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859A -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 - Google Patents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859A
KR20220006859A KR1020200084802A KR20200084802A KR20220006859A KR 20220006859 A KR20220006859 A KR 20220006859A KR 1020200084802 A KR1020200084802 A KR 1020200084802A KR 20200084802 A KR20200084802 A KR 20200084802A KR 20220006859 A KR20220006859 A KR 2022000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door plate
door
senso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003B1 (ko
Inventor
고창오
고승현
Original Assignee
고창오
고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창오, 고승현 filed Critical 고창오
Priority to KR102020008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0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개시된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는,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입구측 도어를, 타 측에 개폐 가능한 출구측 도어를 구비한 원통형의 터브, 터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터브 내부에 설치되며, 측면에 개폐 가능한 바스켓 도어를 구비한 원통형의 바스켓, 바스켓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 유닛, 바스켓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유닛, 바스켓의 회전 각속도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센서 독, 및 센서 독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센서 독이 제1 위치와 이격된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한다. 바스켓의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기 전에 바스켓이 회전하는 도중에 제1 센서가 센서 독을 감지하면,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하여 바스켓 도어가 입구측 도어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로 바스켓이 정지하고, 바스켓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탈수된 후에 바스켓이 회전하는 도중에 제2 센서가 센서 독을 감지하면,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하여 바스켓 도어가 출구측 도어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로 바스켓이 정지한다.

Description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Washing machine in which entrance and exit of laundry are separated and basket included in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와 세탁물이 취출되는 출구가 분리된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칩(chip)과 같은 초정밀 전자부품은 먼지와 같은 미세 파티클(particle)로 인한 오염과 수율 저하를 막기 위하여 클린룸(clean room)에서 생산된다. 클린룸에서 작업자들은 방진복(防塵服)을 입고 작업한다. 방진복은 클린룸에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질, 및 작업자의 땀 등에 의해 오염된다. 오염된 방진복은 세탁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인 세탁기를 이용하여 방진복을 세탁하면 미세 파티클로 인한 오염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별히 고안된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를 이용하여 방진복을 세탁한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3)는 프레임(frame)(4)과, 상기 프레임(4)에 고정된 터브(tub)(5)와, 상기 터브(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5) 내부에 설치되는 바스켓(basket)(8)을 구비한다. 터브(5)의 측면 중 일 측, 다시 말해, 도 1을 기준으로 터브(5)의 측면 중 우측에는 세탁물, 즉 오염된 방진복이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폐 가능한 입구측 도어(entrance door)(6)가 마련되고, 터브(5)의 측면 중 타 측, 다시 말해, 도 1을 기준으로 터브(5)의 측면 중 좌측에는 세탁이 끝난 세탁물이 취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출구측 도어(exit door)(7)가 마련된다. 바스켓(8)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바스켓 도어(9)가 마련된다.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3)는 일 측과 타 측 공간을 분리하는 벽(wall)(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벽(1)을 기준으로 일 측의 공간의 청정도가 타 측의 공간의 청정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벽(1)의 우측 공간은 3000 class 수준의 룸(room)이고, 벽(1)의 좌측 공간은 1000 class 수준의 룸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 도어(6)와 바스켓 도어(9)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 공간에서 대기하는 작업자는 상기 입구측 도어(6)와 바스켓 도어(9)를 열고 오염된 세탁물을 바스켓(8)의 내부 공간에 투입한다. 작업자가 상기 바스켓 도어(9)와 입구측 도어(6)를 닫고,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3)의 세탁 시작 버튼(button)(미도시)을 누르면 터브(5)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고, 바스켓(8)이 고속으로 회전한다. 세탁물에서 분리된 오염 물질이 섞인 세탁수가 터브(5) 외부로 배수(排水)되고, 바스켓(8)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이 탈수된 이후에, 바스켓(8)이 회전을 멈추고 출구측 도어(7)와 바스켓 도어(9)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가 되면, 상기 좌측 공간에서 대기하는 작업자가 상기 출구측 도어(7)와 바스켓 도어(9)를 열고 오염물이 제거된 세탁물을 바스켓(8)에서 상기 좌측 공간 측으로 취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3)는, 세탁물을 바스켓(8) 내부로 투입하고자 할 때에는 입구측 도어(6)와 바스켓 도어(9)가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되고, 세탁물을 바스켓(8)의 외부로 취출하고자 할 때에는 출구측 도어(7)와 바스켓 도어(9)가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터브(5)에 마련된 입구측 및 출구측 도어(6, 7)와, 바스켓 도어(9)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아서 세탁 작업자들이 바스켓(8)을 손으로 돌려 정렬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세탁 작업이 어려워지고 세탁 작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저하된다.
한편, 세탁 과정 중에 상기 바스켓(8)이 700 내지 800 rmp의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데, 그 원심력으로 인해 바스켓(80)의 고속 회전 중에 바스켓 도어(9)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어 세탁기가 파손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14611호
본 발명은, 세탁을 시작하기 전에는 입구측 도어에 바스켓 도어가 정확히 정렬되고, 세탁을 마친 후에는 출구측 도어에 바스켓 도어가 정확히 정렬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상기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에 구비된 바스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입구측 도어(door)를, 타 측에 개폐 가능한 출구측 도어를 구비한 원통형의 터브(tub), 상기 터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 내부에 설치되며, 측면에 개폐 가능한 바스켓 도어를 구비한 원통형의 바스켓(basket), 상기 바스켓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 유닛, 상기 바스켓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유닛, 상기 바스켓의 회전 각속도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센서 독(sensor dog), 및 상기 센서 독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sensor), 및 상기 센서 독이 상기 제1 위치와 이격된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기 전에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하면, 상기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바스켓 도어가 상기 입구측 도어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정지하고,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탈수(脫水)된 후에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하면, 상기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바스켓 도어가 상기 출구측 도어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정지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는, 상기 바스켓을 상기 터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바스켓의 전면 및 배면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샤프트(shaft) 및 제2 샤프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제공 유닛은,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 풀리(pulley), 상기 터브의 바깥에서 상기 제1 샤프트와 동축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된 종동 풀리, 및 상기 주동 풀리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풀리에 전달되도록 상기 주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감아 연결하는 벨트(belt)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독은 상기 종동 풀리의 외주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상기 제1 샤프트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이고,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상기 바스켓의 회전 각속도가 미리 정한 기준 각속도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2 샤프트와 동축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에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drum), 및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하나가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하면 상기 바스켓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 접촉되는 브레이크 블록(block)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도어는,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각각 힌지(hinge)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 제1 도어판(door plate) 및 제2 도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어판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에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크(hook)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후크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통공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면,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에 원심력이 가해져 상기 후크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후크에 걸려서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과 상기 후크 사이의 각도는 60 내지 65ㅀ 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은 각각 상기 바스켓의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 중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올라가도록 위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내려가도록 아래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1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1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1 빗장쇠(steel bar)를 구비한 제1 보강 잠금 유닛, 및 상기 제2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2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2 빗장쇠를 구비한 제2 보강 잠금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의 터브(tub)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세탁수가 통과 가능한 다수의 측면 통공과, 세탁물이 통과 가능한 하나의 측면 개구가 형성된 바스켓 측면, 및 상기 바스켓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바스켓 도어(door)를 구비하고, 상기 바스켓 도어는, 상기 바스켓 측면에 각각 힌지(hinge)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 제1 도어판(door plate) 및 제2 도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어판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에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크(hook)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후크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통공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면,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에 원심력이 가해져 상기 후크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후크에 걸려서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이 분리되지 않는 바스켓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과 상기 후크 사이의 각도는 60 내지 65ㅀ 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은 각각 상기 바스켓의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 중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올라가도록 위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내려가도록 아래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도어는, 상기 제1 도어판의 외측면에 탑재된 것으로, 상기 제2 도어판의 힌지를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와, 눌려지면 상기 제1 도어판 및 걸림 돌기를 상기 바스켓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가압하는 누름 버튼(button)을 구비한 버튼형 개폐기구, 및 일 측 단부는 상기 제2 도어판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걸림 돌기에 간섭되도록 연장된 간섭 브라켓(bracket)을 더 구비하고,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통공에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간섭 브라켓의 타 측 단부를 덮어서 상기 타 측 단부와 겹쳐지면 상기 바스켓 도어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누름 버튼이 눌려져서 상기 제1 도어판 및 걸림 돌기가 상기 바스켓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간섭 브라켓의 타 측 단부와 상기 걸림 돌기가 겹쳐지지 않고 상기 후크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후크에 걸리지 않게 되면 상기 제2 도어판이 상기 바스켓의 바깥으로 열릴 수 있다.
