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088A - 배송 차량에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조립체를 갖는 시스템 및 공정 - Google Patents

배송 차량에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조립체를 갖는 시스템 및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088A
KR20220007088A KR1020217039417A KR20217039417A KR20220007088A KR 20220007088 A KR20220007088 A KR 20220007088A KR 1020217039417 A KR1020217039417 A KR 1020217039417A KR 20217039417 A KR20217039417 A KR 20217039417A KR 20220007088 A KR20220007088 A KR 2022000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cargo
platform
conveyor
li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지. 에이디스모어
Original Assignee
폴 지. 에이디스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지. 에이디스모어 filed Critical 폴 지. 에이디스모어
Publication of KR2022000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delivery of small articles, e.g. milk, froze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B65G69/24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having platform level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배송 차량의 자율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저장 격실로부터 수용되거나 개구를 통해 저장 격실로 전달되는 관련 화물을 저장하는 격실 부분들의 적어도 2개의 높이 x 2개의 폭 어레이를 구비하는 저장 격실을 포함한다. 컨베이어는 각 격실 부분에 위치되며 컨베이어는 격실 부분으로부터 또는 격실 부분으로 관련 화물의 전달 또는 수용을 돕도록 구성된다. 리프트 조립체는 저장 격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격실 부분으로부터 관련 화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리프트 조립체는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부터 수용하거나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 전달하는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플랫폼은 저장 격실에 대해 수직으로 위아래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송 차량에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조립체를 갖는 시스템 및 공정
본 출원은 2019년 5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62/842,899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관련 배송 차량의 일부로서 또는 종래의 관련 배송 차량에 대한 개장으로서 통합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자동화된 리프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시스템은 관련 배송 차량에서 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공정을 한정하지만, 시스템 및 공정은 화물을 배송 차량으로 운송 및/또는 적재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배송 차량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패널 밴, 화물 트럭 및 트랙터 트레일러의 트레일러는 모두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화물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래 배송 차량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거나 배송 차량을 자동화/자율 리프트 조립체로 변환하기 위한 개장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자체는 자율적일 수도 있고 운전자가 필요한 것일 수도 있다.
상품(본원에서 일반적으로 화물 또는 화물 품목으로 지칭되지만 다양한 상품, 컨테이너, 패키지, 박스, 등과 관련될 수 있다)의 배송과 연계하여 배송 차량에 대한 필요성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차량 중 더 많은 부분이 자율 또는 반자율(화물 적재, 하역 및 운송에 필요한 인력 또는 상호 작용 감소)이 될 것이며 제 1 장소(예: 공장, 창고, 우체국 등)에서 화물을 픽업하고 화물을 제 2 장소(예: 우체국, 배송 허브 또는 중간 창고, 비즈니스, 거주지 등)로 운송하는 무인 배송 차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배송 차량은 다양한 화물 즉, 화물이 모두 동일한 품목이 아닐 수도 있고 동일한 유형의 품목, 크기, 중량 등이 아닐 수도 있는 화물을 운송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화물 격실의 배송 차량은 여러 격실 부분을 갖는 차량일 것이다.
화물 격실은 바람직하게는 격실에 대한 접근을 선택적으로 허용하여 추가 화물이 격실 부분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되거나 격실 부분들에 미리 배열된 화물의 제거를 허용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화물이 지정된 경로를 따라 격실에 추가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다른 격실 부분에서 화물의 방향을 변경해야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한 격실 부분에 원래 저장되어 있던 화물이 배송 경로를 따라 재배열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배송 경로에서 일부 화물은 접근성이 적을 수 있고 경로를 따라 픽업되거나 재배열된 화물은 원하는 장소에서 배송을 완료하기 위해 재배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주목되는 결점을 극복하고, 또 다른 특징 및 이점을 제공하는 개선된 시스템, 공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관련된 배송 차량을 위한 자율적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화물이 저장 격실로부터 수용되거나 개구를 통해 저장 격실로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실 부분에 관련 화물을 저장하는 관련 차량의 저장 격실을 포함한다. 컨베이어는 각 격실 부분에 위치하고 격실 부분으로부터 또는 격실 부분으로 관련 화물의 전달 또는 수용을 돕도록 구성된다. 리프트 조립체는 저장 격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격실 부분으로부터 관련 화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리프트 조립체는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부터 수용하거나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 전달하는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저장 격실은 격실 부분의 적어도 2개의 높이 x 2개의 폭(2 x 2) 어레이와 같은 다중 격실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리프트 조립체는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들 중 하나로부터 수용하거나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들 중 하나로 전달하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장착 조립체는 리프트 조립체를 저장 격실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장착 조립체는 저장 격실의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 제1 및 제2 수직 안내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수평 안내 부재는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제공되고, 각각의 수평 안내 부재는 수직 안내 부재에 상호 연결되고 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 플랫폼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수평 안내 부재에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수직 안내 부재 사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여 플랫폼이 어레이의 선택된 격실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플랫폼은 제2 수평 안내 부재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제1 에지를 갖고, 그에 의해 플랫폼은 제1, 수직, 또는 저장 위치와 제2, 수평 또는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링키지 조립체는 제1 및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제1 수평 안내 부재에 고정된 제1 링크의 제1 단부 및 플랫폼의 제2 에지에 고정된 제2 링크의 제1 단부, 및 서로 힌지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링크의 제2 단부들을 포함한다.
플랫폼이 격실 부분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랫폼이 제1 및 제2 수평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랫폼이 격실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랫폼이 제1 및 제2 수직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조립체는 플랫폼이 격실 부분 아래의 수평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 결정될 수 있다.
일 배열의 플랫폼은 플랫폼과 작동식으로 결합된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배열에서,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는 갭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 및 갭을 통해 연장되고 플랫폼 상에 수용된 관련 화물과 결합하고 인접한 제2 관련 화물 구성요소에 대한 제1 관련 화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푸셔 바아를 포함한다.
푸셔 바아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과의 이동을 위해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푸셔 바아는 가중되고 플랫폼에 장착되며, 그에 의해 푸셔 바아가 갭을 통해 연장되고 푸셔 바아가 리프트 플랫폼을 제1 에지로부터 제2 에지로 횡단할 때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의 표면 위로 연장되고, 푸셔 바아가 리프트 플랫폼을 제 2 에지로부터 제 1 에지로 횡단할 때 표면 아래에 위치한다.
