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553A - 선행 난간 - Google Patents

선행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553A
KR20220007553A KR1020210090271A KR20210090271A KR20220007553A KR 20220007553 A KR20220007553 A KR 20220007553A KR 1020210090271 A KR1020210090271 A KR 1020210090271A KR 20210090271 A KR20210090271 A KR 20210090271A KR 20220007553 A KR20220007553 A KR 2022000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member
members
fitt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노리 사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Publication of KR2022000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할 연결부재의 좌우 순서에 관계없이, 지지기둥의 높은 위치에 있는 연결 받이부에 대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선행 난간을 제공한다.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연결 받이부를 가지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기둥의 사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가설(架設)되는 수평부재(21)와 사선방향으로 가설되는 경사재(51A)가, 상기 연결 받이부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지는 끼움부(43)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30A)를 통해 연결된 선행 난간(20)이다. 제1 연결부재(30A)는, 수평부재(21)의 단부 근방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수평부재 부착부(34)와, 경사재(51)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경사재 부착부(37)를 구비하고, 수평부재 부착부(34)는, 수평부재(21)와 접촉하며, 끼움부재(43)가 대략 직각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 돌출부(34c)가 설치되며, 경사재 부착부(37)는 경사재(51A)와 맞닿는 회전방지 돌기부(37d)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선행 난간{PRECEDING HANDRAIL}
[0001] 본 발명은 건축현장에 가설(架設)되는 가설(假設) 비계에서의 선행(先行) 난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평부재의 양단에 비계를 보강하기 위한 가새(brace)를 구비하고 있는 선행 난간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 건축현장 등에서는, 파이프재 등으로 구성된 지지기둥을 틀 형상으로 제작하고 작업용 가설 비계에 있어서, 이 가설 비계에 가해지는 횡방향 혹은 사선방향에서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가새를 구비한 선행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0003] 이러한 선행 난간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진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행 난간은, 수평부재와 가새(brace)와 연결부재를 갖는다. 수평부재의 양단에는, 연결부재를 통해 가새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지지기둥의 연결 받이부에 연결한다.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가새는 연결부재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기둥의 연결 받이부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끼움부와, 이 끼움부와 수평부재 및 가새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0004] 상기 선행 난간은, 상기 연결부재의 끼움부를 이웃하는 지지기둥의 연결 받이부의 삽입구멍에 상측으로부터 각각 끼워 넣어, 상기 이웃하는 지지기둥의 연결 받이부 사이에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한다. 또한, 선행 난간은,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가새의 선단(先端)을 이웃하는 지지기둥에서의 다른 연결부재에 각각 고정함으로써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웃하는 지지기둥에 대한 부착 시에는, 연결부재의 끼움부와 수평부재가 이루는 각도는 약 90도로 되어 있다.
[0005]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행 난간의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 측에서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방(一方)의 연결부재에는, 끼움부와 수평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타방(他方)의 연결부재에는, 끼움부와 수평부재가 회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0006]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선행 난간은, 맨 먼저, 회동 가능한 끼움부를 일방의 지지기둥의 연결 받이부에 삽입한 후, 회동 불가능한 끼움부를 타방의 지지기둥의 연결 받이부에 삽입한다. 즉, 상기 선행 난간은, 상기 수평부재에 위치하는 상기 끼움부를 연직(鉛直)방향으로 상기 연결 받이부의 연결 받이부 삽입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을 수평부재의 양단에서 독립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수평부재의 하방으로부터 수평부재를 이웃하는 지지기둥에 부착하는 작업을 행하기가 쉽다. 또한, 회동 불가능한 끼움부의 연결부재에 대한 자세는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끼움부를 연직자세로 유지한 상태에서 삽입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64321호
[0008] 그러나, 위에 기술한 특허문헌 1의 선행 난간에서는, 회동 가능한 끼움부부터 부착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미리 선행 난간의 방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0009] 따라서, 본 발명은 수평부재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의 부착순서에 관계없이, 지지기둥의 높은 위치에 있는 연결 받이부에 대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행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0010]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의 선행 난간을 제공한다.
[0011]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축선(軸線)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연결 받이부를 가지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기둥의 사이에 가설되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와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재가, 상기 연결 받이부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끼움부재를 구비한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선행 난간이다.
[0012]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끼움부재의 상방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端部)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부재 부착부와, 상기 수평부재 부착부의 하방 위치에 상기 끼움부재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사재 부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부재 부착부에는, 상기 수평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끼움부재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 돌출부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재 부착부에는, 상기 경사재와 접촉하며, 상기 경사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를 소정 각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돌기부(突部)가 설치되는, 선행 난간을 제공한다.
[0013]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양태의 선행 난간을 제공한다.
