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895A -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895A
KR20220006895A KR1020200084879A KR20200084879A KR20220006895A KR 20220006895 A KR20220006895 A KR 20220006895A KR 1020200084879 A KR1020200084879 A KR 1020200084879A KR 20200084879 A KR20200084879 A KR 20200084879A KR 20220006895 A KR20220006895 A KR 2022000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vehicle
information
substance
cleanl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현
박민재
아나스타샤 야리지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895A/ko
Priority to US17/111,008 priority patent/US11821845B2/en
Priority to CN202011510889.XA priority patent/CN113911049A/zh
Publication of KR2022000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오염 물질을 감지하고 다음 차량 이용자를 고려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은, 적어도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부를 통해 실내 오염을 감지하는 단계; 탑승이 예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와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VEHICLE AND METHOD OF MANAGING IN-CAR CLEANLINES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 오염 물질을 감지하고 다음 차량 이용자를 고려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이동 중 노면 환경 변화나 가감속에 의해 내부 물체에 관성이 작용하기 쉽다. 따라서,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식물 등이 쉽게 쏟아져 시트나 매트 등이 오염되기도 한다. 실내 오염이 발생할 경우 차량이 기존의 소유의 대상으로 인식되는 상황 하에서는 차량 소유자의 의지에 따라 청결 유지 여부가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비용 부담과 효율성 관점에서 차량은 소유의 개념에서 공유의 개념이 점점 확정되고, 카 셰어링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실내 청결도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즉, 카 셰어링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차량을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게 되면서 차량 소유자 대비 주인 의식이 약해지는 측면이 있어 사용시 실내 오염에 대한 주의가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에 따라 차량 이용을 마치는 시점에서 사용 중 발생한 오염을 제거하지 않고 반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 사용자는 실내 환경이 오염된 상태로 차량을 인도받아 사용하게 되어 서비스 불만족의 원인이 된다. 특히, 실내 오염이 알러지 유발 물질과 같은 유해 물질일 경우, 현재 사용자에게는 영향이 적다고 하여도 다음 사용자에게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문제된다.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으로 실내 오염 여부를 감지하고 유해물질 감지시 다음 사용자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해물질이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제공 및 오염 완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은, 적어도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부를 통해 실내 오염을 감지하는 단계; 탑승이 예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와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는, 적어도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부; 통신부; 및 상기 오염 감지부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실내 오염을 감지하고, 탑승이 예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사용자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와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차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내 오염 부위를 판단하고 유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해물질이 감지된 경우 그 수준과 정도를 판단하여 다음 사용자를 위한 알림 출력과 공조 제어를 통해 다음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청결 관리 장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결 관리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은 도 2의 실내 청결도 감지 과정이 수행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b는 도 2의 다음 이용자 정보 기반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오브젝트 감지가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오염 감지가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오염 추적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결도 기반 안내가 출력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안내 정보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청결도 기반 안내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차량의 실내 청결도를 감지 및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내 정보의 출력이 수행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셰어링 카 등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한 상황에서 실내 청결도 분석을 통해 유해물질을 검출하고, 검출된 유해물질에 따른 다음 사용자에 대한 영향도를 고려한 조치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청결 관리 장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청결 관리 장치는 실내 오염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오염 감지부(110),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20), 차량 내부 및 외부와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30) 및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오염 감지부(110)는 영상 정보 기반 오염 감지를 수행하기 위한 실내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11)와 냄새를 통해 오염 여부를 감지하는 후각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1)는 오염 감지의 대상이 되는 실내 영역과 오염 감지 방식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배치 위치는 전석 주변(즉, 운전석, 조수석, 대시보드 등)을 촬영하기 위해 룸미러 부근과, 후석 주변(즉, 후석과 리어글라스 하단 영역 등)을 촬영하기 위해 루프 중앙이나 후미가 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오염 여부를 감지하고자 하는 실내 영역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면 그 위치와 개수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물론, 후각 센서(112)의 배치 위치와 개수도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카메라(111)의 종류로는 후술할 오브젝트 감지와 오염 감지를 위해, 일반적인 RGB 타입 카메라, 적외선(IR) 카메라, 3D 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분광학(Spectroscpic)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오염 감지부(110)는 실내 공기중 먼지, 미세먼지 등의 입자 농도 분석을 위한 먼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120)는 안내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정보를 시각 정보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청각 정보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출력부(120)는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헤드유닛의 디스플레이나 클러스터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안내 정보의 시각적 출력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에도 한정되지 아니한다.