격실 부분 컨베이어로부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로 관련 화물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배열의 시스템은 격실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1 모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2 모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리프트 조립체, 장착 조립체, 센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와 통신하여 플랫폼을 전개 및 저장하고, 플랫폼을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격실 부분 아래로 이동하고, 제1 관련 화물 구성요소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1 관련 화물을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로 전송하기 위해 격실 부분의 컨베이어 및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의 상대 속도를 제어한다.
관련 배송 차량으로 또는 관련 배송 차량으로부터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이 또한 제공된다.
배송 차량은 내부에 화물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격실 부분을 갖는 저장 격실 시스템, 격실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1 모터, 리프트 조립체가 장착 조립체를 통해 저장 격실 시스템에 고정되는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갖는 플랫폼을 구비한 상기 리프트 조립체, 센서,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2 모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리프트 조립체, 장착 조립체, 센서, 격실 부분과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1 모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2 모터, 플랫폼을 전개 및 저장하고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제2 모터와 통신하여,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플랫폼을 이동시키고, 상기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부터 플랫폼으로 및/또는 지면으로 전송한다.
전송 단계는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부터 격실 부분 아래의 위치, 예컨대 지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정은 전송 단계 동안 관련 화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격실 부분 컨베이어 및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작동시켜서 관련된 제1 및 제2 화물 품목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계는 수직으로 오프셋된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플랫폼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단계, 및/또는 수평으로 오프셋된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플랫폼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정은 저장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랫폼 이동 단계는 저장 위치를 한정하는 수직 방향과 전개 위치를 한정하는 수평 방향 사이에서 플랫폼을 피봇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저장 격실 시스템은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공정은 저장 격실에 선택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적인 저장 격실 시스템은 컨베이어를 사용하기 보다는 화물이 화물 격실에서 또는 화물 격실 밖으로 굴러 들어가도록 허용하는 롤러를 갖는 한 쌍의 지지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펜스는 격실 또는 격실 부분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화물을 밀어내기 위해 가요성 구동 부재(예: 체인, 케이블 또는 벨트)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펜스를 구동하는 제1 및 제2 모터는 모니터링될 수 있고 유리하게는 제1 펜스와 제2 펜스 사이에 수용된 인접 배치된 화물 품목에 길이방향 압축력을 압착하거나 적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후방(예: 제 2) 펜스는 또한 수직의 화물 가압 위치에서 수평의 브리징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의 브리징 위치에서 펜스는 저장 격실 시스템의 롤러로부터 플랫폼으로 화물을 연결하거나 전달하기 위한 연장부 역할을 한다.
브릿지로서 후방 펜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리프트 조립체와 저장 격실 시스템 사이의 갭을 허용하여 격실에 대한 선택적인 접근을 허용하는 이동식 도어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이점은 수직 상향 및 하향, 그리고 저장 격실에 대해 측방향으로 나란히 이동하는 플랫폼을 갖는 리프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또 다른 이점은 격실 부분과 관련된 통합 컨베이어 및 화물을 배송 차량으로/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 플랫폼의 사용에 있다.
또 다른 이점은 배송 차량으로부터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고, 차량의 개별 격실 부분에 화물을 재배치하고, 필요할 때 지면을 따라 다른 위치에 화물을 배치하는 자율 작동을 제공하는 제어기와 관련된다.
소프트웨어는 압착력 또는 압축력이 펜스들 사이의 화물 품목에 부과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펜스를 각각 구동하는 제1 및 제2 모터와 관련된 전류 드로우(current draw)를 모니터링한다.
화물에 대한 압착, 압축력은 화물을 격실 내에 이상적으로 위치시키고/시키거나 차량 작동 동안 차량이 가속 및 감속함에 따라 화물을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이점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23은 관련된 차륜형 배송 차량으로부터 화물(팔레트가 있거나 없는 제품, 박스, 컨테이너 등)을 하역(및 적재 또는 운송을 위한 임시 저장)하는 것을 도시하는 일련의 예시이다.
도 24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화물을 수용하고 저장하는 일체형 차륜을 구비한 저장 컨테이너 또는 포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예컨대 다양한 도면에 도시된 저장 컨테이너/포드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시설의 표현이다.
도 26은 화물 삽입, 저장 및 차량 화물 격실 내에서 또는 화물 격실로부터의 제거를 처리하기 위한 대안적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각각 도 26에 도시된 조립체의 우측 및 좌측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본원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이한 실시예의 특정 세부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 모든 변경 및/또는 등가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가능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 사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포함하다" 또는 "~을 포함할 수 있다"라는 용어는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요소 등의 존재를 나타내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요소 및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하다", "~을 포함하는", "~을 갖는" 또는 "가지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특징, 숫자, 단계, 동작,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제공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또는"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는 이에 열거된 단어들의 임의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컨대, "A 또는 B"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를 포함하고, B를 포함하거나, A와 B를 모두 포함함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요소를 변형할 수 있으나, 이러한 용어가 해당 요소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이러한 용어는 해당 요소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러한 용어는 추가 요소(예: 제 2, 제 3 등)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용어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계 장치 및 제2 기계 장치는 모두 기계 장치를 나타내며, 서로 다른 종류의 기계 장치 또는 동일한 종류의 기계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요소는 제2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요소도 제1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상기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요소와 또 다른 요소 사이에 개재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요소와 다른 요소 사이에 개재 요소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규정되지 않는다면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규정된 용어는 해당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 한 모순되거나 과장된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화물 밴, 박스 트럭, 트레일러 등과 같은 차륜형 배송 차량(100)의 후방 단부 또는 후단부 또는 내부 화물 격실(104)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도어(102)를 갖는 차량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저장 컨테이너 포드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어(102)는 일반적인 c형 트랙에 수용되는 롤러에 의해 반대 에지들을 따라 각각 지지되는 일련의 패널을 갖는 차고 유형 도어와 같은 오버헤드 도어이다. 