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707U -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 Google Patents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707U
KR20220002707U KR2020210001448U KR20210001448U KR20220002707U KR 20220002707 U KR20220002707 U KR 20220002707U KR 2020210001448 U KR2020210001448 U KR 2020210001448U KR 20210001448 U KR20210001448 U KR 20210001448U KR 20220002707 U KR20220002707 U KR 20220002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pair
insertion holes
heat pipe
femal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665Y1 (ko
Inventor
박두성
Original Assignee
박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성 filed Critical 박두성
Priority to KR2020210001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6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병합 발전소로부터 난방용으로 공급되는 열을 이송하는 열배관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열배관 감시시스템에 적용되는 방수형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표면에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의 함입 단부로부터 동축으로 연장 함입되는 다수의 핀삽입홀이 형성되며, 반대편의 타측 표면은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과 이격되는 단자대 본체와;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에 일치하도록 상기 단자대 본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을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와; 상기 단자대 본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암형 인서트단자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고정홀과, 상기 한 쌍의 고정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라인층이 형성된 복수의 단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암형 인서트단자 사이에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미세한 통전현상까지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WATERPROOF TERMINAL PLATE FOR HEAT PIPE WATCHING SYSTEM}
본 고안은 열병합 발전소로부터 난방용으로 공급되는 열을 이송하는 열배관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열배관 감시시스템에 적용되는 방수형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열배관 감시시스템은 지중(地中)에 매설되는 열배관의 각 해당 측정지점으로부터 단자함으로 인입되어 단자대에 접속되는데,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방수형 단자대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찍이 등록특허공보 제10-1454708호(2014.10.28.)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방수형 단자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표면(110a)에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111)이 함입 형성된 단자대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111)의 사이로는 공간부(112)가 함입 형성된다.
단자대 삽입홀(111)의 함입된 기단부로부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핀삽입홀(113)이 동축으로 연장되어 함입 형성된다. 단자대 본체(110)의 하측 표면(110b)은 핀삽입홀(113)과 이격됨으로써 핀삽입홀(113)이 하측 표면(110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인서트 회로기판(130)은 단자대 본체(110)의 성형과정에서 성형금형 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 전체에 걸쳐 상기 암형 인서트단자(120)의 배치된 바와 동일하게 다수의 고정홀(131)이 관통 형성된다.
인서트 회로기판(130)의 일측 표면(130b)에는 이웃하는 2개의 고정홀(131) 간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인쇄회로(1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암형 인서트단자(120)에 삽입 결합되는 단자는 해당 고정홀(131a)과 짝을 이루는 이웃하는 고정홀(131b)의 해당 암형 인서트단자(120)에 삽입 결합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이론적으로 인쇄회로(132)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홀(131a, 131b)만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웃하는 고정홀(131c, 131d) 기타 다른 고정홀(131e 등)에 접속된 암형 인서트단자(120) 및 이에 삽입된 단자핀(도면 미도시)으로는 상기 한 쌍의 고정홀(131a, 131b) 사이에만 통전되고 있는 전류가 흐르거나 감지되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무슨 이유에선지 모르겠으나 (추정컨대, 외부의 습기가 암형 인서트 단자(120)의 외부 표면으로 침투하여 인쇄회로(132)의 표면까지 침투하여 오염되는 경우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단자대 삽입홀(111) 내지 암형 인서트단자(120)에 접속된 단자핀들 간에서도 전류가 미세하게 통전되는 일이 있어 측정치에 오류를 야기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자대에 접속된 단자핀들 간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절연의 구분 관계를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는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에 있어서, 일측 표면에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의 함입 단부로부터 동축으로 연장 함입되는 다수의 핀삽입홀이 형성되며, 반대편의 타측 표면은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과 이격되는 단자대 본체와;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에 일치하도록 상기 단자대 본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을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와; 상기 단자대 본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암형 인서트단자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고정홀과, 상기 한 쌍의 고정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라인층이 형성된 복수의 단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회로기판은 기판베이스의 판면 양단부에 상기 한 쌍의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홀의 내주면에 각각 비아홀층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베이스의 상하 양측 판면에 각각 상기 회로라인층이 형성되어 상기 비아홀층과 연결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베이스의 상하 양측 판면에는 각각 상기 회로라인층 상에 적층되는 절연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에 의하면 한 쌍의 암형 인서트단자는 하나의 단위회로기판을 통해서만 서로 연결될 뿐이고 서로 연결된 단위회로기판을 통해서는 물리적으로 어떠한 다른 암형 인서트단자와도 분리되는 독립적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암형 인서트단자 사이에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미세한 통전현상까지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에 일체로 성형되는 인서트 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복수의 단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위회로기판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표면에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211)이 함입 형성된 단자대 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대 삽입홀(211)은 단자대 본체(210)의 하측 표면으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단자대 본체(210)의 내부까지만 함입 형성된다.
단자대 삽입홀(211)의 함입된 기단부로부터 다시 핀삽입홀(도면 미도시, 도 2의 113 참조)이 동축으로 연장되어 함입 형성되고, 상기 핀삽입홀은 실제로는 단자대 본체(210)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도면 미도시, 도 2의 120 참조)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됨은 상기한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단자대 본체(210) 내에서의 상기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의 위치 고정은 인서트 회로기판을 통해 달성하되, 본 고안에서는 특히 상기 인서트 회로기판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회로기판(231~235)에 의해 달성된다.
즉, 다수의 단위회로기판(231~235)은 모두 단자대 본체(210)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단위회로기판(예를 들어, 231)에는 한 쌍의 암형 인서트단자(도 2의 120 참조)만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단위회로기판(231)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베이스(241)의 판면 양단부에 한 쌍의 고정홀(242, 243)이 관통 형성되고, 각 고정홀(242, 243)의 내주면에는 비아홀층(244, 245)이 도금되어 형성되며, 기판베이스(241)의 상,하 판면에는 각각 회로라인층(246, 247)이 도금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고정홀(242, 243)의 비아홀층(244, 245) 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단위회로기판(231)에 의해서는 상기 한 쌍의 고정홀(242, 243)에 삽입되는 상기 한 쌍의 암형 인서트단자(도 2의 120 참조)를 통해 한 쌍의 단자만이 서로 전기적으로는 물론 물리적으로도 연결될 뿐이다.
한편, 기판베이스(241)의 상하 양측 판면에는 각각 상기한 회로라인층(246, 247) 상에 절연코팅층(248, 249)이 적층 형성됨으로써 절연상으로 보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200)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200: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210: 단자대 본체 211: 단자대 삽입홀
231, 232, 233, 234, 235: 단위회로기판 241: 기판베이스
242, 243: 고정홀 244, 245: 비아홀층
246, 247: 회로라인층 248, 249: 절연코팅층

