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009A -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009A
KR20230128009A KR1020237022241A KR20237022241A KR20230128009A KR 20230128009 A KR20230128009 A KR 20230128009A KR 1020237022241 A KR1020237022241 A KR 1020237022241A KR 20237022241 A KR20237022241 A KR 20237022241A KR 20230128009 A KR20230128009 A KR 20230128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ing
frame
ack
shar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나카노
다카시 이와이
요시오 우라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3012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은,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응답 신호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개시는,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에 있어서, 규격 IEEE 802.11ax(이하, 「11ax」라고도 부른다)의 후계 규격에 해당하는 차세대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용의 규격 IEEE 802.11be(이하, 「11be」라고도 부른다)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IEEE 802.ax는 High Efficiency(HE)라고도 불리고, IEEE 802.be는 Extremely High Throughput(EHT)이라고도 불린다.
[비특허문헌 1] IEEE 802.11-20/0566r99, Compendium of straw polls and potential changes to the Specification Framework Document [비특허문헌 2] IEEE 802.11-19/1533r0, Consideration on Multi-AP Ack Protocol [비특허문헌 3] IEEE 802.11-20/0590r5, Coordinated Spatial Reuse: Focus on Downlink [비특허문헌 4] IEEE P802.11axTM/D8.0 [비특허문헌 5] IEEE P802.11-REVmdTM/D5.0
그러나, 무선 LAN과 같은 무선 통신에 있어서 협조 통신의 재송(再送) 제어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의 제공에 이바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은,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태는,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되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다. 이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 개의 실시형태 및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하여 각각 제공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하여 반드시 전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Multi-AP(multi-access point, MAP)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가 상이한 통신 환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AP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AP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ST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Block ACK(BA) 요구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Frame Control 필드에 있어서의 BA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Trigger Type subfield에 있어서의 BA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BlockAckReq frame variant에 있어서의 BA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Frame Control 필드에 있어서의 BA 공유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Trigger Type subfield에 있어서의 BA 공유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BlockAckReq frame variant에 있어서의 BA 공유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17은 BA 공유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Frame Control 필드에 있어서의 BA 공유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19는 BlockAck frame variant에 있어서의 BA 공유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2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1은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2는 Frame Control 필드에 있어서의 BA 공유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23은 Trigger Type subfield에 있어서의 BA 공유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24는 BlockAckReq frame variant에 있어서의 BA 공유 요구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25는 BA 공유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6은 Frame Control 필드에 있어서의 BA 공유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27은 BlockAck frame variant에 있어서의 BA 공유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28은 실시형태 3에 관한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9는 MAP trigger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30은 MAP trigger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31은 BA 공유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2는 Frame Control 필드에 있어서의 BA 공유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33은 BlockAck frame variant에 있어서의 BA 공유의 정의예를 나타내는 도
도 34는 실시형태 4에 관한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5는 MAP trigger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36은 Shared AP 간의 회선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37은 실시형태 5에 관한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이하,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Multi-Access Point coordination]
11be에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또는, 「기지국」이라고도 불린다)가 협조하여 각 단말(STA: Station. 또는, 「non-AP STA」라고도 불린다)와의 사이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ulti-AP(이하, 「MAP」라고 부른다) coordination(이하 「협조 통신」 또는 「기지국 간 협조 통신」이라고도 부른다)의 적용이 검토되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3을 참조).
11be에 있어서의 MAP coordination scheme(예를 들면, 「통신 타입」 또는 「MAP 타입」이라고도 부른다)의 하나로서, Joint Transmissions(이하, 「JT」라고 부른다)가 있다. JT에는, 예를 들면, 협조하는 복수의 AP로부터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협조하는 복수의 AP로부터 상이한 송신 스트림을 송신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협조하는 복수의 AP로부터 상이한 송신 스트림을 송신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Distributed Multi User-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D-MIMO)이라고 불린다.
IEEE 802.11에서는, Quality of Service(QoS)(서비스 품질)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로서의 Acknowledgement(ACK) 프레임, 및,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일괄하여 돌려주는 블록 ACK(BlockAck) 프레임이 정의되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4 또는 5를 참조).
도 1은, 협조 통신을 행하는 AP 및 STA의 구성예(MAP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있어서, 「Sharing AP」는, 예를 들면, 채널 사용(또는, 송신) 기간(예를 들면, TXOP: transmission opportunity)을 취득하여 협조 통신을 개시(또는, 제어)하는 AP여도 된다. 또, 「Shared AP」는, Sharing AP에 의하여 협조 통신을 지시받는 AP여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hared AP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AP1)가 Sharing AP를 겸하는 구성을 나타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Sharing AP와 Shared AP가 상이한 AP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1의 예에서는, STA a는, Sharing AP(AP1)에 어소시에이션(「접속」이라고 칭해져도 된다)되고, Sharing AP(AP1)와 Shared AP(AP2)의 사이에 있어서 협조 통신을 행한다. 또, 도 1의 예에서는, STA b는, Shared AP(AP2)에 어소시에이션되고, Sharing AP(AP1)와 Shared AP(AP2)와 Shared AP(AP3)의 사이에 있어서 협조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STA는, AP로부터 STA에 대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당해 STA가 어소시에이션된 AP에 대하여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한다. 또, 예를 들면, MAP coordination schemes가 JT인 경우, Shared AP 간에 있어서 ACK 또는 블록 ACK를 교환할 것이 기대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를 참조).
[MAP coordination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
도 2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서 커버리지(통신 가능한 범위)가 상이한 통신 환경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AP1, AP2, AP3, STA a 및 STA b의 접속 관계는, 도 1에 나타내는 AP 및 STA의 접속 관계와 동일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A a는,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각각의 하향 링크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한다(또는 위치한다. 이하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 STA a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 내에는,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는, 예를 들면, STA a로부터의 응답(예를 들면, 하향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을 수신(예를 들면, 동시에 수신)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A b는, Sharing AP(AP1), Shared AP(AP2) 및 Shared AP(AP3) 각각의 하향 링크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한다. 한편, STA b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 내에는, Shared AP(AP2) 및 Shared AP(AP3)가 존재하지만, Sharing AP(AP1)는, STA b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 외이다. 이 때문에, Sharing AP(AP1), Shared AP(AP2) 및 Shared AP(AP3)는, 예를 들면, STA b로부터의 응답(예를 들면, 하향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을 수신(예를 들면, 동시에 수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Sharing AP(AP1)는,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예를 들면, Sharing AP(AP1)는, Shared AP(AP2 및 AP3)에 대하여, MAP에 관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또는, MAP Announcement 프레임이라고도 부른다)을 송신한다. MAP trigger 프레임의 송수신 후에,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및 AP3)는, 데이터(예를 들면, 초회(初回)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해도 된다.