상기 버튼형 개폐기구는, 상기 걸림 돌기를 일 측 단부에 구비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제1 도어판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을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 눌려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1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1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1 빗장쇠(steel bar)를 구비한 제1 보강 잠금 유닛, 및 상기 제2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2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2 빗장쇠를 구비한 제2 보강 잠금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기에 앞서 바스켓 도어가 입구측 도어에 정확하게 정렬되고, 세탁물의 탈수를 마친 후에는 바스켓 도어가 출구측 도어에 정확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세탁 작업이 용이해지고 세탁 작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도 향상된다.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바스켓 도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바스켓 도어가 2 부분으로 분리되어 개방되므로, 입구측 도어 및 출구측 도어와 바스켓 도어가 간섭되지 않고 바스켓 측면의 측면 개구가 활짝 개방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투입 및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하고, 세탁 작업의 속도가 향상되며, 입구측 도어 및 출구측 도어의 힌지를 포함한 개폐 구조를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어 내구성과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바스켓 도어는, 바스켓 도어의 잠금(locking) 및 잠금 해제(unlocking)가 용이하고, 의도치 않게 잠금이 해제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바스켓 도어의 잠금 신뢰성이 높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보강 잠금 유닛을 더 구비하면, 바스켓 도어의 잠금 신뢰성이 더욱 높아진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의 사시도로서, 도 2는 전방에서 본 그림이고 도 3은 후방에서 본 그림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를 IV-IV 및 V-V 에 따라 절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의 터브(tub)와 바스켓(basket)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바스켓 도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X-X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버튼형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의 사시도로서, 도 2는 전방에서 본 그림이고 도 3은 후방에서 본 그림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를 IV-IV 및 V-V 에 따라 절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의 터브(tub)와 바스켓(basket)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20)는, 프레임(frame)(21)과, 상기 프레임(21)에 양 단부가 고정 지지된 원통형의 터브(tub)(30)와, 상기 터브(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30)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바스켓(basket)(40)과, 동력 제공 유닛(unit)(95)과, 브레이크 유닛(brake unit)(110)과, 콘트롤러(controller)(미도시)를 구비한다.
터브(30)는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는 것으로, 프레임(21)의 전방 지지판(23)에 원형의 터브 전면(31)이 결합 지지되고, 프레임(21)의 후방 지지판(25)에 원형의 터브 배면(32)이 결합 지지된다. 관형(管形)의 터브 측면(33)의 전단은 터브 전면(31)에 용접 접합되고, 터브 측면(33)의 후단은 터브 배면(32)에 용접 접합된다. 터브 측면(33)의 일 측에는 세탁물, 즉 오염된 방진복이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폐 가능한 입구측 도어(entrance door)(35)가 마련되고, 터브 측면(33)의 타 측에는 세탁이 끝난 세탁물이 취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출구측 도어(exit door)(37)가 마련된다.
프레임(21)의 전면에 마련된 유지보수용 전면 도어(미도시)를 열면 상기 전방 지지판(23)과, 전방 지지판(23)에 고정 지지된 터브 전면(31)이 노출되고, 프레임(21)의 배면에 마련된 유지보수용 배면 도어(27)를 열면 상기 후방 지지판(25)과, 후방 지지판(25)에 고정 지지된 터브 배면(32)이 노출된다. 참조번호 28은 외부에서 터브(30)의 내부 공간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 급수 튜브(tube)를 가리키고, 참조번호 29는 터브(3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세탁수 배수 튜브를 가리킨다.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20)는 입구측 도어(35)가 노출되는 일 측 공간과 출구측 도어(37)가 노출되는 타 측 공간을 분리하는 벽(wall)(1)(도 1 참조)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벽(1)을 기준으로 입구측 도어(35)가 노출되는 일 측 공간의 청정도가, 출구측 도어(37)가 노출되는 타 측 공간의 청정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입구측 도어(35)가 노출되는 일 측 공간은 3000 class 수준의 룸(room)이고, 출구측 도어(37)가 노출되는 타 측 공간은 1000 class 수준의 룸일 수 있다.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며, 바스켓(40)의 측면(41)에는 다수의 측면 통공(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 급수 튜브(28)를 통해 터브(30)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에도 그 세탁수가 채워지고, 세탁수 배수 튜브(29)를 통해 세탁수가 터브(30)의 바깥으로 배출되면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에 수용된 세탁수도 터브(30)의 바깥으로 배출된다.
바스켓(40)은 제1 샤프트(shaft)(91)와 제2 샤프트(92)에 의해 터브(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샤프트(91)는 바스켓(40)의 전면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터브 전면(31)을 관통하도록 Y축 양(+)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샤프트(92)는 바스켓(40)의 배면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터브 배면(32)를 관통하도록 Y축 음(-)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샤프트(91)와 제2 샤프트(92)는 바스켓(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상의 회전 축선(RX)을 따라 연장된다.