이러한 오버헤드 도어의 구조 및 작동은 당업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고 이해되므로 도어의 특정 세부사항은 도시되지 않으므로 본 개시의 충분하고 완전한 이해를 위해 추가 설명이 불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도어(102)의 예시는 다른 유형의 도어의 사용을 배제하지 않고 대신 차량(100)의 화물 격실(104)에 대한 접근을 개폐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자동 리프트 게이트 또는 리프트 조립체(110)가 차량(100)의 후단부에 부착(예: 추가 또는 개조)되거나 원래 차량의 일부로 통합된다. 리프트 조립체(110)는 장착 조립체(112)를 차량(100)의 화물 격실(104)에 결합된다. 장착 조립체(112)는 화물 격실(104)의 후방에서 측방향 외측 에지를 따라 위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연장 트랙 또는 채널(114, 116)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14, 116)은 저장 격실(104)보다 더 큰 수직 범위로 연장될 수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 채널은 화물 격실(104)에 대한 접근 또는 개구의 하부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채널(114, 116)은 항상 화물 격실의 낮은 높이 아래로 연장되는 정적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지만, 채널은 화물 격실의 베이스에서 종료될 수 있으며 채널에 연장된 길이를 제공하는 연장/수축가능하거나 접철식 부분을 포함하므로, 채널들이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을 때 길이가 접혀지거나 또는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배열에서, 장착 조립체(112)는 제1 또는 상부 수평 부재(122) 및 수직으로 이격된 제2 또는 하부 수평 부재(124)를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120)은 제1 및 제2 수평 부재(122, 124)의 반대편 단부들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수직 부재(126, 128)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장착 조립체(112)의 부분, 특히 채널(114, 116) 및 프레임(120)은 화물 격실(104)에 대한 이동을 위해 리프트 조립체(110)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프트 조립체(110)는 프레임(120)에 결합된 플랫폼(140)을 포함하고, 플랫폼은 화물 격실(104)의 개방 단부에서 차량(100)의 일부로 제조되거나 차량에 장착된다. 특히, 프레임(120) 및 플랫폼(140)은 아래에서 더 설명할 방식으로 화물 격실(104)에 대해 이동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버전에서, 플랫폼(140)은 바람직하게 제1 에지를 따라 프레임(120), 특히 하부 수평 부재(124)에 피봇식으로 또는 힌지식으로 장착된다. 프레임(120)은 차례로 화물 격실(10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 프레임(120)은 수직 이동 범위가 적어도 일반적으로 도어(102)의 높이와 일치하는 치수인 경우 선택적 수직 이동을 위해 의도되어 전체 화물 격실(104)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120)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제 2 또는 더 낮은 수평 부재(128)와 이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 플랫폼(140)이 예컨대 차량(100)의 후단부 아래의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수직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랫폼(140)은 예컨대, 플랫폼이 저장, 수직 직립 위치(도 1, 도 16 및 도 17)와 작동, 수평 위치(도 2 내지 도 14)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프레임, 구체적으로 제2 수평 부재(124)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 암(142, 144)(도 2 내지 도 3)은 플랫폼(112)의 제2 에지와 제1 또는 상부 수평 번호(122)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암(142, 144)은 제1 링크 암 부분(142a(142b))이 제1 링크 암 부분과 제2 링크 암 부분 사이의 핀에 대한 선택적인 회전 또는 피봇 동작을 허용하는 핀 연결부(146)를 통해 제2 링크 암 부분(144a(14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바아 링키지이다. 각각의 제1 링크 암 부분(142a, 142b)은 프레임(120)의 제1 또는 상부 수평 부재(122)에 제1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제2 링크 암 부분(144a, 144b)은 각각 핀(146a, 146b)을 통해 각각의 제1 링크 암 부분(142a, 142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단부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제2 링크 암 부분(144a, 144b)의 제2 단부는 플랫폼(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특히 플랫폼(140)의 측면 프레임(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저장 위치(즉, 플랫폼(140)이 저장, 수직 직립 위치에 있을 때)에서, 제1 및 제2 링크 암 부분(142a, 144a, 142b, 144b)은 서로 중첩된다(도 1). 한편, 전개 위치, 즉 플랫폼(140)이 작동 수평 위치(도 3)에 있을 때, 제1 및 제2 링크 암 부분(142a, 144a)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2는 저장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의 링크 암 부분(142a, 144a)의 전이 위치를 도시한다. 모터(예: 전기, 유압, 공압 등)는 저장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플랫폼(14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한 배열에서 플랫폼(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직립 위치에 저장되지만, 당업자는 플랫폼의 대안적 저장 위치 및 배치가 본 개시의 범위 및 의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링크 암(142, 144)을 제거하고 프레임(120)의 상부 수평 부재(122)를 제거하면, 링크 암이 측방향으로 화물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능력이 제거되지만, 플랫폼(140)이 예컨대 저장 격실 아래의 수평 위치에 저장될 수 있게 허용한다. 그러한 대안적인 배열에서, 플랫폼(140)은 화물 격실 위 또는 아래의 수평 저장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물 격실(104)의 측면을 따라 또는 화물 격실 내에서도 플랫폼(140)의 저장을 수용하도록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대안 중 어느 것도 기존 차량에 대한 개장 옵션으로서 본 개시의 리프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능력, 뿐만 아니라 리프트 조립체(110)가 OEM 차량 구성에 통합될 수 있는 용이성으로 인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다른 모터는 화물 격실(104)에 대해 상이한 수직 위치에서 플랫폼(140)을 선택적으로 재배치하기 위해 채널(114, 116)에 대해 수직으로 위 및 아래로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도 2 내지 도 4에서 플랫폼의 3가지 다른 레벨 참조). 또한, 수직 방향으로의 프레임(120)의 이동 범위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격실(104) 아래에 도시된 하부 위치까지 연장되어 화물 품목이 플랫폼(140)으로부터 지면과 같은 관련 표면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모터는 플랫폼(140)을 프레임(120)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랫폼이 저장 격실(104)에 대해 나란하게 재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의 비교는 플랫폼(140)의 측방향 이동을 도시한다. 프레임(120)(및 결과적으로 플랫폼(140))의 수직 이동은 플랫폼(140)의 속도 및 효율적인 작동을 최대화하기 위해 플랫폼의 측방향 이동과 독립적이거나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 내지 도 15는 화물 격실(104)이 하나의 큰 격실일 수 있거나 개별 격실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예컨대, 화물 격실(104)의 물리적 분할 또는 분리가 없는 경우, 크거나 작은 화물 품목은 단일 화물 격실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화물 격실(104)은 (i) 물리적으로 분리된 격실 부분(즉, 물리적 장벽을 포함하는 격실 부분), (ii) 작은 부분들로의 격실 부분의 물리적 장벽 분리 영역들이 부족하지만 분리 격실 부분으로 작동하는 격실 부분, 또는 (iii) 격실 부분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영역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영역의 조합으로 분할될 수 있다. 