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037A - 해충 방제 키트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충 방제 키트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037A
KR20220004037A KR1020217034530A KR20217034530A KR20220004037A KR 20220004037 A KR20220004037 A KR 20220004037A KR 1020217034530 A KR1020217034530 A KR 1020217034530A KR 20217034530 A KR20217034530 A KR 20217034530A KR 20220004037 A KR20220004037 A KR 2022000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ontrol
wetting agent
control kit
agent composition
entomopathoge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샤드 알리 안사리
Original Assignee
바이오네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네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오네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2Nemato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7/00Arthropodicides
    • A01P7/04Insect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해충 방제 키트는 미성숙 유충기 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해충 방제 키트는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습윤제 조성물은 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해충 방제 키트는 농업용, 임업용 및 원예용 또는 가정 정원용을 포함하여 전문적인 식물 보호를 위한 것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식물에게 해충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미성숙 유충 곤충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자연 발생 곤충병원성 선충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해충 방제 제품은 일년 내내 잔디와 식물에 대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보호를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방제 키트 및 방법
본 발명은 생물농약, 특히 전문 식물 보호, 원예, 임업 및 농업 적용 또는 가정 정원에 사용하기 위한 생물 살충제 (생물학적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충제는 해충을 억제, 무력화, 사멸 또는 억제하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작용제이다. 표적 해충은 재산을 파괴하거나, 폐가 되는 행위를 유발시키거나, 질병을 확산시키거나, 또는 질병 매개체인 곤충, 식물 병원체, 잡초, 연체 동물, 조류, 포유류, 어류 및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살충제에는 이점이 있지만, 많은 경우 환경에 대한 악영향과 함께 인간과 다른 종에 대한 잠재적인 독성과 같은 단점도 있다.
화학 살충제는 노출된 사람들에게 급성 및 지연 건강 영향을 유발할 수 있다. 화학 살충제 노출은 피부와 눈의 단순한 자극에서부터 더 심각한 영향, 예컨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고, 생식 문제를 일으키는 호르몬을 모방하고, 또한 암을 유발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건강에 다양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학 살충제 사용은 수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연구에 따르면 살포된 살충제의 98% 초과와 제초제의 95%가 비-표적 종, 공기, 물 및 토양을 포함하여 표적 종 이외의 목적지에 도달한다고 제안한다.
생물농약은 독성 화학 살충제에 대한 자연적 대안으로, 모든 종류의 식품 및 기타 작물을 공격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식물, 박테리아, 진균 및 미네랄이다. 생물농약은 비교적 안전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와 소비자에게 무독성이며 빠르게 분해되며 특이적 해충을 표적으로 삼아 유익한 곤충에 해를 끼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생물농약 분야에서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면서 특정한 적용 분야에 맞춤화할 수 있는 다양하게 적용되는 효과적인 다목적 해결책이 요망된다. 그 결과, 생물농약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생물농약의 흡수율은 화학 살충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다양한 적용에 유연하고 채택을 돕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인, 화학 살충제에 대한 보다 쉬운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하기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 키트가 제공된다: (a)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b)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습윤 조성물.
바람직하게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미리 결정된다. 용어 "양"은 "유기체의 수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숙련된 수취인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상기 키트는 각각이 각각의 양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충 균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선충 균주의 양은 키트의 원하는 적용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습윤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기능에 핵심이다. 공지된 습윤제보다 본 습윤제에서 개선된 주요 인자는 바람직하게, 곤충병원성 선충 균주와의 개선된 상용성 (개선된 선충 생존율 포함), 개선된 습윤 능력 및 곤충병원성 선충 균주의 개선된 효능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를 사용하면 전형적으로, 곤충병원성 선충의 적어도 90%가 해충 방제 키트의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동안 생존하고/하거나; 해충 사망률은 전형적으로, 해충 방제 키트의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바람직하게 적어도 48시간, 훨씬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72시간 동안 적어도 90%이고/이거나;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산은 습윤제 조성물의 부재 하의 대조군 곤충병원성 선충과 비교하여 전형적으로 증가된다.
바람직하게 습윤제 조성물은 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용매는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글리콜 에테르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이다. 바람직하게 용매는 혼합되지 않은 습윤제 조성물의 1% 내지 25%로부터 선택된 용매 농도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용매는 혼합되지 않은 습윤제 조성물의 5% 내지 10%의 용매 농도로 존재하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의 농도는 1리터 중 50 내지 100 mL이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한 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은 칼륨 염이다.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는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칼륨 염이다.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는 혼합되지 않은 습윤제 조성물의 0.5% 내지 10%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농도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는 혼합되지 않은 습윤제 조성물의 1% 내지 3%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농도로 존재하는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칼륨 염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칼륨 염의 농도는 1리터 중 10 mL 내지 30 mL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습윤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역 블록 공중합체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임의의 계면활성제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농도의 용매 및/또는 계면활성제와 함께, 해충 방제 키트에서 본 발명의 임의의 용매와 조합될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 용매 (예를 들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및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포함하는 습윤제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 (특히 칼륨 염, 예를 들어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칼륨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알콜 에톡실레이트 (현재 토양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는 자연적으로 건조되고,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에 비해 이러한 화학물질의 잠재적인 생체 이용률 증가는 건조 특성을 향상시켜, 선충을 고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Steinernema carpocapsae)는 건조의 위협을 받을 때 무수체생물증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통상적인 토양 컨디셔너는 선충에 대한 고정화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심지어 살선충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습윤제 및/또는 토양 컨디셔너는 선충 종과 조합되기 전에 항상 검사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이들이 3 내지 6시간 이내에 선충을 사멸하여 상기 선충의 효능을 제거하는 데 책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습윤제는 물과 오일의 계면을 분해하여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가장 적합하지 않은 습윤제는 수용성 경향이 있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본 습윤제는 바람직하게 오일 가용성인 역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역 삼중블록 공중합체를 갖는 습윤제는 개선된 선충 생존율을 나타낸다.
습윤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습윤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습윤 화합물은 알킬렌 옥시드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습윤 화합물은 폴리히드록시에틸 알콕시 알킬렌 옥시드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습윤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토양 침투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토양 침투제는 바람직하게 또한 선충 이동을 도와준다.
바람직하게 습윤제 조성물은 액체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분말은 무수물이다.
바람직하게 액체 또는 분말형 습윤제 조성물은 물과 혼합되어 2.22% v/v 내지 2.86% v/v (1 헥타르에 대해 물 700 내지 900 L에 습윤제 조성물 20 L를 현장 적용하여 계산됨)로부터 선택된 혼합 농도를 갖는 작업 습윤제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작업 습윤제는 작업 습윤제:물의 혼합 비율로 물과 혼합되어 최종 습윤제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혼합 비율은 1:2.22 내지 1:2.86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혼합 비율은 1:35 내지 1:90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혼합 비율은 1:70 내지 1:90으로부터 선택된다.
기재된 습윤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함유 곤충병원성 선충 균주의 효능을 개선시킨다. 습윤제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 최종 습윤제 조성물에 적용되는 토양 내 발수성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 식물, 작물 및 기타 원예 개체의 뿌리 영역 근처에 충분한 수분 보유를 제공하며, 여기서 선충은 표적을 찾아내고 다른 공지된 습윤제 조성물이 동반된 것보다 더 오래 생존할 수 있다. 이것은 선충이 전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물/액체 필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다른 많은 습윤제의 건조 특성으로 인해 물/액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선충의 수명이 손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훈련 패키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5억 내지 50억 마리의 감염성 선충 (전형적으로 감염성 미성숙 (IJ) 선충)을 포함한다. 토지 면적 전체에 걸쳐,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바람직하게 헥타르당 25억 내지 50억 마리의 감염성 선충을 포함한다. 감염성 선충의 양은 바람직하게 해충 상황, 밀도 및 적용 면적에 따라 다르다.