동력 제공 유닛(95)은 바스켓(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동력 제공 유닛(95)은 전동 모터(96)와, 상기 전동 모터(96)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 풀리(pulley)(97)와, 터브(30)의 바깥, 구체적으로 터브 전면(31)의 바깥에서 제1 샤프트(91)와 동축(同軸)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91)에 결합된 종동 풀리(98)와, 상기 주동 풀리(97)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풀리(98)에 전달되도록 상기 주동 풀리(97)와 종동 풀리(98)를 감아 연결하는 벨트(belt)(99)를 구비한다. 명확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동력 제공 유닛(95)은 전동 모터(96)의 모터 샤프트(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주동 풀리(97)에 전달하는 감속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브레이크 유닛(110)은 바스켓(40)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바스켓(4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킨다. 브레이크 유닛(110)은, 제2 샤프트(92)와 동축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92)에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drum)(111)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111)에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되는 브레이크 블록(block)(113)을 구비한다. 바스켓(40)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브레이크 블록(113)이 브레이크 드럼(111)에 마찰 접촉을 유지하면 바스켓(40)의 회전이 정지되며, 바스켓(40)의 회전이 정지되기 전에 브레이크 블록(113)이 브레이크 드럼(111)에서 이격되면 바스켓(4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된다. 브레이크 블록(113)이 브레이크 드럼(111)에 마찰 접촉될 때 상기 전동 모터(96)는 동력 제공을 중단한다.
콘트롤러(미도시)는 동력 제공 유닛(95)의 전동 모터(96)와, 브레이크 유닛(110)의 브레이크 블록(1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에 세탁물이 투입되고, 지시 입력 수단(미도시)을 통해 세탁 지시가 입력되면 세탁수와 세제가 터브(30)에 공급되고, 콘트롤러가 전동 모터(96)를 동작시켜 바스켓(40)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상기 세탁물의 세탁이 진행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바스켓(40)이 고속 회전하여 세탁 과정이 끝나면 콘트롤러가 전동 모터(96)의 동력 제공을 중단시키고, 브레이크 블록(113)을 브레이크 드럼(111)에 마찰 접촉시켜 바스켓(4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후에 터브(30) 내부에 채워진 세탁수가 터브(30)의 외부로 배수되고, 콘트롤러가 전동 모터(96)를 다시 동작시켜 바스켓(4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탈수(脫水)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바스켓(40)이 고속 회전하여 탈수 과정이 끝나면 콘트롤러가 전동 모터(96)의 동력 제공을 중단시키고, 브레이크 블록(113)을 브레이크 드럼(111)에 다시 마찰 접촉시켜 바스켓(4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세탁 과정이 끝난 후에 또는 탈수 과정이 끝난 후에 브레이크 블록(113)을 브레이크 드럼(111)에 마찰 접촉시켜서 바스켓(4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전동 모터(96)의 동력 제공을 차단한 상태로 바스켓(40)의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 바스켓(40)의 회전 속도를 자연 감속시킬 수도 있다.
바스켓(40)의 측면(41)에는 개폐 가능한 바스켓 도어(49A)가 마련된다. 바스켓 도어(49A)는 입구측 도어(35) 및 출구측 도어(37)의 개수와 동일하게 2개가 구비된다. 세탁 과정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바스켓 도어(49A)가 입구측 도어(35)와 마주보도록 정렬되어야 하고, 세탁과 탈수 과정이 끝난 세탁물을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에서 외부로 취출하기 위해서는 바스켓 도어(49A)가 출구측 도어(37)와 마주보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20)는 세탁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는 바스켓 도어(49A)를 입구측 도어(35)에 정확히 정렬시키고, 세탁과 탈수 과정이 끝난 후에는 바스켓 도어(49A)를 출구측 도어(37)에 정확히 정렬시키는 수단으로, 센서 독(sensor dog)(101), 제1 센서(104), 및 제2 센서(107)를 구비한다. 센서 독(101)은 종동 풀리(98)의 외주부에 고정 결합되어서,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바스켓(40)의 회전 각속도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한다. 제1 센서(104)는 센서 독(101)이 회전하면서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고, 제2 센서(107)는 상기 센서 독(101)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이격된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한다.
제1 센서(104) 및 제2 센서(107)는 제1 샤프트(91)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이다. 부연하면, 제1 센서(104)와 제2 센서(107)는 빛을 투사하는 발광부(發光部)와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受光部)를 구비한다. 제1 센서(104)와 제2 센서(107)의 발광부에서 투사되는 빛은 상기 회전 축선(RX)을 향한다. 바스켓(40)과 동축 회전하는 센서 독(101)이 제1 센서(104)의 발광부와 마주보게 되면, 상기 발광부에서 투사된 빛이 센서 독(101)에 반사되어 제1 센서(104)의 수광부에 수광되며, 이로 인해 센서 독(101)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된다. 마찬가지로, 바스켓(40)과 동축 회전하는 센서 독(101)이 제2 센서(107)의 발광부와 마주보게 되면, 상기 발광부에서 투사된 빛이 센서 독(101)에 반사되어 제2 센서(107)의 수광부에 수광되며, 이로 인해 센서 독(101)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된다.
상기 콘트롤러(미도시)는 제1 센서(104) 및 제2 센서(107) 중 미리 지정된 하나가 센서 독(101)을 감지하면, 브레이크 유닛(110)의 브레이크 블록(113)을 동작시켜 바스켓 도어(49A)가 입구측 도어(35) 및 출구측 도어(37) 중 미리 지정된 하나와 정렬되도록 바스켓(4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부연하면,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에서 외부로 세탁물이 취출된 이후에 상기 바스켓 내부 공간(45)에 세탁물이 다시 투입되기 전에, 콘트롤러는 전동 모터(96)를 잠시 동안 동작시켜 바스켓(40)을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바스켓(40)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제1 센서(104)가 센서 독(101)을 감지하면,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브레이크 블록(113)을 브레이크 드럼(111)에 강한 힘으로 마찰 접촉시킨다. 그리하면, 제1 센서(104)에 의해 제1 위치에 위치한 센서 독(101)이 감지됨과 거의 동시에 상기 바스켓(40)의 회전이 정지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도어(49A)는 입구측 도어(35)와 마주보도록 정확히 정렬된다. 바스켓 도어(49A)를 입구측 도어(35)와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경우에 상기 콘트롤러는 제2 센서(107)의 감지 신호는 무시하고, 제1 센서(104)의 감지 신호에만 기초하여 브레이크 블록(113)을 작동시킨다.
바스켓(40)의 내부 공간(45)에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로 바스켓(40)이 고속 회전하여 세탁과 탈수가 종료되면, 바스켓(40)의 회전 속도가 점차 감속되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바스켓(40)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제2 센서(107)까 센서 독(101)을 감지하면,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브레이크 블록(113)을 브레이크 드럼(111)에 강한 힘으로 마찰 접촉시킨다. 그리하면, 제2 센서(107)에 의해 제2 위치에 위치한 센서 독(101)이 감지됨과 거의 동시에 상기 바스켓(40)의 회전이 정지되고, 바스켓 도어(49A)는 출구측 도어(37)와 마주보도록 정확히 정렬된다. 바스켓 도어(49A)를 출구측 도어(37)와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경우에 상기 콘트롤러는 제1 센서(104)의 감지 신호는 무시하고, 제2 센서(107)의 감지 신호에만 기초하여 브레이크 블록(113)을 작동시킨다.
