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263A -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263A
KR20220007263A KR1020200085258A KR20200085258A KR20220007263A KR 20220007263 A KR20220007263 A KR 20220007263A KR 1020200085258 A KR1020200085258 A KR 1020200085258A KR 20200085258 A KR20200085258 A KR 20200085258A KR 20220007263 A KR20220007263 A KR 2022000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 point
point sensor
evaluation
characteristic curve
relativ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439B1 (ko
Inventor
이종진
이도현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5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4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5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01N25/6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by investigating dew-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습도가 80% 이하인 저습 환경에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제2 단계, 피팅된 상기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 값이고, 상기 특성 곡선은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EVALUATION AND CALIBRATION METHOD FOR DEW SENSOR}
본 발명은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의 피팅을 이용한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습도 센서(humidity sensor)는 공기 중의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에 비례하는 출력을 나타내는 센서이다. 상대 습도란 일정 부피의 공기 중에 실제로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량과 포함할 수 있는 최대한의 수증기량을 의미하는 포화 수증기량의 비율로, 포화 수증기량은 온도에 의존한다.
반면, 이슬점 센서(dew sensor)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로 맺히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슬점 센서는 공기 중의 절대 수증기량 또는 상대습도와 무관하게 물체의 표면에 실제로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물방울이 맺히는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으므로, 현재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했다는 정보만을 아는 것이 유용할 때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을 통해 이슬점 센서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은 상대 습도가 80% 이하인 저습 환경에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제2 단계, 피팅된 상기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 값이고, 상기 특성 곡선은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2개 또는 3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이전에 상기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변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변형하는 것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상기 이슬점 센서는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 또는 분산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센서는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전기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센서는 교류 인가 시 동일한 상대 습도에서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센서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은 상대 습도가 80% 이하인 저습 환경에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제2 단계, 피팅된 상기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 값이고, 상기 제2 단계는 하기 [수학식]의 함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2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2개 또는 3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2개 측정하는 것, 상기 이슬점 센서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dx 값의 평균값 및 x0 값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것, 및 상기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y1 값 및 y2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3개 측정하는 것, 상기 이슬점 센서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dx 값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것, 및 상기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y1 값, y2 값 및 x0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의 y1, y2, x0, dx 값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이슬점 센서의 정량적 평가와 교정 여부 및 정도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이전에 상기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변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센서는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은 흡습성 팽윤제 및 전기전도 물질의 복합체들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 또는 분산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센서는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전기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센서는 교류 인가 시 동일한 상대 습도에서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센서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은 저습 환경에서의 데이터 측정을 통해 전체 습도 범위에서의 이슬점 센서의 특성을 예측하고, 이슬점 센서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슬점 센서의 평가에 따라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고, 교정을 통해 이슬점 센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의 대상이 되는 이슬점 센서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에 따라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은 저습 환경에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단계(S10), 전체 습도 범위에서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제2 단계(S20), 피팅된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제3 단계(S30), 및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4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가 및 교정 방법의 대상이 되는 이슬점 센서는 감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감습 물질은 습도에 따라 팽윤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습 물질은 상대 습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팽윤될 수 있다.
감습 물질은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은, 예를 들어, 흡습성 팽윤제 및 전기전도 물질의 복합체들일 수 있다. 흡습성 팽윤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일 수 있다. 전기전도 물질은,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등의 비 이온성 전도성 물질일 수 있다. 감습 물질은 흡습성 팽윤제의 팽윤 정도를 조절하는 물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습 물질의 팽윤 정도가 달라지면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고,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에 따라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 사이의 거리는 감습 물질의 전기전도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 습도가 높아서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가 낮아지고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감습 물질의 전기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와 전기전도도 사이의 관계는 침투 이론(percolation theory)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단계(S10)에서, 저습 환경은 약 80% 이하의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 RH)를 갖는 환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습 환경은 약 70% 이하의 상대 습도(RH)를 갖는 환경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저습 환경은 80% 이하의 상대 습도(RH)를 갖는 환경으로, 고습 환경은 80% 초과의 상대 습도(RH)를 갖는 환경으로 서술한다.
제1 단계(S1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는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전도도 값일 수 있다. 제1 단계(S1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2개 또는 3개일 수 있다. 즉, 제1 단계(S1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는 서로 다른 2개 또는 3개의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전도도 값들일 수 있다.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 제2 단계(S20)에서 피팅된 특성 곡선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변수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S10)에서 2개의 데이터를 측정하는 경우 피팅된 특성 곡선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변수들은 2개일 수 있다. 피팅된 특성 곡선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 단계(S20)는 제1 단계(S10)에서 측정된 저습 환경의 데이터를 통해 전체 습도 범위의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것일 수 있다. 특성 곡선의 피팅은 볼츠만-시그모이드(Boltzman-Sigmoid) 곡선을 이용할 수 있다.