바람직하게 곤충병원성 선충은 헤테로랍디티스(Heterorhabditis) 속 및/또는 스테이네르네마(Steinernema) 속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곤충병원성 선충은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Heterorhabditis downesi),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Steinernema feltiae),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및/또는 스테이네르네마 크라우스세이(Steinernema kraussei)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유충, 번데기 및/또는 성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곤충은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티풀라 종(Tipula spp.), 티풀라 올레라세아(Tipula oleracea), 그릴로탈파 그릴로탈파(Gryllotalpa Gryllotalpa), 아그로티스 종(Agrotis spp.), 오티오린쿠스 술카투스(Otiorhynchus sulcatus), 오티오린쿠스 종(Otiorhynchus spp.), 호플리아 필란투스(Hoplia philanthus), 필로페르타 호르티콜라(Phyllopertha horticola), 암피말론 솔스티티알리스(Amphimallon solstitialis), 멜로론타 멜로론타(Melolontha melolontha), 세리카 브룬네아(Serica brunnea), 시디아 포모넬라(Cydia pomonella), 시디아 몰레스타(Cydia molesta), 시디아 스플렌다나(Cydia splendana), 에피드리다에(Ephydridae), 스포도프테라 종(Spodoptera spp.), 크리소데익시스 칼시테스(Chrysodeixis chalcites), 마메스트라 브라시카에(Mamestra brassicae), 듀폰첼리아 포베알리스(Duponchelia fovealis),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Hylobius abietis), 프랭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Frankliniella occidentalis), 크로마토미이아 신제네시아에(Chromatomyia syngenesiae), 피토미자 비탈바에(Phytomyza vitalbae), 아노플로포라 키넨시스(Anoplophora chinensis), 입스 티포그라푸스(Ips typographus), 시난테돈 미오파에포르미스(Synanthedon myopaeformis), 오포고나 사카리(Opogona sacchari), 디아프레페스 압브레비아테스(Diaprepes abbreviates), 그라폴리타 몰레스타(Grapholita molesta), 그라폴리타 푸네브라나(Grapholita funebrana), 크리소테우키아 토피아리아(Chrysoteuchia topiaria), 랍도프테루스 피시페스(Rhabdopterus picipes), 캅노디스 테네브리오니스(Capnodis tenebrionis), 쿠르쿨리오 누쿰(Curculio nucum), 제우제라 피리나(Zeuzera pyrina), 타우메토포에아 프로세시오네아(Thaumetopoea processionea), 파이산디시아 아르콘(Paysandisia archon), 시난테돈 엑시티오사(Synanthedon exitiosa), 린코포루스 페루기네우스(Rhynchophorus ferrugineus), 디아브로티카 비르기페라(Diabrotica virgifera), 비비오니다에(Bibionidae), 및/또는 포르셀리오 스카베르(Porcellio scaber).
바람직하게 곤충병원성 선충은 12℃ 초과의 온도에서 활성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곤충병원성 선충은 10℃ 초과의 온도에서 활성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곤충병원성 선충은 8℃ 초과의 온도에서 활성이다.
바람직하게 곤충병원성 선충은 70% 내지 100%의 사멸률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사멸률은 80% 내지 100%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사멸률은 9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충 및/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티풀라 종, 티풀라 올레라세아, 그릴로탈파 그릴로탈파, 및/또는 아그로티스 종.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및/또는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8℃ 또는 12℃ 초과에서 활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사멸률은 7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잔디, 스포츠 및 편의시설 적용에서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잔디, 스포츠 및 편의시설 적용은 골프장, 축구장, 럭비 경기장 및 모든 스포츠 및 편의시설 잔디에서의 사용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충 및/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호플리아 필란투스, 필로페르타 호르티콜라, 암피말론 솔스티티알리스, 멜로론타 멜로론타, 및/또는 세리카 브룬네아.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또는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와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의 조합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8℃ 또는 12℃ 초과에서 활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사멸률은 8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잔디, 스포츠 및 편의시설 적용에서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잔디, 스포츠 및 편의시설 적용은 골프장, 축구장, 럭비 경기장 및 모든 스포츠 및 편의시설 잔디에서의 사용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충 및/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프랭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 크로마토미이아 신제네시아에, 피토미자 비탈바에, 리리오미자 종(Liriomyza spp.), 투타 압솔루타(Tuta absoluta), 크리오세리스 종(Crioceris spp.), 시난테돈 미오파에포르미스, 시디아 포모넬라, 그라폴리타 몰레스타, 그라폴리타 푸네브라나, 타우메토포에아 프로세시오네아, 티풀라 올레라세아, 및/또는 비비오니다에.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8℃ 초과에서 활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사멸률은 8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예 적용에서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원예 적용은 연한 과일, 관상용 식물 및 꽃에 대한 사용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충 및/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오티오린쿠스 술카투스, 호플리아 종(Hoplia spp.), 필로페르타 호르티콜라, 암피말론 솔스티티알리스, 및/또는 멜로론타 멜로론타.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및/또는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8℃ 초과에서 활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사멸률은 9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예 적용에서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원예 적용은 연한 과일, 관상용 식물 및 꽃에 대한 사용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충 및/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오티오린쿠스 술카투스,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 아노플로포라 키넨시스, 입스 티포그라푸스, 디아프레페스 압브레비아테스, 랍도프테루스 피시페스, 쿠르쿨리오 누쿰, 및/또는 디아브로티카 비르기페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 및/또는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8℃ 또는 12℃ 초과에서 활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사멸률은 9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예 적용에서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원예 적용은 연한 과일, 관상용 식물 및 꽃에 대한 사용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충 및/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시디아 포모넬라, 시디아 몰레스타, 시디아 스플렌다나, 에피드리다에, 스포도프테라 종, 크리소데익시스 칼시테스, 마메스트라 브라시카에, 듀폰첼리아 포베알리스,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 아노플로포라 키넨시스, 입스 티포그라푸스, 오포고나 사카리, 크리소테우키아 토피아리아, 캅노디스 테네브리오니스, 제우제라 피리나, 파이산디시아 아르콘, 시난테돈 엑시티오사, 린코포루스 페루기네우스, 아그로티스 종, 및/또는 포르셀리오 스카베르.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14℃ 초과에서 활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사멸률은 9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목 및 산림 적용에서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수목 및 산림 적용은 수목 및 임업을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사용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해충 방제 키트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충 및/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리코리엘라 종(Lycoriella spp.) 및/또는 브라디시아 종(Bradysia spp.).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8℃ 초과에서 활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사멸률은 9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훈련 패키지는 (적절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버섯 재배 적용에서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버섯 재배 적용은 버섯 재배에 사용되는 영역에서의 사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하기 단계:
a)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소정의 용적의 물과 혼합하여 소정의 용적의 활성화된 생물농약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소정의 용적의 활성화된 생물농약을 소정의 면적의 지면 또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엽면 침습된 부분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하기 단계:
a)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을 제공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습윤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훈련 패키지를 제공하는 단계이며, 훈련 패키지는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제공하여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하기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 키트가 제공된다:
a)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b)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습윤제 조성물; 및
c) 방법의 교시를 포함하는 훈련 패키지이며, 방법은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훈련 패키지.
바람직하게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훈련 패키지 방법은 상기 방법의 특정한 적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은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용을 포함한다: 잔디, 스포츠 및 편의시설 적용; 원예 적용; 수목 및 산림 적용; 버섯 재배 적용.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잔디, 스포츠 및 편의시설 적용은 골프장, 축구장, 럭비 경기장 및 모든 스포츠 및 편의시설 잔디에서의 사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원예 적용은 연한 과일, 관상용 식물 및 꽃에 대한 사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수목 및 산림 적용은 수목 및 임업을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사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버섯 재배 적용은 버섯 재배에 사용되는 영역에서의 사용을 지칭한다.
곤충병원성 선충으로서 공지되기도 한 곤충 기생 선충은 농업, 원예 및 임업 해충 또는 가정 및 정원의 방제를 위해 상업화되어 일부 주목할만한 성공을 거둔 토양 거주 회충이다. 그러나, 표적 곤충 숙주를 효율적으로 찾아 사멸시킬 수 있는 이러한 선충의 능력은 환경 조건에 의해 심각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토양 수분은 현장에서 선충의 생존, 지속성 및 감염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곤충병원성 선충은 토양 중의 수분을 활용하여 이동하고 건조를 방지하지만, 토양에서의 발수성 또는 소수성은 선충의 성공적인 적용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가 되고 있다.
