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934A - 착탈이 가능한 신발용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신발용 악세사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3934A KR20220003934A KR1020200081806A KR20200081806A KR20220003934A KR 20220003934 A KR20220003934 A KR 20220003934A KR 1020200081806 A KR1020200081806 A KR 1020200081806A KR 20200081806 A KR20200081806 A KR 20200081806A KR 20220003934 A KR20220003934 A KR 202200039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lace
- shoe
- accessory
- detachabl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2—Button fastenings
- A43C11/04—Studs; Fasten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및 상기 신발끈에 끼워지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신발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장식부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끈에 착탈이 가능한 악세서리를 끼움결합시켜 신발의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독톡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들이 걷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발을 보호하는 기능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이 있는 도구이다.
신발들 중에서 운동화의 경우, 끈이나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여 보행 중에 발이 신발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근래 들어 신발은 발의 보호 및 기능 향상의 면을 넘어 사용자의 요구 및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여러 가지의 신발이 출시되고 있다.
이를테면, 활동 시 보행용으로 많이 착용하는 단화, 각종 운동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운동화,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한 패션화 등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신발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새로운 신발을 구매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경제적인 부담이될 뿐만 아니라 착용하지 않는 동안 대개 신발장에서 오랫동안 보관 및 방치됨으로 낡아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또는 흙길이 있는 공원과 비포장도로 등을 보행하면 더러워져 세탁으로 인해 신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사용자들은 신발의 디자인에 많은 부분 신경을 씀으로 신발의 디자인이 식상하게 되면 신발을 방치하거나 버리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38674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은 다양한 무늬 모양 및 색체를 가진 형태로 제작되는 장신부와, 장신부 저면에서 핀의 형태로 절곡하되, 끝단은 상부로 상승하는 상승단을 형성하고, 타단은 라운드지게 절곡한 후크부를 형성하여 상승시키며, 상승된 부위에 체결부를 구성한 단면 형상이 판형, 원형 및 다각 형상으로 제작된 삽입핀부 및 장신부의 하단에 삽입핀부의 체결부가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한 상태로 운동화의 끈 삽입공에 끼워지는 장신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보행시 외부의 물체들과 부딪히거나 빠르게 보행할 경우에 장신구가 운동화의 끈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신구가 운동화의 끈 삽입공에만 끼워져 이를 제외한 운동화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묻을 경우에 그대로 노출되어 신발에 대해 지저분한 이미지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의 끈에 착탈이 가능한 악세서리를 끼움결합시켜 신발의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독톡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및
상기 신발끈에 끼워지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신발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장식부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상기 신발끈에 상기 장식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착탈부 및
상기 신발끈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상기 착탈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신발용 악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전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스토퍼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일측 및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는 신발끈에 장식부를 착탈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악세서리를 신발에 부착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된 착탈부와 신발끈에 결합된 체결부가 서로 착탈이 용이하여 신발에 간편하게 악세서리를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홀더부를 통해 착탈부와 체결부가 결합되는 경우, 스포츠와 같은 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장식부가 신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홀더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착탈부 및 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홀더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착탈부 및 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난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장식부(100) 및 착탈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S)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100) 및 신발끈(S)에 끼워지도록 장식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착탈부(200)를 포함하고, 착탈부(200)는 신발끈(S)에 끼워짐으로써, 장식부(100)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된다.
장식부(100)는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어 신발을 보다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장식부(100)는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착탈부(200)는 장식부(10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착탈부(200)는 신발끈(S)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신발끈(S)과 착탈부(200)사이가 밀착되도록, 착탈부(200)의 내부에 패드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착탈부(200)에 의해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는 신발끈(S)과 결합됨으로써, 장식부(100)가 신발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신발에 다양한 악세서리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독특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착탈부 및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5에서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홀더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착탈부 및 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장식부(100'), 착탈부(2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신발끈(S)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100'), 신발끈에 장식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기부(210)로 이루어진 착탈부(200) 및 신발끈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착탈부와 결합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식부(100')는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며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어 신발을 보다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악세서리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착탈부(200')는 신발끈(S)에 장식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장식부(100')의 후면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착탈부(200')는 레이트(210) 및 돌기부(220)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210)는 장식부(100')의 후면에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210)는 비록 여기 도면에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원형, 마름모형의 다양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10)는 플레이트(210)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된다. 이러한 돌기부(21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33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210)는 기이드부(330)에 결합 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장식부(100')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300)는 신발끈(S)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착탈부(20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체결부(300)는 바디부(310), 결합구(320), 가이드부(330) 및 홀더부(340)를 포함한다.