[0014]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의 측판부와, 이들 측판부의 일단(一端)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방지 돌기부는, 상기 경사재가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유지용 돌출부에 접촉한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직교한 상태를 넘어 상기 경사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또는 제2 양태의 선행 난간을 제공한다.
[0015]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 부착부는, 상기 측판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판재를 가지며, 상기 수평판재의 하부에 상기 유지용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3 양태의 선행 난간을 제공한다.
[0016]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부재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의 부착순서에 관계없이, 지지기둥의 높은 위치에 있는 연결 받이부에 대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0017]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선행 난간을 적용한 가설 비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선행 난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방의 제1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타방의 제1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연결부재를 도 5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선행 난간의 가설 작업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선행 난간의 가설 작업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선행 난간의 가설 작업의 제3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선행 난간의 가설 작업의 제4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선행 난간의 가설 작업의 제5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일방의 제1 연결부재의 가설 상태를 나타내며, (A)는 단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 연결부재의 가설 상태를 나타내며, (A)는 단면도, (B)는 평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참고예에서의 선행 난간의 가설 작업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0018]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된 선행 난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0019]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선행 난간(20)을 적용한 가설 비계(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가설 비계(100)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계단층의 상층을, 본 발명의 선행 난간(20)을 이용해 구축한 것이다.
[0020] 구체적으로는 가설 비계(10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 설치하는 복수의 지지기둥(1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지지기둥(10)은, 수평(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열로 세워 설치되며, 상방에서 볼 때(平面視, planar view) 좌우(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외주(外周)방향) 한 쌍의 지지기둥(10, 10)과 전후(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내외방향) 한 쌍의 지지기둥(10, 10)의 4개가,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21] 각 지지기둥(10)은, 단면(斷面)이 원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를 축선방향으로 이어 붙여 구성된다.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에는 이음매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외주부에는,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축선방향으로 개구(開口)하는 각통(角筒) 형상의 연결 받이부(12)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곳에 설치되어 있다.
[0022] 이들 연결 받이부(12) 중,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축선방향에서 볼 때 대칭으로 위치하는 연결 받이부(12, 12)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 받이부(12, 12)는, 연결 받이부(12)의 축선방향의 치수만큼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축선방향으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 받이부(12)는,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에서의 지름방향의 측면이 상단에서 하단을 향함에 따라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축심(軸心)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12a)을 가지고 있다(도 12의 (A), 도 13의 (A) 참조).
[0023] 이들 4개의 연결 받이부(12) 세트는,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를 축선방향으로 이어 붙인 상태에서, 하측의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에서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 받이부(12) 세트와, 상측의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에서의 하단에 위치하는 연결 받이부(12) 세트 간의 간격은, 일방(一方)의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에 위치하는 복수의 연결 받이부(12) 세트의 간격과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지지기둥(10)은 잭 베이스(jack base, 13)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지지기둥(10, 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24] 또한, 가설 비계(100)는 전후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0, 10)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 파이프(14)는 지지기둥(1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결 파이프(14)의 양단에는, 전(前)방향의 지지기둥(10)에서의 연결부(12)와 후(後)방향의 지지기둥(10)에서의 연결 받이부(12) 중, 서로 대향(對向)되는 연결 받이부(12)에 각각 연결되는 쐐기(wedge) 형상의 연결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 파이프(14, 14)에는 발판(15)이 가설(架設)되어 있다. 이 발판(15)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틀 내에 철망(16)을 부착하는 동시에, 양단에 연결 파이프(14)에 걸기 위한 후크 형상의 연결부를 설치한 것이다.
[0025] 나아가, 가설 비계(100)는 제1 계단층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지지기둥(10, 1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8A, 18B)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재(18A)는 지지기둥(1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구성된다. 고정부재(18A)의 양단부에는,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에 연결되는 쐐기 형상의 연결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부재(18A)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0, 10)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축선방향의 길이로 형성되며, 대략 수평방향으로 조립 부착됨으로써 난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0026] 고정부재(18B)는 고정부재(18A)보다 외경(外徑)이 작은 파이프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부재(18B)의 양단부에는,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에 연결되는 연결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부재(18B)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0, 10)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조립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고정부재(18B)를 좌측 상방에 조립하는 경우, 고정부재(18B)는 전후방향에서 볼 때 고정부재(18B)에서의 좌측의 단부보다 우측의 단부가 하방에 위치하도록(좌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조립 부착된다. 이로써, 고정부재(18B)는 트러스(truss) 구조를 구성하여 가설 비계(100)의 강성(剛性)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0027] 이러한 가설 비계(100)의 제1 계단층의 상층은, 제1 계단층과 같은 연결 파이프(14), 발판(15) 및 고정 부재(18A)와, 본 발명의 선행 난간(20)으로 구축된다. 또한, 고정부재(18A)는, 건축물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0)에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난간(20)은 건축물에서 떨어진 쪽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0)에 배치된다.