다양한 상용 제품, 예컨대 토양 계면활성제, 토양 컨디셔너, 습윤제 또는 토양 침투제는 친수성 단계와 비-습윤성 소수성 단계 간의 계면 장력을 낮추기 위해 토양 발수 효과를 개선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습윤제는 토양 프로파일 전체에 걸친 물 이동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발수성을 개선함으로써 물 효율성을 증가시키며, 물의 균일한 분포를 개선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곤충병원성 선충과 습윤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관심 상품을 손상시키는 표적 해충(들)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하는 훈련 패키지를 함께 포함하는 해충 방제 키트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는 화학 살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는 화학 살충제를 포함하지 않고 화학 살충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 및 화학 살충제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적용되는지 여부) 의도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습윤제가 곤충병원성 선충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특히, 기존의 습윤제는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에 사용된 습윤제와 비교하여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을 감소시키고 곤충병원성 선충의 살충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해결책에 비해 놀라운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은 본 발명의 습윤제의 부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생존에 적어도 필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은 기존의 습윤제의 존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생존과 비교하여 전형적으로 개선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에 포함된 곤충병원성 선충의 적어도 90%, 적어도 91%, 적어도 92%, 적어도 93%, 적어도 94%,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적어도 99% 또는 그 초과는 상기 해충 방제 키트의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적어도 48시간, 적어도 72시간 또는 그 초과 동안 생존한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은 특이적 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종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에 포함된 임의의 주어진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해, 적어도 90%가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동안 생존할 것이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표준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은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된 표준 방법과 같은 상용성 검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병원성 선충의 살충 활성은 본 발명의 습윤제의 부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살충 활성에 적어도 필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병원성 선충의 살충 활성은 기존의 습윤제의 존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살충 활성과 비교하여 전형적으로 개선된다. 살충 활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정량화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곤충병원성 선충의 살충 활성은 주어진 시점에서/주어진 시점까지 사멸된 처리될 해충의 % (본원에서 해충 사망률로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지칭됨)의 관점에서 정량화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처리될 해충의 해충 사망률은 상기 해충 방제 키트의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적어도 48시간, 적어도 72시간 또는 그 초과 동안 적어도 90%, 적어도 91%, 적어도 92%, 적어도 93%, 적어도 94%,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적어도 99% 또는 그 초과이다. 해충 사망률은 특이적 해충 종 및/또는 곤충병원성 선충의 특이적 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해충 및 곤충병원성 선충 종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임의의 주어진 곤충병원성 선충 및 해충에 대해, 해충 사망률은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 투여 후 적어도 48시간 동안, 훨씬 더 바람직하게 투여 후 적어도 72시간 동안 적어도 90%이다. 해충 사망률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표준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해충 사망률은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병원성 검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산은 본 발명의 습윤제의 부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분산과 비교하여 변형될 수 있다. 분산은 수직 분산 및/또는 수평 분산일 수 있다. 본원에서 "분산"에 대한 언급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수평 분산과 수직 분산 둘 다를 포괄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습윤제를 사용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수직 분산은 본 발명의 습윤제의 부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분산에 적어도 필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윤제를 사용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수평 분산은 본 발명의 습윤제의 부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분산에 적어도 필적하며, 전형적으로 그러한 참조 집단의 분산과 비교하여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병원성 선충의 수평 분산은 본 발명의 습윤제의 부재 하의 동일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참조 집단의 수평 분산과 비교하여 적어도 10%,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50%, 적어도 75% 또는 그 초과만큼 증가될 수 있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산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표준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곤충병원성 선충의 수직 분산은 모래 기둥 검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추가의 비-제한적 예로서, 곤충병원성 선충의 수평 분산은 사보라우(Sabouraud) 덱스트로스 한천 (SDA) 플레이트 전체에 걸친 분산을 정량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DA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적합한 방법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산은 특이적 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종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에 포함된 임의의 주어진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해, 수평 분산은 습윤제 조성물의 부재 하의 대조군 곤충병원성 선충과 비교하여 증가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수평 분산은 습윤제 조성물의 부재 하의 대조군 곤충병원성 선충과 비교하여 적어도 20%만큼 증가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곤충병원성 선충의 증가된 생존 및 증가된 해충 사망률을 제공한다. 일부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곤충병원성 선충의 증가된 생존, 증가된 해충 사망률 및 증가된 분산 (특히 수평 분산)을 제공한다.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해충 방제 키트의 유리한 특성은 본 발명의 습윤제, 특히 습윤제에 포함된 용매 및/또는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4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웨일스(Welsh) 풍뎅이, 호플리아 필란투스 땅벌레의 방제를 위해 단독으로 또는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하여 (해충 방제 키트-C로서)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의 효능 (%)을 도시한다. 시험은 2017년 5월과 2018년 10월 사이에 더 그로브 골프 클럽 (영국 런던 왓포드)에서 시행되었다. 처리물은 하기로 이루어졌다: 단독으로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25억 마리/ha, 습윤제 조성물 (10 L/ha)과 조합하여 적용된 해충 방제 키트-C 25억 마리/ha 및 클로르피리포스 (에쿼티) 2 L a.i./ha. 모든 처리물은 기존의 붐 분무기를 따라 토양 주입기를 사용하여 적용되었다. 토양 샘플은 땅벌레 집단을 평가하기 위해 적용 후 2, 4, 6 및 8주에 채취되었다.
도 3은 가죽자켓 유충의 방제를 위해 골프장에 선충을 적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가죽자켓 유충의 방제를 위해 구멍을 뚫어 골프장에 선충을 적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현장 시험 실시예 1 내지 6에 앞서 및 실시예 동안 수행된 준비 및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6은 가죽자켓 유충의 방제를 위해 단독으로 또는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하여 (해충 방제 키트-L로서) 적용된 선충 (봄에는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이고 가을에는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이다)의 효능 (%)을 도시한다. 시험은 2018년 4월과 2018년 9월 사이에 마흐리하니시(Machrihanish) 골프 클럽 (스코틀랜드 킨타이어의 물)에서 시행되었다. 처리물은 하기로 이루어졌다: 단독으로 매주 2회 적용된 선충 (봄에는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이고, 가을에는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이다) 25억 마리/ha, 습윤제 조성물 (10 L/ha)과 조합하여 매주 2회 적용된 해충 방제 키트-L 25억 마리/ha 및 클로르피리포스 (에쿼티) 2 L a.i. /ha. 모든 처리물은 직경 0.5 cm의 작은 구멍 크기를 만드는 것을 포함하여 토양 폭기(aeration) 전에 기존의 붐 분무기를 사용하여 적용되었다. 토양 샘플은 유충 집단을 평가하기 위해 적용 후 6주에 채취되었다.
도 7은 시험 장소인 영국 잉글랜드 헤리퍼드셔 킹스 케이플을 보여준다.
도 8은 현장에서 재배된 딸기에서 블랙 덩굴 바구미 (오티오린쿠스 술카투스)의 방제를 위해 단독으로 또는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하여 (해충 방제 키트-H로서)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의 효능 (%)을 도시한다. 처리물은 하기로 이루어졌다: 사전 혼합된 것으로 적용된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아에(Metarhizium anisopliae),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하거나 조합하지 않으면서 드렌치로서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크라우스세이, 단독으로 또는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하여 (해충 방제 키트-H로서)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및 클로르피리포스 (에쿼티). 시험은 2016년 내지 2017년 7월과 10월 사이에 영국 헤리퍼드셔 킹스 케이플에 있는 폴리터널 아래 모래 토양에서 시행되었다. 각각의 딸기 식물은 30개의 블랙 덩굴 바구미 알로 감염되었고 식물은 접종 후 13주에 파괴적으로 평가되었다. 동일한 문자를 표시하는 막대는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다 (P> 0.05; 터키(Tukey)의 시험). 각각의 처리는 15개 식물/처리로 4회 반복되었다.
도 9는 현장에서 재배된 딸기에서 꽃노랑 총채벌레 (프랭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의 방제를 위한 살충제, 유익한 곤충 및 해충 방제 키트-F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의 비교 효능 결과를 도시한다. 처리물은 하기로 이루어졌다: 살충제 [트레이서(Tracer) - 상표], 유익한 포식성 응애, 네오세이울루스 쿠쿠메리스(Neoseiulus cucumeris), 단독으로 또는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된 (해충 방제 키트-F로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시험은 2015년 내지 2017년 7월과 10월 사이에 영국 헤리퍼드셔 킹스 케이플에 있는 폴리터널 아래 모래 토양에서 시행되었다. 딸기 작물은 꽃노랑 총채벌레 (5 - 20개 성충/꽃)로 감염시키고, 처리 후 제28주, 제29주, 제30주, 제31주, 제32주, 제33주 및 제35주에 각각의 꽃/식물 상의 총채벌레 수를 계산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15개 식물/처리로 4회 반복되었다.
도 10은 온실 조건하에서 검정날개 파리 유충의 방제를 위한 살충제 및 해충 방제 키트-S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의 비교 효능 결과를 도시한다. 처리물은 하기로 이루어졌다: 카르보푸란(Carbofuran),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단독으로 또는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된 (해충 방제 키트-S로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시험은 2016년 내지 2017년에 영국의 버섯 생산 농장에서 시행되었다. 버섯은 검정날개 파리 유충에 자연적으로 감염되었으며, 처리 후 제1주 및 제3주에 그 수를 계산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15개 식물/처리로 4회 반복되었다.
