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22A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22A
KR20220002622A KR1020217039188A KR20217039188A KR20220002622A KR 20220002622 A KR20220002622 A KR 20220002622A KR 1020217039188 A KR1020217039188 A KR 1020217039188A KR 20217039188 A KR20217039188 A KR 20217039188A KR 20220002622 A KR20220002622 A KR 2022000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arcass ply
conductive
rubber
carc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100B1 (ko
Inventor
가즈유키 후쿠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22000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60C19/08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60C19/082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comprising a conductive tread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60C19/084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타이어(10)의 하나의 양태는, 트레드부(11)와, 사이드 월부(12)와, 비드부(13)를 구비하는 타이어이며, 비드부(13)에 마련된 비드 코어(60)와, 비드 코어(60)의 코어 축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51)와, 카커스 플라이(51)와 비드 코어(60) 사이에 마련된 도전 고무부(80)를 구비하고, 도전 고무부(80)는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51)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전통시킨다.

Description

타이어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6월 2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11537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커스 플라이를 구비하는 타이어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0499호 공보
상기와 같은 타이어에 있어서는, 구름 저항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구름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카커스 플라이에 있어서의 카커스 고무에 포함되는 카본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카커스 고무에 포함되는 카본의 양을 감소시키면, 카커스 고무의 체적 고유 저항이 증대되어, 비드부로부터 트레드 답면부까지의 도전 패스가 카커스 플라이에 의해 차단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차량으로부터 비드부로 전달되는 정전기를 트레드 답면부로부터 지면으로 방출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상기 사정에 비추어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하나의 양태는, 트레드부와, 사이드 월부와, 비드부를 구비하는 타이어이며, 상기 비드부에 마련된 비드 코어와, 상기 비드 코어의 코어 축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와, 상기 카커스 플라이와 상기 비드 코어 사이에 마련된 도전 고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전통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 타이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타이어 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2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 및 수 등을, 실제의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 및 수 등과 상이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각 도면에서 나타내는 Z축 방향은, 타이어(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타이어 직경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타이어 직경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각 도면에 나타내는 타이어(10)의 일부에 있어서는, Z축 방향의 플러스측, 즉 각 도면의 상측이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이고, Z축 방향의 마이너스측, 즉 각 도면의 하측이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이다.
각 도면에서 나타내는 Y축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서 타이어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어느 대상에 대해,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타이어 적도부(CL)에 가까운 측을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이라 칭하고,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타이어 적도부(CL)로부터 먼 측을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이라 정의한다. 타이어 적도부(CL)는,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10)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중심이다. 각 도면에 나타내는 타이어(10)의 일부에 있어서는, Y축 방향의 마이너스측, 즉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우측이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이고, Y축 방향의 플러스측, 즉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좌측이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이다.
또한, 타이어(10)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중심축 주위의 주위 방향을 타이어 주위 방향이라 정의한다. 각 도면에서 나타내는 X축 방향은, Z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각 도면에 나타내는 타이어(10)의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타이어(10)의 타이어 주위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의 단면 중, 타이어 적도부(CL)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타이어(10)의 타이어 주위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의 단면 중, 타이어 적도부(CL)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도 1에 나타내는 부분과 타이어 적도부(CL)를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타이어(10) 중 도 1에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타이어(10) 중 타이어 적도부(CL)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11)와, 사이드 월부(12)와, 비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드부(11)는, 비드부(13)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타이어(10)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트레드부(11)는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이다. 트레드부(11)는, 타이어(10)의 접지면인 트레드 답면부(11a)를 갖고 있다. 트레드 답면부(11a)는, 트레드부(11)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면의 일부이다.
트레드 답면부(11a)는, 예를 들어 타이어(10)를 「JATMA Year Book」에 규정되어 있는 표준 림에 장착하고, 또한 타이어(10)에, 「JATMA Year Book」에서의 적용 사이즈·플라이 레이팅에 있어서의 최대 부하 능력(내압-부하 능력 대응표의 굵은 글자 하중)에 대응하는 공기압(최대 공기압)의 100%의 내압(이하, 규정 내압이라 함)을 충전하여 최대 부하 능력에 대응하는 최대 부하를 부하한 상태에서의 트레드부(11)의 접지면이다.
또한, 트레드 답면부(11a)는, 예를 들어 타이어(10)가 생산 또는 사용되는 지역이 일본 이외인 경우에는, 그 지역에 적용되고 있는 산업 규격(예를 들어, 아메리카 합중국의 「TRA Year Book」, 유럽의 「ETRTO Standard Manual」 등)에 준거한 상태에서의 트레드부(11)의 접지면이다.
사이드 월부(12)는, 트레드부(11)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월부(12)는, 트레드부(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와 비드부(13)를 연결하고 있다.
비드부(13)는, 사이드 월부(12)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비드부(13)에는, 비드 코어(60)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드부(13)에는, 비드 코어(60)가 매설되어 있다.
타이어(10)에는, 골격이 되는 카커스층(50)이 마련되어 있다. 타이어(10)는, 예를 들어 카커스층(50)에 제1 체이퍼부(71)와 타이어 본체(20)와 벨트층(30)과 벨트 보강층(40)이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다. 카커스층(50)은, 트레드부(11)와 사이드 월부(12)와 비드부(13)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카커스층(50)은,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커스층(50)은 카커스 플라이(51)와, 도전부(52)를 갖고 있다.