통신부(130)는 차량용 청결 관리 장치가 차량 내 다른 개체(예컨대, 제어기들)와 통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부(미도시)와 해당 차량 이외의 개체(예컨대, 외부 서버, 탑승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 등)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소정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에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예컨대, CAN, CAN-FD, LIN, 이더넷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 등과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Wi-Fi, Wi-Di, Zigbee, NFC 등)과, 텔레매틱스나 셀룰러 기반 통신(3G, LTE, 5G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차량 운행의 준비나 운행 개시를 감지하면, 오염 감지부(110)로부터 실내 청결도 판단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여 청결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안내 정보가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정보를 외부 개체, 예컨대, 카 셰어링 서비스 서버나 텔레매틱스 서버, 또는 탑승자 소지 단말 등에 통신부(13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차량용 청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바탕으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결 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청결 관리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시작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예컨대, 시작 조건은 카 셰어링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음 사용자가 배정됨을 통지받거나, 이전 운행 종료 후 차문 잠금이 해제된 경우나 시동이 걸린 경우 등에 만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작 조건이 만족되면(S210의 Yes), 초기 환경 정보 획득이 수행될 수 있다(S220). 여기서 초기 환경 정보란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차량을 사용하기 전 실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환경 정보는 차량 출고시 실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마지막 사용 이후 현재 운행이 시작되기 전, 또는 현재 탑승자가 탑승한 후 오염이 발생하기 전의 실내 상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단계는 카메라(111)를 통해 차량 내장재나 기본 탑재 품목의 위치, 시트나 매트의 색상 등을 판단하기 위한 영상을 얻고, 후각 센서(112)를 통해 오염 전 실내 냄새 상태를 감지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단계는 카 셰어링 서비스 서버로부터 디폴트 초기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오염 감지부(111)를 통해 실내 청결도를 판단하기 위한 실내 오염 감지가 수행될 수 있으며(S230), 제어부(140)는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청결도를 분석할 수 있다(S240). 구체적인 감지 과정(S230)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며, 청결도 분석은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청결도 분석은 오염물의 분류와 위치 등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오염종류 오염크기 오염위치와색상차 물질 냄새정도
액체 30cm 이상 차이큼 점도강함 심함
고체
5_30cm 차이중간 점도약함 보통
5cm 이내 차이적음 점도없음
(건조함)
냄새없음
오염물의 분류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염 종류, 오염 크기, 오염 위치에 초기 색상과의 색상차, 물질(점도), 냄새 정도 등과 같이 분류될 수 있으며, 각 항목별 분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점수(또는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오염크기가 30cm 이상이며 색상 차가 크고 냄새가 심각할 경우 청결도가 크게 하락할 수 있으며, 오염 크기가 5cm 이내이고 색상 차이가 적으며 냄새가 없을 경우 청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오염부분의재질 오염발견 후 경과시간
가죽류 60분이상
천류 30~60분
플라스틱류 10~30분
금속류 10분이내
또한, 표 2와 같이 위치별로 재질을 매칭시키고, 재질에 따른 오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비교적 오염에 강한 금속류는 오염 후 경과 시간이 많이 지나더라도 청결도 하락이 크지 않을 수 있으나, 오염에 취약한 천류는 짧은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청결도가 크게 하락하도록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140)는 표 1의 대조 결과와 표 2의 대조 결과 각각에서 항목별로 아래쪽 상태로 갈 수록 높은 청결도 점수를 부여하며, 항목별 점수를 종합하여 청결도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 1 및 표 2의 구성, 항목, 가중치 등의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제어부(140)는 청결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실내 오염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50). 구체적인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운행 종료 전까지(S260의 No) 재측정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S270), 재측정 조건 만족시(S270의 Yes) 실내 청결도를 반복적으로 감지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재측정 조건은 마지막 청결도 분석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 경우, 청결도 기반 안내 출력시 긴급 청소를 권한 경우, 재측정시마다 오염도가 증가하는 추세인 경우, 이전까지 감지되던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가 사라진 경우, 도어 오픈 등을 통해 탑승자 변동이 발생한 경우 등에 만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재측정 조건 중 이전까지 감지되던 오브젝트(탑승자 포함) 중 적어도 일부가 사라진 경우에는, 사라진 오브젝트에 가려져 마킹되었던 위치에 대한 재측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운행이 종료되면(S260의 Yes), 제어부(140)는 오염 감지부(110)를 통해 최종 청결도 감지 및 분석을 수행하고(S280), 그 결과와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유해물질 대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290). 