[0028]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행 난간(20)은, 난간을 구성하는 수평부재(21)와, 이 수평부재(21)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연결부재(30A, 30B)와, 각 제1 연결부재(30A, 30B)에 설치된 가새(brace)를 구성하는 경사재(51A, 51B)와, 각 경사재(51A, 51B)의 자유단(自由端)에 설치된 제2 연결부재(58A, 58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행 난간(20)의 설명에서는, 수평부재(21)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부재(30A, 30B)와, 경사재(51A, 51B)와, 제2 연결부재(58A, 58B)에 대하여, 좌우의 구별을 위해 부호에 대문자 A, B의 부호를 붙였다. 부호 A가 수평부재(21)에 대해서 좌측, 부호 B가 수평부재(21)에 대해서 우측에 설치되는 부재에 대응한다.
[0029] 또한, 제1 연결부재(30A, 30B)는 동일한 구성, 구조,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서로 반전(反轉)된 상태에서 수평부재(21)의 양단에 각각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경사재(51A, 51B)에 부착되어 있는 제2 연결부재(58A, 58B)는 동일한 구성, 구조,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연결부재(58A, 58B)는 서로 반전된 상태에서 각 경사재(51A, 51B)의 자유단에 각각 고정된다.
[0030] 제1 연결부재(30A, 3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받이부(12)에 끼워 넣어지는 끼움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움부재(43)가 끼움부를 구성한다.
[0031] 구체적으로는 수평부재(21)는, 가설 상태에서 난간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수평부재(21)는 지지기둥(10)보다 지름이 더 좁으며,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지기둥(10, 10)의 간격에 따른 길이의 파이프재로 구성된다. 또, 수평부재(21)는 예컨대 지름이 다른 파이프재를 신축관 식(telescopic type)으로 연결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전체 길이(全長)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이에 따라 경사재(51A, 51B)는 전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0032]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부재(21)는 일단(一端)에 제1 연결부재(30A)가 연결되고 타단(他端)에 제1 연결부재(30B)가 연결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연결부재(30A, 30B)는 같은 구성의 것이 이용된다. 즉, 수평부재(21)가 하나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부재(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30A, 30B)는, 공통 부품으로서 반전된 상태로 수평부재(21)의 양단에 각각 부착된다.
[0033] 수평부재(21)의 일단은,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 구멍(24A)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수평부재(21)의 타단은, 지름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 구멍(24B)을 가지고 있다. 수평부재(21)의 양단에는, 부착 구멍(24A, 24B)의 각각에 조립 부착되는 볼트(23a)와 너트(23b)에 의해, 제1 연결부재(30A, 30B)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0034] 상기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에 대하여 끼움부재(43)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연결 받이부(12)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수평부재(21)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선행 난간(20)은, 편의상 수평부재(21)에서의 좌측의 제1 연결부재(30A)를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에 연결한 후에 수평부재에서의 우측의 제1 연결부재(30B)를 연결한다.
[0035]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난간(20)에서는, 수평부재(21)의 양단에 부착되는 제1 연결부재(30A, 30B)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좌우의 제1 연결부재(30A, 30B) 중 임의의 연결부재부터 연결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수평부재(21)의 양단에 위치한 연결부재(30A, 30B)를 연결 받이부(12)에 연결할 때에 선택하는 좌우 연결부재(30A, 30B)의 순서에 관계없이 연결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즉, 작업자가 선행 난간(20)의 좌우 순서를 생각하지 않아도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지지기둥의 연결 받이부(12)에 대해 선행 난간(20)을 부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0036] 제1 연결부재(30A, 30B)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 본체(31)와, 이 연결부재 본체(31) 내에 고정되는 끼움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0037] 연결부재 본체(31)는 대칭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32a, 32b)와, 이들 측판부(32a, 32b)의 일단(一端)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33)를 구비한다. 연결부재 본체(31)는 금속판을 뚫어 굴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부(33)는 수평부재(21)의 단부보다 수평부재(21)의 축선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0038] 측판부(32a, 32b)는 하부 단부의 사이에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가 삽입된다. 측판부(32a, 32b)는 상기 연결 받이부(12)의 폭보다 큰 틈새(隙間)를 갖는다. 또한, 측판부(32a, 32b)는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판재(34a, 34b)를 가지고 있다. 이 수평판재(34a, 34b)가 수평부재 부착부(34)를 구성한다. 수평부재 부착부(34)는 끼움부재(43)의 상방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수평부재 부착부(34)의 수평판재(34a, 34b)에는, 부착 구멍(24A(24B))에 대응하는 수평부재 부착구멍(35a, 35b)이 형성되어 있다.