Claims (3)

  1.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에 있어서,
    일측 표면에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자대 삽입홀의 함입 단부로부터 동축으로 연장 함입되는 다수의 핀삽입홀이 형성되며, 반대편의 타측 표면은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과 이격되는 단자대 본체와;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에 일치하도록 상기 단자대 본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상기 다수의 핀삽입홀을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와;
    상기 단자대 본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형 인서트단자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암형 인서트단자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고정홀과, 상기 한 쌍의 고정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라인층이 형성된 복수의 단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회로기판은
    기판베이스의 판면 양단부에 상기 한 쌍의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홀의 내주면에 각각 비아홀층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베이스의 상하 양측 판면에 각각 상기 회로라인층이 형성되어 상기 비아홀층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베이스의 상하 양측 판면에는 각각 상기 회로라인층 상에 적층되는 절연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KR2020210001448U 2021-05-07 2021-05-07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KR200496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48U KR200496665Y1 (ko) 2021-05-07 2021-05-07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48U KR200496665Y1 (ko) 2021-05-07 2021-05-07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07U true KR20220002707U (ko) 2022-11-15
KR200496665Y1 KR200496665Y1 (ko) 2023-03-29

Family

ID=8404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448U KR200496665Y1 (ko) 2021-05-07 2021-05-07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6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326A1 (ja) * 2011-04-20 2012-10-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4127276A (ja) * 2012-12-25 2014-07-07 Takigen Mfg Co Ltd 接地用端子台
KR101454708B1 (ko) * 2014-04-07 2014-10-28 박두성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단자 및 단자 어셈블리
KR20150076071A (ko) * 2013-12-26 2015-07-0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수형 커넥터,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
KR20160064205A (ko) * 2013-10-01 2016-06-07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배선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326A1 (ja) * 2011-04-20 2012-10-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4127276A (ja) * 2012-12-25 2014-07-07 Takigen Mfg Co Ltd 接地用端子台
KR20160064205A (ko) * 2013-10-01 2016-06-07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배선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6071A (ko) * 2013-12-26 2015-07-0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수형 커넥터,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
KR101454708B1 (ko) * 2014-04-07 2014-10-28 박두성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단자 및 단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665Y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4784A (en) Interconnected multiple circuit module
CA1198829A (en) High-speed wire wrap board
US7705246B1 (en) Compact differential signal via structure
US7957156B2 (en) Busbar circuit board assembly
US11545793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a power electrical connector
US10249414B2 (en) Connecting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wiring harnesses
KR100264849B1 (ko) 정션박스 및 그의 기판 조립체
CN101242039B (zh) 用于两个平行的印制电路板的印制电路板插塞连接装置
US10193287B2 (en) Connecting adapter for a connecting terminal assembly
US6661674B2 (en)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printed circuit boards
US20200161784A1 (en) Circuit device
US647858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terminals that are provided with a dielectric coating
CN112738976A (zh) 一种pcb及其层偏度管控质量检测机构
KR200496665Y1 (ko)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JPH0453195A (ja) 電子回路モジュール
KR20160022346A (ko) 광전자 구조체
US20120178285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20090130916A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nection portions of the same
US5073125A (e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onnection element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between a first and second connection element
KR20170125230A (ko) 릴레이 소켓, 릴레이 소켓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보드 어셈블리
US3292131A (en) Device for interconnection of electrical apparatus
KR920003399B1 (ko) 후막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US20120168221A1 (en) Relay board for transmission connector use
US11898915B2 (en) Circuit assembly
KR100435914B1 (ko) 정션박스 및 인쇄회로기판의 납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