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082A -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082A
KR20220008082A KR1020200086214A KR20200086214A KR20220008082A KR 20220008082 A KR20220008082 A KR 20220008082A KR 1020200086214 A KR1020200086214 A KR 1020200086214A KR 20200086214 A KR20200086214 A KR 20200086214A KR 20220008082 A KR20220008082 A KR 2022000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container
cover
package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767B1 (ko
Inventor
임기영
이명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7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사용되는 씨드 패키지 및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재배 씨앗을 수용하면서, 수분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씨드 수용 부재; 상기 씨드 수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되며, 상기 재배 씨앗이 수용되는 씨앗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실 내부에 식물을 보관한다.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식물은 공급되는 양분과 광 에너지에 의해 성장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82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박스형의 본체 내부에 식물 재배 포트가 장착되는 커버와, 식물 재배 포트에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배양액 공급유로와 배양액을 저장하는 저수 트레이가 구비되며, 상부에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엘이디 조명장치가 배치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식물 재배 포트 내에는 배양토와 같은 흙을 포함한다. 식물 생장을 위한 온도, 습도 및 광량이 유지되는 환경에서는 곰팡이가 서식하기에도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식물 재배 포트 내 흙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인해서, 식물 생장하는 과정에서 식물 재배 장치 내부가 오염될 수 있으며, 식물 생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세균 및 곰팡이 등이 번식하지 않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식물의 효율적인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밀폐된 공간에서 세균 및 곰팡이의 발생 및 오염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는, 내부에 배지와 흙을 대신하여,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씨드 수용 부재를 포함하여 씨드 패키지에 곰팡이 발생을 최소화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는,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재배 씨앗을 수용하면서, 수분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씨드 수용 부재; 상기 씨드 수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되며, 상기 재배 씨앗이 수용되는 씨앗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바닥면에 개구되어 상기 용기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급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식물 재배 장치의 물 공급부가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이격 배치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급수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부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용기 상면부 및 상기 용기 상면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용기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용기 상면부는, 양 측면 일부분이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절개홈을 기준으로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용기는, 상기 급수부 상방에서 상기 개구를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며,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하단이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커버의 하면과 상기 용기 바닥의 상면에 각각 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상기 급수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씨앗 홈은, 상기 씨드 수용 부재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하면에서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씨앗 홈의 하단은, 상기 용기 내로 물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용기 내 채워진 물의 수면보다 더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상단이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가 배열된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면은,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씨앗 홈과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씨드 패키지는, 상기 커버의 상면을 차폐하며, 재배 시작 시 제거되도록 부착되는 아웃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씨드 패키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아웃 커버 사이에 빛에 대한 반사 효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거나, 반사 효율이 높은 색상으로 형성된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재배를 위한 재배 씨앗을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씨드 패키지가 안착되는 재배 선반; 상기 재배 공간의 온도 조절을 위한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을 포함하고, 상기 씨드 패키지는,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재배 씨앗을 수용하면서, 수분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씨드 수용 부재; 상기 씨드 수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되며, 상기 재배 씨앗이 수용되는 씨앗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배 선반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고,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씨드 패키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씨드 패키지 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급수부 하면은 상기 물 공급부를 수용하고, 상기 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씨드 수용 부재 내부에 재배 씨앗을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식물 재배를 위한 배지 또는 배양토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배지 또는 배양토 등의 흙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물 재배 장치의 청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씨드 패키지의 용기 본체부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용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급수부가 형성되어 재배 선반의 물 공급부로부터 용기 내측의 수용 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씨드 수용 부재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씨앗 홈을 포함하여, 상기 씨앗 홈 내부에 재배 씨앗이 수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씨드 패키지 내부에 배양토 등의 흙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재배 씨앗의 발아 및 식물의 생장을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씨드 패키지 내부에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인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식물 재배 장치의 청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씨앗 홈은 상기 씨드 수용 부재 상단에서부터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에 물이 유입되어 상기 씨드 수용 부재가 물에 잠기는 최대 수위보다, 상기 씨앗 홈의 하단이 보다 더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재배 씨앗이 물에 직접 잠기지 않으면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에서 흡수된 물을 간접적으로 재배 씨앗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재배 씨앗에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곰팡이 등이 발생하여 발아 및 생장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씨드 수용 부재가 고정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가 상기 씨드 패키지에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상방에는 빛에 대한 반사 효율이 높은 재질 또는 빛에 대한 반사 효율이 높은 색상으로 형성된 반사 시트를 포함하여, 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씨드 패키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씨드 수용 부재측으로 적절한 빛의 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내부에는 거즈, 부직포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씨드 수용 부재 내부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 씨드 패키지 외부로 뿌리내리거나, 상기 급수부 개구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가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씨드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씨드 패키지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씨드 패키지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씨드 패키지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용기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Ⅶ-Ⅶ'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씨드 패키지가 상기 재배 선반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씨드 패키지내 물의 유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의 결합 관계를 보인 횡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가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30)가 