격실 부분은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격실(104)은 3개의 분리 레벨(104A, 104B, 104C)을 갖는다. 제1 또는 상부 레벨(104A)은 화물 격실(104)의 측벽과 화물 격실의 상부 벽 또는 천장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격실 부분을 형성한다. 어떠한 물리적 장벽도 상부 레벨(104A)을 측방향으로 세분화하거나 분리하지 않지만, 상부 레벨은 상부 레벨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개별 화물 품목에 의해 입증되는 3개의 개별 격실 부분으로 "도시된다". 상부 레벨(104A)의 "플로어"는 동일한 크기의 컨베이어로 본원에 도시된 3개의 분리 컨베이어(160)에 의해 형성된다(컨베이어의 크기도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격실 부분의 각각의 컨베이어(160) 및 이동 가능한 플랫폼(140)과 관련된 컨베이어(들)(160)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그리고 가능한 한 다수의 중간 컨베이어 롤러 포함) 연속 루프로 연장되고 컨베이어 롤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벨트(164)로 둘러싸여 있는 적어도 제1 및 제2 컨베이어 롤러(162)(도 19 내지 도 20)를 포함하는 종래 구성이다. 컨베이어(160)는 통상적인 구조이지만, 벨트(164)는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롤러(162)를 도시하기 위해 도 19 내지 도 20의 컨베이어 부분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된다. 플랫폼(140) 상의 인접한 컨베이어(160)의 롤러(162)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벨트(164)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전형적으로, 컨베이어 롤러(162) 중 하나 이상은 벨트(164)가 회전하고 제1 최단 롤러 주위를 진행하는 이동하는 상부 벨트 표면(164A)을 형성하고, 이어서 벨트가 제 2 최단 롤러를 향해 진행할 때 이동하는 하부 벨트 표면(164B)을 형성하도록 동력이 공급되거나 전동된다. 따라서 화물 품목(C)은 컨베이어(160)의 상부 벨트 표면 부분(164A)에 탑재되고 상기 상부 벨트 표면 부분(164A)에 의해 이동하여 개별 화물 품목(들)을 화물 격실(104)의 도어/개구를 향해 전진시킨다. 마찬가지로, 인접한 컨베이어(160) 상의 화물 품목(C)은 화물 격실(104)의 도어/개구를 향해 유사하게 전진한다. 단일 화물 격실의 컨베이어(160) 또는 분리 격실 부분의 컨베이어는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컨베이어(160)의 구조 및 기능의 설명은 이러한 최종 용도 중 하나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설명되지 않는 한 플랫폼 또는 화물 격실/격실 부분에 있는 컨베이어에 적용된다.
하부 2개의 레벨(104B, 104C)은 격실 부분의 이러한 레벨 위와 아래 모두에 위치된 컨베이어(160)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2개의 레벨(104B, 104C)은 수직 분할기(170)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분할기(170)는 이들 2개의 레벨(104B, 104C) 각각에서 3개의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격실 부분을 한정한다. 다시, 인식되는 바와 같이, 격실 부분은 각각 동일한 크기(수평 및/또는 수직으로)일 필요는 없고 단지 예시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특히 배송되는 화물(C)의 유형에 따라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격실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격실 부분을 위한 컨베이어(160)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모터(미도시)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공통 모터로 구동되며, 여기서 모터(들)로부터의 동력의 적절한 분배는 개별적으로 및/또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를 작동시키도록 분배될 수 있다.
플랫폼(140)은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160) 또는 바람직하게는 플랫폼 컨베이어의 개별 벨트(164)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172)에 의해 분할되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푸셔 바아(180)(도 19)는 플랫폼 컨베이어(160)의 벨트(164)와 함께 회전하는 체인(182)과 같은 가요성 구동 부재를 따라 이격된 배열로 고정된다. 푸셔 바아(180)는 플랫폼 컨베이어(160)의 벨트(164)의 상부 표면(164A) 위로 연장되는 치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푸셔 바아는 각 컨베이어에 벨트의 복귀 경로에서 벨트의 하부 표면(164B) 위로 연장되지 않는 감소된 높이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거나 접혀진다(도 20). 푸셔 바아(180)가 상이한 방식으로 접힌/비작동 상태로 이동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는 플랫폼(140) 상의 2개의 컨베이어(160) 사이에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체인(182)에 푸셔 바아를 고정한다. 푸셔 바아(180)는 바람직하게는 푸셔 바아가 회전 경로(도 19)의 상단을 따라 이동할 때 중력이 푸셔 바아를 일어서게 하도록 일 단부 상에 가중되고[도 19 - 푸셔 바아는 플랫폼 컨베이어(160) 사이에서 체인(182)으로부터 그리고 갭(172)을 통해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푸셔 바아가 체인의 이동 경로의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후퇴된다[도 20 - 푸셔 바아는 일반적으로 체인과 정렬되고 갭을 통해 연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푸셔 바아(180)는 화물 품목의 선택된 높이를 따라 그리고 화물 품목의 에지에 대해 물리적으로 접하고 화물 품목과 플랫폼 컨베이어의 상부 표면 사이의 잠재적인 미끄러짐을 제한함으로써 그 위에 수용된 화물(C)을 이동시키는 이동 컨베이어(160)의 상부 표면(164A)을 도울 수 있다. 반대로, 푸셔 바아(180)는 컨베이어(160) 및 체인(182)의 이동의 복귀 경로 동안 자동으로 후퇴하여 푸셔 바아가 플랫폼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인접하게 배치된 어떤 것과도 부주의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광학 센서와 같은 센서(들)(190)(도 21 내지 도 22)는 격실 부분의 후방 부분을 가로질러 광빔을 지향시킨다. 센서는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화물 품목(C)이 격실 부분에서 플랫폼(140)으로 전이되는 각 격실 부분의 후단부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다. 개별 격실 부분의 컨베이어(160)보다 빠른 속도로 플랫폼 컨베이어(160)를 작동시킴으로써, 개별 격실 부분(도 21) 내에서 인접한 화물 품목에 접했을 수 있는 화물 품목(C)이 분리되고, 화물 품목이 플랫폼 컨베이어(160)로 전송되고 격실 부분에서 컨베이어 상의 다음 인접한 화물 품목과 분리됨에 따라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개별 화물 품목(C) 사이에 공간(도 22)을 형성한다. 이러한 증가된 속도는 격실 부분 컨베이어(160) 및 마찬가지로 그 위에 인접한 다음 화물 품목(C)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센서(190)에 의해 감지되는 공간을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원하는 화물(C)만 플랫폼(140)으로 전송된다. 이후 플랫폼(140)은 다른 격실 부분으로 이동하고 플랫폼 컨베이어(160)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화물 품목(C)이 다른 격실 부분(도 7 내지 도 9)으로 적재될 수 있거나 또는 플랫폼이 다른 원하는 위치, 예컨대 플랫폼 컨베이어가 다시 시작되어 플랫폼으로부터 화물 품목을 이동하거나 배출하는 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2). 푸셔 바아(180)는 화물 품목(C)이 플랫폼 컨베이어(160)로부터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 후, 동작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추가 화물 품목(C)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센서(190)가 바코드 라벨과 같은 표시를 읽거나 개별 화물 품목(C)과 관련된 RFID 칩 정보를 무선으로 감지/판독하여 어떤 화물 품목이 플랫폼(140)으로 전송되었는지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컴퓨터)(미도시)가 저장 격실(104)에 있는 화물 품목(C)의 특정 위치, 화물 품목이 배송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화물 품목이 배송된 경우에, 화물 품목이 배송된 장소와 시간에 관해 센서(들)(190)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작동 가능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GPS 및/또는 날짜/시간 정보 및/또는 격실 온도 등과 같은 추가 데이터 또는 정보가 화물을 모니터링 및 추적하기 위해 제어기/프로세서에 입력될 수 있으며 데이터/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량 또는 태블릿,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와 관련된 적절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되거나 임의의 기존 방식(예: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 컴퓨터 시스템 또는 장치(미도시)에 전송될 수 있고 및/또는 정보의 하드 카피가 필요한 경우 인쇄된다.