바디부(310)는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구(320)는 바디부(3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발끈(S)이 삽입되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구(320)는 바디부(31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돌출됨에 따라, 신발끈(S)이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결합구(320)의 내부에 얇은 판부재가 삽입되어, 신발의 신발끈 양측단에서 휘어지는 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강재는 장식부(100')가 신발끈(S)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격한 운동에도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330)는 바디부(310)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토퍼(331)가 형성되어 돌기부(220)가 홈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게 해준다. 즉, 가이드부(330)는 반디부(31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서로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한 쌍의 배치된다. 그리고 돌기부(2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가이드부(300)에 돌기부(22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플레이트(210)가 스토퍼(331)에 안착됨으로써, 장식부(100')의 후면에 형성된 착탈부(200')가 체결부(30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부(340)는 가이드부(33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돌기부(22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부(340)는 메인바디부(341), 그립부(342), 후크부(343) 및 회전부(344)를 포함하고, 그립부(342)의 일측 및 가이드부(330)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메인바디부(341)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메인바디부(341)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342)가 형성된다.
후크부(343)는 메인바디부(341)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후크부(34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메인바디부(341)의 상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회전부(344)는 그립부(342)의 일측 및 가이드부(330)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메인바디부(341)를 회전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344)는 메인바디부(341)를 회전시킴에 따라, 메인바디부(341)의 상단부에 형성된 후크부(343)가 메인바디부(341)를 따라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부(344)에 위해 회전한 이후, 장식부(100')를 체결부(300)에 결합시키기 위해 돌출부(220)를 가이드부(33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파지하고 있던 그립부(342)를 해제하면, 메인바디부(341)는 축을 중심으로 원래 위치로 회전한다. 이때, 후크부(343)는 돌기부(220)를 폐쇄하여 착탈부(200')가 체결부(300)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10' : 신발용 악세서리
100, 100' : 장식부
200, 200' : 착탈부
210 : 플레이트
220 : 돌기부
300 : 체결부
310 : 바디부
320 : 결합구
330 : 가이드부
331 : 스토퍼
340 : 홀더부
341 : 메인바디부
342 : 그립부
343 : 후크부
344 : 회전부
100, 100' : 장식부
200, 200' : 착탈부
210 : 플레이트
220 : 돌기부
300 : 체결부
310 : 바디부
320 : 결합구
330 : 가이드부
331 : 스토퍼
340 : 홀더부
341 : 메인바디부
342 : 그립부
343 : 후크부
344 : 회전부
Claims (2)
-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상기 신발끈에 상기 장식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착탈부; 및
상기 신발끈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상기 착탈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스토퍼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일측 및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신발용 악세서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806A KR20220003934A (ko) | 2020-07-02 | 2020-07-02 | 착탈이 가능한 신발용 악세사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806A KR20220003934A (ko) | 2020-07-02 | 2020-07-02 | 착탈이 가능한 신발용 악세사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3934A true KR20220003934A (ko) | 2022-01-11 |
Family
ID=7935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1806A KR20220003934A (ko) | 2020-07-02 | 2020-07-02 | 착탈이 가능한 신발용 악세사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3934A (ko) |
-
2020
- 2020-07-02 KR KR1020200081806A patent/KR2022000393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1058670A (ja) | 適応可能な靴 | |
CN106488715B (zh) | 一种模块化鞋子 | |
US7591084B2 (en) | Interchangeable footwear comprising multiple shoe inserts | |
US8250780B1 (en) | Sandal system with interchangeable straps | |
US7222441B2 (en) | Sandal with interchangeable upper | |
JP2020000882A (ja) | モジュール式靴 | |
US10244814B2 (en) |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 |
JP2007503900A (ja) | 靴のための中底、およびそのための付属品 | |
JPWO2003024262A1 (ja) | 履物 | |
US20090165335A1 (en) | Interchangeable fashion covering for a high heel shoe | |
US9038286B2 (en) | Footwear accessory | |
US20060248753A1 (en) | Shoe with attachable upper | |
WO2017144872A1 (en) | Shoe constructions | |
KR200440030Y1 (ko) | 신발 | |
KR20220003934A (ko) | 착탈이 가능한 신발용 악세사리 | |
US20130091736A1 (en) | Shoe with attachable fashion accessories | |
KR200489236Y1 (ko) | 신발용 악세서리 | |
KR100930750B1 (ko) | 역전가능한 설부를 구비한 신발 | |
KR100575601B1 (ko) | 기능성 구두 뒷굽 | |
KR200431311Y1 (ko) | 장식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신발 | |
KR200474036Y1 (ko) | 신발 결속구 | |
KR200480336Y1 (ko) |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 |
KR102392583B1 (ko) | 다조합 블록 신발 | |
KR20100079170A (ko) | 키높이신발 | |
KR200471213Y1 (ko) | 신발 결속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