최종 청결도 감지 및 분석 과정은 S230 내지 S240 단계에 해당하므로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기로 하며, 유해물질 대응 처리는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청결도 감지 과정을 도 3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의 실내 청결도 감지 과정이 수행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내 청결도 감지를 위해,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오브젝트 감지 및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S231). 오브젝트 감지는 RGB 카메라나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오브젝트 검출 로직을 통해 초기 상태에 존재하지 않았던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 감지는 기 준비된 인공지능(AI) 로직을 통해 제어부(140)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고, 카메라(111)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오브젝트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초기 상태에 존재하지 않았던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하여, 현재 획득된 영상과 초기 환경 정보의 비교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과정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오브젝트의 종류(사람, 반려동물, 의류, 식품류, 용기류 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오브젝트 감지 로직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 바, 오브젝트 감지 및 분석 로직의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오브젝트 감지 및 분석 과정(S231)을 통해 실내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해당 오브젝트가 감지된 위치를 마킹(즉, 기록)해둘 수 있다(S232).
또한, 제어부(140)는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오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33). 이때, 오염 여부의 감지 대상이 되는 실내 영역은 오브젝트가 감지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이는 오브젝트 자체를 오염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브젝트 자체의 유해물질 여부는 전술한 분석 및 카메라(111) 이외의 감지 수단을 조합하여 판단 가능하기 때문이다.
오염 감지 방식으로는 분광학 센서를 기반으로 실내 구성 요소의 분자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상이 초기 환경 정보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가죽 시트가 갖는 고유의 색상에 따른 파장과 다른 색상에 따른 파장이 있을 경우, 해당 부위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RGB나 IR 방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부분의 반사도가 상승한 경우 액체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영상(광학) 기반으로 오염도 판단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실내 청결도 감지를 위해 후각 센서(112)를 통한 냄새 감지가 수행될 수 있다(S234). 본 과정은 도 3에서 마지막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영상 기반 감지 방식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만일, 오브젝트가 감지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광학 감지(즉, 카메라(111) 이용) 기반으로 오염이 감지되지 않은 상황에서 오염에 해당하는 냄새가 감지된 경우, 이는 오브젝트에 의한 냄새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여 다음 이용자 정보 기반 처리를 설명한다.
도 3b는 도 2의 다음 이용자 정보 기반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b를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유해물질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유해물질이라 함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물질과 혐오감이나 감염을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알러지를 유발하는 물질은 동물 털과 같은 헤어(hair)류, 일정 농도 이상의 먼지, 특정 식품류(계란, 유제품, 견과류, 어패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혐오감이나 감염을 유발하는 물질은 인간이나 동물의 배설물, 토사물, 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유해물질은 예시적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체에 유해물질로 취급되는 물질은 물론, 탑승자 개개인이 유해물질로 미리 설정한 물질 또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통신부(130)를 통해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다음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카 셰어링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해당 차량에 탑승이 예정된 적어도 하나의 인원 각각에 대하여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관적 유해물질이란, 누구에게나 감염 위험이 있는 혈액과 같은 객관적 유해물질이 아닌, 동일한 물질이라도 탑승자의 연령이나 체질에 따라 신체에 대한 유해 여부나 심리적으로 혐오감을 달리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는 나이, 직업, 성별, 탑승자가 직접 기재한 알러지 유발 물질, 탑승자가 직접 기재한 혐오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주관적 유해물질 여부의 판정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의 정보도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아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연령에 따라 주로 알러지를 유발하는 식품류가 상이하다.