제1 센서(104)와 제2 센서(107)는, 바스켓(40)의 회전 각속도가 미리 정한 기준 각속도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센서 독(101)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다. 상기 기준 각속도는 브레이크 블록(113)이 브레이크 드럼(111)에 강하게 밀착될 때 바스켓(40)의 회전이 즉시 정지될 수 있는 낮은 속도로, 즉 충분히 작은 저속으로 설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기준 각속도가 너무 높으면, 제1 센서(104) 및 제2 센서(107) 중 하나에 의해 센서 독(101)이 감지됨과 거의 동시에 브레이크 블록(113)이 브레이크 드럼(111)에 강하게 밀착되더라도 바스켓(40)의 회전 관성이 커서 바스켓(40)의 회전이 즉시 정지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바스켓 도어(49A)가 입구측 도어(35) 및 출구측 도어(37) 중 하나와 마주보도록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바스켓 도어(49A)는 바스켓(40)의 측면(41)에 형성된 측면 개구(開口)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 도어판(door plate)(50), 제1 힌지(hinge)(57), 제2 도어판(70), 및 제2 힌지(77)를 구비한다. 제1 도어판(50)은 제1 힌지(57)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바스켓(40)의 측면(41)에 결합되고, 제2 도어판(70)은 제2 힌지(77)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바스켓(40)의 측면(41)에 결합된다.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는 회전 축선(RX)과 평행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직선 모서리(46a, 46b)와,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굴곡 모서리(미도시)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한정된다. 상기 제1 힌지(57)는 고정측 힌지편(hinge piece)(58)과, 상기 고정측 힌지편(58)에 대해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측 힌지편(59)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측 힌지편(58)은 상기 한 쌍의 직선 모서리(46a, 46b) 중 하나의 모서리(46a) 주변의 외측면에 볼트(bolt)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1 도어판(50)은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면적의 절반보다 약간 큰 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형의 금속판으로서,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굴곡된다.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다수의 측면 통공(42)이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도어판(50)에도 상기 제1 도어판(5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도어판 통공(55)이 형성된다.
제1 도어판(50)은 회전 축선(RX)과 평행하며 서로 이격된 내측 모서리(51)와 말단 모서리(52), 및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굴곡 모서리(54)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한정된다. 상기 내측 모서리(51)는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직선 모서리(46a)와 근접하여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 힌지(57)의 회동측 힌지편(59)은 상기 내측 모서리(51) 주변의 외측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1 도어판(50)은 말단 모서리(52)에 바스켓(40)의 외측, 즉 회전 축선(RX)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복수의 후크(hook)(53)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후크(53)는 도 7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 모서리(52)에서 돌출된 돌기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측 모서리(51), 말단 모서리(52), 및 한 쌍의 굴곡 모서리(54)에 의해 한정되는 제1 도어판(50)의 본체, 구제척으로 제1 도어판(50)의 말단 모서리(52)의 주변과, 후크(53) 사이의 각도(AH)는 60 내지 65ㅀ이다.
상기 제2 힌지(77)는 제1 힌지(57)와 마찬가지로 고정측 힌지편(78)과, 상기 고정측 힌지편(78)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측 힌지편(79)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측 힌지편(78)은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한 쌍의 직선 모서리(46a, 46b) 중 다른 하나의 모서리(46b) 주변의 외측면에 볼트(bolt)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2 도어판(70)은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면적의 절반보다 약간 큰 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형의 금속판으로서,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굴곡된다.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다수의 측면 통공(42)이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2 도어판(70)에도 상기 제2 도어판(7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도어판 통공(75)이 형성된다.
제2 도어판(70)은 회전 축선(RX)과 평행하며 서로 이격된 내측 모서리(71)와 말단 모서리(72), 및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굴곡 모서리(74)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한정된다. 상기 내측 모서리(71)는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직선 모서리(46b)와 근접하여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 힌지(77)의 회동측 힌지편(79)은 상기 내측 모서리(71) 주변의 외측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2 도어판(70)의 말단 모서리(72)의 주변에는 제1 도어판(50)의 복수의 후크(53)가 끼워지도록 제2 도어판(7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후크 통공(73)이 형성된다.
제1 도어판(50) 및 제2 도어판(70)은 각각 바스켓(40)의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다. 다시 말해,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52, 72)가 회전 축선(RX)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이를 위하여, 예컨대, 일 단은 바스켓 측면(41)에, 타 단은 제1 도어판(50) 및 제2 도어판(70)에 지지된 스프링(spring)(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도어(49A)가 입구측 도어(35)와 정렬되게 위치한 때에는, 제1 도어판(50)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52)가 내려가도록 아래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제2 도어판(70)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72)가 올라가도록 위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그러나, 바스켓 도어(49A)가 출구측 도어(37)(도 3 참조)와 정렬되게 위치한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제1 도어판(50)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52)가 올라가도록 위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제2 도어판(70)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72)가 내려가도록 아래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작업자가 상기 제2 도어판(70)의 말단 모서리(72) 주변이 제1 도어판(50)의 말단 모서리(52) 주변을 덮도록 제2 도어판(70)을 제1 도어판(50)의 위로 올리고, 제2 도어판(70)의 말단 모서리(72)의 주변부를 바스켓(40)의 내측, 즉 회전 축선(R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면 복수의 후크(53)가 복수의 후크 통공(73)에 끼워져서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가 폐쇄된다. 작업자가 제1 도어판(50) 및 제2 도어판(70)에서 손을 떼면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제1 힌지(57) 및 제2 힌지(77)를 중심으로 바깥 방향으로 탄성 회전하면서 복수의 후크 통공(73)의 내주면이 복수의 후크(53)에 걸려서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며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잠금(locking)된다.
복수의 후크(53)가 복수의 후크 통공(73)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바스켓(40)이 고속 회전하더라도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바깥으로 열리는 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복수의 후크 통공(73)의 내주면이 복수의 후크(53)에 걸려서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바스켓(40)의 회전이 멈춘 후에 작업자가 제1 도어판(50)의 복수의 후크(53) 또는 말단 모서리(52)의 주변부를 바스켓(40)의 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복수의 후크(53)가 복수의 후크 통공(73)에서 빼내져서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분리된다. 즉,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의 잠금이 해제(unlocking)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1 도어판(50) 및 제2 도어판(70)에서 손을 떼면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제1 힌지(57) 및 제2 힌지(77)를 중심으로 바깥 방향으로 탄성 회전하면서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가 개방된다.
상기 후크(53)가 절곡된 각도(AH)가 60ㅀ보다 작으면, 후크 통공(73)에 후크(53)를 끼워 넣기 위해 제2 도어판(70)을 바스켓(40)의 내측으로 보다 깊이 눌러야 하는데, 제1 도어판(50)의 말단 모서리(52)와 제2 도어판(70)의 말단 모서리(72)가 이격되면서 상기 후크(53)가 후크 통공(73)에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후크(53)가 절곡된 각도(AH)가 60ㅀ보다 크면 바스켓(40)이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바스켓(40)의 바깥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후크(53)가 후크 통공(73)에서 빠져나와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분리되면서, 의도치 않게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의 잠금이 해제(unlocking)될 수 있다.