도어, 컨베이어, 컨베이어 부분, 리프트 조립체 등의 작동과 관련된 모터 및 센서는 모두 제어기(미도시)에 상호 연결된다. 제어기는 도어(102)를 자율적으로 개방하고(도 1 및 도 2), 리프트 조립체의 플랫폼(140)을 낮추고(도 2), 플랫폼을 저장 격실(104)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도 3 및 도 4), 화물 품목(C)을 격실 부분으로부터 플랫폼으로 하역하고(도 5 및 도 6), 화물 품목을 다른 격실 부분으로 이동시키고(도 7, 도 8 및 도 9), 플랫폼을 격실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다른/제 2 화물 품목을 수납하고(도 10), 제 2 화물 품목을 지면과 같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도 11), 제 2 화물 품목을 플랫폼에서 지면으로 이동시키고(도 12), 플랫폼을 격실 부분으로 이동시켜서 다른/제 3 화물 품목을 회수하고(도 13), 제 3 화물 품목을 지면과 같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3 화물 품목을 플랫폼에서 지면으로 이동시키고(도 14), 플랫폼을 전개된 위치로부터 저장 위치로 이동시키고(도 16) 및 저장 격실의 도어를 폐쇄(도 17)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도 23은 저장 격실(104)로부터 연장되고 플랫폼(14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의도된 레버 또는 핀(192)을 도시한다. 레버(192)는 수직 채널(114, 116) 중 하나에 고정식으로 결박되고, 일부 경우에는 레버는 두 개의 레버를 사용하는 경우 한 레버에 대한 설명이 다른 레버에 적용되도록 각 수직 채널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192)는 플랫폼(14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 격실(104)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화물 품목(C)을 저장 격실의 다양한 격실 부분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적재 및 하역할 때 플랫폼이 레버와 결합하지 않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레버(192)는 수평 전개 위치로부터 수직 저장 위치로 플랫폼(140)의 회전을 보조한다(도 1). 특히, 레버(192)는 플랫폼(140)의 에지(즉, 저장 격실(104)에 인접한 에지)가 레버 아래에 위치되고 플랫폼이 상향 이동될 때 레버와 플랫폼 에지와의 접하는 결합이 플랫폼에 모멘트, 결합 또는 토크를 가하여 플랫폼이 수평의 전개 위치로부터 수직의 저장된 위치로 수평 부재(124)를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피봇하도록 하는 충분한 치수만큼 후방으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플랫폼(140)이 사용 중일 때(즉, 플랫폼의 전개된 상태에서 상향 및 하향 및/또는 측방향으로 나란히 이동할 때), 플랫폼의 외부 측면은 레버(192)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플랫폼 에지가 레버와 결합하지 않는다.
도 24는 화물 품목을 그 안에 저장하는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 또는 빈(C')을 도시한다.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C')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저장 격실(300)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어(302)를 갖는다. 또한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C')는 지면 위에서 컨테이너의 압연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차륜(306)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C')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픽업 트럭(310)(도 25)의 트럭 베드 안으로 또는 밖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 결정된다.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C')는 예컨대 그 전체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명시적으로 포함된, 공동 소유의 출원 PCT/US19/29949(출원일: 2019년 4월 30일)에 도시되고 설명된 유형의 적재기/하역기를 사용하여 트럭(310)으로부터 적재 및 하역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빌딩 또는 창고(W)와 관련된 리프트 플랫폼(320)은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C')가 래치 해제되어 트럭 베드로부터 리프트 플랫폼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트럭(310)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 후, 리프트 플랫폼(320)은 저장 컨테이너(C')를 창고(W) 내의 원하는 저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소비자가 창고(W)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C')를 채우거나 비울 수 있게 하고, 이동식 저장 컨테이너를 저장 시설 또는 창고로 운송하기 위한 종래의 픽업 트럭(310)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픽업 트럭(310)을 사용하면, 유리하게는 소비자가 특수 트럭에 대한 필요성을 피할 수 있고 화물 품목의 이동 및 저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은 화물 삽입, 운송 중 임시 저장 및 차량 화물 격실로부터의 제거를 처리하기 위한 대안적인 조립체(400)를 도시한다. 이러한 대안적인 저장 격실 시스템(400)은 도 1 내지 도 23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리프트 조립체(110)(도 26 내지 도 28에 미도시)와 협력한다. 특히, 시스템(400)은 화물(C)이 롤러 위로 굴러 넘어갈 수 있고 트럭 또는 회전 롤러 위로 트럭 또는 트레일러 격실(미도시) 안으로 또는 밖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그에 대해 회전하는 롤러(404)의 반대편 단부들을 수용하는 제1 및 제2 평행 세장형 지지 레일(402)을 포함한다. 지지 레일은 지지 레그(406), 예컨대 제1 및 제2 레일의 각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적어도 4개의 지지 레그에 의해 수평 위치에서 지지된다. 추가 지지 레그(406)는 추가 지지 또는 강성이 필요한 경우 중간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지지 레일(402)에 각각 가요성 구동 부재(410)가 장착된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이러한 배열에서, 가요성 구동 부재(410)는 예컨대 시스템(40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연속 루프로 연장되는 체인, 케이블, 벨트이다. 가요성 구동 부재(410)는 이격된 평행한 제1 및 제2 지지 레일에 제공된 채널을 타고 제1 및 제2 모터(412)로부터의 각각의 구동 출력에 응답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모터(412)는 제1 가요성 구동 부재(4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회전)시키고, 유사하게 제2 모터(412)는 제2 가요성 구동 부재(410)를 독립적으로 또는 제1 가요성 구동 부재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회전)시킨다. 제1 또는 전방 펜스(420)는 제1 가요성 구동 부재(410)에 장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이동식 펜스(422)는 제2 가요성 구동 부재(410)에 부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펜스(420, 422)는 바람직하게는 일 단부/측방향 측부만 따라 구동된다. 편의상, 펜스(420, 422)는 반대 지지 레일들(402)에 위치한 각각의 가요성 구동 부재(410)에 의해 구동된다. 제1 및 제2 펜스(420, 422)는 한 펜스는 화물(C)(예: 박스) 전방에 및 다른 펜스는 화물 또는 박스 뒤에 배열, 배치되거나 위치된다. 제1 또는 전방 펜스(420)는 화물(C)을 격실 또는 격실 부분 밖으로 밀어내고, 제2 또는 후방 펜스(422)는 화물을 트럭 또는 트레일러, 특히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의 격실 또는 격실 부분으로 밀어 넣는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명령으로, 구동 모터(412) 및 가요성 구동 부재(410)를 통해 2개의 펜스(420, 422)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또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지시될 수 있어서, 차량이 가속 또는 제동할 때 화물이 전진 또는 후진하지 않도록 화물 박스를 함께 압착하는 미리 선택된 압축력을 인가한다. 각각의 구동 모터(412)로부터의 전류 인출은 화물에 가해지는 압축력의 "양"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며 소프트웨어는 원하는 대로 구동 모터/가요성 구동 부재(410)를 지시한다. 이 펜스(420, 422)는 화물(C)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화물 중량을 차량 저장 격실에 있는 이상적 또는 선호하는 위치 또는 장소에 배치하기 위해 함께 작동할 수도 있다.