유해물질 대상연령
계란흰자 24개월이상
우유 12개월이상
견과류 24개월이상
참깨 1세~7세
생선 36개월이상
조개류 13세이상
24개월이상
따라서, 임의의 탑승자 연령이 10세인 경우 표 3의 물질 중 참깨와 조개류는 별도로 탑승자가 기재하지 않은 이상 유해물질로 취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12개월 미만인 경우 표 3의 물질은 모두 유해물질에서 제외될 수 있다. 비록 표 3에서는 연령별로 알러지 물질이 분류되었으나, 알러지 물질 분류는 알러지 강도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직업이 조리사인 경우 식품류는 별도로 탑승자가 기재하지 않은 이상 유해물질로 취급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40)는 최종 청결도 감지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사용자에 대한 영향도를 판단할 수 있다(S292).
영향도 판단을 위해, 제어부(140)는 분석 결과와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사용자에 대한 유해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분석 결과에 포함된 오염물의 종류를 기 설정된 객관적 유해물질 리스트와 비교하여 객관적 유해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탑승 예정인원별 나이, 성별, 직업 등의 항목을 기반으로 후보 유해물질을 판단하고, 후보 유해물질을 분석 결과에 포함된 오염물과 비교하여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유해물질을 판단함에 있어서 탑승자가 직접 기재한 유해물질은 바로 후보 유해물질로 분류될 수 있으며, 나이, 성별, 직업 등의 항목별로 정의된 유해물질 리스트가 참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내에 유해물질이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판단된 유해물질별로 각 탑승자에 대한 유해 영향도를 판단할 수 있다. 유해 영향도는 표 1 내지 표 3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오염의 크기와 경과 시간,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으며, 탑승자별로도 다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다음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탑승 예정 위치가 포함된 경우, 탑승 예정 위치 주변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은 해당 탑승자에 대하여 다른 유해물질보다 큰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수석에 개털이 감지되고 개털에 알러지가 있는 두 사용자가 조수석과 후석에 각각 탑승하는 것으로 예정된 경우, 조수석의 개털은 후석 사용자보다 조수석의 사용자에 더 큰 영향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알러지 물질의 경우 알러지 강도가 유해 영향도 판단에 더욱 고려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영향도 판단이 완료되면 이를 소정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293). 출력의 형태는 통신부(130)를 통한 외부 전송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다음 사용자가 탑승할 시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외부 전송의 경우, 수신 대상은 카 셰어링 서비스 서버, 기 설정된 청소 관리 업체 서버, 텔레매틱스 센터, 이전/다음 탑승자의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카 셰어링 서비스 서버가 영향도 정보를 받을 경우, 이를 기반으로 마지막 탑승자에게 청결도에 따른 인센티브나 디센티브(특히, 유해물질로 문제를 일으킨 탑승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일회성 부여가 아닌 유저 평판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청소 관리 업체 서버가 영향도 정보를 받을 경우 청소 인력 파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전 탑승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할 경우, 디센티브 부여 가능성을 경고하여 차량으로 복귀하여 스스로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으며, 유해물질이 아닌 오브젝트(즉, 유실물)가 실내에 존재함을 알려 바로 찾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음 사용자에 대한 영향도는 다음 사용자 전체에 대한 영향도 점수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별로 영향도가 큰 물질순으로 정렬된 리스트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유해물질별로 각 사용자에 대한 영향도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40)는 영향도를 고려하여 다음 사용자가 탑승하기 전까지 공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94). 여기서, 공조 제어는 외기 순환 모드로 팬 작동은 물론, 창문과 선루프 등 개방을 통한 환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공조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 유해물질의 위치에 따라 유해물질의 배출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풍향과 풍속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오브젝트 감지가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를 포함한 이하의 도면에서 카메라(111)는 차량 실내에서 후석 주변을 촬영하도록 실내 후석측에 배치된 카메라(111a)와 전석 주변을 촬영하도록 실내 전석측에 배치된 카메라(111b)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영상 기반 인식을 통해 운전석측 후석에 오브젝트(410)와, 조수석에 오브젝트(420)가 각각 감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도 4의 (b)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가 감지된 위치(410', 420')를 마킹하여 영상 기반 오염 감지를 수행함에 있어 해당 위치(410', 420')가 판단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오염 감지가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RGB 각각의 색상 영역에 대하여 분광학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촬영 이미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초기 환경 정보와 상이한 파장이 감지된 영역(510)이 있을 경우, 해당 영역이 오염이 발생한 영역으로 인식될 수 있다. 만일, 도 4에서와 유사하게 운전석측 후석에 오브젝트(410)가 감지되었던 경우, 해당 영역(510)은 판단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해당 영역의 파장 차이는 무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오염 추적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청결도 감지 절차에서 오염 영역(610)이 감지될 수 있다. 