바스켓(40)은, 제1 도어판(5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판(50)의 열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1 보강 잠금 유닛(60)과, 제2 도어판(70)이 닫힌 상태에서 제2 도어판(70)의 열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2 보강 잠금 유닛(80)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제1 보강 잠금 유닛(60)은 각각, 제1 도어판(50)을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연계시켜 제1 도어판(50)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1 빗장쇠(steel bar)(61)와, 제1 도어판(50)의 외측면에 고정 체결되며 제1 빗장쇠(61)의 직선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guide bracket)(63)과, 바스켓 측면(41)의 외측면에 고정 체결되며 제1 빗장쇠(61)의 말단부가 끼워지는 잠금 브라켓(locking bracket)(68)을 구비한다.
제1 빗장쇠(61)는 회전 축선(RX)과 평행한 방향, 즉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63)에 대해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빗장쇠(61)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잡고 제1 빗장쇠(61)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빗장쇠(6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조작 핀(pin)(62)이 체결 고정된다.
가이드 브라켓(63)의 중앙부에는 제1 빗장쇠(61)가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빗장쇠 홀(hole)(6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63)의 주변부가 볼트에 의해 제1 도어판(50)에 체결 고정된다. 가이드 브라켓(63)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작 핀(62)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만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파여진 핀 슬롯(slot)(65)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 핀(62)이 핀 슬롯(65)의 일 측 말단에 위치하면 제1 빗장쇠(61)의 말단이 제1 도어판(50)의 굴곡 모서리(54)를 넘어 돌출된다.
반면, 상기 조작 핀(62)이 핀 슬롯(65)의 타 측 말단에 위치하면 제1 빗장쇠(61)의 말단이 제1 도어판(50)의 굴곡 모서리(54)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조작 핀(62)이 상기 핀 슬롯(65)의 일 측 말단에 위치한 때 제1 빗장쇠(61)의 위치는 잠금 위치가 되고, 상기 조작 핀(62)이 상기 핀 슬롯(65)의 타 측 말단에 위치한 때 제1 빗장쇠(61)의 위치는 잠금 해제 위치가 된다.
핀 슬롯(65)의 일 측 말단과 타 측 말단에는 제1 빗장쇠(61)를 자신의 중심 축선(미도시)에 대해 회전시키면 조작 핀(62)이 끼워지도록 상기 핀 슬롯(65)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파인 잠금 위치 고정 홈(groove)(66)과 잠금 해제 위치 고정 홈(67)이 형성된다. 즉, 조작 핀(62)이 상기 잠금 위치 고정 홈(66)에 끼워져 안착되면 제1 빗장쇠(61)는 자신의 말단이 제1 도어판(50)의 굴곡 모서리(54)를 넘어 돌출된 잠금 위치에 고정되고, 조작 핀(62)이 상기 잠금 해제 위치 고정 홈(67)에 끼워져 안착되면 제1 빗장쇠(61)는 자신의 말단이 제1 도어판(50)의 굴곡 모서리(54)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 잠금 해제 위치에 고정된다.
잠금 브라켓(68)은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연결되어 바스켓 도어(49A)가 닫힌 때 상기 제1 도어판(50)의 굴곡 모서리(54)와 마주보는,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굴곡 모서리(미도시)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바스켓 도어(49A)가 닫힌 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63)과 잠금 브라켓(68)은 제1 빗장쇠(6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잠금 브라켓(68)의 중앙부에는 제1 빗장쇠(61)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빗장쇠(61)의 말단이 삽입되는 빗장쇠 홀(69)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브라켓(68)의 주변부가 볼트에 의해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체결 고정된다.
제1 보강 잠금 유닛(60)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보강 잠금 유닛(80)은 각각, 제2 도어판(70)을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연계시켜 제2 도어판(70)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2 빗장쇠(81)와, 제2 도어판(70)의 외측면에 고정 체결되며 제2 빗장쇠(81)의 직선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83)과, 바스켓 측면(41)의 외측면에 고정 체결되며 제2 빗장쇠(81)의 말단부가 끼워지는 잠금 브라켓(88)을 구비한다.
제2 빗장쇠(81)는 회전 축선(RX)과 평행한 방향, 즉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83)에 대해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빗장쇠(81)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잡고 제2 빗장쇠(81)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 빗장쇠(8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조작 핀(82)이 체결 고정된다.
가이드 브라켓(83)의 중앙부에는 제2 빗장쇠(81)가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빗장쇠 홀(8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83)의 주변부가 볼트에 의해 제2 도어판(70)에 체결 고정된다. 가이드 브라켓(83)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작 핀(82)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만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파여진 핀 슬롯(85)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 핀(82)이 핀 슬롯(85)의 일 측 말단에 위치하면 제2 빗장쇠(81)의 말단이 제2 도어판(70)의 굴곡 모서리(74)를 넘어 돌출된다.
반면, 상기 조작 핀(82)이 핀 슬롯(85)의 타 측 말단에 위치하면 제2 빗장쇠(81)의 말단이 제2 도어판(70)의 굴곡 모서리(74)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조작 핀(82)이 상기 핀 슬롯(85)의 일 측 말단에 위치한 때 제2 빗장쇠(81)의 위치는 잠금 위치가 되고, 상기 조작 핀(82)이 상기 핀 슬롯(85)의 타 측 말단에 위치한 때 제2 빗장쇠(81)의 위치는 잠금 해제 위치가 된다.
핀 슬롯(85)의 일 측 말단과 타 측 말단에는 제2 빗장쇠(81)를 자신의 중심 축선(미도시)에 대해 회전시키면 조작 핀(82)이 끼워지도록 상기 핀 슬롯(85)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파인 잠금 위치 고정 홈(86)과 잠금 해제 위치 고정 홈(87)이 형성된다. 즉, 조작 핀(82)이 상기 잠금 위치 고정 홈(86)에 끼워져 안착되면 제2 빗장쇠(81)는 자신의 말단이 제2 도어판(70)의 굴곡 모서리(74)를 넘어 돌출된 잠금 위치에 고정되고, 조작 핀(82)이 상기 잠금 해제 위치 고정 홈(87)에 끼워져 안착되면 제2 빗장쇠(81)는 자신의 말단이 제2 도어판(70)의 굴곡 모서리(74)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 잠금 해제 위치에 고정된다.
잠금 브라켓(88)은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연결되어 바스켓 도어(49A)가 닫힌 때 상기 제2 도어판(70)의 굴곡 모서리(74)와 마주보는,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굴곡 모서리(미도시)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바스켓 도어(49A)가 닫힌 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83)과 잠금 브라켓(88)은 제2 빗장쇠(8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잠금 브라켓(88)의 중앙부에는 제2 빗장쇠(81)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빗장쇠(81)의 말단이 삽입되는 빗장쇠 홀(89)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브라켓(88)의 주변부가 볼트에 의해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체결 고정된다.
