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630A - 멀티 ap 조인트 송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ap 조인트 송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630A
KR20220004630A KR1020217032654A KR20217032654A KR20220004630A KR 20220004630 A KR20220004630 A KR 20220004630A KR 1020217032654 A KR1020217032654 A KR 1020217032654A KR 20217032654 A KR20217032654 A KR 20217032654A KR 20220004630 A KR20220004630 A KR 2022000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joint transmission
aps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잔 치트래카
레이 후앙
요시오 우라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2000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액세스 포인트(AP)는, 동작 중에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상기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동작 중에 상기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AP에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AP 조인트 송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AP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조인트 송신(joint transmission)에 관한 것이다.
멀티 AP 조인트 송신을 통하여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전자 디바이스가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조인트 송신에 의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와 같은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이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단일의 송신에 한정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 대하여 이점을 갖는다.
하나의 비한정적 및 예시적인 실시예는, 멀티 AP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조인트 송신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이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AP)의 2개 이상부터 1개 이상의 무선국(STA)으로의 조인트 송신을 포함한다.
하나의 전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특징으로 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동작 중에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당해 JT 데이터를 일의적(一意的)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중에 당해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AP에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일반적 또는 특정의 실시예는, 시스템,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기억 매체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 선택적인 조합으로서 실현되어도 되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가일층의 이익 및 이점은,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익 및/또는 이점은, 명세서 및 도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특징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취득되어도 되고, 이들은, 그와 같은 이익 및/또는 이점 중 하나 이상을 얻기 위하여 전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동일한 참조 번호가 다른 도면을 통하여 동일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참조하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명세서에 포함되며,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 따라 각종 원리 및 이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 AP 시스템과의 무선 네트워크이다.
도 2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기업 네트워크로서 나타나는 멀티 AP 시스템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홈 또는 오피스 네트워크로서 나타나는 멀티 AP 시스템이다.
도 2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슬레이브 구성으로서 나타나는 멀티 AP 시스템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 AP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인트 송신에서의 메시지 시퀀스이다.
도 5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JT Data를 캡슐화하는 데 이용되는 Data 프레임이다.
도 5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JT Data를 캡슐화하는 데 이용되는 Data 프레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 프로토콜명 및 페이로드 타입을 나타내는 제1 테이블, 및 AP 협조 패킷 타입을 나타내는 제2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AP, 슬레이브 AP 및 타깃 STA의 사이의 조인트 송신을 나타낸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JT Trigger 프레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 AP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스터 AP와 슬레이브 AP의 사이의 조인트 송신 세션을 위한 메시지 시퀀스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조인트 송신 세션을 네고시에이트 또는 분해하기 위하여 무선 교환되는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Ethernet 프레임이 JT Data와 함께,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을 캡슐화하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을 위한 Trigger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AP가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지 않는 통신 교환을 나타낸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쿼리 프레이즈에 있어서 AP에 의하여 이용되고, 다른 AP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Action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AP로부터 슬레이브 AP로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Aggregated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MPDU)으로서 JT Data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슬레이브 AP와의 데이터 공유에 이용되는 Aggregated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MPDU)으로서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Joint Transmission Trigger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9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쌍방이 마스터 AP에 관련지어진 2개의 STA에 대한 분산 MU-MIMO Joint Transmission의 구체예이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의 구체예이다.
당업자는, 도면에 있어서의 요소가 간단화 및 간소화를 위하여 나타나 있고, 반드시 축척하여 나타나 있을 필요는 없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멀티 AP 네트워크에 있어서 조인트 송신(JT)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전자 디바이스는, 단일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단일의 송신에 한정되는 종래의 전자 디바이스보다 많은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멀티 AP 네트워크에 있어서 조인트 송신을 실행하는 것은, 많은 기술적 문제를 갖는다.
기존의 802.11 BSS(Basic Service Set)는, 스탠드 얼론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각 BSS의 AP는, 각 AP에 관련되는 무선국(STA)에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련되는 STA와의 무선 링크에 대하여 AP가 제공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는, 링크에 이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의존하고, 다음으로 각 STA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에 의존한다. 전형적으로는, 보다 높은 MCS는 보다 높은 SINR에 있어서 실현 가능한 한편, 낮은 레벨의 SINR에서는 낮은 MCS밖에 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스탠드 얼론 BSS에서는, 신호 레시오는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AP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되지만, STA에 의한 간섭 경험은 제어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 이 문제는, 네트워크의 에지에 존재하며, (OBSS(Overlapping BSS)존으로서도 알려진) 복수의 BSS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STA에 대하여 특별히 해당한다. 하나의 BSS에 있어서의 유용한 신호는, 다른 BSS의 ST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간섭이 된다.
멀티 AP 협조(예를 들면, 근방 BSS의 AP 간의 협조)가, 멤버 STA의 SINR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스킴은, 관리된 네트워크(예를 들면, 기업 네트워크, 스타디움 설정 등) 또는 가정 내 네트워크(예를 들면, 멀티 AP 홈 메시 네트워크를 구비한다)에 있어서의 고밀도의 AP 구축 등, AP의 다용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다양한 멀티 AP 협조 스킴은, 2개의 전체적인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 그룹은, 송신 전력 제어, 협조 빔 포밍, 협조 눌 포밍, 협조 스케줄링 등을 통과하여 OBSS로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것을 시도하는 스킴을 포함한다. 제2 그룹은, 동일한 STA로의 복수의 AP에 의한 동기 송신을 통하여 STA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시도하는 스킴을 포함한다. 제2 그룹의 스킴은, 멀티 AP 조인트 처리, 멀티 AP 조인트 송신 또는 분산 MU-MIMO로서 알려질 수 있다.
조인트 송신은, 신호 레벨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간섭 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STA에 대한 간섭을 저감시켜, STA에 대한 SINR을 개선함으로써, 중복되는 BSS 또는 멀티 AP 시스템에 있어서의 STA에 관련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이들 문제는, 슬레이브 AP 사이에 있어서의 조인트 송신 데이터(조인트 MU-MIMO 데이터)의 분배 및 동기시키는 방법과, 여기에서 검토되는 다른 문제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멀티 AP 네트워크에 있어서 조인트 송신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장치 및 방법은, AP 및 STA 등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례가 되는 실시예는, 동작 중에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이며, 프레임의 프레임 보디는,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회로와, 동작 중에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AP에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AP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동작 중에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JT 데이터와 JT 식별자를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가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통신 방법이다. 당해 방법은, 프레임의 프레임 보디가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1 AP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AP에 송신하는 스텝과, 하나 이상의 제2 AP로부터 통신 장치에 JT 데이터를 조인트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 AP 시스템(100)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100)은, 3개의 BSS(BSS1, BSS2 및 BSS3으로서 나타난다)를 포함한다. 각 BSS는, 적어도 하나의 AP(AP1, AP2 및 AP3으로서 나타난다)를 갖는다. 복수의 STA(STA1~STA5로서 나타난다)는, 시스템 전체에 걸쳐 분산된다. STA1은 단일의 BSS(BSS1)에 존재하고, STA2는 3개가 중첩하는BSS(BSS1~BSS3)에 존재하며, STA3은 2개가 중첩하는 BSS(BSS1 및 BSS3)에 존재하고, STA4는 2개가 중첩하는 BSS(BSS2 및 BSS3)에 존재하며, STA5는 단일의 BSS(BSS2)에 존재한다.
도 1에 있어서, STA2는 AP3에 관련지어져 있지만, 3개의 AP(AP1, AP2 및 AP3)는, STA2에 동시 송신하도록 그들의 송신을 협조해도 된다. 이 동시 송신은, STA2에 있어서의 SINR 레벨을 증가시켜, STA2에 대하여 보다 높은 스루풋으로 변환하는 보다 높은 MCS의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멀티 AP 협조 스킴은, 전형적으로는, 참가 AP의 사이에 있어서의 일종의 시간 동기를 이용하지만, 이용되는 동기 레벨은, 조인트 송신에 대하여, 특히, 분산 MU-MIMO에 대하여 가장 높다. 이 때문에,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나의 AP(마스터 AP라고 불린다)가 동기 신호를 제공하고, 다른 참가 AP(슬레이브 AP라고 불린다)가 마스터 AP의 범위 내에 있는 조인트 송신을 실현한다. 도 1에 있어서, AP3은 마스터 AP이며, AP1 및 AP2는 슬레이브 AP이다. 마스터 AP는 또 협조 AP, 조인트 송신(JT) AP 또는 멀티 AP 컨트롤러 등 다른 명칭에 의하여 알려져도 되고, 한편, 슬레이브 AP는 멀티 AP 디바이스 또는 피협조 AP 등으로서 알려져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 송신은, STA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모든 참가 AP를 포함한다. 이것은, 모든 참가 AP와 동일한 MAC 레이어 고유 필드를 포함한다.