이후 재측정 조건의 만족(S270의 Yes)에 따라 실내 청결도가 다시 감지될 때, 도 6의 (b)와 같이 해당 영역의 오염이 확대(610')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오염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결도 기반 안내가 출력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의 상단을 먼저 참조하면, 제어부(140)가 판단한 실내 청결도가 일정 수준 이하라 판단한 경우, 헤드유닛의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판단에 대응되는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정보는 오염 위치, 정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오브젝트(710)와 텍스트(7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판단된 청결도가 심각한 수준이거나, 도 6에서와 같이 오염된 영역의 크기가 증가한 경우 제어부(140)는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형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하단과 같이 텍스트(720')의 내용과 색상이 변경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청결도나 오염 진행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시각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상술한 알림 정보는 출력 후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다음 청결도 감지 및 분석시 일정 수준 이상의 청결도가 회복될 경우 사라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서와 같이 안내 정보에 오염을 나타내는 아이콘 형태의 디스플레이 오브젝트(710)가 포함될 경우, 아이콘은 오염 상태를 반영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안내 정보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오염물 타입에 따라 메인 아이콘의 외형이 결정될 수 있으며, 냄새의 정도에 따른 제1 보조 아이콘과 긴급 여부(오염 영역 확대 상황이나 청결도가 심각한 수준인 경우)시 제2 보조 아이콘이 메인 아이콘 주변에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아이콘의 크기는 오염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아이콘의 색상은 청결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결도가 높으면 청색, 중간 수준인 경우 황색, 낮은 수준인 경우 적색 등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중간 정도 오염도에 냄새가 심한 액체 오염물에 의한 오염 영역이 확산되고 있는 경우, 아이콘(810)은 도 8의 (b)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안내 정보는 오염 위치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청결도 기반 안내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9의 좌측을 참조하면, 안내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의 실내 영역(910)은 운전석 전방부(스티어링 휠, 운전석측 대시보드, 페달 주변 등), 센터페시아, 조수석 전방부(글로브 박스, 조수석측 대시 보드, 조수석 앞 매트 등), 운전석, 센터콘솔, 조수석, 후석 1, 후석 2, 후석 3 등과 같이 9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도 9의 우측과 같이 오염이 감지된 영역에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아이콘(810)을 배치하여 오염 영역을 탑승자가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오염이 감지된 영역에는 아이콘(810)과 함께 소정의 시각 효과(예컨대, 색상 부여)가 더욱 부여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안내 정보의 출력 형태는 도 2의 S250 단계를 대상으로 함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일반적인 오염이 아닌 유해물질에 대해서도 유사한 형태로 안내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적어도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부를 통해 실내 오염을 감지하는 단계;
    탑승이 예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와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 기 설정된 유해물질 목록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별로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는,
    나이, 직업, 성별, 알러지 유발 물질 및 혐오 물질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유해물질을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별로 영향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의 탑승 예정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향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 예정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의 위치를 고려하여 수행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의 위치를 고려하여 공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오염을 감지하는 단계는,
    실내의 감지 대상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각각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감지 대상 영역에서 오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적어도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부;
    통신부; 및
    상기 오염 감지부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실내 오염을 감지하고, 탑승이 예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사용자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와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 기 설정된 유해물질 목록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별로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는,
    나이, 직업, 성별, 알러지 유발 물질 및 혐오 물질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관적 유해물질을 판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유해물질을 판단하고, 상기 후보 유해물질을 상기 실내 오염의 감지 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을 판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별로 영향도를 판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의 탑승 예정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 예정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향도를 판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의 위치를 고려하여 공조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감지 대상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각각이 검출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감지 대상 영역에서 오염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유해물질 각각에 대하여 알러지 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별로 영향도를 판단하는, 차량용 실내 청결 관리 장치.