작업자는 제1 도어판(50)의 복수의 후크(53)를 제2 도어판(70)의 복수의 후크 통공(73)에 끼워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을 연결함으로써 바스켓 도어(49A)를 폐쇄하고, 제1 빗장쇠(61)의 조작 핀(62)과 제2 빗장쇠(81)의 조작 핀(82)을 밀어 잠금 위치 고정 홈(66, 86)에 안착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바스켓 도어(49A)를 더욱 견고하게 잠글 수 있다. 세탁과 탈수가 끝난 후에 작업자는 제1 빗장쇠(61)의 조작 핀(62)과 제2 빗장쇠(81)의 조작 핀(82)을 당겨서 잠금 해제 위치 고정 홈(76, 87)에 안착 고정시킴으로써 제1 보강 잠금 유닛(60)과 제2 보강 잠금 유닛(80)을 잠금 해제(unlocking)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20)는, 세탁물을 투입하기에 앞서 바스켓 도어(49A)가 입구측 도어(35)에 정확하게 정렬되고, 세탁물의 탈수를 마친 후에는 바스켓 도어(49A)가 출구측 도어(37)에 정확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세탁 작업이 용이해지고 세탁 작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도 향상된다.
또한, 바스켓 도어(49A)가 2 부분으로 분리되어 개방되므로, 입구측 도어(35) 및 출구측 도어(37)와 바스켓 도어(49A)가 간섭되지 않고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가 활짝 개방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투입 및 세탁물의 취출이 용이하고, 세탁 작업의 속도가 향상되며, 입구측 도어(35) 및 출구측 도어(37)의 힌지를 포함한 개폐 구조를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어 내구성과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바스켓 도어(49A)는 제1 도어판(50) 및 제2 도어판(50)을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바스켓 도어(49A)의 잠금(locking) 및 잠금 해제(unlocking)가 용이하고, 의도치 않게 잠금이 해제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바스켓 도어(49A)의 잠금 신뢰성이 높다. 게다가, 제1 보강 잠금 유닛(60) 및 제2 보강 잠금 유닛(8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바스켓 도어(49(의 잠금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바스켓 도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를 X-X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버튼형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 도어(49B)는 도 6에 도시된 바스켓 도어(49A)를 대체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스켓(40)의 측면(41)에 설치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 6 내지 도 8에 표시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서로 동일한 구성 요소이므로,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도어(49B)는 바스켓(40)의 측면(41)에 형성된 측면 개구(開口)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 도어판(50), 제1 힌지(57), 제2 도어판(70), 및 제2 힌지(77), 버튼형 개폐기구(120), 및 간섭 브라켓(bracket)(136)을 구비한다. 제1 도어판(50)은 제1 힌지(57)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바스켓(40)의 측면(41)에 결합되고, 제2 도어판(70)은 제2 힌지(77)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바스켓(40)의 측면(41)에 결합된다.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는 회전 축선(RX)(도 4 및 도 5 참조)과 평행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직선 모서리(46a, 46b)와,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굴곡 모서리(미도시)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한정된다. 상기 제1 힌지(57)는 고정측 힌지편(58)과, 상기 고정측 힌지편(58)에 대해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측 힌지편(59)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측 힌지편(58)은 상기 한 쌍의 직선 모서리(46a, 46b) 중 하나의 모서리(46a) 주변의 외측면에 복수의 볼트(bolt)(151)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1 도어판(50)은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면적의 절반보다 약간 큰 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형의 금속판으로서,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굴곡된다.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다수의 측면 통공(42)(도 6 참조)이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도어판(50)에도 상기 제1 도어판(5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도어판 통공(55)이 형성된다.
제1 도어판(50)은 상기 회전 축선(RX)과 평행하며 서로 이격된 내측 모서리(51)와 말단 모서리(52), 및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굴곡 모서리(54)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한정된다. 상기 내측 모서리(51)는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직선 모서리(46a)와 근접하여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 힌지(57)의 회동측 힌지편(59)은 상기 내측 모서리(51) 주변의 외측면에 복수의 볼트(152)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1 도어판(50)은 말단 모서리(52)에 바스켓(40)의 외측, 즉 상기 회전 축선(RX)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복수의 후크(hook)(53)를 구비한다. 내측 모서리(51), 말단 모서리(52), 및 한 쌍의 굴곡 모서리(54)에 의해 한정되는 제1 도어판(50)의 본체, 구제척으로 제1 도어판(50)의 말단 모서리(52)의 주변과, 후크(53) 사이의 각도(AH)(도 6 참조)는 60 내지 65ㅀ이다.
상기 제2 힌지(77)는 제1 힌지(57)와 마찬가지로 고정측 힌지편(78)과, 상기 고정측 힌지편(78)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측 힌지편(79)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측 힌지편(78)은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한 쌍의 직선 모서리(46a, 46b) 중 다른 하나의 모서리(46b) 주변의 외측면에 복수의 볼트(153)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2 도어판(70)은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면적의 절반보다 약간 큰 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형의 금속판으로서,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굴곡된다. 상기 바스켓 측면(41)에 다수의 측면 통공(42)(도 6 참조)이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2 도어판(70)에도 상기 제2 도어판(7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도어판 통공(75)이 형성된다.
제2 도어판(70)은 상기 회전 축선(RX)과 평행하며 서로 이격된 내측 모서리(71)와 말단 모서리(72), 및 상기 회전 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굴곡 모서리(74)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한정된다. 상기 내측 모서리(71)는 상기 바스켓 측면(41)의 측면 개구의 직선 모서리(46b)와 근접하여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 힌지(77)의 회동측 힌지편(79)은 상기 내측 모서리(71) 주변의 외측면에 복수의 볼트(154)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2 도어판(70)의 말단 모서리(72)의 주변에는 제1 도어판(50)의 복수의 후크(53)가 끼워지도록 제2 도어판(7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후크 통공(73)이 형성된다.
제1 도어판(50) 및 제2 도어판(70)은 각각 바스켓(40)의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다. 다시 말해,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52, 72)가 상기 회전 축선(RX)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바스켓 도어(49B)는 제1 도어판(50)을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1 코일 스프링(141)과, 제2 도어판(70)을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2 코일 스프링(143)을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힌지(57)의 고정측 힌지편(58)과 회동측 힌지편(59)의 외측 모서리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고정측 및 회동측 스프링 브라켓(58b, 59b)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코일 스프링(141)의 일 측에서 직선 연장된 일 측 직선 단부(142a)는 상기 고정측 스프링 브라켓(58b)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141)의 타 측에서 직선 연장된 타 측 직선 단부(142b)는 상기 회동측 스프링 브라켓(59b)에 걸려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힌지(77)의 고정측 힌지편(78)과 회동측 힌지편(79)의 외측 모서리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고정측 및 회동측 스프링 브라켓(78b, 79b)이 마련된다. 상기 제2 코일 스프링(143)의 일 측에서 직선 연장된 일 측 직선 단부(144a)는 상기 고정측 스프링 브라켓(78b)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143)의 타 측에서 직선 연장된 타 측 직선 단부(144b)는 상기 회동측 스프링 브라켓(79b)에 걸려 지지된다.