도 2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기업 네트워크로서 나타나는 멀티 AP 시스템(200)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오버랩한 송신에 의하여 알리는 복수의 AP(AP1~AP8로서 나타난다)를 포함한다. 각 AP는, Ch36에서는 AP1, Ch52에서는 AP2, Ch149에서는 AP3, Ch44에서는 AP4, Ch56에서는 AP5, Ch161에서는 AP6, Ch48에서는 AP7, Ch60에서는 AP8 등의 각 채널(Ch)을 운용한다.
기업 네트워크에서는, AP의 위치 및 주파수 할당은,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구축 중에 신중하게 계획된다. 도 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AP는, BSS 간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중복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한다. AP는, 빔폭이 좁은 고이득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인접하는 AP는, 서로의 무선 범위 내에 없어도 된다. 복수의 AP 또는 모든 AP는, 동일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AP는 이더넷(등록 상표)을 사용하여 접속되어, 중앙 AP 컨트롤러에 의하여 설정 및/또는 제어되어도 된다. 대부분의 에지 STA는, 적어도 2개의 AP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 AP 간 통신은, 예를 들면, 이더넷(등록 상표)이나 대역 외 메시 무선 다이렉트 링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인접하는 AP에는 중복되지 않는 프라이머리 채널이 할당되었다고 해도, 광대역 채널이 이용될 때, BSS 간 간섭이 OBSS존에 존재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대부분의 기업 네트워크는 집중 관리되어, AP 간의 협조는 보다 용이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기업 네트워크는 조인트 송신 시스템의 주요한 후보가 된다.
도 2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홈 또는 오피스 네트워크로서 나타나는 멀티 AP 시스템(230)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오버랩하는 송신에 의하여 알리는 복수의 AP(AP1~AP3으로서 나타난다)를 포함한다. 각 AP는, Ch36에서는 AP1, Ch149에서는 AP2, Ch52에서는 AP3 등의 각 채널을 운용한다.
멀티 AP 시스템(예를 들면, Wi-Fi EasyMesh)은, 가정 또는 오피스 등, 에어리어 전체에 걸쳐 Wi-Fi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예이다. AP의 위치 및 주파수 할당은, 커버리지를 최대화하도록 계획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AP가 멀티 AP 컨트롤러로서 동작하는 한편, 나머지의 AP가 멀티 AP 에이전트로서 동작해도 된다. AP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AP의 무선 커버리지에 있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백 홀 BSS는, AP 간 시그널링을 위하여 설정된다. 백 홀 BSS는, 프론트 홀 SSID와 상이한 SSID를 이용해도 된다. 대부분의 에지 STA는, 적어도 2개의 AP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 또한, AP 간 통신은, 무선 다이렉트 링크 또는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의 혼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멀티 AP 홈 또는 스몰 오피스 네트워크는 또, 조인트 송신 시스템의 양호한 후보이기도 하다.
도 2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슬레이브 구성으로서 나타나는 멀티 AP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마스터 AP(270), 2개의 슬레이브 AP(280, 282), 및 STA(284)를 포함한다. AP 간 통신은 링크(290)를 통하여 행해지고, AP와 STA의 사이의 통신은 링크(292)를 통하여 행해진다.
조인트 송신에 대하여, AP는, 실제의 조인트 송신 전에 STA에 조인트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상위 레이어 데이터)를 유지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송신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은, 조인트 송신의 SINR 이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무선 송신되는 실제의 데이터 심볼은, 복수의 AP 또는 모든 AP 등의 참가 AP 사이에서 동기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송신 데이터의 PHY 레이어 및 MAC 레이어의 처리가 참가 AP 사이에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멀티 AP 조인트 송신을 위하여 데이터를 분배 및 동기시키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조인트 송신은, 2개의 페이즈, 즉, 슬레이브 AP로의 JT 데이터의 분배와, 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으로 행해진다.
제1 페이즈(슬레이브 AP로의 조인트 송신 데이터의 분배)에서는, 조인트 송신되는 데이터는, 도 2c의 링크(290) 등의 AP 간 링크를 통한 실제의 조인트 송신 전에, 참가 슬레이브 AP에 분배된다. 당해 분배는, AP 간의 무선 백 홀 링크를 통하여 행해져도 되고, 혹은, 그것은 또, AP 간의 유선 백 홀 링크, 예를 들면, 이더넷(등록 상표)을 통하여 행해져도 된다. 무선 백 홀이 이용될 때, 슬레이브 AP는, 조인트 송신을 개시하기 전에, AP 간의 통신 목적을 위하여 마스터 AP에 의한 다른 BSS 설정상에서 마스터 AP에 관련지어져도 된다. AP 간의 백 홀 링크에 사용되는 무선 채널은, AP와 타깃 STA의 사이의 프론트 홀 링크는 상이해도 된다.
제2 페이즈(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에서는, 타깃 STA로의 2개 이상의 참가 AP에 의한 실제의 조인트 송신은, 도 2c의 무선 링크(292) 등의 링크를 통하여 행해진다. 조인트 송신은, Slave Trigger 프레임 또는 Joint Transmission(JT) Trigger 프레임이라고 불릴 수 있는 링크(290)를 통한 마스터 AP로부터의 동기 신호에 의하여 선행되어도 된다. 몇 개의 시나리오에서는, 마스터 AP는 또 조인트 송신에 참가해도 되는 한편, 몇 개의 시나리오에서는, 마스터 AP는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지 않고, 슬레이브 AP만이 참가해도 된다. AP가 상이한 세트는, 상이한 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에 관계해도 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조인트 송신되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300)이다. MPDU는, MAC Header와 Frame Body를 포함한다. MAC Header는, Frame Control, Duration, Address 1(Receiver Address), Address 2(Transmitter Address), Address 3(BSSID), Sequence Control, QoS Control 및 HT Control을 포함한다. Frame Body는, Data Payload, MIC 및 FCS를 포함한다. Address 3 필드는, Data 프레임이 A-MSDU를 반송하는 경우, BSSID를 반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Address 3 필드는, Source Address(SA), 즉, Data Payload의 소스인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를 반송한다.
조인트 송신의 SINR 이득을 실현하기 위하여, 무선 송신되는 실제의 데이터 심볼은, 참가 AP 사이에서 동기된다. 또한, PHY 레이어 및 MAC 레이어의 송신의 처리는, 참가 AP 사이에서 동일하다. 전형적으로는, 통상의 송신(예를 들면, 비조인트 송신)에 대하여, 상위 레이어(예를 들면, IP 레이어)는, 송신되는 데이터 페이로드(예를 들면, IP 패킷)를 MAC 레이어에 전달한다. MAC 레이어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300)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MAC 헤더의 프리펜딩, FCS의 부가, MAC 패딩 등의 MAC 레이어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텍션이 유효가 되는 경우, 데이터 페이로드는 또한, CCMP Header 필드 및 MIC 필드를 MAC 프레임 보디에 추가하는 암호화 수순을 거쳐도 된다. 그리고, MPDU는, PPDU(PHY Protocol Data Unit)를 작성하기 위하여, PHY 프리앰블의 프리펜딩, PHY 부호화의 적용, PHY 패딩의 부가 등의 PHY 레이어 처리를 위하여 PHY 레이어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PPDU를 무선 송신한다.
조인트 송신을 위하여, 참가 AP는, 데이터 페이로드에 적용되는 MAC 및 PHY 파라미터를 인식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MAC 레이어에서는, 로컬에 생성되는 몇 개의 필드가 있다. Frame Control, Address 2(TA), Address 3(BSSID), QoS Control, HT Control 등의 몇 개의 필드는, 마스터 AP에 의하여 생성된 필드와 일치하도록 슬레이브 AP의 MAC 레이어에 의하여 덮어쓰기되어도 되는 한편, Sequence Control, CCMP Header 등의 몇 개의 필드는, 각 MPDU에 대하여 상이하고, 전형적으로는, 각 AP에 있어서 로컬에 생성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필드는, AP 사이에서 동기하는 것은 보다 곤란하다. 또, 복수의 MPDU가 또, A-MPDU(Aggregated MPDU)를 형성하도록 MAC 레이어에서 집약되어도 되고, 혹은, 하나의 MPDU가, S-MPDU(Single MPDU)를 구성해도 된다. 모든 참가 AP의 MAC 레이어 사이에서 조인트 송신되는 데이터를 동기시키기 때문에, 마스터 AP는, 실제의 MAC 레이어의 A-MPDU 또는 S-MPDU를 생성하고, 모든 참가 슬레이브 AP에 분배해도 된다. MPDU에 있어서의 Sequence Control 필드는 또, 마스터 AP에 의하여 생성되고, 동일한 넘버 공간이, 마스터 AP로부터 타깃 STA로의 직접 송신(즉, sing AP송신)과 조인트 송신의 쌍방에 대하여, Sequence Control 필드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를 위하여 사용된다. 암호화가 유효가 되는 경우, 마스터 AP는 또, Data Payload를 암호화하여, MIC 필드를 부가한다. 이 경우, 조인트 송신(JT) Data는, 조인트 송신되는 MAC 레이어 데이터를 가리킨다.