STA a 및 STA b는, 각 AP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에 대한 수신(또는, 복호)의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ACK 또는 블록 ACK(도 3의 예에서는 「BA」라고 나타낸다)를 각 AP에 송신(또는, 피드백)한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A b에 대하여, Sharing AP(AP1)가 STA b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 외이기 때문에, 도 3의 예에서는, STA b로부터 송신되는 ACK 또는 블록 ACK가, Sharing AP(AP1)에는 도달하지 않는 예가 나타난다. Sharing AP(AP1)는,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데이터의 재송을 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STA b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재송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동작에 계속되는, 재송 페이즈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예를 들면, Sharing AP(AP1)는, 재송 시에도, Shared AP(AP2 및 AP3)에 대하여 MAP trigger 프레임을 송신한다. MAP trigger 프레임의 송수신 후에,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는, 데이터(예를 들면, 재송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에서, 도 4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게, STA b로부터 송신되는 ACK 또는 블록 ACK가 Shared AP(AP1)에는 도달하지 않는 경우, Shared AP(AP1)는, 데이터의 재송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STA b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에도 불구하고, Shared AP(AP1)가 재송을 결정한 경우,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한 Shared AP(AP2 및 AP3)에서도 재송을 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재송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MAP coordination에 있어서, 각 STA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ed AP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재송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Shared AP 간(혹은 Sharing AP와 Shared AP의 사이)에 있어서 각 STA의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MAP 동작 시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AP가 각 STA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한 후에,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하는 「공유 페이즈(또는, BA 공유 페이즈)」를 마련함으로써,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또한, 「페이즈」는, 예를 들면, 「기간」, 「시퀀스」 또는 「프로시저」와 같은 다른 용어로 해석되어도 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AP(100), 및, STA(200)를 포함해도 된다. AP(100)는, 예를 들면, Sharing AP 및 Shared AP의 쌍방의 기능을 구비해도 되고, 어느 일방의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AP(1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AP(100)에 있어서, 무선 송수신부(105)(예를 들면, 수신 회로에 상당)는, 기지국 간 협조 통신(예를 들면, MAP coordination)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01)(예를 들면, 제어 회로에 상당)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제어한다.
(실시형태 1)
[AP(100)의 구성예]
도 6은, AP(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AP(100)는, 예를 들면, 제어부(101)와, STA용 제어 신호 생성부(102)와, AP용 제어 신호 생성부(103)와, 송신 신호 생성부(104)와, 무선 송수신부(105)와,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를 포함해도 된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의 설정을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AP(100)가 Sharing AP인 경우, 다른 AP(100)(예를 들면, Shared AP)에 대한 제어 신호(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의 생성을 제어해도 된다. 또,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로부터 입력되는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각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다른 AP(100)와 공유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도 된다.
또한, AP(100)에 있어서의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방법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STA(200) 또는 다른 AP(1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각 STA(200)에 대한 리소스 할당 정보, 및, MCS와 같은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또,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예를 들면, Sharing AP로부터 Shared AP로 통지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상술한 협조 통신에 관한 파라미터)를 결정해도 된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결정한 송신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STA용 제어 신호 생성부(102) 및 AP용 제어 신호 생성부(103)로 출력해도 된다.
STA용 제어 신호 생성부(102)는, 예를 들면, STA(200)용의 제어 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송신 신호 생성부(104)로 출력해도 된다.
AP 전용 제어 신호 생성부(103)는, 예를 들면, AP(100)용의 제어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AP(100)용의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 또는,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프레임이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AP용 제어 신호 생성부(103)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 및,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AP용 제어 신호 생성부(103)는, 예를 들면, 생성한 제어 신호를 송신 신호 생성부(104)로 출력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104)는, 예를 들면, STA용 제어 신호 생성부(102) 또는 AP용 제어 신호 생성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및 ACK/블록 ACK에 대하여, 송신 처리를 행하고, 무선 프레임(송신 신호)을 생성해도 된다. 송신 신호 생성부(104)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105)로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5)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 생성부(104)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에 대하여, D/A 변환, 캐리어 주파수에 업컨버트와 같은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여,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한다.
AP(100)는, 예를 들면, STA(200)로부터 송신된 상향 링크 신호, 또는, 다른 AP(100)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하와 같이 동작해도 된다.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는, 무선 송수신부(105)에 입력된다. 무선 송수신부(105)는, 예를 들면,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하여 캐리어 주파수의 다운컨버트와 같은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하여,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로 출력한다.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는,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자기 상관 처리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수신한 무선 프레임을 추출해도 된다. 또,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는, 예를 들면, 추출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STA(200)로부터의 상향 링크 신호(예를 들면, 응답 신호, 피드백 정보), 또는, 다른 AP(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 또는,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프레임)를 복호 및 복조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106)는, 예를 들면, 복조 후의 제어 신호를, 제어부(101), STA용 제어 신호 생성부(102), 및, AP용 제어 신호 생성부(103)로 출력해도 된다.
[STA(200)의 구성예]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STA(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STA(200)는,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201)와,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202)와, 송신 신호 생성부(203)를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AP(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다운컨버트, A/D 변환과 같은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하여,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202)로 출력한다. 또, 무선 송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 생성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D/A 변환, 캐리어 주파수로의 업컨버트와 같은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여,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자기 상관 처리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수신한 무선 프레임을 추출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추출한 무선 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를 복조 및 복호하여, 상향 송신 제어 파라미터를 취득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취득한 상향 송신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 신호 생성부(203)로 출력해도 된다.
송신 신호 생성부(203)는, 예를 들면,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송신 제어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향 링크 신호(예를 들면,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에 대하여 송신 신호 처리를 행하여, 무선 프레임(송신 신호)을 생성해도 된다. 송신 신호 생성부(203)는, 예를 들면, 생성한 송신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201)로 출력한다.
[AP(100) 및 STA(200)의 동작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AP(100) 및 STA(200)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제어하는 AP를 「BA 제어 AP」라고 정의한다. BA 제어 AP는,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집약하여,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의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제어해도 된다.