버튼형 개폐기구(120)는 제1 도어판(50)의 외측면에 탑재되며, 판 스프링(plate spring)(124), 고정 브라켓(130), 및 누름 버튼(push button)(121)을 구비한다. 판 스프링(124)은 일 측 단부(125)와 타 측 단부(127)의 중간 부분(128)이 곡선 경로를 따라 접어져서 상기 일 측 단부(125)가 상기 타 측 단부(127)와 이격되게 상기 타 측 단부(127)의 상측에 배치된 스프링이다. 상기 일 측 단부(125)에는 한 쌍의 이격된 걸림 돌기(126)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26)는 상기 제2 힌지(77)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타 측 단부(127)는 제1 도어판(50)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누름 버튼(121)은 판 스프링(124)의 일 측 단부(125)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의 상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상기 누름 버튼(121)은 제1 도어판(50)의 외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23)와, 상기 돌기부(1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확장된 플랜지부(flange portion)(122)를 구비한다.
고정 브라켓(130)은, 상기 누름 버튼(12)의 돌기부(123)는 관통하나 상기 플랜지부(122)는 관통하지 못하는 버튼 통공(미도시)이 형성된 버튼 홀더(holder)(131)와,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 홀더(131)의 양 측에 상기 버튼 홀더(131)보다 상기 제1 도어판(50)에 더 가깝게 위치한 한 쌍의 볼트 체결판(133)과, 상기 버튼 홀더(131)와 한 쌍의 볼트 체결판(133)을 높이 차이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다리(134)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판(133)과 제1 도어판(50)을 관통하도록 한 쌍의 볼트(135)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130)이 제1 도어판(5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판(133)의 일 부분이 판 스프링(124)의 타 측 단부(127)를 상기 제1 도어판(50)의 외측면 측으로 밀착 가압하므로 상기 타 측 단부(127)가 제1 도어판(50)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다만, 상기 타 측 단부(127)는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도어판(50)의 외측면에 접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 홀더(131)는 상기 판 스프링(124)의 일 측 단부(125)에 가까운 일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누름 버튼(121)의 돌기부(123)는 상기 버튼 홀더(131)의 버튼 통공을 관통하여 제1 도어판(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나, 누름 버튼(121)의 플랜지부(122)는 상기 버튼 홀더(131)의 버튼 통공을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판 스프링(124)의 일 부분과 버튼 홀더(131)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 버튼(121)은 판 스프링(124)에 의해 눌려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제1 도어판(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지만, 상기 고정 브라켓(130)과 판 스프링(124)으로부터 분리 이탈될 수는 없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121)이 눌려지면 한 쌍의 걸림 돌기(126)를 포함한 판 스프링(124)의 일 측 단부(125), 및 제1 도어판(50)이 상기 바스켓(4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가압된다.
간섭 브라켓(136)은 제2 도어판(7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일 측 단부(137)와,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26)에 간섭되도록 상기 제2 도어판(70)의 외측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일 측 단부(13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타 측 단부(138)를 구비한다. 상기 일 측 단부(137)는 용접에 의해 상기 제2 도어판(70)의 외측면에 접합되거나, 볼트(미도시) 체결에 의해 제2 도어판(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섭 브라켓(136)은 판 스프링(124)의 소재와 동일한 금속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후크(53)가 상기 복수의 후크 통공(73)에 끼워져 연결되고 한 쌍의 걸림 돌기(126)가 간섭 브라켓(136)의 타 측 단부(138)를 덮어서 상기 타 측 단부(138)와 겹쳐지면, 상기 바스켓 도어(49B)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각각 제1 힌지(57)와 제2 힌지(77)를 중심으로 바깥으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후크 통공(73)의 내주면이 복수의 후크(53)에 걸려서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바스켓 도어(49B)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도어(49B)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 코일 스프링(141) 및 제2 코일 스프링(143) 중 하나가 파손되거나 대응되는 스프링 브라켓(58b, 59b, 78b, 79b)에서 이탈되어 제1 도어판(50) 및 제2 도어판(70) 중 하나가 탄성 바이어스되지 않는 경우에도 바스켓 도어(49B)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열림이 방지된다.
부연하면, 제1 도어판(50)만 탄성 바이어스되고 제2 도어판(70)은 탄성 바이어스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도어판(70)의 말단 모서리(72) 주변부가 제1 도어판(50)에 지지되어 제2 도어판(70)이 바스켓(40)의 내측으로 회동하지 못하므로, 복수의 후크(53)가 복수의 후크 통공(73)에서 빠지지 않아서 바스켓 도어(49B)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도어판(70)만 탄성 바이어스되고 제1 도어판(50)은 탄성 바이어스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걸림 돌기(126)가 간섭 브라켓(136)의 타 측 단부(138)에 걸려서 제1 도어판(50)이 바스켓(40)의 내측으로 회동하지 못하므로, 복수의 후크(53)가 복수의 후크 통공(73)에서 빠지지 않아서 바스켓 도어(49B)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도어(49B)가 폐쇄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누름 버튼(121)을 누르면 상기 바스켓 도어(49B)는 쉽게 열린다. 부연하면, 상기 누름 버튼(121)이 눌려져서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26)와 제1 도어판(50)이 바스켓(40)의 내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26)가 판 스프링(124)의 중간 부분(128)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간섭 브라켓(136)의 타 측 단부(138)는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26)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간섭 브라켓(136)의 일 측 단부(137)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간섭 브라켓(136)의 타 측 단부(138)와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26)가 겹쳐지지 않게 된다.