도 11은 시트카 가문비나무에서 소나무 바구미 유충의 방제를 위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단독,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 단독 및 단독으로 또는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된 (해충 방제 키트-T로서)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의 효능을 도시한다. 처리물은 하기로 이루어졌다: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단독,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 단독,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단독, 및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 습윤제 조성물 (해충 방제 키트-T로서). 드렌치로서 500 mL의 수 중 350만개 마리/그루터기로 선충을 적용하였다. 시험은 2016년 내지 2017년 6월과 8월 사이에 웨일즈 세레디기온의 티위 노스 숲에 있는 시트카 가문비나무 그루터기에서 시행되었다. 각각의 그루터기는 처리 적용 후 4주에 파괴적으로 평가되었다. 각각의 처리는 5개의 그루터기/처리로 5회 반복되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측면에 따른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4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10)의 구성 요소 도가 제공된다. 해충 방제 키트 (10)는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12), 습윤제 조성물 (14), 및 훈련 패키지 (1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은 처리될 토지 헥타르당 25억마리 유기체의 양으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한다. 유기체는 8℃ 아래로 저장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그 아래 온도에서는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가 실질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8℃ 초과에서는,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가 활성이 되고 감염성이 된다. 습윤제 조성물 (14)은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10%, 폴리에틸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3%, 및 토양 침투제를 포함하는 액체를 포함한다. 훈련 패키지 (16)는 사용자가 제2 및 제3 측면에 따라 곤충 집단을 방제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정의
본원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과학 및 기술 용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용어의 의미와 범위가 명확해야 하지만; 임의의 잠재적인 모호성이 있는 경우, 본원에 제공된 정의가 임의의 사전 또는 외부 정의보다 우선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한 방법론, 프로토콜 및 시약 등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자체가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추가로,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단수 용어는 복수를 포함하고 복수 용어는 단수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는"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컨대 "포함하다" 및 "포함된"의 사용은 제한적이지 않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에 대한 설명은 철저한 것으로 의도되지 않거나 또는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구체적 실시양태 및 본 개시내용에 대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본원에 기재되어 있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법 단계 또는 기능이 주어진 순서로 제시되긴 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양태는 상이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기능이 실질적으로 공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개시내용의 교시는 적절하게 다른 절차 또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양태는 추가 실시양태를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측면은, 필요한 경우,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참조 및 적용의 조성, 기능 및 개념을 이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생물학적 기능적 등가 고려로 인해, 종류 또는 양에 있어서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단백질 구조에 있어서 약간의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화 및 기타 변화는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본 개시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논의된 간행물은 본 출원의 출원일 이전의 개시에 대해서만 제공된다. 본원에 있는 어떤 것도 그러한 간행물이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대한 선행 기술을 구성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된다.
실시예
구체적 실시양태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습윤제와 네마스프레더(NemaSpreader)의 비교 연구
특정 부류의 화합물로서의 습윤제는 쉽게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일부 (예를 들어 H2Pro)는 심지어 곤충병원성 선충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광고되기도 한다. 상이한 습윤제에 노출된 후 상이한 선충 종의 생존을 조사하였다. 이들 습윤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습윤제 및 본 발명에 따른 습윤제 (네마스프레더®)를 포함한다.
사용된 습윤제의 최종 농도는 현장 적용을 위해 제조업체 권장 사항에 따라 규정된 농도와 동일하였다. 15 ml의 양의 선충 용액을 각각의 습윤제 15 ml가 담긴 조직 배양 플라스크 (50 ml 용량)에 부가하여, 만들어진 총 용적은 대략 93,750 IJs (800 L 수 중 2.5 x 109 IJs/ha의 현장 적용과 동일함)를 함유하는 30 ml가 되었다. 대조를 위해, 습윤제 대신에 15 ml의 증류수를 선충 용액에 부가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3회 반복되었다. 조직 배양 플라스크는 암실에서 20±2℃ 하에 유지되었다.
각각의 현탁액으로부터 3 x 20 μl 분취액을 제거하여 3, 6 및 24시간에 선충의 생존율을 평가하고 쌍안 현미경 (올림푸스)을 사용하여 살아있는 선충을 계수하였다. 하기 기준이 관찰되면 선충은 사멸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i) 움직임 결여, (ii) 분해의 초기 징후 및/또는 선충 내에서의 기포 형성, (iii) 물리적 자극에 대한 반응 결여. 전체 검정을 2회 반복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필요한 것에 따른 네마스프레더® 습윤제는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선충 종과 상용성이다: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스테이네르네마 크라우스세이. 상기 습윤제에 대한 24시간 노출 후 선충 생존율은 9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노출 후 24시간에서 시험 선충 종의 생존율은 분석된 기존의 습윤제의 범위에 걸쳐 상당히 감소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지식과 달리, 습윤제의 선택은 선충의 생존/생존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이적 습윤제의 선택은 곤충병원성 선충을 함유하는 제품 및 키트의 해충 방제 효능의 핵심이다.
또한, 추가의 비교 연구에서 노출 후 병원성은 노출 후 24시간에 더 큰 왁스나방인 갈레리아 멜로넬라(Galleria mellonella) 유충에 대항하여 평가되었다. 상용성 검정으로부터의 시험된 아주반트에 노출된 선충을 3회 세척하여 선충 본체로부터 임의의 잔류 습윤제를 제거하였다. 각각의 처리물로부터의 선충 용액 1 밀리리터를 1.5 ml 미세 원심 분리 튜브에 넣고 7분 동안 3,000 rpm으로 회전시켰다. 임의의 과량의 습윤제를 함유하는 상등액은 버리고 선충을 1 ml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재현탁시켰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각각의 처리물 유형에 대해 3회 반복되었다. 존재하는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선충의 각각의 재현탁액에 대해 계수를 다시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처리마다 900 μL 수 중 500마리 선충의 농도를 수득하도록 용적을 조정하였다.
5마리의 지. 멜로넬라(G. mellonella) 유충을 와트먼(Whatman®) 여과지가 깔린 직경 90 mm 페트리 접시에 놓아두었다. 그런 다음, 파라필름(Parafilm™)으로 뚜껑을 밀봉하기 전에 900 μl의 선충 현탁액을 여과지 위에 고르게 분포시켰다. 두 가지 대조 조건이 시험되었으며; 지. 멜로넬라는 어떤 습윤제에도 노출되지 않은 선충으로 시험감염되었고, 블랭크 대조군은 지. 멜로넬라 유충이 증류수로만 처리된 여과지에 노출되었다. 페트리 접시는 암실에서 25±1℃ 하에 저장되었다. 모든 곤충이 사멸될 때까지 사망률을 매일 기록하였다. 선충에 감염된 모든 사체는 축축한 여과지를 깐 페트리 접시에 옮기고 25±1℃에서 3일 동안 유지시킨 후, 선충의 존재를 검증하기 위해 사체를 해부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반복당 5마리의 유충으로 3회 반복되었고 2회 시행되었다.
상기 선충의 노출 후 병원성 (곤충 사망률)은 습윤제에 노출된 후 72시간 후에 9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또한, 습윤제를 사용하여 시험 배지 (모래 기둥)을 통한 상기 선충의 수직 분산을 또한 시험하였다. 30 mL 습윤제를 하이볼 유리 [윌킨슨 (Wilkinson; 영국)] 내의 350 g 모래에 부가하고, 하이볼 유리 깊이의 80% 초과의 수직 분산은 습윤제를 사용하여 달성되었다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SDA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수평 분산을 또한 평가하였다. 2개의 동심원은 사보라우 덱스트로스 한천 (SDA) 플레이트의 9 cm 직경 페트리 접시 상의 플레이트의 중심점으로부터 1.0 cm 및 3.5 cm에 그렸다. 상용성 검정과 동일한 농도에서 선충-습윤제 20 μl 분취액을 접시의 중심점에 부가하였다. 그런 다음 접시를 파라필름으로 밀봉하고 21±2℃ 하의 암실에서 2시간 동안 저장한 후, 각각의 구역: (i) 페트리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0 - 1.0 cm; (ii) 1.0 - 3.5 cm, 및 (iii) 3.5 - 4.5 cm로 이동한 선충을 계수하여 배치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움직임을 평가하였다. 블랭크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윤제를 사용하여 시험된 모든 선충 종에 대해 구역 II로의 관찰 가능한 분산 증가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습윤제는 상용성, 노출 후 병원성 및 분산 연구에 있어서 대체 제품 (알콜, C6-12, 에톡실화 5-10%, 프로판-1,2-디올, 프로폭실화 1-3%를 포함하는 제1 대체 제품; 및 알콜 에톡실레이트 19.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2 대체 제품; 독점 혼합물 + 알콜, C11-15-2차, 에톡실화 15-20% + 오렌지, 스위트, 엑스트라 프로필렌 글리콜 5-10%)을 능가하였다.
따라서, 습윤제의 선택은 해충 방제 제품/키트의 다른 측면 (예컨대 선충 병원성 및 분산) 및 이에 따른 살충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하기 예는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본 해충 방제 키트의 현장 연구를 설명한다.
<표 1>
상이한 아주반트 용액과 곤충병원성 선충의 상용성.
Figure pct00001
실시예 2 - 골프장에서 풍뎅이 땅벌레의 방제
현장 시험은 더 그로브 골프 클럽 (영국 왓퍼드), 및 애쉬리지 골프 클럽 (영국 버크햄스테드)에서 웨일스 풍뎅이, 호플리아 필란투스 (90%), 정원 풍뎅이, 필로페르타 호르티콜라 (3%), 여름 풍뎅이, 암피말론 솔스티티알리스 (1%), 5월 딱정벌레, 멜로론타(Melolontha) (4%) 및 방아벌레 아그리오테스(Agriotes) 종 (3%)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자연적으로 침습된 티, 그린 및 페어웨이에 대해 시행되었다. 토양은 모래 88.0%, 실트 5.6%, 점토 6.4%, 유기물 5.8%를 함유하는 사양토로 구성되었다. 토양 샘플을 갈레리아 멜로넬라 유충으로 미끼 처리한 결과 자연 선충은 검출되지 않았다.
