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471A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4471A KR20220004471A KR1020200082347A KR20200082347A KR20220004471A KR 20220004471 A KR20220004471 A KR 20220004471A KR 1020200082347 A KR1020200082347 A KR 1020200082347A KR 20200082347 A KR20200082347 A KR 20200082347A KR 20220004471 A KR20220004471 A KR 20220004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guide member
- remote control
- steering wheel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ARXHIJMGSIYYRZ-UHFFFAOYSA-N 1,2,4-trichloro-3-(3,4-di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l)C(Cl)=CC=C1C1=C(Cl)C=CC(Cl)=C1Cl ARXHIJMGSIYY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2—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버튼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PCB 기판 및 제2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CB 기판에는 상기 제1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 PCB 기판에는 상기 제2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 PCB 기판 및 상기 제2 PCB 기판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핸들에 탑재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는 다양한 종류의 버튼이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는 터치 방식의 버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 및 가압이 가능한 스크롤 방식 또는 텀블러 방식의 버튼 등이 탑재된다.
한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 탑재되는 버튼들이 각각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리모컨의 하단에는 택트(tact) 스위치가 버튼들의 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버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버튼에 의해 택트 스위치가 가압되고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각 기능들이 실행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 탑재되는 버튼들의 개수 및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리모컨의 하단에 구비되는 택트 스위치의 종류 역시 증가하였고, 그에 따른 택트 스위치 간의 간섭 때문에 스티어링 휠 리모컨 설계의 자유도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택트 스위치의 배치에 따른 택트 스위치 간의 간섭 문제를 해소하여 스티어링 휠 리모컨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버튼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PCB 기판 및 제2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CB 기판에는 상기 제1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 PCB 기판에는 상기 제2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 PCB 기판 및 상기 제2 PCB 기판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리모컨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커버이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PCB 기판은 상기 제2 PCB 기판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1 PCB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를 가압하는 푸셔;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을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장부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PCB 기판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버튼에 대해 고정 결합되는 블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블록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버튼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블록부가 상기 연장부를 간섭하여 상기 연장부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블록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에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버튼과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튼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측부에서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는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와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의 수평 단면은 각각 L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부의 하면에서 상기 블록부와 결합되고, 상기 블록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스테빌라이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부는,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양 끝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하방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측부에서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결합부의 수평 단면은 U자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의 수평 단면은 상기 U자 형상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1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스테빌라이저가 상기 블록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푸셔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돌출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영역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록부는, 상기 블록부의 하면의 둘레 영역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관통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관통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통부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의 측부에서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는 상기 관통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관통부의 수평 단면은 U자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의 수평 단면은 상기 U자 형상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1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핸들; 및 상기 핸들에 탑재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 리모컨은, 상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버튼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PCB 기판 및 제2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CB 기판에는 상기 제1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 PCB 기판에는 상기 제2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 PCB 기판 및 상기 제2 PCB 기판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트 스위치의 배치에 따른 택트 스위치 간의 간섭 문제를 해소하여 스티어링 휠 리모컨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층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층상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을 제1 플레이트의 아래에서 위로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푸셔와 블록부 간의 간섭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푸셔와 제1 플레이트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블록부, 제2 플레이트 및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블록부와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제2 플레이트와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층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층상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을 제1 플레이트의 아래에서 위로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푸셔와 블록부 간의 간섭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푸셔와 제1 플레이트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블록부, 제2 플레이트 및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블록부와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제2 플레이트와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자동차를 설명한다.