누름 버튼(121)이 계속 눌려짐에 따라 상기 제1 도어판(50)이 제1 힌지(57)를 중심으로 바스켓(40)의 내측으로 회동하여 복수의 후크(53)가 상기 회전 축선(RX)의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과 거의 일치하게 세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후크(53)가 복수의 후크 통공(73)의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후크 통공(73)의 내주면이 복수의 후크(53)에 걸리지 않게 되며 바스켓(40)의 바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제2 도어판(70)은 바스켓(40)의 바깥으로 열린다. 이때 상기 작업자가 누름 버튼(121)에서 손을 떼 상기 누름 버튼(121)을 더 이상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도어판(50)도 제1 스프링(141)의 탄성력에 의해 바스켓(40)의 바깥으로 열린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스켓 도어(49B)는 세탁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누름 버튼(121)을 누르는 것만으로 바스켓 도어(49B)를 쉽게 열 수 있다. 또한, 바스켓 도어(49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누름 버튼(121)이 눌려지지 않는 한 바스켓 도어(40B)의 열림이 방지되며, 제1 코일 스프링(141)과 제2 코일 스프링(143) 중 하나가 파손되거나 빠져서 제1 도어판(50)과 제2 도어판(70) 중 하나가 바스켓(40)의 바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지 않는 경우에도 바스켓 도어(49B)의 열림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30: 터브
35, 37: 입구측, 출구측 도어 40: 바스켓
49A, 49B: 바스켓 도어 50, 70: 제1, 제2 도어판
53: 후크 73: 후크 통공
95: 동력 제공 유닛 101: 센서 독
104, 107: 제1, 제2 센서 110: 브레이크 유닛

Claims (17)

  1. 일 측에 개폐 가능한 입구측 도어(door)를, 타 측에 개폐 가능한 출구측 도어를 구비한 원통형의 터브(tub); 상기 터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 내부에 설치되며, 측면에 개폐 가능한 바스켓 도어를 구비한 원통형의 바스켓(basket); 상기 바스켓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 유닛; 상기 바스켓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유닛; 상기 바스켓의 회전 각속도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센서 독(sensor dog); 및, 상기 센서 독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sensor), 및 상기 센서 독이 상기 제1 위치와 이격된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기 전에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하면, 상기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바스켓 도어가 상기 입구측 도어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정지하고,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탈수(脫水)된 후에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하면, 상기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바스켓 도어가 상기 출구측 도어와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을 상기 터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바스켓의 전면 및 배면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샤프트(shaft) 및 제2 샤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공 유닛은,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 풀리(pulley), 상기 터브의 바깥에서 상기 제1 샤프트와 동축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된 종동 풀리, 및 상기 주동 풀리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풀리에 전달되도록 상기 주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감아 연결하는 벨트(belt)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독은 상기 종동 풀리의 외주부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상기 제1 샤프트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이고,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상기 바스켓의 회전 각속도가 미리 정한 기준 각속도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2 샤프트와 동축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에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drum), 및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하나가 상기 센서 독을 감지하면 상기 바스켓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 접촉되는 브레이크 블록(block)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도어는,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각각 힌지(hinge)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 제1 도어판(door plate) 및 제2 도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어판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에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크(hook)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후크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통공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면,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에 원심력이 가해져 상기 후크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후크에 걸려서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이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과 상기 후크 사이의 각도는 60 내지 65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은 각각 상기 바스켓의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 중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올라가도록 위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내려가도록 아래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1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1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1 빗장쇠(steel bar)를 구비한 제1 보강 잠금 유닛, 및 상기 제2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2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2 빗장쇠를 구비한 제2 보강 잠금 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11. 세탁기의 터브(tub)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세탁수가 통과 가능한 다수의 측면 통공과, 세탁물이 통과 가능한 하나의 측면 개구가 형성된 바스켓 측면; 및, 상기 바스켓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바스켓 도어(door);를 구비하고,
    상기 바스켓 도어는, 상기 바스켓 측면에 각각 힌지(hinge)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 제1 도어판(door plate) 및 제2 도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어판은 자신의 말단 모서리에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크(hook)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후크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통공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이 회전하면,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에 원심력이 가해져 상기 후크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후크에 걸려서 상기 제1 도어판과 제2 도어판이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판의 말단 모서리의 주변과 상기 후크 사이의 각도는 60 내지 65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은 각각 상기 바스켓의 바깥으로 열리도록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판 및 제2 도어판 중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올라가도록 위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말단 모서리가 내려가도록 아래로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도어는, 상기 제1 도어판의 외측면에 탑재된 것으로, 상기 제2 도어판의 힌지를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와, 눌려지면 상기 제1 도어판 및 걸림 돌기를 상기 바스켓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가압하는 누름 버튼(button)을 구비한 버튼형 개폐기구, 및 일 측 단부는 상기 제2 도어판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걸림 돌기에 간섭되도록 연장된 간섭 브라켓(bracket)을 더 구비하고,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통공에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간섭 브라켓의 타 측 단부를 덮어서 상기 타 측 단부와 겹쳐지면 상기 바스켓 도어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누름 버튼이 눌려져서 상기 제1 도어판 및 걸림 돌기가 상기 바스켓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간섭 브라켓의 타 측 단부와 상기 걸림 돌기가 겹쳐지지 않고 상기 후크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후크에 걸리지 않게 되면 상기 제2 도어판이 상기 바스켓의 바깥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형 개폐기구는, 상기 걸림 돌기를 일 측 단부에 구비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제1 도어판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을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 눌려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1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1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1 빗장쇠(steel bar)를 구비한 제1 보강 잠금 유닛, 및 상기 제2 도어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판을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연계시켜 상기 제2 도어판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2 빗장쇠를 구비한 제2 보강 잠금 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KR1020200084802A 2020-07-09 2020-07-09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 KR102462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02A KR102462003B1 (ko) 2020-07-09 2020-07-09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02A KR102462003B1 (ko) 2020-07-09 2020-07-09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59A true KR20220006859A (ko) 2022-01-18
KR102462003B1 KR102462003B1 (ko) 2022-10-31

Family

ID=8005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802A KR102462003B1 (ko) 2020-07-09 2020-07-09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0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611U (ko) 1994-10-27 1996-05-17 측면개폐 세탁기
KR19990076492A (ko) * 1998-03-30 1999-10-15 구자홍 세탁기
KR20030073845A (ko) * 2002-03-13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내조 개방부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방법
KR20060040891A (ko) * 2004-11-05 200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드럼 도어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611U (ko) 1994-10-27 1996-05-17 측면개폐 세탁기
KR19990076492A (ko) * 1998-03-30 1999-10-15 구자홍 세탁기
KR20030073845A (ko) * 2002-03-13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내조 개방부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방법
KR20060040891A (ko) * 2004-11-05 200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드럼 도어 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003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5866B (zh)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4)
JP2003103095A5 (ko)
KR102462003B1 (ko) 입출구 분리형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바스켓
CN107541907A (zh) 衣物处理装置
WO2007126233A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0046989A (ko) 드럼 세탁기 도어 열림 제어방법
US7937974B2 (en) Drum door locking device for laundry apparatus
CN107653646B (zh) 洗衣机的工作台组件和具有其的洗衣机
JP3708029B2 (ja) 部分洗い装置付洗濯機
JPH0553160B2 (ko)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1370293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JP2002282583A (ja) 洗濯機の蓋開閉構造
KR101082566B1 (ko) 세탁기의 플로트 스위치
JP6568814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373622B1 (ko) 도어 안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KR0160413B1 (ko) 세탁기의 자동도어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JPH0663288A (ja) ドラム式脱水洗濯機の扉ロック機構
KR101431448B1 (ko) 세탁기
KR20020077096A (ko) 세탁기의 뚜껑 잠금장치
EP3748061B1 (en) Top-loading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cover opening/closing system thereof
JPH0440999A (ja) 洗濯乾燥機のフタロツク機構
WO2017059911A1 (en) Laundry machine having an improved door locking mechanism
KR10045235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JP3668086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