처리 1주일 전에 삽 또는 골프 홀 커터 (직경 10 cm)로 16 x 16 x 10 내지 15 cm 토양 플러그 3개를 가져와 티, 그린 및 페어웨이에서 처리 전 유충 밀도를 결정하였다 (도 4 참조). 살아있는 유충을 계수하여 평방 미터당 유충의 수로서 표시하였다. 그런 다음 땅벌레를 토양 플러그에 다시 넣어 원래의 위치로 돌려보냈다.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해충 방제 키트-C에서 사용함)를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습윤제 조성물 (액체 예비 혼합 형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 10%,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토양 침투제)의 존재 및 부재 하에 2017년 내지 2018년 봄과 가을에 더 그로브 골프 클럽에서 10 ha의 티, 그린 및 페어웨이를 처리하기 위해 토양 주입기 장착 트랙터 (도 3 참조)를 사용한 다음, 붐 분무기를 사용하여 적용하였다 (7 cm 깊이에서의 토양 온도 14.5 - 18.0℃; 기온 14 - 20℃, 맑은 날). 이와 동시에 붐 분무기를 사용하여 참조 화학 제품인 클로르피리포스를 적용하였다.
처리물은 하기를 포함하였다:
1. 매주 2회 적용된 헥타르당 25억 마리의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단독;
2. 매주 2회 적용된, 헥타르당 25억 마리의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 5리터의 최종 혼합 습윤제 조성물 (물 500리터로 희석된 액체 형태; 1% v/v)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해충 방제 키트-C);
3. 1회만 적용된 클로르피리포스 (헥타르당 활성 성분 2리터); 및
4. 미처리 대조군.
처리 후 유충 밀도는 선충 또는 클로르피리포스 적용 후 2, 4, 6 또는 8주에 결정되었다.
결과
전체적으로 제1 측면에 따른 조합된 해충 방제 제품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 해충 방제 키트-C)은 단독으로 적용된 화학물질 또는 선충과 비교하여 처리 후 2, 4, 6 및 8주에 더 나은 방제를 제공하였다. 조합된 해충 방제 제품은 97% 방제를 제공하였다. 선충 단독은 70% 방제를 제공하였고, 화학물질은 62% 방제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자연 환경에서 땅벌레의 점진적인 방제를 확인하였다 (도 2 참조).
실시예 3 - 골프장에서 가죽자켓 유충의 방제
가죽자켓 (티풀라 종)은 두루미 파리의 유충기이며 방제하기가 매우 어려운 토양 거주 해충이 될 수 있다. 유충은 곡물 작물과 같은 광범위한 식물의 뿌리와 골프장, 운동장 및 잔디밭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풀을 먹는다. 성충은 8월 중순부터 토양이 있는 자신의 번데기로부터 부화된다. 암컷은 축축한 토양 표면 바로 아래에서 교미하여 알을 낳고 2주 후에 유충이 부화되기 시작한다. 유충은 밤에는 식물의 잎사귀를 먹고 낮에는 뿌리를 먹는다.
현장 시험은 마흐리하니시 골프 클럽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티풀라 종의 유충 (100%)을 함유하는 자연적으로 침습된 그린에서 시행되었다. 토양은 모래 85%, 실트 4.5%, 점토 5%, 유기물 5.5%를 함유하는 사양토로 구성되었다. 토양 샘플을 갈레리아 멜로넬라 유충으로 미끼 처리한 결과 자연 선충은 검출되지 않았다.
처리 1주일 전에, 골프 홀 커터 (직경 10 cm)로 그린당 6개의 토양 플러그를 가져와 티풀라 종의 처리 전 유충 밀도를 결정하였다. 살아있는 유충을 계수하여 평방 미터당 유충의 수로서 표시하였다. 그런 다음 유충을 토양 플러그에 다시 넣어 원래의 위치로 돌려보냈다.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및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해충 방제 키트-L)는 도 3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붐 분무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습윤제 (액체 형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 10%,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토양 침투제)의 존재 및 부재 하에 동일한 비율로 적용하였다 (액체 형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 10%,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토양 침투제). 지표면 아래 표적에 선충을 전달하기 위해, 선충 현탁액이 풀 또는 초가 층 아래에 도달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24시간 전에 토양 주입기 (도 4)에 의해 그린 안으로 작은 구멍 (0.5 - 1.0 cm 직경 x 5 - 7 cm 깊이)을 뚫는 것을 실시하였다.
2 헥타르의 그린은 2018년 4월과 2018년 9월 말에 처리되었다. 이와 동시에 붐 분무기를 사용하여 참조 화학 제품인 클로르피리포스를 적용하였다.
처리물은 하기를 포함하였다:
1. 매주 2회 적용된, 헥타르당 25억 마리 (각각의 종 25억 마리)의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봄) 또는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가을);
2.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또는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25억 마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해충 방제 키트-L);
3. 매주 2회 적용된, 헥타르당 (각각의 종 25억 마리) + 10 L의 최종 혼합 습윤제 조성물 (1% v/v로 희석된 액체 형태);
4. 1회만 적용된 클로르피리포스 (헥타르당 활성 성분 2리터); 및
5. 미처리 대조군.
처리 후 유충 밀도는 선충 또는 클로르피리포스 적용 후 4 또는 8주에 결정되었다.
결과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의 효능을 현장 조건에서 가죽자켓 유충 방제를 위해 선충 단독 및 화학물질 단독과 비교하였다. 해충 방제 키트의 성능은 가을에 더 좋았지만 (85%); 그 유효성은 봄 시즌 동안 보류 (20%)되었다.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와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의 조합 적용은 클로르피리포스,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또는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의 다른 처리물과 비교할 때 두 번째로 높은 효능 (75%)을 제공하였다 (도 6).
실시예 4 - 연한 과일 (현장에서 재배한 딸기)에서의 덩굴 바구미의 방제
시험은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영국 잉글랜드 헤리퍼드 킹스 케이플 페녹스스톤 코트에 있는 상업용 딸기 농장의 폴리터널에서 시행되었다 (도 7). 이러한 장소의 토양은 사양토였다. 그 장소는 전년도에 살충제로 처리되지 않았다. "갤러리아 미끼 방법"를 사용하여 결정된 바와 같이 시험 장소에서 자연적인 선충 집단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방법은 존재하는 경우 선충에 쉽게 굴복하는 토양에서 갤러리아 멜로넬라의 유충을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방법은 선충의 자연 집단과 도입 집단을 연구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작물 품종(들): 센테너리 (플러그) 및 심포니 (맨뿌리)
토양 유형: 사양토
시험 블록 크기: 플롯 사이에 0.3 m 버퍼가 있는 1.5 x 0.9 m
반복실험: 4 x 15개 식물/처리.
플롯은 0.3 m 버퍼가 있는 1.5 m x 0.9 m로 측정되었으며 처리당 4회 반복되는 완전한 무작위 블록 디자인으로 배열되었다 (EPPO 표준 PP1/181). 딸기 식물은 2016년 7월 7일에 심었고 덩굴 바구미 알은 2016년 7월 14일과 8월 22일에 접종되었다. 처리 당일, 날씨는 부분적으로 흐렸고 공기 및 토양 (깊이 7cm) 온도는 각각 25℃ 및 20℃였다. 각각의 처리는 반복실험당 15개의 식물로 4회 반복되었다. 하기 처리물이 적용되었다:
1. 계획수립 전에 헥타르당 120 kg으로 적용된 Met52® G 생물 살충제;
2. 식물당 30,000마리로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크라우스세이;
3. 식물당 30,000마리로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4. 헥타르당 2.0리터로 적용된 클로르피리포스;
5. 습윤제 조성물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 10%,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토양 침투제의 액체 형태 - 1% v/v로 희석됨)과 조합하여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크라우스세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6. 상기 습윤제 조성물 (1% v/v로 희석된 액체 형태)과 조합하여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해충 방제 키트-H); 및
7. 미처리 대조군.
시험 시스템
2016년 7월 14일에 1차 알 접종을 하였으며, 식물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10개의 알을 접종하였다 (식물당 총 20개의 알). 8월 22일에 식물당 10개의 알을 2차 접종하였다. 이것은 접종 당시 토양이 촉촉한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 아래부분 주변의 표면 껍질을 부수고 식물의 각각의 측면에 2개의 구멍 (토양 내 깊이 2 내지 3 cm)을 만들었다. 접종 직후, 구멍을 토양으로 느슨하게 막고 각각의 식물에 대략 100 mL의 관개 용수를 공급하여 알이 건조되지 않도록 보호하였다.
처리물의 적용
Met 52® G
과립 제형화 제품인 Met52® G를 먼저, 1.0 리터의 토양에서 혼합한 다음, 쌀알로부터 포자를 제거하기 위해 5분 동안 격렬하게 흔든다. 그런 다음 이러한 혼합물을 토양 표면에 뿌린 다음 토양의 상단 5 cm에 혼합하였다. 비율은 덩굴 바구미 방제를 위한 제조업체의 권장 비율에 따랐으며, 그 범위는 제품 30 내지 122 kg/ha = 4.5 x 1013 내지 1.35 x 1014 CFU/ha이다 (영국 승인 비율은 작물 최대 61 kg/ha이며, 처리 경로 및 비작물 면적은 제외된다). 사전 혼합 후, 딸기를 심고 각각의 식물에 200 mL의 관개 용수를 제공하였다.
