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424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424A
KR20220004424A KR1020200082245A KR20200082245A KR20220004424A KR 20220004424 A KR20220004424 A KR 20220004424A KR 1020200082245 A KR1020200082245 A KR 1020200082245A KR 20200082245 A KR20200082245 A KR 20200082245A KR 20220004424 A KR20220004424 A KR 2022000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ember
detachable
mask
hol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걸
Original Assignee
김창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걸 filed Critical 김창걸
Priority to KR102020008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424A/ko
Publication of KR2022000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되고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마스크부재와; 제1마스크부재의 외측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관통구를 개폐하는 제2마스크부재와; 제1마스크부재와 제2마스크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마스크로 장소에 따라 필터링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호흡이 용이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장소에 따라 필터링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호흡이 용이하도록 선택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 먼지 발생이나 바이러스 전염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미세먼지나 바이러스를 필터링할 수 있는 고성능 필터 마스크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 마스크들은 미세먼지가 통과하기 어려운 작은 기공들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고,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스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허공보 제10-2094480호는, 마스크부, 마스크부의 내면에 고정된 밀폐 부재, 및 마스크부 내면과 얼굴 사이에 위치하는 미세 먼지 필터지, 여기서, 미세먼지 필터지는 마스크 내면 및/또는 밀폐부재에 부분적으로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는 부분은 호흡에 따라서 움직이며, 마스크부는 비항균성 상부 편직물과, 구리성분을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하부 편직물과, 모노 필라멘트사 섬유를 포함하는 수직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삼중직 편직 항균마스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 마스크는, 필터링기능과 호흡 사이에서 필터링기능이 높은 경우에는 호흡 곤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반면 호흡이 편한 경우에는 필터링기능이 저하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마스크의 사용목적과 주위 환경에 따라 필터링기능이 강화된 마스크와, 호흡이 유리한 마스크를 미리 선택한 후 이를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는, 필터링강화 또는 호흡유리 중에서 어느 하나에 포커스가 정해져 제조되는 만큼 사용자는 어느 특정 기능의 마스크를 선택하여 착용하는 수밖에 없었으며, 환경이 바뀌더라도 마스크 기능을 바꿀 수 없어 미리 선택한 어느 하나의 마스크만 계속 착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허공보 제10-2094480호
본 발명은, 하나의 마스크로 장소에 따라 필터링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호흡이 용이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안면부에 대면하는 내피와, 내피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피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하고 관통구가 형성된 필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마스크부재와; 중앙부 일부가 제1마스크부재의 외측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관통구를 개폐하는 제2마스크부재와; 제1마스크부재와 제2마스크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관통구의 개폐에 따라 제2마스크부재의 나머지 부분이 제1마스크부재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2마스크부재 끼리 결합되도록 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마스크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된 접합부를 통하여 제1마스크부재와 접합 고정되고,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착탈수단이 구비되어 착탈여부에 따라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에 형성된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착탈수단은, 제1마스크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착탈수단과, 제1마스크부재와 대면하는 제2마스크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착탈수단은,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착탈부와, 제1상부착탈부와 상하방향 대칭을 이루도록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하부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착탈수단은, 제1상부착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제2마스크부재의 좌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착탈부와, 제1하부착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제2마스크부재의 좌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하부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탈수단은, 관통구의 차폐 시 제1상부착탈부와 제2상부착탈부 및 제1하부착탈부와 제2하부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제2마스크부재가 관통구를 덮도록 제1마스크부재에 부착되어 관통구가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탈수단은, 관통구의 개방 시 제2상부착탈부와 제2하부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제2마스크부재 끼리 부착되어 관통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마스크부재는, 제2마스크부재의 접혀진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는 포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착탈수단은,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또는 자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마스크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부를 통하여 제1마스크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고,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장축 상의 양측에 착탈수단이 구비되어 장축이 수평하게 위치하면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에 형성된 관통구를 차폐하고, 회전부를 통하여 회전하여 장축이 수직하게 위치하면 관통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수단은,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제3좌우착탈부와, 제1마스크부재의 상하측 외측에 구비되는 제3상하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착탈수단과, 제1마스크부재와 대면하는 제2마스크부재의 양측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4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관통구의 차폐 시에는 제3좌우착탈부와 제4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제2마스크부재가 