사용되는 식물 재배 장치(1)는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식물 재배기라 부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온 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도록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식물 재배 냉장고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 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재배 공간(1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단열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온도 조절 장치에 따라서 상기 재배 공간(100)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냉동 사이클, 열전소자,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내의 공기 순환을 위한 팬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재배 선반(110)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재배 선반(110)은 상하 두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재배 선반(110)은 상기 캐비닛(10)의 크기에 따라서 2개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선반(110)은 식물의 씨앗과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씨드 수용 부재(32)가 포함된 씨드 패키지(30)가 다수개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재배 선반(110)에는 다수의 함몰된 안착부(11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11)에는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11)는 상기 씨드 패키지(30)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1)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씨드 패키지(3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드 패키지(30) 바닥면에는 급수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급수부 개구(316a)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부 개구(316a)은 상기 안착부(1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 공급부(11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112)는 씨드 패키지(30)가 안착되었을 때, 상기 재배 선반(110)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씨드 패키지(30)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 선반(110)은 서랍과 같이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선반(110)에 상기 씨드 패키지(30)를 안착시키거나 상기 씨드 패키지(30)를 꺼내는 등 씨드 패키지(3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재배 선반(110)은 인출입 가능한 구조를 통해 식물의 성장 관리 및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하방에는 워터 탱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140)는 상기 재배 선반(110)으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추가적인 급수가 용이하도록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140)와 재배 선반(110)의 사이에는 물 공급을 위한 유로와 펌프, 밸브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선반(110)으로 일정한 양의 물을 적시에 공급하여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 선반(110)의 상방에는 라이트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재배 선반(110)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식물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은 태양광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재배되는 식물에 최적화된 광량과 조사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는 상하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재배 선반(110) 상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는 상방에 배치된 상기 재배 선반(110)의 바닥면 또는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어퍼 힌지(미도시)와 로어 힌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어퍼 힌지와 로어 힌지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0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적어도 일부가 투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재배 공간(100)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의 하방에는 기계실(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40)의 전면에는 그릴 커버(40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커버(401)를 통해 상기 기계실(4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거나, 상기 기계실(40) 내부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소모품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씨드 패키지(30)를 선택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넣기만 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적합한 온도와 광량을 제공하고 급수하게 되며, 작물의 수확시까지 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재배 가능한 다양한 식물의 씨앗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단순히 사전적인 화분의 의미로만 이해되기 보다는 씨앗과, 씨앗의 성장을 위한 양분 그리고 씨앗과 양분을 수용하는 용기가 조합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씨드 패키지 어셈블리, 씨앗 패키지, 씨앗 카트리지, 파드 등으로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씨드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씨드 패키지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씨드 패키지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씨드 패키지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용기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2의 Ⅷ-Ⅷ'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씨드 패키지가 상기 재배 선반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씨드 패키지내 물의 유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311)을 형성하는 용기(31)와, 상기 용기(3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33) 그리고, 상기 용기(31) 내부에 수용되고, 재배 씨앗을 포함하는 씨드 수용 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상기 커버(33)를 상방에서 차폐하는 아웃 커버(35)와, 상기 커버(33)와 상기 아웃 커버(35) 사이에 구비되는 반사 시트(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31)는 상기 안착부(1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에서 보았을 때 네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3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선반(110) 내로 공급된 물이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에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31)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3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31)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 공간(311)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312)와,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용기 상면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312)는 바닥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재배 선반(110)의 안착부(111)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바닥면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3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둘레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다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부(312)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급수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311) 내측으로 돌출된 급수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16)는 상기 재배 선반(110)의 안착부(111)에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안착될 때 상기 안착부(111)에 형성된 물 공급부(11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316)는 상기 용기 본체부(312)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급수부(316)를 중심으로 상기 수용 공간(311)이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급수부(316)는 상면(316b)과, 상기 상면(316b)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둘레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16c)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경사면(316c)은 상기 상면(316b)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용기 본체부의 중앙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급수부의 상면(316b)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물 공급부(112)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316)는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급수부 개구(316a)을 포함하여, 물이 상기 물 공급부(112)로 부터 상기 용기(31) 내측의 수용 공간(3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 개구(316a)은 상기 경사면(316c)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급수부 개구(316a)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수용 공간(311)에 씨드 수용 부재(32)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11)에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 선반(110)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급수부(316)를 통해서 상기 재배 선반(110)에 급수된 물이 흡수될 수 있다.