스티어링 휠 리모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10, 이하, '리모컨'이라 한다)은 자동차의 핸들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100)이 탑재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10)은 리모컨(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버튼(110) 및 및 제2 버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110) 및 제2 버튼(120)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버튼(110) 또는 제2 버튼(120)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각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110)은 리모컨(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커버일 수 있고,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에서 상부 커버의 일 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부 커버를 구성하는 제1 버튼(110)의 임의의 일 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버튼(120)은 제1 버튼(110), 즉, 상부 커버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버튼(110)의 내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버튼(120)은 상기 관통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버튼(120)은 서로 다른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튼(120)은 전후 방향으로 스크롤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스크롤 방식의 버튼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텀블러 방식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층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층상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제1 버튼(110) 및 제2 버튼(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PCB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PCB 기판(200)은 제1 PCB 기판(210) 및 제2 PCB 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PCB 기판(210)의 상부에는 제1 버튼(11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버튼(11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스위치 단자(212)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PCB 기판(220)의 상부에는 제2 버튼(12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버튼(12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스위치 단자(2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PCB 기판(210) 및 제2 PCB 기판(22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은 하나의 PCB 기판 상에 복수의 스위치 단자가 배치됨으로 스위치 단자의 배치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예를 들어,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 커버의 내측에 스크롤 방식 버튼 및 텀블러 방식의 버튼이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PCB 기판 상에 상부 커버의 가압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 단자와 스크롤 방식 또는 텀블러 방식의 버튼의 가압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 단자가 함께 배치되는데, 상부 커버의 임의의 영역을 가압하더라도 버튼으로서 상부 커버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상부 커버의 중앙 영역의 하부에 상부 커버용 스위치 단자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스크롤 방식 또는 텀블러 방식의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위치 단자가 배치되는 위치와 중첩되므로, 스위치 단자의 배치의 측면에서 자유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에서 복수의 PCB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리모컨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복수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 기능이 장착된 스티어링 휠 리모컨의 설계 단계에서 자유도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리모컨에 따른 상기 효과는, 제1 스위치 단자(212)와 제2 스위치 단자(222)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10)을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스위치 단자(212)와 제2 스위치 단자(222)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에서 제1 PCB 기판(210)은 제2 PCB 기판(220)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튼(110)과 제1 PCB 기판(210) 간의 거리는 제2 버튼(120)과 제2 PCB 기판(220) 간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은 제1 버튼(110)과 제1 PCB 기판(210) 사이에 구비되고, 제1 버튼(11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스위치 단자(212)와 접촉하여 제1 스위치 단자(212)를 가압하는 푸셔(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푸셔(300)는 제1 버튼(110)에 가해진 힘을 제1 스위치 단자(212)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은 제1 버튼(110), 즉, 상부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 버튼(110)에 대해 고정 결합되는 블록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푸셔(300)의 상부 영역은 블록부(400)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버튼(110)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 버튼(110)에 고정 결합된 블록부(400)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블록부(400)는 푸셔(300)와 간섭되어 푸셔(30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은 블록부(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부(400)의 내측에는 관통 영역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 영역을 통해 제2 버튼(120)과 제1 플레이트(500)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2 버튼(12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 플레이트(500)와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버튼(120)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 플레이트(500)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스위치 단자(222, 도 1 및 도 2 참조)를 가압하여 제2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을 제1 플레이트의 아래에서 위로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푸셔와 블록부 간의 간섭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푸셔와 제1 플레이트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푸셔(300)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셔(300)는 제1 스위치 단자(212, 도 3 참조)의 상부에 구비되되, 제1 스위치 단자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몸체부(310), 및 몸체부(3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부(400)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버튼(110)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연장부(320)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몸체부(310)가 제1 스위치 단자(212)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1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버튼(110)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블록부(400)가 연장부(320)를 간섭하여 연장부(320)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푸셔(300)의 몸체부(310)는 제1 스위치 단자(212)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데, 제1 스위치 단자(212)가 구비되는 제1 PCB 기판(210)은 제2 PCB 기판(220)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푸셔(300)는 제2 PCB 기판(220)을 관통할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푸셔(300)의 연장부(320)는 제2 PCB 기판(220)을 관통하여 몸체부(3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연장부(320)가 블록부(400)와 마주보게 될 수 있다.