볼츠만-시그모이드 곡선은 일반적으로 도체-부도체 상전이 현상의 특성을 기술하며, 상전이의 변인으로 도체-부도체의 비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에서는 상대 습도(RH)를 변인으로 하는 볼츠만-시그모이드 곡선을 이용할 수 있다.
특성 곡선은, 예를 들어,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전도도(conductivity, σAC)를 나타내는 곡선일 수 있다.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은 상대 습도(RH) 및 전기전도도(σAC)를 각각 제1 및 제2 함수로 변형한 것일 수 있다. 제1 함수 및 제2 함수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상대 습도(RH)는 백분율(%)로 표현되고, 전기전도도(σAC)의 단위는 S/m(Siemens per meter)이다. 하기 [수학식 1]에서 log함수 내의 분모와 분자는 서로 바뀔 수 있다.
Figure pat00003
제3 단계(S30)는 제2 단계(S20)에서 피팅된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정량적으로 평가되는 이슬점 센서의 특성은, 예를 들어, 이슬점 센서가 포함하는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 및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분산 특성 등일 수 있다.
제4 단계(S40)는 제3 단계(S30)에서 평가한 이슬점 센서의 특성을 통해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교정을 통해 이슬점 센서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수증기는 약 90% 이상의 상대 습도(RH)를 갖는 환경에서 물방울로 응결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환경에서 이슬점 센서의 특성이 급격히 변화하므로 종래의 방법으로는 특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교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에서는 고습 환경에서의 이슬점 센서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의 대상이 되는 이슬점 센서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2는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 저항의 그래프이고, 도 3은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전도도(σAC)의 그래프이다. 상대 습도(RH)는 백분율(%)로 표현되고, 전기 저항의 단위는 Ω(ohm)이고, 전기전도도(σAC)의 단위는 S/m(Siemens per meter)이다. 도 2의 전기 저항은 직류(DC) 저항이고, 도 3의 전기전도도(σAC)는 교류(AC) 전기전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슬점 센서는 상대 습도(RH)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전기전도도(σAC)가 감소할 수 있다.
상대 습도(RH)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증가하면 물방울이 응결되기 시작하고, 이슬점 센서의 흡습성 팽윤제가 물방울을 흡수하여 팽윤될 수 있다. 팽윤된 흡습성 팽윤제는 전기전도 물질들 사이의 접촉을 줄이고, 이에 따라 이슬점 센서의 전기 저항이 커질 수 있다. 전기전도도(σAC)는 전기 저항에 반비례하므로, 전기 저항이 커질수록 전기전도도(σAC)는 감소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슬점 센서는 교류 인가 시에 동일한 상대 습도(RH)에서 주파수(frequency)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전도도(σAC)를 나타낼 수 있다.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σAC)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가 20Hz인 경우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보면, 상대 습도(RH)가 증가할수록 또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기준 전기전도도(주파수가 20Hz인 경우의 전기전도도)와의 차이가 커질 수 있다. 이는 고습 환경에서 감습 물질 내부의 두 개의 도체(예를 들어, 고분자 전도성 입자 또는 이들의 집합) 간 거리(d)가 증가하면서 커패시터 구조가 형성되는 점에 기인할 수 있다. 커패시터 구조에서, 상대 습도(RH)가 높을수록 커패시턴스(capacitance, C∝A/d)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교류 전기 저항(Xc=1/jωC)은 증가하고, 교류 전기전도도(σAC)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체 간 거리(d)가 일정해 커패시턴스(C)가 일정한 경우, 주파수(ω)의 증가는 교류 전기 저항(Xc=1/jωC)의 감소 및 교류 전기전도도(σAC)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에 따라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도 4는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변형하지 않은 채로 특성 곡선을 피팅한 것을 나타낸다.