BA 제어 AP에는, 예를 들면, Sharing AP가 설정되어도 되고, MAP 부하(配下)의 STA(200)로부터 송신되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 가능한 Shared AP가 설정(또는, 정의)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BA 제어 AP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로 설정(정의, 또는 변경)되어도 된다. 이로써, 전반(傳搬) 환경에 따라, BA 제어 AP가 설정되기 때문에, 재송 제어의 적응적인 최적화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각 STA(200)가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하는 처리 후의 BA 공유 페이즈에 있어서, 이하의 제어 스텝 (A), (B) 및 (C)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스텝」은, 「처리」, 「수순」과 같은 다른 용어로 해석되어도 된다.
(A) Shared AP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BA 제어 AP에 대하여, ACK 또는 블록 ACK를 요구(또는, BA 공유를 요구)하는 프레임(이하, 「BA 요구 프레임」이라고 부른다)을 송신한다.
(B) BA 제어 AP는, BA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각 Shared AP에 대하여, BA 공유를 지시하는 프레임(예를 들면, 「BA 공유 요구 프레임」이라고 부른다)을 송신한다.
(C) Shared AP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당해 Shared AP가 유지(예를 들면, 수신)하는 ACK 또는 블록 ACK를 포함하는 프레임(예를 들면, 「BA 공유 프레임」이라고 부른다)을 송신한다.
또한, TXOP(채널 사용 기간)는, 예를 들면, MAP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TXOP에는, 상술한 제어 스텝 (A)~(C)를 포함하는 BA 공유 페이즈가 포함되어도 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3과 동일하게,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예를 들면, 초회 송신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에 대하여, STA b로부터 Sharing AP(AP1)로의 ACK 또는 블록 ACK가 도달하지 않는 예가 나타난다.
도 8의 경우, 예를 들면, STA a 및 STA b의 쌍방으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 가능한 AP인 Shared AP(AP2)가 BA 제어 AP로서 설정(또는,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BA 제어 AP의 지정에 대해서는, MAP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 내에 있어서 지정해도 되고, MAP trigger 프레임보다 전단(前段)의 MAP에 관한 셋업 또는 채널 추정을 행하는 페이즈에 있어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ing AP(AP1)는, BA 제어 AP인 Shared AP(AP2)에 대하여, BA 요구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BA 제어 AP인 Shared AP(AP2)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ing AP(AP1)로부터의 BA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각 Shared AP(예를 들면, AP1 및 AP3)에 대하여, BA 공유(예를 들면, AP1에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송신)를 지시하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C)에 있어서, BA 제어 AP로부터의 BA 공유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Shared AP(AP3), 또는, BA 제어 AP인 Shared AP(AP2)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에 근거하여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한 Shared AP(AP2 및 AP3)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ing AP(AP1)에 대하여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하여,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통지한다. 환언하면, AP1, AP2 및 AP3은,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Sharing AP(AP1)는, STA b의 ACK 또는 블록 ACK를, STA b로부터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다른 Shared AP로부터 수신함으로써, STA b에 대한 재송을 적절히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있어서, Sharing AP(AP1)는, STA b에 대하여 송신한 하향 링크 데이터를 STA b가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확인(또는, 인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는, 다음의 TXOP에 있어서, 데이터(예를 들면, 신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제어하는 AP를 BA 제어 AP라고 정의하고,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BA 제어 AP에 집약한 후, AP(100)는, Sharing AP 및 Shared AP에 대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 의하여,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각 STA(200)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정보를 공유 가능해져,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어 스텝 (A), (B) 및 (C)에 있어서 송수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BA 요구 프레임(제어 스텝 (A))>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BA 요구 프레임은,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ed AP(도 8에서는, Sharing AP인 AP1)의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9는, BA 요구(BA Req)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A 요구 프레임에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ed AP(환언하면, 당해 BA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AP)의 어드레스(예를 들면, BA Req Address)가 포함된다.
어드레스(BA Req Address)는, 예를 들면, AP(100)의 Medium Access Control(MAC) 어드레스여도 되고, 가상적인 Basic Service Set(BBS)(기본 서비스 세트) 어드레스여도 된다. 가상적인 BSS 어드레스로서는, 예를 들면, MAP 동작 대상의 복수의 AP(100)에 대하여 1개의 식별자(ID)가 할당되어도 되고, 특정 ID의 값역 내에 복수의 ID가 할당되어도 된다.
또, 무선 프레임이 BA 요구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프레임 타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정의(혹은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
·Trigger 프레임의 Type
·BlockAckReq 프레임의 frame variant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BA 요구 프레임 내의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에 의하여, 프레임 타입을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1 Valid type and subtype combinations의 Control 타입)에 있어서 미사용의 Subtype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0000"에 BA 요구(BA Req)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0에서는, BA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0000"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11은, BA 요구 프레임으로서 Trigger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요구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Trigger Type)을, Trigger 프레임의 Type subfield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9c Trigger Type subfield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Trigger Type subfield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8"에 BA 요구 프레임의 종별(BA Req)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BA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8"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12는, BA 요구 프레임으로서, 블록 ACK 요구(BlockAckReq)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요구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블록 ACK 요구(BAR) 타입)을, BlockAckReq 프레임의 frame variant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8 BlockAckReq frame variant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BlockAckReq frame variant(예를 들면, Reserved)인 "7"에 BA 요구 프레임의 종별(BA Req)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2에서는, BA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7"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BA 공유 요구 프레임(제어 스텝 (B))>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은,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를 요구하는 Sharing AP 또는 Shared AP(도 8의 예에서는, AP1)의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3은,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A 공유 요구 프레임에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를 요구하는 Sharing AP 또는 Shared AP(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요구하는 AP)의 어드레스(예를 들면, BA ShareReq Address)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BA 공유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는 어드레스(BA ShareReq Address)에는,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송수되는 BA 요구 프레임 내의 어드레스(BA Req Address)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무선 프레임이 BA 공유 요구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프레임 타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정의(혹은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
·Trigger 프레임의 Type
·BlockAckReq 프레임의 frame variant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 내의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에 의하여, 프레임 타입을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1 Valid type and subtype combinations의 Control 타입)에 있어서 미사용의 Subtype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0001"에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0001"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15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으로서 Trigger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Trigger Type)을, Trigger 프레임의 Type subfield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9c Trigger Type subfield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Trigger Type subfield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9"에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5에서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9"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16은, BA 공유 요구 프레임으로서 BlockAckReq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BAR 타입)을, BlockAckReq 프레임의 frame variant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8 BlockAckReq frame variant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BlockAckReq frame variant(예를 들면, Reserved)인 "8"에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6에서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8"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BA 공유 프레임(제어 스텝 (C))>
제어 스텝 (C)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BA 공유 프레임은,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7은,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BA 공유 프레임에 포함되는 Block Ack Bitmap 필드에는, 예를 들면, 각 MAC Protocol Data Unit(MPDU) 또는 Codeword와 같은 재송 단위의 ACK/NACK 정보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트맵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STA(200)로부터 AP(100)로 피드백되는 정보가 ACK인 경우(환언하면, NACK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후술하는 프레임 타입에 의하여 BA 공유 프레임이 식별 가능하면, BA 공유 프레임에는, Block Ack Bitmap 필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또, 무선 프레임이 BA 공유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프레임 타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정의(혹은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
·BlockAck 프레임의 frame variant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BA 공유 프레임 내의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에 의하여, 프레임 타입을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1 Valid type and subtype combinations의 Control 타입)에 있어서 미사용의 Subtype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1111"에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8에서는,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이 "1111"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19는, BA 공유 프레임으로서, 블록 ACK(BlockAck)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BlockAck(BA) 타입)을, BlockAck 프레임의 frame variant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8 BlockAck frame variant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BlockAckReq frame variant(예를 들면, Reserved)인 "4"에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19에서는,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이 "4"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이상, 제어 스텝 (A), (B) 및 (C)에 있어서 송수(送受)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프레임)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다른 AP로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BA 제어 AP인 AP(100)는, 다른 AP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BA 요구 프레임)가 ACK 또는 블록 ACK의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기지국 중의 상기 다른 AP(BA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AP)와는 상이한 AP에 대하여, 상기 다른 AP로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송신을 지시한다(환언하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요구한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BA 제어 AP와 상이한 AP(100)는, 수신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BA 공유 요구 프레임)가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제어 정보에 있어서 나타나는 다른 AP로의 ACK 또는 블록 ACK(예를 들면, BA 공유 프레임)의 송신을 결정한다.