[0039] 수평부재(21)는 수평부재 부착구멍(35a, 35b)에 조립 부착되는 볼트(23a)와 너트(23b)에 의해 수평부재 부착부(3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수평판재(34a, 34b)의 수평부재 부착구멍(35a, 35b)과 수평부재(21)의 부착구멍(24A(24B))이 수평부재(21)의 지름방향에서 볼 때 겹치도록 수평부재(21)의 단부가 수평판재(34a, 34b)의 사이에 삽입된다. 수평부재(21)는 부착구멍(24A(24B))과 수평부재 부착구멍(35a, 35b)에 볼트(23a)를 삽입하고, 너트(23b)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수평부재(21)는 수평부재 부착부(3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0040] 측판부(32a, 32b)는 하부가 수평부재 부착부(34)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재 부착용 돌출부(37a, 37b)를 가지고 있다. 경사재 부착용 돌출부(37a, 37b)는 경사재 부착부(37)를 구성한다. 경사재 부착부(37)는 수평부재 부착부(34)의 하방 위치이면서 끼움부재(43)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이 경사재 부착부(37)의 선단(先端)에는 경사재 부착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수평부재 부착부(34), 경사재 부착부(37)의 사이는 끼움부재 설치부(39)를 구성한다.
[0041] 상기 끼움부재 설치부(39)는, 연결 받이부(12)의 폭보다 약간 큰 간격이 되도록, 측판부(32a, 32b) 사이를 향해 홈 형상으로 패인 제1 몰입(沒入)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몰입부(40)는 측판부(32a, 32b)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측판부(32a, 32b)는 상기 제1 몰입부(40)를 설치함으로써 강성이 커진다.
[0042] 또, 상기 제1 몰입부(40)의 상부에는, 끼움부재(43)보다 약간 큰 틈새가 되도록, 원추대(圓錐臺) 형상을 이루듯이 패인 제2 몰입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몰입부(41)는 측판부(32a, 32b)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몰입부(41)의 중심에는 끼움부재(43)의 부착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0043] 또한, 연결판부(33)는, 제1 연결부재(30A, 30B)를 연결 받이부(12)에 연결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연결 받이부(12)의 상단에 재치(載置)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도 12의 (A) 참조).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 본체(31)의 하단부(연결판부(33))는 연결 받이부(12)를 삽입하도록 절결(切缺)되어 있다.
[0044] 끼움부재(43)는 금속제이며, 연결 받이부(12) 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두께의 판재이다. 이 끼움부재(43)는, 연결 받이부(12)에서의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지름방향에 대응하는 횡폭(橫幅)이, 연결 받이부(12)에서의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지름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부재(43)는, 그 상부가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지름방향으로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한, 반원 형상의 돌출 부분에는, 측판부(32a, 32b)의 부착구멍(42)에 대응하는 부착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0045] 끼움부재(43)는, 부착구멍(42)에 조립 부착되는 나사(44a)와 너트(도시 생략) 등의 고정구(固定金具)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측판부(32a, 32b)의 부착구멍(42)과 끼움부재(43)의 부착구멍(44)이 겹치도록 끼움부재(43)가 측판부(32a, 32b)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끼움부재(43)는, 연결부재 본체(31)에 대하여 나사(43a)와 너트(도시 생략) 등의 고정구에 의해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0046] 제1 연결부재(30A, 30B)의 수평부재 부착부(34)에는, 수평부재(21)를 끼움부재(4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 돌출부(34c)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용 돌출부(34c)는 수평판재(34a, 34b)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수평판재(34a, 34b)의 사이에 삽입된 수평부재(21)는, 유지용 돌출부(34c)와 접촉함으로써, 수평판재(34a, 34b)에 대해 평행해지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수평부재(21)는 제1 연결부재(30A, 30B)에 부착된 끼움부재(43)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으로 유지된다.
[0047] 또한, 끼움부재(43)는 수평부재(21)에 대해 엄밀하게 직각으로 유지될 필요는 없다. 끼움부재(43)는 수평부재(21)에 대하여 직각을 포함해 앞뒤로 몇 도 범위의 각도를 포함하는 대략 직각으로 유지되어 있으면 된다. 즉, 끼움부재(43)는, 연결 받이부(12)에 끼워져, 선행 난간(20)이 지지기둥(10, 10)의 사이에 가설되었을 때, 수평부재(21)가 대략 수평으로 지지되면 된다. 여기서 대략 수평이라 함은, 지지기둥(10)에 대하여 수직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10도 이내의 각도를 포함한다. 즉, 대략 수평이란,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21)가 난간으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각도이면 된다.