카커스 플라이(51)는, 비드 코어(60)의 코어 축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는, 트레드부(11)로부터 사이드 월부(12)를 통해 비드부(13)로 연장되어 비드 코어(60) 주위로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 되꺾여 있다. 카커스 플라이(51)는,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이다. 카커스 플라이(5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커스 고무(51a)와, 복수의 플라이 코드(51b)를 갖고 있다. 카커스 플라이(51)는, 카커스 고무(51a)에 복수의 플라이 코드(51b)가 매설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카커스 플라이(51)의 표면 중 내측의 표면을 「일방측 표면」이라 칭하고, 카커스 플라이(51)의 표면 중 외측의 표면을 「타방측 표면」이라 정의한다. 일방측 표면은, 카커스 플라이(51)의 표면 중, 트레드부(11)에 있어서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이 되는 면이다. 타방측 표면은, 카커스 플라이(51)의 표면 중, 트레드부(11)에 있어서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이 되는 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커스 고무(51a)의 손실 정접 tanδ는 비교적 작다. 손실 정접 tanδ는, 카커스 고무(51a)에 포함되는 카본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작아진다. 카커스 고무(51a)의 손실 정접 tanδ가 작을수록 타이어(10)의 구름 저항은 작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커스 고무(51a)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어렵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의 도전성은 비교적 낮다.
복수의 플라이 코드(51b)는, 카커스 고무(51a)에 매립된 상태에서, 트레드부(11)로부터 사이드 월부(12)를 통해 비드부(13)로 연장되어 비드 코어(60) 주위로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 되꺾여 있다. 복수의 플라이 코드(51b)는,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 코드(51b)는, 예를 들어 유기 섬유 코드 등이다.
도전부(52)는, 카커스 플라이(51)의 외측의 표면, 즉 타방측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도전부(5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커스 플라이(51)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전부(52)는, 트레드부(11)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부(52)는, 트레드부(11)로부터, 적어도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부(52)는, 트레드부(11)로부터 사이드 월부(12)를 통해 비드부(13)로 연장되어 비드 코어(60) 주위로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 되꺾이고, 또한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전부(52) 중 비드 코어(60) 주위로 되꺾인 부분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 주위로 되꺾인 부분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와 타이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전부(52)는, 적어도 일부가 카커스 플라이(51)와 비드 코어(60)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부(52)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카커스 플라이(51)와 비드 코어(60)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부(52)는, 후술하는 도전 고무부(80)와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부(52)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카커스 고무(51a)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면에 첩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부(52)는, 금속을 포함하는 사상 부재이다. 도전부(52)는, 예를 들어 유기 섬유에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섬유가 감긴 도전사이다. 도전부(52)는,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일례로서, 복수의 도전부(52)가 각각 복수의 플라이 코드(51b)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도전부(52)와 복수의 플라이 코드(51b)의 타이어 주위 방향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3에 있어서, 도전부(52)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플라이 코드(51b)의 좌우 방향의 위치와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한, 도전부(52)의 수와 플라이 코드(51b)의 수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도전부(52)는 도전성을 갖고 있다. 도전부(52)의 체적 고유 저항은, 후술하는 도전 고무부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작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부재가 도전성을 갖고 있다」 및 「어느 부재가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쉽다」란, 어느 부재의 체적 고유 저항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가 흐를 정도로 낮으면 된다.
제1 체이퍼부(71)는 도전성을 갖는다. 제1 체이퍼부(71)는, 고무제의 부재, 또는 섬유와 고무의 복합 부재이다. 제1 체이퍼부(7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부(13)에 마련된 부분을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부(13)에 마련된 부분은,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를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부(13)에 마련된 부분을, 코어 피복부(53)라고 정의한다. 코어 피복부(53)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을 통해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체이퍼부(71)는,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이다.
제1 체이퍼부(71)는, 직경 방향 피복부(72)와, 폭 방향 피복부(73, 74)를 갖고 있다. 직경 방향 피복부(72)는, 카커스 플라이(51)에 있어서의 코어 피복부(53)를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덮는 부분이다. 직경 방향 피복부(72)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폭 방향 피복부(73, 74)는, 카커스 플라이(51)에 있어서의 코어 피복부(53)를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부분이다. 폭 방향 피복부(73)는, 직경 방향 피복부(7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코어 피복부(53)를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폭 방향 피복부(74)는, 직경 방향 피복부(72)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코어 피복부(53)를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폭 방향 피복부(73, 74)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 주위로 되꺾인 부분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타이어 본체(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 고무(21)와, 사이드 월 고무(22)를 갖고 있다.
트레드 고무(21)는, 트레드부(11)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이며,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이다. 트레드 고무(21)는, 카커스층(5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트레드 고무(21)는, 벨트층(30)과 벨트 보강층(40)을 통해 카커스층(5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부를 이해하기 쉽게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카커스층(50)과, 트레드 고무(21), 벨트층(30) 및 벨트 보강층(40)의 사이를 이격시켜 도시하고 있다.
트레드 고무(21)는, 트레드 언더 쿠션(23)과, 베이스층(24)과, 캡층(25)과, 미니 사이드(26)와, 안테나 고무(27)를 갖고 있다.
