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136A -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 Google Patents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136A
KR20220005136A KR1020200082582A KR20200082582A KR20220005136A KR 20220005136 A KR20220005136 A KR 20220005136A KR 1020200082582 A KR1020200082582 A KR 1020200082582A KR 20200082582 A KR20200082582 A KR 20200082582A KR 20220005136 A KR20220005136 A KR 20220005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eck valve
ring
main body
fl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599B1 (ko
Inventor
김강수
Original Assignee
(주)금령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령기술 filed Critical (주)금령기술
Priority to KR102020008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5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sealing or securing means using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one lift valve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두 물체를 연결하는 유체공급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에는 두 물체 중 한 물체가 체결되어 유로에 연결되고 전방에는 다른 물체가 체결 없이 전진에 따른 가압밀착만으로 유로에 연결되고, 전방이 가압밀착되면 자동으로 유체의 공급이 시작되고, 밀착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는 후방에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되고, 내부에 주입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공간이 형성되는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의 전방에 체결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인출입로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인출입로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 측면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전면에 유출공이 형성되는 체크밸브; 상기 소켓바디 내부에서 상기 체크밸브의 후단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상기 메인바디에서 인출시키는 스프링; 상기 유출공 주변으로 상기 체크밸브의 전면에 구비되고, 유체공급블럭의 주입공 주변에 가압밀착되는 제1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진다.

Description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Fluid-transfer coupler}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두 물체를 연결하는 유체공급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에는 두 물체 중 한 물체가 체결되어 유로에 연결되고 전방에는 다른 물체가 체결 없이 전진에 따른 가압밀착만으로 유로에 연결되고, 전방이 가압밀착되면 자동으로 유체의 공급이 시작되고, 밀착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유체공급 커플러는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이송시키는 두 물체의 유로를 연결하여, 유체가 어느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공급되도록 하는 기구이다.
여기서, 유체를 이송시키는 물체로는 파이프나 호스가 대표적이고, 이외에도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나 유체를 사용하는 장비에 구비되는 유체 주입구나 배출구도 유체를 이송시키는 물체의 한 종류이고, 유체의 공급을 중계하는 유체공급블럭도 유체를 이송시키는 물체의 한 종류이다.
유체공급 커플러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1082539 "퀵 커플러", 등록특허 10-1127206 "에어커플러"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유체공급 커플러는 후방에 유체를 공급하는 물체가 체결되고, 전방에 유체를 공급받는 물체가 체결되고, 커플러는 유체가 후방에서 전방의 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유체가 이송되는 두 물체를 장기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커플러처럼 커플러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물체가 체결되는 방식은 체결의 안정성과 유체의 누수 방지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커플러의 전방에 물체를 단기간 연결하고, 연결되는 물체가 계속해서 바뀌는 경우, 종래기술은 커플러의 전방에 물체를 체결하고 해제하는 작업을 반복하고, 그 작업과정에서 커플러의 후방에 연결되는 물체로의 유체공급도 중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면, 주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다수개 구비되는 유체공급블럭의 경우, 후방에 호스가 체결된 커플러가 유체공급블럭의 1번 주입구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유체를 1번 배출구로 공급한 후에 2번 주입구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유체를 2번 배출구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커플러는 주입구들에 순차적으로 연결 및 분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커플러는 커플러의 후방에 연결된 호스에 유체의 공급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커플러의 전방을 1번 주입구에 체결시키고, 후방의 호스에서 유체의 공급을 시작하고, 1번 주입구에 유체의 공급이 완료되면 후방 호스에 유체 공급을 중단시킨 상테에서 커플러의 전방을 1번 주입구에서 분리시키고, 커플러의 전방을 2번 주입구에 체결시키고, 후방 호스에 유체의 공급을 시작하는 방식으로 커플러는 주입구들에 순차적으로 연결 및 분리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공급 커플러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커플러의 전방에 유체이송 물체가 체결 없이 전진하는 가압밀착만으로 연결되고, 전진하여 연결되면 유체가 자동으로 공급되고, 전방에 물체가 체결 없이 연결되지만 밀폐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누수는 방지되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는
후방에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되고, 내부에 주입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공간이 형성되는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의 전방에 체결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인출입로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인출입로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 측면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전면에 유출공이 형성되는 체크밸브;
상기 소켓바디 내부에서 상기 체크밸브의 후단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상기 메인바디에서 인출시키는 스프링;
상기 유출공 주변으로 상기 체크밸브의 전면에 구비되고, 유체공급블럭의 주입공 주변에 가압밀착되는 제1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의 입출로의 후단 내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의 후방 외면에는 상기 경사부에 밀착되는 제2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오링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를 갖는 쿼드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오링은 립부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 상기 탄성링부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보다 돌출되게 연결된 누름부로 이루어진 탄성 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는 후방에는 유체를 이송시키는 호스가 체결되지만 전방에는 유체공급블럭이 체결 없이 커플러가 전진하는 동작만으로 간편신속하게 연결되어서 유체를 공급하고, 커플러는 전방에 물체가 연결되면 유체의 공급을 자동으로 개시하고 전방에 물체가 분리되면 유체의 공급이 자동으로 중단되어서 유체의 공급여부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고, 커플러의 전방에 체결구조가 없어도 밀폐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누수가 없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와 유체공급블럭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서 쿼드링 구조를 갖는 오링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는 소켓바디(10), 메인바디(20), 체크밸브(30), 스프링(40), 오링들(51, 52, 53, 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바디(10)는 호스(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다.