KR1020200084879A 2020-07-09 2020-07-09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KR20220006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79A KR20220006895A (ko) 2020-07-09 2020-07-09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US17/111,008 US11821845B2 (en) 2020-07-09 2020-12-03 Vehicle and method of managing cleanliness of interior of the same
CN202011510889.XA CN113911049A (zh) 2020-07-09 2020-12-18 管理车辆内部的清洁度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79A KR20220006895A (ko) 2020-07-09 2020-07-09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95A true KR20220006895A (ko) 2022-01-18

Family

ID=7917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879A KR20220006895A (ko) 2020-07-09 2020-07-09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21845B2 (ko)
KR (1) KR20220006895A (ko)
CN (1) CN113911049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1858A1 (ja) * 2006-06-08 2007-12-13 Fujitsu Limited 汚れ検出方式
US9855926B2 (en) * 2016-01-26 2018-01-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cleanliness of a vehicle
US20170291539A1 (en) * 2016-04-07 2017-10-12 General Motor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objects within a vehicle
US10509974B2 (en) * 2017-04-21 2019-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ain and trash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12585650B (zh) * 2018-08-20 2023-03-2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管理系统以及车辆管理方法
DE102018216761A1 (de) * 2018-09-28 2020-04-02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Ist-Zustandes eines Innenraums eines Peoplemovers
US11017248B1 (en) * 2019-12-18 2021-05-25 Waymo Llc Interior camera system for a self driving car
KR20210149476A (ko) * 2020-06-02 2021-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KR20220014681A (ko) * 2020-07-29 2022-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1242A1 (en) 2022-01-13
US11821845B2 (en) 2023-11-21
CN113911049A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30044A1 (en) Thermal monitoring in autonomous-driving vehicles
US6792339B2 (en) Artificial passenger with condition sensors
KR20220014681A (ko)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US20160357186A1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same
JP7135656B2 (ja) 乗車マナー評価装置、乗車マナー評価システム、乗車マナー評価方法、及び乗車マナー評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529880A (ja) においを高める車両用装備品
DE112013003595T5 (de) Fahrzeugklimaregelung
KR20170069215A (ko) 통신 소자 및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DE112017006916T5 (de) 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r fahrzeugklimasteuerung unter verwendung verteilter sensoren
KR102634698B1 (ko) 캐빈 압력 및 제어된 공기 흐름을 사용한 차량 캐빈의 청소
CN108791119A (zh) 车辆控制系统及方法
US2022037160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tect health of occupants of a vehicle
CN114604254A (zh) 保护车辆乘员健康的系统和方法
CN111055767A (zh) 识别人员运送工具的内部空间的实际状态的设备和方法
KR20220006895A (ko)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US20220242352A1 (en) Cabin monitoring system
KR20210149476A (ko)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KR20220003320A (ko)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JP7100326B1 (ja) 検知システム及び空間利用システム
US117803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left behind by using heated resistive filament in a vehicle
JP7302549B2 (ja) 車両及び車両の制御方法
CN113581134B (zh) 车辆及其清洁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和车载控制器
US20240181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a sensor matrix in a vehicle interior
US20230295963A1 (en) Door control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door control, and method for door control
WO2021106626A1 (ja) 予約席監視システム、予約席監視方法、予約席監視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