이때, 급수되는 물의 양은 상기 씨드 패키지(30)에서 흡수될 수 있는 적정 양이 공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재배 선반(110)에는 장기간 물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게 된다.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 상면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상면부(313)는 상기 수용 공간(311)의 상단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33)가 장착되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상면부(313)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상면부(313)는 양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홈(315)은 상기 용기 상면부(313)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절개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커버(33)는 제1 커버부(331a)와 제2 커버부(331b)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절개홈(315)은 상기 제1 커버부(331a)와 제2 커버부(331b)의 테두리부 중 서로 마주 보는 테두리부가 상기 용기 상면부(313)의 좌우 양측방을 가로질러 장착될 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홈(315)은 상기 연결부(33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33)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315)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제1 커버부(331a) 및 제2 커버부(331b)의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커버(33)와 용기(31)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씨드 패키지(30)의 내구성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상기 커버(33)가 용기(31)에서 이탈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상면부(313)의 연장된 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테두리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는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둘레면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314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는, 상기 커버(33)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는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상기 안착부(111)에 안착되었을 때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는 상기 용기(31)의 가장 외측의 둘레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으로 외부충격 또는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와 가장 먼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는 상단만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게 될 때 완충 또는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부(312)는 상기 수용 공간(311) 내부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의 이격된 구조에 의해서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완충될 수 있으며,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의 변형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상기 용기(31)가 손상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30)는 상기 수용 공간(311) 내부에 차단 부재(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317)는 거즈, 부직포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급수부(316)와 상기 연결부(33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317)는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중심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재배 씨앗(322)이 발아하여 내린 뿌리가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를 벗어나 상기 급수부 개구(316a)을 막거나, 상기 급수부 개구(316a)을 통해서 상기 씨드 패키지(30) 외부로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317)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두께는 제한되지 않으나, 수용 공간(311)으로 유입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씨드 수용 부재(32)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317)의 너비(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급수부(316)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씨드 수용 부재(32)간의 전후방향 거리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을 내부에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수용 공간(311)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하단은 상기 용기 바닥과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일반적으로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급수부(316)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와 같은 섬유 소재 또는 망상의 소재 또는 다공성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꽃꽂이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오아시스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부(316)를 통해 유입된 물을 모세관 현상으로 씨드 수용 부재(3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빨아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에 구비된 재배 씨앗(32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배양토 등의 흙을 대신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동안 물을 머무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씨앗(322)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커버(33)와 상기 용기(31) 바닥면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수용 공간(311)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씨앗 홈(321)이 형성되어,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내부에 재배 씨앗(32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씨앗 홈(321)은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중앙부에 상기 재배 씨앗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씨앗이 발아 후, 새싹이 상기 씨앗 홈(321)을 관통하여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상부로 나올 수 있기에 적합한 폭(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1 ~ 10 mm, 바람직하게는 5 ~ 8 mm의 폭(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앗 홈(321)은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상단에서 중앙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안착부(111)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31) 내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하부는 물에 잠기게 되는데,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물에 잠기는 최대 수위보다 상기 씨앗 홈(321)의 하단이 보다 더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용기(31) 내로 물이 공급되어, 용기(31) 내 채워진 물의 수면과 상기 씨앗 홈(321)의 하단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씨앗 홈(321)의 하단부가 상기 물의 수면보다 더 상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재배 씨앗(322)은 물에 직접 잠기지 않으면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하부에서 흡수된 물을 간접적으로 재배 씨앗(322)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씨앗(322)에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곰팡이 등이 발생하여 발아 및 생장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31) 내 물의 최대 수위는 상기 용기(31)의 바닥면 또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바닥면으로부터 약 5 ~ 15 mm, 바람직하게는 약 7 ~ 11mm의 높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앗 홈(321)의 하단은 물의 수면으로부터 약 5 ~ 15mm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하부는, 상기 재배 씨앗(322)이 발아된 후, 식물의 뿌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씨드 패키지(30)에 배지 또는 배양토 등의 흙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식물의 뿌리가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하단부측으로 뿌리내려 상기 수용 공간(311) 내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씨드 패키지(30) 내부에 배지 또는 흙을 포함하지 않게 되어, 상기 수용 공간(311) 내에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상기 재배 선반(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식물이 