몇 개의 경우에서는, 마스터 AP는, 실제의 조인트 송신 페이즈에 관여하지 않아도 된다(예를 들면, 슬레이브 AP만이 조인트 송신에 참가해도 된다). 이것은, 마스터 AP가 중앙 컨트롤러로서 실장되어, 타깃 STA로부터 멀 때에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타깃 STA는, 마스터 AP가 아니라 슬레이브 AP 중 하나에 관련지어진다.
타깃 STA가 슬레이브 AP에 관련지어지는 이와 같은 케이스에서는, 데이터 분배 페이즈의 사이에, 마스터 AP는, 타깃 STA가 관련지어지는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MPDU가 생성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MPDU(300)의 MAC Header 필드를 설정하고, 예를 들면, Address 2(TA) 필드와 Address 3(BSSID)이,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마스터 AP는 또, 사용되는 다음의 Sequence Control과, 임의 선택적으로, 타깃 STA로의 송신에 이용되는 CCMP Packet Number(PN) 및 암호화 Key ID를 슬레이브 AP에 조회하여, MPDU(300)의 각 필드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는,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생성되고, 동일한 넘버 공간이, 슬레이브 AP로부터 타깃 STA로의 다이렉트 송신(즉, sing AP송신)과 조인트 송신의 쌍방에 대하여, Sequence Control 필드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에 이용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 AP 시스템의 조인트 송신에 있어서의 메시지 시퀀스(400)이다.
802.11 WLAN 등의 분산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채널로의 액세스는 CSMA/CA에 의하여 제어되고, 정확한 송신 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곤란하다. 동일하게, 송신 실패 및 재송(再送)은, 송신의 순서를 유지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이 때문에, 조인트 송신을 위하여, 데이터 분배 페이즈와 조인트 송신 페이즈을 분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인트 송신은, 슬레이브 AP로의 조인트 송신 데이터의 분배와, 1개 이상의 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의 2개의 페이즈로 행해진다. 제1 페이즈에서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 송신 데이터(JT Data)가, (예를 들면, 무선 백 홀을 통하여) 슬레이브 AP에 분배된다. 각 조인트 송신 데이터에는, 일의적인 ID가 할당된다. 제2 페이즈에서는, 마스터 AP는, JT Trigger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조인트 송신을 개시한다. 이 프레임은, 모든 참가 AP에 의하여 조인트 송신되는 조인트 송신 데이터를 식별하는 일의적인 ID를 반송한다.
도 4는, 데이터 분배 페이즈(410)가 조인트 송신 페이즈(420)로부터 분리되는 조인트 송신에 관계하는 예시적인 메시지 시퀀스를 나타낸다. 데이터 분배 페이즈(410)의 사이, 마스터 AP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 송신 데이터(JT Data)를 슬레이브 AP에 분배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JT Data는, 조인트 송신되는 실제의 S-MPDU 또는 A-MPDU여도 되고, 슬레이브 AP에 어드레스 지정된 다른 Data 프레임에 캡슐화된다. JT Data를 분배하는 오버헤드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캡슐화한 Data 프레임이, 유니캐스트 송신 대신에, 그룹 캐스트 송신으로서 슬레이브 AP에 송신되어도 된다. 마스터 AP는, 멀티유저(MU) PPDU 포맷을 이용하여, 다른 JT Data를 다른 슬레이브 AP에 동시에 분배해도 된다.
각 JT Data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마스터 AP는, JT Packet ID라고 불릴 수 있는 일의적인 ID를 각 JT Data에 할당한다. 각 슬레이브 AP는, 캡슐화된 JT Data를 수신하면, JT Packet ID에 의하여 인덱스화된 로컬 메모리에 JT Data를 캡슐 해제하여 보존한다. JT Data를 타깃 STA에 즉석에서 전송하는 대신에, 슬레이브 AP가 JT Data를 보존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RA를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함으로써, JT Data를 캡슐화한 데이터 프레임이, 슬레이브 AP에 어드레스 지정할 수 있다. 4 어드레스 MAC Header가 슬레이브 AP로의 Data 프레임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RA(Address 1)와 DA(Address 3)의 쌍방이,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할 수 있다. 조인트 송신과 고속 추출을 위한 엄격한 시간 동기 요구를 위하여, JT Data 프레임은, 다른 메모리(예를 들면, 로컬 EDCA 큐와 상이하다)에 보존되어도 된다.
조인트 송신 페이즈(420)에서는, 마스터 AP는, 슬레이브 AP에 JT Trigger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조인트 송신을 개시한다. JT Trigger 프레임은, 슬레이브 AP에 시간 동기를 제공한다. 또한, JT Trigger 프레임은 또, 조인트 송신되는 JT Data의 JT Packet ID를 반송한다. 각 슬레이브 AP는, JT 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면, JT Packet ID에 대응하는 로컬 메모리로부터 JT Data를 추출하고, JT Data로 구성된 JT PPDU를 송신한다.
도 5a 및 5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JT Data를 캡슐화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Data 프레임이다.
도 5a는, 데이터 프레임(500)의 프레임 보디 내에, 이 케이스에서는 S-MPDU인 JT Data를 캡슐화한 마스터 AP에 의하여 송신되는 Data 프레임(500)을 나타낸다. S-MPDU는, 필요에 따라, MPDU Delimiter, 실제의 MPDU 및 패딩으로 구성된다. 일의적인 ID(JT Packet ID)가, 각 조인트 송신 데이터(JT Data)에 할당된다. 이 경우, JT Packet ID는, S-MPDU를 일의적으로 식별한다.
도 5b는, 데이터 프레임(550)의 프레임 보디 내에, 이 케이스에서는 A-MPDU인 JT Data를 캡슐화하는 마스터 AP에 의하여 송신되는 Data 프레임(550)을 나타낸다. A-MPDU는, 2개 이상의 A-MPDU 서브 프레임과, 필요에 따라 EOF(End-of-Frame) 패딩으로 구성된다. 각 A-MPDU 서브 프레임은, S-MPDU와 동일한 포맷을 공유한다. 이 경우, JT Packet ID는, A-MPDU를 일의적으로 식별한다.
암호화가 유효가 되는 경우, JT Data에 있어서의 각 MPDU는 또, Data 프레임(500 또는 550)에 캡슐화하기 전에 마스터 AP에 의하여 암호화된다.
각 슬레이브 AP는, 캡슐화된 JT Data를 수신하면, JT Packet ID에 의하여 인덱스화된 로컬 메모리에 JT Data를 캡슐 해제하여 보존한다. 조인트 송신을 위한 엄격한 시간 동기 요구에 의하여, 보다 고속인 추출을 위하여, JT Data 프레임은, 다른 메모리(예를 들면, 로컬 EDCA 큐와 상이하다)에 보존되어도 된다.
슬레이브 AP는, 수신한 JT Data를 타깃 STA에 즉석에서는 전송하지 않는다. 이것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4 어드레스 MAC Header가, 슬레이브 AP로의 Data 프레임에 사용되는 경우, RA(Address 1)와 DA(Address 3)의 쌍방이,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600), Payload Type 필드의 부호화를 나타내는 제1 테이블(610), 및 AP Coodination Packet Type 필드의 부호화를 나타내는 제2 테이블(620)을 나타낸다.
Data 프레임(600)은, 데이터 분배 페이즈(예를 들면, 도 4의 410에서 설명된다)의 사이에 JT Data를 캡슐화한다. 이 예에서는, 데이터 프레임(600)의 프레임 보디는, 다른 캡슐화 타입과 구별하기 위하여, 5"AP Coordination"으로 설정된 Payload Type 필드를 구비한 Ethertype 89-0d 프레임을 반송한다. Ethertype 89-0d는, Ethernet 프레임 내의 IEEE 802.11 프레임의 캡슐화를 위하여 최초로 할당된 Ethertype이다. Payload Type이 "AP Coordination"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의 Ethertype 89-0d 프레임의 Payload는, AP Coordination Packet Type 필드가, 테이블(6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0, 1 또는 2로 설정될 때, Packet Content 필드 내에서 JT Data를 반송해도 된다. Destination MAC Address는, 타깃 STA의 MAC Address(예를 들면, 조인트 송신의 타깃)를 반송한다. JT Packet ID는, JT Data에 할당되는 일의적인 ID인 한편, Packet Length 필드는, Packet Content 필드에 있어서 반송되는 JT Data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802.11의 Data 프레임이, JT Data를 캡슐화하기 위하여 배타적으로 사용될 때, 호스트 802.11 데이터 프레임의 Sequence Control 필드(632)에 있어서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630)는, 비명시적인 JT Packet ID로서 사용되어도 되고, JT Packet ID필드는, Ethertype89-0d 프레임 보디에 있어서 생략되어도 된다.
슬레이브 AP가 타깃 STA에 그것을 즉석에서 전송하는 대신에 JT Data를 보존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MAC Header의 RA 필드를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함으로써, JT Data를 캡슐화하는 데이터 프레임(600)이 슬레이브 AP에 어드레스 지정된다. 4 어드레스 MAC Header가 사용되는 경우, RA(Address 1)와 DA(Address 3)의 쌍방이,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AP, 슬레이브 AP 및 타깃 STA의 사이의 조인트 송신(700)을 나타낸다.
