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703A -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 Google Patents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703A
KR20220003703A KR1020200081235A KR20200081235A KR20220003703A KR 20220003703 A KR20220003703 A KR 20220003703A KR 1020200081235 A KR1020200081235 A KR 1020200081235A KR 20200081235 A KR20200081235 A KR 20200081235A KR 20220003703 A KR20220003703 A KR 2022000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case
bookshelf
double sliding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연
Original Assignee
정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연 filed Critical 정태연
Priority to KR1020200081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703A/ko
Publication of KR2022000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47B63/06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with trays revolving on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메인 책장, 상기 메인 책장에 안착되는 서브 책장, 상기 메인 책장과 상기 서브 책장은 각각 측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책장은 상기 메인 책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책장과 서브 책장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은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양측 방향에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책장과 서브 책장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의 상하부에는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는 마감판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판과 마감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으로는 독립적으로 분할되는 상협하광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 돌출길이가 하부에 비해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수평 받침판;들을 포함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 상기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과 대칭되는 또 다른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과 또 다른 상기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의 각 비구배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시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적인 상협하광의 구배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Double sliding safety bookcase for library installation with angle}
본 발명은 상부의 부피 면적이 협소하고 하부로 갈수록 부피 면적을 증가시켜 시각적으로 전방 전도 등의 착시 현상을 줄이는 한편 심미적으로 개방성과 안정성을 확대하고 구조적으로는 전도 등의 사고에 대비하도록 하는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증 슬라이딩 책장은 실내외 공간에 배치되어 책을 꽂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구조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좌우로 대략 동일한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대칭적인 측판을 구비하고, 측판의 상하부 및 후방부로 대략 동일한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마감판을 조립하여, 내측으로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에는 복수개의 받침판을 조립하여 받침판 위에 책을 꽂아 보관하도록 되어 있고, 전방으로는 좌우 양편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별도의 책장이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상판과 하판 그리고 측판 및 칸막이판으로 구분되는 메인 책장, 상기 메인 책장의 상판과 하판 그리고 측판에 각각 대응되어 고정 결합 되는 상부가이드판 및 하부가이드판 그리고 측면가이드판, 상부가이드판 및 하부가이드판 그리고 측면가이드판을 따라 안착되는 서브 책장, 상기 서브 책장을 메인 책장의 전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5405호 참조).
이러한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대량의 책을 보관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에도 불구하여 도서관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실정이다. 즉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높아질수록 시각적으로 책이 전방으로 넘어지거나 쓰러질거 같은 착시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높이 증가에 비례하여 전방 전도 착시현상이 증가될 수 있고, 실제로 전방 전도 사고의 위험성도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부피 면적이 동일한 기존의 슬라이딩 이중 책장은 상하부 공간이 동일하여 공간 활용성이 낮고 시각적으로 투박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도서관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상하부의 부피 면적이 동일하여 시각적으로 전방 전도 등의 착시 현상을 피하기 어렵고 심미감적으로는 개방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구조적으로는 전도 등의 사고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시 유동과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설치 장소의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 발명자는 상하부의 부피 면적이 동일한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구조를 변경하여 시각적으로 전방 전도 등의 착시 현상을 줄이는 한편 심미감적으로 개방성과 안정성을 확대하고 구조적으로는 전도 등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제안한다.