트레드 언더 쿠션(23)과 베이스층(24)과 캡층(25)은,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캡층(25)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면은, 트레드 답면부(11a)를 구성하고 있다. 미니 사이드(26)는, 적층된 트레드 언더 쿠션(23), 베이스층(24) 및 캡층(25)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고무(27)는, 베이스층(24) 및 캡층(25)에 걸쳐 매설되어 있다. 안테나 고무(27)는, 베이스층(24) 및 캡층(25)을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안테나 고무(27)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는, 트레드 언더 쿠션(2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고무(27)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캡층(25)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있고, 트레드 답면부(11a)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안테나 고무(27)는,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어도 되고, 연속해서 연장되어도 되고, 점재해도 된다.
베이스층(24), 캡층(25) 및 미니 사이드(26)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어렵고, 도전성이 낮다. 트레드 언더 쿠션(23) 및 안테나 고무(27)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쉽고, 도전성을 갖는다.
사이드 월 고무(22)는, 사이드 월부(12)의 일부 및 비드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이며,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이다. 사이드 월 고무(22)는, 카커스층(5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월 고무(22)는 카커스층(50)에 접속되어 있다. 사이드 월 고무(22)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트레드 고무(2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부를 이해하기 쉽게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이드 월 고무(22)와 카커스층(50) 사이 및 사이드 월 고무(22)와 트레드 고무(21) 사이를 이격시켜 도시하고 있다.
사이드 월 고무(22)는, 사이드 월 고무 본체부(28)와, 제2 체이퍼부(29)를 갖고 있다.
사이드 월 고무 본체부(28)는 사이드 월부(12)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사이드 월 고무 본체부(28)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카커스층(50)과, 트레드 고무(21), 벨트층(30) 및 벨트 보강층(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체이퍼부(29)는, 비드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제2 체이퍼부(29)는 사이드 월 고무 본체부(28)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체이퍼부(29)는 카커스층(50)에 있어서의 코어 피복부(53)를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제2 체이퍼부(29)는 코어 피복부(53) 및 제1 체이퍼부(71)의 폭 방향 피복부(73)에,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각 부를 이해하기 쉽게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제2 체이퍼부(29)와 코어 피복부(53) 사이 및 제2 체이퍼부(29)와 폭 방향 피복부(73) 사이를 이격시켜 도시하고 있다.
사이드 월 고무 본체부(28)를 구성하는 고무 재료와, 제2 체이퍼부(29)를 구성하는 고무 재료는, 서로 체적 고유 저항이 다르다. 사이드 월 고무 본체부(28)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어렵다. 제2 체이퍼부(29)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쉽고, 도전성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체이퍼부(71)와 제2 체이퍼부(29)는, 체이퍼부(70)를 구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10)는, 카커스 플라이(5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체이퍼부(70)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체이퍼부(70)는, 코어 피복부(5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을 적어도 덮고 있다. 체이퍼부(70)는 도전성을 갖는다. 체이퍼부(70)에 있어서, 제1 체이퍼부(71)의 체적 고유 저항과 제2 체이퍼부(29)의 체적 고유 저항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체이퍼부(70)는, 코어 피복부(5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을 덮고 있고, 코어 피복부(53)에 접속되어 있다. 체이퍼부(70)는, 타이어(10)가 설치되는 림과의 마찰로부터 카커스층(50)을 보호하는 부분이다.
벨트층(30)은 트레드부(11)에 매설되어 있다. 벨트층(30)은 카커스층(5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적층되어 있다. 벨트층(30)은 카커스 플라이(51) 및 도전부(52)와 접속되어 있다. 벨트층(30)은 트레드 고무(21)와 카커스층(5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벨트층(30)은 벨트 고무에 복수의 스틸 코드가 매설되어 구성되어 있다. 벨트층(30)의 벨트 고무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쉽고, 도전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벨트층(30)은 도전성을 갖는다.
벨트 보강층(40)은, 벨트층(3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적층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40)은 트레드 고무(21)와 벨트층(3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벨트 보강층(4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면은, 트레드 고무(21) 중 트레드 언더 쿠션(2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면과 접속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40)은, 예를 들어 고무와 나일론을 포함하는 복합 코드를 벨트층(30)의 외주부에 복수회 권회하여 구성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40)을 구성하는 복합 코드의 1 권취부끼리는, 타이어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간극(4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벨트 보강층(40)의 1 권취부끼리의 간극(41)에 있어서는, 벨트 보강층(40)을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트레드 언더 쿠션(23)과 벨트층(30)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40)은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어렵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드부(13)에는, 도전 고무부(80)가 마련되어 있다. 도전 고무부(80)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쉽고, 도전성을 갖고 있다. 도전 고무부(80)의 체적 고유 저항은, 카커스 고무(51a)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작다. 도전 고무부(80)의 체적 고유 저항은, 예를 들어 제1 체이퍼부(71)의 체적 고유 저항 및 제2 체이퍼부(29)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작다. 도전 고무부(80)의 체적 고유 저항은, 예를 들어 비드부(13)를 구성하는 다른 고무 재료의 체적 고유 저항과 다르다.
또한, 도전 고무부(80)의 체적 고유 저항은, 제1 체이퍼부(71)의 체적 고유 저항 및 제2 체이퍼부(29)의 체적 고유 저항과 동일해도 되고, 제1 체이퍼부(71)의 체적 고유 저항 및 제2 체이퍼부(29)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커도 된다.
