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013U - 변기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013U
KR20220003013U KR2020210001909U KR20210001909U KR20220003013U KR 20220003013 U KR20220003013 U KR 20220003013U KR 2020210001909 U KR2020210001909 U KR 2020210001909U KR 20210001909 U KR20210001909 U KR 20210001909U KR 20220003013 U KR20220003013 U KR 202200030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cover
opening
seat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이
Original Assignee
김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이 filed Critical 김진이
Priority to KR2020210001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013U/ko
Publication of KR20220003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0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변 또는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 등에 따라 시트 또는 마감커버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함께 좌변커버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청결한 사용과 청결성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여 위생적인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좌변기의 상단에 시트와 좌변커버와 마감커버로 이루어지는 변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시트와 마감커버 각각을 회동시켜 개폐작용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시트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시트개폐부와; 상기 마감커버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마감커버개폐부; 및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마감커버가 개방된 후 닫힘되면 좌변커버의 표면을 세척시키도록 하는 좌변커버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커버 개폐장치{AUTO-OPEN SEAT DEVICE FOR TOILET}
본 고안은 변기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또는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 등에 따라 시트 또는 마감커버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함께 좌변커버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청결한 사용과 청결성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여 위생적인 좌변기를 제공하는 변기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변기는 용변 후에 물을 이용하여 세척처리를 하는 기능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를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수세식 변기는 좌변기와 입식 변기로 구분되는 바, 통상 많이 사용하고 있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소변과 대변을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내부에 적당한 높이의 물이 수용되어 용변을 불 수 있는 본체와, 용변 후 상기 본체 내부를 씻어 내리기 위한 물을 공급해 주는 수조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사람이 앉을 때 깔고 앉는 좌변기시트와,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본체를 덮어주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변기는 일반 가정은 물론, 회사, 공원, 휴게소, 학교, 백화점, 역, 터미널 등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다.
한편, 통상의 좌변기는 용변의 일처리가 진행된 이후에 좌변기시트를 포함한 덮개를 회전시켜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켜 용변이 정화조로 유입될 수 있게 수조에 구비된 밸브를 이용하여 해당 용변을 물에 의해 흘려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대인들은 이러한 상식적인 일에도 불구하고 상기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본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물을 통해 용변을 흘려보내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런 이유에서 용변의 유해한 이물질이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지만, 본체의 외부로 튀어 비산됨으로 인해 신우신염 등과 같은 질병을 초래할 수 있어 근래에는 용번 이후에 자동으로 덮개를 덮어주는 기계적인 구성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시되는 변기커버 개폐장치는 단순히 변기커버의 개폐만을 수행함에 따라, 특히 공중화장실과 같이 불특정인들 공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찝찝한 불안한 지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남성의 경우 소변을 볼때, 변기커버를 개방시킴과 함께 좌변기에 위치한 시트도 함께 회동시켜야 하지만, 실수 또는 귀찮다는 이유로 상기 시트를 회동시키지 않은 경우가 있고, 이에 따라 소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시트에 잔존함에 따라 불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411162호 대한민국 특허 제10-208998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변 또는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 등에 따라 시트 또는 마감커버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함께 좌변커버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청결한 사용과 청결성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여 위생적인 좌변기를 제공하는 변기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변기의 상단에 시트와 좌변커버와 마감커버로 이루어지는 변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시트와 마감커버 각각을 회동시켜 개폐작용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시트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시트개폐부와; 상기 마감커버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마감커버개폐부; 및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마감커버가 개방된 후 닫힘되면 좌변커버의 표면을 세척시키도록 하는 좌변커버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좌변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스위칭신호를 상기 시트개폐부로 전송시켜 상기 시트개폐부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센서와; 상기 좌변기의 타측에 구성되어, 스위칭신호를 상기 마감커버개폐부를 전송시켜 상기 마감커버개폐부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시트개폐부 및 마감커버개폐부 각각에는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정, 역회전력을 시트 또는 마감커버로 제공시켜 개폐작동을 위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좌변커버세척부는,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 역회전력을 제공받아 마감커버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변커버의 표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변 또는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 등에 따라 시트 또는 마감커버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함께 좌변커버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청결한 사용과 청결성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여 위생적인 좌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커버의 개방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좌변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2)와 좌변커버(14)와 마감커버(16)로 구성되는 변기커버(10)가 장착되고, 상기 변기커버(10)의 일측에는 상기 시트(12)와 마감커버(16)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100)가 구성된다.