생장하는 과정에서 곰팡이 발생 등으로 인해서 상기 재배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커버(33)에 형성된 고정부(33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4)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고정부(334) 내측으로 삽입되어, 씨드 수용 부재(32)의 상부가 상기 커버(3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31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상하 방향의 길이(높이)는 상기 용기(31)의 상하 방향의 길이(높이)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33)에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311) 내 구비되었을 때,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바닥면은 상기 용기(31)의 바닥면과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커버(33)와 상기 용기(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용기(31) 내로 물이 공급되기 시작한 후부터, 상기 복수개의 씨드 수용 부재(32) 전체에 물을 공급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용기(31)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어 운반 보관 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수용 공간(311)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씨드 수용 부재(32)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배열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상기 수용 공간(311)은 상기 급수부(316)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구획된 공간에 상기 복수개의 씨드 수용 부재(32)가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용 공간(311)은 상기 급수부(316)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되어 각각 제1 수용공간(311a)과 제2 수용공간(311b)으로 구획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수용공간(311b) 각각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씨드 수용 부재(3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311b)에서 각각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다각형의 각 모서리와 중앙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사각형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사각형의 중심에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공간(311a)에 구비되는 씨드 수용 부재와 및 제2 수용공간(311b)에 구비되는 씨드 수용 부재(32)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재배 씨앗(322)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배 씨앗(3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용기(31)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33)는 상기 용기 상면부(313)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3)는 상기 수용 공간(311)의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33)는 상기 수용 공간(311)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331)와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배열된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3)는 상기 커버부(331)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테두리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는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31)는 상기 제1 수용공간(311a)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폐하는 제1 커버부(331a)와 상기 제2 수용공간(311b)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폐하는 제2 커버부(331b) 및 상기 제1 커버부(331a)와 상기 제2 커버부(331b)를 연결하는 연결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31)는 상기 용기(31)의 중앙부, 달리 설명하면 상기 급수부(316)를 기준으로, 상기 용기 상면부(313)의 전방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커버부(331a)와, 상기 용기 상면부(313)의 후방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커버부(3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33)는 상기 제1 커버부(331a)와 상기 제2 커버부(331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홈(3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는 상기 제1 커버부(331a)와 제2 커버부(331b)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는 상기 제1 커버부(331a)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커버 테두리부(332a)와 상기 제2 커버부(331b)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커버 테두리부(332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는 상기 커버(33)가 상기 용기(3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와 접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의 내측면은 상기 용기 테두리부(314)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가 상기 용기(31) 외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용기(31)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형태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3)는 상기 제1 커버부(331a)와 상기 제2 커버부(331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331a)와 상기 제2 커버부(331b)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333)는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 하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33)의 상단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33)는 상기 절개홈(315)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버 테두리부(332a, 332b)는 상기 절개홈(315) 단부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33)의 두께(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커버 테두리부(332)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커버(33)가 용기(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씨드 패키지(30)를 운반 또는 보관하는 과정 중에서 상기 커버(33)가 용기(31)에서 이탈되거나, 상기 커버(33)가 외부 충격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부(334)는 상기 커버부(331)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334)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고정부(334)는 대략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34)는 하방에서 보았을 때 네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상기 고정부(334) 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조립 과정 중에 씨드 수용 부재(32)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부(334)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334)의 하단을 상기 씨앗 홈(321)의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4)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배열된 형상과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커버부(331a)와 상기 제2 커버부(331b) 각각 상기 고정부(334)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 중앙부에 상기 고정부(334)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3) 상면은, 상기 고정부(334)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5)은 상기 고정부(334)와 상기 씨앗 홈(321)과 연통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35)의 크기는 상기 씨앗 홈(32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씨앗 홈(321)에 수용된 재배 씨앗(322)이 발아하여 자란 새싹은 상기 관통홀(335)을 거쳐 상기 커버(33)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커버(33)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3)의 상면에는 아웃 커버(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커버(35)는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보관 또는 운송 중일 때,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재배 씨앗(322)이 대기 중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33)의 상방에서 상기 커버(33)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웃 커버(37)는 종이 또는 비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37)에는 재배되는 식물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사용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커버(35)는 상기 