상기 소켓바디(10)의 후방 외면에는 호스(1)를 체결시키는 체결구(2)가 체결되는 나사산(11)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바디(10)의 내부에는 호스(1)로부터 주입받은 유체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체류공간(13)이 형성되고, 상기 체류공간(13)의 내면에는 상기 메인바디(20)가 스크류결합되는 나사산(15)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0)는 상기 소켓바디(10)의 전방에 체결되어서, 상기 소켓바디(10)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체크밸브(30)로 보낸다.
상기 메인바디(20)의 후방 외면에는 상기 소켓바디(10)의 체류공간(13)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15)에 스크류결합되는 나사탭(25)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탭의 전단측으로는 제3오링(53)이 삽입되어서, 상기 메인바디(20)와 소켓바디(10) 간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전후방향에는 상기 체크밸브(30)가 인출입되는 인출입로(21)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입로(21)의 전방에는 인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인출입로(21)의 후단 내면에는 상기 체크밸브(30)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틈새가 없도록 하는 경사부(2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3)에는 상기 체크밸브(30)에 구비되는 제2오링(52)이 가압밀착된다.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메인바디(20)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의 호스(1)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전방의 유체공급블럭(5)에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체크밸브(30)는 후방 측면에 유입공(31)이 형성되고, 전면에 유출공(3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31)과 유출공(33)을 연결하는 연결로(32)가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30)의 전방에는 직경이 확장되어서 상기 메인바디(20)의 인출입로(21)에 형성된 걸림턱(22)에 걸리는 확장부(34)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메인바디(20)의 인출입로(21) 후방에 걸려 체크밸브(3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돌부(3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30)의 전면에는 상기 유출공(33) 주변으로 끼움홈(36)이 형성되고, 후방 외주연으로 걸림돌부(35) 앞에는 삽입홈(37)이 형성된다. 전면의 상기 끼움홈(36)에는 제1오링(51)이 끼움결합되고, 후방의 상기 삽입홈(37)에는 제2오링(52)이 삽입결합된다.
상기 제1오링(51)은 상기 체크밸브(30)와 상기 유체공급블럭(5)의 접촉면 틈새를 밀폐시키고, 상기 제2오링(52)은 상기 메인바디(20)와 상기 체크밸브(30)의 접촉면 틈새를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커플러는 유체공급블럭(5)과 나사결합이나 후크결합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구조는 없고, 커플러가 전진하여 체크밸브(30)의 전면이 유체공급블럭(5)에 가압되는 비체결구조로서, 상기 제1오링(51)의 기밀성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제1오링(51)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제1오링(51)이 쿼드링(R)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참고로, 쿼드링(R) 구조는 다른 오링들(52, 53, 54)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쿼드링(R) 구조를 도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쿼드링(R) 구조는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R1)들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쿼드링(R) 구조의 제1오링(51)은 립부(R1)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R2)과, 상기 끼움공(R2)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R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쿼드링(R) 구조의 제1오링(51)에는 탄성 변형부재(E)가 구비되어 기밀성을 한차원 높인다.
상기 탄성 변형부재(E)는 상기 끼움공(R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E1), 상기 탄성링부(E1)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R3)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E2), 상기 연결부(E2)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R1)보다 돌출되게 연결되며 끼움홈(36)의 바닥에 놓이는 누름부(E4)로 이루어진다.