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의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AP(100)(예를 들면,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AP(100)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다른 AP(100)에 의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의하여,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취득하기 위하여, 재송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적절한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AP(100)에서의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하여,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BA 요구 프레임에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AP(100)의 어드레스에 더하여,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한 STA(200)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된다. 이로써, 복수의 AP(100)에 있어서 공유하는 ACK 또는 블록 ACK에는, BA 요구 프레임을 송신한 AP(100)가 수신하지 않는 ACK 또는 블록 ACK가 설정되고, 다른 ACK 또는 블록 ACK는 공유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ACK의 공유 제어에 있어서의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관한 AP 및 STA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예를 들면, BA 제어 AP인 AP(100)가, 복수의 AP(100)에 대한,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가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 제어를 개별적으로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AP(100)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당해 AP(100)가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다른 AP(100)로 개별적으로 요구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STA(200)가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하는 처리 후의 BA 공유 페이즈에 있어서, 이하의 제어 스텝 (A) 및 (B)가 마련되어도 된다.
(A) Shared AP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한 STA(200)가 어소시에이트된 Shared AP에 대하여,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을 송신한다.
(B) Shared AP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당해 Shared AP에 어소시에이트된 STA(200)의 ACK 또는 블록 ACK를 포함하는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TXOP(채널 사용 기간)는, MAP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TXOP에는, 상술한 제어 스텝 (A) 및 (B)를 포함하는 BA 공유 페이즈가 포함되어도 된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3과 동일하게,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20에서는,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예를 들면, 초회 송신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에 대하여, STA b로부터 Sharing AP(AP1)로의 ACK 또는 블록 ACK가 도달하지 않는 예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ing AP(AP1)는, STA b가 어소시에이트된 Shared AP(AP2)에 대하여, BA 공유 요구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Sharing AP(AP1)로부터의 BA 공유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Shared AP(AP2)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에 근거하여, Sharing AP(AP1)에 대하여,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TA b가 어소시에이트된 Shared AP(AP2)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ing AP(AP1)에 대하여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하여,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통지한다. 환언하면, AP1 및 AP2는,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Sharing AP(AP1)는, STA b의 ACK 또는 블록 ACK를, STA b로부터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다른 Shared AP(AP2)로부터 수신함으로써, STA b에 대한 재송을 적절히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20에 있어서, Sharing AP(AP1)는, STA b에 대하여 송신한 하향 링크 데이터를 STA b가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확인(또는, 인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는, 다음의 TXOP에 있어서, 데이터(예를 들면, 신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AP(100)가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개별적으로 요구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 의하여,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각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정보를 공유 가능해져,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BA 제어 AP의 설정, 및, BA 제어 AP에 대한 BA 요구의 제어 스텝이 없어도 되기 때문에, ACK의 공유 제어에 관한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어 스텝 (A) 및 (B)에 있어서 송수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BA 공유 요구 프레임(제어 스텝 (A))>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은,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의 요구처인 Sharing AP 또는 Shared AP(도 20의 예에서는, AP2)의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1은,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A 공유 요구 프레임에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요구처의 Sharing AP 또는 Shared AP(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가 요구되는 AP)의 어드레스(예를 들면, BA ShareReq Address)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어드레스(BA ShareReq Address)는, 예를 들면, MAP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 내에 있어서 공유되어도 되고, MAP trigger 프레임보다 전단의 MAP에 관한 셋업 또는 채널 추정을 행하는 페이즈에 있어서 공유되어도 된다.
또, 무선 프레임이 BA 공유 요구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프레임 타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정의(혹은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
·Trigger 프레임의 Type
·BlockAckReq 프레임의 frame variant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 내의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에 의하여, 프레임 타입을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1 Valid type and subtype combinations의 Control 타입)에 있어서 미사용의 Subtype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0000"에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22에서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0000"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23은, BA 공유 요구 프레임으로서 Trigger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Trigger Type)을, Trigger 프레임의 Type subfield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9c Trigger Type subfield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Trigger Type subfield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8"에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23에서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8"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24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으로서, BlockAckReq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BAR 타입)을, BlockAckReq 프레임의 frame variant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8 BlockAckReq frame variant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BlockAckReq frame variant(예를 들면, Reserved)인 "7"에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24에서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의 종별이 "7"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BA 공유 프레임(제어 스텝 (B))>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BA 공유 프레임은,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제어 스텝 (C)의 BA 공유 프레임과 동일하게,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5는,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BA 공유 프레임에 포함되는 Block Ack Bitmap 필드에는, 예를 들면, 각 MPDU 또는 Codeword와 같은 재송 단위의 ACK/NACK 정보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트맵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STA(200)로부터 AP(100)로 피드백되는 정보가 ACK인 경우(환언하면, NACK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후술하는 프레임 타입에 의하여 BA 공유 프레임이 식별 가능하면, BA 공유 프레임에는, Block Ack Bitmap 필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또, 무선 프레임이 BA 공유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프레임 타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정의(혹은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
·BlockAck 프레임의 frame variant
도 26은, 도 25에 나타내는 BA 공유 프레임 내의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에 의하여, 프레임 타입을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1 Valid type and subtype combinations의 Control 타입)에 있어서 미사용의 Subtype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0001"에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26에서는,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이 "0001"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27은, BA 공유 프레임으로서, 블록 ACK(BlockAck)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BA 타입)을, BlockAck 프레임의 frame variant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8 BlockAck frame variant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BlockAckReq frame variant(예를 들면, Reserved)인 "4"에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27에서는,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이 "4"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이상, 제어 스텝 (A) 및 (B)에 있어서 송수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프레임)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다른 AP로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다른 AP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BA 공유 요구 프레임)가, 당해 AP(100)에 어소시에이트된 STA(200)의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다른 AP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의 송신을 결정한다.