특허문헌 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5405호(공개일 2013년10월22일 특허문헌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88628호(공고일 2016년01월26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의 구조 및 디자인을 변경하여 시각적으로 전방 전도 등의 착시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의 구조 및 디자인을 변경하여 심미감적으로 개방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의 구조 및 디자인을 변경하여 전도 등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책장, 상기 메인 책장에 안착되는 서브 책장, 상기 메인 책장과 상기 서브 책장은 각각 측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책장은 상기 메인 책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책장과 서브 책장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은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양측 방향에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책장과 서브 책장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의 상하부에는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는 마감판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판과 마감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으로는 독립적으로 분할되는 상협하광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 돌출길이가 하부에 비해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수평 받침판;들을 포함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 상기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과 대칭되는 또 다른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과 또 다른 상기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의 각 비구배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시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적인 상협하광의 구배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은 전방이 구배 각도를 가지는 구배면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은 수직축 기준으로 나란한 비구배 각도를 가지는 비구배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의 전방 구배 각도는 수직축 기준으로 2~6°범위로 설정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감판은 상부측 마감판의 면적이 하부측 마감판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도록 부착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에는 상기 수평 받침판의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수직 격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 격벽들은 전방이 구배 각도를 가지는 구배면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은 수직축 기준으로 나란한 비구배 각도를 가지는 비구배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격벽들의 전방 구배 각도는 상기 측판의 전방 구배 각도와 대칭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과 상부측 마감판 또는 하부측 마감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를 감싸는 몰딩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케이스는 대면하는 상대측 측판 또는 마감판측과의 결합 강도를 유지하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신축소재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기존 이중 슬라이딩 책장의 구조 및 디자인을 변경하여 시각적으로 전방 전도 등의 착시 현상을 줄여 이중 슬라이딩 책장 사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기존 이중 슬라이딩 책장의 구조 및 디자인을 변경하여 심미감적으로 개방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노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기존 이중 슬라이딩 책장의 구조 및 디자인에 변화를 가하여 별도의 유동 및 흔들림 방지 구조물 등의 설치물 없이 책장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등의 전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구성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의 몰딩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상협하광'은 상부의 부피면적이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거나 협소한 상태를 의미하고 함축적으로 축약하여 사용한 용어일 수 있다. 여기서, 부피면적은 면적의 크기의 의미일 수 있으며, 폭 또는 넓이로도 혼용될 수 있다.
'구배'는 '각도(angle)'로 혼용될 수 있다. 여기서, '구배'는 측판의 부피면적(폭/넓이/길이)을 상하부가 비대칭적으로 나타나도록 측판의 부피면적 또는 폭, 넓이가 상부가 하부에 비해 협소한 상태가 되도록 면적을 조절하여 제작된 의미일 수 있다.
또한, '구배'는 받침판의 길이를 상하부가 비대칭적으로 나타나도록 받침판의 부피면적 또는 폭, 넓이, 길이를 상부가 하부에 비해 협소한 상태가 되도록 조절하여 제작된 의미일 수 있다.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구조는, 공통적으로 좌우로 대략 동일한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대칭적인 측판을 구비하고, 측판의 상하부 및 후방부로 대략 동일한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마감판을 조립하여, 내측으로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에는 복수개의 받침판을 조립하여 받침판 위에 책을 꽂아 보관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공통적으로 높이가 높아질수록 시각적으로 책이 전방으로 넘어지거나 쓰러질거 같은 착시 현상을 일으키고 있어 사용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높이 증가에 비례하여 전방 전도 착시현상이 증가될수 있고, 실제로 전방 전도 사고의 위험성도 증가될 수 있으며, 상하부 공간이 동일하여 공간 활용성이 낮고 시각적으로 투박한 공간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은 시각적으로는 전방 전도 등의 착시 현상을 피하기 어렵고, 심미감적으로는 상부가 투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개방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구조적으로는 전도 등의 사고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중 책장 설치시 유동과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설치 장소 및 보조 설치물의 고려가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의 부피 면적이 동일한 기존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구조에 변화를 가하여 시각적으로 전방 전도 등의 착시 현상을 줄이는 한편 심미감적으로 개방성과 안정성을 확대하고 구조적으로는 전도 등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새로운 상협하광 구배형의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협하공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구성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의 몰딩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책장(101), 상기 메인 책장(101)에 안착되는 서브 책장(102), 메인 책장(101)과 상기 서브 책장(102)은 측판(1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서브 