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829U - 타액 채취기 - Google Patents

타액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829U
KR20220002829U KR2020210001626U KR20210001626U KR20220002829U KR 20220002829 U KR20220002829 U KR 20220002829U KR 2020210001626 U KR2020210001626 U KR 2020210001626U KR 20210001626 U KR20210001626 U KR 20210001626U KR 20220002829 U KR20220002829 U KR 202200028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va
sponge
unit
insertion needle
squee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561Y1 (ko
Inventor
정점규
유준원
박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바디
Priority to KR2020210001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6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61B2010/0093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slide r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액 채취기{Saliva extractor}
본 고안은 타액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타액을 채취하여 각종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타액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을 벌려서 타액 채취기를 삽입하여 타액을 채취하는 바, 타액 채취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계속하여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고, 타액 채취기를 삽입할 때 삽입 정도를 표시하는 부분이 없어, 과도하게 타액 채취기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문헌 제1996-502670호는, 구액 채취 장치 및 튜브에 관한 것으로, 흡수패드(10)가 가스켓(15)의 내측면 및 돌출부(22)에 수용되는 것이 개시된다. 다만, 타액 채취기를 삽입할 때 삽입 정도를 표시하는 부분이 없어, 과도하게 타액 채취기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927053호는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바디(511)의 하부면(515)의 상면 및 내측면에는 상방향 및 내경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 돌기(517)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을 수 있어, 핸들 부재(200)가 끼워지도록 채취용 결합체(A)를 깊이 눌러 끼우면, 채취 부재(100)는 메인 프레임(510)의 가압 돌기(517)에 의해서 눌리게 되어 수집된 액상이 프레임(520)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타액 채취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계속하여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하는 바,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타액을 채취한 후, 타액을 짜서 추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스펀지가 추출기 내부에서 모양이 변하고 딱딱한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하게 짜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타액을 추출하여 튜브에 옮길 때, 스펀지의 상단에 잔여 타액이 많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문헌 제1996-502670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92705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타액 채취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계속하여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은 구강에 삽입하는 타액 채취기를 제공하되, 타액 채취기가 적절하게 삽입되도록 리드를 포함하여, 타액 채취기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은 타액을 채취한 후, 채취된 타액을 효과적으로 샘플 튜브에 옮기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타액 채취부(100);상기 타액 채취부(100)가 삽입되는 입구와, 상기 타액 채취부(100)가 채취한 타액이 추출되는 출구를 갖는 스퀴즈부(200); 및 상기 스퀴즈부(200)와 결합되며, 상기 스퀴즈부(200)에서 추출된 상기 타액이 투입되는 샘플 튜브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타액 채취부(100)는, 손잡이(110);상기 손잡이(110)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인 손잡이 연장부(120);상기 손잡이 연장부(120)의 전방으로 위치되는 리드(130); 상기 리드(130)의 전방으로 위치되는 삽입침(140); 및 상기 삽입침(140)에 결합되는 스펀지(1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퀴즈부(200)는, 연장부(210)와 상기 연장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샘플 튜브부(300)로 삽입되는 유동부(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210)의 내측 직경은 상기 리드(1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동부(220)의 내측 직경은 상기 연장부(210)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펀지(150)는,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침(140)이 결합되는 홀(151)이 형성되는, 타액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연장부(120)는, 중심대(121)와, 상기 중심대(1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심대(121)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130)의 직경은 상기 삽입침(14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액 채취부(100)가 상기 샘플 튜브부(300)를 향해 전진하고, 상기 리드(130)가 상기 스펀지(15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스펀지(150)에 포함된 타액이 상기 유동부(220)를 거쳐 상기 샘플 튜브부(300)로 투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침(140)의 말단은 첨단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부(200)는, 상기 스퀴즈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샘플 튜브부(300)의 상부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침(140)의 길이는 상기 스펀지(150)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삽입침(140)에 상기 스펀지(150)가 결합되면, 상기 삽입침(140)의 말단이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본 고안은 구강에 삽입하는 타액 채취기를 제공하되, 타액 채취기가 적절하게 삽입되도록 리드를 포함하여, 타액 채취기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편함과 부상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펀지가 수축되면 리드가 연장부의 하측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바, 구강에서 타액을 채취한 후 채취된 타액을 효과적으로 샘플 튜브에 옮길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드러운 재질의 스펀지를 사용하고, 스펀지를 수축 시 스펀지 내측에 위치한 삽입침이 스퀴즈부 내측까지 돌출되는 바, 스펀지의 상단을 충분히 수축시킬 수 있고 스펀지의 상단에 잔여 타액이 적게 존재하는 바, 타액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타액 채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채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타액 채취부의 삽입침이 돌출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액 채취 장치의 타액을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스퀴즈부와 샘플 튜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액 채취부가 구강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액 채취 장치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고안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전방"은 사용자의 구강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액 채취 장치는 타액 채취부(100), 스퀴즈부(200) 및 샘플 튜브부(3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액 채취 장치를 설명한다.