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의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AP(100)(예를 들면,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AP(100)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다른 AP(100)에 의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의하여,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취득하기 위하여, 재송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적절한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AP(100)에서의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하여,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 관한 AP 및 STA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MAP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에 있어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요구하는 Shared AP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 및, 각 STA(200)가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하는 처리 후의 BA 공유 페이즈에 있어서, 이하의 제어 스텝 (A) 및 (B)가 마련되어도 된다.
(A) Sharing AP는, MAP trigger 프레임에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요구하는 Shared AP와,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하는 STA(200)의 조합을 Shared AP에 대하여 지정한다.
(B) Shared AP는, Shared AP와 STA(200)의 조합이 지정된 경우, 조합에 포함되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포함하는 BA 공유 프레임을, 조합에 포함되는 Shared AP로 송신한다.
또한, TXOP(채널 사용 기간)는, MAP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TXOP에는, 상술한 제어 스텝 (B)를 포함하는 BA 공유 페이즈가 포함되어도 된다.
도 2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28은, 도 3과 동일하게,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28에서는,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예를 들면, 초회 송신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에 대하여, STA b로부터 Sharing AP(AP1)로의 ACK 또는 블록 ACK가 도달하지 않는 예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Sharing AP(AP1)는,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요구하는 Shared AP와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하는 STA(200)의 조합을 지정한다. 환언하면, Sharing AP(AP1)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AP(100)와 당해 STA(200)의 조합을 지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Sharing AP(AP1)는, MAP 데이터 송신 전에 행해지는 Multi-AP Channel sounding 페이즈에 있어서 수집한 각 STA(200)와 각 Shared AP의 사이의 전반 손실 또는 채널 추정값에 근거하여, 각 STA(200)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를 판단해도 된다. 그리고, Sharing AP(AP1)는, 예를 들면, 각 STA(200)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 외에 존재하는 Shared AP와, 당해 STA(200)의 조합을 결정해도 된다. 도 28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STA b와, STA b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 외에 존재하는 AP1의 조합이 지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AP(100)가, MAP 데이터 송신 전에 행해지는 Multi-AP Channel sounding 페이즈에 있어서 수집한 전반 손실 또는 채널 추정값에 근거하여, 각 STA(200)의 상향 링크의 커버리지를 판단하여, 상술한 조합을 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조합은, 정기적 또는 부정기로 결정되어도 된다. 이로써, 전반 환경에 따라, AP(100)와 STA(200)의 조합이 설정(또는, 변경)되기 때문에, 재송 제어의 적응적인 최적화가 가능해진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제어 스텝 (A)의 MAP Trigger 프레임으로 지정된 Shared AP(AP2)는, 조합에 나타나는 Sharing AP(AP1)에 대하여,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2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AP1과 STA b의 조합이 지정된 Shared AP(AP2)는,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ing AP(AP1)에 대하여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하여,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통지한다. 환언하면, AP1 및 AP2는,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Sharing AP(AP1)는, STA b의 ACK 또는 블록 ACK를, STA b로부터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다른 Shared AP(AP2)로부터 수신함으로써, STA b에 대한 재송을 적절히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28에 있어서, Sharing AP(AP1)는, STA b에 대하여 송신한 하향 링크 데이터를 STA b가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확인(또는, 인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는, 다음의 TXOP에 있어서, 데이터(예를 들면, 신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MAP trigger 프레임에 있어서,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AP(100)와 STA(200)의 조합을 지정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 의하여,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각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정보를 공유 가능해져,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1 또는 2와 비교하여, BA 공유 페이즈에 있어서의 BA 제어 AP의 설정 및 BA 공유 요구에 관한 제어 스텝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ACK의 공유 제어에 관한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어 스텝 (A) 및 (B)에 있어서 송수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MAP trigger 프레임>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MAP trigger 프레임은, 예를 들면, AP(100)마다의 정보(예를 들면, 「Per AP Info」) 필드 내에, ACK 또는 블록 ACK가 공유되는 STA(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9는, MAP Trigger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MAP trigger 프레임에는, AP(100)마다의 정보(Per AP Info) 필드 내에, BA 공유 요구(BA ShareReq) 필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 도 29에 나타내는 BA 공유 요구 필드에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가 공유되는 STA(200)의 식별자(ID)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haring AP(AP1)에 대응하는 Per AP Info 필드 내의 BA ShareReq 필드에 있어서, STA b의 ID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STA ID에는, MAC 어드레스(예를 들면, 48bit)가 사용되어도 되고, Short ID와 같은 STA의 식별자가 정의되어도 된다. Short ID로서는, 예를 들면, 11ax 사양에 규정된 Association ID(AID)에 포함시켜 정의되어도 되고, AID12의 Reserved에 할당되어도 된다. Short ID의 사용에 의하여, MAC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도 30은 MAP trigger 프레임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MAP trigger 프레임에는, AP(100)마다의 정보(Per AP Info) 필드에 포함되는 STA(200)마다의 정보(예를 들면, Per STA info) 필드 내에,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BA 공유 플래그(BA Share Flag)」라고 부른다)가 설정되어도 된다. BA 공유 플래그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가 공유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haring AP(AP1)에 대응하는 Per AP Info 필드 내의 STA b에 대응하는 Per STA info 필드에 있어서, BA Share Flag는, ACK 또는 블록 ACK가 공유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MAP trigger 프레임에 있어서, AP(100)와 STA(200)의 조합에 관한 정보가, AP(100)마다의 정보(Per AP Info)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AP(100)와 STA(200)의 조합에 관한 정보는, MAP trigger 프레임의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 내에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상기 조합에 관한 정보는, Common info 필드 내에 일괄하여 정의되어도 된다.