상기 쿼드링(R)을 상기 끼움홈(36)에 끼운 후, 상기 체크밸브(30)를 유체공급블럭(5)으로 전진 가압시키면, 상기 끼움홈(36)의 바닥이 상기 누름부(E4)를 누르면서 상기 탄성링부(E1)가 벌어져, 각 립부(R1)가 확장되면서 끼움홈(36)의 벽면과 유체공급블럭(5)의 표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쿼드링(R)은 전방이 가압되어 눌리면 옆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끼움홈(36)에 안착된 상기 쿼드링(R)은 끼움홈(36)의 벽면에 막혀 옆으로 눌어나지 못하고, 오히려 상기 쿼드링(R)은 옆으로 눌리는 힘이 끼움홈(36)의 벽면에 막혀 오무려지는 힘으로 작용하여서 삽입홈(R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삽입홈(R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상기 탄성 변형부재(E)의 두 연장부(E3)도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탄성링부(E1)는 직경이 확장된다. 탄성링부(E1)의 직경이 확장되면 그 만큼 끼움홈(36) 밖에 있는 립부(R1)도 확장된다.
상기 쿼드링(R)은 일측 립부(R1)들 사이의 오목부의 외면이 상기 삽입홈(R3)으로 절개되어 있어 상기 끼움공(R2)을 중심으로 립부(R1)들이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쿼드링(R) 구조의 제1오링(51)은 상기 끼움공(R2)을 따라 상기 삽입홈(R3)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다수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재(E)는 상기 쿼드링(R)과 대응하는 원형 링 형상의 탄성링부(E1)가 파이프 형태로 상기 끼움공(R2)에 끼워져 장착되며, 이때 탄성링부(E1)를 따라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는 끼움공(R2)의 내주면과 립부(R1)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연장부(E3)로 연결되어 있어, 탄성 변형부재(E)를 쿼드링(R)의 끼움공(R2)에 장착하면 삽입홈(R3)으로 노출되는 누름부(E4)가 립부(R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된다.
그래서 이러한 쿼드링(R) 구조를 갖고 탄성 변형부재(E)가 구비된 제1오링(51)을 체크밸브(30)의 전면 끼움홈(36)에 끼우고, 체크밸브(30)의 전면을 유체공급밸브(5)의 표면으로 전진 가압시키면, 끼움홈(36)의 바닥이 립부(R1)들보다 돌출된 누름부(E4)를 누르게 된다.
이렇게 누름부(E4)가 눌리면, 'X'자형으로 교차된 연결부(E2)가 탄성링부(E1)를 벌리게 되고, 탄성링부(E1)가 벌어져 직경이 확장되면, 단면을 기준으로 쿼드링(R)의 립부(E1)들이 벌어지면서 끼움홈(36)의 표면과 유체공급블럭(5)의 표면에 밀착되어 기밀성이 증대된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소켓바디(10)의 체류공간(13)에 내장되어서 상기 체크밸브(30)의 후방을 탄성지지함으로써, 체크밸브(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메인바디(20)에서 인출되고, 체크밸브(3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오링(52)이 메인바디(20)의 경사부(23)에 가압밀착되어서 틈새를 밀폐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를 이용해 복수의 주입공(6)이 형성된 유체공급블럭(5)에 유체를 공급하는 과정과 작동 매커니즘을 설명한다.
먼저, 소켓바디(10)의 후방에 체결구(2)를 이용해 호스(1)를 연결하고, 호스(1)에 유체를 공급한다. 호스(1)를 통해 소켓바디(10)에 고급된 유체는 체류공간(13)에 체류한다.
실린더와 같이 전후진 기기(미도시)를 이용해 커플러의 메인바디(20)나 소켓바디(10)를 유체공급블럭(5)으로 전진시킨다.
전진하는 커플러의 체크밸브(30) 전면은 유체공급블럭(5)의 1번 주입공(6) 주변에 접촉 및 가압된다.
접촉가압되는 체크밸브(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오링(51)이 유체공급블럭(5)의 표면에 가압밀착되어 틈새를 밀폐하고, 체크밸브(30)는 메인바디(20)로 인입된다.
체크밸브(30)가 메인바디(20)로 인입되면, 체크밸브(30)의 후방에 형성된 유입공(31)이 소켓바디(10)의 체류공간(13)으로 노출되고, 체류공간(13)의 체류하던 유체는 유입공(31)으로 유입되고 연결로(32)와 유출공(33)을 통해 유체공급블럭(5)의 주입공(6)으로 주입된다. 이때, 제1오링(51)이 체크밸브(30)의 전면과 유체공급블럭(5)의 표면을 긴밀히 밀폐하여 유체는 유실되지 않는다.