타액 채취부(100)는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타액을 채취한다. 타액 채취부(100)는 후술하는 스퀴즈부(200)와 결합되어 타액을 샘플 튜브부(30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타액 채취부(100)는 손잡이(110), 손잡이 연장부(120), 리드(130), 삽입침(140) 및 스펀지(150)를 포함한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110)를 파지하여, 후술하는 스펀지(150)를 구강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면 족하고, 도시된 형상 및 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 연장부(120)는 손잡이(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손잡이 연장부(120)가 중심대(121)와 날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122)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중심대(121)로부터. 중심대(1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중심대(121)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로 형성된다.
날개부(122)는 중심대(121)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날개부(122)는 후술하는 스펀지(150)에서 타액을 추출한 후, 타액 채취부(100)를 이동시킬 때, 가령, 후술하는 스퀴즈부(200)와 결합하려고 타액 채취부(100)를 이동시키거나, 스퀴즈부(200)와 분리하기 위해 타액 채취부(100)로 이동시킬 경우 등, 타액이 날개부(122)를 따라 흐르도록 형성되는 바 외측으로 타액이 흘리지 않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22)는 이후 타액 채취부(100)를 스퀴즈부(200)에 삽입할 때 손잡이(11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스펀지(150)로 용이하게 전달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122)의 형상, 치수 및 개수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채취부(100)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연장부(120)에 날개부(122)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리드(130)는 손잡이(110)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 연장부(120)의 전방으로 형성된다.
리드(130)는 일정 직경으로 일정 길이 종방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리드(130)는 후술하는 스펀지(150)가 구강에 진입할 때 삽입 길이의 표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드(130)와 후술하는 삽입침(140)의 직경의 차이로 타액 채취부(100)의 삽입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리드(130)는 삽입침(1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액 채취부(100)가 구강에 삽입되었을 때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드(130)는 삽입침(140)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바, 사용자는 감지되는 직경의 변화의 차이로, 더 이상 삽입하지 않아야 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는 리드(130)를 기준으로, 타액 채취기가 적절하게 삽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고, 타액 채취기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편함과 부상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삽입침(140)은 리드(13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삽입침(140)의 직경은 리드(130)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펀지(150)가 결합된다.
삽입침(140)의 말단은, 첨단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스펀지(150)에 삽입되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침(140)의 말단은 스펀지(15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후, 스펀지(150)가 스퀴즈부(200)와 결합되고 리드(130)가 스펀지(150)를 가압함에 따라 , 삽입침(140)의 말단은 스펀지(1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스퀴즈부(200)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스펀지(150) 수축 시 스펀지(150) 내측에 결합된 삽입침(140)이 스퀴즈부(200)의 내측까지 돌출되는 바, 스펀지(150)의 상단을 충분히 수축시킬 수 있고 스펀지(150)의 상단에 잔여 타액이 적게 존재하는 바, 타액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삽입침(140)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이후 스펀지(150)에 채취된 타액을 추출하기 위해 가압하더라도 쉽게 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삽입침(140)의 말단은 스펀지(15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삽입침(14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도 3을 참조하면, 삽입침(140)의 말단이 스펀지(15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도시한다.
스펀지(150)는 사용자의 구강의 타액을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타액을 흡수한다. 스펀지(150)는 삽입침(140)에 결합된다.