도전 고무부(80)는, 카커스 플라이(51)와 비드 코어(6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전 고무부(80)는 코어 피복부(53)의 내측으로부터 코어 피복부(53)를 관통하여 코어 피복부(53)의 외측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도전 고무부(80)는,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이다. 도전 고무부(80)는, 제1 부분(81)과, 제2 부분(82)과, 제3 부분(83)을 갖고 있다.
제1 부분(81)은,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즉, 제1 부분(81)은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전 고무부(80)의 적어도 일부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부분(81)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부분(81)은 카커스층(50)을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81)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비드 코어(60)에 접촉하고 있다. 제1 부분(81)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와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부분(81)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의 직경 방향 피복부(72)와 접속되어 있다. 제1 부분(8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개재부)(84)와, 관통부(매설부)(85)와, 비관통부(매설부)(86)를 갖고 있다.
기부(84)는, 카커스 플라이(51)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적층되어 있다. 기부(84)에는, 도전부(52)가 매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부분(81)은 도전부(52)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부(84)는, 비드 코어(60)와 카커스 플라이(51) 사이에 위치하는 개재부에 상당한다.
관통부(85)는, 기부(84)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통부(85)는, 예를 들어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다. 관통부(85)는 카커스 고무(51a) 중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통부(85)는, 카커스 고무(51a)를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분단하고 있다. 관통부(85)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피복부(72)에 연결되어 있다. 관통부(85)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치수는, 기부(84)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관통부(85)는 카커스 플라이(51)를 타방측 표면으로부터 일방측 표면까지 관통하고 있다. 즉, 관통부(85)는 카커스 플라이(5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전 고무부(80)는 카커스 플라이(51)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통부(85)는, 카커스 플라이(51)에 매립된 매설부에 상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통부(85)는,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된 제1 매설부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매설부인 관통부(85)는,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매설부가 카커스 플라이에 매립된다」란, 매설부가 카커스 플라이의 카커스 고무에 매립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매설부인 관통부(85)는, 카커스 고무(51a)에 매립되어 있다.
비관통부(86)는, 기부(84)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비관통부(86)는, 카커스 고무(51a) 중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되어 있다. 비관통부(86) 중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는, 직경 방향 피복부(72)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다. 즉, 비관통부(86)는 카커스 고무(51a)를 관통하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제1 부분(81)이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도전부(52)와 제1 체이퍼부(71)를 접속함으로써, 도전 고무부(80)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를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전 고무부(80)는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를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도전 고무부(80)는 카커스 플라이(51)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전통시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전 고무부가 카커스 플라이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전통시킨다」란, 도전 고무부가, 카커스 플라이의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카커스 플라이의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면 되며, 카커스 플라이의 일방측 표면 및 타방측 표면에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가 흐르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는, 카커스 플라이(51) 자체에는 흐르지 않고, 카커스 플라이(51)의 두께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는 체이퍼부(70)로부터, 도전 고무부(80)를 통해, 카커스 플라이(51)의 두께 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는 도전부(52)로 흐른다.
제2 부분(8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부분(82)은 제1 부분(8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부분(82)은 제1 부분(8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으로 기울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제2 부분(82)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부분(82)에는, 도전부(52)가 매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분(82)은 도전부(52)와 접속되어 있다.
제2 부분(82)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부분(82a)에 있어서의 전체는, 코어 피복부(53)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을 통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코어 피복부(53)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을 통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타이어 폭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 부분(82a)은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 주위로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되꺾인 부분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면에 적층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부분(82)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82b)은, 기부(개재부)(82c)와, 관통부(매설부)(82d)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부(82c)는, 비드 코어(60)와 카커스 플라이(51) 사이에 위치하는 개재부에 상당한다. 기부(82c)는, 내측 부분(82b) 중 카커스 플라이(51)보다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통부(82d)는, 카커스 플라이(51)에 매립된 매설부에 상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부(82d)는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된 제2 매설부에 상당한다. 관통부(82d)는 카커스 고무(51a) 중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기부(82c)와 관통부(82d)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제2 부분(82)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82b)은 카커스층(50)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내측 부분(82b)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 단부는, 비드 코어(60)에 접촉하고 있다. 내측 부분(82b)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와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부분(82b)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의 폭 방향 피복부(73)와 접속되어 있다. 내측 부분(82b)은, 도 3에 도시하는 제1 부분(81)과 마찬가지로,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내측 부분(82b)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는, 외측 부분(82a)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내측 부분(82b) 중 카커스 플라이(51)보다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는, 외측 부분(82a)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내측 부분(82b) 중 카커스 플라이(51)보다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 즉 개재부인 기부(82c)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지고 있다. 외측 부분(82a)과 내측 부분(82b)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경계부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와 타이어 직경 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부분(83)은,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3 부분(83)은 제1 부분(81)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부분(8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3 부분(83)에는, 도전부(52)가 매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부분(83)은 도전부(52)와 접속되어 있다.