선충 제품의 적용
선충은 일정한 주입 비율과 균일하고 비례적인 주입을 제공하는 도사트론(Dosatron®)을 사용하여 적용되어 단순하거나 또는 자동화된 시스템에 유연성을 부가하여, 선충이 식물 뿌리 근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파괴적 평가
2016년 10월 12일 내지 16일에 식물을 파괴적으로 평가하고 살아있는 유충의 수를 계산하였다. 대부분의 유충은 식물의 뿌리 근처에서 발견되었지만 토양 내의 식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발견되었다. 이어서, 처리된 플롯에 대해 회수된 유충을 실험실로 옮기고 페트리 접시 (직경 9 cm)에 있는 축축한 여과지에 놓고 25℃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3 내지 5일 동안 100% r.h.). 사체의 진균 포자 형성을 조사하거나 선충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현미경으로 해부함으로써 사인을 확인하였다.
환경적 요인
시험 동안, 모든 식물은 모세관을 통해 정기적으로 관개를 받았다. 식물은 그 위치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된 식물과 동일한 생물적 요인 (해충 압력, 식물 질병 등) 및 비생물적 요인 (조도, 온도, 수분 가용성 등)에 노출되었다. 시험은 2016년 6월과 10월 사이에 시행되었다. 시험 기간 동안 티니태그(Tinytag®) 데이터 로거를 사용하여 토양과 공기 온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 키트는 다른 처리물 (60-82%)와 비교하여 습윤제 조성물을 적용했을 때 가장 높은 사망률 (98%)을 야기하였다. 스테이네르네마 크라우스세이는 또한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하여 적용될 때 우수한 방제를 제공하였다 (85.5%). 다른 모든 처리물은 유사하였고 덩굴 바구미 유충을 60 내지 68% 억제하였다 (도 8 참조).
실시예 5 - 딸기 작물에서 꽃노랑 총채벌레의 방제
꽃노랑 총채벌레인 프랭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는 세계적인 규모의 주요 해충이다. 그들은 섭식 습관과 토마토 식물에서 발견된 반점 시들음병 바이러스를 포함한 유해한 식물 바이러스의 전파를 통해 경제적으로 중요한 광범위한 작물에 피해를 준다. 유충과 성충은 고추, 오이, 상추, 감자, 토마토, 딸기, 일부 석류 열매 및 다양한 관상용 식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개화 식물을 먹는다. 이로 인해 소비자가 용납할 수 없는 기형 과일 (종종 벌레먹은 과일로서 지칭됨)이 생성된다. 이러한 해충은 기존의 많은 살충제와 잎-억제기를 표적으로 하는 대부분의 생물학적 방제제에 내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해충 방제 키트-F)는 곤충의 토양 거주기 (번데기 이전 및 번데기)를 표적으로 하도록 적용되었고, 후속적으로 집단 성장을 방지시켰다.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 키트는 번데기 이전 및 번데기에 대항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유충 (L2)에 대항해서는 덜 효과적이다. 2015-16년 여름 영국 잉글랜드 헤리퍼드 킹스 케이플 페녹스스톤 코트에 있는 상업용 딸기 농장에서 현장 시험을 시행하였다. 상이한 실험을 표준화하기 위해, 살충제의 효능 평가를 위한 EPPO 지침, PP 1/85(3) "야외 작물에 대한 총채벌레"를 최대한 따랐다. 처리당 4회 반복하여 적어도 20 평방 미터의 플롯 크기가 관찰되었다. 도사트론®으로 점적 관개를 사용하여 하기 처리물을 적용하였다:
1. 미처리 대조군;
2. 공지된 화학 살충제: 잎에 적용된 트레이서® 150 mL/ha;
3. 잎에 적용된 유익한 포식성 응애 및 벌레;
4. 단독으로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및
5. 1 L/100 L 물에서 1% v/v로 희석된 습윤제 조성물 (액체 사전 혼합된 형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 10%,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토양 침투제)과 함께 권장 용량 (헥타르당 62만 5천 마리)의 1/4로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해충 방제 키트-F).
모든 처리물은 1000 L 물/ha로 적용되었다. 6월 초 (제24주)부터 시작하여, 식물을 매주 간격으로 최대 6회 처리하였다. 꽃노랑 총채벌레 집단은 황색 끈끈이 트랩을 배치하여 모니터링하였으며, 황색 끈끈이 트랩에 부착된 살아있는 총채벌레 성충의 수는 휴대용 확대경을 사용하여 매주 간격으로 계수하였다.
결과
습윤제 조성물과 조합하거나 조합하지 않는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처리는 다른 유익한 또는 살충제와 비교하여 각각의 꽃에서 총채벌레 집단을 2마리 미만 개체로 유지하였다. 가장 많은 수의 총채벌레 집단이 대조군에서 관찰되었으며 28 내지 35주의 관찰 기간 동안 꽃당 6 내지 12마리의 개체가 발견되었다 (도 9).
실시예 6 - 버섯에서 검정날개 파리 유충의 방제
재배 배지와 그 주변에서 발견되는, 검정날개 파리로서 공지되기도 한 버섯 파리는 온실 및 폴리터널 관상용 작물에 대한 주요 해충이다. 검정날개 파리 유충은 묘목, 삽목 및 어린 식물의 뿌리와 줄기 조직을 직접적으로 섭식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광범위한 화분에 심은 식물에 피해를 입히는 데에 책임이 있다. 그들은 또한 검정날개 파리 유충으로 인해 야기된 상처를 통한 곰팡이 질병의 전염을 통해 간접적으로 피해를 준다. 검정날개 파리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공지된 화분 식물은 포인세티아(Poinsettia), 아잘레아(Azalea), 시클라멘(Cyclamen), 칼란코에(Kalanchoe), 엑사쿰(Exacum), 제르베라(Gerbera), 베고니아(Begonia) 등을 포함한다. 모든 종류의 어린 식물과 어린 뿌리 삽목 (야채, 관상용 식물 및 어린 묘목)은 검정날개 파리 유충에 매우 취약한다. 가장 중요한 사용 영역 중 하나는 화분에 심은 허브 (예를 들어 바질)이다. 화분용 토양에서 퇴비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검정날개 파리는 주요 문제가 되고 있다. 버섯 생산에서 검정날개 파리 유충의 방제를 위한 하기 처리물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 시험을 시행하였다:
1. 미처리 대조군;
2. 권장 용도에 따라 적용된 화학 살충제 카르보푸란;
3. 권장 용도에 따라 적용된 화학 살충제 테플루벤주론;
4. 단독으로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 및
5. 1 L/100 L 물에서 1% v/v로 희석된 습윤제 조성물 (액체 형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 10%,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토양 침투제)과 함께 헥타르당 25억 마리로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 (해충 방제 키트-F).
최대 4주 동안 버섯을 수확하고 죽은 유충과 살아있는 유충의 수를 계산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물은 52 내지 89% 검정날개 파리 유충 방제를 초래하였다. 상당한 효능은 적용 후 3주 후에 해충 방제 키트에 의해 달성되었다 (89%). 적용 첫 주에 유충의 방제는 테플루벤주론 (71%)에서 가장 높았고, 제3주에 해충 방제 키트 (68%)가 그 뒤를 이었다 (도 10).
실시예 7 - 삼림에서 소나무 바구미의 방제
큰 소나무 바구미인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는 유럽과 영국 전역에서 관리되는 삼림에서 재조림에 가장 중요한 해충 중 하나이다.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로 인한 피해 비용은 EU (살충제 미사용)에서 1억 5천만 유로로 추산되고, 영국에서만 연간 257만 유로로 추산된다.
2016년 내지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웨일즈 중부 티위 노스 포레스트에서 시트카 가문비나무, 피세아 시트켄시스(Picea sitchensis) 그루터기에서 소나무 바구미의 종령(late instar) 유충과 번데기에 대항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해충 방제 키트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한 현장 시험이 시행되었다. 플롯은 그루터기로 구성되었으며 교차 오염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그루터기가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된 완전한 무작위 블록 디자인으로 배열되었다 (EPPO 표준 PP1/181). 처리물은 하기 열거된 바와 같이 적용되었다. 각각의 처리는 반복실험당 5개의 그루터기로 5회 반복되었다. 처리물이 적용된 날의 날씨는 부분적으로 흐렸고 제1 및 제2 처리물 세트에 대한 평균 그루터기 온도는 각각 13.0℃ 및 13.3℃였다. 큰 소나무 바구미 유충에 자연적으로 감염된 시트카 가문비나무 그루터기를 선택하였다. 2016년 4월 6일, 시험이 시작되기 전에 각각의 플롯으로부터의 2개의 그루터기를 파괴적으로 평가하여 자연적인 소나무 바구미 침습을 결정하였다. 그루터기당 대략 10마리의 소나무 바구미 유충이 회수되었으며 선충으로부터의 자연 감염은 기록되지 않았다.