후방 펜스(422)가 격실 또는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할 때마다, 후방 펜스는 수직 위치(화물 결합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브리징 위치)로 방향을 변경한다. 이것은 화물(C)이 수직 위치에서 전방 펜스에 의해 밀려나도록 하고 후방 펜스가 수평 위치에서 적재 플랫폼에 브릿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것은 시스템(400)의 격실 롤러로부터 리프트 조립체(110)의 적재 플랫폼(140)으로 화물(C)에 대한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지지 레일(402)의 단부와 적재 플랫폼(140) 사이의 갭 또는 공간이 롤업 도어를 받아 작동하고 격실에 대한 접근을 완전히 차단하게 한다.
후방 펜스(422)는 도 27의 전방 펜스(420)에 대해 예시된 것과 유사한 지지 레일(들)(402)과의 접촉을 통해 수직 위치에서 지지된다. 그러나 후방 펜스(422)가 저장 격실의 후방에 인접한 지지 레일(들)(402)의 단부에 도달하면, 지지 레일의 상부 표면은 전이 부분(430)에서 둥글고 지지 레일의 하부 표면을 향해 전이되어 후방 펜스의 길이 방향 후방 이동이 수직 위치/화물 가압 위치(도 26)로부터 수평 위치/브리징 위치(도 28에서 수평 위치로 전환하는 것으로 도시됨)로 후방 펜스의 방향을 전환한다. 반대로, 후방 펜스(422)가 가요성 구동 부재에 의해 길이방향, 전방 방향으로 전진될 때, 후방 펜스가 둥근 전이 부분 위로 이동하여 후방 펜스가 수평 브리징 위치(도 28)로부터 수직/화물 가압 위치(도 26)로 회전한다.
이 서면 설명은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고 또한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사용한다. 당업자에게 발생하는 다른 예는 동일한 개념과 다르지 않거나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다르지 않은 구조적 요소를 갖거나 동일한 개념 또는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거의 차이가 없는 동등한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개시는 조사를 위해 원래 제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의 조합 및 청구범위의 조합에 대한 보호를 추구할 뿐만 아니라 기소 중에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의 조합 및 청구범위의 조합에 대한 잠재적인 보호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
특정 이점이 위에서 열거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는 열거된 이점의 일부, 전혀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의 도면 및 설명에 예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의 원리는 현재 알려져 있든 아니든, 임의의 수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본원에 설명된 방법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특허청과 이 출원의 독자 및 임의의 특허 관계자가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출원인은 "~을 의미하는" 또는 "를 위한 단계"의 용어들이 특정 청구범위에 사용되지 않은 경우,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청구범위 요소들이 35 USC 112 (f)를 적용하도록 의도하지 않는다.

Claims (45)

  1.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 격실로부터 수용되거나 개구를 통해 상기 저장 격실로 전달되는 관련 화물을 저장하는 관련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격실 부분을 갖는, 상기 저장 격실;
    상기 격실 부분으로부터 또는 상기 격실 부분으로 상기 관련 화물의 전달 또는 수용을 돕도록 구성된 각 격실 부분에 위치한 저장 격실 시스템; 및
    상기 저장 격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격실 부분으로부터 관련 화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조립체로서,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부터 수용하거나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 전달하는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상기 리프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는 관련 화물을 상기 격실 부분들 중 하나로부터 수용하거나 관련 화물을 상기 격실 부분들 중 하나로 전달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를 상기 저장 격실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장착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장착 조립체는 상기 저장 격실의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위치된 제1 및 제2 수직 안내 부재, 및 상기 수직 안내 부재들에 상호 연결되고 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수평 안내 부재를 수직 이격된 위치들에서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안내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안내 부재 사이를 따라 거기에서 이동 가능하며, 그에 의해 상기 플랫폼은 어레이의 선택된 격실 부분에 위치할 수 있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2 수평 안내 부재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제1 에지를 갖고, 그에 의해 상기 플랫폼은 제1 수직 저장 위치와 제2 수평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링크, 상기 제1 수평 안내 부재에 고정된 상기 제1 링크의 제1 단부, 및 상기 플랫폼의 제2 에지에 고정된 상기 제2 링크의 제1 단부, 및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링크의 제2 단부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키지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격실 부분들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격실 부분들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격실 부분들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조립체는 상기 플랫폼이 상기 격실 부분들 아래의 수평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 결정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플랫폼과 작동식으로 결합된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는 갭에 의해 분리된 제 1 및 제 2 컨베이어 부분, 및 상기 갭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플랫폼 상에 수용된 상기 관련 화물을 결합하고 제 2 관련 화물 구성요소에 대한 제 1 관련 화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푸셔 바아(pusher bar)를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바아는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과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바아는 상기 컨베이어 부분들의 경로의 제1 부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의 벨트 표면 위로 연장되도록 가중되고 상기 플랫폼에 장착되고, 상기 컨베이어 부분들의 상기 경로의 제 2 부분 동안 상기 벨트 표면 아래에 위치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격실은 상기 격실 부분들의 적어도 2개의 높이 x 2개의 폭 어레이로 분할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5.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 격실로부터 수용되거나 개구를 통해 상기 저장 격실로 전달되는 관련 화물을 저장하는 관련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격실 부분을 갖는 저장 격실;
    격실 부분으로부터 관련 화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조립체로서, 격실 부분으로부터 관련 화물을 수용하거나 격실 부분으로 관련 화물을 전달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상기 리프트 조립체; 및