유체공급블럭(5)의 1번 주입공(6)으로 유체 공급이 완료되면, 실린더 등의 전후진 기기를 이용해 체크밸브(30)를 1번 주입공(6)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체크밸브(30)의 메인바디(20)나 소켓바디(10)가 일정거리까지 후진되는 과정에서 체크밸브(30)가 제 위치를 유지하여 유체가 유출공(33)을 통해 누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메인바디(20)나 소켓바디(10)가 후진되는 과정에서 체크밸브(30)는 메인바디(20)에서 인출되면서 유체공급블럭(5)에 가압밀착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제 위치를 유지하고, 체크밸브(30)의 유입공(31)이 인출입로(21) 내부로 이동하고, 제2오링(52)이 틈새를 밀폐한 이후에 비로소 체크밸브(30)도 메인바디(20)와 함께 후진한다.
1번 주입공(6)에서 분리된 커플러는 옆으로 이동 한 후에 전진하여 2번 주입공(6)에 연결되고, 위와 같은 작동 매커니즘으로 유체를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소켓바디 13 : 체류공간
20 : 메인바디 21 : 인출입로
22 : 거림턱 23 : 경사부
30 : 체크밸브 31 : 유입공
32 : 연결로 33 : 유출공
34 : 확장부 35 : 걸림돌부
36 : 끼움홈 37 : 삽입홈
40 : 스프링 51~54 : 오링
R : 쿼드링 E : 탄성 변형부재

Claims (4)

  1. 후방에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되고, 내부에 주입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공간이 형성되는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의 전방에 체결되고,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인출입로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인출입로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 측면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전면에 유출공이 형성되는 체크밸브;
    상기 소켓바디 내부에서 상기 체크밸브의 후단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상기 메인바디에서 인출시키는 스프링;
    상기 유출공 주변으로 상기 체크밸브의 전면에 구비되고, 유체공급블럭의 주입공 주변에 가압밀착되는 제1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입출로의 후단 내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의 후방 외면에는 상기 경사부에 밀착되는 제2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링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를 갖는 쿼드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링은 립부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 상기 탄성링부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보다 돌출되게 연결된 누름부로 이루어진 탄성 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KR1020200082582A 2020-07-06 2020-07-06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KR10236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82A KR102361599B1 (ko) 2020-07-06 2020-07-06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82A KR102361599B1 (ko) 2020-07-06 2020-07-06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36A true KR20220005136A (ko) 2022-01-13
KR102361599B1 KR102361599B1 (ko) 2022-02-11

Family

ID=7934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82A KR102361599B1 (ko) 2020-07-06 2020-07-06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5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520B2 (ja) * 1993-06-28 2000-04-0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のソケット
KR101155020B1 (ko) * 2009-07-08 2012-06-11 (주)스톰테크 튜브 커플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520B2 (ja) * 1993-06-28 2000-04-0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のソケット
KR101155020B1 (ko) * 2009-07-08 2012-06-11 (주)스톰테크 튜브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599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197B1 (ko) 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연결 호스의 역류방지 커넥터
US7293758B2 (en) Pipe connector
KR101378497B1 (ko)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
US65612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rging fluid into a pressurized system
US20240084904A1 (en) Manifold with integrated valve
US20140261818A1 (en) Quick connect coupling
US20150276110A1 (en) Quick connect coupling
KR102361599B1 (ko) 비체결식 유체공급 커플러
US6050298A (en) Safety circuit breaker for pressurized-fluid handling installation
KR20220005995A (ko)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압축기의 공기출력튜브 장치
WO2016051346A1 (en) Fluid supply apparatus
US7455280B2 (en) Tube activated cartridge/fitting valve
US20080035210A1 (en) Pressure releasing device for spray pump
JP4348589B2 (ja) 安全離脱装置付き連結具
WO2008018727A1 (en) Pipe coupling with donut type case
KR100537777B1 (ko) 원터치 튜브커넥터
EP2039974A2 (en) Pipe connector
KR101734698B1 (ko) 연료이송라인의 퀵커넥터 장치
CN111536348A (zh) 用于输送流体的连接器
CN220152133U (zh) 自动对插水接头
KR20240018210A (ko) 고압배관 착탈식 연결장치
JP2008095852A (ja) 液相・気相ガスホース用のガス放出防止器
KR200222294Y1 (ko) 엘피지 역류방지 기구
KR20170001061U (ko) 금형의 냉각파이프용 결합구
KR20220096538A (ko) 역흡입 유닛 및 이를 갖는 노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