<BA 공유 프레임(제어 스텝 (B))>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BA 공유 프레임은,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제어 스텝 (C)의 BA 공유 프레임과 동일하게,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31은,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에 나타내는 BA 공유 프레임에 포함되는 Block Ack Bitmap 필드에는, 예를 들면, 각 MPDU 또는 Codeword와 같은 재송 단위의 ACK/NACK 정보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트맵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STA(200)로부터 AP(100)로 피드백되는 정보가 ACK인 경우(환언하면, NACK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후술하는 프레임 타입에 의하여 BA 공유 프레임이 식별 가능하면, BA 공유 프레임에는, Block Ack Bitmap 필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또, 무선 프레임이 BA 공유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프레임 타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정의(혹은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
·BlockAck 프레임의 frame variant
도 32는, 도 31에 나타내는 BA 공유 프레임 내의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value 및 Subtype value에 의하여, 프레임 타입을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2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1 Valid type and subtype combinations의 Control 타입)에 있어서 미사용의 Subtype value(예를 들면, Reserved)인 "0001"에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32에서는,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이 "0001"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33은, BA 공유 프레임으로서, 블록 ACK(BlockAck)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예를 들면, BA 타입)을, BlockAck 프레임의 frame variant에 의하여 지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3에서는, 일례로서, 11ax(예를 들면, 11ax 사양의 Table 9-28 BlockAck frame variant encoding)에 있어서 미사용의 BlockAckReq frame variant(예를 들면, Reserved)인 "4"에 BA 공유(BA Share) 프레임의 종별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도 32에서는, BA 공유 프레임의 종별이 "4"에 정의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미사용값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이상, 제어 스텝 (A) 및 (B)에 있어서 송수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무선 프레임)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다른 AP로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수신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가,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AP 중,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다른 AP와 당해 ACK 또는 블록 ACK의 송신원(예를 들면, STA(200))의 조합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른 AP에 대한, 상기 송신원으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송신을 결정한다.
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의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AP(100)(예를 들면,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AP(100)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다른 AP(100)에 의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의하여,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취득하기 위하여, 재송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적절한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AP(100)에서의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하여,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 관한 AP 및 STA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Shared AP에 있어서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수신 상태에 관계없이, 각 Shared AP가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 및, 각 STA(200)가 ACK 또는 블록 ACK를 송신하는 처리 후의 BA 공유 페이즈에 있어서, 이하의 제어 스텝 (A) 및 (B)가 마련되어도 된다.
(A) Sharing AP는, MAP trigger 프레임에서, 복수의 Shared AP(예를 들면, 모든 Shared AP)에 대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지시한다.
(B) Shared AP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한 후,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포함하는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TXOP(채널 사용 기간)는, MAP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트리거인 MAP trigger 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TXOP에는, 상술한 제어 스텝 (B)를 포함하는 BA 공유 페이즈가 포함되어도 된다.
도 3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34는, 도 3과 동일하게,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의 MAP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34에서는,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예를 들면, 초회 송신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에 대하여, STA b로부터 Sharing AP(AP1)로의 ACK 또는 블록 ACK가 도달하지 않는 예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Sharing AP(AP1)는, 복수의 Shared AP(AP2 및 AP3)에 대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지시(또는, 요구)하는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지시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1비트의 플래그(BA ShareReqFlag)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이 플래그가 유효로서 설정되는 경우(예를 들면, ACK의 공유가 지시되는 경우), 각 Shared AP는, 제어 스텝 (B)의 BA 공유 페이즈가 설정되는 것을 상정하여 동작해도 된다. 한편, 플래그가 무효로서 설정되는 경우(예를 들면, ACK의 공유가 지시되지 않는 경우), 각 Shared AP는, 제어 스텝 (B)의 BA 공유 페이즈가 설정되지 않는 것을 상정하여 동작해도 된다.
또, Shared AP(AP1)는,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제어 스텝 (B)에서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할 때의 다중 방법을 지정해도 된다. BA 공유 프레임의 다중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분할 다중(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예를 들면,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공간 분할 다중(예를 들면, MU-MIMO: Multi User-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을 들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Shared AP는, 제어 스텝 (A)의 MAP Trigger 프레임으로 지정된 다중 방법에 따라,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3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MAP trigger 프레임에서 ACK의 공유를 지시받은 복수의 Shared AP(AP1, AP2 및 AP3)는,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Shared AP(AP2 및 AP3)는,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Sharing AP(AP1)에 대하여,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통지한다. 환언하면, AP1, AP2 및 AP3은, STA b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Sharing AP(AP1)는, STA b의 ACK 또는 블록 ACK를, STA b로부터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다른 Shared AP(AP2)로부터 수신함으로써, STA b에 대한 재송을 적절히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34에 있어서, Sharing AP(AP1)는, STA b에 대하여 송신한 하향 링크 데이터를 STA b가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확인(또는, 인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는, 다음의 TXOP에 있어서, 데이터(예를 들면, 신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MAP trigger 프레임에 있어서, 복수의 AP(100)에 대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지시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 제어에 의하여,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각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의 정보를 공유 가능해져,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1 또는 2와 비교하여, BA 공유 페이즈에 있어서의 BA 제어 AP의 설정 및 BA 공유 요구에 관한 제어 스텝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ACK의 공유 제어에 관한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어 스텝 (A) 및 (B)에 있어서 송수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MAP trigger 프레임>
제어 스텝 (A)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MAP trigger 프레임은, 예를 들면, 복수의 AP(100)(예를 들면, 모든 Shared AP)에 대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35는, MAP Trigger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MAP trigger 프레임에는, 복수의 AP(100)에 공유의 정보(Common info) 필드 내에, 복수의 Shared AP에 대하여 BA 공유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면, 1비트의 BA 공유 요구 플래그(BA ShareReq Flag)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35에서는, 공통 정보 필드 내에 BA 공유 요구 플래그(BA ShareReq Flag)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BA 공유 요구 플래그는, 공통 정보 필드와 상이한 필드로 설정되어도 된다.
<BA 공유 프레임(제어 스텝 (B))>
제어 스텝 (B)에 있어서 송신되는 BA 공유 프레임은,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제어 스텝 (C)의 BA 공유 프레임과 동일하게,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BA 공유 프레임의 구성예 및 프레임 타입의 지정예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3의 BA 공유 프레임과 동일해도 된다.
이상, 제어 스텝 (A) 및 (B)에 있어서 송수되는 프레임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ACK 또는 블록 ACK의 다른 AP로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수신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MAP trigger 프레임)가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를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AP(100)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의 송신을 결정한다.