관통구를 덮어 차폐되도록 하고, 관통구의 개방 시에는 제2마스크부재가 회전하여 제3상하착탈부와 제4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관통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를 바꿔 착용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마스크로 장소에 따라 필터링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호흡이 용이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관통구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제1마스크부재의 층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관통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관통구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관통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마스크의 필터링 또는 호흡 용이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미세먼지 등이 많아 마스크의 필터링효과가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필터링을 향상시키고, 반면 미세먼지 등은 많지 않으나 마스크착용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호흡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때와 장소에 따라 마스크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마스크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제1마스크부재(100)와, 제2마스크부재(200)와, 착탈수단(300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마스크부재(100)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되며, 이때 양측으로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귀에 끼워지는 귀끼움부(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마스크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부에 대면하는 내피(110)와, 내피(1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피(120)와,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위치하고 관통구(140)가 형성된 필터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피(110)와 외피(120)는 부직포소재 등 공지의 마스크 재질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필터재(130)는 중피(131)와, 초정전필터(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 필터대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한편, 관통구(140)는, 필터재(130)에 관통 형성되어, 제1마스크부재(100)는 관통구(140)가 형성된 부분은 내피(110)와 외피(120)만을 포함하는 층을 이루게 되고, 관통구(140)를 제외한 부분은 내피(110), 외피(120) 및 필터재(130)를 포함하는 층을 이루게 된다.
관통구(140)는, 제1마스크부재(100)의 수직중심선으로부터 양측에 수직한 장공의 형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마스크의 형태 등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며, 개수 또한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제2마스크부재(200)는, 제1마스크부재(100)의 외측에 결합되되, 일부가 제1마스크부재(100)에 결합하고 나머지는 제1마스크부재(100)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마스크부재(100)에 부착되거나 또는 제2마스크부재(200)끼리 부착되어 관통구(14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마스크부재(200)는, 중앙부에 형성된 접합부(210)를 통하여 중앙부 일부가 제1마스크부재(100)와 접합 고정되고,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착탈수단(300a)이 구비되어 있으며, 착탈여부에 따라 제1마스크부재(100)의 좌우측에 형성된 관통구(14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마스크부재(200)는, 마스크의 형상에 따라 접합부(210)의 위치와 크기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접합부(210)는, 좌우측 대칭이고 중앙 수직선상으로 봉재선이 있는 마스크 형태에 대응하여 봉제선을 따라 중앙부 수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2마스크부재(200)는, 도 2의 제1마스크부재(100)와 같이 내피(110), 외피(120) 및 필터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마스크부재(200)는 관통구(140)를 차폐하는 경우 호흡의 용이성을 위하여 최소한의 필터층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착탈수단(300a)은, 제1마스크부재(100)와 제2마스크부재(200)에 각각 결합하고, 관통구(140)의 개폐에 따라 제2마스크부재(200)의 나머지 부분이 제1마스크부재(100)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2마스크부재(200) 끼리 결합되게 하여 제2마스크부재(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마스크는, 관통구(140)가 제1마스크부재(100)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2마스크부재(200)는, 중앙부가 제1마스크부재(100)에 접합 고정된다. 이때 제2마스크부재(200)는, 양측이 제1마스크부재(100)와 부착되어 관통구(140)를 차폐하거나, 양측이 접혀 관통구(140)를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탈수단(300a)은, 제1마스크부재(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착탈수단(310)과, 제1마스크부재(100)와 대면하는 제2마스크부재(2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착탈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수단(30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착탈수단(300a)은 스냅버튼 또는 자석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세부적으로, 제1착탈수단(310)은, 제1마스크부재(100)의 좌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착탈부(311)와, 제1상부착탈부(311)와 상하방향 대칭을 이루도록 제1마스크부재(100)의 좌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하부착탈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착탈수단(320)은, 제1상부착탈부(3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제2마스크부재(200)의 좌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착탈부(321)와, 제1하부착탈부(3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제2마스크부재(200)의 좌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하부착탈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상부착탈부(311)와, 제2상부착탈부(321)는, 서로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2상부착탈부(321)와 제2하부착탈부(322)도 서로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가령 제1착탈수단(310)과 제2착탈수단(320)이 암수벨크로테이프를 적용한다고 할 때, 제1상부착탈부(311)가 벨크로암인 경우, 이와 부착되는 제2상부착탈부(321)는 벨크로수로 형성되며, 제2상부착탈부(321)와 부착되는 제2하부착탈부(322)는 벨크로암으로 형성되고, 제2하부착탈부(322)와 부착되는 제1하부착탈부(312)는 벨크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착탈수단(300a)은, 관통구(140)의 차폐 시 제1상부착탈부(311)와 제2상부착탈부(321) 및 제1하부착탈부(312)와 제2하부착탈부(322)가 서로 부착되어, 제2마스크부재(200)가 관통구를 덮도록 제1마스크부재(100)에 부착되어 관통구가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관통구(140)가 개방된 상태의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착탈수단(300a)은, 관통구(140)의 개방 시 제2상부착탈부(321)와 제2하부착탈부(322)가 서로 부착되어, 제2마스크부재(200) 끼리 부착되어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혀져 관통구가 개방되도록 한다.