제1 라인(410)은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전도도(σAC)의 측정값들을 연결한 선이고, 제2 라인(420)은 볼츠만-시그모이드 곡선을 이용하여 특성 곡선을 피팅한 선이다. 볼츠만-시그모이드 곡선을 이용한 특성 곡선의 피팅은 하기 [수학식 2]의 함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 [수학식 2]의 함수는 x=x0에 대해 대칭적이며, x=x0에서의 기울기가 dx이고, x→∞ 극한에서 y2값을 갖고, x→-∞ 극한에서 y1값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4
도 4의 제1 라인(410)은 고습 환경에서 포화(saturation)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제2 라인(420)은 이와 달리 계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볼츠만-시그모이드 곡선이 x=x0에 대해 대칭적인 반면, 이슬점 센서의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전도도(σAC)의 그래프는 약 90% 내지 100%인 구간과 나머지 구간이 대칭적이지 않은 점에 기인한다. 고습 환경에서의 데이터가 정밀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피팅의 결과로 계산된 y1, y2, x0, dx 값들은 하기 [표 1]과 같다. 이때 y2 값이 음수인 점은 물리적인 결과가 아니며, 이는 y 변수인 전기전도도(σAC)가 볼츠만-시그모이드 곡선 상에서 대칭적인 것으로 간주됨에 따른 결과이다.
R2=0.99823 value Standard Error
y1 5.84888 0.12774
y2 -0.2432 0.08337
x0 73.42712 0.43354
dx 6.54248 0.40442
도 5는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변형한 후에 특성 곡선을 피팅한 것을 나타낸다. 축 변형을 통해 변수간 선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라인(510)은 상대 습도(RH)에 대한 전기전도도(σAC)의 측정값들을 연결한 선이고, 제2 라인(520)은 볼츠만-시그모이드 곡선을 이용하여 특성 곡선을 피팅한 선이다.
도 5의 제1 라인(510)과 제2 라인(52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피팅의 결과로 계산된 y1, y2, x0, dx 값들은 하기 [표 2]와 같다. 이때 y2 값이 음수이지만, 상기 [표 1]의 경우와 달리, y2 값은 log를 취한 값이므로, 아주 작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R2=0.99474 value Standard Error
y1 0.85685 0.08647
y2 -2.58235 0.23697
x0 0.96699 0.03769
dx 0.26241 0.03203
dx 값은 이슬점 센서의 임계값(criticality)을 나타낼 수 있다. 이슬점 센서들은 재료 및 구조가 동일한 경우 각각 동일한 dx 값을 가질 수 있다.
x0 값은 상전이가 일어나는 변곡점(inflection point)을 나타낼 수 있다. 이슬점 센서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x0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0)에서 2개의 데이터를 측정하는 경우, 제2 단계(S20)에서 피팅된 특성 곡선으로부터 y1 값 및 y2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S10)에서 3개의 데이터를 측정하는 경우, 제2 단계(S20)에서 피팅된 특성 곡선으로부터 y1 값, y2 값 및 x0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되며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이슬점 센서들로부터 각각 dx 값의 평균값 및 x0 값의 평균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평균값들과 제1 단계(S10)에서 측정된 2개의 데이터를 통해 y1 값 및 y2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슬점 센서들은 y1, y2, x0, dx 값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y1, y2, x0, dx 값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이슬점 센서의 정량적 평가와 교정 여부 및 정도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은 저습 환경의 데이터를 통해 고습 환경의 특성 곡선을 피팅하고, 피팅된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의 정량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어서, 이슬점 센서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상대 습도가 80% 이하인 저습 환경에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제2 단계;
    피팅된 상기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 값이고,
    상기 특성 곡선은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2개 또는 3개 측정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이전에 상기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변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변형하는 것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수학식]
    Figure pat0000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을 포함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 또는 분산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전기전도도가 감소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교류 인가 시 동일한 상대 습도에서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0. 상대 습도가 80% 이하인 저습 환경에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성 곡선을 피팅하는 제2 단계;
    피팅된 상기 특성 곡선을 통해 이슬점 센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슬점 센서의 교정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대 습도에 대한 전기전도도 값이고,
    상기 제2 단계는 하기 [수학식]의 함수에 따라 수행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수학식]
    Figure pat00006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2개 또는 3개 측정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2개 측정하는 것;
    상기 이슬점 센서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dx 값의 평균값 및 x0 값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것; 및
    상기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y1 값 및 y2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3개 측정하는 것;
    상기 이슬점 센서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dx 값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것; 및