[0048] 수평부재(21)에 설치하는 제1 연결부재(30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부재(21)의 부착구멍(24A)과 수평부재 부착구멍(35a, 35b)을 일치시키고, 볼트(23a)와 너트(23b)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수평부재(21)에 설치하는 제1 연결부재(30B)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부재(21)의 부착구멍(24B)과 수평부재 부착구멍(35a, 35b)을 일치시키고, 볼트(23a)와 너트(23b)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0049]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유지용 돌출부(34c)와 수평부재(21)가 접촉하는 각도에 있어서, 수평부재(21)에 대해 회동하지 않는다. 이때, 수평부재(21)와 제1 연결부재(30A, 30B)의 수평판재(34a, 34b)는, 평행이 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끼움부재(43)는 수평부재(21)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된다.
[0050] 상기 경사재(51A, 51B)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 본체(31)의 측판부(32a, 32b)의 사이에 설치 가능한 외경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이 경사재(51A, 51B)의 상단은 제1 연결부재(30A, 30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경사재(51A, 51B)는, 제1 연결부재(30A)가 인접하는 지지기둥(10, 10) 중 일방의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방의 제1 연결부재(30B)를 연결한 타방의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 하방의 연결 받이부(12)에 연결 가능한 치수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아래의 연결 받이부(12)에 걸쳐 연장되는 치수를 가지고 있다.
[0051]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재(51A, 51B)의 상단(일단)에는, 제1 연결부재(30A, 30B)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관통구멍(52)이,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재(51A, 51B)는 경사재 부착구멍(38)과 관통구멍(52)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53a)와 너트(53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선행 난간(20)은 수평부재(21)와 경사재(51A, 51B)가 제1 연결부재(30A, 30B)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0052]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멍(52)은, 제1 연결부재(30A)를 연결 받이부(12)에 조립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받이부(12)에 경사재(51A)의 단부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재(30B)를 연결 받이부(12)에 조립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받이부(12)에 경사재(51B)의 단부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이로써, 상기 경사재(51A, 51B)의 단부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재(51A, 51B)를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킨 가설 상태에서, 연결 받이부(12)의 하방에 진입한다. 또한, 상기 경사재(51A, 51B)의 단부는, 수직 하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회동시킨 비(非) 가설상태에서, 단부가 연결 받이부(12)의 하방으로부터 지지기둥 구성용 파이프(11)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0053] 경사재 부착부(37)를 구성하는 경사재 부착용 돌출부(37a, 37b)는, 경사재(51A, 51B)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방지 돌기부(突部, 37d)를 가지고 있다. 회전방지 돌기부(37d)는 경사재(51A, 51B)가 경사재 부착구멍(38)으로부터 연결판부(33)의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즉, 회전방지 돌기부(37d)는, 경사재(51A, 51B)가 수평부재(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유지용 돌출부(34c)에 접촉한 수평부재(21)에 대해 직교한 상태를 넘어 경사재(51A, 51B)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0054] 회전방지 돌기부(37d)는 경사재(51A, 51B)와 제1 연결부재(30A, 30B) 사이의 각도를 소정 각도 이내로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12의 (A)의 가상선(51C)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재(51A)는, 수평부재(21)에 대하여 직각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회전방지 돌기부(37d)에 접촉하여, 수평부재(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0055] 또한, 회전방지 돌기부(37d)는 수평부재(21)에 대해 경사재(51A)가 직각을 넘는 각도에서 맞닿는 위치에 설치하여도 되며, 경사재(51A)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재(30A)를 수평부재(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각도이면 된다.
[0056] 상기 회전방지 돌기부(37d)는, 경사재(51A, 51B)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재(30A, 30B)를 수평부재(21)에 대해 직교하도록 회동시킬 때, 경사재(51A, 51B)와 제1 연결부재(30A, 30B)의 각도를 제1 연결부재(30A, 30B)가 회동 가능한 각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경사재(51A, 51B)의 회전을 규제한다.
[0057]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부(37d)는, 경사재(51A, 51B)가 수평판재(34a, 34b)에 대해 직교하는 각도로부터 연결판부(33)의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재(51A)가 수평판재(34a, 34b)에 대해 직교하는 각도를 약간 넘은 각도에 있어서, 회전방지 돌기부(37d)와 경사재(51A, 51B)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0058]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방지 돌기부(37d)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수평부재(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사재(51A, 51B)가 제1 연결부재(30A', 30B')에서의 연결판부(33)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경사재(51A, 51B)는 연결판부(33)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30A', 30B')의 수평판재(34a, 34b)는, 수평부재(21)와 대략 직각인 위치가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도 14의 예에서는, 수평부재(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제1 연결부재(30B')에는, 경사재(51B)에 의해 수평부재(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없게 된다.