한편, 푸셔(300)의 연장부(320)는 제1 연장부(322) 및 제2 연장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2) 및 제2 연장부(324)는 몸체부(3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11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 기능을 실행할 때, 푸셔(300)가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리모컨(10)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참고하면, 블록부(400)와 제1 PCB 기판(210) 사이에는 제2 PCB 기판(220)뿐만 아니라 제1 플레이트(500)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푸셔(300)는 제2 PCB 기판(220)뿐만 아니라 제1 플레이트(500)도 관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푸셔(300)의 연장부(320)는 제1 플레이트(500)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300)의 상하 방향의 운동은 제1 플레이트(50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 플레이트(500)는 제1 플레이트(5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몸체(510) 및 제1 플레이트 몸체(510)의 하면 중 푸셔(300)의 연장부(320)가 제1 플레이트(500)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가이드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가이드 부재(520)는 푸셔(300)가 이동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푸셔 가이드 부재(520)는 연장부(320)의 측부에서 연장부(320)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푸셔(300)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연장부(320)와 푸셔 가이드 부재(52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연장부(320)와 푸셔 가이드 부재(5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0)와 푸셔 가이드 부재(52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연장부(320)의 수평 단면 및 푸셔 가이드 부재(520)의 수평 단면은 각각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 가이드 부재(520)가 존재함으로써 제1 버튼(110)의 가압에 의한 푸셔(300)의 상하 방향의 운동이 효과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푸셔(300)가 상하 방향을 제외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블록부, 제2 플레이트 및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블록부와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서 제2 플레이트와 스테빌라이저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은 블록부(400)의 하면에서 블록부(400)와 결합되고, 블록부(400)의 하면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스테빌라이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0)의 제1 버튼(110)을 가압할 때, 제1 버튼(110)의 중앙 영역이 아닌 둘레 영역을 가압하는 경우, 가압이 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많이 이동하나, 제1 버튼(110)에서 가압이 되는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은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적게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버튼(11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리모컨(10)의 조작감 및 내구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스테빌라이저(700)는 제1 버튼(110)의 둘레 영역을 가압하더라도 제1 버튼(11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스테빌라이저(700)는 블록부(400)와 결합되되 블록부(400)의 하면을 가로질러 구비되므로, 제1 버튼(110)에서 가압이 되는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도 가압이 되는 영역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블록부(400)에는 스테빌라이저(700)의 끝부와 결합되는 결합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결합부(420)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700)의 양 끝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1 결합부(422) 및 제2 결합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20)는 블록부(4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블록부 몸체(4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은 푸셔(300) 및 제1 PCB 기판(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700)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돌출 영역(7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영역(710)은 스테빌라이저(70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700)는 제2 플레이트(60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돌출 영역(710)에서 스테빌라이저(700)가 제2 플레이트(600)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700)는 블록부(400) 뿐만 아니라 제2 플레이트(600)에도 결합되는 경우, 스테빌라이저(700)가 리모컨(10)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1 버튼(11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부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422) 및 제2 결합부(424)는 하방으로 제1 플레이트(5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422)와 제2 결합부(424)와 결합되는 스테빌라이저(700) 역시 제1 플레이트(5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500)는 제1 플레이트(500)의 하면 중 제1 결합부(422) 및 제2 결합부(424)가 제1 플레이트(500)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는 제1 플레이트 몸체(5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푸셔 가이드 부재(520)와 유사하게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는 제1 버튼(110)의 가압에 따른 결합부(42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는 결합부(420)의 측부에서 결합부(420)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4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 역시 그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의 가이드 역할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결합부(420)와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결합부(420)와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0)와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결합부(420)의 수평 단면은 U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20)와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의 수평 단면은 상기 U자 형상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1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가 결합부(4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고하면, 푸셔(300)와 스테빌라이저(700)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푸셔(300)의 제1 연장부(322)와 제2 연장부(324)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스테빌라이저(700)가 블록부(400) 또는 제1 플레이트(500)를 가로지르는 방향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도 5에는 리모컨(10)을 밑에서 바라보았을 때, 푸셔(300)와 스테빌라이저(700)가 서로 교차함으로써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연장부(322)와 제2 연장부(324)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스테빌라이저(700)가 블록부(400) 또는 제1 플레이트(500)를 가로지르는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고하면, 블록부는 블록부의 하면의 둘레 영역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제1 플레이트(500)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관통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관통부(430)는 결합부(420)와 별개로 제1 플레이트(500)를 관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서, 두 개의 관통부(430)가 각각 제1 플레이트(500)의 둘레 영역의 우측 상부 및 우측 하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500)는 제1 플레이트(500)의 하면 중 관통부(430)가 제1 플레이트(500)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는 제1 플레이트 몸체(5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푸셔 가이드 부재(520) 및 결합부 가이드 부재(530)와 유사하게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는 제1 버튼(110)의 가압에 따른 관통부(43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는 관통부(430)의 측부에서 관통부(430)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관통부(4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 역시 그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의 가이드 역할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관통부(430)와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관통부(430)와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430)와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관통부(430)의 수평 단면은 U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430)와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의 수평 단면은 상기 U자 형상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1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부 가이드 부재(540)가 관통부(4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자동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핸들 및 핸들에 탑재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10, 이하, '리모컨'이라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10)은 상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버튼(110)과 제2 버튼(120) 및 제1 버튼(110)과 제2 버튼(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PCB 기판(210)과 제2 PCB 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PCB 기판(210)에는 제1 버튼(11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스위치 단자(212)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PCB 기판(220)에는 제2 버튼(12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스위치 단자(2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PCB 기판(210) 및 제2 PCB 기판(220)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리모컨(1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면을 참고하여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스티어링 휠 리모컨
100 : 버튼
110 : 제1 버튼
120 : 제2 버튼
200 : PCB 기판
210 : 제1 PCB 기판
212 : 제1 스위치 단자
220 : 제2 PCB 기판
222 : 제2 스위치 단자
300 : 푸셔
310 : 몸체부
320 : 연장부
322 : 제1 연장부
324 : 제2 연장부
400 : 블록부