    상기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수학식]의 y1 값, y2 값 및 x0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의 y1, y2, x0, dx 값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이슬점 센서의 정량적 평가와 교정 여부 및 정도 판단이 수행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이전에 상기 특성 곡선의 x축 및 y축을 변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은 흡습성 팽윤제 및 전기전도 물질의 복합체들인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고분자 전도성 입자들의 농도 또는 분산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전기전도도가 감소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교류 인가 시 동일한 상대 습도에서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센서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는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KR1020200085258A 2020-07-10 2020-07-10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KR10235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58A KR102355439B1 (ko) 2020-07-10 2020-07-10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58A KR102355439B1 (ko) 2020-07-10 2020-07-10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63A true KR20220007263A (ko) 2022-01-18
KR102355439B1 KR102355439B1 (ko) 2022-01-26

Family

ID=8005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258A KR102355439B1 (ko) 2020-07-10 2020-07-10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43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227A (ko) * 1989-08-23 1991-03-28 이시노 미에코 종형탄구유기기(從型彈球遊技機)의 입상 검출장치(人賞檢出裝置)
JPH0715444B2 (ja) * 1987-12-01 1995-02-22 エンドレス・ウント・ハウザー・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 水蒸気の露点測定方法及び装置
JP2823936B2 (ja) * 1990-05-11 1998-11-11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露点検出装置
KR100255787B1 (ko) * 1995-06-21 2000-05-01 모리시타 요이찌 결로센서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
JP2005062199A (ja) * 2004-10-01 2005-03-10 Espec Corp 湿度センサの校正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湿度センサ
CN1844906A (zh) * 2005-04-07 2006-10-11 福华电子股份有限公司 结露感测器及其制造方法
JP2012122861A (ja) * 2010-12-08 2012-06-28 Ricoh Co Ltd 露点計測装置および気体特性測定装置
JP2013113778A (ja) * 2011-11-30 2013-06-10 Azbil Corp 露点センサ及び露点の測定方法
KR101647228B1 (ko) * 2014-12-24 2016-08-10 주식회사 포스코 습도 측정 장치 및 이의 측정 정도 향상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444B2 (ja) * 1987-12-01 1995-02-22 エンドレス・ウント・ハウザー・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 水蒸気の露点測定方法及び装置
KR910004227A (ko) * 1989-08-23 1991-03-28 이시노 미에코 종형탄구유기기(從型彈球遊技機)의 입상 검출장치(人賞檢出裝置)
JP2823936B2 (ja) * 1990-05-11 1998-11-11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露点検出装置
KR100255787B1 (ko) * 1995-06-21 2000-05-01 모리시타 요이찌 결로센서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
JP2005062199A (ja) * 2004-10-01 2005-03-10 Espec Corp 湿度センサの校正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湿度センサ
CN1844906A (zh) * 2005-04-07 2006-10-11 福华电子股份有限公司 结露感测器及其制造方法
JP2012122861A (ja) * 2010-12-08 2012-06-28 Ricoh Co Ltd 露点計測装置および気体特性測定装置
JP2013113778A (ja) * 2011-11-30 2013-06-10 Azbil Corp 露点センサ及び露点の測定方法
KR101647228B1 (ko) * 2014-12-24 2016-08-10 주식회사 포스코 습도 측정 장치 및 이의 측정 정도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439B1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34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gases, particularly breath alcohol
EP2405263B1 (en) Analysis of a dielectric medium
US9500735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 conductivity measuring cell
CN104390932A (zh) 基于红外差谱技术的木材含水率检测方法
CN112229878A (zh) 一种三电极结构的湿度传感器芯片
US9304098B2 (en) Capacitive humidity sensor with hysteresis compensation
KR102355439B1 (ko) 이슬점 센서의 평가 및 교정 방법
Assunção da Silva et al. Humidity sensor based on PEO/PEDOT: PSS blends for breath monitoring
US5872454A (en) Calibration procedure that improves accuracy of electrolytic conductivity measurement systems
CN110709677B (zh) 过程监视方法
US20070139155A1 (en) Humidity sens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11637983A (zh) 一种电阻型温度传感器的检测系统及方法
CN107014550A (zh) 相对压力传感器
JP6073062B2 (ja) ガス検知装置
CN111307656A (zh) 一种卷烟吸阻湿度和大气压补偿测定方法
CN108226082B (zh) 一种水分仪阻尼响应时间的校准方法
CN112540112B (zh) 传感器校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5495232B2 (ja) 高分子材料の劣化診断方法及び表面抵抗測定方法
CN113614522B (zh) 传感器模块
CN112748186B (zh) 压敏电阻器含水量检测方法、装置、控制设备和介质
CN114295645B (zh) 一种工作频率可调的谐振式微波传感器
CN113655093B (zh) 气体浓度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213090677U (zh) 一种印刷线路板表面镀层的测量装置
JP6309062B2 (ja) ガス検知装置
CN116929990A (zh) 一种铝粉失水处理的质检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