즉, 제2마스크부재(200)는, 중앙부가 접합부(210)에 의하여 접합 고정되고, 양측의 가장자리부는 제1마스크부재(100)로부터 분리된 후 제2상부착탈부(321)와 제2하부착탈부(322)가 서로 부착되어 관통구(140)를 개방시킨다.
한편, 마스크는, 제2상부착탈부(321)와 제2하부착탈부(322)가 부착되어 접혀진 제2마스크부재(200)의 가장자리부분이 삽입되는 포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는, 제2마스크부재(200)의 접혀진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 하고,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이 오염이나 찢겨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포켓부는, 제2마스크부재(200)의 접혀진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포켓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층으로 이루어진 제1마스크부재(100) 또는 제2마스크부재(200)의 외피(120)에 포켓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거나, 별도의 포켓부가 형성되는 등 제2마스크부재(200)의 접혀진 면적과,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마스크는, 제2마스크부재(200)가 제1마스크부재(100)에 일부가 접합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1마스크부재(100)에 부착되거나, 제2마스크부재(200)끼리 부착되어 관통구(140)를 개폐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제1마스크부재(100a)와, 제2마스크부재(200a)와, 착탈수단(3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마스크부재(100a)는,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세부 구조층은 전술한 도 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마스크부재(200a)는,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부(220)를 통하여 제1마스크부재(100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에 따라 관통구(14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마스크부재(200a)는, 장축과 단축이 서로 길이 다른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장축이 수평하게 위치하면 제1마스크부재(100a)의 좌우측에 형성된 관통구(140)를 차폐하고, 회전부(220)를 통하여 회전하여 장축이 수직하게 위치하면 관통구(140)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탈수단(300b)은, 제1마스크부재(100a)와 제2마스크부재(200a)에 각각 구비되어, 제2마스크부재(200a)의 회전 시 그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착탈수단(300b)은, 제1마스크부재(100a)에 구비되는 제1착탈수단(310)과, 제2마스크부재(200a)에 구비되는 제2착탈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착탈수단(310)은, 제1마스크부재(100a)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제3좌우착탈부(313)와, 제1마스크부재(100a)의 상하측 외측에 구비되는 제3상하착탈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착탈수단(320)은, 제1마스크부재(100a)와 대면하는 제2마스크부재(200a)의 장축 상의 양측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4착탈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탈수단(300b)은, 관통구(140)의 차폐 시에는 제3좌우착탈부(313)와 제4착탈부(323)가 서로 부착되어 제2마스크부재(200a)가 관통구를 덮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탈수단(300b)은, 관통구(140)의 개방 시에는 제3상하착탈부(314)와 제4착탈부(323)가 서로 부착되어 제2마스크부재(200a)가 관통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 : 제1마스크부재 110 : 내피
120 : 외피 130 : 필터재
131 : 중피 132 : 초정전필터
140 : 관통구 200,200a : 제2마스크부재
210 : 접합부 220 : 회전부
300a,300b : 착탈수단 310 : 제1착탈수단
311 : 제1상부착탈부 312 : 제1하부착탈부
313 : 제3좌우착탈부 314 : 제3상하착탈부
320 : 제2착탈수단 321 : 제2상부착탈부
322 : 제2하부착탈부 323 : 제4착탈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안면부에 대면하는 내피와, 내피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피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하고 관통구가 형성된 필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마스크부재와;
    중앙부 일부가 상기 제1마스크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제2마스크부재와;
    상기 제1마스크부재와 상기 제2마스크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2마스크부재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마스크부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마스크부재 끼리 결합되도록 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스크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된 접합부를 통하여 상기 제1마스크부재와 접합 고정되고,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착탈수단이 구비되어 착탈여부에 따라 상기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제1마스크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착탈수단과,
    상기 제1마스크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제2마스크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수단은,
    상기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착탈부와, 상기 제1상부착탈부와 상하방향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하부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착탈수단은,