조인트 송신 페이즈(예를 들면, 도 4의 420에서 설명된다)에서는, 마스터 AP는, 슬레이브 AP에 JT Trigger 프레임(710)을 송신함으로써, 조인트 송신을 개시한다. 동기에 사용되는 PHY 및 MAC 파라미터에 더하여, JT Trigger 프레임은 또, 조인트 송신되는 JT Data의 JT Packet ID도 반송한다. 각 슬레이브 AP의 MAC 레이어는,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는 AP로서 슬레이브 AP를 식별하는 JT 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면, JT Packet ID에 대응하는 로컬 메모리로부터 JT Data를 추출하고, PHY 레이어에 전달한다. PHY 레이어는 JT Data로JT PPDU를 구성하고, JT Trigger 프레임의 종료로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그것을 송신한다. 마스터 AP는 또, JT Packet ID에 대응하는 JT Data로 JT PPDU를 구성하고, JT Trigger 프레임의 종료로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JT PPDU를 송신한다. 채널 상태는 상이한 AP에서 상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각 슬레이브 AP는,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당해 채널이 JT Trigger 프레임의 종료 후의 SIFS의 사이에 아이들링이라고 간주되는 경우에 한하여, JT PPDU를 송신할 필요가 있어도 된다. 단, 마스터 AP 또는 타깃 STA의 송신에 기인하여 설정되는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는 무시되어도 된다. 타깃 STA에 관하여, JT Data를 수신하면, 복수의 AP가 송신에 관여한 것조차 알아차리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타깃 STA에 관한 한, 이것은 마스터 AP로부터 그것으로의 단순한 다른 송신이거나, 또는, MAC Address가 프레임의 TA Address(Address 2) 필드에 나타나는 AP이다. 수신이 성공한 경우, 타깃 STA는, MAC Address가 TA Address(Address 2) 필드에 나타나는 AP에 애크놀리지먼트 프레임(ACK 또는 Block Ack)을 송신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JT Trigger 프레임(800)이다. 각 User Info 필드는, 슬레이브 AP와 타깃 STA의 세트의 정보를 반송한다.
MAC Address of Slave APs 필드는, STA의 특정의 세트를 위한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고 있는 슬레이브 AP를 식별한다. 단일의 슬레이브 AP만이 조인트 송신에 관여하고 있는 경우, 이것은 생략되어도 되고, 슬레이브 AP는, MAC Header에 있어서의 RA 필드에 의하여 식별된다. 각 User Info 필드 내의 AID12 필드는, 업 링크의 OFDMA 송신을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른 Trigger 프레임으로부터 JT Trigger 프레임을 구별하기 위하여, 특별한 값(예를 들면, 2047)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JT Packet ID필드는, JT PPDU에 있어서 반송되는(기억된) MPDU를 식별한다. S-MPDU의 경우, 이것은, S-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의 값이어도 된다. 동일한 데이터가 조인트 송신되는 경우(송신 다이버시티), 필드값은, 상이한 슬레이브 AP에 대하여 동일해도 된다. 혹은, 상이한 데이터가 조인트 송신되는 경우(D-MIMO), 필드값은, 상이한 슬레이브 AP에 대하여 상이해도 된다.
또한, Joint Transmission PHY Layer Info는, JT PPDU의 부호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추가의 PHY 파라미터를 지정한다. Target STA Information은, 슬레이브 AP에 의한 하나 이상의 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에 관련되는 정보를 반송한다. Joint Transmission Information은, 기억되어 있는 송신 대상의 데이터와 타깃 STA를 위한 공간 스트림을 식별한다.
또한, Spatial Stream Allocation 필드는, 각 타깃 STA에 대하여 할당된 공간 스트림을 나타내고, MIMO 조인트 송신의 경우에만 존재한다. Starting Spatial Stream 필드는, STA에 할당된 최초의 공간 스트림을 나타내고, Number of Spatial Stream 필드는, STA에 할당된 최초의 공간 스트림을 포함하는 연속된 공간 스트림의 총수를 나타낸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 AP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스터 AP와 슬레이브 AP의 사이의 조인트 송신 세션을 위한 메시지 시퀀스(900)이다.
조인트 송신이 2개 이상의 프레임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예시적인 실시예는, 실제의 조인트 송신 전에, 마스터 AP와 참가 슬레이브 AP의 사이의 조인트 송신 세션을 설정한다. 조인트 송신 세션 네고시에이션의 사이, 마스터 AP 및 슬레이브 AP는, 조인트 송신에 관여하는 타깃 STA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 마스터 AP 및 슬레이브 AP는 또, 세션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것이 예상되는 조인트 송신 파라미터, 예를 들면, 사용되는 채널, PPDU 포맷(HT, VHT 또는 HE 등), MU-MIMO를 위한 프리코딩 스킴 등을 지정한다. 각 조인트 송신 세션은, 일의적인 Session ID에 의하여 식별된다. 마스터 AP는, AP Coordination Session Request 프레임을 슬레이브 AP에 송신함으로써, 조인트 송신 세션의 설정을 개시한다. 슬레이브 AP가 요구를 수용한 경우, 그것은, Status Code 필드가 Accept로 설정된 AP Coordination Session Response 프레임을 마스터 AP에 반송한다. 마스터 AP는,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고 있는 각 슬레이브 AP에 대하여 당해 처리를 반복한다. 세션을 종료하기 위하여, 마스터 AP는, AP Coordination Session Teardown 프레임을 슬레이브 AP에 송신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조인트 송신 세션을 네고시에이트 또는 분해(티어다운)하기 위하여 AP 사이에서 교환되는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면은, AP Coordination Session Request(1000), AP Coordination Session Response(1002), AP Coordination Session Teardown(1004), AP Coordination Session Action 필드값을 갖는 테이블(1010), 및 AP Coordination Type 필드값을 갖는 테이블(1020)을 나타낸다.
새로운 카테고리의 Action 프레임이, 멀티 AP Coordination을 위하여 규정되고, 카테고리 필드에 있어서 나타난다. 5개의 새로운 Action 프레임은, 멀티 AP Coordination에 관련되는 AP 간 통신의 목적을 위하여 규정되고, 이 중 3개는, 세션의 설정/분해에 사용된다(테이블(1010)에 리스트되는 "AP Coordination Session Action" 필드의 값에 의하여 나타난다). 세션은, 각종 타입의 멀티 AP 협조 스킴에 대하여 설정되고, 테이블(1020)에 리스트되는 AP Coordination Session Request 프레임에 있어서의 "AP Coordination Type" 필드의 값에 의하여 나타난다. 예를 들면, 조인트 송신 세션에 대하여, 그것은 2로 설정된다. AP Coordination Session Request 프레임(1000)에 있어서의 "Target STA information" 필드는,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는 것이 기대되는 하나 이상의 타깃 STA의 MAC Address를 열기(列記)한다.
AP Coordination Session Request 프레임(1000)에 있어서의 "Type Specific parameters" 필드는, AP Coordination Type에 고유의 추가 세션 파라미터를 반송한다. 예를 들면, Joint Transmission에 대하여, 당해 필드는, 조인트 송신을 위한 Channel information을 지정해도 된다. Channel information은, 마스터 AP 및 슬레이브 AP가 상이한 프론트 홀 채널상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에 존재해도 된다. "Type Specific parameters" 필드는 또, 조인트 송신이 개시하는 것이 예상되는 개시 시간을 나타내도 된다. 고밀도 네트워크에 있어서, 근방 AP가, BSS 간 간섭을 경감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상에서 동작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Channel information으로 지정된 채널이 슬레이브 AP의 동작 채널과 상이한 경우로서, 슬레이브 AP가 AP Coordination Session Reqeust를 수용하는 경우, 슬레이브 AP는, 지시된 조인트 송신 개시 시간의 전에, 지정된 조인트 송신 채널로 채널을 전환하는 것이 기대된다.
다른 예로서, Joint Transmission에 대하여, 암호화가 조인트 송신에 대하여 유효가 되고, 각 AP에 있어서 로컬로 실행되는 경우, "Type Specific parameters" 필드는 또, 암호화에 사용되는 시큐리티 키(예를 들면, PTK)를 포함해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Joint Transmission에 대하여, "Type Specific parameters" 필드는 또, JT Data 프레임을 보존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할당되도록 마스터 AP에 의하여 요구되는 버퍼 스페이스의 크기를 포함해도 된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Ethernet 프레임이 JT Data와 함께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을 캡슐화하는 프레임(1100)을 나타낸다.
마스터 AP는, 802.3(Ethernet) 프레임 내에 Joint Transmission Data 프레임(Joint Transmission Data 페이로드를 반송하는 S-MPDU 또는 A-MPDU 전체)을 캡슐화하여, 이더넷(등록 상표) 링크를 통하여 슬레이브 AP에 송신한다. 암호화가 이용되는 경우, 암호화된 프레임이 캡슐화된다.