[0059] 이러한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선행 난간(20)의 제1 연결부재(30B)를 손이 닿는 범위까지 이동시키는 동시에, 작업자의 손에 의해 제1 연결부재(30B)를 수평부재(21)에 대해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방지 돌기부(37d)를 갖지 않는 제1 연결부재(30B')를 구비하는 선행 난간은, 수평부재(21)에 대한 제1 연결부재(30B')의 각도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제1 연결부재(30B)와 수평부재(21)가 직교하는 위치까지 제1 연결부재(30B')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0060]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회전방지 돌기부(37d)를 갖는 제1 연결부재(30A, 30B)는, 경사재(51A, 51B)에 의해 수평부재(21)와 직교하는 위치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연결부재(30A, 30B)에 대한 경사재(51A, 51B)의 각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0061]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재(51A, 51B)에는, 가설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대략 중앙에, 지름방향의 치수를 작게 한 세로로 긴 단면(斷面)이 타원 형상을 이루는 편평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경사재(51A, 51B)의 자유단인 하단에는, 평탄하게 프레스(press) 한 제2 연결부재 부착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 부착부(55)에는 부착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58A, 58B)는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에 연결한다(도 2 참조).
[0062] 제2 연결부재(58A, 58B)는, 연결 받이부(12)에 끼움결합하는 끼움결합부(59)와, 제2 연결부재 부착부(55)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부(6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58A)와 제2 연결부재(58B)는 구성, 구조, 기능 등이 동일한 것이다. 제2 연결부재(58A, 58B)는 반전 상태로 경사재(51A, 51B)에 각각 고정된다.
[0063] 끼움결합부(59)는, 연결 받이부(12)의 상단부를 덮는 상면부(60) 및 연결 받이부(12)의 하단부를 덮는 하면부(61)와, 이들을 접속하는 연속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부(60)에는, 연결 받이부(12)와 연결한 연결상태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며 연결 받이부(12)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돌출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면부(60)에는, 연결 받이부(12)와 연결한 연결상태에서 연결 받이부(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쐐기부재(68)를 관통 삽입하기 위한 제1 관통삽입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부(61)에는 제1 관통삽입구멍(64)보다 전후방향(수평부재(21)의 축선방향)의 폭이 넓은 제2 관통삽입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0064] 제1 관통삽입구멍(64)과 제2 관통삽입구멍(65)은 상방향에서 볼 때 겹쳐져 있다. 브래킷부(66)는, 제1 관통삽입구멍(64), 제2 삽입구멍(65)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연속부(62)의 단부 가장자리(端緣)로부터 굴곡지게 설치된 것이다. 이 브래킷부(66)는 관통구멍(67)을 구비하며, 제2 연결부재 부착부(55)에 대하여 볼트(67a) 및 너트(67b)에 의해 고정된다.
[0065] 또, 상기 제2 연결부재(58A, 58B)는 별체(別體)의 쐐기부재(6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쐐기부재(68)는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쐐기부재(68)의 두께는 제1 관통삽입구멍(64)보다 약간 작다. 그리고 쐐기부재(68)는 하단부에 빠짐방지부(69)를 가지고 있다. 빠짐방지부(69)는 제1 관통삽입구멍(64)의 폭보다 넓고, 제2 관통삽입구멍(65)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다.
[0066] 이와 같이 구성된 선행 난간(20)은, 비계의 제1 계단층의 구축 후에, 상측의 제2 계단층 이상을 구축할 때의 선행 난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다음으로, 이 선행 난간(20)을 사용하는 가설 작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0067]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설 전의 선행 난간(20)은, 수평부재(21)에 대하여 한 쌍의 경사재(51A, 51B)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제1 연결부재(30A)에 대해 수평부재(21)를 90도 회동시켜 수평부재(21)와 경사재(51A)가 중첩된다. 또한, 선행 난간(20)은 수평부재(21)에 대해 제1 연결부재(30B)를 90도 회동시키는 동시에, 경사재(51B)를 90도 더 회동시켜 수평부재(21)와 경사재(51B)가 중첩된다. 이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5)보다 상방의 연결 받이부(12)에 대하여, 일방의 제1 연결부재(30A)의 끼움부재(43)를 상방에서 끼워 연결한다.
[0068]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판(15)보다 6개 위의 연결 받이부(12)에 대하여, 제1 연결부재(30A)의 끼움부재(43)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연결한다. 또한, 끼워 넣는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수평부재(21)에 부착된 좌우 어느 쪽의 제1 연결부재(30A, 30B)여도 되며, 작업자가 작업하기 쉬운 방향을 선택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재(21)의 좌측에 부착된 제1 연결부재(30A)의 끼움부재(43)를 좌측의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에 끼워 연결한다.