제3 부분(8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부분(83a)에 있어서의 전체는, 코어 피복부(53)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을 통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코어 피복부(53)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을 통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타이어 폭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 부분(83a)은 카커스 플라이(51) 중 트레드부(11)로부터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면에 적층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3 부분(8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83b)은, 기부(개재부)(83c)와, 관통부(매설부)(83d)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부(83c)는 비드 코어(60)와 카커스 플라이(51) 사이에 위치하는 개재부에 상당한다. 기부(83c)는, 내측 부분(83b) 중 카커스 플라이(51)보다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통부(83d)는, 카커스 플라이(51)에 매립된 매설부에 상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부(83d)는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된 제2 매설부에 상당한다. 관통부(83d)는, 카커스 고무(51a) 중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기부(83c)와 관통부(83d)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제3 부분(83)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83b)은, 카커스층(50)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내측 부분(83b)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는, 비드 코어(60)에 접촉하고 있다. 내측 부분(83b)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와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부분(83b)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 단부는, 제1 체이퍼부(71)의 폭 방향 피복부(74)와 접속되어 있다. 내측 부분(83b)은 도 3에 도시하는 제1 부분(81)과 마찬가지로,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내측 부분(83b)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는, 외측 부분(83a)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내측 부분(83b) 중 카커스 플라이(51)보다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는, 외측 부분(83a)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내측 부분(83b) 중 카커스 플라이(51)보다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 즉 개재부인 기부(83c)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지고 있다. 외측 부분(83a)과 내측 부분(83b)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경계부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와 타이어 직경 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부분(82)이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도전부(52)와 제1 체이퍼부(71)를 접속함으로써, 도전 고무부(80)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3 부분(83)이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도전부(52)와 제1 체이퍼부(71)를 접속함으로써, 도전 고무부(80)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전 고무부(80)는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 고무부(8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커지고 있다. 즉, 도전 고무부(80)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타이어(1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10)가 장착되는 림으로부터 지면으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방출하는 도전 패스(CP)가 마련되어 있다. 도전 패스(CP)는, 타이어(10)에 있어서 림으로부터 전달되는 정전기가 통과하는 경로이며, 제2 체이퍼부(29)로부터, 제1 체이퍼부(71), 도전 고무부(80), 도전부(52), 벨트층(30), 벨트 보강층(40)의 간극(41), 트레드 언더 쿠션(23), 및 안테나 고무(27)를 이 순으로 통과하여 트레드 답면부(11a)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림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정전기를 트레드 답면부(11a)로부터 지면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체이퍼부(71)로부터 도전 고무부(80)를 통한 도전부(52)로의 도전 패스(CP)는, 예를 들어 정전기가 직경 방향 피복부(72)로부터 제1 부분(81)을 통해 도전부(52)로 흐르는 경로와, 정전기가 폭 방향 피복부(73)로부터 제2 부분(82)을 통해 도전부(52)로 흐르는 경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 보강층(40)의 간극(41)에 있어서는, 트레드 언더 쿠션(23)과 벨트층(30)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전부(52)로부터 벨트층(30)으로 흐른 정전기는, 간극(41)으로부터 트레드 언더 쿠션(23)으로 흐른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는, 카커스 플라이(51)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전통시킨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51)의 도전성이 낮은 경우라도, 도전 고무부(80)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51)의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 차량의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커스 플라이(51)의 카커스 고무(51a)에 포함되는 카본의 양을 감소시켜 타이어(10)의 구름 저항을 저감시키면서, 차량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적합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는, 카커스 플라이(51)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 고무부(80) 중 매설부인 관통부(85, 82d, 83d)가, 카커스 플라이(5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가 도전 고무부(80)(관통부(85, 82d, 83d))를 흐름으로써,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카커스 플라이(51)의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커스 플라이(51)에는, 도전 고무부(80) 중 매설부로서의 관통부(85, 82d, 83d)가 매립되어 있다. 즉, 카커스 플라이(51)에는, 도전 고무부(80)의 일부가 매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51) 중 도전 고무부(80)가 매립된 부분에 있어서, 도전 고무부(80)를 통해 전기를 통과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51)의 도전성이 낮은 경우라도, 도전 고무부(80)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카커스 플라이(51)에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커스 플라이(51)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 타이어(10)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51)의 카커스 고무(51a)에 포함되는 카본의 양을 감소시켜 타이어(10)의 구름 저항을 저감시키면서, 차량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적합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 매설부인 관통부(85)가 매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51) 중 도전 고무부(80)가 매립된 부분을 체이퍼부(70)와 접촉시키기 쉽다. 이에 의해, 림으로부터 체이퍼부(70)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80)(관통부(85))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51)에 통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적합하게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매설부인 관통부(85)는, 직경 방향 피복부(72)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2 매설부인 관통부(82d)가 매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51) 중 도전 고무부(80)가 매립된 부분을 제1 체이퍼부(71)의 폭 방향 피복부(73)와 접촉시키기 쉽다. 이에 의해, 림으로부터 체이퍼부(70)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80)(관통부(82d))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51)에 통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적합하게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2 매설부인 관통부(83d)가 매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51) 중 도전 고무부(80)가 매립된 부분을 제1 체이퍼부(71)의 폭 방향 피복부(74)와 접촉시키기 쉽다. 이에 의해, 림으로부터 체이퍼부(70)에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80)(관통부(83d))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51)에 통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적합하게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매설부인 관통부(85, 82d, 83d)는,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라이 코드(51b)끼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도전 고무부(80)의 일부를, 카커스 플라이(51)에 매립하여 배치하기 쉽다. 