    상기 리프트 조립체를 상기 저장 격실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장착 조립체로서, 상기 장착 조립체는 상기 저장 격실의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수직 안내 부재, 및 상기 수직 안내 부재들에 상호 연결되고 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수평 안내 부재를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들에서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안내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안내 부재들 사이를 따라 거기에서 이동가능하고, 그에 의해 상기 플랫폼이 어레이의 선택된 격실 부분에 위치될 수 있는, 상기 장착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는 상기 플랫폼과 작동식으로 결합된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부분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로의 상기 관련 화물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1 모터,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2 모터, 및 상기 리프트 조립체, 상기 장착 조립체, 상기 센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플랫폼을 전개 및 저장하는 상기 제2 모터와 통신하는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플랫폼을 상기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및 상기 격실 부분들 아래로 이동시키고, 인접한 제2 관련 화물에 대한 제1 관련 화물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관련 화물 사이의 공간에 응답하여 상기 격실 부분의 컨베이어의 이동을 종료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련 화물을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로 분리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격실은 격실 부분들의 적어도 2개의 높이 x 2개의 폭 어레이로 분할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격실 시스템은 그 반대편 단부들 상에 있는 지지 레일들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들, 및 관련 화물을 상기 격실 내로 또는 상기 격실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적어도 제1 펜스를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관련 화물을 상기 롤러들 위로 상기 격실 내로 또는 상기 격실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2 펜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펜스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펜스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 가요성 구동 부재를 각각 구동하는 상기 제1 및 제2 모터에 의해 각각 이동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레일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의 화물 가압 위치와 수평의 브리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펜스를 재배향하기 위해 상기 제2 펜스와 작동식으로 결합되는 전이 부분을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펜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터의 작동은 상기 제1 펜스와 상기 제2 펜스 사이의 롤러들에 수용된 관련 화물에 압착 작용을 부과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화물이 상기 제1 펜스와 상기 제2 펜스 사이에서 압착되면, 상기 제1 및 제2 모터가 함께 작동하여 상기 화물을 상기 격실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재배치할 수 있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에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토크를 그 위에 부과하고 상기 플랫폼을 수평 전개 위치에서 수직 저장 위치로 피봇시키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송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스템.
  28. 내부에 화물을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된 격실 부분들을 갖는 저장 격실, 상기 격실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1 모터, 및 리프트 조립체가 장착 조립체를 통해 상기 저장 격실에 고정되는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갖는 플랫폼을 구비한 상기 리프트 조립체, 센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제2 모터,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리프트 조립체, 상기 장착 조립체, 상기 센서, 상기 격실 부분들과 작동식으로 결합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와 작동식으로 결합된 상기 제2 모터와 통신하는, 관련 배송 차량으로 또는 관련 배송 차량으로부터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을 전개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상기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련 화물을 격실 부분으로부터 상기 플랫폼으로, 및/또는 지면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관련 화물을 상기 격실 부분들로부터 상기 격실 부분들 아래 위치의 상기 지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 동안 상기 관련 화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격실 부분 컨베이어 및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 관련 화물 구성요소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수직으로 오프셋된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상기 플랫폼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단계, 및/또는 수평으로 오프셋된 격실 부분들 사이에서 상기 플랫폼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2. 제28항에 있어서,
    저장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이동 단계는 상기 저장 위치를 한정하는 수직 방향과 상기 전개 위치를 한정하는 수평 방향 사이에서 상기 플랫폼을 피봇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저장 격실에 선택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상기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는 제1 관련 화물을 인접한 제2 화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격실 부분 컨베이어보다 더 빠른 속도로 작동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는 갭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 및 푸셔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은 상기 리프트 조립체 컨베이어 상에 수용된 상기 관련 화물의 이동을 돕기 위해 상기 푸셔 바아와 관련 화물을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부분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부분 사이에 상기 푸셔 바아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부분들의 이동의 제1 부분 동안 상기 푸셔 바아를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의 표면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푸셔 바아는 상기 컨베이어 부분들의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부분의 표면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3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격실 시스템은 그 반대편 단부들에 있는 지지 레일들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들, 및 적어도 제1 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은 상기 롤러들 위의 관련 화물을 상기 제1 펜스를 갖는 상기 격실 안으로 또는 밖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격실 시스템은 제2 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은 상기 롤러들 위의 관련 화물을 상기 격실 안으로 또는 밖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격실 시스템은 제1 및 제2 모터와, 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펜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펜스를 구동하는 제1 및 제2 가요성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42. 제41항에 있어서,
    수직의 화물 가압 위치와 수평의 브리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펜스를 선택적으로 재배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들의 독립적인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모터로 상기 제1 및 제2 펜스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스와 상기 제2 펜스 사이의 상기 롤러들 상에 수용된 관련 화물에 압착 작용을 부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화물이 상기 제1 펜스와 상기 제2 펜스 사이에서 압착되면, 상기 관련 화물을 상기 격실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재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관련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공정.