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AP(100)(예를 들면, Sharing AP 및 Shared AP)에 있어서 MAP 부하의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AP(100)는, STA(200)로부터의 ACK 또는 블록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다른 AP(100)에 의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의하여, 당해 ACK 또는 블록 ACK를 취득하기 위하여, 재송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적절한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AP(100)에서의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하여,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재송 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 관한 AP 및 STA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Shared AP 간의 회선의 종별(예를 들면, 무선인지 유선인지)에 따라, 당해 Shared AP 간에 있어서의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P(100)(예를 들면, Sharing AP)에 의하여 공유의 설정 및 송신의 유무에 관하여 결정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적어도 하나여도 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BA 요구 프레임
·실시형태 1 또는 2에 있어서의 BA 공유 요구 프레임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AP(100)와 STA(200)의 조합에 관한 정보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복수의 Shared AP에 있어서의 BA 공유에 관한 정보
또한, AP(100)는, Shared AP 간의 회선 종별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면, MAP 데이터 송신 전에 행해지는 Multi-AP Channel sounding 페이즈에 있어서 취득해도 되고, 다른 기간에 있어서 취득해도 된다.
도 36은, Shared AP 간의 회선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haring AP(AP1)와 Shared AP(AP2)의 사이가 유선 회선에 의하여 접속되고, Sharing AP(AP1)와 Shared AP(AP3)의 사이, 및, Shared AP(AP2)와 Shared AP(AP3)의 사이가 무선 회선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Shared AP 간(예를 들면, 도 36의 AP1과 AP2의 사이)의 중계 회선이, 이상적인 통신 환경의 경우(예를 들면, 이더넷(등록 상표) 또는 광섬유와 같은 저지연인 유선 회선의 경우), AP(100)는, BA 요구 프레임, BA 공유 요구 프레임, AP(100)와 STA(200)의 조합에 관한 정보, 및, BA 공유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으로 송신하지 않고, 예를 들면, IEEE 802.3의 이더넷 프레임과 같은 유선 프레임으로 송신해도 된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Shared AP 간(예를 들면, 도 36의 AP1과 AP3의 사이, 또는, AP2와 AP3의 사이)의 중계 회선이, 이상적인 통신 환경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무선 회선과 같이 유선 회선보다 지연이 큰 경향이 있는 회선의 경우), AP(100)는, BA 요구 프레임, BA 공유 요구 프레임, AP(100)와 STA(200)의 조합에 관한 정보, 및, BA 공유 프레임을 포함하는 MAP trigger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 예를 들면, 유선과 무선이 혼재하는 것 같은 중계 회선의 구성에서는, AP(100)는, BA 공유 요구 프레임, 및, AP(100)와 STA(200)의 조합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회선의 경로에 있어서, MAP trigger 프레임으로 송신하고, BA 요구 프레임 또는 BA 공유 프레임을, 유선 회선의 경로에 있어서, IEEE 802.3의 이더넷 프레임과 같은 유선 프레임으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유선 회선 및 무선 회선의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프레임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프레임이어도 된다.
도 3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MAP의 제어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7에서는, 일례로서, Sharing AP(AP1)와 Shared AP(AP2)의 사이가 유선과 무선이 혼재하는 회선으로 접속되고, Sharing AP(AP1)와 Shared AP(AP3)의 사이, 및, Shared AP(AP2)와 Shared AP(AP3)의 사이가 무선 회선으로 접속된다.
또, 도 37에서는, Sharing AP(AP1) 및 Shared AP(AP2, AP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예를 들면, 초회 송신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블록 ACK에 대하여, STA b로부터 Sharing AP(AP1)로의 ACK 또는 블록 ACK가 도달하지 않는 예가 나타난다. 또한, 도 37에 나타내는 제어 시퀀스는, 일례로서,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제어 시퀀스와 동일하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선 회선으로 접속 가능한 Sharing AP(AP1)와 Shared AP(AP2)의 사이에서는, 예를 들면,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BA 공유 프레임)는, 유선 프레임으로 송신되고, 무선으로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7에 있어서, Sharing AP(AP1)로부터 Shared AP(AP2)로의 BA 공유 프레임, 및, Shared AP(AP2)로부터 Sharing AP(AP1)로의 BA 공유 프레임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AP(100)는, 다른 AP에 대한 회선 종별(예를 들면, 무선인지 유선인지)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AP와 ACK 또는 블록 ACK를 공유하는지 아닌지(예를 들면, 무선에 의한 ACK 또는 블록 ACK의 공유 요구의 유무)를 결정한다. 이로써, AP(100)는, 유선 프레임과 무선 프레임을 병용하여 단시간에 각 STA(200)의 ACK 또는 블록 ACK에 관한 정보를 공유 가능해져, 불필요한 재송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7에서는, 일례로서,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제어 시퀀스에 대하여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형태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선 종별에 따른 동작을 적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무선 및 유선과 같은 회선 종별에 따라 공유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신 성능(또는, 통신 방식)에 따라 공유 제어가 행해져도 된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AP(100)는, 예를 들면, MAP coordination schemes에 근거하여, 상술한 BA 공유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AP(100)는, MAP coordination scheme이 JT인 경우에는, 상술한 BA 공유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고, MAP coordination scheme이 JT와 상이한 방식인 경우에는, 상술한 BA 공유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 예를 들면, AP(100)는, 다른 AP(100)로부터 BA 공유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MAP coordination scheme이 JT인 경우에는, BA 공유 요구에 대하여 응답(예를 들면, BA 공유 프레임을 송신)해도 되고, MAP coordination scheme이 JT와 상이한 방식인 경우에는, BA 공유 요구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아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 3~5에 있어서, MAP coordination scheme이 JT인 경우에는, MAP trigger 프레임에서 BA 공유 요구가 Shared AP로 지시되어도 되고, MAP coordination scheme이 JT와 상이한 방식인 경우에는, MAP trigger 프레임에서 BA 공유 요구가 Shared AP로 지시되지 않아도 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ACK 또는 블록 ACK의 AP(100) 간의 공유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AP(100) 간에 있어서 공유되는 신호 또는 정보는, ACK 또는 블록 ACK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신호 또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면, 채널 추정값, 또는, 데이터 버퍼 관리에 관한 정보와 같은 AP 간에 있어서 공유가 기대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방법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 블록 ACK의 타입에는, Immediate Block Ack, 및, Delayed Block Ack의 2개의 타입이 있지만,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어느 타입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Frame Control 필드, Trigger Type, BlockAckReq frame variant 및 BlockAck frame variant에 있어서의 BA 공유에 관한 정보의 정의는 일례이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값이 정의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BA 요구 프레임, BA 공유 요구 프레임, BA 공유 프레임, 및, Trigger frame의 구성은 일례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이들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일부의 필드가 설정되지 않아도 되고, 다른 필드가 더 설정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협조 통신을 지시하는 AP, 협조 통신을 지시받는 AP를 각각 「Sharing AP」 및 「Shared AP」라는 용어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어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11be의 포맷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는 포맷은, 11be의 포맷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예를 들면, 차재(車載)용 규격인 IEEE 802.11p의 차세대 규격인 IEEE 802.11bd(NGV(Next Generation V2X))용에 적용되어도 된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연계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LSI는 개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해도 된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하여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통신 장치라고 총칭)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트랜시버)와 처리/제어 회로를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부와 송신부, 또는 그들을 기능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송신부, 수신부)는, RF(Radio Frequency) 모듈과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해도 된다. RF 모듈은, 증폭기, RF 변조기/복조기, 또는 그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통신 장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기(휴대전화, 스마트폰 등), 태블릿, 퍼스널·컴퓨터(PC)(랩톱, 데스크톱, 노트북 등), 카메라(디지털·스틸/비디오·카메라 등), 디지털·플레이어(디지털·오디오/비디오·플레이어 등),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웨어러블·카메라, 스마트워치, 트래킹 디바이스 등), 게임·콘솔, 디지털·북·리더, 텔레헬스·텔레메디슨(원격 헬스케어·약물 처방) 디바이스, 통신 기능이 있는 탈 것 또는 이동 수송 기관(자동차, 비행기, 배 등), 및 상술한 각종 장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휴대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할 수 없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홈·디바이스(가전 기기, 조명 기기, 스마트 미터 또는 계측 기기, 컨트롤·패널 등), 자동 판매기, 그 외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상에 존재 할 수 있는 모든 「사물(Things)」도 포함한다.