또한, 관통부(85, 82d, 83d)를, 카커스 플라이(51)를 관통시켜 배치하기 쉬워, 도전 고무부(80)에 의해, 보다 적합하게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의 적어도 일부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림으로부터 체이퍼부(70)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80)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51)에 통과시키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커스 플라이(51)를 따라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카커스 플라이(51)와 비드 코어(60)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부(5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전부(52)는 기부(84, 82c, 83c)를 통해, 도전 고무부(80)와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전 고무부(80)로 전달되는 정전기를 도전부(5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51)에 있어서의 카커스 고무(51a)의 체적 고유 저항이 비교적 크고, 카커스 플라이(51)의 도전성이 낮은 경우라도, 림으로부터 체이퍼부(70)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80)를 통해 도전부(5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부(52)를 통해 트레드부(11)까지 보낼 수 있어, 트레드부(11)에 있어서 트레드 답면부(11a)로부터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적합하게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부(52)의 체적 고유 저항은, 도전 고무부(80)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작다. 그 때문에, 도전부(52)의 체적 고유 저항을 적합하게 작게 하기 쉽다. 이에 의해, 비드부(13)로부터 트레드부(11)로의 비교적 긴 도전 패스(CP)를 만드는 도전부(52)에, 적합하게 정전기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부(52)는, 금속을 포함하는 사상 부재이다. 그 때문에, 도전부(52)의 체적 고유 저항을 보다 적합하게 작게 하기 쉬워, 도전부(52)에 의해, 비드부(13)로부터 트레드부(11)로 정전기를 보다 흘리기 쉽다. 이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부(52)는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드부(13)로부터 트레드부(11)까지 정전기를 흘리는 도전 패스(CP)를 증가시킬 수 있고, 도전부(52)에 의해, 비드부(13)로부터 트레드부(11)로 정전기를 보다 흘리기 쉽다. 이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는, 도전부(52)와 제1 체이퍼부(71)를 접속하고 있다. 제1 체이퍼부(71)는, 카커스 플라이(51) 중 비드부(13)에 마련된 부분을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도전 고무부(80)가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하기 쉽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도전 고무부(80)의 제1 부분(81)에 의해 직경 방향 피복부(72)와 도전부(52)를 접속하면서, 도전 고무부(80)의 제2 부분(82) 및 제3 부분(83)에 의해 폭 방향 피복부(73, 74)와 도전부(52)를 접속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는, 비드 코어(60)와 카커스 플라이(51) 사이에 위치하는 개재부로서 기부(84, 82c, 83c)를 갖는다. 그 때문에, 기부(84, 82c, 83c)를 통해, 도전 고무부(80)를 도전부(52)에 접속하기 쉽다. 이에 의해, 도전 고무부(80)로부터 도전부(52)로 적합하게 정전기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전 고무부(80)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에 있어서 체이퍼부(70)와 접속되는 부분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 고무부(80)와 체이퍼부(70)를 보다 적합하게 접속하기 쉬워, 체이퍼부(70)로부터 도전 고무부(80)를 통해 도전부(52)로 정전기를 흘리기 쉽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커스 고무(51a)는,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어렵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51)에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가 통과하기 어렵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커스 플라이(51)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즉, 상술한 카커스 플라이(51)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쉬운 효과는, 카커스 고무(51a)가 비교적 전기를 통과시키기 어려운 구성에 있어서, 보다 유용하게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의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의 접속에 더하여,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도, 도전 고무부(80)에 의해,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 고무부(80)를 통한 체이퍼부(70)와 도전부(52)의 접속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체이퍼부(70)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80)를 통해 보다 적합하게 도전부(52)로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 고무부(80)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전 고무부(80)는, 비드 코어(60)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51)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52)와 체이퍼부(70)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전 고무부(80)를 통한 체이퍼부(70)와 도전부(52)의 접속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체이퍼부(70)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80)를 통해, 보다 적합하게 도전부(52)로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전 고무부는, 카커스 플라이에 매립된 매설부를 갖고, 또한 도전성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 고무부는, 도전부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전 고무부는, 체이퍼부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매설부는, 카커스 플라이에 매립되면, 마련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매설부는, 카커스 플라이를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매설부는, 카커스층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도 된다. 매설부는, 개재부와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개재부는,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도전 고무부는, 카커스 플라이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 고무부(80)가 제2 부분(82) 및 제3 부분(83)을 갖지 않아도 된다. 도전 고무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 고무부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전 고무부는, 카커스 플라이에 있어서의 카커스 고무가 일부여도 된다. 이 경우, 카커스 고무는, 제1 고무부와, 제1 고무부보다 체적 고유 저항이 작은 제2 고무부를 갖는다. 제2 고무부는, 도전 고무부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제1 고무부는, 카커스 고무 중 제2 고무부 이외의 부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도전부는, 카커스 플라이를 따라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카커스 플라이와 비드 코어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도전성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부는 금속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도전부는, 예를 들어 도전성을 갖는 고무제여도 된다. 도전부는, 사상 부재가 아니어도 되고, 카커스 플라이에 적층되는 층상의 부재여도 된다. 도전부의 체적 고유 저항은, 도전 고무부의 체적 고유 저항과 동일해도 되고, 도전 고무부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커도 된다. 도전부는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체이퍼부는, 도전성을 갖고, 카커스 플라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체이퍼부(71)가 폭 방향 피복부(73, 74)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체이퍼부(71)가 폭 방향 피복부(73)를 갖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체이퍼부(71)는 직경 방향 피복부(72)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 있어서 제2 체이퍼부(29)와 접속된다. 제1 체이퍼부와 제2 체이퍼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체이퍼부는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카커스층은, 2개 이상의 카커스 플라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전 고무부는, 복수의 카커스 플라이를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체이퍼부와 도전부를 접속한다. 카커스층은, 카커스 플라이의 내면에 첩부된 이너 라이너를 가져도 된다.