KR1020217039417A 2019-05-03 2020-05-04 배송 차량에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조립체를 갖는 시스템 및 공정 KR20220007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42899P 2019-05-03 2019-05-03
US62/842,899 2019-05-03
PCT/US2020/031323 WO2020227215A1 (en) 2019-05-03 2020-05-04 System having automated lift assembly and proces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delivery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088A true KR20220007088A (ko) 2022-01-18

Family

ID=7305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417A KR20220007088A (ko) 2019-05-03 2020-05-04 배송 차량에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조립체를 갖는 시스템 및 공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19900A1 (ko)
EP (1) EP3962777A4 (ko)
JP (1) JP2022533923A (ko)
KR (1) KR20220007088A (ko)
CN (1) CN114040864A (ko)
AU (1) AU2020268320A1 (ko)
CA (1) CA3139070A1 (ko)
MX (1) MX2021013430A (ko)
WO (1) WO20202272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09B1 (ko) 2022-07-26 2023-01-04 박하용 화물 배송장치
KR102611906B1 (ko) 2023-09-07 2023-12-08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6606A (zh) * 2019-12-31 2021-07-16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送货控制方法、装置及送货装置
CN112874408A (zh) * 2021-01-28 2021-06-01 重庆长安民生物流股份有限公司 货车卸货自动升降装置
KR20230001871A (ko) * 2021-06-29 2023-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체
US11731170B2 (en) * 2021-09-30 2023-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vehicle reconfigurable on-board package sorting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5771A (en) * 1950-01-17 1953-04-21 Kroger Co Elevator apparatus for vehicles
US3747782A (en) * 1971-08-02 1973-07-24 Brown Welding Shop Inc Lift gate assembly
US4930969A (en) * 1988-08-11 1990-06-05 Langer Hartford P Rail lift gate apparatus and storage scheme
US5054295A (en) * 1990-08-21 1991-10-08 Goulooze Gene D Transport with variable volume, independently cooled compartments
US5868544A (en) * 1996-10-11 1999-02-09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irborne cargo loader
US6622846B1 (en) * 1998-04-30 2003-09-23 Stewart & Stevenson Aircraft cargo loader
DE19857886A1 (de) * 1998-12-15 2000-06-29 Johann W Grond Verfahren und Lagersystem zum Ein- und Auslagern von Lasten
KR100285792B1 (ko) * 1999-01-30 2001-03-15 조시대 자동차용 탁송장치
EP1634828A1 (de) * 2002-11-08 2006-03-15 Trepel Airport Equipment GmbH Verfahren zum Beladen bzw. Entladen eines Flugzeugs sowie verfahrbare Flugzeugbeladevorrichtung
US8702366B2 (en) * 2007-11-15 2014-04-22 American Refrigerated Express, Inc. Cargo transfer system using a palletized rack
KR101167340B1 (ko) * 2004-04-30 2012-07-2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카트 반송 장치
ATE526264T1 (de) * 2005-10-13 2011-10-15 William Mark Adams Modulare hebevorrichtung
US20100236490A1 (en) * 2009-03-19 2010-09-23 Castane Basarana Sebastia Vehicle for transporting livestock
US9630545B1 (en) * 2011-01-06 2017-04-25 Jkc Development,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9056577B2 (en) * 2011-01-06 2015-06-16 Jkc Development,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10179711B1 (en) * 2011-10-21 2019-01-15 Michael T. Moore Portable lift apparatus for shipping containers
MX354488B (es) * 2012-01-20 2018-03-07 G Eidsmore Paul Sistema y aparato para cargar/descargar la carga de una plataforma de camión o camioneta.
US20140261098A1 (en) * 2013-03-14 2014-09-18 Adam Giemza Vehicle platform and method
US9028195B1 (en) * 2013-12-31 2015-05-12 Robert P. Heynssens Telescoping cargo lifting apparatus for a truck
US9868589B2 (en) * 2014-01-15 2018-01-16 Cargo Cube Systems, Llc Modular transport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9616796B2 (en) * 2014-10-21 2017-04-11 Liftmasters, Llc Receiver-mounted lift gate
DE102014017357A1 (de) * 2014-11-25 2016-05-25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SG10201505694UA (en) * 2015-03-06 2016-10-28 Cyclect Electrical Engineering Pte Ltd A platform for baggage cart and baggage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573153B2 (ja) * 2015-04-13 2019-09-1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貨物搬送用車両
CN204821256U (zh) * 2015-06-29 2015-12-02 镇江康飞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雷达设备上下车的装置
US10457205B2 (en) * 2017-03-16 2019-10-29 Robotzone, Llc Assisted trailer alignment system
DE102017106602A1 (de) * 2017-03-28 2018-10-04 Deutsche Post Ag Stückgutkasten und Verfahren zur Übergabe und Lagerung von Stückgut in einem Stückgutkasten
DE102017003815A1 (de) * 2017-04-20 2017-10-26 Daimler Ag Kraftfahrzeugregal sowie entsprechend ausgerüstetes Kraftfahrzeug
US20200223348A1 (en) * 2019-01-16 2020-07-16 Keith Manufacturing Co. Chain Rail Conveyor with Lift G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09B1 (ko) 2022-07-26 2023-01-04 박하용 화물 배송장치
KR102611906B1 (ko) 2023-09-07 2023-12-08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68320A1 (en) 2021-12-09
WO2020227215A1 (en) 2020-11-12
EP3962777A4 (en) 2023-01-25
US20220219900A1 (en) 2022-07-14
CN114040864A (zh) 2022-02-11
EP3962777A1 (en) 2022-03-09
MX2021013430A (es) 2022-01-24
CA3139070A1 (en) 2020-11-12
JP2022533923A (ja)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7088A (ko) 배송 차량에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조립체를 갖는 시스템 및 공정
US7695235B1 (en) Automated warehousing and cargo loading system
US1030082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20210179364A1 (en) Movable Dense Storage and Picking Device, Modular Warehouse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056577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20180079601A1 (en) Platform for baggage cart and baggage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21510661A (ja) アイテムをピ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068357A1 (en) Robotic trailer loading device with telescoping robot
US9061719B2 (en) Transport trailer and method
CN210259827U (zh) 装卸货辅助装置及货物分拣系统
CN113168611A (zh) 货物运输车辆及货物物流系统
US6520729B1 (en) Freight container and method of transporting a load
US6702542B1 (en) Luggage transporter and loader and method therefor
US5607274A (en) Bale handling apparatus and process
AU2054899A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argo trucks, their trailers, transport containers and the like
RU2818069C2 (ru) Система с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м подъемным узлом и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а из груз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10007157A (ko) 로딩/언로딩 보조 장치, 화물 선별 시스템 및 화물 선별 방법
NL1022640C2 (nl) Bagagetruck en gebruik van een dergelijke bagagetruck.
JP2022546616A (ja) 自律型荷物装置
CN210456117U (zh) 一种自卸式货柜和包括该自卸式货柜的货柜系统
WO2024049831A1 (en) End-to-end automated fulfillment center systems and methods
NL2016316B1 (nl) Lastbehandelingssysteem, alsmede een mobiele lastgeleider, een laad-los-inrichting, een dwarsverplaatsingsinrichting, een transportvoertuig en diverse werkwijzen voor toepassing van een dergelijk lastbehandelingssysteem.
JPH0520600Y2 (ko)
JP3800961B2 (ja) 自動倉庫および自動倉庫の運用方法
NL1019803C2 (nl) Transport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distribueren van l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