 및 용액의 연화 기능을 수행하는 포타슘스테아레이트(Potassium stearate) 및 산화방지제인 BHT(Butylated hydroxytoluene)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제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S200), 제 2 용액 제조 단계(S210), 보조제 혼합 단계(S22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 1 용액 제조 단계(S200)는 TESPT 80 내지 90 중량부, 실리카 30 내지 40 중량부, 포타슘스테아레이트(Potassium stearate)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TESPT는 상술하였듯이 극성과 비극성 작용기를 모두 보유한 커플링제이고, 포타슘스테아레이트는 제 1 용액에 TESPT가 고르게 분산되고 후술할 제 2 용액 제조 단계(S210) 및 보조제 혼합 단계(S220)의 혼합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연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제 2 용액 제조 단계(S210)는 제 1 용액 70 내지 80 중량부, BHT(Butylated hydroxytoluene) 10 내지 20 중량부, 황(S)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황은 클로로프렌 고무의 내충격성 및 성형의 용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황 반응을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고, BHT는 산화방지제로서 착용자가 작업, 운동을 하며 발생한 땀 등에 의해 탄성 블록(210)이 산화 부식될 수 있는 개연성을 해소하는 물질이다.
마지막으로, 보조제 혼합 단계(S220)는 제 2 용액 70 내지 90 중량부, TMTM(Tetramethyl thiuram monosulfide) 10 내지 3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 내지 5분 동안 혼합하는 과정이다.
이때, TMTM은 가황 촉진제로서 상술한 탄성 블록 성형 단계(S110)의 혼합 시간 도중 가황 반응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보조제 혼합 단계(S220)에서는 제 2 용액 내에 TMTM이 고르게 분산되는 정도로 혼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보조제는 커플링제인 TESPT를 포함하고 가황 반응을 유도하여 탄성 블록(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바, 보조제가 첨가된 탄성 블록(210)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 및 변형되지 않는 특성을 부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보조제 혼합 단계(S220)에는 DMT(Dimethyl terephthalate) 및 PMTG(Poly terephthylene ether glycol)을 포함한 탄성 보강재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제 혼합 단계(S220)는 제 2 용액 70 내지 80 중량부, TMTM(Tetramethyl thiuram monosulfide) 10 내지 20 중량부, DMT(Dimethyl terephthalate) 및 PMTG(Poly terephthylene ether glycol)을 포함한 탄성 보강재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 내지 5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탄성 보강재는 탄성을 가진 물질을 섬유 형태로 방사한 것으로서, 탄성 블록(210)에 포함되어 탄성 블록(210)의 신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바, 즉 충격 완화 기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탄성 보강재는 상술한 탄성을 가진 물질의 단량체로 DMT를 포함하는바, DMT의 중합체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고분자로서 충격 완화 기능을 보조하는 신축성과 섬유 형태로 방사되기 용이한 성형성을 보유한 물질이다. PMTG는 탄성 보강재의 성형성을 보조하는 물질로서 폴리에스터 계열 고분자에 첨가되어 방사 도중 섬유에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 보강재는 용매인 1,4-부테인다이올(1,4-Butanediol) 및 열안정제인 PTT(Pentaerythritol tetrakis) 및 촉매인 TBT(tert-Butyl titanate)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보강재는 1차 물질 제조 단계(S300), 2차 물질 제조 단계(S310), 탄성 보강재 방사 단계(S32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물질 제조 단계(S300)는 DMT 50 내지 60 중량부, PMTG 20 내지 30 중량부, 1,4-부테인다이올 20 내지 30 중량부를 70 내지 10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DMT는 상술하였듯이 중합되어 폴리에스터 계열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는 단량체이고, PMTG는 성형 보조제인바, 1,4-부테인다이올은 DMT 및 PMTG를 1차 물질에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이다.
다음, 2차 물질 제조 단계(S310)는 1차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 PTT 5 내지 15 중량부, TBT 0.1 내지 1 중량부를 170 내지 2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PTT는 열안정제로서 고온에서 탄성 보강재를 중합하는 2차 물질 제조 단계(S310)에서 탄성 보강재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TBT는 중합 반응을 유도 및 시간을 감소시키는 촉매이다.
마지막으로, 탄성 보강재 방사 단계(S320)는 2차 물질을 50 내지 80kg/cm3의 압력 및 300 내지 800m/min의 속도 및 TTC(tip-to-collector) 10 내지 30cm의 조건으로 방사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탄성 보강재 방사 단계(S320)를 통해 섬유 형태의 탄성 보강재가 완성될 수 있는바, 탄성 보강재의 직경은 신축성을 유지하면서도 쉽사리 끊어지지 않을 수 있는 0.1 내지 1mm인 것이 가능하고, 탄성 블록(210)에 포함되기 적절한 0.5 내지 2cm의 길이로 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탄성 보강재는 탄성 블록(210)에 포함되어 탄성 블록(210)이 충격을 받아 옆으로 밀려났을 시 원래 형태로 복구되는 성질을 강화함으로써 탄성 블록(210)의 충격 완화 기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110: 밴드
200: 보호부 210: 탄성 블록
220: 탄성 패드 300: 커버
310: 개폐부 S100: 기초 물질 제조 단계
S110: 탄성 블록 성형 단계 S200: 제 1 용액 제조 단계
S210: 제 2 용액 제조 단계 S220: 보조제 혼합 단계
S300: 1차 물질 제조 단계 S310: 2차 물질 제조 단계
S320: 탄성 보강재 방사 단계