Ethernet 프레임이 AP 사이에서 AP Coordination information을 교환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Ethertype 89-0d가 또, 예를 들면, AP 협조 세션을 설정 또는 분해하기 위하여,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을 캡슐화하는 데 이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Payload Type 필드는, "AP Coordination"으로 설정되고, Ethertype 89-0d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을 반송한다. 이 경우의 "AP Coordination Packet Type" 필드는,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도 6의 테이블(6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3으로 설정된다)으로 설정되고, Packet Content 필드는 AP Coordination Action 프레임을 반송하는 한편, 페이로드에 있어서의 다른 필드는 생략된다.
MAC Header에 있어서의 Destination Address는, 슬레이브 AP가 수신된 JT Data 프레임을 타깃 STA에 즉석에서는 전송하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예를 들면, 서브필드는,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고, 타깃 STA의 MAC 어드레스로는 설정되지 않는다.
상이한 슬레이브 AP로의 송신은, 유선 또는 혼합 백 홀 시나리오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동기되지 않아도 되고,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간에 행해져도 된다. JT Packet ID는, Joint Transmission의 컨텐츠를 동기시키는 데 이용된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을 위한 Trigger 프레임(1200)을 나타낸다.
Joint Transmission Trigger 프레임(1200)은, AP Coordination Session ID(1210)를 포함한다. 세션 ID는, 어느 쪽의 조인트 송신 세션이 트리거되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JT Trigger 프레임에 포함된다. 세션 ID에 근거하여, JT Trigger 프레임을 수신한 슬레이브 AP는, 세션 설정 중에 네고시에이트된 공통의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그와 같은 사전에 네고시에이트된 파라미터는, 마스터 AP가 파라미터의 어느 것도 명시적으로 오버라이드하지 않는 경우, JT Trigger 프레임에 있어서 생략된다. 무선 매체를 통한 조인트 송신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는 저감된다.
또한, Session ID에 대응하는 모든 슬레이브 AP가 조인트 송신에 관여하고 있는 경우, 슬레이브 AP의 MAC Address 필드는 스킵할 수 있다. 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는 또, 타깃 STA가 Session ID로부터 자명한 경우, 생략되어도 된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AP가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지 않는 통신 교환(1300)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몇 개의 케이스에서는, 마스터 AP가 실제의 조인트 송신 페이즈에 관여하지 않아도 되고, 슬레이브 AP만이 조인트 송신에 참가해도 된다. 이것은, 마스터 AP가 중앙 컨트롤러로서 실장되고, 타깃 STA로부터 멀 때, 또는, 마스터 AP가 실제의 AP가 아니라, 코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멀티 AP 컨트롤러 디바이스일 때,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타깃 STA는, 마스터 AP가 아니라 슬레이브 AP 중 하나에 관련지어진다. JT Trigger 프레임을 포함하는 슬레이브 AP와 마스터 AP의 사이의 통신은, 유선 백 홀(예를 들면, 이더넷(등록 상표))을 통하여 행해져도 된다. 마스터 AP와 슬레이브 AP의 사이에 무선 링크가 없을 때, JT Trigger 프레임조차, Ethernet 프레임 내에 캡슐화된다. 조인트 송신을 위한 엄격한 시간 동기 요구를 위하여, 또, JT Trigger 프레임이 슬레이브 AP 간의 시간 동기를 위하여 사용된다는 사실때문에, JT Trigger 프레임의 송신을 위한 유선 백 홀의 사용은, 모든 참가 슬레이브 AP가 JT Trigger 프레임을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 보증될 수 있을 때에 한하여 가능하다. 이 경우, Payload Type 필드는 "AP Coordination"으로 설정되고, Ethertype 89-0d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JT Trigger 프레임을 반송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AP Coordination Packet Type" 필드는, JT Trigger 프레임(도 6의 테이블(6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4로 설정된다)으로 설정되고, Packet Content 필드는, JT Trigger 프레임을 반송하는 한편, 페이로드에 있어서의 다른 필드는 생략된다. 이 타입의 구축은, 슬레이브 AP가 마스터 AP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요구하는 제약을 제거하고, 훨씬 더 큰 규모에서의 조인트 송신을 가능하게 하여, 집중 위치에 있어서의 마스터 AP는, 복수의 물리 위치에 있어서의 조인트 송신을 remote administration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참가 슬레이브 AP가 동시에 JT 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보증할 수 없는 경우, JT Trigger 프레임은, 무선 매체를 통하여 송신된다.
타깃 STA가 마스터 AP에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경우, 마스터 AP는, Sequence Control 필드에 사용되는 값, 또는,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로컬에 생성되는 CCMP Packet Number(PN)를 몰라도 된다. 예를 들면, 타깃 STA가 슬레이브 AP1에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 데이터 분배 페이즈(1320)의 전에, 마스터 AP는, 정보 쿼리 페이즈(1310)를 개시하고, 다음으로 사용되는 Sequence Control과, 임의 선택적으로 타깃 STA로의 송신에 사용되는 CCMP Packet Number(PN) 및 암호화 키 ID를 슬레이브 AP1에 문의한다. MPDU 전체가 슬레이브 AP에 분배되는 경우, 마스터 AP는, 조회된 정보를 이용하여, 캡슐화된 JT Data의 각 필드를 설정하거나, 혹은, 조인트 송신을 위한 MPDU가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로컬에 생성되는 경우, 정보는 슬레이브 AP에 분배된다.
데이터 분배 페이즈(1320) 전의 소정의 시점에서, 마스터 AP는 또, 슬레이브 AP1을 통하는 대신에, 상위 레이어 데이터가 그 자신을 통하여 루팅되도록 구성한다. 이것은, 마스터 AP가 타깃 STA를 위한 서비스 AP로서 기록되도록, 데이터 페이로드를 AP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라우터 디바이스의 루팅 테이블을 일시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실행되어도 된다.
데이터 분배 페이즈(1320)의 사이, 마스터 AP는, 타깃 STA가 관련지어진 슬레이브 AP1에 의하여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캡슐화된 JT Data의 MAC Header 필드를 설정하고, 예를 들면, 조인트 송신된 MPDU의 Address 2(TA) 필드가, 슬레이브 AP1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또, (JT Data의)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는, 비명시적인 JT Identifiers로서 사용되고, 명시적인 JT Packet ID는, JT Data에 할당되지 않는다. 조인트 송신 페이즈(1330)의 사이, 마스터 AP는, JT Trigger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여전히 조인트 송신을 개시하지만, 슬레이브 AP만이 실제의 조인트 송신에 참가한다. 타깃 STA에 대하여, 송신은 슬레이브 AP1에 의하여 개시되는 것처럼 보인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른 AP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정보 쿼리 페이즈에 있어서 AP에 의하여 사용되는 Action 프레임(1400)을 나타낸다.
AP Coordination Info Request 프레임은, 마스터 AP에 의하여 요청되는 타깃 STA를 위한 슬레이브 AP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Requested Information bitmap을 포함한다. 슬레이브 AP는, AP Coordination Info Response 프레임을 이용하여, 요청된 정보를 마스터 AP에 보고하고, 포함되는 정보가, Reported Information bitmap에 의하여 나타난다.
마스터 AP가 요구를 개시할 수 있지만, 슬레이브 AP가 요구를 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AP Coordination Info Request 프레임(1410)은, 송신 측 AP에 의하여 요청된 타깃 STA에 대한 수신 측 AP의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Requested Information bitmap을 포함한다. 수신 측 AP는, AP Coordination Info Response 프레임(1420)을 사용하여, 요청된 정보를 요청 측 AP에 보고하고, 포함되는 정보 필드는, Reported Information bitmap에 의하여 나타난다. Reported Information bitmap에 있어서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대응하는 필드는, AP Coordination Info Response 프레임(1420)에 포함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AP로부터 슬레이브 AP로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프레임(1500)을 나타낸다.
마스터 AP는, MAC 레이어 프레임 전체(MPDU 또는 A-MPDU)를 캡슐화하는 대신에, 상위 레이어 데이터 페이로드(MSDU(MAC Service Data Unit)로서도 알려진다)와, Ethertype 89-0d 프레임 보디의 Payload 필드 내의 MAC Header의 다른 관련 필드만 캡슐화한다. 복수의 데이터 페이로드가 포함되는 경우, Sequence Control 필드와 CCMP Header(포함되는 경우)가, 각각 starting Sequence Number(SN)와 Packet Number(PN)를 반송한다. 이것에 근거하여, 각 슬레이브 AP는, 조인트 송신되는 MPDU 또는 A-MPDU를 생성한다. 필요하게 되는 경우, 데이터의 암호화는 각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실행된다.