[0069]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타방의 제1 연결부재(30B)를 경사재(51B)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수평부재(21)에 대하여 타방의 제1 연결부재(30B)를 90도 회동시킨다.
[0070] 다음으로, 수평부재(21)가 경사재(51B)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때 경사재(51B)는, 회전방지 돌기부(37d)에 의해 회전각도의 범위가 억제된다. 이로써, 끼움부재(43)는 수평부재(2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0071] 그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0B)는, 경사재(51B)에 의해 인접하는 지지기둥(10)에서의 연결 받이부(12)의 상방에 배치된다. 나아가, 제1 연결부재(30B)의 끼움부재(43)가 경사재(51B)에 의해 연결 받이부(12)에 상방에서 끼워 넣어진다.
[0072] 이때 경사재(51B)는, 회전방지 돌기부(37d)에 의해 회전각도의 범위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부재(43)가 수평부재(2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 연결부재(30B)의 자세를 쉽게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경사재(51B)에 의해 끼움부재(43)를 지지기둥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끼움부재(43)는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연결 받이부(12)에 끼워 넣어진다.
[0073]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연결부재(30A, 30B)는 인접하는 지지기둥(10, 10)의 연결 받이부(12, 12)에 각각 연결된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재(51B)를, 제1 연결부재(30A)를 연결한 지지기둥(10)에서의 연결 받이부(12)의 2개 아래에 위치하는 연결 받이부(12)를 향해 회동시킨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58B)의 쐐기부재(68)를 상방을 향해 끌어올린 상태에서, 끼움결합부(59)를 연결 받이부(12)에 끼움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쐐기부재(68)를 연결 받이부(12) 및 제2 관통삽입구멍(65)에 삽입한다.
[0074] 이어서, 제1 연결부재(30A)에 연결되어 있는 경사재(51A)를, 제1 연결부재(30B)를 연결한 연결 받이부(12)의 2개 아래에 위치하는 연결 받이부(12)를 향해 회동시킨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58A)의 쐐기부재(68)를 상방을 향해 끌어올린 상태에서, 끼움결합부(59)를 연결 받이부(12)에 끼움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쐐기부재(68)를 연결 받이부(12) 및 제2 관통삽입구멍(65)에 삽입한다. 이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행 난간(20)을 한 쌍의 지지기둥(10, 10) 사이에 가설할 수가 있다.
[0075] 이와 같이 하여 조립 부착한 선행 난간(20)에 있어서, 제1 연결부재(30A)에서는 도 1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부재(43)가 연결 받이부(12) 내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진다. 또, 가설 조작에 의해 회동된 경사재(51A)의 단부는, 연결 받이부(12)의 하부에 진입한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재(30B)에서는, 끼움부재(43)가 연결 받이부(12) 내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진다. 또, 경사재(51B)의 가설 조작에 의해 회동된 경사재(51B)의 단부인 걸림고정부(53)가 연결 받이부(12)의 하부에 진입한다.
[0076] 이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 선행 난간(20)은, 제1 연결부재(30A, 30B)를 상방을 향해 이동시키는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경사재(51A, 51B)의 걸림고정부(53)가 연결 받이부(12)의 하단(下端)에 맞닿는다. 따라서, 선행 난간(20)은 연결 받이부(12)로부터 제1 연결부재(30A, 30B)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0077] 또, 제2 연결부재(58A, 58B)에서는, 도 13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기둥(10)의 연결 받이부(12) 내에 삽입된 쐐기부재(68)의 가장자리는, 쐐기 효과에 의해 연결 받이부(12)의 경사면(12a)에 밀어붙여진다. 이 때문에, 연결 받이부(12)와 쐐기부재(68)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쐐기부재(68)는 해머에 의한 타격과 쐐기효과에 의해, 하단에 상방을 향하는 외력(外力)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이탈하는 일이 없다.
[0078] 또한, 이와 같이 조립 부착한 선행 난간(20)을 해체할 때에는, 가설 작업과는 역순(逆順)으로 해체 작업을 행한다. 우선, 제2 연결부재(58A)의 쐐기부재(68)를 해머 등에 의해 상방을 향해 이동시켜 쐐기부재(68)와 연결 받이부(12) 간의 걸림결합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제2 연결부재(58A)를 연결 받이부(12)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제2 연결부재(58A)가 설치되어 있는 경사재(51A)를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킨다. 이로써, 경사재(51A)의 걸림고정부(53)가 연결 받이부(12)의 하부로부터 반발 이격(離反)하여, 제1 연결부재(30A)를 이탈 가능한 상태로 할 수가 있다.