커버부(33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웃 커버(35)는 상기 제1 커버부(331a) 및 제2 커버부(331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331a, 331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커버부(331a)를 상방에서 차폐하는 제1 아웃 커버(35a)와 상기 제2 커버부(331b)를 차폐하는 제2 아웃 커버(3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아웃 커버(35a, 35b)는 상기 연결부(333)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상기 커버(33)와 상기 아웃 커버(35) 사이에 반사 시트(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34)는 알루미늄 등 빛에 대한 반사 효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커버(3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반사 시트(34)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라이트 어셈블리를 통해 공급되는 빛의 일부분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반사 시트(34)는 상기 재배 선반(110)의 상방에 위치하는 라이트 어셈블리의 빛의 일부분을 반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측으로 공급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해서 상기 씨드 패키지(3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측으로 적절한 빛의 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 시트(34)는 상기 커버(33)의 관통홀(33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341)를 포함하여, 식물이 생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반사 시트(34)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사용을 위해서 상기 아웃 커버(35)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선반(110)에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는 다수의 씨드 패키지(30)가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2단의 상기 재배 선반(110)에는 최대 6개의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선반(110)의 물 공급부(112)를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급수부 개구(316a)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31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물이 수용 공간(311) 내부로 채워지게 되면,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물을 흡수하여, 씨드 수용 부재(32) 내 구비된 재배 씨앗(32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 공간이 상기 제1 수용공간(311a)과 제2 수용공간(311b)으로 구획되어 씨드 수용 부재(32)가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30')를 설명하면,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311)을 형성하는 용기(31)와, 상기 용기(3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33)와, 상기 용기(31) 내부에 수용되고, 재배 씨앗을 포함하는 씨드 수용 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31)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네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31)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311)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재배 선반(110) 내로 공급된 물이 상기 수용 공간(31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개구(316a)을 포함하는 급수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31)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 공간(311)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312)와, 상기 용기 본체부(3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용기 상면부(31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상면부(313)의 연장된 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테두리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16)는 상면(316b)과, 상기 상면(316b)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면(316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급수부(316)는 상기 용기 본체부(312)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급수부 개구(316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 개구(316a)을 통해 상기 물 공급부(112)로부터 상기 용기(31) 내측의 수용 공간(311)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 개구(316a)을 통해 유입된 물은 씨드 수용 부재(32)에 흡수되어 식물 생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용기의 수용 공간(31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311)에 복수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될 씨앗 홈(321)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 홈(321) 내부에는 재배 씨앗(3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상기 커버(33)에 형성된 고정부(33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33)는, 상기 수용 공간(311)을 상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부(331)와,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배열된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커버부(331)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4)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부(334)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3)의 상면은, 상기 고정부(33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3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5)을 통해 발아된 새싹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3)의 상방에는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보관 또는 운송 중일 때,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의 재배 씨앗(322)이 대기 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웃 커버(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커버(35)는 상기 커버(33)의 상방에서 상기 커버(33)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상기 커버(33)와 상기 아웃 커버(35) 사이에 알루미늄 등 빛에 대한 반사 효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 커버(3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반사 시트(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반사 시트(34)는 일반적인 종이 필름으로 형성되고, 빛을 잘 반사하는 흰색 계열 등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사용을 위해서 상기 아웃 커버(35)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선반(110)에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재배 선반(110)은 상기 씨드 패키지(30')가 재배 선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재배 선반(1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함몰된 안착부(11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1)는 상기 재배 선반(110)에 일렬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착부(111)는 전후 방향으로 2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1) 중앙부에는 상기 씨드 패키지(3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물 공급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의 결합 관계를 보인 횡단면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상기 커버(33)에 형성된 고정부(33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씨드 패키지를 설명하면, 상기 씨드 패키지(3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311)을 형성하는 용기(31)와, 상기 용기(3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33)와, 상기 용기(31) 내부에 수용되고, 재배 씨앗을 포함하는 씨드 수용 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31)의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31)는 상기 수용 공간(311)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3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부(312) 바닥면에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배열된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334')와, 상기 수용 공간(311) 내측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될 개구(316a)을 포함하는 급수부(3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는 하단부가 상기 용기 본체부(312)에 형성된 고정부(334')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34')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내로 물이 흡수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334')는 상기 전면 및 후면이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와 접할 수 있도록 벽체를 형성하고, 양 측면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 하부를 고정 장착하여, 상기 수용 공간(311) 내 상기 씨드 수용 부재(32)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드 패키지(30)는 내부에 배지나 토양 등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식물 재배기 내에서 식물을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재배 씨앗을 수용하면서, 수분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씨드 수용 부재;