상기 변거커버(10)는 일측에 좌변기(1)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수단은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10)는 일측에 힌지가 구성되어 시트(12)와 좌변커버(14)와 마감커버(16) 각각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장치(100)는 상기 변기커버(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용목적에 따라 시트(12) 또는 마감커버(16) 각각을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개폐장치(100)는 시트(12)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시트개폐부(110)와, 마감커버(16)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마감커버개폐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100)에는 좌변커버(14)의 상단을 세척시키도록 하는 좌변커버세척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100)에는 좌변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스위칭작동에 의해 시트(1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센서(140)와, 스위칭작동에 의해 마감커버(16)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센서(15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개폐부(110)는 상기 시트(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시트(12)에 회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시트(12)가 개폐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시트개폐부(110)는 제1센서(140)의 스위칭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또한, 상기 시트개폐부(110)는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시트(12)의 일측에 구성되는 힌지 사이에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정, 역회전력에 따라 시트(12)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시트개폐부(110)는 남성의 소변을 보고자할 때, 시트(12)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는 상기 마감커버(16)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마감커버(16)에 회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마감커버(16)가 개폐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는 제2센서(150)의 스위칭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는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시트(16)의 일측에 구성되는 힌지 사이에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정, 역회전력에 따라 마감커버(16)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는 좌식으로 용변을 보고자할 때, 마감커버(16)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변커버세척부(130)는 상기 마감커버(16)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마감커버(16)가 개방되어 사용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마감커버(16)가 좌변커버(14)로 담힘되면, 상기 좌변커버(14)의 표면을 자동으로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좌변커버세척부(130)는 정, 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력에 의해 마감커버(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변커버(14)의 표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포(132)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포(132)는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정, 역회전력에 의해 마감커버(16)의 내측면을 따라 이송되면서 좌변커버(14)의 표면을 세척시킨다.
또한, 상기 좌변커버세척부(130)는 마감커버(16)가 개방된 후 좌변커버(14)로 닫힘되는 폐쇄작동이 수행된 후 자동으로 좌변커버(14)의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센서(140)는 좌변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스위칭신호가 상기 시트개폐부(11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시트개폐부(11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센서(140)는 좌변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사용자가 접근하면 이를 센싱한다.
상기 제2센서(150)는 좌변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스위칭신호가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센서(150)는 풋버튼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기커버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화장실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좌변기(1)에 구성된 제2센서(150)에서 센싱됨에 따라 제2센서(150)가 스위칭된다.
상기 제2센서(150)의 스위칭신호가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로 전송되면, 상기 마감커버개폐부(120)에 구성된 모터에서 정회전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정회전력에 의해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마감커버(16)가 개방 회동된다.
이어서, 상기 마감커버(16)의 회동으로 좌변커버(14)에 좌식으로 용변이 이루어지면, 상기 좌변커버(14)에서 사용자가 이탈된다.
아울러, 사용자의 이탈로 상기 좌변커버(14)에 구성된 무게감지센서의 센싱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2센서(150)의 스위칭신호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마감커버(16)의 개방과 역순으로 작동되어 마감커버(16)가 역회동으로 좌변커버(14)를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16)가 역회동으로 좌변커버(14)가 닫힘되면, 상기 마감커버(16)의 내측에 구성된 좌변커버세척부(130)의 세척포(132)가 상기 마감커버(16)의 내측면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세척포(132)에 의해 상기 좌변커버(14)를 세척하여 상기 좌변커버(14)의 청결성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마감커버(16)가 역회동되어, 좌변기(1)를 폐쇄시키면 상기 좌변기(1)에서 자동으로 물이 내려감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좌변기(1)에 물내림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먼저, 남성이 소변을 보고자할 경우에 좌변기(1)의 일측에 구성된 제1센서(140)를 스위칭한다.