이 때, 스펀지(150)는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추후 스펀지(150)에 채취된 타액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펀지(150)가 삽입침(140)에 결합되고 삽입침(140)이 일종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며, 이후 스펀지(150)를 스퀴즈부(200)에서 짤 때, 스펀지(150)의 형상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타액 추출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펀지(150)는,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삽입침(140)이 결합되는 홀(151)이 형성된다. 홀(151)은 삽입침(14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삽입침(140)이 스펀지(150)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홀(151)은 스펀지(150)의 중앙으로 기설정된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길이는 스펀지(150)의 종방향 전체 길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펀지(150)는 타액을 채취한 이후, 후술하는 스퀴즈부(200)에서 채취한 타액을 추출할 수 있다. 스펀지(150)는 연장부(210)로 전진하면서 스펀지(150)가 포함하는 타액을 유동부(220)를 거쳐 샘플 튜브부(300)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펀지(150)는 부드러운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스펀지(150)가 채취한 타액을 더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스펀지(15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타액을 채취할 수 있으면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스퀴즈부(200)와 샘플 튜브부(300)를 설명하며, 타액 채취부(100)가 스퀴즈부(200)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한다.
스퀴즈부(200)는 타액 채취부(100)에서 채취된 타액을 후술하는 샘플 튜브부(300)로 이동시키도록 타액 채취부(100)와 결합되어 채취한 타액을 추출할 수 있다.
스퀴즈부(200)는 타액 채취부(100)가 삽입되는 입구와 타액 채취부(100)가 채취한 타액이 추출되는 출구를 갖는다.
스퀴즈부(200)의 일방은 타액 채취부(100)와 결합되고, 타방은 후술하는 샘플 튜브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스퀴즈부(200)는, 연장부(210), 유동부(220) 및 지지부(230)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210)는 스펀지(150)가 삽입되어 전진할 수 있도록 종방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장부(210)의 하측의 내측 직경은 리드(1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210)는 스펀지(150)가 수축되도록 충분한 길이이며, 연장부(210)의 종방향 길이는 스펀지(150)가 수축되기 전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220)는 연장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유동부(220)는 샘플 튜브부(300)로 삽입되어 위치되고, 타액이 유동부(220)를 따라 샘플 튜브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유동부(220)는 연장부(210)의 하측의 내측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에, 스펀지(150)가 수축되면 리드(130)가 연장부(210)의 하측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스펀지(150)가 수축되면 리드(130)가 연장부(210)의 하측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바, 사용자는 손잡이부(110)를 가압하여 스펀지(150)가 채취한 타액을 효과적으로 샘플 튜브부(1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부(230)는 스퀴즈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부(230)는 샘플 튜브부(300)의 상부 외측을 둘러싼다. 이에, 사용자가 스펀지(150)를 스퀴즈부(200)에서 수축시키기 위해, 타액 채취부(100)를 가압할 때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타액 채취부(100)를 가압할 수 있다.
샘플 튜브부(300)는 타액이 수집되는 튜브로, 이후 수집된 타액을 이용하여 검체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샘플 튜브부(300)는 스퀴즈부(200)의 타방과 결합되며, 타액 채취부(100)의 타액이 수집된다.
이 때, 샘플 튜브부(3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수집되는 타액의 양이 가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액 채취부(100)가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리드(130)부분이 사용자의 입술에 닿아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채취 장치의 실제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전술한 타액 채취부(100), 스퀴즈부(200) 및 샘플 튜브부(300)가 도시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타액 채취부
110: 손잡이
120: 손잡이 연장부
121: 중심대
122: 날개
130: 리드
140: 삽입침
150: 스펀지
151: 홀
200: 스퀴즈부
210: 연장부
220: 유동부
230: 지지부
300: 샘플 튜브부

Claims (7)

  1. 타액 채취부(100);
    상기 타액 채취부(100)가 삽입되는 입구와, 상기 타액 채취부(100)가 채취한 타액이 추출되는 출구를 갖는 스퀴즈부(200); 및
    상기 스퀴즈부(200)와 결합되며, 상기 스퀴즈부(200)에서 추출된 상기 타액이 투입되는 샘플 튜브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타액 채취부(100)는,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인 손잡이 연장부(120);
    상기 손잡이 연장부(120)의 전방으로 위치되는 리드(130);
    상기 리드(130)의 전방으로 위치되는 삽입침(140); 및
    상기 삽입침(140)에 결합되는 스펀지(1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퀴즈부(200)는, 연장부(210)와 상기 연장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샘플 튜브부(300)로 삽입되는 유동부(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210)의 내측 직경은 상기 리드(1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동부(220)의 내측 직경은 상기 연장부(210)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펀지(150)는,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침(140)이 결합되는 홀(151)이 형성되는,
    타액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연장부(120)는,
    중심대(121)와, 상기 중심대(1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심대(121)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122)를 포함하는,
    타액 채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130)의 직경은 상기 삽입침(140)의 직경보다 큰,
    타액 채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 채취부(100)가 상기 샘플 튜브부(300)를 향해 전진하고, 상기 리드(130)가 상기 스펀지(15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스펀지(150)에 포함된 타액이 상기 유동부(220)를 거쳐 상기 샘플 튜브부(300)로 투입되는,
    타액 채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침(140)의 말단은 첨단 형상인,
    타액 채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부(200)는,
    상기 스퀴즈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샘플 튜브부(300)의 상부 외측을 둘러싸는,
    타액 채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침(140)의 길이는 상기 스펀지(150)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삽입침(140)에 상기 스펀지(150)가 결합되면, 상기 삽입침(140)의 말단이 돌출되는,
    타액 채취 장치.