[0079] 이어서, 제2 연결부재(58B)의 쐐기부재(68)를 해머 등으로 상방을 향해 이동시켜 쐐기부재(68)와 연결 받이부(12) 간의 걸림결합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제2 연결부재(58B)를 연결 받이부(12)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제2 연결부재(58B)가 설치되어 있는 경사재(51B)를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킨다. 이로써, 경사재(51B)의 걸림고정부(53)가 연결 받이부(12)의 하부로부터 반발 이격하여, 제1 연결부재(30B)를 이탈 가능한 상태로 할 수가 있다.
[0080] 이 상태에서, 경사재(51B)를 상방을 향해 밀어 올림으로써, 제1 연결부재(30B)를 연결 받이부(12)로부터 이탈시킨다. 그 후, 수평부재(21)와 경사재(51B)가 서로 겹치도록 제1 연결부재(30B)에 대하여 경사재(51B)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수평부재(21)를 제1 연결부재(30A)에 대하여 회동시킨다. 이로써, 경사재(51A, 51B) 및 수평부재(21)를 겹친 상태에서 전체를 밀어올림으로써 제1 연결부재(30A)를 연결 받이부(12)로부터 이탈시킨다.
[0081] 본 발명의 가설 비계용 선행 난간(20)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0082]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부재(21), 경사재(51A, 51B)를 단면이 원 형상인 파이프로 구성하였으나, 사각 형상이어도 되며, 그 단면 형상은 희망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물론, 선행 난간(20)의 각 부재는, 중공(中空)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중실(中實)의 봉재(棒材)를 사용해도 된다.
10 : 지지기둥
12 : 연결 받이부
21 : 수평부재
30A, 30B : 제1 연결부재
31 : 연결부재 본체
32a : 측판부
32b : 측판부
33 : 연결판부
34 : 수평부재 부착부
34a, 34b : 수평판재
34c : 유지용 돌출부
35a : 수평부재 부착구멍
35b : 수평부재 부착구멍
37 : 경사재 부착부
37a : 경사재 부착용 돌출부
37b : 경사재 부착용 돌출부
37d : 회전방지 돌기부
38 : 경사재 부착구멍
39 : 끼움부재 설치부
51A, 51B : 경사재(가새)
100 : 가설 비계

Claims (4)

  1.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연결 받이부를 가지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기둥의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와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재가, 상기 연결 받이부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지는 끼움부재를 구비한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선행(先行) 난간으로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끼움부재의 상방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端部)를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부재 부착부와, 
    상기 수평부재 부착부의 하방 위치에 상기 끼움부재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사재 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재 부착부에는, 상기 수평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끼움부재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재 부착부에는, 상기 경사재와 접촉하며, 상기 경사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를 소정 각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돌기부(突部)가 설치되는, 
    선행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선행 난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의 측판부와, 이들 측판부의 일단(一端)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지 돌기부는, 상기 경사재가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유지용 돌출부에 접촉한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직교한 상태를 넘어 상기 경사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행 난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 부착부는, 상기 측판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판재를 가지며, 상기 수평판재의 하부에, 상기 유지용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선행 난간.
KR1020210090271A 2020-07-10 2021-07-09 선행 난간 KR20220007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19117 2020-07-10
JP2020119117A JP2022015934A (ja) 2020-07-10 2020-07-10 先行手摺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553A true KR20220007553A (ko) 2022-01-18

Family

ID=8005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271A KR20220007553A (ko) 2020-07-10 2021-07-09 선행 난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2015934A (ko)
KR (1) KR202200075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6176B1 (ja) * 2023-03-06 2023-06-22 東阪工業株式会社 先行手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4321A (ja) 2013-01-11 2013-04-11 Sankyo Co Ltd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4321A (ja) 2013-01-11 2013-04-11 Sankyo Co Ltd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6176B1 (ja) * 2023-03-06 2023-06-22 東阪工業株式会社 先行手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15934A (ja)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JP5503032B2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JP5384092B2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KR20220007553A (ko) 선행 난간
JP5789606B2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JP6831714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JP2021032043A (ja) プレハブ式階段
JP2019031837A (ja) 仮設足場用階段手摺
JPH0972089A (ja) 支保工システム
KR2012012198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0406619B1 (ko) 슬라이드갱폼
KR100522241B1 (ko) 건축물 발코니 안전 난간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JPH0540193Y2 (ko)
KR100492718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0556624B1 (ko) 동바리 조립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동바리 시스템
JP4100185B2 (ja) 階段の支承体
JP2807774B2 (ja) 仮設用安全手摺り
CN217783002U (zh) 装配式预制混凝土楼梯支撑装置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020392B1 (ko) 비탈면 점검로
CN214658652U (zh) 一种悬挑脚手架
JP7117190B2 (ja) ナット取付構造及び建物
JP6968327B1 (ja) 単管足場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KR102217613B1 (ko) 데크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