하기 처리물은 습윤제 (액체 형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 10%,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토양 침투제)와 조합하거나 조합하지 않으면서 적용되었다. 습윤제가 제공된 처리물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를 구성하였다. 각각의 그루터기는 습윤제 조성물 및 350만 마리의 선충을 함유하는 500 mL의 물을 드렌치 적용하여 처리하였다.
1. 미처리 대조군;
2. 그루터기당 350만 마리로 드렌치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3. 그루터기당 350만 마리로 드렌치 적용된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
4. 그루터기당 350만 마리로 드렌치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및
5. 그루터기당 350만 마리로 드렌치 적용된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 1 L/100 L 물에서 1% v/v로 희석된 습윤제 조성물 (액체 형태) (해충 방제 키트-T).
파괴적 평가
처리된 그루터기는 선충의 적용 후 4주에 파괴적으로 평가되었다. 파괴적 평가는 그루터기의 모든 껍질을 최대 30 cm 아래까지 조심스럽게 제거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여기에는 필요한 경우 토양 표면 아래가 포함되었다. 각각의 그루터기에 대해, 목피 및 목피/목재 경계면에서 발견된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의 총 수가 기록되었다. 생애 주기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 유기체가 죽었는지 또는 살았는지 여부; 선충으로 인한 사망 원인 또는 그루터기에 관한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가 또한 기록되었다. 각각의 그루터기가 평가되는 동안, 그루터기의 직경 (20 - 55 cm 범위)이 또한 기록되었다. 살아있는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수집하여 미처리된 토양과 함께 플라스틱 상자에 보관하고 실험실로 가져갔다. 이들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여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임의의 표면 미생물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유충을 접시당 5마리의 유충이 있는 축축한 여과지에 놓고 실온에 방치시켰다. 24시간 간격으로 사망률뿐만 아니라 사망 원인 및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를 기록하였다. 1주 후,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지 않는 죽은 곤충을 현미경으로 해부하여 선충의 존재를 검사하였다. 가능한 한 다른 정보, 예컨대 살아 있는 경우 선충의 수량; 지질 함량 및 다른 선충으로부터의 임의의 공동-감염이 기록되었다.
시험은 2016년 내지 2017년 6월과 8월 사이에 시행되었다. 처리된 그루터기는 임의의 간섭 없이 자연 환경에 노출되었다. 티니태그® 데이터 로거를 사용하여 시험 기간 동안 그루터기 온도를 기록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일일 평균 최대, 최소 및 평균 그루터기 온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소나무 바구미의 방제는 상이한 처리물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01). 해충 방제 키트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를 포함함, 사망률 95%) 및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 처리물 (사망률 96.5%)은 처리 4주 후에 소나무 바구미 유충을 가장 잘 방제하였다.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 처리물은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 처리물보다 약간 더 우수하였다 (도 11).
풍뎅이 땅벌레, 가죽자켓, 큰 소나무 바구미, 검은 덩굴 바구미, 꽃노랑 총채벌레 및 검정날개 파리에 대항한 모든 사례 연구는 해충 방제 키트를 적용했을 때 대체 처리물보다 최대 20 내지 30% 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충 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방법 (20)이 제2 및 제3 측면에 따라 제시되며, 이러한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도 1에 따른 해충 방제 키트를 제공하는 단계 (22);
b)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소정의 용적의 물과 혼합하여 소정의 용적의 활성화된 생물농약을 생성하는 단계 (24);
c) 소정의 용적의 활성화된 생물농약을 소정의 면적의 지면에 적용하는 단계 (26).
전술한 실시양태는 단지 예로서 주어지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표 2>
각각의 경우에 제1 측면에 따른 습윤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측면에 따른 예시적인 해충 방제 키트 제품의 활성 성분.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탱크 혼합 준비
● 선충을 5 내지 10℃의 냉장 저장으로부터 꺼내어 순응을 위해 실온에서 30분 동안 유지시킨다.
● 균질한 현탁액을 만들기 위해 양동이에 있는 10 L 물에 해충 방제 키트 제형화된 팩을 혼합한다.
● 선충이 포장재에 달라붙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팩을 세정한다. 모든 덩어리가 용해될 때까지 스톡 용액을 교반한다.
● 필요한 양의 물의 3/4을 1 L/100 L 물로 필요한 양의 습윤제 조성물과 함께 탱크에 부가한다.
● 교반기를 작동시키면서, 체를 통해 필요한 양의 해충 방제 키트를 부가한다.
● 남은 물을 부가하고 모든 혼합물이 적용될 때까지 선충의 침전을 피하기 위해 교반을 유지하면서 선충의 적용을 시작한다.
● 적용 후 평방 미터당 1 - 2 L의 물로 관개하여 풀 또는 토양으로부터 선충을 세척 제거한다.
● 일단 해충 방제 키트가 물 및 습윤제 조성물과 혼합되면 단일 적용으로 전체 분무 용액을 사용한다. 탱크에서 4시간 초과 동안 저장하지 않는다.
적용 시 주의사항
● 동결시키지 않는다. 최대의 효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5 내지 10℃에서 저장한다.
●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분무 장비의 노즐로부터 모든 필터를 제거한다.
● 적어도 0.8 mm 직경의 노즐을 사용한다.
● 펌프 압력 5 bar를 초과하지 않는다.
● 조도가 낮은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에 적용한다. 선충은 자외선과 건조에 취약하므로 밝은 햇빛 아래에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 적용 시 토양 표면을 촉촉하게 하고 가능하면 적용 전에 관개하는 것이 부가의 이점일 것이다.
● 선충은 적용 후 적어도 2주 동안은 토양 온도가 8 내지 30℃ 범위일 때 1일에 적어도 3 내지 6시간 동안 한 번에 적용한다.
● 해충 방제 키트를 사용하기 전에 깨끗한 물로 탱크와 장비를 청소한다.
원예 작물에 해충 방제 키트 범위의 적용
<표 3>
적용 비율
Figure pct00005
관개 장비
● 미세 관개 (개별 스파게티 튜브), 점적 관개 또는 휴대용 또는 전동 보정 관개 장비를 통해 해충 방제 키트를 적용한다.
● 선충을 적용하기 전에 토양 또는 재배 배지 표면을 적시기 위해 관개한다.
● 해충 방제 키트를 물에 용해시키고, 이를 깨끗한 피더 탱크에 부가한다.
● 선충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용액을 진탕시킨다.
● 피더 탱크를 깨끗한 물로 세정하고, 적용 후 시스템에 주입한다.
식물 침지 방법
● 800리터의 물에 5억 마리의 감염성 선충 1팩 (주먹 크기의 뿌리 덩어리로 대략 4,000개의 식물을 처리할 수 있는 양)을 부가하고, 이 용액을 완전히 혼합한다.
● 압축 공기를 도입하여 해충 방제 키트 용액을 진탕 상태로 유지한다.
용기에 드렌치 적용
● 5억 마리의 감염성 선충 1팩을 물 1,000리터에 부가하고 화분용 배지의 표면에 고르게 적용한다.
● 드렌치 혼합 차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더 작거나 더 큰 화분에 따라 용적을 조정한다.
딸기 식물의 침지
● 습윤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 80리터에 5억 마리의 감염성 선충 1팩 (대략 40,000개의 식물을 처리할 수 있는 양)을 부가하고 용액을 완전히 혼합한다.
● 하나의 딸기 식물에는 대략 2 mL의 선충 용액이 필요하다.
드렌치 적용
● 각각의 식물의 아래부분 주변에 200 mL를 드렌치하거나 뿌리 부분에 직접 주입한다.
● 습윤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 4,000리터에 희석된 5억 마리의 감염성 선충 1팩으로 20,000개의 식물을 처리할 수 있다.