책장(102)은 상기 메인 책장(101)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이동수단(1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103)은 메인 책장(101)의 전면부에 구성되는 서브 책장(102)을 메인 책장(10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메인 책장(101)의 바닥면에 슬라이드 레일(미도시)을 설치하고, 메인 책장(102)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구름운동이 가능한 롤러 또는 휠을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책장(101)과 서브 책장(102)을 구성하는 측판(110)은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양측 방향에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메인 책장(101)과 서브 책장(102)을 구성하는 측판(110)의 상하부에는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는 마감판(120)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측판(110)과 마감판(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으로는 독립적으로 분할되는 상협하광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공간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 돌출길이가 하부에 비해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수평 받침판(130)들을 포함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A)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A)과 대칭되는 또 다른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A)과 또 다른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B)의 각 비구배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시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적인 상협하광의 구배면을 형성하도록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A)과 또 다른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B)을 배치하여 도서관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A)과 대칭되는 또 다른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B)은 서로 구조적으로 대칭적인 구조이며, 이들의 설치 및 조합은 수직축 방향의 비구배면을 서로 맞대어 밀착시켜 책을 대량으로 보관할 수 있는 도서관용으로 배치 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판(110)은 전방이 구배 각도를 가지는 구배면(111)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은 수직축 기준으로 나란한 비 구배 각도를 가지는 비구배면(112)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판(110)의 전방 구배 각도는 수직축 기준으로 2~6°범위로 구배각을 설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슬라이딩 이중 책장(100)을 제조하여, 성인남녀 20명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선호도와 기호도를 조사한 관능 평가결과에 따르면, 구배 각도 2°이하이면 전방 쓰러짐 전도에 대한 착시 현상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6°를 초과하는 경우 전방 쓰러짐 전도에 대한 착시 현상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심미감적으로는 후방으로 지나치게 슬라이딩 이중 책장이 치우쳐져 선호도나 기호도에서 미감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평가 결과에 따르면, 측판(110)의 전방 구배 각도가 수직축 기준으로 2~6°범위는 선호도와 기호도 및 심미감에서 높은 평가점수를 받을 수 있는 의미 있는 각도일 수 있다.
또한, 마감판(120)은 상부측 마감판(120)의 면적이 하부측 마감판(120)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도록 부착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중 책장의 서브 책장(102)의 공간에는 수평 받침판(130)의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수직 격벽(14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 격벽(140)들은 전방이 구배 각도를 가지는 구배면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은 수직축 기준으로 나란한 비 구배 각도를 가지는 비구배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브 책장(102)에 구성되는 수직 격벽(140)들의 전방 구배 각도는 측판(110)의 전방 구배 각도와 대칭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시각적으로 통일된 안정적인 심미감을 제공하는데 유리할 수 있고, 조립 제조에서도 통일된 격벽들을 조립하여 공간을 분할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측판(110)과 상부측 마감판(120) 또는 하부측 마감판(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에는 몰딩 케이스(200)를 씌워서 구성될 수 있다.
몰딩 케이스(200)는 측판(110)과 마감판(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210)를 형성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측판(110)과 마감판(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210)를 형성하도록 부착되는 몰딩 케이스(200)는 심미감적으로나 시각적으로 슬라이딩 이중 책장 유닛(A)(B)의 외부를 보호하는 디자인을 형성하여 심미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몰딩 케이스(200)는 대면하는 측판(110) 또는 마감판(120)과의 결합 강도를 유지하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신축소재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슬라이딩 이중 책장은 앞으로 넘어지는 착시 현상으로 책이 앞으로 넘어질거 같아 다가가기 두려운 점을 뒤로 2~6°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풍부한 개방감과 안전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2~6° 각도로 젖어져서 앞으로 넘어지는 전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이중 슬라이딩 책장 설치 및 사용시 안전성이 강화된 이중 슬라이딩 책장을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공간이 넓어져 시야가 확장되어 시각적으로 편안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가 하체에 비해 큰 인체구조상 팔과 손을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에 쉽게 접근시키고 활동 공간을 형성하고 상체의 행동 반경에 따른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책을 넣고 꺼내기 용이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의 깊이가 하부가 상부에 비해 크므로 하부를 통해 큰 책 수납은 물론, 이중으로 겹쳐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책의 수납양을 기존에 비해 증가시키고 크기가 다른 다양한 책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중 책장 유닛(A)(B)의 외부를 몰딩 케이스로 감싸는 외부 몰딩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구조로 구성함으로써 2개 이상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을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으로 보여주도록 감싸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을 이중 구조로 보이도록 노출시켜 심미감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안전한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을 제공하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한다.