Claims (8)

  1.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로서,
    제 1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양측 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양측 단 주변에 제 2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부착된 것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블록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벌집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 보호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개폐 가능한 개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의 상면은, 상기 커버의 내측 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표면 일 측에는,
    상기 탄성 블록의 탄성 재질보다 탄성 계수가 높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벌집 구조의 복수 개의 탄성 블록은,
    상기 탄성 패드 상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클로로프렌 고무(Neopren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티오콜(Thioc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클로로프렌 고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2-클로로부타디엔(2-Chloro butadiene) 70 내지 80 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10 내지 20 중량부,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여 기초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물질 60 내지 80 중량부, 디옥틸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10 내지 30 중량부, 산화마그네슘(MgO)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한 다음 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1차 물질 60 내지 70 중량부, TESPT((Triethoxy silylpropyl) tetrasulfide)를 포함하는 보조제 10 내지 20 중량부, 디옥틸세바케이트(Dioctyl sebacate) 10 내지 20 중량부, 산화마그네슘(MgO)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한 다음 성형하는 단계이되,
    상기 보조제는,
    상기 TESPT 80 내지 90 중량부, 실리카 30 내지 40 중량부, 포타슘스테아레이트(Potassium stearate)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70 내지 80 중량부, BHT(Butylated hydroxytoluene) 10 내지 20 중량부, 황(S)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70 내지 90 중량부, TMTM(Tetramethyl thiuram monosulfide) 10 내지 3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 내지 5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용액 70 내지 80 중량부, TMTM(Tetramethyl thiuram monosulfide) 10 내지 20 중량부, DMT(Dimethyl terephthalate) 및 PMTG(Poly terephthylene ether glycol)을 포함한 탄성 보강재 10 내지 20 중량부를 30 내지 50℃에서 1 내지 5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이되,
    상기 탄성 보강재는,
    상기 DMT 50 내지 60 중량부, 상기 PMTG 20 내지 30 중량부, 1,4-부테인다이올(1,4-Butanediol) 20 내지 30 중량부를 70 내지 10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 PTT(Pentaerythritol tetrakis) 5 내지 15 중량부, TBT(tert-Butyl titanate) 0.1 내지 1 중량부를 170 내지 2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물질을 50 내지 80kg/cm3의 압력 및 300 내지 800m/min의 속도 및 TTC(tip-to-collector) 10 내지 30cm의 조건으로 방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KR1020200087085A 2020-07-14 2020-07-14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KR10249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85A KR102495080B1 (ko) 2020-07-14 2020-07-14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85A KR102495080B1 (ko) 2020-07-14 2020-07-14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99A true KR20220008999A (ko) 2022-01-24
KR102495080B1 KR102495080B1 (ko) 2023-02-01

Family

ID=8004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085A KR102495080B1 (ko) 2020-07-14 2020-07-14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959B1 (ko) * 2022-09-30 2023-09-19 강선엽 파크골프용 복사뼈 보호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720U (ko) * 2009-12-03 2011-06-10 고은총 관절보호대
KR20140066027A (ko) * 2012-11-22 2014-05-30 이용운 격투기용 보호대
KR20160048768A (ko) * 2013-08-07 2016-05-04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방탄 시트, 이러한 시트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720U (ko) * 2009-12-03 2011-06-10 고은총 관절보호대
KR20140066027A (ko) * 2012-11-22 2014-05-30 이용운 격투기용 보호대
KR20160048768A (ko) * 2013-08-07 2016-05-04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방탄 시트, 이러한 시트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959B1 (ko) * 2022-09-30 2023-09-19 강선엽 파크골프용 복사뼈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080B1 (ko)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1029B2 (en) Flexible cushioning pads, items incorporating such pa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CA2518373C (en) Shoulder pads
US6182299B1 (en) Baseball chest protector
CN111134405B (zh) 可滑动且耐磨的柔性冲击吸收缓冲衬垫
US20130312152A1 (en) Two-way protective pad construction
US10405592B2 (en) Glove
EP2806758B1 (en) Breathable impact absorbing cushioning and constructions
KR20220008999A (ko) 충격 완화 기능을 강화한 토시
JP2021501273A (ja) 衝撃保護システム
KR100984226B1 (ko) 공기완충부가 구비된 폴리우레탄 완충패드 및 상기폴리우레탄 완충패드가 구비된 의류 및 헬멧
CN211513373U (zh) 一种骑行用护具
WO2021056161A1 (zh) 一种高柔软防震劳保手套及其加工工艺
CN204519443U (zh) 一种手掌加强型防撞手套
KR100886788B1 (ko) 몸통 보호구
CN206314631U (zh) 一种骑行手套
CN213549814U (zh) 一种运动用防护盔甲服
CN113975779B (zh) 一种柔性自适应护具
CN217609692U (zh) 一种抗冲击护具垫片及运动服
CN212818013U (zh) 一种高弹、轻量的武术护具
CN217170025U (zh) 一种泡棉转动缓冲结构及其安全帽
US20140143943A1 (en) Body Protection Robe
KR200433187Y1 (ko) 작업용 팔꿈치 보호대
KR100723314B1 (ko) 격투기용 팔다리보호대
JP5781483B2 (ja) 関節プロテクター
KR200283046Y1 (ko) 충격흡수용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