    상기 씨드 수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되며,
    상기 재배 씨앗이 수용되는 씨앗 홈을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바닥면에 개구되어 상기 용기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식물 재배 장치의 물 공급부가 수용되는 씨드 패키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이격 배치되는 개구가 형성된 씨드 패키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급수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부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용기 상면부 및
    상기 용기 상면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용기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상면부는,
    양 측면 일부분이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절개홈을 기준으로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양측으로 배치되는 씨드 패키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급수부 상방에서 상기 개구를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며,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하단이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씨드 패키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커버의 하면과 상기 용기 바닥의 상면에 각각 접하도록 연장되는 씨드 패키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상기 급수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씨드 패키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 홈은,
    상기 씨드 수용 부재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하면에서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는 씨드 패키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 홈의 하단은,
    상기 용기 내로 물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용기 내 채워진 물의 수면보다 더 상방에 위치하는 씨드 패키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의 상단이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씨드 수용 부재가 배열된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열된 씨드 패키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은,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씨앗 홈과 연통되는 씨드 패키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드 패키지는,
    상기 커버의 상면을 차폐하며, 재배 시작 시 제거되도록 부착되는 아웃 커버를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씨드 패키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아웃 커버 사이에 빛에 대한 반사 효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거나, 반사 효율이 높은 색상으로 형성된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8.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재배를 위한 재배 씨앗을 포함하는 씨드 패키지;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씨드 패키지가 안착되는 재배 선반;
    상기 재배 공간의 온도 조절을 위한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을 포함하고,
    상기 씨드 패키지는,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재배 씨앗을 수용하면서, 수분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씨드 수용 부재;
    상기 씨드 수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씨드 수용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되며,
    상기 재배 씨앗이 수용되는 씨앗 홈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선반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고,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씨드 패키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씨드 패키지 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 하면은 상기 물 공급부를 수용하고,
    상기 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식물 재배 장치.
KR1020200086214A 2020-07-13 2020-07-13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KR10255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14A KR102554767B1 (ko) 2020-07-13 2020-07-13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14A KR102554767B1 (ko) 2020-07-13 2020-07-13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82A true KR20220008082A (ko) 2022-01-20
KR102554767B1 KR102554767B1 (ko) 2023-07-12

Family

ID=8005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214A KR102554767B1 (ko) 2020-07-13 2020-07-13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7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180A (ko) * 2012-09-06 2014-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장치
KR20150064509A (ko) * 2013-12-03 2015-06-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바이오믹스 식물재배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KR20180118937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엔씽 수경재배용 화분 모듈
KR20190132078A (ko) * 2018-05-18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58040A (ko) * 2018-11-19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180A (ko) * 2012-09-06 2014-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장치
KR20150064509A (ko) * 2013-12-03 2015-06-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바이오믹스 식물재배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KR20180118937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엔씽 수경재배용 화분 모듈
KR20190132078A (ko) * 2018-05-18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58040A (ko) * 2018-11-19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767B1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645B1 (ko) 식물 재배 장치
JP2020174577A (ja) 植物育成ケース
KR102572899B1 (ko) 식물 재배 장치
EP4129049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US20230292677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KR102554767B1 (ko)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KR20220090166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21743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150139269A (ko) 새싹재배기
US20230380360A1 (en)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824829B2 (ja) 野菜搬送ユニット
KR20050024462A (ko) 식물 재배기
KR20220068482A (ko) 식물 재배장치
KR101895954B1 (ko)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KR200349560Y1 (ko) 새싹채소 배양기
JP2517105Y2 (ja) 蘭等の植物栽培用ポット
KR102565777B1 (ko) 식물 재배 장치
JP3244305U (ja) 水耕栽培装置
KR20210121744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87267A (ko)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및 그 포장재
KR20210121742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21740A (ko)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5780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0387674Y1 (ko) 가정용 새싹 채소 재배기
KR20220014704A (ko) 저면관수 화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