KR2020210001626U 2021-05-24 2021-05-24 타액 채취기 KR200497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26U KR200497561Y1 (ko) 2021-05-24 2021-05-24 타액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26U KR200497561Y1 (ko) 2021-05-24 2021-05-24 타액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29U true KR20220002829U (ko) 2022-12-02
KR200497561Y1 KR200497561Y1 (ko) 2023-12-21

Family

ID=8439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26U KR200497561Y1 (ko) 2021-05-24 2021-05-24 타액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6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148A (en) * 1990-12-18 1993-12-07 Saliva Diagnostic Systems, Inc. Saliva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US20070128070A1 (en) * 2005-12-01 2007-06-07 Yuzhang Wu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alytes in fluid samples
JP2010502990A (ja) * 2006-09-06 2010-01-28 ピーター・エイ・ケイ・ヨン ドッキング機構を利用した安全な自己収納型の生物分子の採取及び運搬システム
WO2020260630A1 (en) * 2019-06-26 2020-12-30 Daklapack Europe B.V. Specimen coll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148A (en) * 1990-12-18 1993-12-07 Saliva Diagnostic Systems, Inc. Saliva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US20070128070A1 (en) * 2005-12-01 2007-06-07 Yuzhang Wu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alytes in fluid samples
JP2010502990A (ja) * 2006-09-06 2010-01-28 ピーター・エイ・ケイ・ヨン ドッキング機構を利用した安全な自己収納型の生物分子の採取及び運搬システム
WO2020260630A1 (en) * 2019-06-26 2020-12-30 Daklapack Europe B.V. Specimen coll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561Y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31518A1 (en) Fluid collection device
US5000193A (en) Medical swab device
JPH04502125A (ja) ピペツト装置
JPS6053569B2 (ja) 動物の排泄物採取処理装置
DK166943B1 (da) Blodopsamlingsenhed til mikroopsamlingsbeholder
CN100425201C (zh) 用于新生儿和小孩或小动物的取血装置
US20080139962A1 (en) Analyte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4301812A (en) Midstream sampling device
KR20220002829U (ko) 타액 채취기
US5859374A (en) Flexible centrifuge tube having bio-containment function
KR200391422Y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US3831823A (en) Openable closure with drip site
US20050090766A1 (en) Tube for blood collecting with a vacuum method
JP4609252B2 (ja) 検体採取液容器
JP3169659U (ja) 体液採取器具
CN212089610U (zh) 一种改良一次性咽拭子
CN209222162U (zh) 一种防过吸电动移液器
US11781951B2 (en) Kit for collecting bio-samples using a collection rod
US2727517A (en) Blood collecting apparatus
CN216124520U (zh) 自带结石收集瓶的可控负压输尿管软镜导引鞘
CN213802853U (zh) 一种微型离心管简易开盖工具
CN209368272U (zh) 一种基因检测采样试剂盒
JP7080429B2 (ja) 検体採取キット
CN218879895U (zh) 核酸采集试管
CN218725761U (zh) 一种具有防污染功能的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