통계 분석
생존 유충의 수는 하기 방정식을 사용하여 효능 백분율로 변환되었고 분산 분석 (ANOVA)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아크사인 제곱근 변환이 백분율 데이터의 정규성을 개선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환되지 않은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터키의 평균 분리 시험을 사용하여 처리물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P < 0.05). 통계 분석은 SPSS 통계 소프트웨어 패키지 v22 (IBM, 2013.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2.0. Armonk, NY: IBM Corp.)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 효능 = (대조군 중 살아있는 유충의 수 - 처리물 중 살아있는 유충의 수)/(대조군 중 살아있는 유충의 수) x 100

Claims (23)

  1. a) 미리 결정된 양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b)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습윤제 조성물
    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a) 곤충병원성 선충의 적어도 90%가 해충 방제 키트의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동안 생존하고/하거나;
    b) 해충 사망률이 해충 방제 키트의 투여 후 적어도 24시간, 바람직하게 적어도 48시간, 훨씬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72시간 동안 적어도 90%이고/이거나;
    c)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산이 습윤제 조성물의 부재 하의 대조군 곤충병원성 선충과 비교하여 증가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습윤제가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가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콜 에테르가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인 해충 방제 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가 혼합되지 않은 습윤제 조성물의 1% 내지 25%로부터 선택된 용매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지 않은 습윤제 조성물의 0.5% 내지 10% v/v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윤제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역 블록 공중합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습윤제가 알킬렌 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윤제 조성물이 폴리히드록시에틸 알콕시 알킬렌 옥시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습윤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윤제가 하나 이상의 토양 침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윤제 조성물이 액체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액체 습윤제 조성물이 물과 혼합되어 1% v/v 내지 2.86% v/v로부터 선택된 혼합 농도를 갖는 작업 습윤제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작업 습윤제가, 최종 습윤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작업 습윤제:물의 혼합 비율로 물과 혼합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혼합 비율은 1:35 내지 1:90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훈련 패키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훈련 패키지는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이 50만 내지 50억 마리의 곤충병원성 선충을 포함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이, 처리될 토지 헥타르당 25억 내지 50억 마리의 곤충병원성 선충을 포함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곤충병원성 선충이 하기 군: 헤테로랍디티스 박테리오포라(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헤테로랍디티스 다운네시(Heterorhabditis downesi), 스테이네르네마 펠티아에(Steinernema feltiae), 스테이네르네마 카르포캅사에((Steinernema carpocapsae) 및/또는 스테이네르네마 크라우스세이(Steinernema kraussei)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충 곤충이 하기 군: 티풀라 종(Tipula spp.), 티풀라 올레라세아(Tipula oleracea), 그릴로탈파 그릴로탈파(Gryllotalpa Gryllotalpa), 아그로티스 종(Agrotis spp.), 오티오린쿠스 술카투스(Otiorhynchus sulcatus), 오티오린쿠스 종(Otiorhynchus spp.), 호플리아 필란투스(Hoplia philanthus), 필로페르타 호르티콜라(Phyllopertha horticola), 암피말론 솔스티티알리스(Amphimallon solstitialis), 멜로론타 멜로론타((Melolontha melolontha)), 세리카 브룬네아(Serica brunnea), 시디아 포모넬라(Cydia pomonella), 시디아 몰레스타(Cydia molesta), 시디아 스플렌다나(Cydia splendana), 에피드리다에(Ephydridae), 스포도프테라 종(Spodoptera spp.), 크리소데익시스 칼시테스(Chrysodeixis chalcites), 마메스트라 브라시카에(Mamestra brassicae), 듀폰첼리아 포베알리스(Duponchelia fovealis),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Hylobius abietis), 프랭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Frankliniella occidentalis), 크로마토미이아 신제네시아에(Chromatomyia syngenesiae), 피토미자 비탈바에(Phytomyza vitalbae), 아노플로포라 키넨시스(Anoplophora chinensis), 입스 티포그라푸스(Ips typographus), 시난테돈 미오파에포르미스(Synanthedon myopaeformis), 오포고나 사카리(Opogona sacchari), 디아프레페스 압브레비아테스(Diaprepes abbreviates), 그라폴리타 몰레스타(Grapholita molesta), 그라폴리타 푸네브라나(Grapholita funebrana), 크리소테우키아 토피아리아(Chrysoteuchia topiaria), 랍도프테루스 피시페스(Rhabdopterus picipes), 캅노디스 테네브리오니스(Capnodis tenebrionis), 쿠르쿨리오 누쿰(Curculio nucum), 제우제라 피리나(Zeuzera pyrina), 타우메토포에아 프로세시오네아(Thaumetopoea processionea), 파이산디시아 아르콘(Paysandisia archon), 시난테돈 엑시티오사(Synanthedon exitiosa), 린코포루스 페루기네우스(Rhynchophorus ferrugineus), 디아브로티카 비르기페라(Diabrotica virgifera), 비비오니다에(Bibionidae), 및/또는 포르셀리오 스카베르(Porcellio scaber)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해충 방제 키트.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곤충병원성 선충이 8℃ 초과의 온도에서 활성인 해충 방제 키트.
  21. a)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해충 방제 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소정의 용적의 물과 혼합하여 소정의 용적의 활성화된 살충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소정의 용적의 활성화된 살충제를 소정의 면적의 지면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충 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방법.
  22. a)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을 제공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습윤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훈련 패키지를 제공하는 단계이며, 훈련 패키지는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자를 훈련시키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유충 또는 번데기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방법.
  23. a)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b) 습윤제 조성물; 및
    c) 방법의 교시를 포함하는 훈련 패키지이며, 방법은 소정량의 곤충병원성 선충 및 습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충 곤충의 집단을 방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훈련 패키지
    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 키트.
KR1020217034530A 2019-03-25 2020-03-24 해충 방제 키트 및 방법 KR20220004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4086.4 2019-03-25
GB1904086.4A GB2581540B (en) 2019-03-25 2019-03-25 Pest control kit and method
PCT/GB2020/050785 WO2020193969A1 (en) 2019-03-25 2020-03-24 Pest control kit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037A true KR20220004037A (ko) 2022-01-11

Family

ID=6638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530A KR20220004037A (ko) 2019-03-25 2020-03-24 해충 방제 키트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159966A1 (ko)
EP (1) EP3945828A1 (ko)
JP (1) JP2022530196A (ko)
KR (1) KR20220004037A (ko)
CN (1) CN114144063B (ko)
AU (1) AU2020249780A1 (ko)
CA (1) CA3135112A1 (ko)
GB (1) GB2581540B (ko)
WO (1) WO20201939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883A (en) * 1985-10-23 1986-10-07 Plant Genetics, Inc. Hydrogel encapsulated nematodes
JP2001328916A (ja) * 2000-05-17 2001-11-27 Sds Biotech:Kk 線虫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GB0720543D0 (en) * 2007-10-19 2007-11-28 Arab Orangisation For Agricult Composition for and method of pest control
US20110197289A1 (en) * 2010-02-08 2011-08-11 Shahina Fayyaz Storage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WO2016001125A1 (en) * 2014-07-01 2016-01-07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and methods to protect the propagation material of plants
CN105123766B (zh) * 2015-10-10 2018-05-04 中国热带农业科学院环境与植物保护研究所 昆虫病原线虫HbSD、其杀虫剂及制备方法和应用
CN106561718A (zh) * 2016-09-20 2017-04-19 山东省果树研究所 一种设施蔬菜大棚内绿色有机防治菜青虫的方法
WO2018101223A1 (ja) * 2016-11-30 2018-06-07 日本曹達株式会社 植物病害の防除能を有する微生物
GB2577250A (en) * 2018-09-14 2020-03-25 Bionema Ltd Insect-pathogenic fungus, spores, composition and use of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0196A (ja) 2022-06-28
GB201904086D0 (en) 2019-05-08
GB2581540A (en) 2020-08-26
US20220159966A1 (en) 2022-05-26
GB2581540B (en) 2021-05-26
AU2020249780A1 (en) 2021-11-18
CA3135112A1 (en) 2020-10-01
CN114144063A (zh) 2022-03-04
EP3945828A1 (en) 2022-02-09
CN114144063B (zh) 2024-03-19
WO2020193969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Shafie Insect pest management in organic farming system
Bryson et al. Biology of pathways for invasive weeds1
Drees et al. Developmen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for the red imported fire ant (Hymenoptera: Formicidae)
Kimani et al. Introduction to coffee management through discovery learning
Jensen Nematodes affecting Oregon agriculture
Soubeih et al. Effect of kaolin and diatoms on growth, productivity and pests of potato under north sinai conditions
Uneke Integrated pest manage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a systemic overview
CN114144063B (zh) 害虫防治套盒和方法
Mccoy et al.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entomopathogens for citrus pest control
Ghosh et al. R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infestation on brinjal/eggplant (Solanum melongena 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i-Tech Crop Production and Pest Management
CN118104686A (zh) 害虫防治套盒和方法
Khan Insect Pests Management in The Agriculture Plants and Crops
Mawcha et al. From Beneficial Arthropods to Soil-Dwelling Organisms: A Review on Millipedes
Awasthi Insect Pests of Citrus Fruits and their Management Practices in Sahajpur, Kailali, Nepal
Hong et al. 2021 Home Grounds and Animals PMG-Home Ornamentals
Tarasco et al. Statu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ies in Italy.
Matthews The Association of Applied Biology Held a Meeting to Discuss
Quarles Neonic seeds are not needed
Pandey et al. Plant protection measures to promote organic farming in Nepal: prospects and challenges.
Khan et al. Using surfactants to increase the efficacy of commonly used insecticides in controlling melon thrips on tomatoes.
DIGONTY SEASONAL ABUNDANCE, INFESTATION INTENSITY OF PAPAYA MEALYBUG IN DHAKA AND ITS CHEMICAL CONTROL
Howard Principles of insect pest control on palms.
Singh et al. Status, constraints and strategies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vegetable crops
Coombes Field evaluation of the use of select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s as microbial control agents of the soil-dwelling life stages of a key South African citrus pest, Thaumatotibia leucotreta (Meyrick)(Lepidoptera: Tortricidae)
Kowalska Statu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ies in Po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