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통신 위성 시스템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더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본 개시에 기재되는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것 같은, 컨트롤러나 센서가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상기의 비한정적인 각종 장치와 통신을 행하거나, 혹은 이들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그 외 모든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은,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응답 신호의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기지국 중의 상기 다른 기지국과는 상이한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의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에 있어서 나타나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의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기지국에 어소시에이트된 단말의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기지국 중,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기 다른 기지국과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원의 조합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한, 상기 송신원으로부터의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의 개시를 트리거하는 신호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의 개시를 트리거하는 신호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한 회선의 종별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과 상기 응답 신호를 공유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는,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2 기지국에 공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회선의 종별이 무선인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결정하고, 상기 회선의 종별이 유선인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의 비공유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1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2 기지국에 공유된다.
2021년 1월 8일 출원된 특원 2021-002273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AP
101 제어부
102 STA용 제어 신호 생성부
103 AP용 제어 신호 생성부
104, 203 송신 신호 생성부
105, 201 무선 송수신부
106, 202 수신 신호 복조·복호부
200 STA

Claims (13)

  1.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응답 신호의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기지국 중의 상기 다른 기지국과는 상이한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의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에 있어서 나타나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의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하는,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기지국에 어소시에이트된 단말의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하는,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기지국 중,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기 다른 기지국과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원의 조합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한, 상기 송신원으로부터의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하는, 기지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의 개시를 트리거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기지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수신한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관한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을 결정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지국 간 협조 통신의 개시를 트리거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기지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한 회선의 종별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과 상기 응답 신호를 공유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회선의 종별이 무선인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의 공유를 결정하고, 상기 회선의 종별이 유선인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의 비공유를 결정하는, 기지국.
  11.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2 기지국에 공유되는, 통신 장치.
  12. 기지국은,
    기지국 간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공유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방법.
  13. 통신 장치는,
    협조 통신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1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협조 통신을 행하는 제2 기지국에 공유되는, 통신 방법.
KR1020237022241A 2021-01-08 2021-09-28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30128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2273 2021-01-08
JPJP-P-2021-002273 2021-01-08
PCT/JP2021/035543 WO2022149316A1 (ja) 2021-01-08 2021-09-28 基地局、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009A true KR20230128009A (ko) 2023-09-01

Family

ID=8235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241A KR20230128009A (ko) 2021-01-08 2021-09-28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8758A1 (ko)
EP (1) EP4277343A4 (ko)
JP (1) JPWO2022149316A1 (ko)
KR (1) KR20230128009A (ko)
CN (1) CN116848884A (ko)
WO (1) WO2022149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6121B2 (en) * 2019-10-25 2023-08-01 Intel Corporation NDPA for multi-AP coordinated beamforming (CBF) and multi-AP joint transmission (JT) in EH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91A1 (ko) * 2018-08-26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조인트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SG10201904246SA (en) * 2019-05-10 2020-12-30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Re-Transmission
US20220353018A1 (en) * 2019-06-24 2022-11-03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JP2021002273A (ja) 2019-06-24 2021-01-07 株式会社カネカ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20360411A1 (en) * 2019-07-12 2022-11-10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IEEE 802.11-20/0566r99, Compendium of straw polls and potential changes to the Specification Framework Document
[비특허문헌 2] IEEE 802.11-19/1533r0, Consideration on Multi-AP Ack Protocol
[비특허문헌 3] IEEE 802.11-20/0590r5, Coordinated Spatial Reuse: Focus on Downlink
[비특허문헌 4] IEEE P802.11axTM/D8.0
[비특허문헌 5] IEEE P802.11-REVmdTM/D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49316A1 (ko) 2022-07-14
EP4277343A1 (en) 2023-11-15
WO2022149316A1 (ja) 2022-07-14
EP4277343A4 (en) 2024-05-29
CN116848884A (zh) 2023-10-03
US20240098758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7510B2 (en) Electronic devices and communication methods
US10206219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0487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AP joint transmission
US1070889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U27659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EP334397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3748607A (zh) 用于多ap联合重传的通信装置和通信方法
JP6874074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9057763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13016205A (zh) 通信装置、通信方法、程序和通信系统
WO2022176326A1 (ja) 基地局及び通信方法
CN111034091B (zh) 通信设备和方法
KR20230128009A (ko)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EP3435733A1 (en)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JP2021150777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809752B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2970282B (zh) 用于harq过程配置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40019141A (ko) 액세스 포인트, 단말, 및 통신 방법
KR20230069920A (ko) 기지국,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40036014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40011712A (ko) 단말, 기지국, 및, 통신 방법
CN116033571A (zh) 通信方法、装置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