A.B: 이중 슬라이딩 책장
100: 상광하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101: 메인 책장 102: 서브 책장
103: 이동수단
110: 측판 111: 구배면
112: 비구배면 120: 마감판
130: 수평 받침판 140: 수직 격벽
200: 몰딩 케이스 210: 돌출부

Claims (6)

  1. 메인 책장, 상기 메인 책장에 안착되는 서브 책장, 상기 메인 책장과 상기 서브 책장은 각각 측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책장은 상기 메인 책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책장과 서브 책장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은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도록 양측 방향에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책장과 서브 책장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의 상하부에는 상협하광의 부피 면적을 형성하는 마감판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판과 마감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으로는 독립적으로 분할되는 상협하광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에는 상부로 갈수록 전방 돌출길이가 하부에 비해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수평 받침판;들을 포함하는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
    상기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과 대칭되는 또 다른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과 또 다른 상기 이중 슬라이딩 책장 유닛의 각 비구배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시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적인 상협하광의 구배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전방이 구배 각도를 가지는 구배면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은 수직축 기준으로 나란한 비구배 각도를 가지는 비구배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전방 구배 각도는 수직축 기준으로 2~6°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상부측 마감판의 면적이 하부측 마감판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도록 부착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책장의 공간에는 상기 서브 책장의 수평 받침판의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수직 격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 격벽들은 전방이 구배 각도를 가지는 구배면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은 수직축 기준으로 나란한 비구배 각도를 가지는 비구배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책장의 측판과 상부측 마감판 또는 하부측 마감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를 감싸는 몰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KR1020200081235A 2020-07-02 2020-07-02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KR20220003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35A KR20220003703A (ko) 2020-07-02 2020-07-02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35A KR20220003703A (ko) 2020-07-02 2020-07-02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03A true KR20220003703A (ko) 2022-01-11

Family

ID=7935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235A KR20220003703A (ko) 2020-07-02 2020-07-02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70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405A (ko) 2012-04-10 2013-10-22 구명화 슬라이딩 이중책장
KR101588628B1 (ko) 2014-08-13 2016-01-26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이중책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405A (ko) 2012-04-10 2013-10-22 구명화 슬라이딩 이중책장
KR101588628B1 (ko) 2014-08-13 2016-01-26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이중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2048B (zh) 可调节架和使用方法
KR101476618B1 (ko) 어메니티 시스템 가구
JPH06108561A (ja) モジュールで組み立て可能な壁体の新しいシステム
JP4955215B2 (ja) 壁面収納装置
JP2000139593A (ja) 組立てユニットによる仕切り
US20160143431A1 (en) Multi-board desk
KR20220003703A (ko) 상협하광 구배형 도서관 설치용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EP3058837B1 (en) Sole with double cushioning
AU716512B2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20220003174A (ko) 상협하광 구배형 이중 슬라이딩 안전 책장
US5540491A (en) Bed, desk and cabinet assembly
KR20220003175A (ko) 상협하광 구배형 슬라이딩 도어 거실 서재장
KR20220001055A (ko) 상협하광 구배형 안전 책장
US3023910A (en) Support for sliding shelves
KR100955102B1 (ko) 신축 가능한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KR200438310Y1 (ko) 도어 및 칸막이용 조립식 패널
US2679443A (en) Combined commode and extension table
KR20220003702A (ko) 상협하광 구배형 안전 서랍장
JP4216771B2 (ja) 建物
KR20170050593A (ko) 다용도 침대 키트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US20230397718A1 (en) Folding Table
KR101865397B1 (ko) 다기능 책장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KR102353523B1 (ko) 가구용 수납 바구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