상기 제1센서(140)의 스위칭신호가 상기 시트개폐부(110)로 전송되면, 상기 시트개폐부(110)에 구성된 모터에서 정회전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정회전력에 의해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시트(12)가 개방 회동된다.
이때, 상기 시트(12)는 개방될 때, 상방에 구성되는 좌변커버(14) 및 마감커버(16)도 함께 개방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좌변커버(14) 및 마감커버(16)를 별도로 개방시키지 않고도 좌변기(1)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좌변기(1)의 개방으로 용변이 이루어지면, 제1센서(140)를 스위칭하면, 상기 제1센서(140)의 스위칭신호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시트(12)의 개방과 역순으로 작동되어 시트(12)가 역회동으로 좌변기(1)를 폐쇄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시트(12)가 역회동되어, 좌변기(1)를 폐쇄시키면 상기 좌변기(1)에서 자동으로 물이 내려감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좌변기(1)에 물내림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변기커버 개폐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개폐장치 110: 시트개폐부
120: 마감커버개폐부 130: 좌변커버세척부
132: 세척포 140: 제1센서
150: 제2센서

Claims (4)

  1. 좌변기의 상단에 시트와 좌변커버와 마감커버로 이루어지는 변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시트와 마감커버 각각을 회동시켜 개폐작용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시트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시트개폐부와;
    상기 마감커버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마감커버개폐부; 및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마감커버가 개방된 후 닫힘되면 좌변커버의 표면을 세척시키도록 하는 좌변커버세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스위칭신호를 상기 시트개폐부로 전송시켜 상기 시트개폐부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센서와;
    상기 좌변기의 타측에 구성되어, 스위칭신호를 상기 마감커버개폐부를 전송시켜 상기 마감커버개폐부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개폐부 및 마감커버개폐부 각각에는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정, 역회전력을 시트 또는 마감커버로 제공시켜 개폐작동을 위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동력전달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커버세척부는,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 역회전력을 제공받아 마감커버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변커버의 표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개폐장치.
KR2020210001909U 2021-06-18 2021-06-18 변기커버 개폐장치 KR202200030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909U KR20220003013U (ko) 2021-06-18 2021-06-18 변기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909U KR20220003013U (ko) 2021-06-18 2021-06-18 변기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13U true KR20220003013U (ko) 2022-12-27

Family

ID=8453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909U KR20220003013U (ko) 2021-06-18 2021-06-18 변기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01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62B1 (ko) 2014-01-20 2014-06-23 최동화 변기커버 개폐 기능을 갖는 좌변식 변기
KR102089985B1 (ko) 2019-01-31 2020-03-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커버 개폐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62B1 (ko) 2014-01-20 2014-06-23 최동화 변기커버 개폐 기능을 갖는 좌변식 변기
KR102089985B1 (ko) 2019-01-31 2020-03-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커버 개폐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012B2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KR101499107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JPH1119003A (ja) 局部洗浄装置と手洗器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20220003013U (ko) 변기커버 개폐장치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2006112163A (ja) トイレ装置
JP4118532B2 (ja) 便器洗浄装置
JPWO2019044742A1 (ja) 乗り物用化粧室ユニット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CN113775016B (zh) 一种自适应双用便器
KR102507842B1 (ko)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양변기
JP6814972B1 (ja)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JP6868839B1 (ja)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JPH02274931A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JP7466091B2 (ja) 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JPH02274932A (ja) 回動式便器ユニット
JP2001061704A (ja) 局部温水洗浄器付簡易便器
JP2801986B2 (ja) 水洗便器装置
JPH10276936A (ja) 洋式トイレの男性小用便蓋及び洗浄式便座・便蓋
JPH02274933A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JP3756645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JP3045493U (ja) 洗浄便座
JPH09290006A (ja) 便器付き車椅子
JPH02304130A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