트레드부의 구성은, 트레드부까지 연장되는 도전부로부터 트레드 답면부로 정전기를 흘릴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타이어는, 어떠한 차량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도전 고무부는, 카커스 플라이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전통시킨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이 낮은 경우라도, 도전 고무부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의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 차량의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커스 플라이의 카커스 고무에 포함되는 카본의 양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저감시키면서, 차량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적합하게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관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가 도전 고무부를 흐름으로써,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카커스 플라이의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에 매립된 매설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커스 플라이에는, 도전 고무부의 일부가 매립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 중 도전 고무부가 매립된 매설부에 있어서, 도전 고무부를 통해 전기를 통과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이 낮은 경우라도, 도전 고무부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카커스 플라이에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 타이어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의 카커스 고무에 포함되는 카본의 양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저감시키면서, 차량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적합하게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매설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 코어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된 제1 매설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커스 플라이 중 도전 고무부가 매립된 부분, 즉 제1 매설부가 매립된 부분을 체이퍼부와 접촉시키기 쉽다. 이에 의해, 림으로부터 체이퍼부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제1 매설부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에 통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적합하게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상기 매설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 코어의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된 제2 매설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커스 플라이 중 도전 고무부가 매립된 부분, 즉 제2 매설부가 매립된 부분을 체이퍼부와 접촉시키기 쉽다. 이에 의해, 림으로부터 체이퍼부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제2 매설부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에 통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적합하게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상기 매설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가 도전 고무부(매설부)를 흐름으로써,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카커스 플라이의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두께 방향 타방측으로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카커스 플라이는, 카커스 고무와, 상기 카커스 고무에 매설되고,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플라이 코드를 갖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플라이 코드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 고무부의 일부를, 카커스 플라이에 매립하여 배치하기 쉽다. 또한, 매설부를, 카커스 플라이를 관통시켜 배치하기 쉬워, 도전 고무부에 의해, 보다 적합하게 도전부와 체이퍼부를 접속하기 쉽다.
상기 도전 고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비드 코어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림으로부터 체이퍼부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에 통과시키기 쉽다.
상기 카커스 플라이를 따라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커스 플라이와 상기 비드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부는, 상기 도전 고무부와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 고무부로 전달되는 정전기를 도전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에 있어서의 카커스 고무의 체적 고유 저항이 비교적 크고,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이 낮은 경우라도, 림으로부터 체이퍼부로 전달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 고무부를 통해 도전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도전부를 통해 트레드부까지 보낼 수 있어, 트레드부에 있어서 트레드 답면부로부터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적합하게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상기 도전부의 체적 고유 저항은, 상기 도전 고무부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작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부의 체적 고유 저항을 적합하게 작게 하기 쉽다. 이에 의해, 비드부로부터 트레드부로의 비교적 긴 도전 패스(CP)를 만드는 도전부에, 적합하게 정전기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상기 도전부는, 금속을 포함하는 사상 부재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부의 체적 고유 저항을 보다 적합하게 작게 하기 쉬워, 도전부에 의해, 비드부로부터 트레드부로 정전기를 보다 흘리기 쉽다. 이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도전성을 갖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체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이퍼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부에 마련된 부분을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제1 체이퍼부와,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부에 마련된 부분을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제1 체이퍼부에 접속된 제2 체이퍼부를 갖고,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도전부와 상기 제1 체이퍼부를 접속하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 고무부가 비드 코어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도전부와 체이퍼부를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하기 쉽다.
상기 도전 고무부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 고무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단부에 있어서 체이퍼부와 접속되는 부분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 고무부와 체이퍼부를 보다 적합하게 접속하기 쉬워, 체이퍼부로부터 도전 고무부를 통해 도전부에 정전기를 흘리기 쉽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보다 지면으로 방출하기 쉽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비드부에 마련된 비드 코어와, 상기 비드 코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카커스 플라이를 구비하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는, 카커스 고무를 갖고, 상기 카커스 고무는, 제1 고무부와, 상기 제1 고무부보다 체적 고유 저항이 작은 제2 고무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 타이어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카커스 플라이의 카커스 고무에 포함되는 카본의 양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저감시키면서, 차량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적합하게 방출할 수 있다.