Frame Control, Duration/ID, QoS Control 및 HT Control 필드의 카피가, 로컬에 생성된 MPDU의 MAC Header를 생성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이용된다. 혹은, 이들 필드의 일부 또는 모두가 또, 이들 필드가 JT세션을 통하여 계속 동일한 경우, JT세션 설정 중에 분배되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1520)에 있어서의 "Protected Frame" 비트가 설정되는 경우, CCMP Header 필드(1510)는 존재한다. CCMP Header 필드(1510)는, 순차 증가하는 PN을 이용하고, 이후의 MPDU에 의하여 최초의 MPDU를 암호화하는 데 이용되는 Packet Number(PN)를 반송한다.
Sequence Control 필드(1520)는, 로컬에 작성된 A-MPDU에 대하여 사용되는 Sequence Number(SN)를 반송한다. 이것은, 최초의 MPDU를 위한 스타트 SN으로서 이용되고, A-MPDU에 있어서의 이후의 MPDU에 대하여 순차 증가한다.
Packet Content 필드(1530)는, 상위 레이어 페이로드(MSDU로서도 알려진다)만을 반송한다. 각 슬레이브 AP는, 조인트 송신을 위한 MPDU를 생성하기 위하여, 로컬에 생성된 MAC 헤더를 상위 레이어 페이로드에 부가한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Aggregated MAC Protocol Data Unit(A-MPDU)로서의 JT Data 프레임(1600)을 나타낸다.
각 슬레이브 AP는, Joint Transmission Data 프레임(1600)을 로컬에 생성하여, 그것을 메모리에 보존한다. 예를 들면, 각 슬레이브 AP는, 마스터 AP로부터 수신한 정보(1602)에 근거하여, 조인트 송신되는 MPDU 또는 A-MPDU를 생성한다. 도 16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추가를 필요로 하는 몇 개의 필드를 제외하고, 로컬에 생성된 MPDU에 필드가 간단히 카피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초로 생성된 MPDU는, 마스터 AP로부터 수신한 Sequence Control 필드를 직접 사용하지만, 후속의 각 MPDU는, Sequence Control 필드(1620) 내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를 하나씩 인크리먼트한다. MPDU 또는 A-MPDU는, 마스터 AP로부터 캡슐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바로 생성되고, 메모리에 보존되어도 된다. 암호화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Frame Control 필드(1610)에 있어서의 "Protected Frame" 비트에 의하여 나타난다), 각 슬레이브 AP는 또, 데이터 페이로드를 암호화하고, MIC를 생성하여 페이로드에 부가한다. 최초로 암호화된 MPDU는, 마스터 AP로부터 수신한 CCMP Header 필드를 직접 사용하는 한편, 후속의 각 MPDU는, CCMP Header 필드 내의 PN서브필드를 하나씩 인크리먼트한다. 암호화된 MPDU는, 메모리에 보존되고, JT Packet ID(1630)에 의하여 인덱스화된다.
혹은, 슬레이브 AP가 충분히 빠른 프로세서를 갖는 경우, 데이터 분배 페이즈 중에, 수신한 MAC 파라미터와 페이로드가 메모리에 보존되고, MPDU의 생성(및 필요한 경우, 암호화)은, JT Trigger 프레임의 수신 후에만 실행되어도 된다.
도 16에서는, 로컬에 작성된 JT Data 프레임(1600)의 MPDU에 있어서의 Address 2(TA) 필드(1622)가 또, 마스터 AP로부터 수신된 정보(1602)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Address 2(TA) 필드(1630)로부터 카피된다. Address 2(TA) 필드(1630)는, 타깃 STA가 관련지어지는 AP에 따라, 마스터 AP의 MAC 어드레스 또는 슬레이브 AP의 MAC 어드레스 중 하나로 설정된다. 각 A-MPDU 서브 프레임의 나머지의 필드(MPDU delimiter, Padding, FCS 등)는, EOF 패딩과 함께 로컬에 생성된다. 또한, CCMP Encryption 프레임에서는, Frame Control 필드(1610)에 있어서의 "Protected Frame" 비트가 설정되는 경우, CCMP 암호화가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실행된다.
프레임(1600) 중 하나의 이점은, 백 홀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오버헤드가 저감되는 것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슬레이브 AP와의 데이터 공유에 이용되는 Aggregated MAC Protocol Data Unit(A-MPDU)로서 프레임(1700)을 나타낸다.
마스터 AP는, 4Address MAC Header 포맷에 의한 802.11 Data 프레임(1700)을 이용하여, JT Data를 슬레이브 AP에 분배한다(Ethertype 89-0d의 캡슐화를 이용하지 않고). 이 분배 스킴은, 예를 들면, Wi-Fi EasyMesh 구축에 있어서, 슬레이브 AP가 마스터 AP에 관련지어질 때에 이용되어도 된다.
마스터 AP로부터 조인트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AP는, 조인트 송신되는 MPDU를 생성한다. 생성된 MPDU의 MAC 헤더에 있어서의 Sequence Control 필드(1734) 내의 Sequence Number가, 비명시적인 JT Identifiers로서 이용된다.
타깃 STA가 마스터 AP에 관련지어지고, 마스터 AP가 또 실제의 조인트 송신에 참가하는 구축의 예를 생각한다. 마스터 AP는, A-MDPU(1700)를 슬레이브 AP에 송신하여, JT Data를 분배한다. A-MPDU의 MPDU 내의 각 Data 프레임은, 4 어드레스 MAC Header 포맷을 사용하고, MPDU(1710)의 Frame Body는, 조인트 송신되는 실제의 Data Payload(1720)(필요에 따라, 암호화되고, CCMP Header 필드와 MIC 필드를 포함한다)를 반송한다. 이 경우, JT Data는, Data Payload(1720)(필요에 따라, 암호화되고, CCMP Header 필드와 MIC 필드를 포함한다)를 참조한다. Data Payload(1720)의 최종적인 수신인은 슬레이브 AP가 아니기 때문에, Frame Control 필드(1712)에 있어서의 "To DS" 및 "From DS" 비트는, AP로부터 STA로의 송신 또는 STA로부터 AP로의 송신을 구별하기 위하여 양방 모두 1로 설정된다. HE Control 필드(1714)는 또, EHT의 이용을 위하여 확장되고, 새로운 Control ID가 AP 협조를 위하여 규정된다. Control 필드는, 다양한 멀티 AP 협조 방식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반송하는 데 이용되어도 되고, 협조 방식을 나타내는 AP Coordination Type(1716)은, 도 10의 테이블(1020)에 있어서의 값 중 하나, 예를 들면, HE Control 필드의 후속의 필드가 JT Sequence Control(1718)를 반송하는 데 이용되는 조인트 송신에 대하여 2로 설정되어도 된다. JT Sequence Control 필드(1718)는, 조인트 송신되는 실제의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1734)를 반송한다.
AP협조를 위하여 HE Control 필드(1714)를 반송하는 A-MPDU(1710)를 마스터 AP로부터 수신하면, 어드레스 지정된 슬레이브 AP(Address 1(RA)에 의하여 나타난다)는, A-MPDU를 타깃 STA(Address 3(DA)에 의하여 나타난다)에 전송하는 대신에, 마스터 AP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조인트 송신되는 MPDU 또는 A-MPDU를 생성한다. 생성된 MPDU(1730)는, 3 어드레스 MAC Header 포맷을 사용하는 802.11 Data 프레임이다.
도 17에 있어서, 화살표는, 생성된 MPDU에 있어서 Frame Control 필드(1732) 내의 "To DS" 비트가 0으로 설정되며, "From DS"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것을 제외하고, 수신한 MPDU로부터 생성된 MPDU에 필드가 카피되는 것을 나타낸다. 생성된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1734)는, 마스터 AP로부터 수신된 JT Sequence Control(1718)로부터 카피된다. Duration 필드, Address 2(TA) 필드 및 QoS Control 필드는, 변경되지 않고 카피된다. 한편, Address 3(DA) 필드는, Address 1(RA) 필드에 카피되고, Address 4(SA) 필드는, 생성된 MPDU에 있어서의 Address 3(SA) 필드에 카피된다. JT Sequence Control 필드를 반송하는 HE Control 필드는, 생성된 MPDU에서는 생략된다. 생성된 MPDU의 프레임 보디는, 마스터 AP로부터 수신된 MPDU(1710)로부터 직접적으로 카피된다(즉, 가일층의 처리없이). 그러나, FCS 필드(1738)는,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로컬에 생성된다. Data Payload(1720)가 암호화되는 경우,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중요한 측면은, CCMP 암호화는 타깃 STA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실행되며, 따라서, 암호화에 사용되는 MAC 헤더 파라미터가, MPDU(1710)의 MAC Header 필드에 근거하지 않고, 조인트 송신되는 실제의 MPDU(1730)에 포함되는 MAC Header 필드에 근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CCMP 캡슐화 수순에 있어서, 마스터 AP는, Frame Control 필드(1732), Address 1(RA) 필드(1740), Address 2(TA) 필드(1742), Address 3(SA) 필드(1744), Sequence Control 필드(1746), QoS Control 필드(1748)를 이용하여, CCMP 암호화에 사용되는 추가의 인증 데이터(AAD)를 마치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생성된 것처럼 구성한다. Address 4 필드는, AAD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CCMP Header 필드, 암호화된 Data Payload(1720) 및 생성된 MIC는, MPDU(1710)의 프레임 보디에 포함되며, 가일층의 처리없이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MPDU(1730)의 프레임 보디에 직접 카피된다. 이것은, 슬레이브 AP의 암호화에 관련되는 처리 오버헤드를 유의(有意)하게 저감시킨다.