410 : 블록부 몸체
420 : 결합부
422 : 제1 결합부
424 : 제2 결합부
430 : 관통부
500 : 제1 플레이트
510 : 제1 플레이트 몸체
520 : 푸셔 가이드 부재
530 : 결합부 가이드 부재
540 : 관통부 가이드 부재
600 : 제2 플레이트
700 : 스테빌라이저
710 : 돌출 영역
100 : 버튼
110 : 제1 버튼
120 : 제2 버튼
200 : PCB 기판
210 : 제1 PCB 기판
212 : 제1 스위치 단자
220 : 제2 PCB 기판
222 : 제2 스위치 단자
300 : 푸셔
310 : 몸체부
320 : 연장부
322 : 제1 연장부
324 : 제2 연장부
400 : 블록부
410 : 블록부 몸체
420 : 결합부
422 : 제1 결합부
424 : 제2 결합부
430 : 관통부
500 : 제1 플레이트
510 : 제1 플레이트 몸체
520 : 푸셔 가이드 부재
530 : 결합부 가이드 부재
540 : 관통부 가이드 부재
600 : 제2 플레이트
700 : 스테빌라이저
710 : 돌출 영역
Claims (23)
- 상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버튼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PCB 기판 및 제2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CB 기판에는 상기 제1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 PCB 기판에는 상기 제2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 PCB 기판 및 상기 제2 PCB 기판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리모컨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커버이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PCB 기판은 상기 제2 PCB 기판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1 PCB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를 가압하는 푸셔;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에서,
상기 리모컨을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서로 오버랩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4에서,
상기 푸셔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장부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6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PCB 기판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6에서,
상기 제1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버튼에 대해 고정 결합되는 블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블록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버튼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블록부가 상기 연장부를 간섭하여 상기 연장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8에서,
상기 블록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에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버튼과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버튼을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9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0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측부에서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는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8에서,
상기 연장부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1에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푸셔 가이드 부재의 수평 단면은 각각 L자 형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2에서,
상기 블록부의 하면에서 상기 블록부와 결합되고, 상기 블록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스테빌라이저;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4에서,
상기 블록부는,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양 끝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하방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5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측부에서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6에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결합부의 수평 단면은 U자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결합부 가이드 부재의 수평 단면은 상기 U자 형상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1자 형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4에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스테빌라이저가 상기 블록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4에서,
상기 푸셔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돌출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영역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서로 결합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15에서,
상기 블록부는,
상기 블록부의 하면의 둘레 영역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관통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20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관통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영역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통부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의 측부에서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는 상기 관통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청구항 21에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관통부의 수평 단면은 U자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상기 관통부 가이드 부재의 수평 단면은 상기 U자 형상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1자 형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 핸들; 및
상기 핸들에 탑재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 리모컨은,
상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버튼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PCB 기판 및 제2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CB 기판에는 상기 제1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 PCB 기판에는 상기 제2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스위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 PCB 기판 및 상기 제2 PCB 기판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자동차.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2347A KR20220004471A (ko) | 2020-07-03 | 2020-07-03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포함하는 자동차 |
US16/952,457 US11417476B2 (en) | 2020-07-03 | 2020-11-19 |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2347A KR20220004471A (ko) | 2020-07-03 | 2020-07-03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포함하는 자동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4471A true KR20220004471A (ko) | 2022-01-11 |
Family
ID=7916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2347A KR20220004471A (ko) | 2020-07-03 | 2020-07-03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포함하는 자동차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417476B2 (ko) |
KR (1) | KR20220004471A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6710B1 (ko) * | 2011-11-16 | 2013-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
2020
- 2020-07-03 KR KR1020200082347A patent/KR20220004471A/ko unknown
- 2020-11-19 US US16/952,457 patent/US11417476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001909A1 (en) | 2022-01-06 |
US11417476B2 (en) | 2022-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17835B1 (en) | Slide switch | |
US4503294A (en) | Keyboard switch | |
CN101083178B (zh) | 滑动开关 | |
KR100937817B1 (ko) | 스위치 및 접점 모듈 | |
WO2013183513A1 (ja) | 車両用シフト装置 | |
TWI527073B (zh) | 按鍵結構 | |
CN101996813A (zh) | 多向开关装置 | |
KR20220004471A (ko)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포함하는 자동차 | |
CN105917432A (zh) | 带有多个稳固的板状按键的键盘 | |
KR20030001354A (ko) | 전자 장치용 제어 디바이스 | |
WO2020194814A1 (ja) | シーソー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 |
JP4908103B2 (ja) | 多方向操作スイッチ構造 | |
JP4584138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3179471U (ja) | メンブレンスイッチ | |
JP7371746B2 (ja) | シーソー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 |
CN206877877U (zh) | 车用操作装置 | |
KR20160002400U (ko) | 차량용 변속 장치 | |
JP6460331B2 (ja) | 入力装置 | |
CN113675024B (zh) | 按钮结构以及电子设备 | |
JP2604409Y2 (ja) | スイッチ装置 | |
JPH11185572A (ja) | スイッチ構造 | |
US20230073675A1 (en) | Vehicle push switch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H0431704Y2 (ko) | ||
JP2920585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2545244Y2 (ja) | 多方向スイッ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