본원의 타이어를 당해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카커스 플라이의 도전성에 구애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10: 타이어
13: 비드부
29: 제2 체이퍼부
51: 카커스 플라이
51a: 카커스 고무
51b: 플라이 코드
52: 도전부
60: 비드 코어
70: 체이퍼부
71: 제1 체이퍼부
80: 도전 고무부
82d, 83d: 관통부(매설부, 제2 매설부)
85: 관통부(매설부, 제1 매설부)
86: 비관통부(매설부)

Claims (14)

  1. 트레드부와, 사이드 월부와, 비드부를 구비하는 타이어이며,
    상기 비드부에 마련된 비드 코어와,
    상기 비드 코어의 코어 축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와,
    상기 카커스 플라이와 상기 비드 코어 사이에 마련된 도전 고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전통시키는,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적어도 1매의 카커스 플라이의 일방측 표면과 타방측 표면을 관통하는,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에 매립된 매설부를 갖는, 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 코어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된 제1 매설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 코어의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매립된 제2 매설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타이어.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플라이는,
    카커스 고무와,
    상기 카커스 고무에 매설되고,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플라이 코드
    를 갖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플라이 코드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타이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고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비드 코어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 단부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타이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플라이를 따라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커스 플라이와 상기 비드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부는, 상기 도전 고무부와 접속되어 있는, 타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의 체적 고유 저항은, 상기 도전 고무부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작은, 타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금속을 포함하는 사상 부재인, 타이어.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체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이퍼부는,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부에 마련된 부분을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및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제1 체이퍼부와,
    상기 카커스 플라이 중 상기 비드부에 마련된 부분을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제1 체이퍼부에 접속된 제2 체이퍼부
    를 갖고,
    상기 도전 고무부는, 상기 도전부와 상기 제1 체이퍼부를 접속하고 있는, 타이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고무부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는, 타이어.
  14. 트레드부와, 사이드 월부와, 비드부를 구비하는 타이어이며,
    상기 비드부에 마련된 비드 코어와,
    상기 비드 코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카커스 플라이
    를 구비하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는, 카커스 고무를 갖고,
    상기 카커스 고무는,
    제1 고무부와,
    상기 제1 고무부보다 체적 고유 저항이 작은 제2 고무부
    를 갖는, 타이어.
KR1020217039188A 2019-06-21 2020-06-19 타이어 KR102610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5377A JP7181158B2 (ja) 2019-06-21 2019-06-21 タイヤ
JPJP-P-2019-115377 2019-06-21
PCT/JP2020/024196 WO2020256128A1 (ja) 2019-06-21 2020-06-19 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22A true KR20220002622A (ko) 2022-01-06
KR102610100B1 KR102610100B1 (ko) 2023-12-04

Family

ID=7399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188A KR102610100B1 (ko) 2019-06-21 2020-06-19 타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14712A1 (ko)
EP (1) EP3988349A4 (ko)
JP (1) JP7181158B2 (ko)
KR (1) KR102610100B1 (ko)
CN (1) CN113905908B (ko)
CA (1) CA3142311C (ko)
MX (1) MX2021014879A (ko)
WO (1) WO202025612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551B2 (ja) * 1977-12-21 1983-09-13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WO2009022564A1 (ja) * 2007-08-10 2009-02-1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40332A (ja) * 2007-08-10 2009-02-26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
JP2014125005A (ja) * 2012-12-25 2014-07-07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5020499A (ja)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23900A (ja) * 2013-12-26 2015-07-0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81401A (ja) * 2017-10-27 2019-05-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4578B2 (en) * 2006-10-11 2013-04-23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4755255B2 (ja) 2006-10-11 2011-08-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881945B2 (ja) 2010-12-21 2016-03-09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5808200B2 (ja) 2011-08-31 2015-11-1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841551B2 (ja) 2013-01-09 2016-01-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102013104114A1 (de) * 2013-04-24 2014-10-3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luftreifens
WO2017122509A1 (ja) * 2016-01-13 2017-07-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EP3466727A4 (en) 2016-05-31 2019-05-15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JP7149069B2 (ja) 2017-12-26 2022-10-06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センサ、生体情報管理方法、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551B2 (ja) * 1977-12-21 1983-09-13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WO2009022564A1 (ja) * 2007-08-10 2009-02-1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40332A (ja) * 2007-08-10 2009-02-26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
JP2014125005A (ja) * 2012-12-25 2014-07-07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5020499A (ja)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23900A (ja) * 2013-12-26 2015-07-0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81401A (ja) * 2017-10-27 2019-05-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4712A1 (en) 2022-10-06
JP7181158B2 (ja) 2022-11-30
KR102610100B1 (ko) 2023-12-04
MX2021014879A (es) 2022-01-18
JP2021000912A (ja) 2021-01-07
CN113905908A (zh) 2022-01-07
EP3988349A4 (en) 2023-07-12
CA3142311A1 (en) 2020-12-24
EP3988349A1 (en) 2022-04-27
CN113905908B (zh) 2023-09-15
CA3142311C (en) 2023-10-10
WO2020256128A1 (ja)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6590A1 (en) Reinforcement layer for a tire tread
JP531223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245304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70334247A1 (en) Pneumatic Vehicle Tires
EP3599111B1 (en) Pneumatic tire
KR20220002622A (ko) 타이어
CN113015634B (zh) 轮胎
EP3988347A1 (en) Tire
KR20220003096A (ko) 타이어
JP7232132B2 (ja) タイヤ
CN112477524A (zh) 重载用充气轮胎
JP7292122B2 (ja) タイヤ
JP201411801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7368690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9927491B (zh) 重载荷用充气子午线轮胎
JP732349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189188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