MPDU 또는 A-MPDU는, 마스터 AP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바로 생성되어, 메모리에 보존되어도 된다. MPDU는, Sequence Control 필드(1734)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에 의하여 인덱스화된 메모리에 보존된다. 혹은, 슬레이브 AP가 충분히 빠른 프로세서를 갖는 경우, 데이터 분배 페이즈 중에, 수신된 MPDU/A-MPDU는, 변경없이 메모리에 보존되어, (조인트 송신을 위한) MPDU의 생성은, JT Trigger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만 행해져도 된다.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Joint Transmission Trigger 프레임(1800)을 나타낸다.
JT Trigger 프레임은, 조인트 송신되는 MPDU의 Sequence Number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AP는, 필요에 따라, 보존된 MPDU로 A-MPDU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도 16에 있어서의 1620 또는 도 17에 있어서의 1732 등, MPDU(JT Data)의 Sequence Control 필드에 있어서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가, 비명시적인 JT Identifier로서 이용된다. 이것은, 마스터 AP에 실제의 조인트 송신 중에 JT Data의 컨텐츠를 선택할 때 보다 큰 플렉시빌리티를 가능하게 한다(JT Trigger 프레임(1800)의 Sequence Number Information 필드(1810)에 있어서 구체적인 시퀀스 번호를 나타냄으로써).
이 플렉시빌리티는, 예를 들면, 실패한 MPDU만이 재송되는 조인트 재송 중 등에 실행 가능하다. Sequence Number Information 필드(1810)은, 조인트 송신되는 MPDU를 식별한다. Sequence Number Bitmap 서브필드에 있어서 1로 설정된 비트는, 포함되는 MPDU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고, 제1 비트(n=1)는 Starting Sequence Number(SSN) 서브필드에 대응하며, n번째의 비트는 (SSN+n-1)에 대응한다.
도 1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쌍방이 마스터 AP에 관련지어진 2개의 STA에 대한 분산 MU-MIMO Joint Transmission(1900)의 예이다.
번호 1910 및 1912는, 슬레이브 AP로의 데이터 분배를 나타낸다. JT Data는, 각각 STA1 및 STA2 앞으로 보내진 슬레이브 AP에 분배된다. 예를 들면, JT Data(1910 및 1912)는, 도 17에 있어서의 A-MPDU(1700)여도 된다. JT 데이터(1910 및 1920)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AP는, 수신한 JT Data로부터 필요한 필드를 카피함으로써, 조인트 송신을 위한 MPDU(1730)를 생성해도 된다. 슬레이브 AP는, 로컬에 생성된 MPDU를 추가로 단일의 A-MPDU에 집약하여, A-MPDU가 지정된 로컬 버퍼에 보존해도 된다. 번호 1914는, 타깃 STA로의 조인트 송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Joint Transmission Trigger 프레임을 나타낸다. JT Trigger 프레임(1914)는, 2개의 공간 스트림을 사용하는 MU 조인트 송신을 개시한다. 번호 1920은, STA 1로의 조인트 송신(Spatial Stream 1을 사용하여 S.N 1-5를 STA1로)을 나타낸다. 번호 1922는, STA2로의 조인트 송신(Spatial Stream 2를 사용하여 S.N 11-15를 STA2로)을 나타낸다. 번호 1920 및 1922는, 동시에 행해지지만, 상이한 공간 스트림을 사용한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2000)의 예이다.
전자 디바이스(2000)는, 전원(2010), 메모리(2020), 중앙 처리 유닛(CPU)(2030), 2차 기억 장치(2040), 및 무선 I/F(2050)(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한다)를 포함한다. 무선 I/F(2050)는, 안테나(2070)와 통신하는 MAC(2052) 및 PHY(2060)를 포함한다. MAC(2052)는, JT Identity 생성기(2054), JT Data 버퍼(2056), 및 JT Data 캡슐화/캡슐 해제(2058)를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2000)가, 마스터 AP 또는 슬레이브 AP 등의 AP이다(JT Identity 생성기(2054)는 마스터 AP에만 존재하는 것에 유의바란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생각한다.
전자 디바이스(2000)는, JT Data와, JT Data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Identity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JT Identity 생성기(2054)는, 슬레이브 AP에 배신(配信)된 JT Data에 대응하는 JT Identity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JT Data의 캡슐화/캡슐 해제 블록(2058)은, 데이터 분배 페이즈 중에 802.11 Data 프레임 또는 802.3 Ethernet 프레임 내에 JT Data를 캡슐화하기 위하여 마스터 AP에 의하여 사용된다. 당해 블록은, 마스터 AP로부터 수신된 JT Data를 캡슐해제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AP에 의하여 사용된다. JT Data 버퍼(2056)는, 조인트 송신에 이용되는 JT Data를 저장한다. 마스터 AP에서는, 이것은 다른 버퍼가 아니라, 모든 출력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는 공유 버퍼여도 된다. 슬레이브 AP에서는, 이것은, 조인트 송신에 사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다른 버퍼여도 된다. 전자 디바이스(2000)는 AP가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STA 등 중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에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송신기 및/또는 안테나(2070) 등의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연동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집적 회로 등의 LSI에 의하여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실현 가능하고, 각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각 처리는, 동일한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하여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어되어도 된다. LSI는, 개별적으로 칩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LSI는, 그에 결합된 데이터 입출력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에서, LSI란, 집적도의 차이에 의하여, IC, 시스템 LSI, 슈퍼 LSI 또는 울트라 LSI로서 불릴 수 있다. 그러나, 집적 회로를 실현하는 기술은 LSI에 한정되지 않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정 용도를 대상으로 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LSI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 셀의 접속 및 설정이 재설정 가능한 LSI 또는 리콘피규러블 프로세서의 제조 후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가 이용되어도 된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될 수 있다. 반도체 기술이나 다른 파생 기술의 진보의 결과로서, 장래의 집적 회로 기술이 LSI에 취하여 대신하는 경우, 기능 블록은, 장래의 집적 회로 기술을 이용하여 집적화할 수 있다. 바이오 테크놀로지도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장치라고 불리는, 통신 기능을 갖는 어느 하나의 타입의 장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처리/제어 회로를 가져도 된다. 송수신기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고, 및/또는 기능해도 된다. 송신기 및 수신기 등의 송수신기는, 증폭기, RF(Radio Frequency) 변조기/복조(復調)기 등을 포함하는 RF 모듈과,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해도 된다.
그와 같은 통신 장치의 몇 개의 비한정적인 예는, 전화기(예를 들면, 휴대(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예를 들면, 랩톱, 데스크톱, 넷북), 카메라(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플레이어(디지털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면, 웨어러블 카메라, 스마트 시계, 트랙킹 디바이스), 게임 콘솔, 디지털 북 리더, 원격 헬스/원격 의료(리모트 헬스 및 리모트 의료) 디바이스, 및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선박), 및 그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휴대형 또는 가동형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홈 디바이스(예를 들면, 가전, 라이팅, 스마트 미터, 제어 패널), 자동 판매기 및 "Internet of Things(IoT)"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다른 어느 하나의 "사물" 등, 비휴대형 또는 고정형인 어느 하나의 타입의 장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포함해도 된다.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위성 시스템 등, 및 그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통신 장치는, 본 개시에 기재된 통신의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결합된 컨트롤러 또는 센서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또는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통신 장치는 또,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의 인프라스트럭쳐 퍼실리티와, 상기의 비한정적인 예에 있어서의 것 등의 장치와 통신 또는 제어하는 다른 어느 하나의 장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포함해도 된다.