    상기 제1상부착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마스크부재의 좌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착탈부와, 상기 제1하부착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마스크부재의 좌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하부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관통구의 차폐 시 상기 제1상부착탈부와 상기 제2상부착탈부 및 상기 제1하부착탈부와 상기 제2하부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제2마스크부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도록 상기 제1마스크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구가 차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관통구의 개방 시 상기 제2상부착탈부와 상기 제2하부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제2마스크부재 끼리 부착되어 상기 관통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부재 또는 제2마스크부재는,
    상기 제2상부착탈부와 상기 제2하부착탈부가 부착되어 접혀진 상기 제2마스크부재의 가장자리부분이 삽입되는 포켓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또는 자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스크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부를 통하여 상기 제1마스크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고,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장축 상의 양측에 상기 착탈수단이 구비되어 장축이 수평하게 위치하면 상기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를 차폐하고,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회전하여 장축이 수직하게 위치하면 상기 관통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제1마스크부재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제3좌우착탈부와, 상기 제1마스크부재의 상하측 외측에 구비되는 제3상하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착탈수단과,
    상기 제1마스크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제2마스크부재의 양측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4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착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관통구의 차폐 시에는 상기 제3좌우착탈부와 상기 제4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제2마스크부재가 상기 관통구를 덮어 차폐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구의 개방 시에는 상기 제2마스크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제3상하착탈부와 상기 제4착탈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관통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00082245A 2020-07-03 2020-07-03 마스크 KR20220004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245A KR20220004424A (ko) 2020-07-03 2020-07-03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245A KR20220004424A (ko) 2020-07-03 2020-07-03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424A true KR20220004424A (ko) 2022-01-11

Family

ID=7935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245A KR20220004424A (ko) 2020-07-03 2020-07-03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4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0809A (zh) * 2023-04-17 2023-08-11 皖南医学院第二附属医院 一种防病毒呼吸罩及其方法
KR20230138081A (ko) * 2022-03-23 2023-10-05 장석호 미세 중금속 및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480B1 (ko) 2019-05-27 2020-04-01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480B1 (ko) 2019-05-27 2020-04-01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081A (ko) * 2022-03-23 2023-10-05 장석호 미세 중금속 및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CN116570809A (zh) * 2023-04-17 2023-08-11 皖南医学院第二附属医院 一种防病毒呼吸罩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KR20220004424A (ko) 마스크
US11903430B2 (en) Protective face mask
KR20180025098A (ko)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
KR102058424B1 (ko)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JP2021147748A (ja) 喫煙及び飲食機能を有する感染予防マスク
KR20200021492A (ko) 마스크
KR102165908B1 (ko)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제조방법
JP4131333B2 (ja) 衣服
JP5815930B2 (ja) シールド付防塵フード
US11065480B2 (en) PPE with rotating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ace covers
JP3157830U (ja) シールド付防塵フード
JP2022027351A (ja) マスクケース兼用マスクカバー
JP2022006213A (ja) マスク用の通気治具、及び、マスクの通気構造
KR102288859B1 (ko)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612748B1 (ko) 투명필름이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JP6622350B2 (ja) 防塵フード
GB2349796A (en) Garment having a seal with low a friction covering
JP2016204818A (ja) 密着調節型多機能頭巾
KR200289239Y1 (ko) 방진용 두건
TW202316991A (zh) 具透視功能之立體口罩
JPH09316722A (ja) 防塵マスク及び防塵衣
JPH0343208Y2 (ko)
KR20220048201A (ko)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JP2004115990A (ja) クリーンスーツ及びクリーンスーツ用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