다양한 실시예의 몇 개의 특징이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대응하는 특징은 각종 실시예의 방법에도 적용되며, 그 반대도 동일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수의 변형 및/또는 개량이, 넓게 설명되고 있는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체적인 실시예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대하여 행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이고, 한정적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하의 구체예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가 되는 실시예는, 동작 중에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이며, 프레임의 프레임 보디가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회로와, 동작 중에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AP에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AP)이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회로는, 동작 중에 JT 데이터의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JT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고, 송신기는, 동작 중에 JT 트리거 프레임을 하나 이상의 AP에 송신한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JT 트리거 프레임은, 통신 장치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JT 데이터는, Ethertype 89-0d 프레임 보디의 페이로드로서 반송된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프레임은, IEEE 802.11 데이터 프레임과, 이더넷 프레임 중 하나이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JT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어드레스 지정된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이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JT 식별자는, 일의적으로 할당된 JT 패킷 ID, 캡슐화한 IEEE 802.11 데이터 프레임의 Sequence Control 필드 내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의 값, 및 JT Data 내의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 내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의 값 중 하나이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JT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을 로컬로 구성하기 위하여, 수신 측의 AP에 의하여 필요하게 되는 상위 레이어 페이로드와 공통의 필드를 갖는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JT 데이터는, 4 어드레스 MAC 헤더 포맷을 이용한 IEEE 802.11 Data 프레임의 페이로드로서 반송되고, IEEE 802.11 Data 프레임의 MAC 헤더는, 조인트 송신되는 IEEE 802.11 Data 프레임의 Sequence Control 필드를 나타내는 제어 필드를 포함하며, JT 식별자는, Sequence Control 필드 내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의 값을 포함한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AP와 AP 협조 세션을 네고시에이트하고, AP 협조 세션은, 조인트 송신으로서 AP 협조 스킴을 지정하며, AP 협조 세션은, 세션 ID에 의하여 식별된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JT 트리거 프레임의 종료로부터 고정된 시간 후에, JT 데이터로 구성되는 PHY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한다.
다른 일례가 되는 실시예는, 동작 중에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JT 데이터와 JT 식별자를 기억하는 로컬 메모리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AP)이다.
당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수신기는 또한, JT 데이터의 JT 식별자를 반송하는 JT 트리거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액세스 포인트는, 메모리로부터 일치한 JT 식별자를 갖는 JT 데이터를 추출하며, JT 트리거 프레임의 종료로부터 고정된 시간 후에 JT 데이터로 구성되는 물리 레이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한다.
다른 일례가 되는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가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통신 방법이다. 당해 방법은, 제1 AP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AP에, 프레임 보디가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는 스텝과, 하나 이상의 제2 AP로부터,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스텝을 갖는다.
당해 방법은 또한, 2개 이상의 송신 측 AP로부터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송신 신호가 정확하게 동일해지도록, 2개 이상의 송신 측 AP에 있어서 PHY 및 MAC 파라미터를 동기시키는 스텝을 더 갖는다.

Claims (17)

  1. 동작 중에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상기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중에 상기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AP에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A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동작 중에 상기 JT 데이터의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JT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 중에 상기 JT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AP에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JT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통신 장치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T 데이터는, Ethertype 89-0d 프레임 보디의 페이로드로서 반송되는, 액세스 포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IEEE 802.11 데이터 프레임과, 이더넷 프레임 중 하나인, 액세스 포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T 데이터는, 상기 통신 장치에 어드레스 지정된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인, 액세스 포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T 식별자는, 일의적으로 할당된 JT 패킷 ID, 캡슐화한 IEEE 802.11 데이터 프레임의 Sequence Control 필드 내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의 값, 및 JT Data 내의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 내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의 값 중 하나인, 액세스 포인트.
  8. 제1항에 있어서,
    JT 데이터는, 상기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을 로컬로 구성하기 위하여, 수신 측의 상기 AP에 의하여 필요하게 되는 상위 레이어 페이로드와 공통의 필드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T 데이터는, 4 어드레스 MAC 헤더 포맷을 이용한 IEEE 802.11 Data 프레임의 페이로드로서 반송되고, 상기 IEEE 802.11 Data 프레임의 MAC 헤더는, 조인트 송신되는 IEEE 802.11 Data 프레임의 Sequence Control 필드를 나타내는 제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JT 식별자는, Sequence Control 필드 내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의 값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AP와 AP 협조 세션을 네고시에이트하고, 상기 AP 협조 세션은, 조인트 송신으로서 AP 협조 스킴을 지정하며, 상기 AP 협조 세션은, 세션 ID에 의하여 식별되는, 액세스 포인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JT 트리거 프레임의 종료로부터 고정된 시간 후에, 상기 JT 데이터로 구성되는 PHY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12. 동작 중에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상기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다른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JT 데이터와 상기 JT 식별자를 기억하는 로컬 메모리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JT 데이터의 JT 식별자를 반송하는 JT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다른 AP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일치한 JT 식별자를 갖는 상기 JT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JT 트리거 프레임의 종료로부터 고정된 시간 후에 상기 JT 데이터로 구성되는 물리 레이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14. 제1 액세스 포인트(AP)에 있어서,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상기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1 AP로부터, 상기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AP에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는 스텝을 갖는 통신 방법.
  15.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있어서, 다른 AP로부터 송신되고, 조인트 송신(JT) 데이터와, 상기 JT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JT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JT 데이터와 상기 JT 식별자를 로컬 메모리에 기억하는 스텝을 갖는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상기 JT 데이터를 통신 장치에 조인트 송신하는 스텝을 더 갖는, 통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JT 데이터가 정확하게 동일해지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AP에 있어서 PHY 및 MAC 파라미터를 동기시키는 스텝을 더 갖는, 통신 방법.
KR1020217032654A 2019-04-26 2020-03-11 멀티 ap 조인트 송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200046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903821U 2019-04-26
SG10201903821UA SG10201903821UA (en) 2019-04-26 2019-04-26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transmission
PCT/SG2020/050128 WO2020218970A1 (en) 2019-04-26 2020-03-11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630A true KR20220004630A (ko) 2022-01-11

Family

ID=7294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654A KR20220004630A (ko) 2019-04-26 2020-03-11 멀티 ap 조인트 송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804878B2 (ko)
EP (1) EP3959822A4 (ko)
JP (1) JP2022529597A (ko)
KR (1) KR20220004630A (ko)
CN (1) CN113661661A (ko)
BR (1) BR112021020467A2 (ko)
SG (2) SG10201903821UA (ko)
WO (1) WO2020218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903821UA (en) 2019-04-26 2020-11-27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transmission
US20220294567A1 (en) * 2019-05-10 2022-09-15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150796A1 (en) * 2020-11-12 2022-05-1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coordinated service period in multiple access point environment
US20240171993A1 (en) * 2021-03-30 2024-05-23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CN116982266A (zh) * 2021-04-07 2023-10-3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在协调协议下接入点实体的协调传输的技术
WO2022258133A1 (en) * 2021-06-07 2022-1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s and methods for m-ap coordination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11632273B1 (en) * 2021-12-02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having unavailable spatial streams
WO2023228756A1 (ja) * 2022-05-27 2023-11-3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WO2024025470A1 (en) * 2022-07-29 2024-02-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tunneled sensing by prox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7299B2 (en) 2012-02-23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multi-sourc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EP3975650A1 (en) * 2012-11-08 2022-03-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ctorized operation
WO2015062061A1 (zh) * 2013-10-31 2015-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方法和装置
WO2016032258A2 (ko) * 2014-08-27 2016-03-0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118391A (zh) * 2016-07-22 2022-09-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和接收装置
US10637549B2 (en) 2017-01-17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ordinating distributed MIMO communications
CN109672512B (zh) * 2017-10-16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联合传输方法及相关设备
CN110691381B (zh) 2018-07-06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联合传输方法及通信装置
JP7492317B2 (ja) 2019-04-25 2024-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の制御方法
SG10201903821UA (en) 2019-04-26 2020-11-27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transmission
SG10201904246SA (en) 2019-05-10 2020-12-30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Re-Transmission
EP3962233B1 (de) 2020-08-25 2024-03-13 CT-Coating AG Flächiges heizmodul, flach-heizkörper, pflasterplatte, pflaster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heizmodu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9822A4 (en) 2022-06-22
SG10201903821UA (en) 2020-11-27
US11804878B2 (en) 2023-10-31
EP3959822A1 (en) 2022-03-02
JP2022529597A (ja) 2022-06-23
SG11202111337PA (en) 2021-11-29
CN113661661A (zh) 2021-11-16
BR112021020467A2 (pt) 2022-03-08
US20240056127A1 (en) 2024-02-15
WO2020218970A1 (en) 2020-10-29
US20220190880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487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transmission
US11089652B2 (en) Inter-AP coordination and synchronization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s
JP7427024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方法
US9554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JP7312813B2 (ja) non-APマルチバンド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TW202046653A (zh) 覆蓋範圍擴展方法及使用者設備
WO2018171573A1 (en) Group handover methods and systems
US11765779B2 (en) Security for multi-link oper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20210160958A1 (en) Fragmentation and retransmission for multi-link oper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202203946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Aggregation of Communications Channels
CN110636631B (zh) 传输调度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20190166651A1 (en)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apparatus, wireless contro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EP3972177A1 (en) Ppdu send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230128009A (ko)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Gao et al. The access network and protocol design for CoMP technique in LTE-advanced system
JP2019514283A (ja) フラグメンテーションを利用する無線通信方法及びそれを使用する無線通信端末
RU2800008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й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ножества точек доступа
JP2007060366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7465145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202660A1 (zh) 一种跨分布式单元du的通信方法及相关装置
WO2021000646A1 (zh) 多接入点辅助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22097375A1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446539A1 (en) Uplink routing for enhanced lwa
JP2024073666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40003733A (ko) 무선 네트워킹 시스템들에 대한 향상된 어드레스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